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207A - Laminate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Laminate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30207A KR20060130207A KR1020067018615A KR20067018615A KR20060130207A KR 20060130207 A KR20060130207 A KR 20060130207A KR 1020067018615 A KR1020067018615 A KR 1020067018615A KR 20067018615 A KR20067018615 A KR 20067018615A KR 20060130207 A KR20060130207 A KR 200601302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plates
- plate
- grooves
- longitud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34—Header boxes; End plates having a second heat exchanger disposed there within, e.g. oil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9—Oil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냉매 냉각기의 냉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적층판 열교환기, 특히 탱크 내의 오일 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이 열교환기는 다수의 적층되고 상호 연결되며 특히 납땜되는 세장 판(71-77)을 포함하고, 각각의 세장(細長) 판은 2개의 반쪽 판으로 구성되고, 오일과 같은 냉각될 매질이 이 반쪽 판의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는 중공(中空) 공간부를 밀봉시킨다.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적층판 열교환기를 생산하기 위해 각각의 반쪽 판을 반쪽 판의 길이 방향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홈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an oil cooler in a tank, installed in a cooler casing of a vehicle cooler cooler. This heat exchanger comprises a plurality of laminated, interconnected and in particular solder plates (71-77), each of which consists of two half plates, with the medium to be cooled such as oil being half plates. The hollow space part pa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is sealed. Each half plate has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the half plate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to produce a laminate heat exchanger that can be economically pro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용으로 상호 적층되고, 특히 납땜으로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호 180°로 회전된 2개의 동일한 반쪽 판으로 구성되고 판들의 길이방향으로 오일과 같이 냉각될 매질을 통하게 하는 공동(cavity)을 감싸는 다수의 세장판을 갖는 탱크 내의 오일 쿨러(in-tank oil cooler)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consisting of two identical half plates which are laminated together for automotive use, in particular interconnected by soldering and in each case rotated 180 ° from each other and are oil-lik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s. It relates to an in-tank oil cooler in a tank having a plurality of swash plates enclosing a cavity through which the medium to be cooled.
독일 공개 공보 DE 43 08 858 C2는 다른 판 위에 한 판이 척층되고 상호 납땜되며 상오 180°로 회전된 2개의 동일한 반쪽 판(identical plate halves)으로 구성되고 냉각될 매질의 전도를 위해 공동(cavity)을 감싸는 판들을 갖춘 판형 열교환기(plate heat exchanger)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반쪽 판은 판을 형성하도록 반쪽 판을 납땜하기 위해 엠보싱 된 변부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호 판을 납땜하기 위해 연결면(connection faces)이 제공된다. 더욱이 반쪽 판은 내측 및 외측에 절두 원추형 엠보싱이 제공된다. 반쪽 판들은 판의 횡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의 축에 대해 거울-대칭으로 형성된다. 절두 원추형 엠보싱들은 연결 표면들 사이에 바둑판 방식(checkerboard manner)으로 배열된다. 양(+)형 엠보싱(positive embossings)들은 음(-)형 엠보싱(negative embossings)들과 교차된다. 양형 엠보싱들과 음형 엠 보싱들은 노브(knob)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반쪽 판들은 (空洞)(cavity)을 감싸고 이 공동을 통해 예컨대 오일과 같은 유체가 유동한다. 이 공동으로 돌출되는 노브(knob)들은 오일의 양호한 소용돌이(good swirling)를 보장하고 및 타이 로드(tie rod) 기능의 결과로서 강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German publication DE 43 08 858 C2 consists of two identical plate halves rotated at 180 ° at a normal layer, soldered one plate above another, and rotated at 180 ° and provide a cavity for conduction of the medium to be cooled. Disclosed is a plate heat exchanger with enclosing plates. This half plate is provided with embossed edges for soldering the half plate to form the plate and connection faces for soldering the mutual plate. Furthermore, the half plates are provided with truncated conical embossing on the inside and outside. The half plates are formed mirror-symmetrically about the transverse and / or longitudinal axis of the plate. The truncated conical embossings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manner between the connecting surfaces. Positive embossings intersect with negative embossings. Positive embossings and negative embossings are in the shape of a knob. In the assembled state, the half plates enclose a cavity through which the fluid, for example oil, flows. These cavity protruding knobs are intended to ensure good swirling of the oil and to increase strength as a result of the tie rod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세장 판(elongate plate)을 갖는 자동차용 적층형 열교환기, 특히 탱크 내의 오일 쿨러(in-tank oil cooler)를 제공하는 것이고, 세장 판은 상호 적층되고, 특히 납땜으로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호 180°로 회전된 2개의 동일한 반쪽 판으로 구성되고 판들의 길이방향으로 오일과 같은 냉각될 매질을 통하게 하는 공동을 감싸며, 이 적층판 열교환기는 간단한 형상로 이루어지고 비용절감되게 생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적층판 열교환기는 2개의 반쪽 판 사이에 형성된 공동(cavity) 사이에 냉각될 매질의 양호한 소용돌이를 보장할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otive laminated heat exchanger, in particular an in-tank oil cooler in a tank, having a plurality of elongate plates, the elongated plates being lamina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soldered together And in each case consists of two identical half plates rotated by 180 ° to each other and encloses a cavity through which the medium to be cooled, such as o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s, the laminate heat exchanger being simple in shape and cost-effective Can be produced. Nevertheless, the lamin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ensure a good vortex of the medium to be cooled between the cavities formed between the two half plates.
