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3898A -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898A
KR20060113898A KR1020067007437A KR20067007437A KR20060113898A KR 20060113898 A KR20060113898 A KR 20060113898A KR 1020067007437 A KR1020067007437 A KR 1020067007437A KR 20067007437 A KR20067007437 A KR 20067007437A KR 20060113898 A KR20060113898 A KR 2006011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quiring
calculating
publication
total
management fina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마스야마
카오루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히로아키 마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히로아키 마스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피.비.
Publication of KR2006011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기업의 수익과 특정 기업이 보유하는 특허의 건수를 취득해서 총유효특허건수(또는 실용신안건수) 1건당, 얼마만큼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해서 출력할 수 있는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고,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며,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고,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고,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건의 특허가 어느 만큼 기업의 수익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수를 산출해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ENTERPRISE EVALUATION DEVICE AND ENTERPRISE EVALUATION PROGRAM}
본 발명은, 기업의 재무정보에 기초해서 각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00-348015호 공보에는, 소정의 갱신 간격을 갖는 제1의 데이터와 갱신 간격이 상기 제1의 데이터보다 짧은 제2의 데이터로부터, 경시적으로 변동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평가하는 시스템으로서, (a)샘플 대상의 제1의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서, 제1의 평가 모델을 작성하는 수단과, (b)상기 샘플 대상의 제1의 데이터를 제1의 평가 모델에 적용하여 제1의 평가 출력을 산출하는 수단과, (c)샘플 대상의 제2의 데이터와 제1의 평가 출력의 입력에 따라서, 제2의 평가 모델을 작성하는 수단과, (d)평가대상의 제1의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의 데이터를 제1의 평가 모델에 적용하여 제2의 평가 출력을 산출하는 수단과, (e)상기 평가대상의 제2의 데이터와 상기 제2의 평가 출력을 제2의 평가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평가대상의 평가 출력을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경시적으로 변동할 수 있는 평가대상의 평가항목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평가 시스템에서는, 재무 데이터에 기초해서 경제의 변화를 반영하도 록, 1년이나 4반기 마다 등 비교적 갱신기간이 긴 데이터에 기초한 기업평가에, 매일 변동하는 주가나 금리·환율 등과 같이 갱신기간이 비교적 짧은 데이터를 사용해서 그 변화를 예측하고, 평가하고 싶은 시점에 있어서 적시에 대상기업을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76042호 공보에는, 출원 중 혹은 등록 후의 발명 등에 관한 지적재산의 재산적 가치를 평가하는 지적재산 평가장치에 있어서, 실시이익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실시이익 입력수단과, 각 해마다의 복리현가율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리현가율 입력수단과, 상기 실시이익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각 해마다의 복리현가율에 관한 데이터를 곱해서, 각 해마다의 보상금연액의 복리현가율을 산출하는 복리현가 산출수단과, 상기 복리현가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각 해마다의 보상금연액의 복리현가를 각 해마다 합산함으로써 지적재산가액을 산출하는 지적재산가격 산출수단과, 상기 지적재산가격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지적재산가액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지적재산 평가장치, 지적재산 평가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상술의 지적재산 평가장치는, 등록된 특허와 그것에 관련되는 매상고나 이익등을 감가상각해서, 현존하는 특허의 자산가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각 특허의 가치의 평가는, 자사평가나 타사평가 등을 랭크를 붙여서 입력한 것을, 기여도로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표 2002-502529호의 공보에는, 적어도 1개의 특허 제1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스텝과, 법인 엔티티에 있어서 관심이 있는 적어도 1개의 비 특허정보 제2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스텝과, 1개 또는 복수의 그룹을 유지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의 1개 또는 복수의 그룹의 각각이 적어도 1개의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임의수의 특허를 가지며, 적어도 1개의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비특허정보와 함께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그룹의 1개의 상기 특허를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금융기관이나 투자가나 기업에 있어서는, 투자처나 거래처의 기업가치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종래, 이 기업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경영·재무나 주가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바탕으로, 기업가치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그 중에는 다변량해석이나 통계적 방법 및 데이터 마이닝 등의 방법을 이용해서, 평가대상이 되는 기업의 심사나 등급을 매기는 것을 행하는 것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기업가치에 차지하는 무형자산(intangible asset)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 무형자산의 가치가 기업가치를 크게 좌우하도록 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업가치는 총자산=부채+주주자본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대차대조표상의 장부가액이 아니라, 대략적으로는 주식의 시가총액+부채에 의해 산정된다. 따라서, 완전한 시가회계가 적용된 경우, 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에 의해 산출되는 금액이 기업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무형자산)의 타당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으로 되지만, 종래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산출해서 용도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개 2000-348015호 공보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결산기에 공표되는 재무 데이터와 같이 갱신 간격이 긴 데이터(정적 데이터) 뿐만 아니라, 주가 등과 같이 갱신 간격이 짧은 데이터(동적 데이터)도 입력해서 기업평가를 위한 모델을 작성하고, 이 모델에 평가대상이 관련되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경시적으로 변동될 수 있는 평가대상의 평가항목의 평가가 적시 또한 최신의 것으로서 산출된다고 되어 있지만, 기업에 있어서의 특허출원 1건당의 수익성이나, 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자세나 동향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76042호 공보에 기재된 지적재산 평가장치에서는, 특허 등의 지적재산의 1건 1건의 평가를 각 연도마다 평가하는 것이며, 특정 기업에 관한 평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표 2002-502529호의 공보에 기재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서는 특허정보의 데이터, 비특허정보 데이터(기업의 재무정보, R&D 정보, 제조 상품의 구성표, 제조제품의 R&D 비용, 제조제품에 관한 특허의 로열티 수입, 경합기업의 정보 등)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유저와 네트워크를 조합하여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해서 계산 처리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며, 유저가 평가를 행하는 것의 기재와, 기업이 제조하는 상품에 관련되는 특허를 조사함과 아울러, 이 특허에 관한 R&D 비용, 로열티 수입 등을 계산해서 처리하는 것의 기재가 있지만, (R&D)/(특허건수) 이외에 계산처리의 내용에 구체성이 없고,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실시곤란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한, 특정한 특허에 대해서가 아니라 기업이 갖고 있는 특허전반에 관해서 집계를 행하여, 이 정보와 재무정보와의 조합으로 기업을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주식시가총액 등은, 시장에 있어서의 주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가에 있어서 현재의 주가와 장부상의 주주자본에 의해 산출되는 무형자산의 가치가 타당한지의 여부는, 주식매매의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매우 중요한 요소로 되어 있다. 기업에서는, 자금을 조달하여 연구개발 등을 계속해서 행함으로써, 무형자산가치의 증대를 도모하고,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무형자산가치의 증대는 기업에 있어서 경영전략상의 중요과제로 위치되어 있다.
종래부터 무형자산을 평가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지만, 무형자산의 가치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받아들여서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또한, 특정 기업에 대해서 투자를 행할 경우나, 특정 기업과 제품의 공동개발을 행할 경우, 특정 기업에 취직을 희망할 경우 등에 있어서, 그 기업, 기술분야마다의 경향을 알거나 장래성을 예측하거나 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상황을 감안하여, 특정 기업의 수익과 특정 기업이 보유하는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건수를 취득해서 총유효특허건수(또는 실용신안건수) 1건당, 얼마만큼의 수익을 올리고 있을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해서 출력할 수 있는,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총유효특허건수 1건당의 수익성과,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자금의 투입규모에 기초해서,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에 대한 자세를 판단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 초과 부가가치액, 초과 제조판매이익, 초과 지적자산수익, 또는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얄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α,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β,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γ, 또는,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δ의 특허수익성의 지표를 복수의 기업에 대해서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복수의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지표에 대해서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는,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과,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과,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과,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과,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기업평가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업평가장치의 신호처리계 블록도이다.
도 3은, 경영재무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술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는,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6은,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7은,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R&D 특허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8은,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R&D 특허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9는,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10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 α, β, γ, δ의 지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α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β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γ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δ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α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전기기기업계의 11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α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β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전기기기업계의 11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β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각종 지표를 산출하고, 출력할 때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산출할 때에 대상이 되는 업계 또는 대상이 되는 각각의 기업의 조건을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메뉴 중에서, 「(PE)특허수익성지표」의 항목을 선택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메뉴 중에서, 「(R)연구개발 관련지표」의 항목을 선택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R)연구개발 관련 지표」의 하위에 존재하는 각 지표를 풀다운 메뉴의 형태로 표시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산출한 지표의 출력조건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업가치평가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가치평가 시스템은 경영재무정보, 기술문헌(특허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실용신안에 관한 정보, 기보 등을 포함한다), 시장가치정보(시장가치의 수치정보),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판정하는 한계값 및 상기 한계값에 기초하는 타당성의 판정결과, 구분 등의 각종 정보 등을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20)와, 경영재무정보, 기술문헌, 시장가치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해서,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판단한 결과나 지표를 출력하는 기업평가장치(30)와, 상기 기업평가장치(30)와 데이터베이스(20)를 통신 접속하고 있는 인터넷이나 전용 통신회선 등의 통신망(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0)는 기업평가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30)의 신호처리계 블록도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평가장치(30)의 정보송수신부에는, 공중회선 또는 통신 네트워크 등의 통신망(364)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수단(365)(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또는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업평가장치(30)에는, 이용자가 입력수단(370)을 통해서 입력한 각종 정보를 취득해서 후술하는 정보처리수단에 전달하거나, 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서 LED 등에 표시지령을 출력하는 입력 인터페이스(371)와, 화상이나 문자, 그래프, 또는 도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372)과, 정보처리수단의 지령에 기초해서 표시수단(372)에 대하여 표시용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인터페이스(373)(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화상이나 문자, 그래프, 또는 도표 등의 정보를 프린터(32) 등의 인쇄수단에 출력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37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력수단(370)은 키보드나 마우스, 타블렛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평가장치(30)에는, 기록매체(377)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록매체 장착부(378)와, 기록매체(377)에 대해서 각종 정보를 기록하거나 판독하거나 하는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또는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매체(377)는 메모리카드 등의 반도체나, MO, 자기 디스크 등으로 대표되는 자기기록식, 광기록식 등의 착탈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한, 기업평가장치(30)에는, 기업평가장치(30)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380)과, 정보처리수단(380)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수가 기록되어 있는 ROM과, 정보처리수단(380)이 처리를 실행할 때의 작업영역으로 되는 기록수단인 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3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은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지적자산 기대수익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출력수단의 제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모든 처리를 정보처리수단(380)이 실행하는 대신, 복수의 전용 처리장치를 설치하여, 각각의 처리장치에 처리를 분담해서 실행하도록 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업평가장치(30)에는, 기업평가장치(30)의 처리에 관한 각종 정수나 네트워크상의 통신기기에 통신 접속할 때의 속성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ors), 게이트웨이 정보, DNS(Domain Name System) 등의 접속정보, 기업의 경영에 관한 경영재무정보, 특허에 관한 기술문헌, 특허정보, 시장가치정보, 기업가치를 판정하는 한계값 및 상기 한계값에 기초하는 타당성의 판정결과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수단(384)과, 기록수단(38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거나 기록수단(384)에 대해서 정보를 입력하는 처리를 행하는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또는 출력수단의 기능을 포함한다)와, 시간을 나타내는 카렌더 시계(390)가 설치되어 있다.
