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6016A -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016A
KR20060116016A KR1020067013082A KR20067013082A KR20060116016A KR 20060116016 A KR20060116016 A KR 20060116016A KR 1020067013082 A KR1020067013082 A KR 1020067013082A KR 20067013082 A KR20067013082 A KR 20067013082A KR 20060116016 A KR20060116016 A KR 2006011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source device
light diffus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히로 마사키
후미히로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0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1)은, 투명기재(1)와, 이 투명기재(11) 상에 형성된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또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17)을 가진 광확산층(1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외선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광확산층(15)은 광확산기능을 가진 필러를 함유하지 않고, 또 표면의 미세한 요철형상(17)이 DPS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LIGHT DIFFUSION FILM, SURFACE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자외선 흡수기능을 가진 광확산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면광원장치(面光源裝置)에 쓰이는 광확산필름과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및 해당 면광원장치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배경)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액정 텔레비젼 등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자체가 발광을 하지 않기 때문에, 면광원장치(백라이트라고도 함)로 이면측에서 조명을 하게 된다. 해당 면광원장치는 액정화면 전체를 균일하게 조사(照射)하기 위해, 도광판(導光板)을 이용하는 엣지라이트(edge light) 방식과, 형광관을 나란히 배열한 직하형(直下型) 방식이 있다. 엣지라이트 방식은, 선상(線狀)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을 도광판의 측단면으로부터 입사시켜, 도광판 이면의 광산란 패턴에 따라 도광판 표면에서 방출되는 면상(面狀) 발광으로 변환시킨다. 직하형 방식은, 액정 표시장치의 바로 밑에 복수의 선상 광원을 나란히 배치해서 면상으로 비추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면광원장치에는, 입사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고, 또 광을 확산, 집광시키고, 조사면(照射面)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 해, 광확산필름과 렌즈필름, 보호광확산필름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근래, 액정표시장치는 화면의 면적이 대형화되어, 텔레비젼(TV)용 등으로 쓰이고 있다. 종래의 소형화면에서는 큰 문제로 되지 않았던 표시화상의 휘도이지만, TV는 비교적 밝은 방에서, 또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넓은 시야각이나 높은 휘도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TV용 액정표시장치의 면광원장치에 이용되는 광원으로서는, 출력이 큰 복수의 형광등을 이용한 직하형 방식이 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광원은 출력을 증가시키면, 가시광선의 복사(輻射)와 더불어, 불필요한 자외선의 복사도 증가하게 된다. 그 때문에, 해당 자외선에 의해, 면광원장치 내의 광확산필름, 렌즈필름, 편광필름 등의 광학부재가 열화되어, 착색되거나 금이 가거나 하게 된다. 물론, 렌즈필름이나 편광필름 등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하는 대책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편광필름, 렌즈필름 등의 광학필름은 원하는 편광특성, 굴절률 등의 광학적 파라미터를 얻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자외선흡수제와 같은 불순물을 첨가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어, 어려웠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광학필름에 이용하는 아크릴수지 등의 수지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경시적으로 자외선흡수제가 삼출(慘出)되어(스며나오게 되어), 자외선흡수제가 저하되거나 삼출된 자외선흡수제가 결정화되어, 백탁(白濁)이 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선행기술)
종래, 엣지라이트 방식의 면광원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확산필름으로서는, 광확산층 또는 기재(基材) 자신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 컨대, 특허문헌 1 ~ 3 참조). 그러나, 이들 어느 문헌에도, 엣지라이트 방식의 광원을 주체로 하는 면광원장치로, 단순히 첨가제적(添加劑的)으로 넣어도 된다고 기재되어 있을 뿐, 본 발명과 같이 특정한 자외선흡수제의 효과에 주목을 해서, 직하형 방식의 강한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을 가진 면광원장치에 적용되는 광확산필름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재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또, 특허문헌 2는 편광분리시트와의 밀착방지용 매트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의 출원에 의한 것이며, 본원 발명과 같이 바로 밑에 강력한 광원을 가진 대형 TV용 백라이트용 광확산필름에 대해 역시 아무런 기재나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1-2170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1-4210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03-50306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그 목적은, 고휘도이기는 하지만, 가시광선과 함께 자외선의 출력도 강력한 면광원장치를, TV용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사용해서, 강력한 자외선의 조사를 받아도, 착색되기가 어려워 투명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쳐 광학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표시화상이 뛰어나고, 환경신뢰성이 높음과 더불어, 렌즈필름의 굴절률(집광성)이나 편광필름의 편광특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고, 또 자외선흡수제의 삼출도 생기기 어려운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기재와,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을 갖추되,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이다.
본 발명은, 광확산층이 투명기재의 양쪽의 면에 설치되되, 각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각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이다.