세장 판은 상호 적층되고, 특히 납땜으로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호 180°로 회전된 2개의 동일한 반쪽 판으로 구성되고 판들의 길이방향으로 오일과 같이 냉각될 매질을 통하게 하는 공동을 감싸는 다수의 세장 판을 갖는 자동차용 적층형 열교환기, 특히 탱크 내의 오일 쿨러에 있어서, The elongated plates are composed of two identical half plates stacked on one another, in particular interconnected by soldering, in each case being rotated by 180 ° in each case, and enclosing a cavity enclosing a cavity through which the medium to be cooled, such as o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s In a laminated heat exchanger for automobiles having an elongated plate, in particular an oil cooler in a tank,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반쪽 판이 반쪽 판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홈(grooves)들을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반쪽 판은 또한 편평한 튜브 또는 패널들로 형상된다. 홈들의 연속은 반쪽 판의 길이방향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냉매의 통로를 보장한다. 공동에서 홈들은 냉각될 매질의 양호한 소용돌이를 보장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each half plate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that are continuous from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the half plate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The half plate is also shaped into flat tubes or panels. The continuation of the grooves ensures the passag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the half plate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The grooves in the cavity ensure a good swirl of the medium to be cooled.
적층판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세장 판들이 상호 180°로 회전된 2개의 동일한 반쪽 판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판 열교환기의 생산은 이에 의해 상당히 간단해진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in each case the elongated plates consist of two identical half plates rotated 180 ° to each other. The production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hereby significantly simplified.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홈이 반쪽 판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직선으로 연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반쪽 판의 길이방향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방해받지 않는 냉매의 통로(unimpeded passage of coolant)를 보장한다.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continue in a straight line from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the half plate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This ensures an uninterrupted passage of coolant from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the half plate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반쪽 판에서 홈들이 일측면에 엠보싱되는 것이 특징이다. 홈들은 예컨대 금속 박판(薄板) 재료에서 일측면에 엠보싱되는 직선형태의 세장형의 좁은 오목부(rectilinear, elongate, narrow depressions)들로 형성된다. 홈들이 단지 일측면에만 엠보싱되므로 반쪽 판들의 생산은 간단해진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in each half plate are embossed on one side. The grooves are formed of, for example, rectilinear, elongate, narrow depressions in the form of straight lines that are embossed on one side in thin metal sheet material. The production of the half plates is simplified since the grooves are embossed on only one sid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홈들이 둘레 변부에 의해 길이방향 측면들의 범위가 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둘레 변부는 특히 남땜에서 2개의 반쪽 판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2개의 반쪽 판들 사이의 공동은 이에 의해 둘레에 대해 밀봉된다.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are delimited by the longitudinal sides of the longitudinal sides. The circumferential edge serves to interconnect the two half plates, especially in the soldering iron. The cavity between the two half plates is thereby sealed about the perimeter.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호 지지되는 2개의 반쪽 판들 및 외측으로 엠보싱되는 홈들에 의해 형성된다. 홈들은 반쪽 판 내측에 냉각될 매질의 유동 경로 범위를 한정한다. 냉각될 매질용 입구는 반쪽 판의 일 단부(端部)에 제공되고 상기 매질용 출구는 반쪽 판의 타 단부(端部)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formed by two half plates which are mutually supported and outwardly embossed grooves. The grooves define the flow path range of the medium to be cooled inside the half plate. The inlet for the medium to be cooled is prefer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lf plate and the outlet for the medium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lf plat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의 판이 홈들에 의해 형성된 상승된 구역으로 상호 지지되고 납땜 공정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냉매, 예컨대 물은 상승된 구역들 사이에서 각각의 반쪽 판의 길이방향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통과할 수 있다. 더욱이 반쪽 판들은 또한 상호 납땜되는 컵형태의 상승된 구역으로 관통 구멍들의 변부 구역에 장착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lates are mutually supported by raised areas formed by grooves and interconnected by a soldering process. Refrigerant, such as water, may pass from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each half plate between the raised zones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Furthermore, the half plates are also mounted in the edge region of the through holes with the cup-shaped raised regions which are soldered together.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홈이 결합된 반쪽 판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35-55°의 각도로, 특히 45°의 각도로 연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냉각될 매질이 반쪽 판의 일단부로부터 다탄부로 반쪽 판 내측에 형성된 공동을 통해 유동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홈들의 연속은 또한 냉매가 2개의 반쪽 판에서 길이방향 측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으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at an angle of 35-55 °, in particular at an angle of 45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ooved half plate. This ensures, on the one hand, that the medium to be cooled can flow through the cavity formed inside the half plate from one end of the half plate to the multi-part. On the other hand, the continuation of the groov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so ensures that the coolant can flow from the longitudinal side to the longitudinal opposite side in the two half plates.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호 지지하는 2개의 반쪽 판의 홈들이 상호에 대해 70-110°의 각도로, 특히 90°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많은 방향 변화 및 와류를 갖는 냉각될 매질용 유동 통로를 반쪽 판 내측에 제공한다. 이의 장점은 작동 중에 공동에 형성되는 경계층들이 반복적으로 붕괴되는 것이다. 이는 홈이 없는 매끄러운 배관과 비교하여 급격히 저하된 열 변화(heat transition)를 일으킨다. 따라서 매질이 공동을 통해 유동할 때 냉각될 매질은 많은 방향 변화를 받는다. 이와 비교하여 냉매는 상호 지지하는 2개의 반쪽 판들 사이의 홈들을 통해 실제로, 방해받지 않고 직선으로 유동할 수 있다. 90°의 각도는 2개의 홈들의 연결 지점에서 실제로 원형 납땜 요철(meniscus)을 발생한다. 