기업평가장치(30) 내의 정보처리수단(380)과, 표시 인터페이스(373), 메모 리(381),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카렌더 시계(390) 등을 포함하는 각 주변회로는 버스(399)에서 접속되어 있고, 정보처리수단(380)으로 실행되는 처리 프로그램에 기초해서 각각의 주변회로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경영재무정보, 기술문헌, 시장가치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베이스는, 기록수단(38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나, CD-ROM, CD-RW, DVD, MO 등의 기억매체(377)에서 제공되는 경우, 통신망(364)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데이터베이스(20) 등)로부터 취득하는 경우도 고려된다.
또한, 상기 기업평가장치(30)는 퍼서널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 여러가지 컴퓨터를 이용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컴퓨터를 네트워크에서 접속해서 기능을 분산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은 기업의 재무정보 등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정보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20), 기록수단(384), 기록매체(377) 등)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 영업이익, 연구개발비, 매상이익,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초과 부가가치액, 매상고,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부가가치액, 초과 제조판매이익, 초과 제조판매이익률, 평균의 초과 제조판매이익률, 매상고 제조판매이익,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 초과 지적자산수익, 총자산, 지적자산수익률,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 시장부가가치, 또는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공보 취득수단은,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등록 출원 등의 등록공보를,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20), 기록수단(384), 기록매체(377) 등)로부터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발명수 취득수단은,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은,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은,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영업이익과 연구개발비를 더해서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매상이익과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와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더한 값으로부터 일반관리비를 빼서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산출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매상고 부가가치액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부가가치액을 산출하고, 산출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산출수단은, 부가가치액을 매상고로 나누어서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함과 아울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초과 제조판매이익률로부터 평균의 초과 제조판매이익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산출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 산출수단은, 특정 기 업의 제조판매이익을 특정 기업의 매상고로 나누어서 특정 기업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함과 아울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평균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평균하는 복수의 기업이란, 화학이나 전기기기 등의 업종이어도 되고, 기업의 기술분야, 기업의 사업부, IPC, 섹션의 분류여도 된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산출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은, 지적자산수익률로부터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을 뺀 값에 총자산을 곱해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산출하고, 산출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은, 복수의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지표에 대해서,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은, 특허수익성과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있 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은,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처리수단(380) 등이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인터페이스(373),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프린터 인터페이스(374),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인터페이스(373), 송수신수단(365), 기록수단 인터페이스(385), 기록매체 인터페이스(379), 프린터 인터페이스(374),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출력수단은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에, 데이터베이스(20) 등의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경영재무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표를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영재무정보에는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와, 회사의 재무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와, 회사의 각종 정보를 조합시켜서 산출한 회사의 조합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경영재무정보의 데이터는, 조사대상이 되는 기업의 유가증권 보고서, 신문사나 연구소 등이 제공하고 있는 상용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정보에는 종업원수, 임원수, 자본금, 제작소수, 사업소수, 부지면적, 연면적, 부지소유율, 건물소유율, 연결의 종업원수, 연결의 임원수, 연결의 자본금, 연결의 제작소수, 연결의 사업소수, 연결의 부지면적, 연결의 연면적, 연결의 부지소유율, 또는 연결의 건물소유율 등이 포함된다.
회사의 재무정보에는 매상고, 매상이익, 영업이익, 매상이익률, 영업이익률, 총자산 시가총액비율, 주주자본 시가총액비율, 매상고 시가총액비율, 제조판매이익 시가총액비율, 영업이익 시가총액비율, 총자산 제조판매이익률, 주주자본 제조판매이익률, 총자산 영업이익률, 주주자본 영업이익률, 주주자본 비율, 시가총액 주주자본차액, 연구개발비, 매상고 연구개발비 비율, 제조판매이익 연구개발비 비율, 제조판매이익률, 영업이익 연구개발비 비율, 또는 제조판매이익 등이 포함된다.
또한, 회사의 재무정보에는 총자산, 유형고정자산, 설비투자액, 감가상각비,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금융자산(유동자산, 유동부채 등), 지불이자·할인료, 장기 프라임 레이트(장기 차입금리), 단기 프라임 레이트, 사채금리, 10년물 장기 국채이율, 인건비(임원보수, 노무비 포함), 복리후생비용, 주주자본, 발행필 주식총수, 주가(닛케이 평균주가 등), 또는 조세효과가 포함된다.
회사의 조합정보에는 종업원 1인당 매상고, 종업원 1인당 연구개발비, 종업원 1인당 매상이익, 종업원 1인당 영업이익, 종업원 1인당 제조판매이익 등이 포함된다.
도 4에, 데이터베이스(20) 등의 기록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술문헌의 일례의 도표를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술문헌에는 특허나 실용신안의 출원정보나, 등록정보 등의 특허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기술문헌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특허청의 특허전자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 CD-ROM 공보 등으로부터 취득한 특허나 실용신안에 관한 정보, 그 외의 기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출원정보에는, 예를 들면 기업별로 출원일, 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발명자, 출원인, 청구의 범위, 요약, IPC, FI, F텀, 대리인, 공개일, 공개번호, 심사청구의 유무, 심사청구일, 우선일, 우선권주장번호, 공표일, 공표번호, 재공표 공보 발행일, 재공표공보번호, 국제출원일, 국제출원번호, 국제공개일, 국제공개번호, 지정국, 출원건수, 심사청구건수, IPC별 출원건수, 키워드별 출원건수, 출원청구항수, 출원으로부터 심사청구까지의 연수(年數), 발명자수, 출원인원수(공동출원수), 국내우선의 수, 국내우선의 기초의 수, 외국으로부터의 우선의 기초의 수, 신규성 상실의 예외신청의 유무, 공개공보에 심사청구의 기재의 유무, 분할출원의 수, 출원취하의 수, 출원변경건수, 조기심사건수, 출원건수(외국국별), 발명자수(외국국별), 출원인원수(외국국별), 우선권주장처의 수(외국국별), 우선권주장의 기초의 수(외국국별), 출원분할의 유무(외국국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발명의 등록정보에는, 예를 들면 기업별로 설정의 등록일, 등록공보 발행일, 등록번호, 권리만료 예정일, 공고일, 공고번호, 유지연금 납부상황, 거절사정건수, 거절사정 확정일, 거절사정 청구항수, 거절사정 불복심판건수, 심사청구 후의 취하건수, 심사청구 후의 취하 청구항수, 무효심판의 수, 심판번호, 심결일, 무효심판의 청구항수, 보정각하·정정심판의 수, 이의신청의 수, 이의신청의 청구 항수, 등록특허의 발명자, 등록특허의 발명자수, 등록특허의 출원인, 인용문헌, 등록건수, 등록청구항수, 등록건수 중 실효된건수, 출원으로부터 등록까지의 연수, 특허등록률, 특허사정률, 심사청구로부터 등록까지의 연수, 우선심사의 유무, 거절이유횟수, 보정횟수, 보정(방식)횟수, 특허권의 설정등록의 유무, 존속기간의 연장등록의 유무, 특허권의 이전의 유무, 등록건수(외국국별), 등록소요연수(외국국별), 심사연수(외국국별), 거절이유횟수(외국국별), 보정횟수(외국국별), 보정(방식)횟수(외국국별), 이의신청의 유무(외국국별), 우선심사의 유무, 거절이유횟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5 및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각 지표와 그 계산식을 예시한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표 그룹으로서 「(A)투자」와, 「(B)경영재무분석」과, 「(C)수익관련」과, 「(D)초과수익분석」과, 「(M)시장평가 관련」과, 「(PE)특허수익성」을 설치하고 있고, 각 그룹 내에는 각 지표의 명칭의 예시와 그 개략의 계산식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R&D 특허관련」의 지표의 예를 일람으로서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표 그룹으로서 「(R)연구개발 관련」과, 「(PA)특허출원 관련」과, 「(PB)심사청구 관련」과, 「(PT)특허취득(등록) 관련」과, 「(PP)특허생산성」과, 「(PS)특허 스톡 관련」을 설치하고 있고, 각 그룹 내에는 각 지표의 명칭의 예시와 그 개략의 계산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가 산출하는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의 지표의 예를 일람으로서 나타낸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표 그룹으로서 「(PAP)특허출원 포트폴리오 분석」과, 「(PKA)특징적 키워드」와, 「(PSI)특허유사율 분석」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그룹 내에는, 각 지표의 명칭의 예시와 그 개략의 계산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각 지표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각 지표 중, 이하의 대분류와 그 아래의 계층에 포함되는 각 지표에 관한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지표의 명칭을 「특허수익성지표(PE)」와 같이 정의한다.
사업·수익·시장평가 관련:특허수익성지표(PE)
(1-1)특허수익성α
(1-2)특허수익성β
(1-3)특허수익성γ
(1-4)특허수익성δ
R&D 특허관련 지수:연구개발관련지표(R)
(2-1)연구개발비 비율α
(2-2)연구개발비 비율β
(2-3)연구개발비 비율γ
(2-4)연구개발비 비율δ
사업·수익·시장평가 관련:시장평가 관련지표(M)
(3-1)시장부가가치(MVA)
(3-2)주가 총자산 배율(PBR)
(3-3)지적재산 기대수익(EIPP)
상기의 특허수익성지표(PE)는, 보유하는 특허 또는 실용신안 1건당의 수익액으로부터, 특허 또는 실용신안의 수익성을 추측하기 위한 지표이다. 특허수익성지표(PE)에는 특허수익성 α, β, γ, δ의 지표 중 적어도 1개가 포함된다. 특허수익성지표(PE)는, 기업이 보유하는 총유효특허건수(또는 실용신안건수) 1건당, 얼마만큼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1)특허수익성α
특허수익성α는, 「제조판매이익(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을 분자에 배치하고, 「유효특허건수」를 분모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효특허건수 1건당의 총사업수익」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에 나타낸다.
특허수익성α
={(제조판매이익(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총유효특허건수(PSTE))…(식1)
단,
제조판매이익(GBP)={(매상이익)+(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영업이익)+(연구개발비)…(식2)
영업이익=(매상이익)-(일반관리비)…(식3)
연구개발비=(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식4)
총유효특허건수(PSTE)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의 총특허등록건수)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 내에 출원한 특허의 등록건수 중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총소멸 특허건수)…(식5)
소정기간:1994년 1월 1일~1996년 12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소정시기:1999년도 말일, 2000년도 말일, 2001년차 말일, 집계한 날 등의 월일을 나타낸다.