본 발명은, 광확산층이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흡수제가,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이다.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열된 12개의 냉음극선관(冷陰極線管)으로 된 광원을 포함한 직하형 면광원부를 갖는 21형(21인치) 면광원장치에 조립된 경우, 조립 직후와 각 광원의 점등(點燈) 5000시간 후에 측정한, 면광원장치의 화면 중앙부의 JIS-Z-8729에 준거하는 L*, a*, b* 표색계(表色系)에서의 색상변화(b*)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이다.
본 발명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광원과, 이 광원을 에워쌈과 더불어 출광측에 개구부를 갖고 내면에 광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직하형 면광원부와, 직하형 면광원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광확산필름과, 광확산필름의 출광측에 배치된 렌즈필름을 갖추되, 광확산필름이, 투명기재와,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을 갖추고서,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은, 광확산층이 투명기재의 양쪽의 면에 설치되고서, 각 광확산층은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각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흡수제가,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은, 광확산층이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은, 직하형 면광원부가 광원으로서 평행하게 배열된 12개의 냉음극선관을 포함하고, 면광원장치는 21형(21인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광확산필름을 면광원 장치에 조립된 직후와 각 광원의 점등 5000시간 후에 측정한, 면광원장치의 화면 중앙부의 JIS-Z-8729에 준거하는 L*, a*, b* 표색계에서의 색상변화(b*)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이다.
본 발명은, 면광원장치와, 면광원장치의 출광측에 배치된 액정표시 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면광원장치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광원과, 이 광원을 에워쌈과 더불어 출광측에 개구부를 갖고 내면에 광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한 직하형 면광원부와, 직하형 면광원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광확산필름과, 광확산필름의 출광측에 배치된 렌즈필름을 갖추되, 광확산필름이, 투명기재와,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을 갖추고서,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색되기 어려워 투명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쳐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표시화상이 뛰어나고, 환경신뢰성이 높은 광확산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을 가진 직하형 방식의 TV용 등의 대형화면에도, 착색되기가 어려워 투명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쳐 광학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면광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밝은 방에서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높은 휘도의 TV용 등의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본 대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정표시장치(60)는 면광원장치(50)와, 이 면광원 장치(50)의 출광측에 배치된 액정표시 패널(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면광원장치(50)는, 냉음극선관 등으로 이루어져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광원(21)과, 이 광원(21)의 아래쪽(액정표시 패널과 반대측) 및 측면을 에워쌈과 더불어 출광측(액정표시 패널측)에 개구부(27b)를 가진 반사판(27)과, 반사판(27)의 출광측(개구부(27b)측)에 배치된 광확산필름(1)과, 광확산필름(1)의 출광측에 배치된 렌즈필름(40)과, 렌즈필름(40)의 출광측에 필요에 따라 배치된 보호광확산필름(1B)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복수의 광원(21)과 반사판(27)에 의해 직하형 면광원부(21a)가 구성된다.
직하형 면광원부(21a) 중 반사판(27)의 내면에는 광반사면(27a)이 형성되어, 이 광반사면(27a)에 의해 광원(21)으로부터 아래쪽 및 측면을 향하는 광을 개구부(27b) 쪽으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판(27)의 개구부(27b)에서 광원(21)으로부터의 광의 전부를 액정표시 패널(30) 측을 향해 출광(出光)하도록 되어 있다.
액정표시 패널(30)은 면광원장치(50)의 출광측에 설치되고서, 하기판(下基板; 35)과, 상기판(33) 및, 이들 하기판(35)과 상기판(33) 사이에 끼인 액정층(31)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면광원장치(50)는, 액정표시 패널(30)을 이면에서 조명하는 백라이트(back light)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필름(1)은, 도 2에 실시예가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기재(11)와, 이 투명기재(11) 양쪽의 면에 프라이머층(13)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15)을 갖고서, 해당 광확산층(15)은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17)을 갖고 있다.