냉각될 매질의 주 유동방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의 유동은 이에 의해 동일하게 영향을 받는다. 각도는 80 - 100°가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of two mutually supporting half plates are arranged at an angle of 70-11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particular at an angle of 90 °. This provides a flow passage for the medium to be cooled with a large number of directional changes and vortices inside the half plate. The advantage is that the boundary layers formed in the cavity repeatedly collapse during operation. This results in a sharply degraded heat transition compared to smooth grooves without grooves. Thus, when the medium flows through the cavity, the medium to be cooled is subject to many direction changes. In comparison, the refrigerant can flow in a straight line, in fact, without being disturbed through the grooves between the two half plates which support each other. An angle of 90 ° actually produces a circular soldering meniscus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wo grooves. The flow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medium to be cooled is thereby equally affected. The angle is preferably 80-100 degrees.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홈들이 0.8-1.5㎜의 깊이, 특히 1.15㎜의 깊이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 깊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장점이 됨이 입증됐다. 특히 연료 냉각기(fuel cooler)의 경우에, 홈들은 0.5 - 1.5㎜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have a depth of 0.8-1.5 mm, in particular a depth of 1.15 mm. This depth has proved to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fuel coolers, the grooves preferably have a depth of 0.5-1.5 mm.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쪽 판의 홈들이 3-5㎜의 간격으로, 특히 4㎜의 간격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분할 치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장점이 됨이 입증됐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of the half plat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intervals of 3-5 mm, in particular at intervals of 4 mm. This dividing dimension proves to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쪽 판들이 대략 20-50㎜의 폭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 폭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장점이 됨이 입증됐다. 상용 차량에서, 반쪽 판들은 대략 20-120㎜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70-80㎜의 폭, 특히 76㎜의 폭이 특히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 plates have a width of approximately 20-50 mm.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has proven that this width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mercial vehicles, the half plates preferably have a width of approximately 20-120 mm.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a width of 70-80 mm, in particular a width of 76 mm.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유압 직경이 1.5-2.5㎜의 값, 특히 1.8㎜의 값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 값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장점이 됨이 입증됐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aulic diameter has a value of 1.5-2.5 mm, in particular of 1.8 mm. This value proves to be particularly advantageou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냉각될 매질의 주 유동 방향을 따라 2개의 인접한 반쪽 판 사이에 있는 유압 직경이 관통 구멍 배관 단면과 열교환 구역 사이의 비(比)를 구성한다. 이 유압 직경은 면적 비(比) 대(對) 면적 밀도의 비율(比率)의 4배로 정의된다. 이 면적 비는 인접한 반쪽 판 사이의 자유 배관 단면적(free duct cross section) 대(對) 배관의 전체 단부 표면적의 비율로 결정된다. 면적 밀도는 열전달 면적 대(對) 블록 체적(block volume)의 비로부터 결정된다. 유압 직경은 냉각될 매질의 주 유동 방향 전체에서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반쪽 판 사이의 공동(cavity)의 균일한 관통유동(throughflow) 능력은 이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that the hydraulic diameter between two adjacent half plates along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medium to be cooled constitutes the ratio between the through-hole pipe cross section and the heat exchange zone. This hydraulic diameter is defined as four times the ratio of area ratio to area density. This area ratio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free duct cross section to the total end surface area of the pipe between adjacent half plates. Area density is determined from the ratio of heat transfer area to block volume. The hydraulic diameter should preferably be kept as constant as possible throughout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medium to be cooled. Uniform throughflow capability of the cavity between the two half plates is thereby achieved.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의 반쪽 판들이 금속 재질로, 특히 알루미늄 또는 고급 강철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반쪽 판들은 중납땜(hard soldering)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급 강철은 상용 차량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half plates are formed of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aluminum or high grade steel. These half plates are preferably interconnected by hard soldering. High grade steel is preferably used in commercial vehicles.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쪽 판들의 적어도 일측면이 납땜 촉진 재료(soldering aid material)로 코팅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판 열교환기의 생산 공정은 이에 의해 간단해질 수 있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ide of the half plates is coated with a soldering aid material.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thereby be simplified.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쪽 판이 각각의 경우에 유입유동라인(inflow line)과 유출유동 라인(outflow lines)으로서 한 쌍의 관통구멍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냉각될 매질은 판을 형성하는 2개의 반쪽판 또는 편평한 튜브 사이의 공동(空洞)으로 관통구멍을 통해 통과된다. 이 반쪽 판들은 또한 패널로 그리고 반쪽 패널로서 반쪽 판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 plate has in each case a pair of through holes as inflow lines and outflow lines. The medium to be cooled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into a cavity between two half plates or flat tubes forming a plate. These half plates may also be designated as panels and half plates as half panels.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통 구멍의 변부 구역이 상승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관통구멍의 변부 구역이 홈들 또는 파형과 완전히 동일한 크기로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지지되는 상이한 반쪽 판의 2개의 상승된 변부 구역은 냉매가 유동하는 주위에 대해 관통구멍에 연결되는 2개의 반쪽판 사이에 관통구멍과 공동을 밀봉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region of the through hole is rai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region of the through hole is raised to the same size as the grooves or the wave shape. The two raised edge zones of the mutually supported half plates plate seal the through-holes and the cavity between the two half plates which ar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with respect to the flow around the refrigerant.