[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47461B1 -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461B1
KR102047461B1 KR1020180022051A KR20180022051A KR102047461B1 KR 102047461 B1 KR102047461 B1 KR 102047461B1 KR 1020180022051 A KR1020180022051 A KR 1020180022051A KR 20180022051 A KR20180022051 A KR 20180022051A KR 102047461 B1 KR102047461 B1 KR 10204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wrinkles
present
s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719A (ko
Inventor
장윤희
진무현
김태윤
김종욱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2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6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US16/971,828 priority patent/US20200383900A1/en
Priority to EP18906967.7A priority patent/EP3756647A4/en
Priority to JP2020544666A priority patent/JP2021514965A/ja
Priority to CN201880003306.9A priority patent/CN110392566A/zh
Priority to PCT/KR2018/013073 priority patent/WO2019164090A1/ko
Priority to TW108106130A priority patent/TWI706792B/zh
Publication of KR2019010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예방 또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 comprising Symplocarpus foetidu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본 발명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름은 크게 얼굴표정을 짓는데 쓰이는 표정근에 의한 표정 주름과 전반적 혹은 국소적으로 생기는 잔주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표정 주름을 유발하는 근육은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의 신경세포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작용에 의하여 수축, 이완을 하게 된다. 보톡스 (Botulinum neurotoxin)는 표정 주름개선용으로 사용중인 가장 강력한 물질로, 신경세포의 시냅스 소낭(synaptic vesicle)과 시냅스 전세포(presynaptic cell)의 막 융합(membrane fusion)을 유도하여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조절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SNARE(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SNAP Receptor)중 SNAP-25를 절단함으로써 SNARE 복합체 형성을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막아 근육세포를 마비시킨다. 그러나, 보톡스의 작용기전은 비가역적인 SNARE 복합체의 절단이며, 독성물질이란 점 등에 의해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보톡스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아지렐린(Argireline)과 같은 합성 펩타이드가 개발되었다(Blanes-Mira etc.,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24, 303-310, 2002). 그러나 아지렐린은 가격 대비 효과에 의문점이 있고, 합성물질이라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표정주름과 달리 잔주름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감소가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으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은 진피층 내의 수분 보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 단백질로 이러한 기질 단백질이 수분을 흡착하며, 이들이 이루는 구조 내부에 수분 보유력을 높여 피부가 적정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를 통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촉진 물질로는 비타민 C,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외용제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주름 방지 및 개선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자원들로부터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나는 물질에 관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앉은 부채 추출물이 근수축을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4337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09266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 존재하는 천연자원들로부터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나는 물질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 수행 결과, 앉은 부채 추출물이 근수축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앉은 부채 추출물이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주름 개선효과를 가지는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고,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서,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앉은 부채(Symplocarpus foetidus)"는 외떡잎식물 택사목 천남성과 앉은 부채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와 시베리아 동부,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으며 2~4월에 잎보다 먼저 꽃이 핀다. 붉은 얼룩이 있는 주머니 같이 생긴 타원형의 꽃덮개인 불염포(佛焰苞)속에 작은 꽃이 난다. 열매는 장과이며 여름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상기 앉은 부채는 주로 진정제, 해열제 효능을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앉은 부채의 주름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앉은 부채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배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는 등 그 출처에 제한 없이 모든 앉은 부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앉은 부채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앉은 부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앉은 부채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증류수,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전체 조성물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래 목적하는 활성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 "주름"은 크게 얼굴표정을 짓는데 쓰이는 표정근에 의한 표정 주름과 전반적 혹은 국소적으로 피부가 쇠하여 생기는 잔주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름은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주름은 표정 주름 또는 잔주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수축을 감소시켜 표정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앉은 부채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근수축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앉은 부채 추출물이 표정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앉은 부채 추출물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앉은 부채 추출물이 잔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의 증상을 완화시키것을 의미하며, “예방”은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주름 생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앉은 부채", "추출물", "분획물", "주름", “예방” 및 "개선"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성식품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앉은 부채", "추출물", "분획물", "주름", “예방” 및 "개선"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주름 또는 피부 노화에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앉은 부채", "추출물", "분획물", "주름", “예방” 및 "개선"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은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앉은 부채", "추출물", "분획물", 및 "주름"은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특성상,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에 도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주름 또는 피부 주름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앉은 부채 추출물은 근수축 감소 활성, 및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의약품 및 의약외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앉은 부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근수축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앉은 부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생합성 총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앉은 부채 추출물 2%을 함유한 에센스 사용 후 DSLR을 이용한 이마 주름의 육안 평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앉은 부채추출물의 제조
대둔산에서 채집한 앉은 부채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앉은 부채를 분쇄하여 1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메탄올 = 3:7) 1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앉은 부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앉은 부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활성 측정
2-1: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 형성 실험과 근수축 억제 효과 측정
앉은 부채의 근수축 억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 근육세포주 C2C12와 마우스와 랫의 하이브리드 신경세포주인 NG108-15를 공동배양 하였다.