또, 광확산층(15)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조성물과, 이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조성물에 함유된 자외선흡수제를 갖고서,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킨 경화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 투명기재(11)의 양면에 광확산층(15)이 설치되어 있으나, 투명기재(11)의 한쪽 면에만 광확산층(15)을 설치하여도 좋다. 투명기재(11)의 양면에 광확산층(15)을 설치한 구성인 경우, 광확산층(15)이 한쪽 면에만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광확산층(15)의 두께를 증가시켜, 자외선흡수성능을 강화한 경우에도, 투명기재(11)와 광확산층(15)의 팽윤 수축율의 차이에 따른 휘어짐이나 느슨해짐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 도 2에서는 투명기재(11)와 광확산층(15) 사이에 프라이머층(13)이 개재되어 있으나, 기재(11)와 광확산층(15)이 직접 충분한 강도로 접착되는 경우에는 프라이머층(13)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다시, 본 발명의 광확산필름(1)은 실질광확산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광확산층(15) 표면의 요철형상에 의한 광확산작용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광확산층의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하더라도 광확산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투명기재)
투명기재(11)의 재료로는, 사용조건이나 제조에 견딜 수 있는 투명성과 절연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이 있다면 투명수지 등의 여러 가지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투명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테레프탈산-시크로핵산디메타놀-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6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피렌, 폴리메틸 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ABS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로 된 시트, 필름, 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들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투명기재(11)는, 이들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 중합수지나 혼합체(합금을 포함), 또는 복수층으로 된 적층체이어도 좋다. 해당 투명기재는, 연신필름이어도 미연신필름이어도 좋지만,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한 필름이 바람직하다. 해당 투명기재의 두께는, 해당 투명수지로 이루어진 투명기재인 경우는 통상 12 ~ 1000㎛ 정도가 적용될 수 있으나, 50 ~ 700㎛이 적합하고, 100 ~ 500㎛이 가장 적합하다. 이 이하의 두께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해서 휘어짐이나 느슨해짐, 찢어짐 등이 발생하고, 이 이상에서는 성능 과잉이 되어 비용적으로 낭비가 된다.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텔계 수지필름이 투명성, 내열성이 좋고 비용도 싸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되고, 갈라지기가 어렵고, 경량으로 성형이 용이한 것 등의 점에서, 2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적합하다. 또, 투명성은 높을수록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투과율로 80% 이상이 좋다.
해당 투명기재의 표면은, 광확산층 형성에 앞서 광확산층 형성면에, 이접착처리(易接着處理)를 하여도 좋다. 이접착처리로는, 프라이머(앙커 코팅, 접착촉진제, 이접착제라고도 함)의 도포처리가 대표적이지만, 기타 코로나 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 프레임처리, 예열처리, 제진애처리, 증착처리, 알카리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투명기재에, 필요에 따라, 충전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가하여도 좋다. 필요하다면 투명기재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도 2는, 투명기재필름(11)의 양면에 프라이머층(13)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광확산층)
광확산층(15)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형상(17)을 갖고서 적당한 광확산성(光擴散性)을 발휘하게 되고, 또 광확산층(15)은 공지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조성물에 자외선흡수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전리방사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경화물로 되어 있다. 또, 기본적으로는 실리카 입자나 수지 비즈와 같은 광확산제는 함유하지 않는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조성물)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는, 다가 알콜 등의 다관능(多官能) 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메타)아크릴레이트라 기재함) 등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또는 프레폴리머) 및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으로 된 공지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리방사선으로서 전자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는 필요하지 않다.
해당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조성물에 자외선흡수제를 용해 또는 분산시켜, 미세한 요철형상(17)을 부형하면서, 전리방사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다.
상기 단량체, 올리고머(또는, 프레폴리머)는, 3관능 이상인 것을 적어도 한가지 이상 함유시켜, 3차원적으로 분자가 가교반응한 경화물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자외선흡수제의 경시적인 삼출(bleed)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광확산층의 내찰상성(耐擦傷性)도 향상된다. 3관능 이상의 단량체로는 트리메티롤 프로판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 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또 3관능 이상의 프레폴리머로는, 3관능 이상의 폴리에스텔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단관능 단량체로는,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N-비닐피로리돈 등을 들 수 있다. 관능단량체로는, 예컨대 트리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는 아세트페논류, 벤조페논류 등이 있고, 광증감제로는 n-부틸 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호스핀 등이 있는바, 이들을 혼합해서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재료를 이용해서 광확산층(15)을 형성한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조성물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켜 경화시킨 것으로, 해당 자외선흡수제의 자외선흡수성에 의해 내자외선성이 부여되어 있다. 해당 내자외선성에 의해, 자외선의 조사를 받아도, 착색되기가 어려워 투명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쳐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가 있고, 표시화상이 뛰어나고, 환경신뢰성도 높아지게 된다.