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엠보싱들이 관통구멍의 변부 구역에 제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엠보싱들은 관통구멍의 구역에서 2개의 반쪽 판들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s are provided in the edge region of the through hole. Embossing serves to reinforce the two half plates in the region of the through hol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면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파형 크레스트(wavy crests)와 파형 트라프(wavy troughs)가 근본적으로 2개의 인접한 반쪽 판들 사이에 긴밀한 접촉(punctiform contact)을 제공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is that the wavy crests and wavy troughs, as can be seen in cross section, essentially provide a close contact between two adjacent half plates. .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다수의 반쪽 판들이 내측 및 외측에 있는 인접한 반쪽 판들에 근본적으로 직선으로 유입구역에서 납땜되는 것이 특징이다.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반쪽 판들로 형성된 튜브의 내부 압력 저항은 급격히 상승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in each case a plurality of half plates are soldered in the inlet zone i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to adjacent half plates which are inside and outside. In each case the internal pressure resistance of the tube formed of two half plates rises sharply.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방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엠보싱은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구멍 둘레로 연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의해 2개의 반쪽 판들 사이의 접촉구역은 각각의 경우에 증가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bossing is at least partially continuous around the through hole in a serpentine manner, as seen from above.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two half plates is thereby increased in each cas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반쪽 판들이 냉각될 매질용 전도 장치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연속되는 굽힘 변부(bending edge)에 의해 일체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2개의 반쪽 판들이 이미 굽힘 변부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2개의 판들은 일측면에서 단지 상호 납땜되어야 한다. 냉각될 매질이 관통되는 단면은 이에 의해 증가된다. 더욱이 필요한 개개의 부품들 수는 반으로 감소되는 데, 이는 각각의 전도 장치에 대해 단지 한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is in each case two half plates being integrally interconnected by bending edges which are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conducting device for the medium to be cooled. Is characteristic. Since the two half plates are already integrally connected at the bending edges, the two plates only have to be soldered together on one side. The cross section through which the medium to be cooled is increased thereby. Furthermore, the number of individual parts required is reduced by half because only one part is needed for each conducting devic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도 장치가 굽힘 변부에 의해 함께 접혀지는 2개의 세장 반쪽으로 세분되는 근본적으로 직사각형인 세장 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패널은 간단히 비용절감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엠보싱가공된 스탬핑이 바람직하다.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반쪽 패널들은 결과적으로 일측면 반쪽 패널 위에 다른 반쪽 패널이 놓인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ng device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elongated panel subdivided into two elongated halves which are folded together by the bending edges. The panel is preferably embossed stamping made of a metal material which can be simply reduced in cost. In the folded state, the half panels consequently lay the other half panel on one side half panel.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쪽 패널이 패널 표면에 대해 상승되는 둘레 변부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반쪽 패널은 둘레 변부 내에 엠보싱되고, 엠보싱된 표면의 깊이가 전도 장치의 폭의 반(1/2)인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 panel has a perimeter edge raised relative to the panel surface. The half panel is embossed in the circumferential edge, with the depth of the embossed surface being preferably half the width of the conducting device.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둘레 변부가 굽힘 변부와의 교차지점에서 방해되는 것이 특징이다. 굽힘 변부의 구역에서 반쪽 패널은 굽힘 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이는 함께 접는 작동 중에 굽힘 변부의 구역에서 패널 재료에 바람직하지 않은 손상을 방지한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pheral edge is obstructed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bending edge. The half panels in the region of the bend edge have the same depth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end edge. This prevents undesirable damage to the panel material in the region of the bending edge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적층판 열교환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쪽 패널들이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둘레 변부와 상호 지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반쪽 패널들은 둘레 변부에서 상호 납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 panels are mutually supported with the peripheral edge in the folded state. The half panels are preferably soldered together at the perimeter.
적어도 워터박스(waterbox)를 갖는 차량 냉각기에서, 상기에 특정된 목적은 상기에 기술한 적층판 열교환기가 워터박스에 설치되어 달성된다.In a vehicle cooler having at least a waterbox, the object specified above is achieved by installing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described above in the waterbox.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특징 및 상세한 것은 실시예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기술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청구범위에 그리고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특징들은 각각의 경우에 그들 개별적으로 또는 기타 조합으로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도 있다.Further advantages, features and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which 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case the features mentioned in the claims and in the description may be essential to the invention in each case individually or in other combinations.
도 1은 반쪽 판의 사시도를 보여주고;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alf plate;
도 2는 도 1의 반쪽 판의 일 단부(one end)의 저면도를 보여주고;FIG. 2 shows a bottom view of one end of the half plate of FIG. 1; FIG.