상기 식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수익성α는,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 금액(기업이 각 연도에 산출한 「총사업수익」)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따라서 특허수익성α의 지표는 유효특허 1건당의 총사업수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허수익성α를 산출하는 것에 즈음해서, 특허청의 CD-ROM 공보가 출원공개, 등록과 함께 존재하는 1994년차 이후, 소정시기까지의 특허출원에 대해서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에 대해서 집계하고 있다. 더 오래된 연차의 출원공개나 등록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으면, 더 오래된 연차부터 집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1994년 이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000년 이후 등 새로운 연차부터의 데이터를 집계해서 각 지표를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에, 특허수익성α를 산출할 때에 사용하는 총유효특허건수(PSTE)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총유효특허건수(PSTE)는, 상기 식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등록 출원 중,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 또는 등록 실용신안의 총등록건수(누계 특허등록건수(PTSP))로부터, 존속기간만료 등의 이유에 의해 소정시기까지 이미 소멸된 특허 또는 등록실용신안의 총수를 뺀 특허의 등록건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총유효특허건수(PSTE)는, 소정기간 내에 출원한 특허출원 또는 실용신안등록 출원에 대해서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 또는 등록 실용신안이, 각 연도말 등의 소정시기에 있어서 잔존하고 있는 총수를 나타낸다.
총유효특허건수(PSTE)의 지표는 일단 기업의 특허력을 나타낸다고 생각되고, 일반적으로 이 지표의 값이 높게 산출되는 기업일수록 특허에 의한 경쟁력이 뛰어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에서는, 특허유지 관리비용을 저감할 목적으로, 전략적으로 봐서 의의를 상실한 특허를 파기하고, 또한, 출원내용을 정밀히 조사함으로써 신규로 특허출원하는 안건을 좁히는 합리화도 진전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총유효특허건수(PSTE)의 값의 크기가 특허 스톡 전체의 가치의 대소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닌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특허수익성α를 산출할 때에 사용하는 제조판매이익(GBP)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식1의 분자에 배치한 제조판매이익(GBP=Gross Business Profit)이란, 상기의 식2에 나타내는 이익액이다. 상기의 식3, 식4에서는, 제조판매이익(GBP)을 산출할 때의 이익지표의 관계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
회계기준의 개정에 의해 2000년 3월기 이후의 결산에 있어서, 연구개발비는 원칙적으로 전액비용으로서 계상(計上)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종래, 제조비용이나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내역으로서 개시하지 않고 있는 기업이 다수 존재했지만, 이 규칙시행 이후, 손익계산에 따른 연구개발비액이 명확하게 되었다. 이것을 받아서, 여기서는 기업의 연구개발비의 실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목적으로, 「제조판매이익(GBP)」이라고 명명하는 지표를 개발했다. 이것은, 영업이익에 연구개발비를 더함으로써 구해지는 가정의 이익액(연구개발 활동을 제외하는 본업, 즉 제조판매 활동이 산출한 총이익액)을 검산한 것이다.
이 검산액은, 연구개발비가 전체 비용으로서 계상됨으로써 손익계산상, 연구개발 활동을 적극화할수록 영업이익은 압축되는 것이므로, 기술개발(지적재산)의 중요성이 의논되는 중, 영업이익의 관점만으로는 기업의 수익성에 관한 실태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하나의 시점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조판매이익(GBP)의 지표는, 대체로 매상이익과 영업이익의 중간에 위치되는 지표이며, 다른 지표와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상이익은 매상고로부터 제조원가를 뺌으로써 구해지는 매출이익이지만, 연구개발비에는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것과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는 반드시 제조판매이익과 매상이익과 영 업이익의 중간에 위치하는 이익지표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1-2)특허수익성β
특허수익성β는, 각 회사가 창출한 가치의 총액 중, 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초과 부가가치」와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 금액」을 더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PSTE)」로 나눔으로써 구해지는 지표이다. 특허수익성β는 유효특허 1건당의 초과 부가가치액을 나타낸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6에 나타낸다.
특허수익성β
={(초과 부가가치액)+(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총유효특허건수(PSTE))…(식6)
단,
초과 부가가치액=(매상고)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업종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식7)
매상고 부가가치액률=(부가가치액)/(매상고)…(식8)
상술한 특허수익성α가 수익의 전체(총사업수익)을 대상으로 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인 것에 대하여 특허수익성β는, 산출한 부가가치 중, 업계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만을 대상으로 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이다. 따라서, 동업종 내에 있어서의 특허수익성의 비교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가치액」이란,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에 있어서 산출 된 부가가치액이고, 매상고 중, 내부의 생산요소(사람, 물건, 돈)에 의해 산출된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내부의 생산요소에 배분된 부가가치액은 배분 전에 산출된 가치의 총체와 동의이기 때문에,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에 창출한 가치의 총액을 나타내고 있다. 부가가치액은, 영업이익 및 경상이익과 같이 각 요소로의 배분 후의 결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배분 전에 산출된 가치의 총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특정 기업의 수익력을 분석할 때에 사용하면 된다. 부가가치액의 계산예를 식9에 나타낸다.
부가가치액=(영업순익)+(지불이자·할인료)+(연구개발비)
+(감가상각비)+(인건비(임원보수 포함))
+(복리후생비용)+(조세공과)…(식9)
단,
영업순익=(영업이익)-(지불이자·할인료)이므로,
영업이익=(영업순익)+(지불이자·할인료)로 두어도 된다.
(1-3) 특허수익성γ
특허수익성γ는, 각 기업이 제조판매 활동에 의해 얻은 사업수입 중, 업종평균에 대해서 초과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초과 GBP」와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분자에 배치하고, 「총유효특허건수」를 분모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효특허 1건당의 초과 총사업수익액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0에 나타낸다.
특허수익성γ={(초과 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총유효특허건수)…(식10)
단,
초과 GBP
=(매상고)×{(매상고 GBP율)-(업종평균의 매상고 GBP율)…(식11)
매상고 GBP율=(제조판매이익(GBP))/(매상고)…(식12)
특허수익성α의 지표가 수익의 전체(총사업수익)을 대상으로 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인 것에 대해서 특허수익성γ는, 제조판매이익(GBP) 중, 업계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인 「초과 GBP」와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만을 대상으로 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의 지표이다. 특허수익성β와 마찬가지로 동업종 내에 있어서의 특허수익성의 비교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11에 나타낸 초과 제조판매이익(초과 GBP)을 사용함으로써, 동업종에 있어서의 타사와의 비교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조사대상의 기업이 업종의 평균과 비교해서 뛰어난지 뒤떨어지는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1-4) 특허수익성δ
특허수익성δ는, 각 회사가 오프 밸런스(대차대조표에 기재되지 않는 무형의) 지적자산을 원천으로 해서 산출되었다고 추정되는 수익액 중, 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눔으로써 구해지는 지표이며, 유효특허 1건당의 초과 지적자산수익액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3에 나타낸다.
특허수익성δ=(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총유효특허건수)…(식13)
단,
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
=(총자산)×{(지적자산수익률)-(업종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식14.1)
특허수익성δ는, 총사업수익으로부터 온 밸런스(대차대조표상)의 자산으로부터 얻어져야 하는 기대수익을 공제한 잔여액인 「지적자산수익」의 업계 평균값을 상회하는 부분에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을 더한 지표이며, 회계정보를 이용한 매크로적 어프로치에 의해 특허의 「질」을 추측하는 수단으로서 유효한 방법 중 하나다.
상기의 초과 지적자산수익(Excess Earnings On Intellectual Asset)은, 도 6에 나타내는 (D)초과 수익분석에 포함되는 지표이고, 특정 기업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지적자산수익으로부터 동업종 평균액을 뺀 차액에 총자산을 곱한 지표를 말한다.
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은, 오프 밸런스(대차대조표에 기재되지 않는 무형의) 지적자산을 원천으로 해서 산출되었다고 추정되는 특정 기업의 수익액 중, 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음에 상기 식14.1에 나타낸 지적자산수익률(ROIA)에 대해서 설명한다.
지적자산수익률(Return On Intellectual Asset)은, 도 5에 나타내는 (C)수익관련에 포함되는 지표이고, 「지적자산수익(EOIA)」의 「총자산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4.2에 나타낸다.
지적자산수익률(ROIA)=(지적자산수익(EOIA))/(총자산)…(식14.2)
상기 식1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적자산수익률(ROIA)을 산출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이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총자산, 제조판매이익, 특허 로열티 수입, 금융자산, 금융자산의 수익률, 유형고정자산, 및 유형고정자산의 수익률을 취득하고,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지적자산수익 산출수단이,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으로부터, 금융자산에 금융자산의 수익률을 곱한 값과, 유형고정자산에 유형자산의 수익률을 곱한 값을 빼서 지적자산수익을 산출하고,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지적자산수익률 산출수단이, 지적자산수익을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지적자산수익률을 산출한다.
상기 식14.2에 기재된 지적자산수익(Earnings On Intellectual Asset)은, 도 5에 나타내는 (C)수익관련에 포함되는 지표이고, 제조판매이익(GBP)에 영업외 수익으로 계상된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을 더한 소위 총사업수익으로부터, 대차대조표에는 직접 보여지지 않는 금융자산의 금리와 유형고정자산의 금리를 공제한 수익액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4.3에 나타낸다.
지적자산수익(EOIA)
={(제조판매이익(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금융자산)×(수익률(m))+(유형고정자산)×(수익률(f))…(식14.3)
단,
제조판매이익(GBP):식2~식4 참조
금융자산:대차대조표상에 있는 금융자산(=(유동자산:)-(유동부채))의 기초· 기말평균을 나타낸다
유형고정자산:대차대조표위에 있는 유형고정자산의 기초·기말평균을 나타낸다
수익률(m):금융자산의 수익률(단기 프라임 레이트를 준용해도 된다.)
수익률(f):유형고정자산의 수익률(장기 프라임 레이트를 준용해도 된다.)
금융자산은 비교적 단기 차입 변제이므로, 수익률(m)에 단기 프라임 레이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고정자산의 반환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치므로, 수익률(f)에는 장기 프라임 레이트의 값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수익률(m) 및 수익률(f)에 대해서는, 그때마다의 분석목적에 따른 값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기 변동금리 등과 같이 자유롭게 이율을 선택해서 분석해도 된다.
상기 식1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적자산수익(EOIA)을 산출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이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조판매이익, 특허 로열티 수입, 금융자산, 금융자산의 수익률, 유형고정자산, 및 유형고정자산의 수익률을 취득하고,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지적자산수익 산출수단이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으로부터, 금융자산에 금융자산의 수익률을 곱한 값과, 유형고정자산에 유형자산의 수익률을 곱한 값을 빼서 지적자산수익을 산출한다.
