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991A - 멀티미디어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로어 제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로어 제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6991A KR20060126991A KR1020067011379A KR20067011379A KR20060126991A KR 20060126991 A KR20060126991 A KR 20060126991A KR 1020067011379 A KR1020067011379 A KR 1020067011379A KR 20067011379 A KR20067011379 A KR 20067011379A KR 20060126991 A KR20060126991 A KR 200601269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floor
- user device
- type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3—Loop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콘텐트 예를 들어, 음성 콘텐트 및 비디오 콘텐트의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는 푸시-투-토크(Push-to-Talk)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단지 하나의 사용자 그룹이 한번에 이야기할 수 있고, 플로어 제어 절차가 그룹의 사용자에 의해 플로어로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로어 제어 절차의 개별적인 구현이 단일 세션의 구조 내에서 있어 다른 유형의 콘테츠의 전송을 위해 프로어로의 액세스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제1 구현의 플로어 제어 절차가 음성 콘텐트의 전송을 위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하고, 제2 독립적인 구현의 플로어 제어 절차가 영상 콘텐트의 전송을 위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한다.
플로어 제어, 비디오 콘텐트,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 서버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 장치, 통신 네트워크 및 한 그룹의 2개 사용자 장치들 사이에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그룹의 한 개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적어도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 그룹의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분야 특히, 이동 전화 통신 분야에 흥미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푸시-투-토크 온 셀룰러(Push-to-Talk on Cellular; PoC)로 알려져 왔다. PoC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노키아 (http://www.nokia.com/poc/PoC_WP_A4.pdf)가 발행한 보고서 "푸시-투-토크 오버 셀룰러-실시간 상시-온 음성 서비스(Push-to-Talk over Cellular-Real time always-on voice service)"에 기술되어 있다.
노키아의 논문에 설명되듯이, PoC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하프-듀플렉스(half-duplex) '상시-온' 일대일/일대 다수 'IP를 통한 음성(voice over IP)' 통신 서비스이다. PoC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는 이야기 그룹을 만들 수 있다; 그룹 내에, 단지 한 사용자가 한번에 말할 수 있다; 키를 눌러서 발언권을 요청하고 그것은 처음에 나오면 처음에 처리되는 것으로 인정된다.
보통, 말할 권리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플로어 제어(floor control)"로 불리고, PoC 서비스가 구현되는 사용자 장치 사이에 설정된 연결은 "세션(session)"으로 불린다.
노키아의 보고서에 언급되듯이, 문자 대화가 실시간 음성 통신에 부가될 수있다. 음성과 달리 문자 대화는 어떤 플로어 제어 메커니즘을 요하지 않는다. 모든 사용자 장치들은 어느 때라도 문자를 보낼 수 있다. 수신된 문자는 수신된 순서대로 스크린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거기에 발언권 충돌이 없다.
여러 유형의 콘텐트가 전송되는 특정한 경우에 발언권 제어 메커니즘을 요하는 그러한 서비스의 연장을 제기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특허 청구항 1 내지 3항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청구항 4 내지 6항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서버는 청구항 7 내지 9항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10항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유형의 콘텐트가 전송될 때, 상기 각각의 두 개 유형의 콘텐트에 대한 발언권 액세스를 제어하도록 개별 플로어 제어 절차가 구현된다. 그 결과, 그룹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에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그룹의 제1 사용자 장치가 주어진 시간에 발언권을 가질 수 있고,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에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동일 그룹의 제2 사용자 장치가 동시에 발언권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장치는 두 개의 상이한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세션에서 다른 사용자 장치에 의해 다른 유형의 콘텐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발명은 사용자장치 A에서 그룹으로 비디오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그룹의 다른 어떤 사용자장치에 의해 그룹(사용자 A를 포함하여)으로의 동시에 코멘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전송된 비디오가 사용자 장치A에 연계된 카메라로 찍은 실황 비디오 일 때, 사용자 B는 카메라 지침(좌/우회전하시오; 그쪽으로 줌인하겠습니까?)에 관련된 음성 코멘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로어 제어 메커니즘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사용자 장치 사이에 구현된 요청/인가 프로토콜을 토대로 한다.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이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블럭도.