또, 특히, 단량체 프레폴리머 등이 3차원적으로 가교된 고분자구조를 이루는 전리방사선 경화수지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고분자의 3차원 가교구조에 의해 자외선흡수제의 삼출이 없는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착색에 의한 색상 변화는, JIS-Z-8729에 준거한 L*, a*, b* 표색계에서의 색상 b*(b스타 값)으로 나타낸다. 12개의 냉음극선관을 평행하게 나란히 배열한 광원을 가진 21형(대각선 길이 21인치) 면광원장치에, 본 발명의 광확산필름을 조립해서, 조립 직후와 점등 5000시간 후에 측정한, 면광원장치의 화면 중앙부의 색상변화(b*)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 범위를 넘으면 착색이 커서 투명성 및 색순도에 영향이 있게 된다. 색상변화(b*)가 2.0 이하이면 영향이 적고, 또, 1.0 이하이면, 실용상의 색상변화가 인정되지 않는다. b*의 자외선흡수제에 의한 상관(相關)에 대해서는 실시예 중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자외선흡수제)
자외선흡수제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트리아릴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자외선흡수제를 이용함으로써, 광확산층의 착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통상, 바람직하게는, 자외선흡수제에 더해,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捕捉劑)를 첨가하게 된다. 한편,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는, 실질자외선 흡수효과는 없지만, 이를 첨가한 수지가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는 반응을 막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광확산층(15) 중에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만을 첨가한 경우에도, 광확산필름 자체가 면광원의 출력광에 의해 착색 등의 열화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광확 산필름(1) 상에 재치되는 렌즈필름(40)과 같은 다른 부재의 자외선 열화를 막는 능력이 부족하다. 그 때문에, 광확산필름(1) 자체의 자외선 열화를 막는 데에 더해, 다시 그 위에 재치(載置)되는 다른 부재의 자외선 열화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광확산층(15)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필수로 된다.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로는, 예컨대, 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스테아레이트, 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 스테아레이트, 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벤조에이트, 비즈(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즈(1, 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비즈(1-옥톡시-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 2, 3, 4-부탄테트라칼복시레이트, 테트라키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1, 2, 3, 4-부탄테트라칼복시레이트, 비즈(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디(트리디실)-1, 2, 3, 4-부탄테트라칼복시레이트, 비즈(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디(트리디실)-1, 2, 3, 4-부탄테트라칼복시레이트, 비즈(1, 2, 2, 4, 4-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 5-디 제3부틸-4-히드록시벤질) 마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호박산 디에틸 중축합물, 1, 6-비즈(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아미노)헥산/2, 4-디크로로-6-몰호리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 6-비즈(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아미노)헥산/2, 4-디크로로-6-제3 옥틸아미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 5, 8, 12-테트라키스[2, 4-비즈(N-부틸-N-(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 5, 8, 12-테트라아자드데칸, 1, 5, 8, 12-테트라키스[2,4-비즈 (N-부틸-N-(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 5, 8-12-테트라아자드데칸, 1, 6, 11-트리스[2, 4-비즈(N-부틸-N-(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1, 6, 11-트리스[2, 4-비즈(N-부틸-N-(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등의 힌더드아민 화합물이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로는, 예컨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 제3부틸페닐)-5-크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제3 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디크밀페닐)벤조트리아졸, 2, 2'-메틸렌비즈(4-제3옥틸-6-(벤조트리아조릴)페놀), 2-(2'-히드록시-3'-제3부틸-5'-칼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 5'-비즈(α, 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이다.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로는, 예컨대 페닐살리시레이트, 레졸시놀 모노벤조에이트, 2, 4-디 제3부틸페닐-3, 5-디 제3부틸-4-히드록시 벤조에이트, 2, 4-디 제3 아밀페닐-3, 5-디 제3부틸-4-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헥사디실-3, 5-디 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자니리드, 2-에톡시-4'-도데실오키자니리드 등이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로는, 예컨대,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 2'-디히드 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4-디히드록시 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 5'-메틸렌 비즈(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이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로는, 예컨대,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트리아릴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로는, 예컨대, 2-(2-히드록시-4-옥톡시페닐)-4, 6-비즈(2, 4-디 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 6-디페닐-s-트리아진, 2-(2-히드록시-4-프로복시-5-메틸페닐)-4, 6-비즈(2, 4-디 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등이 있다.
범용성, 취급성, 비용, 자외선흡수특성 등의 점에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자외선흡수제와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를 병용하는 광확산층(15)에 내자외선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흡수제의 첨가량으로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0.001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3질량부가 쓰이고 있다. 이 범위 미만에서는 자외선흡수성이 적어 내자외선성이 부족하고, 이 범위를 넘으면 상용성이 나빠 혼탁상태로 되어 투명성이 저하되고, 고비용으로 되고만다. 이 범위에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전리방사선으로 자외선을 선택하는 경우, 자외선흡수제에 의해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자외선이 흡수되는 것을 극력 막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첨가하는 자외선흡수제의 흡수파장역이 경화에 필요한 자외 선의 파장역의 전체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하는 자외선흡수제 및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와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방법)
다음에는 본 발명 광확산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광확산필름의 제조장치 일부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필름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본국 특허 제 3233669호의 공보, 미국 특허 제4576850호의 공보 등에 공지된 제조방법(당업자가 이른바 DPS법(드럼 프린팅 시스템)이라 부름)으로 제조된 필름이다. 이 제조방법은 (a)충전공정(201), (b)접촉공정(202), (c)경화공정(203), (d)밀착공정(204), (e)박리공정(205)으로 구성되어 있다.