또한, 식2~식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영업이익과 연구개발비를 사용해서 지적자산수익을 산출해도 되고, 매상이익, 일반관리비, 연구개발비, 영업이익,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사용해서 지 적자산수익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식1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적자산수익(EOIA)은, 온 밸런스(대차 대상표상)의 자산으로부터 얻어져야 하는 기대수익을 총사업수익으로부터 공제한 잔여액으로 말할 수 있다. 지적자산수익(EOIA)은, 온 밸런스의 자산으로부터는 설명이 붙지 않는 수익이 존재한다는 가정 아래, 오프 밸런스(대차대조표에 기재되지 않는 무형)의 지적자산을 원천으로 해서 산출되었다고 추정되는 수익액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지적자산수익(EOIA)은, 기업의 사업규모에 의해서도 크게 다를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각 회사의 수익성을 상대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총자산규모에 대한 지적자산수익(EOIA)의 비율을 산출한 지표가 상술의 지적자산수익률(ROIA)이다. 이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기업의 규모의 대소에 관계없이, 총자산에 대한 지적자산수익을 거의 같은 조건에서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도 7에 나타낸 (R)연구개발 관련의 지표의 일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연구개발비 비율α
연구개발비 비율α는, 각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매상고」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매상고 연구개발비 비율」또는 「R&D 비율」이라고도 불리는 수치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5에 나타낸다.
연구개발비 비율α=(연구개발비)/(매상고)…(식15)
단,
연구개발비=제1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
매상고=제2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매상고
제1의 소정기간:2001년 4월 1일~2002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2의 소정기간:2003년 4월 1일~2004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1의 소정기간과 제2의 소정기간은, 상기의 예와 같이 다른 기간을 설정해도 되고, 동일한 기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의 계산예에서는, 연구개발의 결과가 상품의 매상고에 반영될 때까지 2년 정도 필요하게 되는 것을 전제로, 연구개발비 비율α를 산출할 때의 연구개발비의 투자기간(제1의 소정기간)과 그 투자가 반영된 매상고를 얻은 기간(제2의 소정기간)에 차를 형성하고 있다. 연구개발에 의해 얻어진 기술적 성과는, 상기 연도의 업적이 아니라 장래의 업적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대기업과 같이 매해의 연구개발비가 비교적 안정되게 추이하고 있을 경우에는, 굳이 제1의 소정기간과 제2의 소정기간을 다른 기간으로 설정할 필요성은 작다. 또한 벤처기업과 같이 연구개발비가 해마다 변동을 발생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제1의 소정기간과 제2의 소정기간을 다른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개발비 비율α를 산출할 때에는 상기 식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이 투자한 연구개발비를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매상고로 나누어서 산출한다.
연구개발비 비율α의 지표를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요소 중 하나인 매상고의 값은, 그 매상고에 차지하는 제품의 원가나 제조비용 등 업종이나 기업의 산업구조에 의해 크게 다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개발비 비율α의 값의 대소가, 반드시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성향을 나타내고 있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기업의 평가를 행할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연구개발비율의 β, γ, δ의 지표를 병용해서 고찰하면 된다.
(2-2) 연구개발비 비율β
연구개발비 비율β는, 각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부가가치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6에 나타낸다.
연구개발비 비율β=(연구개발비)/(부가가치액)…(식16)
단,
연구개발비=제1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
부가가치액=제2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부가가치액
제1의 소정기간:2001년 4월 1일~2002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2의 소정기간:2003년 4월 1일~2004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1의 소정기간과 제2의 소정기간은, 상기의 예와 같이 다른 기간을 설정해도 되고, 동일한 기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연구개발비 비율β를 산출할 때에는 상기 식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이 투자한 연구개발비를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부가가치액으로 나누어서 산출한다.
연구개발비 비율β는,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에 창출한 가치의 총액 중, 어느 정도의 비율을 연구개발 활동에 배분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이 연구개발비 비율β를 「연구개발 분배율」로 부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개발비 비율β는, 식15에 나타낸 매상고비율을 나타내는 연구개발비 비율α의 지표보다, 보다 본질적인 연구개발비 비율을 나타낸다고 생각할 수 있다.
(2-3) 연구개발비 비율γ
연구개발비 비율γ는, 각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제조판매이익(GBP)」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7에 나타낸다.
연구개발비 비율γ=(연구개발비)/(제조판매이익(GBP))…(식17)
단,
연구개발비=제1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
제조판매이익=제2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제조판매이익
제1의 소정기간:2001년 4월 1일~2002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2의 소정기간:2003년 4월 1일~2004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1의 소정기간과 제2의 소정기간은, 상기의 예와 같이 다른 기간을 설정해도 되고, 동일한 기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식17의 분모에 배치한 제조판매이익(GBP)은, 상술의 식2에 나타낸 지표이다.
연구개발비 비율γ를 산출할 때에는 상기 식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이 투자한 연구개발비를 제2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제조판매이익으로 나누어서 산출한다.
연구개발비 비율γ는, 특정 기업이 소정기간에 한 제조판매 활동에 의해 얻 은 사업수입 중, 어느 정도의 비율을 연구개발 활동에 배분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때문에, 연구개발비 비율γ의 값이 크게 산출되는 기업일수록 연구개발 투자성향이 높고, 0에 가깝게 산출되는 기업일수록 연구개발 투자보다 현재의 사업에 의한 이익확보중시의 경향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연구개발비 비율γ의 지표의 성질상, 어떠한 요인으로 영업이익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본 비율이 증대해서 산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히 연구개발 투자성향이 높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지표의 관찰에 즈음해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영업이익이 0이하로 되는 기업의 경우에는, 연구개발비 비율γ는 무의미한 값으로 되므로 이 경우에는 산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2-4) 연구개발비 비율δ
연구개발비 비율δ는, 각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총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8에 나타낸다.
연구개발비 비율δ=(연구개발비)/(총자산)…(식18)
단,
연구개발비=제1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연구개발비
제조판매이익=제2의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특정 기업의 제조판매이익
제1의 소정기간:2001년 4월 1일~2002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2의 소정기간:2003년 4월 1일~2004년 3월 31일 등의 기간을 나타낸다
제1의 소정기간과 제2의 소정기간은, 상기의 예와 같이 다른 기간을 설정해도 되고, 동일한 기간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연구개발비의 각 지표, α, β, γ가, 각 수익규모(플로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인 것에 대해서, 식18에 나타내는 연구개발비 비율δ는, 자산규모(스톡)로부터 본 연구개발비의 규모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하에, 도 6에 나타낸 시장관련지표(M)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장관련지표(M)에는 시장부가가치(MVA), 주가순자산배율(PBR),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 중 적어도 1개이상이 포함된다.
(3-1) 시장부가가치(MVA)
시장부가가치(Market Value Added)는, 주식시가총액으로부터 주주자본(순자산액)을 공제해서 구한 오프 밸런스의 기업가치액을 말한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19에 나타낸다.
시장부가가치(MVA)=(주식시가총액)-(주주자본)
={(발행필 주식총수)×(주가)}-(주주자본)…(식19)
단,
주식시가총액=(발행필 주식총수)×(주가)…(식20)
주가는 각 기업의 결산기말의 종가, 또는 시세가를 사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분석시기에 의해 분석시점의 주가를 사용해도 지장없다.
시장부가가치(MVA)는,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가치평가액(주식시가총액)으로부터 재무상의 주주자본금액을 공제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기업의 오프 밸런스 자산의 시장에 있어서의 평가액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장래 이익을 초래하는 유용한 특허를 보유하고, 불량채권이나 열화자산이 없 는 회사의 시장부가가치(MVA)이가 0이하라고 하면, 시장에 있어서의 과소평가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3-2) 주가순자산배율(PBR)
주가순자산배율(Price Book Value Ratio)은, 주식시가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21에 나타낸다.
주가순자산배율(PBR)=(주식시가총액)/(자기자본)…(식21)
주가순자산배율(PBR)은, 1주당의 주주자본(순자산액)에 대해서 주가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값이 1이하일 경우에는, 시장은 그 기업에 오프 밸런스의 자산이 없는지, 혹은 이러한 자산의 가치이상을 포함하는 손해(온 밸런스 자산의 열화나 장부외채무)가 있다고 보고 있다는 것으로 된다.
(3-3)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
지적자산 기대수익(Expected Intellectual Property Profit)은,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가치의 평가액{(부채)+(주식시가총액)}에 의해 얻어져야 하는 기대수익으로부터, 금융자산과 유형고정자산에 의해 얻어져야 하는 이론적인 기대수익을 공제한 기대수익액을 말한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22에 나타낸다.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
=(기업가치 기대수익)-{(금융자산)×(수익률(m))
+(유형고정자산)×(수익률(f))}…(식22)
단,
수익률(m)=금융자산의 수익률
수익률(f)=유형고정자산의 수익률
여기서, 기업가치 기대수익
=(고정부채)×(수익률(a))+(주식시가총액)×(수익률(p))…(식23)
단,
수익률(a)=고정부채의 수익률
수익률(p)=주식시가총액의 수익률
로 하면,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은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
={(고정부채)×(수익률(a))+(주식시가총액)×(수익률(p))}
-{(금융자산)×(수익률(m))+(유형고정자산)×(수익률(f))}…(식24)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은,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가치의 평가액에 의해 구해진 기대수익으로부터, 온 밸런스(대차대조표상)의 자산에 의해 구해진 기대수익을 공제한 잔여액인 본 기대수익은, 오프 밸런스(대차대조표에 기재되지 않는 무형의) 지적자산을 원천으로 해서 각 회사가 산출한다고 시장이 기대하는 수익액을 구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금액이 0이하일 경우에 시장은, 그 기업은 온 밸런스의 자산으로부터 얻어져야 하는 기대수익이하의 수익력밖에 없다고 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금액이 지적자산수익(제조판매이익(GBP)에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을 더한 소위 총사업수익으로부터 금융자산의 금리와 유형고정자산의 금리를 공제한 수익액을 말한다.)에서 구한 금액과 동등이상일 경우, 시장은, 그 기업에는 연구개발투자(회계상은 비용) 등의 성과로서의 지적자산이 그 투자액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대차대조표(밸런스 시트)에 있어서,
(자산)=(부채)+(자본)
이다. 또한,
(자산)=(유동자산)+(유형자산)+(무형자산)
이므로,
(무형자산)=(자산)-{(유동자산)+(유형자산)}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자산을 바꿔 놓음으로써,
(무형자산)={(부채)+(자본)}-{(유동자산)+(유형자산)}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적자산 기대수익(EIPP)은, 이것을 응용해서 무형자산을 창출한 지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융자산의 수익률(m)은, 단기 프라임 레이트로써 대용되어 있다. 또한, 유형고정자산의 수익률(f)은, 장기 프라임 레이트로써 대용되어 있다. 또한, 금융자산은 비교적 단기 차입 변제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익률(m)에 단기 프라임 레이트, 고정자산의 반환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치므로 수익률(f)은 장기 프라임 레이트의 값을 사용했다.
