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8514B1 -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 Google Patents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514B1
KR100748514B1 KR1020060048396A KR20060048396A KR100748514B1 KR 100748514 B1 KR100748514 B1 KR 100748514B1 KR 1020060048396 A KR1020060048396 A KR 1020060048396A KR 20060048396 A KR20060048396 A KR 20060048396A KR 100748514 B1 KR100748514 B1 KR 10074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talk
reason information
rev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359A (ko
Inventor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4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51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PI0706485-3A priority patent/BRPI0706485A2/pt
Priority to CNA2007800030081A priority patent/CN101371468A/zh
Priority to RU2008126915/09A priority patent/RU2420922C2/ru
Priority to PCT/KR2007/000217 priority patent/WO2007081172A1/en
Priority to CN201510823945.8A priority patent/CN105491022A/zh
Priority to JP2008548440A priority patent/JP4808786B2/ja
Priority to US11/652,692 priority patent/US7813749B2/en
Priority to CA2635778A priority patent/CA2635778C/en
Priority to EP07708492.9A priority patent/EP1972082B1/en
Publication of KR2007007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발언권 취소 이유에 따라 잔여 데이터의 송신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PT 서비스, 잔여데이터처리, 발언권취소메시지,발언권취소이유,PT클라이언트, SIP 세션 서비스

Description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METHOD AND TERMINAL FOR PROCESSING MEDIA DATA FOR SIP BASED SESSION SER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발언권 취소 메시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에 따른 잔여 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여부 결정 방법을 보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
10: 단말 11: 클라이언트
12: 제1 버퍼 13: 제2 버퍼
본 발명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개시 프로토콜) 기반 세션(session)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언권이 취소되는 클라이언트(단말)에 남아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상기 SIP은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상기 SIP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의 생성, 수정, 종료를 제어하는 요구/응답(request/response) 구조를 가지며,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L을 사용함으로써 IP(internet protocol) 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일례로 PT(push-to) 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PT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자와 소비자 거래처들 간에 빠른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서버를 통해 세션을 설정한 클라이언트들 중에서 발언권 또는 전송권한이 할당된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세션에 참여한 나머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서비스를 총칭한다. 상기 PT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TV(Push to View)와, 각종 데이터 전송을 위한 PTD(Push to Data) 등을 포함한다. 상기 PT는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하나의 수신자(1-to-1) 또는 그룹대화 세션(group chat session)과 같은 수신자 그룹(1-to-many)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T 서비스 시스템은 PT 서비스를 요청하는 PT 클라이언트와; 각종 PT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PT 클라이언트 간의 음성 및 데이터 전송, 발언권 제어 프로토콜(Talk Burst Control Protocol, TBCP)을 이용하여 발언권 전송을 제어하는 PT 서버;로 구성된다.
PT 서비스를 위한 발언권 또는 송신 권한(이후 발언권으로 통칭함)을 획득해야만 PT 클라이언트는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PT 클라이언트는 PT 서버를 통해 발언권을 획득하고 반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발언권을 제어하기 위해 PT 클라이언트와 PT 서버 간에는 발언권 제어 프로토콜(TBCP) 메시지가 교환된다.
상기 발언권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에는, PT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요청하기 위한 발언권 요청 메시지(Talk Burst Request message; TB Request), PT 클라이언트가 획득한 발언권을 PT 서버가 취소(또는 거절)하기 위한 발언권 취소 메시지(Talk Burst Revoke message; TB Revoke), PT 클라이언트가 획득한 발언권을 PT 서버로 반환하기 위한 발언권 해제 메시지(Talk Burst Release message; TB Release) 등이 있다.
발언권을 획득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PT 클라이언트가 PT 서버로부터 TBCP Talk Burst Revoke message (TB Revoke)를 수신하면, 일반적으로 상기 PT 클라이언트는 버퍼에 남아 있는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PT 서버를 통해 무조건 송신한다. 그러면 PT 서버는 이미 발언권이 취소된 상기 PT 클라이언트의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 PT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지 않고 폐기(discarding)한다.