도 5는 여러 유형의 콘텐트 전송에 대한 여러 독립적인 구현의 플로어 제어 절차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다수의 사용자 장치 10i(i는 정수), 통신 네트워크(12) 및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1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이동전화기이고, 네트워크(12)는 무선 네트워크로 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 또는 UMTS 네트워크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한 그룹의 사용자 장치들 10i(i= 1...N, N>1) 사이의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다음의 전송을 한다.
- 사용자 장치 10q1에서 그룹 10i(i= 1..N; i≠ q1)의 다른 사용자 장치 까지의 제1 유형의 콘텐트(예를 들어, 음성 콘텐트), 및
- 사용자 장치 10q2에서 그룹 10i( i= 1...N; i≠ q2)의 다른 사용자 장치 까지의 제2 유형의 콘텐트(예를 들어, 스틸 또는 이동 영상 콘텐트).
전송 프로토콜은 IP상의 UDP상의 RTP이고, 이것은 콘텐트(이전에 인코딩된)가 RTP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로 전송됨을 의미하고, RTP 패킷은 IP 패킷의 페이로드로 차례로 전송되는 UDP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로 전송된다(RTP는 IETF RFC 1889에 정의되고; UDP는 IETF RFC 768에 정의된다).
도 1에서, 제1 및 제2 유형의 콘텐트가 각각 IP 패킷 P1과 P2로 전송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애플리케이션 서버(14)는 다음을 포함한다:
- 네트워크(12)상에 IP 패킷을 송/수신하는 송신/수신 수단(20)과;
- 프로세서(22)와, 프로세서(22)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25)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24)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26)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 21과;
-IP 어드레스와 그룹 멤버쉽 뿐 아니라 서행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 권리,프로파일 등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의 데이터베이스(30).
여기서 나타나지 않은 제1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3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4)와 통신하도록 설계된 다른 장치상에서 호스팅된다.
도 3에 나타난 제 2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복사기(40)가 이용되고 이것은 플로어를 갖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IP 패킷들을 수신하여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를 향해 RTP 페이로드들을 복사한다. 복사기(40)는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4)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 호스팅될 수 있다.
도 4에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 10i는 다음을 포함한다:
- 스크린(50), 키보드(52), 마이크로 폰(54), 확성기(56), 카메라(57) 및 전원(58)과;
-네트워크(12) 상에 IP 패킷을 송/수신하는 송/수신회로(60)과;
- 프로세서(72)와, 프로세서(72)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애플리케이션 을 구현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75)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74)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76)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유닛(70).
도 4의 사용자 장치는 제1 및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에 대한 플로어를 요청하기 위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지정 키 K1과 K2를 갖는다. 도 4에서, 키 K1과 K2는 하드 키이다. 여기 안 나타난 다른 실시예에서, 지정 키 K1과 K2는 소프트 키다.
특히, 프로그램(25 및 75)는 세션을 관리하는 명령과 각 세션에 대한 플로어 제어 절차를 구현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IETF-정의된 세션 시작 프로토콜(SIP)을 이용하여 세션이 설정되고 관리된다. 특히, SIP 프로토콜은 그룹 생성과 부착 제어를 허용하여 각각의 유형의 콘텐트에 대한 세션 동안에 사용될 코덱(codec)을 협상하고, 세션 동안에 RTP 패킷의 이동에 사용될 IP 어드레스와 UDP 포트를 결정한다.