상기 식22에 나타낸 「기업가치 기대수익」은 기업가치에 의한 기대수익으로 서, 장기 차입금과 사채 등의 금리와 주주에게 지불하는 금리(배당)를 합계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고정부채의 「수익률(a)」은 고정부채를 구성하는 장기 차입금과 사채의 세금공제 후 금리의 가중평균을 산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기 프라임 레이트를 장기 차입금의 이율로서 대용하고, 사채이율은 사채에 대한 사채이익의 비율로 구하며, 각각 고정부채에 차지하는 장기 차입금과 사채의 비율로 가중해서 평균값을 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해진 가중평균값에 {1-(법인세율)}을 곱하고 있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25에 나타낸다.
수익률(a)
=[{(장기 프라임 레이트)×(장기 차입금)+(사채이율)
×(사채)}/{(장기 차입금)+(사채)}]×{(1-(법인세율))…(식25)
상기 식23에 나타낸 자기자본(=주식시가총액)의 「수익률(p)」은, CAPM(캐프엠) 방식에 의해 구하고 있다.
CAPM이란 Capital Asset Pricing Model의 머리 글자를 딴 것이고, 「자본자산 가격모델」로도 불려지고 있다. 자산운용을 할 때에 주식이나 안전자산(예금 등)을 조합시켜서 행할 경우에 이용되는 투자전략 중 하나이다. 그 계산식을 하기 식26에 나타낸다.
자기자본의 수익률(p)
=(리스크 프리 레이트)+(β값)
×{(마켓 리스크)-(리스크 프리 레이트)} …(식26)
리스크 프리 레이트는 전혀 리스크가 없는 상황에서도 붙어야 하는 최저한의 이자이고, 여기서는 10년물의 장기 국채이율을 사용한다. 마켓 리스크는 변동하는 리스크(이익)이며, 여기서는 주식투자수익의 30년 단순평균값(예를 들면 30년 전의 평균주가를 현재의 평균주가에서 뺀 것)을 이용한다.
β값은, 닛케이 평균주가의 추이와 비교해서 그 차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이 β값은, 주식시장에 대한 어느 기업의 감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1을 넘으면 주식시장의 평균적 추이보다 값의 오름 폭, 또는 값의 내림 폭이 커진다. 전력회사 등 안정적인 기업은 β값이 0에 가깝고, 정보계 벤처기업 등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형 기업에서는 β값이 높아진다.
간편하게 대략적인 목표로서, 어느 기업의 주가를 닛케이 평균주가의 추이와 비교했을 경우에, (1)그다지 크게 변동하지 않을 경우는 0.5, (2)거의 같은 변동일 경우는 1.0, (3)크게 변동할 경우는 1.5, (4)크게 변동하고 또한 매우 유동적일 경우는 2.0으로 하는 일도 있지만, 매우 정확하게 기업의 주가추이 변동을 구해서 계산하는 예도 있다.
상술의 값에 한하지 않고, 리스크 프리 레이트나 마켓 리스크 등 다른 값을 사용해도 되고, β값 등 상술의 계산에 따르지 않고 자유로운 값이어도 되며, 금리의 상하나 인플레율 등의 값으로 정해도 된다.
도 10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 α, β, γ, δ의 지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예에서는, 연구개발비 비율의 각 지표를, 동도의 안쪽 으로부터 특허수익성 α, β, γ, δ의 순서로 y축에 배치하고 있다. 특허수익성의 지표를 산출한 각 기업명은 DN, KO 등으로 해서 약칭을 x축에 배치하고 있다. z축에는 각 특허수익성 α, β, γ, δ의 값(백만엔)을 입체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수익성의 값이 마이너스의 값으로 산출되는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입체막대 그래프는, 정상이 검게 나타내져서 0(엔)베이스로부터 아래 방향(마이너스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도 10을 표시할 경우에는 특허수익성α, 특허수익성β, 특허수익성γ, 또는 특허수익성δ의 1이상의 지표를 복수의 기업에 대해서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이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한 복수의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지표에 대해서,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이 생성해서 표시수단 등에 출력한다. 특허수익성을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할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이차원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특허수익성α는, (제조판매이익(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지수이므로 플러스가 되지만, 특허수익성 β, γ, δ은 동업종과의 비교이며, 평균보다 위이면 플러스, 평균보다 아래이면 마이너스의 값을 취한다.
모든 특허수익성의 지수가 플러스로 산출되는 기업은 SU, KF, SB, HK, KO의 5사이며, 특허수익성α 이외가 모두 마이너스의 값으로 산출되는 기업은 SD, SK, MK, MT, SE, DN의 6사이다. AK사는, 특허수익성δ가 플러스의 값으로 산출되어 있 는 것 이외에는 모두 마이너스의 값으로 산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도 10에 예시한 13사는 평균보다 위의 기업과 아래의 기업이 거의 반반인 것을 알 수 있다.
KO사의 특허수익성은, 각 지수모두 플러스의 값으로 산출되어 금액도 높다. 특히 특허수익성α의 지표{(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가 타사보다 우수해서 높은 것이 확인되고, 또한 부가가치액, 지적자산수익도 동업종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유효특허 1건당에 대하여 높은 이익을 산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HK사에 대해서도 거의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한편, 특히 특허수익성의 값이 마이너스의 측에 크게 산출되어 있는 DN사는, 특허수익성α도 그다지 높지 않고, 유효특허 1건당의 {(제조판매이익(GBP))+(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값이 낮으며, 부가가치액, 지적자산수익이 동업종보다 뒤떨어져 있으므로, 특허로부터 얻어지는 수익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SD사, SK사에 대해서도 거의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다음에, 특허수익성의 각 지표와 다른 지표를 조합시켜서 비교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α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특허수익성α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시장부가가치(MVA)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KO, SK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 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우선 특허수익성α를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이 산출한다. 그리고,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허수익성α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이 생성해서, 표시수단 등에 출력한다. 특허수익성을 시장부가가치(MVA)와 관련지어서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차원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입체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동도의 y축에 나타낸 시장부가가치(MVA)는, 「주식시가총액(기업가치평가액)」으로부터 「주주자본」의 금액을 뺀 것이므로, 시장의 기업평가가 주가에 반영되어서 시장의 평가가 높은 기업은 주가도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동도에 따르면, 총유효특허건수의 1건당의 특허수익성α의 값이 어떻게 시장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볼 수 있다.
특허수익성α는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를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것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수익성α는, KO사가 특히 높은 값으로 산출되고, 동시에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높은 값으로 산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SU사도, 특허수익성α가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고 시장부가가치(MVA)도 높은 값을 나타낸다. 이 2사가 뛰어나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허수익성α가 높게 산출되는 기업은,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가 많거나, 혹은, 유효특허건수가 적어도 매우 강력한 특허를 갖고 있어서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가 어느 정도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있는 기업은 상기 SU사, KO사의 2사 외에, SK사, MK사, MT사, SB사 등 6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의 기업은 HK사, KF사, AK사, DC사, SD사, SE사 등 6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상위의 기업과 하위의 기업은 반반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KO사, SU사는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의 값이 높고, 그 평가가 주가에 반영되어서,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HK사는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데도 불구하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낮게 산출되어 있는 것은, 어떠한 경영상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SE사는 특허수익성α의 값도 낮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마이너스로 산출되어 있으므로,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이 적은 것에 의해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 이것이 반영되어서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마이너스의 값으로 산출되었다고 생각된다.
도 12는,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β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특허수익성을 시장부가가치(MVA)와 관련지어서 표시할 경우에는,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차원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입체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특허수익성β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시장부가가치(MVA)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KO, SK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특허수익성β는 「초과 부가가치액=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가가치액」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를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지표이다.
특허수익성β가 플러스로 산출되는 기업은 HK사, KO사, DC사, KF사, SB사, SU사의 6사이다. 특허수익성β의 값이 마이너스로 산출되는 기업은 AK사, MK사, MT사, SD사, SE사, SK사, DN사의 7사이다. 이들 화학업계 13사의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KO사, SU사, 및 SK사와, 대부분 평균의 값으로 산출되는 MK사의 4사로 적다.
도 12를 관찰함으로써, KO사는 특허수익성β도 높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높게 산출되어 있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SU의 특허수익성β의 값은, 간신히 플러스의 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은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HK사는 특허수익성β의 값은 높은 값을 나타내지만,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낮은 값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다.
KO사는 부가가치가 동업종의 평균보다 매우 높으므로, 기업의 업적이 높은 평가를 받아서, 주가가 높은 것으로 추측된다. 반대로 HK사는, 특허수익성β는 동업종의 평균보다 매우 높지만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낮은 것은, 시장의 평가를 낮게 하는 무언가 다른 마이너스 요인이나, 또는 경영상태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추측된다. DN사는 특허수익성β의 값도 마이너스로 낮기 때문에 시장에서의 기업평가값이 낮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마이너스로 산출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SK사의 특허수익성β의 값은, 마이너스로 산출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부가가치액이 낮아도 다른 무언가 매력있는 사상에 의해 시장의 평가가 높아져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KO사, SU사의 2사를 제외하면 다른 기업의 대부분은, 특허수익성β의 값에 편차가 있지만,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그다지 높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의 2사를 제외하면, 특허수익성β는 그다지 시장부가가치(MVA)의 값과는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고는 말할 수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도 13은, 화학업계의 13회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γ와 시장부가가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특허수익성을 시장부가가치(MVA)와 관련지어서 표시할 경우에는,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차원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입체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특허수익성γ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시장부가가치(MVA)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 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KO, SK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특허수익성γ는, 「초과 GBP=업종평균을 초과하는 GBP」와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를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것이다.
특허수익성γ가 플러스로 산출되는 기업은 KO사, SU사, HK사, KF사, DC사, SB사의 6사이다. 특허수익성 연구개발비 비율γ의 값이 마이너스로 산출되는 기업은 SE사, MT사, MK사, AK사, SD사, DN사의 7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KO사, SU사, MK사, AK사, SK사, SD사, DN사의 7사이다.
여기서도 KO사의 특허수익성γ의 지표와 시장부가가치(MVA)의 지표가 높게 산출되어 있어, KO사가 시장에서 높게 평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SU사는, 특허수익성β의 값은 KO사와 비교하면 매우 낮게 산출되어 있지만(도 12 참조), 특허수익성γ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시장의 평가가 높고 시장부가가치(MVA)가 높아져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HK사는, 특허수익성γ의 값이 높게 산출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낮게 산출되어 있다. DN사의 경우는, 특허수익성γ의 값이 낮게 산출되는 상황이므로, 시장의 평가가 낮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마이너스의 값으로 되어 있다.