(a) 충전공정(201)은, 광확산성이 있는 미세(微細) 엔보스 형상의 몰드가 형성된 롤요판(101)을 회전시켜, 그 롤요판(101)의 적어도 오목부(112)에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113)을 충전하는 공정이다. (b) 접촉공정(202)은, 충전공정(201)에서 롤요판(101)에 충전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113)에 대해, 롤요판(101)의 회전방향에 동기해서 주향(走向)하는 투명기재(11)를 접촉시키는 공정이다. (c) 경화공정(203)은, 접촉공정(202)에서 투명기재(11)가 롤요판(101)에 접촉해 있는 사이에, 롤요판(101)과 투명기재(11) 사이에 있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113)에 경화장치(117a)로부터의 전리방사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또, 이 경화 공정(203)에 있어서, 롤요판의 오목부(112)의 미세한 요철형상에 의해 경화물(113a)의 부형이 완료된다. (d) 밀착공정(204)은, 경화공정(203)에서 경화하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113)과 투명기재(11)을 밀착시키는 공정이다. 한편, 경화공정(203)과 밀착공정(204)은 통상적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e) 박리공정(205)은, 경화공정(203)에서 미세한 요철형상이 부형되고, 다시 밀착공정(204)에서 밀착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113)의 경화물(113a), 즉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투명기재(11)를 롤요판(101)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이다. 한편, 충전공정(201)은,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동(122)을 가진 다이(120)에 의한 충전, 또는 롤요판(101) 표면에 도상(塗上) 롤에 의해 직접 도포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롤요판(101)의 오목부(112)는, 공정설명을 위해 큰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미세한 요철형상으로 하면 된다.
한편, 도 4a에서, 다이(120)에서부터 롤요판(101) 측으로 공급되는 전리방사선 경화성능 수지액(113)은, 용제 건조장치(121)에 의해 건조되고, 경화장치(117a)로부터 나오는 전리방사선에 의해 경화된다. 또, 투명기재(11) 상에 설치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의 경화물(113a)은, 다시 경화장치(117b)로부터의 전리방사선에 의해 경화된다.
또,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요판(101) 위쪽으로 복수의 경화장치(117a)가 설치되어, 이들 복수의 경화장치(117a)에 의해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을 순차로 경화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해서, 투명기재(11)와, 이 투명기재(11) 상에 설치되어 표면에 미 세한 요철형상(17)이 형성된 광확산층(15)을 가진 광확산필름(1)이 얻어지게 된다.
(요철형상)
광확산층(15)의 미세한 요철형상을 부형하는 데에는, 이들 형상과 경상관계(鏡像關係)에 있는 요철을 롤요판의 표면에 형성시켜 놓고, 상기 DPS법으로 제조하면 된다. 이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샌드블라스트법이나 에칭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샌드블라스트법은, 롤요판의 바깥쪽 표면에다 연마재를 뿜어 블라스트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해당 연마재로는, 평균 입자직경 1 ~ 100㎛ 정도의 탄화규소, 알란덤(alundum), 코런덤(corundum), 알루미나, 산화크롬, 산화지르코늄, 가넷 등의 입자나, 백색 용융알루미나, 녹색 탄화규소, 백색 지르콘 등의 세라믹 비즈, 유리 비즈가 적용될 수 있다. 미세한 요철형상으로는, JIS-B-0601에 준거한 표면거칠기(Rz)로 0.5 ~20.0이다.
전리방사선이라 함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가진 것을 의미하는바, 통상적으로 자외선과 전자선 등이 쓰이고 있다. 경화장치(117)로서, 자외선의 경우에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블랙라이트 램프, 메탈하라이드 램프와 같은 파장 190 ~ 380nm의 자외선 중 적어도 일부 파장의 자외선을 복사 스펙트럼 중에 포함하는 광원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전자선의 경우에는, 콕크로프트월튼형, 반디그래프형, 공진변압기형, 절연코어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가속기 등의 조사원(照射源)을 구비한 장치를 이용할 수가 있는바, 50 ~ 1000keV, 바람직 하게는 70 ~ 300keV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조사하게 된다. 조사선량(照射線量)으로는, 통상 0.5 ~ 30M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면광원장치)
본 발명의 면광원장치(50)는,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적어도 광원(21)과, 이 광원(21)의 광을 소정 방향으로 면투광하는 반사판(27)과, 광확산필름(1)과, 렌즈필름(40; 단, 렌즈의 치수는 확대 과장해서 도시함)과, 필요에 따라 다른 광학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광원(21)에서 출사되는 광을 최초로 받는 위치인 반사판(27)의 개구부(27b) 바로 위쪽에 광확산필름(1)이 배치되어 있다. 렌즈필름(40) 등 다른 광학필름 및 액정표시 패널(30)이 광확산필름(1) 보다 위쪽에 재치되어, 광원(21)으로부터의 광 중 자외선을 제거한 가시광선이 액정표시 패널(30)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광확산필름(1)에 자외선흡수제가 함유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통상, 화상표시에 필요한 충분한 휘도를 얻기 위해 광원(21)은 복수로 배치된다. 예컨대 21인치(대각선 길이) 화면용인 경우, 냉음극선관을 12개 정도 배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면광원장치(50)는, 광원(21)으로부터 출광하는 광을 최초로 수광하는 광확산필름(1)에서 광원광의 자외선을 흡수해서 제거한다. 따라서, 그 위에 위치하는 렌즈필름(40)이나 편광필름 같은 기타의 광학필름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고, 그 광학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일도 없다.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 액정표시장치(6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 면광원장치 (50)의 출광측에 액정표시 패널(30)이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60)는, 공지의 각종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바, 흑백이어도 컬러(천연색을 포함)이어도 좋다. 또, 시계나 전자탁상계산기, 각종 계기, 워드 프로세서 등의 표시부에 이용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고, 텔레비젼용, 전자계산기의 출력모니터용 등의 일반적인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강력하고 복수의 광원을 가지는 직하형 방식의 면광원을 가지는 대형화면의 TV나 공공장소의 게시용 등의 모니터이다.