SIP 프로토콜의 이용은 필수가 아니다; SIP 대신에 다른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플로어 제어는 세션 동안에 한번에 사용자 장치로 플로어를 할당하는 데 사용되는 조정과정이다. 음성 콘텐트에 대한 그러한 플로어 조정 과정의 예는 기술 명세서 "푸시-투-토크 오버 셀룰러(PoC) 사용자 플레인; 이동 프로토콜 PoC Release 1.0" 에릭슨, 모토로라, 노키아 및 지멘스에 의한 2003년 8월판에 기술되어있다.(http://www.ericson.co/multiservicenetworks/distr/PoC_specifications.ZIP)
상기 기술 명세서에 기술된 플로어 제어 절차는 다음의 플로어 제어 프로토콜을 구현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14)와 사용자 장치 10i 사이에 플로어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포함한다:
- 세션 초기에 플로어 요청/인가;
- 세션 동안에 플로어 요청/인가;
- 플로어 해제(Floor Release);
- 플로어 취소(Floor Revoke).
상기 기술 명세서에 정의된 플로어 제어 메시지는:
- 플로어 유휴(Floor Idle): 사용자 요청시에 플로어가 가용하도록 사용자 장치가 플로어를 갖지 않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통지;
- 플로어 해제: 플로어를 해제한다는 것을 사용자장치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통지;
- 플로어 요청: 플로어에 액세스하도록 사용자장치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요청;
- 플로어 인가: 플로어를 인가했다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 장치에 통지;
- 플로어 취득: 플로어를 인가했던 사용자 장치를 제외하고, 플로어가 다른 사용자 장치에 인가된 것을 모든 사용자 장치에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통지;
- 플로어 거절: 플로어를 거절했다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자 장치 에 통지;
- 플로어 취소: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의해 과도하게 오래 사용하지 않도록)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플로어를 갖는 사용자 장치에 플로어가 취소되었다는 통지.
플로어 제어 메시지는 RTCP APP 페이로드에서 UDP를 통해 이동된다(RTCP는 RTP 제어 프로토콜을 나타냄; 그것은 IETF RFC1889에 정의된다; APP 패킷들은 애플리케이션-정의된 RTCP 패킷들이다).
이러한 플로어 제어 프로토콜과 플로어 제어 메시지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상기 기술 명세서에서 볼 수 있다.
상기 기술 명세서에 정의된 플로어 제어 절차의 이용은 필수가 아니다; 대신에 다른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러한 플로어 제어 절차의 개별 구현은 다른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에 대한 플로어로의 액세스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첫째로 구현되는 플로어 제어 절차가 음성의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하고, 둘째로 구현되는 동일한 플로어 제어 절차가 비디오 콘텐트의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한다.
본 발명으로 여러 개의 플로어 제어 절차의 구현이 개별적으로 단일 SIP 세션의 구조 내에 이용되어 다른 유형의 콘텐트에 대한 플로어로의 액세스를 관리한다. 이것은 세션이 단지 한번 설정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션 설정 동안에:
- 그룹이 구성되고(멤버가 세션을 시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초청이 선택된 멤버에 전송되고; 선택된 멤버가 초청을 수용하거나 수용하지 않고; 초청을 수용하는 멤버가 그룹에 가해진다),
- 세션 동안에 전송되는 각 유형의 콘텐트에 대한 구조가 정의된다(예를 들어, 오디오 코덱뿐만 아니라 비디오 포맷과 비디오 코덱이 정의된다).
도 5는 두 개 유형의 콘텐트 전송에 대한 플로어 제어 절차의 두 개의 독립적인 구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단계 100에서, 사용자 장치 10i는 SIP 세션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세션이 사용자 장치 10i의 메뉴를 통해 시작된다. 단계 110에서, 그룹의 사용자 장치 10k의 키 K1가 눌려져서 제1 유형의 콘텐트 C1를 보낸다. 단계 130에서, 제1 구현 FC_1의 플로어 제어 절차가 시작되어, 애플리케이션 서버(14)에서 사용자 장치 10k로 UDP/RTCP/APP/플로어_인가 메시지를 보내고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까지 UDP/RTCP/APP/플로어_취득 메시지를 보낸다. 플로어_인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장치 10k는 유형 C1의 콘텐트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140에서, 플로어 제어 절차 FC_1가 상기처럼 실행되어, 유형 C1의 콘텐트 전송을 위한 모든 사용자 장치에 의해 플로어로의 액세스를 관리한다.