도 14는,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δ와 시장부가가 치(MVA)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특허수익성을 시장부가가치(MVA)와 관련지어서 표시할 경우에는,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차원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입체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특허수익성δ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시장부가가치(MVA)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KO, SK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특허수익성δ는, 지적자산수익(EOIA)을 총자산으로 나눈 지적자산수익률(ROIA)이 동업종의 평균을 초과한 부분(율)에 총자산을 곱한 값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값이고, (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총유효특허건수)로 나타내어진다. 이 특허수익성δ의 지표는, 특허의 매크로적 어프로치에서 특허의 질을 추측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동도에 따르면, KO사와 SU사가 특허수익성δ의 값도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HK사의 경우는, 특허수익성δ의 값은 높은 값을 나타내어지만,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은 그다지 높지 않다.
특허수익성δ가 플러스의 값을 나타내는 기업은 KO사, HK사, SU사, KF사, AK사, SB사의 6사이며, 마이너스의 값을 나타내는 기업은 DC사, MT사, SE사, SK사, MK사, SD사, DN사이다.
여기서도 KO사는, 특허수익성δ가 높은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시장평가도 높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높아져 있다고 추측된다. 같은 것을 SU사에도 말할 수 있다.
HK사는 높은 특허수익성δ를 나타내는데도 불구하고,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이 낮다. DN사는, 특허수익성δ의 값도 시장부가가치(MVA)의 값도 낮다. 이것은, 양사 모두 경영상 어떠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특허수익성을 나타내는 각 지표와 시장부가가치(MVA)의 지표를 관련지어서 나타냄으로써, 유효특허건수1건당, 어느 정도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기업의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α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연구개발비 비율δ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특허수익성α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KO, HK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도 15를 표시할 경우에는, 특허수익성α를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이 산출한다. 그리고, 연구개발비 비율δ를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연 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이 산출해서,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사의 지표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정보처리수단(380) 등의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이 생성해서, 표시수단 등에 출력한다.
특허수익성을 연구개발비 비율과 관련지어서 표시할 경우에는,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차원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입체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동도를 사용함으로써,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과,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볼 수 있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HK사, KO사, KF사, AK사, SK사, DC사, SU사의 7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비의 비율에 비해서, 특허로 얻는 수익이 큰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SB사, SE사, MT사, MK사, SD사, DN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이 드는 비용에 비해서는 특허가 수익을 초래하고 있지 않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HK사는,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로의 투자(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가 8로 크고, 특허수익성α의 값도 비교적 높으므로, 연구개발에 관해서는 높은 평가를 주어도 좋은 기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KO사는, 연구개발비 비율δ는 약 5로 산출되어 있지만, 특허수익성α의 지표는 35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높은 평가를 주어도 좋은 기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SU사, KF사에도 거의 같은 것 을 말할 수 있다.
SB사, SE사에 관해서는, 연구개발비에는 상당한 금액을 투입하고 있지만, 그것에 비해서는 특허에 의한 수익이 작은 기업이며, 특허의 취득 또는 활용에 대해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 기업이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다.
도 16은, 전기기기업계의 11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α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연구개발비 비율δ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특허수익성α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SH, SN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전기기기업계에서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SN사, SH사, FJ사, HT사, MD사, FD사의 6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비의 비율에 비해서, 특허로 돈을 버는 비율이 큰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TS사, MB사, SY사, NC사, MS사이며,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에 드는 비용에 비해서는 특허가 수익을 초래하고 있지 않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SN사는, 연구개발비 비율δ가 높은 값을 나타냄과 아울러 높은 특허수익성α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SH사, FJ사도 함께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NC사의 경우는, 비교적 높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나타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특허수익성α의 값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을 읽어낼 수 있다.
SH사의 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이 약 8로 산출되고, 또한 특허수익성α의 값은 18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연구개발에도 어느 정도의 자금을 투입해서,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도 매우 높은 결과를 얻고 있는 기업이고, 높은 평가를 주어도 좋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같은 것을 SN사, FJ사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한편 NC사는, 연구개발에 자금을 투입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는, 유효특허 1건당의 이익이 작은 기업이라고 생각되고, 특허의 취득이나 활용에 대해서 약간 문제가 있는 기업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을 비교해 보면, 화학업계의 기업에서는 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이 최고 8이고, 다음은 2~4의 사이에 산출되는 기업이 많으며, 특허수익성α는 10~35의 부근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한편 전기기기업계에서는, 연구개발비 비율δ는 6이상 10이하로 산출되는 기업이 많고, 특허수익성α의 값도 6이상이며 최고에서도 18로 산출되는 기업군인 것을 읽어낼 수 있다.
이렇게 양쪽 업계를 비교해 보면, 화학업계에서는 전기기기업계에 비해 총자산에 비해서는 연구개발비를 투입하고 있지 않지만, 유효특허 1건당에서는 전기기기업계의 배 가까운 수익을 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렇게 양쪽 업계의 경향을 읽어낼 수 있으므로, 업계마다 기업을 평가할 때에도 유용하게 된다.
도 17은, 화학업계의 13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β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연구개발비 비율δ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특허수익성β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HK, KO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연구개발비 비율δ는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이므로, 기업의 대소에 관계없이 연구개발비에 대한 투자액에 대해서 비교할 수 있다. 특허수익성β는, 업계평균을 초과하는 「부가가치액(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총합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것이므로, 동도에서는,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이 유효특허 1건당의 동업종 평균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지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수익성을 연구개발비 비율과 관련지어서 표시할 경우에는,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차원적인 그래프로서 표현해도 되고, 입체적인 그래프를 사용해서 표현해도 되며, 표형식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동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HK사, KO사, KF사, DC사, SU사, MK사, SD사의 7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비의 비율에 비해서, 특허로 얻는 수익이 큰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SB사, SE사, AK사, SK사, MT사, DN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에 드는 비용에 비해서는 특허가 수익을 내고 있지 않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특허수익성β의 값이 플러스로 산출되는 기업, 즉 동업종 평균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HK사, KO사, SB사, KF사, DC사, SU사의 6사이며, 반대의 마이너스로 산출되는 기업, 즉 동업종 평균보다 하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AK사, MK사, MT사, SE사, SK사, SD사, DN사의 7사이다.
도 18은, 전기기기업계의 11사에 대해서 산출한 특허수익성β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동도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가로축(x축)에 연구개발비 비율δ를 취하고, 세로축(y축)에는 특허수익성β를 나타내서, 각 회사의 해당 위치를 플롯한 것이다. 플롯점의 근방에는, 그 기업명을 식별하는 약칭을 SH, MB 등과 같이 도면 중에 붙이고 있다. 그래프 중의 직선은, 각 플롯점의 평균을 나타내는 회귀직선이고, 그 계산식을 그래프 상부에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서는,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이 유효특허 1건당의 동업종 평균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지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SH사, MB사, MD사, HT사의 4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비의 비율에 비해서 특허로 얻는 수익이 큰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TS사, SN사, FJ사, NC사, SY사, MS사, FD사의 7사이다. 평균의 회귀직선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기업은, 연구개발에 드는 비용에 비해서는 특허가 수익을 초래하고 있지 않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특허수익성β의 값이 플러스로 산출되는 기업, 즉 동업종 평균보다 상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SH사, MB사, MD사, HT사, FD사의 5사이며, 반대의 마이너스로 산출되는 기업, 즉 동업종 평균보다 하위에 위치하는 기업은 TS사, SN사, FJ사, NC사, SY사, MS사의 6사이다.
SH사는, 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은 8로 높게 산출되고, 또한 특허수익성β의 값도 10에 가까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MB사는, 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은 6강이지만, 특허수익성β의 값도 6으로 산출되어 있어, 효율이 좋은 특허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 2개의 지표에 기초하는 판단에서는, SH사, MB사, MD사 등의 기업은 기업평가로서 높은 점을 부여해도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SN사는 연구개발비 비율δ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특허수익성β의 값은 마이너스의 값에서 ―7 근처의 값으로 산출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TS사도 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은 비교적 높은데도 불구하고, 특허수익성β는 ―2에 가까운 값으로 산출되어 있다. 이 양사의 경우, 연구개발비의 투자에 비해서는, 특허가 수익을 초래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어, 기업평가로서는 낮은 평가로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도 18을 보면, 전기기기업계 11사의 평균에서는 회귀직선이 우측 아래로 산출되어 있다. 즉 이것은, 전기기기업계에서는 연구개발에 지나치게 투자하면 특허수익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과 도 18을 비교해 보면, 연구개발비 비율δ의 값이 전기기기업계에서는 6부근에서 10근처에 분포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화학업계에서는 2에서 6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특허수익성β의 값은 전기기기업계에서는 최고 10인 것에 대하여, 화학업계에서는 10에서 18 근처에 위치되어 있는 기업도 존재한다. 이 양 업계에 대해서 비교하면, 화학업계에서는 전기기기업계에 비하여, 총자산에 비해서 연구개발비에 투자하는 금액이 적고, 또한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렇게, 다른 업계에 대해서 비교를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기업의 평가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지만, 특허수익성γ 또는 특허수익성δ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나타내는 것도 고려된다. 특허수익성γ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표시함으로써,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초과 제조판매이익(GBP)과 연구개발비 비율의 관계를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수익성δ와 연구개발비 비율δ를 관련지어서 표시함으로써,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과 연구개발비 비율의 관계를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9에 특허수익성, 연구개발비 비율, 지적자산 기대수익 등의 각종 지표를 산출해서 출력할 때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S501 「기업가치평가, 기업선택」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이용자로부터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370)과 버스(399)를 통해서 기업을 선택하는 화면의 표시지령을 입력하고, 그 지령에 기초해서 기록수단(384)으로부터 기업을 선택할 때의 표시용 데이터를 판독해서 표시용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한다.
정보처리수단(380)으로부터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 표시 인터페이스(373)는, 표시수단(372)에 대응한 표시용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고, 표시수단(372)은 표시 인터페이스(373)로부터 입력한 표시용 영상신호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도 20은,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지표를 산출할 때에, 대상이 되는 업계 또는 대상이 되는 각각의 기업의 조건을 선택하는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기업가치평가 입력조건 설정화면을 보면서, 1 내지 복수의 평가대상의 기업을 선택한다. 동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기업평가의 대상 중 큰 분류로 되는 「업계」 중에서 「전기기기」의 업계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용자는, 기업가치평가의 대상 중 개별기업 등의 상세한 분류로 되는 「기업」을 선택해서, 「회사명」, 「회사코드」, 「출원인코드」 등의 입력조건을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용자가 개별의 기업을 지정할 경우에는, 동도 우측의 「기업」을 선택하여, 회사명 또는 회사코드나 출원인코드를 입력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평가의 입력조건 설정을 종료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어, 이용자가 입력한 「대상」으로 하는 기업의 플래그를 세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고, 설정한 회사명, 회사코드, 출원인코드 등의 정보를 표시수단(372)에 표시하여,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평가의 입력조건의 설정이 종료되면, 다음에 정보처리수단(380)은 기록수단(384)으로부터 기업가치평가를 위한 지표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 메뉴의 표시 데이터를 판독해서,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업가치평가 메뉴를 표시수단(372)에 표시시킨다.