이렇게 일반적인 PT 시스템에서 발언권 취소 메시지(TB Revoke)를 수신한 송신 PT 클라이언트가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무조건 송신하기 때문에 PT 서버가 그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폐기하는 불필요한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T 서버가 수신 PT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지 않고 폐기할 데이터를 송신 PT 클라이언트가 무선 자원(일례로 무선 대역(air bandwidth) 등)을 사용하여 송신함으로써 무선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PT 시스템에서,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PT 클라이언트는 버퍼에 남아 있는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무조건 폐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송신 PT 클라이언트의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무조건 폐기하게 되면, 수신 PT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는 갑작스런 데이터 송신 중단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언권이 취소되는 송신 클라이언트가 발언권 취소 이유 를 확인하여 버퍼에 남아 있는 잔여 미디어 데이터의 송신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서버를 갖SIP 기반의 세션 서비스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Talk Busrt Control Porotocol message)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의 송신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서버를 갖SIP 기반의 세션 서비스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단말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서버로부터 전송된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Talk Busrt Control Porotocol message)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에 따라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의 전송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서버가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 또는 전송 중지 이유(이하 발언권 취소 이유라 통칭함)를 포함하는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 송신하고, 클라이언트는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여 발언권 취소 이유에 따라,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잔여 미디어 데이터(remaining buffered media data)의 전송 기능과 폐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보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은,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서버로부터 전송된 발언권 전송 제어 메 시지(Talk Burst Control message)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의 전송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클라이언트(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 수단은 논리적으로 두개의 버퍼로 동작하고,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두개의 버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은, 인코딩 이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12)와;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버퍼(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단말은, 상기 저장 수단이 제1 버퍼(12)와 제2 버퍼(13)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나 음성 이외의 미디어 데이터 등 인코딩 이전의 데이터를 제1 버퍼(12)에 저장한다. 상기 음성 이외의 미디어 데이터는, 일례로 단말 자체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파일(file) 데이터, 비디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버퍼(12)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출력하여 해당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인코딩된 데이터를 제2 버퍼(13)에 저장한다.
이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발언권 취소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다.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상기 단말의 전송 권한 또는 발언권(이하 발언권이라 통칭함)을 어떤 이유로 인해 취소(또는 거절)해야 할 경우, 상기 서버는 발언권을 취소하기 위한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한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발언권을 취소해야 하는 발언권 취소 이유를 일례로 Reason code 필드 를 이용하여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게 된다.
상기 단말의 발언권을 취소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이 적어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따르는 발언권 취소 이유를 언급할 수 있다.
첫째 경우는, 상기 단말이 너무 오랫동안 데이터 전송 권한 또는 발언권(이하 발언권이라 통칭함)을 가지고 너무 오랫동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고, 이 경우의 발언권 취소 이유는 발언권 적정 시간 초과 점유(Talk burst too long)가 된다.
둘째 경우는, 상기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이 상기 단말의 발언권을 빼앗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이고, 이 경우의 발언권 취소 이유는 발언권 박탈 상태(Talk Burst pre-empted)로 할 수 있다.
셋째 경우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다른 어떠한 단말로 수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이고, 이 경우의 발언권 취소 이유는 수신자 부재(Only one PT user)이다.
넷째 경우는, 상기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 즉, 발언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경우이고, 이 경우의 발언권 취소 이유는 무권한 상태(No permission to send a Talk Busrt)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되는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Reason code)는, 각 발언권 취소 이유들에 따라서 각각 다른 고유값을 갖는다. 즉,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되는 Reason code는 발언권 취소 이유에 따라 각각 다른 고유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가 수신자 부재(Only one PT user)일 경우 상기 Reason code의 값은 "1"로 설정되고, 발언권 적정 시간 초과 점유(Talk burst too long)일 경우 상기 Reason code의 값은 "2"로 설정되며, 무권한 상태(No permission to send a Talk Burst)일 경우 상기 Reason code의 값은 "3"으로 설정되고, 발언권 박탈 상태(Talk Burst pre-empted)일 경우 상기 Reason code의 값은 "4"로 설정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을 보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P 기반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제1 단말, 제2 단말, 서버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발언권을 획득하여 SIP 기반 세션 서비스를 위한 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및 제2 단말들간에 발언권의 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교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단말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도3에서는 제1 단말의 제1 PT 클라이언트, 제2 단말의 제2 PT 클라이언트만을 각각 도시했다.
먼저, 제1 PT 클라이언트가 발언권을 획득한 경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제2 PT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미디어 데이터를 PT 서버로 송신한다(S11). 상기 RTP 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Talk Burst)이나 음성 이외의 미디어 데이터(Media Burst)가 해당 포맷으로 인코딩된 후 RTP 패킷 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기 서버는, 수신된 상기 RTP 미디어 데이터를 제2 PT 클라이언트로 송신 한다(S11).