단계 150에서, 동일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장치 10j의 키 K2가 눌려서 제2 유형의 콘텐트 C2를 전송한다(사용자 장치 10j는 사용자 장치 10i를 포함하는 그룹의 어느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단계 160에서, 제2 구현 FC_2의 플로어 제어 절 차가 시작되어 애플리케이션 서버(14)에서 사용자 장치 10j까지 UDP/RTCP/APP/플로어_인가 메시지를 보내고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까지 UDP/RTCP/APP/플로어_취득 메시지를 보낸다. 플로어_인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 장치 10j는 유형 C2의 콘텐트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170에서, 플로어 제어 절차 FC_2가 상기처럼 실행되어, 유형 C2의 콘텐트 전송을 위한 모든 사용자 장치에 의해 플로어로의 액세스를 관리한다.
상기 시스템에 대해, 사용자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방법, 수정 또는 개선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기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제공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플로어 제어 절차의 개별 구현의 수는 두 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음성과 동영상에 더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허용하고, 플로어 제어 절차의 제3 구현이 구현되어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할 수 있다. 플로어 제어 절차의 개별 구현의 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될 다른 유형의 콘텐트의 수에 좌우된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이동과 세션 시작 프로토콜(UDP, RTP, RTCP, SIP)의 이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양자택일의 다른 프로토콜이 이용되기도 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플로어 제어 프로토콜과 메시지는 기술 명세서 "푸시-투-토크 오버 셀룰러(PoC) 사용자 플레인; 이동 프로토콜 PoC Release 1.0" 에서 제기된 것이다. 다른 메시지와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인 메시지 가 한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도 2와 도 3을 참고로 기술된 것 외의 요소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문과 특허 청구범위에서 동사 "포함하다(comprise)"의 이용과 그의 활용은 표현된 것 외의 수단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하나의 요소를 나타내는 단수표현은 복수의 그러한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0)
-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 통신 네트워크 및 한 그룹의 적어도 2개 사용자 장치들 사이에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적어도 제1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 및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 및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상기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들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각각 사용자 플로어 제어 수단과 서버 플로어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주어진 시간에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상기 플로어(floor)를 가질 수 있고,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동시에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는, 통신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플로어 제어 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로부터 플로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 플로어 제어 수단은 요청/인가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로부터 플로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는 음성 콘텐트이고,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는 영상 콘텐트인, 통신 시스템.
-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 통신 네트워크 및 한 그룹의 적어도 2개 사용자 장치들 사이에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적어도 제1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 및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와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상기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협조하도록 의도된 사용자 플로어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주어진 시간에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고,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동시에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는, 사용자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플로어 제어 수단은 요청/인가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로부터 플로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하 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캡처링하는 카메라, 상기 동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플로어를 요청하는 제1 키, 및 음성을 전송하도록 상기 플로어를 요청하는 제2 키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 복수의 사용자 장치, 통신 네트워크 및 한 그룹의 적어도 2개 사용자 장치들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있어서,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적어도 제1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 및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을 허용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와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상기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장치들과 협조하도록 의도된 서버 플로어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주어진 시간에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고,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동시에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플로어 제어 수단은 요청/인가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치들로/로부터 플로어 제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는 음성 콘텐트이고,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는 영상 콘텐트인, 애플리케이션 서버.