다음의 S502 「기업가치평가, 메뉴 선택」에서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되어 있는 기업가치평가 메뉴를 보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소망의 지표를 선택해서 그 것를 입력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메뉴로부터 지표를 선택할 경우에는, 이용자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이나 「R&D 특허관련」, 「특허 포트폴리오 관련」 등의 선택 메뉴 중에서 소망의 지표를 선택한다. 동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사업, 수익, 시장평가 관련」의 분야에 속하는 「(PE)특허수익성지표」의 항목을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PE)특허수익성지표」의 지표를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어,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는 지령을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함과 아울러, 하위에 존재하는 각 지표를 풀다운 메뉴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의 정보를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한다. 동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택한 항목부분의 마크를 □로부터 ■로 변경하고 있다.
다음에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PE)특허수익성지표」의 아래의 계층에 속하는 각 지표 중에서, 산출하는 소망의 지표(예를 들면 「특허수익성지표α」의 지표)를 선택한다.
또한 이용자가, 「R&D 특허관련의 지표」와 「사업·수익·시장평가 관련」의 지표를 서로 관련지은 조사를 희망할 경우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R)연구개발 관련 지표」등을 추가로 선택한다.
이용자가 「(R)연구개발관련 지표」의 지표를 선택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정보를 취득한 정보처리수단(380)은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는 지령을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함과 아울러,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R)연구개발관련 지표」의 하위에 속하는 각 지표를 풀다운 메뉴의 형태로 표시하는 정보를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한다.
이용자가, 도 23에 나타내는 풀다운 메뉴 중에서 「연구개발비 비율δ」의 지표를 선택하면, 그 입력정보는 정보처리수단(380)에 전달되어, 지표의 연산식을 정하는 플래그를 세트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선택한 지표의 부분에 선택의 마크를 표시하여, 설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의 종류의 선 택 처리가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은 도 24에 나타내는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 설정화면을 표시수단(372)에 표시시키는 지시를 출력한다.
이용자는, 표시수단(372)에 표시된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 설정화면을 보면서, 소망의 표시형태를 선택한다. 동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용자는 「맵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맵 1장」을 선택해서 「출력 데이터」로서 「연구개발비 비율δ」를 선택하고, 출력 표시하는 정보의 양으로서 「상위 20개」를 선택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설정」버튼을 선택해서, 기업가치평가 출력조건의 설정이 종료되면 정보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도 19에 나타내는 S503 「조합선택」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용자가 「(PE)특허수익성지표」등의 경영재무정보와 특허정보에 관련되는 연산의 실시를 지정한 경우에는,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604 「경영재무정보를 취득」과 S504 「특허정보를 취득」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한, 이용자가 「연구개발비 비율」 등의 단독연산만을 지정했을 경우에는 조합처리는 선택하지 않고, S604 이후의 처리만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PE)특허수익성지표」의 선택 메뉴 중에서 「특허수익성α」의 연산을 지시한 경우에 정보처리수단(380)은, S604 및 S504에서 「특허수익성α」의 연산처리와, 지정된 기업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각 회사의 제조판매이익(GBP)이나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 특허공보나 실용신안등록공보 등의, 지표의 산출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경영재무 정보와 특허정보의 취득처리가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다음 S605 「경영재무정보의 연산」 및 S505 「특허정보의 연산」의 처리로 진행된다.
S605 및 S505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S604 및 S504에서 취득한 경영재무정보나 특허정보, 이용자로부터 지정된 계산식을 사용해서, 이용자가 원하는 지표를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S605 및 S505에서 경영재무정보 및 특허정보에 관한 지표의 연산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에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S606 「경영재무정보의 연산결과의 정리」 및 S506 「특허정보의 연산결과의 정리」의 처리로 진행된다.
S606 및 S506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지표의 연산결과에 기초해서 각 기업을 소정의 구분으로 분류하거나, 소정의 랭크로 나누거나 판별 등의 연산처리를 행해서, 각종 연산결과의 정리를 행한다. 또한 산출하는 지표의 종류에 따라서는, 분류나 랭크로의 나눔이 불필요한 지표도 존재한다.
S606 및 S506에서 각종 연산결과의 정리가 종료되면, 정보처리수단(380)이 실시하는 처리는 다음의 S507 「그래프 생성」의 처리로 진행된다.
S507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S505에서 산출한 특허정보의 연산결과, S506에서 정리한 각종 연산결과, S605에서 연산한 경영재무정보의 연산결과, 또는 S606에서 정리한 각종 경영재무정보의 연산결과를, 지표 또는 그 연산결과 등에 따른 표시형식에 적용시켜, 표 또는 그래프를 생성해서 표시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다음의 S508 「그래프 출력」에서 정보처리수단(380)은, S507에서 생성한 표 또는 그래프의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 인터페이스(373)에 출력해서, 표시수단(372)에 표시시킨다.
S508에서 표시한 표 또는 그래프를 이용자가 열람함으로써 이용자는, 각 기업이 출비한 연구개발비에 대한 시장의 평가나, 발명의 다각화, 발명에 기초하는 경쟁력, 기업가치의 타당성, 특허수익성, 연구개발비 비율, 또는 시장부가가치 등의 기업가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용자가 지정한 기업평가의 항목에 따라서는, 정보처리수단(380)이 추가로 랭크로 나누거나 해서 기업가치의 판단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정보처리수단(380)은, S509 「기업가치 판단」에서 소정의 한계값 등을 판독해서 기업가치를 판단한 후에, 그 수치, 그래프 등을 출력해서 각종 지표의 산출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판매이익(GBP)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 금액(기업이 각 연도에 산출한 「총사업수익」)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눔으로써 유효특허 1건당의 총사업수익을 산출해서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유효특허 또는 유효한 실용신안이, 얼마만큼 기업의 수익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보는 지수를 산출해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특허수익성의 값이 크게 산출되는 기업일수록, 일반적으로 특허가 수익에 공헌하는 기여율이 높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업이익과 연구개발비를 사용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상이익과,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 구개발비와,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와, 일반관리비를 사용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회사가 창출한 가치의 총액 중, 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초과 부가가치」와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 금액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유효특허 1건당의 초과 부가가치액을 산출하여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이 산출한 부가가치 중, 업계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만을 대상으로 해서 산출한 유효특허 1건당의 「특허수익성」을 산출하여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표는, 동업종 내에 있어서의 특허수익성의 비교에 사용할 수 있으며, 초과 부가가치액이 동업종의 평균이상의 기업을 플러스의 값으로 표현하고, 동업종이하의 기업을 마이너스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상고와 매상고 부가가치액률과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사용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상고와 부가가치액을 사용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회사가 제조판매 활동에 의해 얻은 사업수입 중, 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초과 GBP」와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 금액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눔으로써, 유효특허 1건당의 초과 총사업수익액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동업종 내에 있어서의 특허수익성의 비교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지표는,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이 동업종의 평균이상으로 되는 기업은 플러스의 값으로 표현되 고, 동업종이하가 되는 기업은 마이너스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단, 초과 제조판매이익이 동업종 평균이하이고 마이너스의 값을 취하는 경우여도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이 매우 많을 경우에는, 특허수익성의 지표가 플러스의 값으로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회사가 오프 밸런스(대차대조표에 기재되지 않는 무형의) 지적자산을 원천으로 해서 산출되었다고 추정되는 수익액 중, 업종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초과 지적자산수익(EXEOIA)」을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눔으로써 유효특허 1건당의 초과 지적자산수익액을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허수익성은, 총사업수익으로부터 온 밸런스(대차대조표상)의 자산으로부터 얻어져야 하는 기대수익을 공제한 잔여액인 「지적자산수익」의 업계 평균값을 상회하는 부분에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을 더한 지표를 산출하도록 했으므로, 회계정보를 사용한 매크로적 어프로치에 의해 특허의 「질」을 추측하는 수단으로서 유효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특허수익성의 지표의 경우, 지적자산수익률이 동업종의 평균이상으로 되는 기업의 경우는 플러스의 값으로 표현하고, 동업종이하로 되는 기업은 마이너스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총자산과 지적자산수익률과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을 사용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α,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β,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γ, 또는,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δ의 특허수익성의 지표를 복수의 기업에 대해서 산출하고, 복수의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지표에 대해서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해서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도록 했으므로, 특허수익지표 α, β, γ, δ 등의 각 지표를 각 기업마다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표시를 관찰함으로써 제조판매이익, 초과 부가가치액, 초과 제조판매이익, 초과 지적재산수익에 기초한 특허수익성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수익성 α, β, γ, δ 등의 각 지표를 각 기업마다 비교, 관찰함으로써, 각 기업에 있어서의 특허 1건당의 수익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허수익성과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은, 「주식시가총액(기업가치평가액)」에서 「주주자본」의 금액을 뺀 것이므로, 시장의 기업평가가 주가에 반영되어서 시장의 평가가 높은 기업은 주가도 높아진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총유효특허건수의 1건당의 특허수익성의 값이 어떻게 주식 등의 시장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이 산출한 부가가치 중 업계평균을 초과하는 부분(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료 등 로열티 수입만을 대상으로 해서 산출한 유효특허 1건당의 「특허수익성」과 시장부가가치(MVA)의 관계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업계에 있어서의 제조판매이익을 초과한 값과 특허 료 등 로열티 수입의 합계를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과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조사대상인 기업이 업계의 평균 제조판매 수익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지와, 주식 등의 시장의 평가의 관련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허의 매크로적 어프로치에서 특허의 질을 추측하는 지표와 시장부가가치의 관련을 표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허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와 시장부가가치(MVA)의 지표를 관련지어서 나타냄으로써, 유효특허건수 1건당, 어느 정도 시장부가가치(MVA)의 값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기업의 평가를 함과 아울러 쓸모있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유효특허건수에 기초해서 산출한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과,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유효특허건수에 기초해서 산출한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과,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유효특허건수에 기초해서 산출한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기업에 있어서의 총자산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비율과, 초과 지적자산수익과 총유효특허건수에 기초해서 산출한 유효특허 1건당의 수익의 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산출해서 이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에 의하면, 무형자산의 가치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받아들여서 기업가치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에 의하면, 특정 기업에 대해서 투자를 행할 경우나, 특정 기업과 제품의 공동개발을 행할 경우, 특정 기업에 취직을 희망할 경우 등에 있어서, 그 기업, 그 기술분야마다의 경향을 알거나 장래성을 예측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2)

  1.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2.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영업이익 및 연구개발비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영업이익과 연구개발비를 더해서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3.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이익,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 및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이익과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와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더한 값으로부터 일반관리비를 빼서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4.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5.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매상고 부가가치액률과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매상고 부가가치액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부가가치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6.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특정 기업의 부가가치액을 특정 기업의 매상고로 나누어서 특정 기업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함과 아울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하는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산출수단;
    상기 특정 기업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부가가치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7.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8.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초과 제조판매이익률과 평균의 초과 제조판매이익률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 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률로부터 평균의 초과 제조판매이익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9.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매상고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특정 기업의 제조판매이익을 특정 기업의 매상고로 나누어서 특정 기업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함과 아울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평균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하는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 산출수단;
    상기 특정 기업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0.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1.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총자산과 지적자산수익률과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지적자산수익률로부터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을 뺀 값에 총자산을 곱해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및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2.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 초과 부가가치액, 초과 제조판매이익, 초과 지적자산수익, 또는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α;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β;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γ;
    또는,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δ의 특허수익성의 지표를 복수의 기업에 대해서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복수의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지표에 대해서,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3.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4.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5.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6.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7.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8.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 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19.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20.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및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공보는 특허공보, 공고 특허공보, 공고 실용신안공보, 또는 실용신안등록공보 등의 공보이고,
    등록공보가 실용신안에 관한 공보일 경우에는, 상기 특허출원이란 실용신안등록 출원을 나타냄과 아울러, 상기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실용신안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장치.