이 때, 제1 PT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발언권을 취소(revoke)해야 할 때, PT 서버는 발언권 취소 메시지(TB Revoke)에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로 송신한다(S13).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는, 해당 발언권 취소 이유를 나타내는 이유코드(Reason code) 필드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바와 같다.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의 수신 직후,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나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생산된 비디오 데이터가 자신의 단말의 버퍼부(즉, 제1 버퍼)로 유입되는 것을 중지시키고 이미 수행하고 있던 인코딩 동작도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버퍼에 남아 있는 인코딩 이전의 데이터를 제1 버퍼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된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버퍼부의 제2 버퍼에 버퍼링되어 있는 잔여 미디어 데이터(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S15).
도4는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가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에 따른 잔여 미디어 메시지의 전송 여부 결정 방법을 보인다.
상기 PT 서버로부터 전송된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는 제1 값 내지 제4 값 중 하나를 갖는다.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제1 값(일례로 "2")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발언권 적정 시간 초과 점유(Talk burst too long)라고 판단하고(S21,S23), 제2 버퍼에 남아 있는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제2 값(일례로 "4")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발언권 박탈 상태(Talk Burst pre-empted)라고 판단하고(S21,S23), 제2 버퍼에 남아 있는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렇게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경우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제2 버퍼로부터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여 RTP 패킷으로 변환한 후 PT 서버로 전송한다(S25)(S17).
상기 PT 서버는 전송된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제2 PT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17). 따라서 제2 PT 클라이언트는 발언권이 취소되는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의 버퍼부에 버퍼링되어 있던 잔여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제3 값(일례로 "1")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수신자 부재(Only one PT user)라고 판단하고(S27), 제2 버퍼에 남아 있는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폐기(discarding)한다(S29)(S19). 또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제4 값(일례로 "3)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무권한 상태(No permission to send a Talk Busrt)라고 판단하고(S27), 제2 버퍼에 남아 있는 인코딩된 미디어 데이터를 폐기한다(S29)(S19).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클라이언트는 상기 발언권 취소 메시지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에 따라, 자신의 버퍼에 남아 있는 미디어 데이터의 송신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본 발명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편의상 간략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좀더 구체적인 내용은, OMA-TS-PoC-ControlPlane-V1_0-20060127, OMA-TS-PoC-UserPlane-V1_0-20060127, OMA-AD-PoC-V1_0-20060127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은, 발언권 취소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 클라이언트가 발언권 취소 이유를 확인하여 자신의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를 폐기함으로써 폐기되어야 할 데이터를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PT 서버로 전송하지 않게 되어 무선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가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를 확인한 결과, 자신의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버퍼에 남아 있는 상기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수신 클라이언트가 데이터 송신 중단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서버를 갖는 SIP 기반의 세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서버로부터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Talk Busrt Control Porotocol message)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에 따라, 잔여 데이터의 송신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데이터는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데이터는 인코딩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는 발언권 취소 이유에 따라 각기 다른 고유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발언권 적정시간 초과 점유를 나타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잔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다른 단말이 발언권을 빼앗은 발언권 박탈 상태를 나타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잔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수신자 부재를 나타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잔여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발언권이 없는데 데이터를 송신한 무권한 상태를 나타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잔여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데이터 처리 방법.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서버를 갖는 SIP 기반의 세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서버로부터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Talk Busrt Control Porotocol message)를 수신하고 상기 발언권 전송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 내의 인코딩된 잔여 데이터의 전송과 폐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PT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는 발언권 취소 이유에 따라 각기 다른 고유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발언권 적정시간 초과 점유를 나타낼 경우, 상기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저장수단 내의 인코딩된 잔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다른 단말이 발언권을 빼앗은 발언권 박탈 상태를 나타낼 경우, 상기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저장수단 내의 인코딩된 잔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수신자 부재를 나타낼 경우, 상기 PT 클라이언트는 상기 저장수단 내의 인코딩된 잔여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취소 이유 정보가 발언권이 없는 데이터를 송신한 무권한 상태를 나타낼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저장수단 내의 인코딩된 잔여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세션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