이하, 구체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다시 상세히 설명하는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투명기재(11)로는, 두께 188㎛의 2축연신한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의 필름 A4300(도요방적사제, PET필름 상품명)을 이용하였다. 롤요판으로는, 철심 표면에 크롬도금을 하고, #250의 액체 샌드블러스트처리를 한 후에, 재차 크롬도금처리를 해서, 표면에 JISB0601(1994년판) 규정의 10점 평균 표면거칠기(Rz)가 1.3㎛인 미세한 요철형상을 형성하였다.
광확산층(15)의 형성방법으로는,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DPS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롤요판(101)을 회전시켜, 롤요판(101)의 적어도 오목부(112)에 다음과 같은 조성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을 이용해서 충전하였다. 롤요판(101)의 회전방향에 동기해서 주향하는 상기 투명기재(11; 표면측이라 함)를 접촉시켰다. 이렇게 접촉해 있는 사이에, 투명기재(11) 측으로부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에, 자외선 램프 D밸브(117a; 후젼사제, 경화장치 상품명) 240W/cm의 등 2개를 이용해서, 75%, 주행 속도 15(m/분)로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켰다. 경화와 동시에 경화된 전리방사선 경화수지(경화물(113a))와 투명기재가 밀착이 되고, 또 오목부(112)의 미세한 요철형상이 부형되었다. 경화물과 투명기재를 롤요판으로부터 박리해서, 투명기재(11) 상에 광확산층(15)을 형성하였다.
투명기재(11)의 이면측에도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확산층(15)을 설치하여, 실시예 1의 광확산필름(1)을 얻었다. 이 광확산필름(1)의 양면에는, 롤요판의 표면형상에 대응하는 역형상의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1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으로는,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8질량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 트리플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히드록시피바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아데카스타브 LA-31(아사히전화공업사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2질량부, 이르가큐아 184(티바스페샤리티케미컬사제, 광개시제 상품명) 5질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2
아래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확산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으로는, 5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9질량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히드록시피바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CHIMASS0RB-119FL(나가세산업사제,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 1질량부, 이르가큐아 184(치바스페샤리티케미칼사제, 광개시제 상품명) 5질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3
아래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확산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으로는, 3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마 59.5질량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히드록시피바린산 네오펜틸그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CHIMASS0RB-81FL(나가세산업사제,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0.5질량부, 이르가큐아 184(티바스페샤리티케미컬사제, 광개시제 상품명) 5질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4
아래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확산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으로는, 5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9.5질량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히드록시피바린산 네오펜틸그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자롤(API코퍼레이션사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0.5질량부, 이르가큐아 184(치바스페샤리티케미칼사제, 광개시제 상품명) 5질량부로 하였다.
(비교예 1)
아래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을 이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광확산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액으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마 60질량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 트리플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히드록시피바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이르가큐아 184(치바스페샤리티케미칼사제, 광개시제 상품명) 5질량부로 하였다.
(평가방법)
광확산성, 색상변화, 투명성으로 평가하였다.
광확산성은 JIS-K7361에 준거한 헤이즈로, 투명성은 전광선투과율을 이용하였다. 광확산성 및 투명성은 JIS-K-7361-1에 준거해서, 헤이즈미터 HM150(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제, 상품명)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색상은, JIS-Z-8729에 준거한 L*, a*, b* 표색계에서의 색상 b*(b스타 값)을, 색채휘도계 BM-7(탑콘사제, 상품명)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은, 12개의 냉음극선관을 평행하게 배열한 광원을 가진 21형(21인치) 면광원장치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확산필름을 조립한 후, 면광원장치의 화면 중앙부의 색상(b*)을, 조립 직후 및 발광 5000시간 후에 측정을 해서, 전후의 차이를 색상변화(b*)를 지표로 하였다.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항목 UV흡수제 색상변화 (b*값) 전광선투과율 (%) 광확산성 (헤이즈 %)
실시예 1 벤조트리아졸계 0.2 90.2 30.9
2 힌더드아민계 0.3 90.3 31.1
3 벤조페논계 0.4 90.4 31.3
4 살리실레이트계 0.3 90.6 32.1
비교예 1 없음 2.8 90.5 34.1
(평가결과)
실시예 모두가 광확산성(헤이즈)이 양호하고, 또, 투명성도 90% 이상으로 양호하고, 색상변화도 1.0 이하이고, 눈으로 보아 황변(黃變)도 관찰되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자외선에 의해서도, 황색 등으로의 변색이 억제되어 있었다.