도 3은 도 2에서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주고;3 shows a cross section along line III-III in FIG. 2;
도 4는 2개의 반쪽 판의 사시도를 보여주고;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wo half plates;
도 5는 도 4의 확대 상세도를 보여주고;5 shows an enlarged detail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판 열교환기를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7개의 판들의 사시도를 보여주고;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seven plates assembled to form a lamin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적층판 열교환기의 밀봉판(closing-off plate)의 확대 사시도를 보여주고;FIG. 7 show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losing-off plate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6;
도 8은 도 6에 예시된 적층판 열교환기의 일 단부를 통과하는 단면도를 보여주고;8 shows a cross section through one end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6;
도 9는 도 6에 예시된 적층판 열교환기의 일단부의 측면도를 보여주고;9 shows a side view of one end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6;
도 10은 설치된 적층판 열교환기를 갖는 워터박스의 사시도를 보여주고;10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box with a laminated plate heat exchanger installed;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설치된 워터박스를 갖는 냉각기를 보여주고;FIG. 11 shows a chiller with an installed waterbox as illustrated in FIG. 10;
도 12는 배관 부분에서 납땜 요철의 예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solder unevenness in the pipe portion;
도 13은 실제로 원형 납땜 요철의 평면도를 보여주고;13 actually shows a plan view of circular solder unevenness;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판 열교환기의 평면도를 보여주고;14 shows a top view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적층판 열교환기의 측면도를 보여주고;FIG. 15 shows a side view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of FIG. 14;
도 16은 도 14의 ⅩⅥ-ⅩⅥ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주고;FIG. 16 show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VI-VI of FIG. 14; FIG.
도 17은 도 14의 ⅩⅦ-ⅩⅦ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주고;17 shows a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4;
도 18은 도 14의 ⅩⅧ-ⅩⅧ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주고;18 shows a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4;
도 19는 도 14의 ⅩⅨ의 상세 확대도를 보여주고;19 show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VII of FIG. 14;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 장치의 접혀진 상태의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20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olded state of the condu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의 전도장치의 반으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ductor of FIG. 20 is folded in half;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의 폐 전도장치를 갖는 적층판 열교환기의 평면도를 보여주고;FIG. 22 shows a top view of a laminate heat exchanger having a closed conductor in the closed state as illustrated in FIGS. 20 and 21;
도 23은 도 22의 적층판 열교환기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그리고FIG. 23 shows a side view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of FIG. 22, and
도 24는 도 22의 ⅩⅩⅣ-ⅩⅩⅣ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IV of FIG. 22.
도 1은 반쪽 판(plate half)(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반쪽 판(1)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직선 길이방향 측면(2, 3)들을 갖는 알루미늄 박판으로 구성되는 세장(細長) 패널형태를 갖는다. 반쪽 판(1)은 판의 단부(4, 5)에서 반원형으로 라운드가공된다. 관통구멍(8, 9) 들은 단부(4, 5)들에 제공된다. 관통구멍(8, 9)들의 변부 구역(10, 11)들은 오목한 방식으로 엠보싱되고, 그래서 변부 구역(10, 11)들은 반쪽 판(1)의 하측에 상승된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다수의 홈(12)들은 관통구멍(8, 9)들 사이의 반쪽 판(1)에 엠보싱 된다. 홈(12)들은 반쪽 판(1)의 길이방향 일측면(2)으로부터 길이방향 반대측면(3)으로 직선으로 연속된다. 홈들은 반쪽 판(1)의 하측에 상승되는 세장 오목부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홈들은 또한 비직선으로 예컨대 파형 또는 지그재그형 방식으로 연속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도 2는 도 1의 반쪽 판(1)의 단부(4)의 저면도를 보여준다. 변부 구역(10) 및 10개의 홈(21- 30)들은 도면 평면 밖으로 상승된다. 홈(21-30)들의 단부는 길이방향 측면(2, 3)들을 향해 라운드가공된다. 반쪽 판(1)의 길이방향 축은 31로 표시된다. 홈(21-30)들은 길이방향 축(31)에 대해 45°의 각도(α)로 배치된다.2 shows a bottom view of the
도 3에서 단면도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쪽 판(1)은 파형 형태를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파형 단면의 형태는 반쪽 판(1)의 일 측면에 엠보싱되는 홈들에 의해 형성된다.As can be seen in cross-section 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half plate (1) has a corrugated form. The shape of the corrugated cross section is formed by grooves embossed on one side of the
도 4는 2개의 반쪽 판(1, 42)들을 사시도로 보여준다. 홈들이 상승되는 반쪽 판(1, 42)의 측면들은 상호 멀어지게 상승된다. 4 shows two
도 5에서, 반쪽 판(42)은 반쪽 판(1)과 동일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반쪽 판(42)은 반쪽 판(1)에 대해 180°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관통구멍(48)을 갖고 도면의 평면 밖으로 상승되는 변부 구역(50)을 갖는 일 단부는 반쪽 판(1)의 단부(4)의 관통구멍(8) 상부에 배치되고, 관통구멍(8)의 컵형태의 변부 구역(10)은 도면 평면으로 상승된다. 도면 평면에서 상승되는 홈(52)들은 반쪽 판(42)에 형성된다. 홈(52)들은 도면 평면으로 상승되는 홈(12)들에 대해 90°의 각도(β)로 배치된다. 2개의 반쪽 판(1, 42)들은 홈들의 접촉 지점에서 그리고 변부 구역(2, 3)들에서 상호 납땜 되어 판(plate) 또는 편평한 튜브(flat tube)를 형성한다.In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half plate 42 is exactly the same shape as the
도 6에서, 다수의 판(60)들은 상호 납땜 된다. 다수의 판(60)들의 관통구멍은 밀봉판(61, 62)에 의해 하측이 밀봉된다. 다수의 판(60)의 상부에 연결부품(67, 68)이 단부에서 관통구멍으로 놓여 진다. 냉각될 매질은 연결 부품(67, 68)들의 하나를 통해서 다수의 판(6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될 매질은 타측 연결부품(67, 68) 밖으로 다수의 판(60)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In FIG. 6, the plurality of
도 7은 밀봉 판(61)을 확대 사시도로 보여준다. 밀봉판(61)은 원형 중심 돌출부(circular central elevation)(65)를 갖는 원형 판(64)의 형태를 갖는다. 원형 중심 돌출부(65)의 외경은 각각의 반쪽 판의 결합 관통구멍의 내경에 적합해진다.7 shows the sealing
도 8 및 도 9에서, 도 6에 사시도로 예시된 적층판 열교환기가 한 판 위에 다른 판이 적층되는 7개 판(71-77)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 응하는 반쪽 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반대측면 사이에 있는 오목 구역을 통해 7개 판(71-77) 사이에 직선으로 연속하는 7개 판(71-77) 내측에, 냉각될 매질용의 근본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 다수의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8 and 9, it can be seen that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perspective view in FIG. 6 includes seven plates 71-77 in which another plate is stacked on one plate. In each case the medium to be cooled inside the seven consecutive plates 71-77 i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seven plates 71-77 through a concave sect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corresponding half plate. Multiple flow paths are formed that are essentially zigzag in shape.