KR1020060048396A 2006-01-13 2006-05-29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KR100748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396A KR100748514B1 (ko) 2006-01-13 2006-05-29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CNA2007800030081A CN101371468A (zh) 2006-01-13 2007-01-12 处理基于sip的会话服务的媒体数据
RU2008126915/09A RU2420922C2 (ru) 2006-01-13 2007-01-12 Обработка медиаданных для услуг сеансов связи на основе протокола установления сеансов связи
PCT/KR2007/000217 WO2007081172A1 (en) 2006-01-13 2007-01-12 Processing media data for sip based session service
BRPI0706485-3A BRPI0706485A2 (pt) 2006-01-13 2007-01-12 processamento de dados de mìdia para serviço de seção com base em sip
CN201510823945.8A CN105491022A (zh) 2006-01-13 2007-01-12 处理基于sip的会话服务的媒体数据
JP2008548440A JP4808786B2 (ja) 2006-01-13 2007-01-12 Sipベースセッションサービスのメディアデータ処理
US11/652,692 US7813749B2 (en) 2006-01-13 2007-01-12 Processing media data for SIP based session service
CA2635778A CA2635778C (en) 2006-01-13 2007-01-12 Processing media data for sip based session service
EP07708492.9A EP1972082B1 (en) 2006-01-13 2007-01-12 Processing media data for sip based sess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856106P 2006-01-13 2006-01-13
US60/758,561 2006-01-13
KR1020060048396A KR100748514B1 (ko) 2006-01-13 2006-05-29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PCT/KR2007/000217 WO2007081172A1 (en) 2006-01-13 2007-01-12 Processing media data for sip based session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59A KR20070076359A (ko) 2007-07-24
KR100748514B1 true KR100748514B1 (ko) 2007-08-14

Family

ID=3825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396A KR100748514B1 (ko) 2006-01-13 2006-05-29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13749B2 (ko)
EP (1) EP1972082B1 (ko)
JP (1) JP4808786B2 (ko)
KR (1) KR100748514B1 (ko)
CN (2) CN105491022A (ko)
BR (1) BRPI0706485A2 (ko)
CA (1) CA2635778C (ko)
RU (1) RU2420922C2 (ko)
WO (1) WO2007081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3310B2 (en) * 2009-02-25 2012-07-03 Qualcomm Incorporated High-priority communications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088630B2 (en) * 2009-07-13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mixing media during a group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7113582B (zh) * 2014-12-30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话权控制方法及装置
CN106034128B (zh) * 2015-03-18 2019-07-23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释放sip会话中的媒体的方法与设备
WO2018117565A1 (en) 2016-12-19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rol data
CN110418021B (zh) * 2019-07-30 2021-04-23 南京安谱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双缓冲区智能缓存的语音对讲实现方法
CN115514810A (zh) * 2021-06-22 2022-12-23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2923A1 (en) 2003-12-05 2005-06-09 Nortel Networks Limited Controlling a press-to-talk session using wireless signaling
KR20050091643A (ko) * 2001-08-16 2005-09-1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장비 자원 예약 설정 프로토콜 능력을 확인하기위한 세션 시작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KR20060010692A (ko) * 2004-07-2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의 발언권 처리방법
KR20060010609A (ko) * 2004-07-2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음영지역에서 동기화를 위한 피티티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WO2006032939A1 (en) 2004-09-21 2006-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rapid talk burst control for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836A (en) * 1993-10-08 1998-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e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6226277B1 (en) * 1997-10-14 2001-05-0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dmitting new connections based on usage priorities in a multiple access system for communications networks
US7039044B1 (en) * 1999-10-14 2006-05-02 Mindspee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detection of DTMF signals in voice transmissions over an IP network
US6694469B1 (en) * 2000-04-14 2004-0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 quick retransmission of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2084957A2 (en) * 2001-04-13 2002-10-24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anipulating data streams in data stream processors
US7603126B2 (en) * 2001-05-15 2009-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simultaneous service origination and paging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EP1417574A1 (en) * 2001-08-14 2004-05-12 Humana Inc Web-based security with controlled access to data and resources
JP2003152752A (ja) * 2001-08-29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受信方法