비교예에서는, 광확산성(헤이즈)과 투명성은 좋았지만, 색상변화는 2.8로서 크고, 눈으로 보아서도 황색미를 띄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광확산필름을 이용하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서, 12개의 냉음극관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광원으로 하고, 다른 부재는 공지의 것을 이용하여, 21형(21 인치) 면광원장치를 얻었다. 이 면광원장치는, 전면에 걸쳐 착색이 인지되지 않고, 또한 균일하고 충분한 휘도를 갖고 있었다. 점등 5000시간 후에도 황변 등의 색상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6
실시예 5의 면광원장치를 이용해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투과형 액정패널을 재치하고, 21형(21인치) TV모니터(액정표시장치)를 얻었다. 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화상은 양호한 화질이었다. 화상을 표시하고서 5000시간 후에도, 화상에 화질 등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13)

  1. 투명기재와,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을 구비하되,
    상기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을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투명기재의 양쪽의 면에 설치되고,
    각 광확산층은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각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흡수제는,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평행하게 배열된 12개의 냉음극선관으로 된 광원을 포함하는 직하형 면광원부를 구비하는 21형(21인치) 면광원장치에 조립된 경우, 조립 직후와 각 광원의 점등 5000시간 후에 측정한, 면광원장치의 화면 중앙부의 JIS-Z-8729에 준거하는 L*, a*, b* 표색계에서의 색상변화(b*)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필름.
  7.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광원과, 이 광원을 에워쌈과 더불어 출광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면에 광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직하형 면광원부와,
    상기 직하형 면광원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광확산필름과,
    상기 광확산필름의 출광측에 배치된 렌즈필름을 구비하되,
    상기 광확산필름이,
    투명기재와,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을 구비하며,
    상기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상기 투명기재의 양쪽의 면에 설치되고,
    각 광확산층은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각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흡수제는, 힌더드아민계 라디칼포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하형 면광원부가 광원으로서 평행하게 배열된 12개의 냉음극선관을 포함하고,
    상기 면광원장치는 21형(21인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광확산필름을 면광원장치에 조립한 직후와 각 광원의 점등 5000시간 후에 측정한, 면광원장치의 화면 중앙부의 JIS-Z-8729에 준거하는 L*, a*, b* 표색계에서의 색상변화(b*)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13. 면광원장치와,
    상기 면광원장치의 출광측에 배치된 액정표시 패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면광원장치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광원과, 이들 광원을 에워쌈과 더불어 출광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면에 광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직하형 면광원부와,
    상기 직하형 면광원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광확산필름과,
    상기 광확산필름의 출광측에 배치된 렌즈필름을 구비하되,
    상기 광확산필름이,
    투명기재와,
    상기 투명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매개로 설치된 광확산층을 구비하며,
    상기 광확산층이 적어도 전리방사선 경화수지와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광확산층의 표면에 광확산기능을 발현하는 미세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7013082A 2004-01-05 2004-12-28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Ceased KR20060116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0125 2004-01-05
JPJP-P-2004-00000125 2004-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016A true KR20060116016A (ko) 2006-11-13

Family

ID=3474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82A Ceased KR20060116016A (ko) 2004-01-05 2004-12-28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7598B2 (ko)
JP (1) JPWO2005066663A1 (ko)
KR (1) KR20060116016A (ko)
DE (1) DE112004002586T5 (ko)
TW (1) TW200528873A (ko)
WO (1) WO20050666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004B1 (ko) * 2007-02-21 2014-08-05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요철 패턴 형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8896923B2 (en) 2006-05-10 2014-11-25 Oji Holdings Corporation Corrugated pattern forming shee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tireflector, retardation plate, original process sheet plate, and optical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8708B2 (en) * 2004-04-16 2008-08-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ffusing sheet, surface light source unit, and transmission type display
JP4666575B2 (ja) * 2004-11-08 2011-04-0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セラミック溶射部材の製造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セラミック溶射部材
JP4640248B2 (ja) * 2005-07-25 2011-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光源装置
WO2007023971A1 (ja) * 2005-08-22 2007-03-01 Tocalo Co., Ltd. 熱放射特性等に優れる溶射皮膜被覆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23976A1 (ja) * 2005-08-22 2007-03-01 Tocalo Co., Ltd. 耐損傷性等に優れる溶射皮膜被覆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71561B2 (ja) * 2005-09-08 2010-10-27 トーカロ株式会社 耐プラズマエロージョン性に優れる溶射皮膜被覆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87552B1 (ko) * 2006-02-17 2012-10-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광확산성을 갖는 플레이트
JP4643478B2 (ja) * 2006-03-20 2011-03-02 トーカロ株式会社 半導体加工装置用セラミック被覆部材の製造方法
US7850864B2 (en) * 2006-03-20 2010-12-14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treating apparatus and plasma treating method
US7648782B2 (en) * 2006-03-20 2010-01-19 Tokyo Electron Limited Ceramic coating member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JP2008180936A (ja) * 2007-01-25 2008-08-07 Nitto Denko Corp 色純度向上シート、光学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600008B2 (ja) * 2007-02-16 2014-10-01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拡散プレート
JP2008266409A (ja) * 2007-04-18 2008-11-06 Goyo Paper Working Co Ltd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シート