도 10은 도 6에 예시된 적층판 열교환기가 설치된 워터박스(78)를 보여준다. 다수의 판(60)들은 워터박스(78) 내에 배치된다. 연결 부품(67, 68)들은 워터박스(78) 외부로 돌출된다.FIG. 10 shows a
도 11에서, 도 10의 워터박스(78)는 냉각 네트워크(79)의 일측면으로 설치된다. 또 다른 워터박스(80)는 냉각 네트워크(79)의 타측에 설치된다. 2개의 워터박스(78, 80) 및 냉각 네트워크(79)는 차량(도시되지 않음)용 냉매 냉각기(81)를 함께 형성한다.In FIG. 11, the
반쪽 판(1, 42)의 형상(profiling)은 판들이 상호 서로 적층될 때 파형 형상wave profiles)이 상호 긴밀한 접촉이 되게 설계된다. 이는 관통 유동되는 냉각 매질용에 대해 방향 변화를 반복적으로 판들 내측에 일으킨다. 2개의 반쪽 판이 납땜되는 다수의 접촉 지점은 양호한 압력 안정성을 보장한다. 형상의 다리 각도는 냉각될 매질의 주 유동 방향에 대해 45°이다. 유압 직경은 1.8㎜이 된다. 엠보싱 각은 주 유동 방향에 대해 20-60°의 범위이다. 유압 직경은 1.5-2.5㎜사이에서 변화될 수도 있다.Profiling of the
입구 및 출구 구역에서 큰 면적의 엠보싱은 추가적인 부품 사용 없이 누설방지(leaktight) 판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반쪽 판은 수평 납땜 표면들을 갖고 그래서 냉각기의 외측에 냉매의 충분한 통로를 보장한다. 반쪽 판은 판의 둘레 변부에 약간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땜 되지 않은 상태의 판의 수평면(planeness)이 이에 의해 향상된다. 변부 각도는 5-20°이고 10°가 바람직하다. 반쪽 판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휠납땜(wheel-soldering) 공정에 의해 다른 반쪽 판에 연결된다.Large area embossing in the inlet and outlet zones enables leaktight plate connections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components. The half plate has horizontal soldering surfaces and thus ensures sufficient passage of refrigerant outside of the cool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alf plate has a slight angle at the peripheral edge of the plate. The planeness of the plate in the unsoldered state is thereby improved. The edge angle is 5-20 degrees, preferably 10 degrees. The half plate consists of aluminum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half plate by a wheel-soldering process.
도 12에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반쪽 판은 납땜 요철(101, 102; 103, 104)에 의해 다른 반쪽 판에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에서, 납땜 요철(101-104)은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로 원형 설계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In FIG. 12, it can be seen that in each case the two half plates are connected to the other half plate by soldering concave-convex 101, 102; 103, 104. In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solder bumps 101-104 are actually of circular design, as can be seen from the plan view.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판 열교환기의 반쪽 판(1)을 또 다른 실시예로 보여준다.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 부품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반복을 방지하도록 도 1의 상기 설명이 이루어진다.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점만이 이하 설명된다.Figure 14 shows a further embodiment of a
도 14에 예시된 반쪽 판(1)에서, 관통 구멍(8, 9)들의 변부 구역(110, 111)은 엠보싱이 제공된다. 반쪽 판(1)의 단부(5)에서 변부 구역(111)은 연결 비드에 의해 연결되는 구불구불한 엠보싱(115)을 갖는다. 반쪽 판(1)의 단부(4)에서 변부 구역(110)은 연결 비드(120)에 의해 다른 반쪽 판에 연결되는 구불구불한 엠보싱(118)을 갖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반쪽 판(1)은 또한 전도 장치로 나타낸 판 또는 편평한 튜브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경우에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홈(12)의 접촉 지점에서 그리고 변부 구역(2, 3)에서 그리고 또한 엠보싱(118, 119)에서 다른 반쪽 판에 납땜된다. In the
도 15는 냉각기 블록(cooler block)의 측면을 보여주고, 이 냉각기 블록은 한 튜브 위에 다른 튜브가 적층된 다수의 편평한 튜브를 포함한다.FIG. 15 shows the side of a cooler block,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flat tubes with one tube stacked on top of another.