US7688764B2 (en) * 2002-06-20 2010-03-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 arbitration in a multi-participant communication session
WO2005006650A1 (en) 2003-07-10 2005-01-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s for conference communication
GB2404117B (en) 2003-07-17 2005-11-30 Motorola Inc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messaging
US7266382B2 (en) * 2003-08-06 2007-09-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perceived push-to-talk call set-up time using a buffer for initial speech burst
CN1619998A (zh) * 2003-11-21 2005-05-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自动重复请求系统中分组丢弃的方法
KR20060126991A (ko) 2003-12-11 2006-12-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멀티미디어 푸시-투-토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로어 제어
US20050175012A1 (en) * 2004-02-06 2005-08-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rames in a NAK-based window protocol
DE102004007216A1 (de) 2004-02-13 2005-09-01 Siemens Ag Verfahren zum Wechsel zwischen einer paketorientierten PTT-Sitzung und einer leitungsorientierten Telefonverbindung zwischen mindestens zwei Funkkommunikationsgeräten,zugehöriges Funkkommunikationsgerät, Netzwerkkomponente sowie Funkkommunikationssystem
KR20050114557A (ko) 2004-06-01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 정보 제공 장치 및방법
DE102004049907A1 (de) * 2004-10-13 2006-04-20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nfordern oder Zuteilen eines Push-to-talk-Sprachrechts und/oder zum Erfragen oder Mitteilen von Warteschlangeninformation, Push-to-talk-Client-Einheit, Push-to-talk-Steuerserverrechner und Entscheidungseinheit
KR101179355B1 (ko) 2004-11-17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와 이를 이용한 응답 모드에 따른 호처리 방법
US20060229093A1 (en) 2005-03-29 2006-10-12 Gurvesh Bhutiani Push to talk over cellular (half-duplex) to full-duplex voice conferenc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643A (ko) * 2001-08-16 2005-09-1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장비 자원 예약 설정 프로토콜 능력을 확인하기위한 세션 시작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US20050122923A1 (en) 2003-12-05 2005-06-09 Nortel Networks Limited Controlling a press-to-talk session using wireless signaling
KR20060010692A (ko) * 2004-07-2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티티 서비스의 발언권 처리방법
KR20060010609A (ko) * 2004-07-2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음영지역에서 동기화를 위한 피티티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WO2006032939A1 (en) 2004-09-21 2006-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rapid talk burst control for push to talk over cellular (poc)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8704A1 (en) 2007-08-23
CA2635778A1 (en) 2007-07-19
EP1972082A1 (en) 2008-09-24
CA2635778C (en) 2013-04-02
WO2007081172A1 (en) 2007-07-19
JP4808786B2 (ja) 2011-11-02
CN105491022A (zh) 2016-04-13
RU2008126915A (ru) 2010-02-20
EP1972082A4 (en) 2010-03-31
JP2009522843A (ja) 2009-06-11
US7813749B2 (en) 2010-10-12
KR20070076359A (ko) 2007-07-24
CN101371468A (zh) 2009-02-18
BRPI0706485A2 (pt) 2011-03-29
EP1972082B1 (en) 2015-10-07
RU2420922C2 (ru)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24B1 (ko) Sip/ip 코어 네트워크에서 세션 분리 방법 및 서버 및 단말
KR100724441B1 (ko) 발언권 제어 타이머의 지속시간 변경방법
KR101214326B1 (ko)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JP4981027B2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オーバーセルラー網のメディア格納サービス実行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1390415B (zh) 用于多媒体会话的多用户实时代码转换系统与方法
CA2573038C (en) Push-to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066297B1 (ko) 동시 다중 PoC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8514B1 (ko) Sip 기반 세션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단말
KR101232434B1 (ko) PoC 시스템에서 동시 다중 세션 PoC 멀티미디어서비스 제공 방법과 단말기 및 그 시스템
JP4971453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話サービスを遂行する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PoCセッション開設及び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ユーザー端末
JP2007514228A (ja) マルチメディア・プッシュツートーク・アプリケーション用のフロア制御
US7873379B2 (en) Conferen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notification
US78098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l set-up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O20071114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oc box service in a poc system
US20100261497A1 (en) Reducing delays in push to talk over cellular systems
GB2413038A (en) A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data during communication sessions
KR20070075649A (ko) PoC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PoC 세션 참가자 정보제공 방법과 단말 장치 및 그 시스템
EP1729475A1 (en) SIP based floor control method in "Push to" over cellular services
Plane et al. OMA-TS_PoC-UserPlane-V1_0_1-20061128-A
Plane et al. OMA-TS_PoC-UserPlane-V1_0-20051104-C
Alliance OMA-TS-PoC_UserPlane-V2_0-20080226-C
Alliance OMA-TS-PoC_UserPlane-V2_0-20090922-C
Alliance OMA-TS-PoC_UserPlane-V2_0-20080421-C
Alliance OMA-TS-PoC_UserPlane-V2_0-20080507-C
KR20070118025A (ko) 미디어 타입별 서로 다른 응답 모드를 가진 PoC 세션개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