- 한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제1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 및 상기 그룹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장치들로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전송을 허용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장치들에 의해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의 상기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하는 플로어 제어 절차의 제1 구현 및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의 상기 전송에 대한 플로어 액세스를 관리하는 플로어 제어 절차의 제2 구현을 포함하여,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상기 제1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주어진 시간에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고,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장치만이 상기 제2 유형의 콘텐트를 전송하도록 동시에 상기 플로어를 가질 수 있는, 콘텐트 전송 허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3300261.9 | 2003-12-11 | ||
EP03300261 | 2003-12-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6991A true KR20060126991A (ko) | 2006-12-11 |
Family
ID=3470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1379A KR20060126991A (ko) | 2003-12-11 | 2004-12-03 | 멀티미디어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로어 제어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285532A1 (ko) |
EP (1) | EP1695512A1 (ko) |
JP (1) | JP2007514228A (ko) |
KR (1) | KR20060126991A (ko) |
CN (1) | CN1894925B (ko) |
BR (1) | BRPI0417432A (ko) |
MX (1) | MXPA06006465A (ko) |
TW (1) | TW200529617A (ko) |
WO (1) | WO20050625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500483D0 (en) * | 2005-01-11 | 2005-02-16 | Nokia Corp | Multi-party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
DE102005037569B4 (de) * | 2005-08-09 | 2011-03-03 | Infineon Technologies Ag | Verfahren zum Vergeben eines Kommunikationsrechts, 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Server und Kommunikationskonferenz-Sitzung-Server-Anordnung |
DE102005042141A1 (de) | 2005-09-05 | 2007-03-15 | Infineon Technologies Ag | Konferenz-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nferenz-Kommunikationssystems, Notifizier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Notifizier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
KR101066297B1 (ko) * | 2005-09-30 | 2011-09-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시 다중 PoC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CN100452896C (zh) * | 2005-10-10 | 2009-01-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PoC业务处理方法 |
EP1781054B1 (en) * | 2005-10-28 | 2010-03-1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type service |
KR20070108311A (ko) | 2005-11-15 | 2007-1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
CN1980416B (zh) * | 2005-12-01 | 2011-05-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媒体发送权处理方法及装置 |
JP4553838B2 (ja) | 2005-12-28 | 2010-09-29 | 富士通株式会社 |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通信装置 |
KR100748514B1 (ko) * | 2006-01-13 | 2007-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
KR101177948B1 (ko) * | 2006-01-13 | 2012-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C 시스템에서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단말 장치 및 방법과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PoC 시스템 |
KR100748695B1 (ko) | 2006-02-17 | 2007-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나의 세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pta 서비스를동시에 수행하는 pta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CN101026814A (zh) * | 2006-02-24 | 2007-08-2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会话建立话权分配方法及系统 |
US7634286B2 (en) | 2006-04-28 | 2009-12-15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Device and method including secondary actuator for push-to-talk application |
US7761110B2 (en) | 2006-05-31 | 2010-07-20 | Cisco Technology, Inc. | Floor control templates for use in push-to-talk applications |
EP1887751A1 (en) * | 2006-08-11 | 2008-02-13 |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t least two media streams within one push-to-talk-over-cellular session |
KR101396972B1 (ko) | 2006-10-18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t 서비스에서의 발언권 제어 방법 |
CN101232413B (zh) * | 2007-01-25 | 2012-11-2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转移会话控制权的方法、系统和服务器 |
CN101316395A (zh) * | 2007-06-01 | 2008-12-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会话中话权的调度方法及装置 |
US7853280B2 (en) | 2007-06-07 | 2010-12-14 | Motorola Mobilit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ting one or more media streams within a single PoC session |
US8269817B2 (en) | 2008-07-16 | 2012-09-18 | Cisco Technology, Inc. | Floor control in multi-point conference systems |
US9386054B2 (en) | 2009-04-07 | 2016-07-05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ed sharing of media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
US8553064B2 (en) | 2010-12-08 | 2013-10-08 | Cisco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data to be rendered in a video conference environment |