도 16은 도 14의 ⅩⅥ-ⅩⅥ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단면도에서, 냉각기 블록의 다양한 편평한 튜브들은 구불구불한 엠보싱(115, 116)의 구역에서 그리고 엠보싱(118, 119)에서 적층형 구조로 상호 직선으로 연결된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14. In cross section, the various flat tubes of the cooler block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each other in the region of the
도 17은 도 14의 ⅩⅦ-ⅩⅦ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 단면도에서 근본적으로 직선 접촉 표면들의 수는 구불구불한 형태의 엠보싱(116)의 결과로서 증가된다. 구불구불한 형태의 엠보싱(116)들은 또한 강화 비드(reinforcing beads)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판의 단부에서 엠보싱들이 적층판 열교환기의 내측 및 외측에서 상호 어떻게 납땜 되는지 알 수 있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4. In this cross section the number of essentially straight contact surfaces i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embossing 116 of the serpentine shape. The serpentine form of
도 18은 도 14의 ⅩⅧ-ⅩⅧ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판 단부(4)에서의 엠보싱(119)들이 적층판 열교환기의 내측 및 외측에서 상호 어떻게 납땜되는지 알 수 있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4. Here it can be seen how the
도 19는 도 14의 "ⅩⅣ"부의 상세한 확대도를 보여준다. 엠보싱(118, 119)들의 형태는 한 판 위에 다른 판이 적층되는 판들이 내측 및 외측에 상호 직선으로 납땜되게 설계된다. 2개의 반쪽 판으로부터 형성된 튜브의 내부 압력 저항은 이에 의해 급격히 상승된다, 판 연결은 도 19의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예시된다.FIG. 19 show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part “XIV” of FIG. 14. The form of the
도 20은 전도 장치(140)을 보여주고, 이 전도 장치는 또한 접혀진 개방 상태(folded-open state)에서 편평한 튜브 또는 짧은 튜브로 표시된다. 편평한 튜브(140)는 근본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패널(142)에 의해 형성된다. 이 (직사각형) 패널(142)은 굽힘 변부(143)를 갖는 박판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스탬핑(stamping)이고, 이에 의해 패널(142)은 또한 반쪽 판으로 표시되는 동일한 크기의 2개의 반쪽 판(145, 146)으로 길이방향으로 세분된다. 2개의 반쪽 판(145, 146)은 일체로 형상된 것 이외에 상기 실시예의 반쪽 판들과 일치한다. (직사각형) 패널(142)은 둘레 변부(148)에 의해 외측 범위가 정해지고 둘레 변부는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2개의 반쪽 판(145, 146)을 상호 납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쪽 패널(145, 146)들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둘레 변부(148) 내에 엠보싱된 홈이 제공된다.20 shows the conducting
도 21은 조금 닫힌(partly sealed)상태의 튜브(140)를 보여준다.21 shows the
도 22는 튜브(140)의 닫힌 상태를 평면도로 보여준다. 튜브(140)는 상호 적층된 다수의 편평한 튜브를 갖는 적층판 열교환기의 최상측의 편평한 튜브이다.22 shows the closed state of the
도 23은 도 22의 적층판 열교환기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적층판 열교환기는 또한 편평한 튜브(140) 이외에 6개의 또 다른 편평한 튜브(150-155)를 포함하고 이 6개의 편평한 튜브들은 적층형 구조로 상호 납땜 된다.FIG. 23 shows a side view of the laminate heat exchanger of FIG. 22. The laminate heat exchanger also includes six other flat tubes 150-155 in addition to the
도 24는 도 22의 ⅩⅩⅣ-ⅩⅩⅣ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 단면도에서 적층판 열교환기는 접혀진 편평한 튜브(140, 150-155)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일체로 생산되는 편평한 튜브들에 의해, 적층판 열교환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수는 반으로 감소 된다. 접혀진 편평한 튜브들은 밀봉 납땜 이음매(seam)의 길이가 실제로 반으로 감소 되는 장점을 갖는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IV of FIG. 22. It can be seen from the cross section that the laminate heat exchanger is formed of folded
Claims (2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4012329 | 2004-03-11 | ||
DE102004012329.2 | 2004-03-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30207A true KR20060130207A (en) | 2006-12-18 |
Family
ID=3496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8615A Ceased KR20060130207A (en) | 2004-03-11 | 2005-03-04 | Laminate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725824B1 (en) |
JP (1) | JP4944009B2 (en) |
KR (1) | KR20060130207A (en) |
CN (1) | CN100516760C (en) |
WO (1) | WO2005088223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181B1 (en) * | 2009-07-27 | 2010-07-05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type heat exchanger |
WO2011013950A3 (en) * | 2009-07-27 | 2011-06-30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heat exchanger |
KR101148925B1 (en) * | 2009-07-27 | 2012-05-23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type heat exchan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31472C2 (en) * | 2005-12-22 | 2009-04-14 | Alfa Laval Corp Ab | Heat exchanger with heat transfer plate with even load distribution at contact points at port areas |
KR101078554B1 (en) * | 2009-02-03 | 2011-11-01 | 서진욱 | The disk type heat exchanger |
KR100950689B1 (en) * | 2009-04-16 | 2010-03-31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type heat exchanger |
DE102010063074B3 (en) | 2010-12-14 | 2012-04-12 | INSTITUT FüR MIKROTECHNIK MAINZ GMBH | Microfluidic component, reactor of several such component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
JP2012141096A (en) * | 2010-12-28 | 2012-07-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hot-water heater, and hot-water heater manufactured thereby |