근육세포주인 C2C12를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5×105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10% 소혈청 DMEM 배지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후 2% 말혈청 DMEM 배지로 교환하여 근육세포를 분화시켰다. 이틀 뒤 2% 말혈청 DMEM배지를 교환하고 3일간 더 배양하여 분화된 근육세포 위에 신경세포주인 NG108-15를 5×104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10% 소혈청 DMEM 배지 및 37℃의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신경근접합부 세포모델(C2C12와 NG108-15 공동배양)의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앉은 부채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광학현미경(Zeiss, Oberkochen, Germany)을 사용하여 물질 처리 전, 처리 2시간 후의 근수축 횟수를 측정하였는데, 근수축 횟수는 세 군데에서 30초간의 수축횟수를 카운팅하여 평균을 내는 방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앉은 부채 추출물은 2시간 처리 후 농도 의존적으로 근수축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앉은 부채 추출물 20ppm 에서 약 47%의 근수축 횟수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앉은 부채 추출물 (ppm) 근수축 감소 비율(%)
0 1
1 19
5 22
10 25
20 47
이는 지속적인 근육 사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표정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2-2: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
앉은 부채 추출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생합성 총량 증가 효과를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증가된 콜라겐 총량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의 농도(㎍/ml)를 달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 시험을 하는 방법[참고문헌: Mossma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 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40 ppm 이하)하여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의 콜라겐의 총량 증가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대조군)와 TGF(양성대조군)를 10ng/ml이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의 총량은 UV 흡광도로서 측정하였으며, 콜라겐 총량의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 및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앉은 부채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시료 대조군 대비 콜라겐 합성 증가율(%)
앉은 부채 추출물 (ppm) 1 0.6
5 7.8
10 10.4
20 10.3
이는 콜라겐의 감소가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는 잔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3: 앉은 부채를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
이마주름은 지속적 근육사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표정주름과 노화에 의한 잔주름이 복합적으로 만드는 주름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앉은 부채 추출물의 이마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앉은 부채 추출물을 2% 함유한 에센스를 30 내지 45세의 건강한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각각 피험자의 이마에 1일 2회씩 1개월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대조군은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에센스를 사용하였다. 주름개선 정도는 DSLR 카메라(Nikon DSLR 3100)를 이용한 사진 평가와 설문지 평가를 통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앉은 부채 추출물 2%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사진 판정 결과 주름이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 4주 후 설문 평가에서 피부 잔주름 개선과 피부가 팽팽해진 느낌을 묻는 질문에서 실험군에서는 평균 4점(조금 그렇다)이상 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평균 3점(조금 그렇지 않다)이상으로, 앉은 부채 2%을 함유한 에센스 사용으로 잔주름과 표정주름 개선을 체감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설문 문항 실험군 대조군
2주 4주 2주 4주
이마 피부의 잔주름이 개선되는 것 같다. 4.0 4.3 2.8 3.2
이마 피부가 팽팽해진 느낌이 든다. 4.8 4.2 3.5 3.5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조금 그렇지 않다 4점: 조금 그렇다
5점: 그렇다 6점: 정말 그렇다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듯이, 실시예 1의 앉은 부채 추출물이 포함된 에센스를 사용 시,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이마 주름(표정주름 및 잔주름)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앉은 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표정주름 또는 잔주름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앉은 부채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수축을 감소시켜 표정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영양유액), 수렴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앉은 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 앉은 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1. 앉은 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2. 앉은 부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