CN115086886B (zh) * | 2021-03-10 | 2023-10-13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群组内点到多点通信业务的话权控制方法、装置及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21277A (en) * | 1988-10-24 | 1990-05-01 | Academy Of Applied Science, Inc. | Method of labeling needle syringes and medication vials and novel labels therefor |
US5622163A (en) * | 1994-11-29 | 1997-04-22 | Iep Group, Inc. | Counter for fluid dispensers |
US6613410B1 (en) * | 1999-09-23 | 2003-09-02 | National Label Company | Extended wrap label |
US5916302A (en) * | 1996-12-06 | 1999-06-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ultimedia conferencing using parallel networks |
US5871007A (en) * | 1997-06-09 | 1999-02-16 | Chase Marketing International L.L.C. | Throat spray counting mechanism |
GB9807558D0 (en) * | 1998-04-09 | 1998-06-10 | Bason Neil P | An indicator device |
GB2383237B (en) * | 1998-06-03 | 2003-10-22 |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 Mobile communications |
EP2259652B1 (en) * | 2000-03-03 | 2012-02-2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 an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
US6738617B2 (en) * | 2001-05-15 | 2004-05-18 | Qualcomm Incorporated | Controller for reducing latency in a group dormancy-wakeup process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
US6781963B2 (en) * | 2002-02-14 | 2004-08-24 | Qualcomm Inc |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erminating a user from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
US7130282B2 (en) * | 2002-09-20 | 2006-10-31 | Qualcomm Inc |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multimedia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
US20050124365A1 (en) * | 2003-12-05 | 2005-06-09 | Senaka Balasuriya | Floor control in multimedia push-to-talk |
-
2004
- 2004-12-03 KR KR1020067011379A patent/KR2006012699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12-03 US US10/596,323 patent/US2008028553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12-03 MX MXPA06006465A patent/MXPA06006465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03 CN CN2004800370997A patent/CN189492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03 JP JP2006543648A patent/JP2007514228A/ja active Pending
- 2004-12-03 EP EP04801322A patent/EP169551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12-03 WO PCT/IB2004/004012 patent/WO2005062569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12-03 BR BRPI0417432-1A patent/BRPI0417432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08 TW TW093137987A patent/TW200529617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285532A1 (en) | 2008-11-20 |
TW200529617A (en) | 2005-09-01 |
BRPI0417432A (pt) | 2007-05-29 |
EP1695512A1 (en) | 2006-08-30 |
JP2007514228A (ja) | 2007-05-31 |
MXPA06006465A (es) | 2006-08-23 |
WO2005062569A1 (en) | 2005-07-07 |
CN1894925A (zh) | 2007-01-10 |
CN1894925B (zh) | 201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126991A (ko) | 멀티미디어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로어 제어 | |
EP1510090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group communication using acknowledgement packets | |
JP4865803B2 (ja) | PoCシステムにおけるアドホックPoCセッション開設のための方法、端末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 |
KR101238069B1 (ko) | 푸시-투-토크-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세팅을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US7889726B2 (en) | Communication system | |
KR101232434B1 (ko) | PoC 시스템에서 동시 다중 세션 PoC 멀티미디어서비스 제공 방법과 단말기 및 그 시스템 | |
KR20050057417A (ko) | 그룹 통신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장치 | |
KR20070108311A (ko) |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 |
KR20060111552A (ko) | 멀티미디어 푸시-투-토크에서 플로어 제어 | |
JP2008536392A (ja) |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オーバーセルラー網のメディア格納サービス実行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KR100886898B1 (ko) | 회의 통신 시스템, 회의 통신 시스템 작동 방법, 통지 장치및 통신 단말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 방법 | |
WO2005107361A2 (en) | A communication system | |
US2006017816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mmunication rights | |
EP1804455A1 (en) | Method and system to exchange videos in real-time taken by one's cellular handset during two-party voice calls | |
KR20080090701A (ko) | PoC 세션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 관리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PoC 시스템과 PoC 단말 | |
CN1750505B (zh) | 基于实时传输协议的发送方标识方法 | |
CN1941710B (zh) | 通信系统及相关单元和在通信会话范围内传输数据的方法 | |
KR100907986B1 (ko) | 통신 시스템 | |
KR20070014482A (ko) | PoC 그룹 세션의 재초청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1009953B1 (ko) | 데이터 통신망과 전화망 간의 즉시 그룹통신을 위한 즉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장치 | |
KR101277860B1 (ko) |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 |
KR20070073432A (ko)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그룹 통신 방법 | |
KR20070108325A (ko) |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