CN102647884B (en) * | 2011-02-17 | 2015-03-18 |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 Radiator and heat radiation water channel system structure thereof |
KR101405186B1 (en) * | 2012-10-26 | 2014-06-10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for vehicle |
DE112013005225T5 (en) * | 2012-10-31 | 2015-08-06 | Dana Canada Corporation | Heat exchangers of stacked plates with only one plate design |
US9057564B2 (en) * | 2012-12-17 | 2015-06-16 |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 Cooling tower with indirect heat exchanger |
JP6192564B2 (en) * | 2014-02-18 | 2017-09-06 | 日新製鋼株式会社 | Plat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3791759B (en) | 2014-03-07 | 2016-03-30 |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plate and there is the plate type heat exchanger of this heat exchanger plate |
CN112781426B (en) * | 2019-11-08 | 2023-03-28 | 丹佛斯有限公司 | Heat exchange plate for plate heat exchanger and plate heat exchang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0007091A1 (en) * | 1988-12-12 | 1990-06-28 | Vulcan Australia Limited | Heat exchanger |
GB8910966D0 (en) * | 1989-05-12 | 1989-06-28 | Du Pont Canada | Panel heat exchangers formed from thermoplastic polymers |
CA2150437C (en) * | 1995-05-29 | 1999-06-08 | Alex S. Cheong |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undulating passageway |
SE9601438D0 (en) * | 1996-04-16 | 1996-04-16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 plate heat exchangers |
FR2795165B1 (en) * | 1999-06-21 | 2001-09-07 | Valeo Thermique Moteur Sa | PLATE HEAT EXCHANGER, PARTICULARLY OIL COOLER FOR MOTOR VEHICLE |
US20030131979A1 (en) * | 2001-12-19 | 2003-07-17 | Kim Hyeong-Ki | Oil cooler |
CA2389119A1 (en) * | 2002-06-04 | 2003-12-04 | Christopher R. Shore | Lateral plate finned heat exchanger |
JP2004205057A (en) * | 2002-12-20 | 2004-07-22 | Toyo Radiator Co Ltd | Plate type heat exchanger |
-
2005
- 2005-03-04 JP JP2007502249A patent/JP49440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3-04 WO PCT/EP2005/002317 patent/WO200508822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3-04 CN CNB2005800078039A patent/CN100516760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3-04 KR KR1020067018615A patent/KR20060130207A/en not_active Ceased
- 2005-03-04 EP EP05715746.3A patent/EP172582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181B1 (en) * | 2009-07-27 | 2010-07-05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type heat exchanger |
WO2011013950A3 (en) * | 2009-07-27 | 2011-06-30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heat exchanger |
KR101148925B1 (en) * | 2009-07-27 | 2012-05-23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Plate type heat exchanger |
US9250019B2 (en) | 2009-07-27 | 2016-02-02 | Korea Delphi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 Plate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725824A1 (en) | 2006-11-29 |
CN1930440A (en) | 2007-03-14 |
WO2005088223A1 (en) | 2005-09-22 |
EP1725824B1 (en) | 2015-12-02 |
JP4944009B2 (en) | 2012-05-30 |
WO2005088223A8 (en) | 2007-02-22 |
CN100516760C (en) | 2009-07-22 |
JP2007527984A (en) | 2007-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78076B2 (en) | Heat exchanger with manifold strengthening protrusion | |
CN1833153B (en) |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KR20060130207A (en) | Laminate heat exchanger | |
CA1313183C (en) | Embossed plate heat exchanger | |
CN102016480B (en) | A plate heat exchanger | |
JP2007518958A (en) | Heat exchangers, especially oil / coolant coolers | |
US20110108258A1 (en) | Plate-Type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 |
JP2005532522A (en) | Baffle type surface cooling heat exchanger | |
US10024604B2 (en) |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 |
CN100561102C (en) | Plate heat exchanger | |
EP0650023B1 (en) | Multilayered heat exchanger | |
JP6122266B2 (en) | Heat exchanger | |
KR960005784B1 (en) | In tank oil cooler | |
US20030131979A1 (en) | Oil cooler | |
JP2011007410A (en) | Oil cooler | |
US20070199687A1 (en) | Stacked-Plate Heat Exchanger | |
JP2011516816A (en) | Plate heat exchanger | |
JP2003185374A (en) | Tube for heat exchanger with optimized plate | |
JP4857074B2 (en) | Plate type heat exchanger | |
JP7594395B2 (en) | Heat exchanger | |
WO2007009220A1 (en) | Heat exchangers with corrugated heat exchange elements of improved strength | |
CN117870416A (en) | Honeycomb type heat exchange core, honeycomb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101006315A (en) | Radiator | |
MXPA06001032A (en) |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9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