KR1020180022051A 2018-02-23 2018-02-23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Active KR10204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51A KR102047461B1 (ko) 2018-02-23 2018-02-23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EP18906967.7A EP3756647A4 (en) 2018-02-23 2018-10-31 COMPOSITION WITH STINKING COAL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GENT AGAINST WRINKLES
JP2020544666A JP2021514965A (ja) 2018-02-23 2018-10-31 ザゼンソウ抽出物又はその分画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シワ改善用組成物
CN201880003306.9A CN110392566A (zh) 2018-02-23 2018-10-31 包含作为有效成分的臭菘提取物或其馏分的皱纹改善用组合物
US16/971,828 US20200383900A1 (en) 2018-02-23 2018-10-31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s comprising symplocarpus foetidus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PCT/KR2018/013073 WO2019164090A1 (ko) 2018-02-23 2018-10-31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TW108106130A TWI706792B (zh) 2018-02-23 2019-02-22 臭菘提取物或其餾分的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51A KR102047461B1 (ko) 2018-02-23 2018-02-23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811A Division KR20190130543A (ko) 2019-11-15 2019-11-15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719A KR20190101719A (ko) 2019-09-02
KR102047461B1 true KR102047461B1 (ko) 2019-11-21

Family

ID=6768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051A Active KR102047461B1 (ko) 2018-02-23 2018-02-23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83900A1 (ko)
EP (1) EP3756647A4 (ko)
JP (1) JP2021514965A (ko)
KR (1) KR102047461B1 (ko)
CN (1) CN110392566A (ko)
TW (1) TWI706792B (ko)
WO (1) WO2019164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012B1 (ko) * 2019-07-02 2023-01-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앉은 부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837B1 (ko) 2011-10-20 2013-08-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643A (ja) * 2003-02-17 2004-09-02 Iwate Univ 発熱植物ザゼンソウ由来のシアン耐性呼吸酵素遺伝子
JP5118292B2 (ja) * 2005-06-16 2013-01-16 株式会社ロッテ 脂肪分解促進剤
JP4201091B1 (ja) * 2008-06-03 2008-12-24 株式会社ノエビア 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582971B1 (ko) 2013-07-16 2016-01-06 (주)더마랩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9309A (ko) * 2015-04-02 2016-10-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돌단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24770B1 (ko) 2015-07-22 2018-02-02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39659B1 (ko) * 2015-12-08 2020-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8498B1 (ko) * 2017-08-18 2018-05-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봉선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837B1 (ko) 2011-10-20 2013-08-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92566A (zh) 2019-10-29
EP3756647A4 (en) 2021-12-01
WO2019164090A1 (ko) 2019-08-29
EP3756647A1 (en) 2020-12-30
US20200383900A1 (en) 2020-12-10
TWI706792B (zh) 2020-10-11
KR20190101719A (ko) 2019-09-02
JP2021514965A (ja) 2021-06-17
TW201936169A (zh) 201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EP3097913B1 (en) Cosmetic use of a hydroxy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CN112584820A (zh)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KR102628237B1 (ko) 천연 발효물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CN112638357B (zh) 用于促进源自人脂肪的干细胞的分化或增殖的组合物
KR20190132705A (ko) 철갑상어 알 및 철갑상어 양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JP6647292B2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30166330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KR101189794B1 (ko) 양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84156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311011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CN118021632A (zh) 用于促进人脂肪干细胞的分化或增殖的组合物
KR102275550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600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03007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411893B1 (ko) 밤나무 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JP2024063317A (ja) 細胞遊走促進剤
KR20220008930A (ko) 바닐라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30168850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