KR100912262B1 (ko) * 2007-08-28 2009-08-17 제일모직주식회사 균일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974195B1 (ko) * 2007-11-23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시트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JP2009223198A (ja) * 2008-03-18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Ltd 輝度向上フィルム積層光拡散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2799B1 (ko) * 2008-05-28 201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7787074B2 (en) 2008-05-28 2010-08-31 Lg Electronics Inc.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00012666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20120026428A1 (en) * 2009-03-30 2012-02-0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10417B2 (ja) * 2009-09-10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10054464A (ko) * 2009-11-17 2011-05-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180747B1 (ko) * 2010-03-17 2012-09-10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광경화성 조성물, 광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일체화한 백라이트 유닛용 복합 광학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2046754A1 (ja) * 2010-10-05 2014-02-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光学シート
JP5914751B2 (ja) * 2013-03-28 2016-05-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
CN107533161B (zh) * 2015-11-20 2020-08-04 Agc株式会社 带膜的弯曲基材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CN107238977A (zh) * 2017-08-07 2017-10-10 河源市乐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散热的液晶显示屏
JP7041542B2 (ja) * 2018-02-16 2022-03-24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11327205B2 (en) * 2019-07-29 2022-05-10 Viavi Solutions Inc. Encapsulated diffus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6850A (en) 1978-07-20 1986-03-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aped plastic articles having replicated microstructure surfaces
JPH05203939A (ja) 1991-11-25 1993-08-13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法
JP3233669B2 (ja) 1991-12-25 2001-1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JPH1150009A (ja) 1997-07-31 1999-02-23 Canon Kasei Kk 防曇性塗膜、防曇性物品および防曇性塗膜形成用組成物
JP2001021706A (ja) * 1999-07-02 2001-01-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フィルム、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1042108A (ja) 1999-07-29 2001-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マットフィルム、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159703A (ja) 1999-12-03 2001-06-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フィルム、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827932B2 (ja) * 2000-01-31 2006-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US6787202B2 (en) * 2000-02-10 2004-09-07 Teijin Limited Polyester film composite, light-diffuser plate and utilization thereof
JP4181794B2 (ja) 2001-06-01 2008-11-1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異方性拡散フィルム
JP2003248218A (ja) 2001-12-18 2003-09-05 Mitsubishi Chemicals Corp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TW200302943A (en) 2001-10-31 2003-08-16 Mitsubishi Chem Corp Display apparatus
JP4198372B2 (ja) * 2002-03-22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005070253A (ja) 2003-08-22 2005-03-17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背面光源用反射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6923B2 (en) 2006-05-10 2014-11-25 Oji Holdings Corporation Corrugated pattern forming shee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tireflector, retardation plate, original process sheet plate, and optical element
KR101414004B1 (ko) * 2007-02-21 2014-08-05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요철 패턴 형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6522B1 (ko) * 2007-02-21 2014-11-04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요철 패턴 형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9311B (ko) 2012-03-01
JPWO2005066663A1 (ja) 2007-12-20
US7497598B2 (en) 2009-03-03
WO2005066663A1 (ja) 2005-07-21
DE112004002586T5 (de) 2006-11-16
US20070177386A1 (en) 2007-08-02
TW200528873A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6016A (ko) 광확산필름,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JP4938767B2 (ja) 輝度上昇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79239B1 (ko) 광확산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광확산성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4178697A (ja) 反射偏光子および該反射偏光子を有する表示装置
US20080213513A1 (en) Antiglare film
WO2010113873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102897A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10097935A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0113879A1 (ja) 液晶表示装置
KR101962962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KR101897285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KR101895077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KR10200650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WO2012074123A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701540B1 (ko) 표면 처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65547A (ja) 面光源装置
KR101068635B1 (ko) 인각율이 향상된 고휘도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008B1 (ko) 확산 및 차폐기능을 갖는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007B1 (ko) 확산성이 개선된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7633A (ko) 집광형 광학시트
KR20100104615A (ko) 휘도 특성이 향상된 확산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69052A (ko) 광학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