  22.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에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3.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영업이익 및 연구개발비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영업이익과 연구개발비를 더해서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4.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이익, 제조원 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 일반관리비, 및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이익과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와 일반관리비에 포함되는 연구개발비를 더한 값으로부터 일반관리비를 빼서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5.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 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6.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매상고 부가가치액률과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된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매상고 부가가치액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부가가치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 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7.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하는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매상고 부가가치액률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특정 기업의 부가가치액을 특정 기업의 매상고로 나누어서 특정 기업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함과 아울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특정 기업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부가가치액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부가가치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8.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29.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초과 제조판매이익률과 평균의 초과 제조판매이익률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 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률로부터 평균의 초과 제조판매이익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0.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하는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매상고와 매상고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특정 기업의 제조판매이익을 특정 기업의 매상고로 나누어서 특정 기업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함과 아울러, 복수의 기업에 대한 평균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특정 기업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로부터 평균의 매상고 제조판매이익률을 뺀 값에 매상고를 곱해서 초과 제조판매이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1.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2.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총자산과 지적자산수익률과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지적자산수익률로부터 평균의 지적자산수익률을 뺀 값에 총자산을 곱해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특허수익성을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3.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 초과 부가가치액, 초과 제조판매이익, 초과 지적자산수익, 또는 특허 로열티 수입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α,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β, 초과 제조판매이익으로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γ, 또는,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눈 특허수익성δ의 특허수익성의 지표를 복수의 기업에 대해서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복수의 기업의 특허수익성의 지표에 대해서, 지표 및 기업마다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4.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5.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6.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7.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 및 시장부가가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2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취득한 시장부가가치를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8.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 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 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39.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부가가치액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40.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기 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제조판매이익과 특허 로열티 수입을 더한 값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41.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취득하는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공보 취득수단;
    등록공보로부터 발명수를 취득하는 발명수 취득수단;
    발명수 중에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 등에 출력하는 출력수단;및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 공보 취득수단, 발명수 취득수단,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 특허수익성 산출수단,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 및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처리수단을 구비한 기업평가장치의 정보처리수단으로 실행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경영재무정보 취득수단에, 기업의 경영재무정보를 기록하는 경영재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업에 있어서의 제1의 소정기간 내의 연구개발비와 제2의 소정기간 내의 초과 지적자산수익과 총자산을 취득하는 기능;
    상기 공보 취득수단에, 특정 기업이 제3의 소정기간 내에 한 특허출원의 등록공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상기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등록공보로부터 소정시기까지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의 건수 또는 청구항수 중 어느 하나의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소멸 발명수 취득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 중에서 소정시기까지 소멸된 소멸 발명수를 취득하는 기능;
    상기 총유효특허건수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발명수로부터 소멸 발명수를 빼서 총유효특허건수를 산출하는 기능;
    상기 특허수익성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초과 지적자산수익을 상기 총유효특허건수로 나누어서 특허수익성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연구개발비 비율 산출수단에, 상기 취득한 연구개발비를 총자산으로 나누어서 연구개발비 비율을 산출하는 기능;
    상기 표시용 데이터 생성수단에, 상기 산출한 특허수익성과 상기 산출한 연구개발비 비율을 관련지어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및
    상기 출력수단에, 상기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출력, 인쇄수단에 출력, 기록매체에 출력,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른 통신기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42. 제22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공보는 특허공보, 공고 특허공보, 공고 실용신안공보, 또는 실용신안등록공보 등의 공보이고,
    등록공보가 실용신안에 관한 공보일 경우에는 상기 특허출원은 실용신안등록 출원을 나타냄과 아울러, 상기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특허는 설정의 등록이 이루어진 실용신안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평가 프로그램.
KR1020067007437A 2003-10-23 2004-03-23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KR20060113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6346 2003-10-23
JP2003396346 2003-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898A true KR20060113898A (ko) 2006-11-03

Family

ID=345104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43A KR20060108614A (ko) 2003-10-23 2004-03-12 기업 평가 장치 및 기업 평가 프로그램
KR1020067007437A KR20060113898A (ko) 2003-10-23 2004-03-23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KR1020067007433A KR20060097116A (ko) 2003-10-23 2004-03-31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43A KR20060108614A (ko) 2003-10-23 2004-03-12 기업 평가 장치 및 기업 평가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33A KR20060097116A (ko) 2003-10-23 2004-03-31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20070083402A1 (ko)
EP (3) EP1688873A4 (ko)
JP (3) JP4018722B2 (ko)
KR (3) KR20060108614A (ko)
CN (6) CN1833255A (ko)
AU (3) AU2004292078A1 (ko)
CA (3) CA2543597A1 (ko)
IL (3) IL175118A0 (ko)
IS (3) IS8458A (ko)
NO (3) NO20062326L (ko)
WO (3) WO2005050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4108A1 (ja) * 2003-03-17 2004-09-30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企業価値評価装置並びに企業価値評価プログラム
US20060155572A1 (en) * 2005-01-12 2006-07-13 Richard Postrel Methods and systems for buying, selling and trad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other interests
US20060259379A1 (en) * 2005-05-13 2006-11-16 First Q Capital, Llc Investment vehicle, system and method
JP4631582B2 (ja) * 2005-07-28 2011-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事業価値評価支援装置及び事業価値評価支援プログラム
US7716226B2 (en) 2005-09-27 2010-05-11 Patentrat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babilistically quantifying and visualizing relevance between two or more citationally or contextually related data objects
US7685069B1 (en) * 2005-10-04 2010-03-23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financial market index
US8762193B2 (en) * 2005-11-11 2014-06-24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Identifying target customers for campaigns to increase average revenue per user
US7917383B2 (en) * 2005-11-11 2011-03-29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boosting the average revenue per user of products or services
US20070118444A1 (en) * 2005-11-11 2007-05-24 Matteo Maga Analytic tool for evaluating average revenue per user for multiple revenue streams
US8428997B2 (en) * 2005-11-21 2013-04-23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Customer profitability and value analysis system
US7657476B2 (en) * 2005-12-28 2010-02-02 Patentrat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valuing intangible assets
EP2011070A4 (en) * 2006-03-13 2011-06-08 Ocean Tomo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SECURITIES INDEX
US7664692B2 (en) * 2006-08-31 2010-02-16 Chicago Board of Options Exchange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trading derivative investment instruments based on an index of investment management companies
JP2008123362A (ja) * 2006-11-14 2008-05-29 Takenaka Komuten Co Ltd 特許の経済価値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119083A1 (en) * 2007-03-28 2008-10-02 Cheryl Milone Requesting prior art from the public in exchange for a reward
JP5273840B2 (ja) * 2007-06-22 2013-08-28 一郎 工藤 特許力算出装置及び特許力算出装置の動作方法
WO2009039265A1 (en) * 2007-09-18 2009-03-26 Goldman Sachs & Co.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high density financial asset information display
US20110066532A1 (en) * 2007-09-18 2011-03-17 Stephen Richard Schonberg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High Density Financial Asset Information Display
US8924281B2 (en) 2008-05-28 2014-12-30 Mp&S Intellectual Property Associates, Llc Method for aggregat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services in an exchange
US8280796B2 (en) * 2008-05-28 2012-10-02 Mp&S Intellectual Property Associates, Llc Method for aggregating and valuing intellectual property in an exchange
US8660945B1 (en) * 2008-06-04 2014-02-25 Intuit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mall businesses and small business operators
US8548888B2 (en) * 2008-08-04 2013-10-01 Donald DuBois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and displaying a risk-return profile as a risk measure for financial assets
US20110153523A1 (en) * 2008-08-04 2011-06-23 Dubois Donal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ing and displaying a risk-return profile as a risk measure for financial assets
US8433635B1 (en) 2008-08-04 2013-04-30 Donald DuBois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a portfolio of financial assets
TW201025156A (en) * 2008-12-24 2010-07-01 Ind Tech Res Inst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method and intellectual property bank system
JP4623605B2 (ja) * 2009-03-05 2011-02-02 株式会社Csk ベンチマーク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655275B2 (ja) * 2009-04-12 2015-01-21 一郎 工藤 企業成長性予測指標算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8290848B2 (en) * 2009-05-06 2012-10-16 Spectrum Bridge,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dex for spectrum used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1017230A1 (en) * 2009-08-01 2011-02-10 Joel Jameson Nonfinancial asset valuation and depreciation
US20110196774A1 (en) * 2009-10-16 2011-08-11 Sungard Financial Systems, Inc. Derivative trade processing
JP5655305B2 (ja) * 2009-12-28 2015-01-21 一郎 工藤 特許力算出装置及び特許力算出装置の動作方法
US20130073439A1 (en) * 2010-05-17 2013-03-21 Cpa Global Support Services India Private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patent valuation using financial ratios
US20120317041A1 (en) * 2011-06-08 2012-12-13 Entrepreneurial Innovation, LLC. Patent Value Calculation
US8452679B2 (en) * 2011-08-26 2013-05-2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Financial statement analyzer
US20130085926A1 (en) * 2011-10-04 2013-04-04 S Stream Capital,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Refinancing of Real Estate Loans
CN103699637B (zh) * 2013-12-23 2017-02-08 国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代码生产率统计方法及其系统
US20150199781A1 (en) * 2014-01-14 2015-07-16 Wisdomain Inc. Patent Valuation System
CN103996141A (zh) * 2014-06-13 2014-08-20 陶冶 专利收益的计算方法和模型
CN109002983B (zh) * 2014-06-23 2021-04-06 深圳德高行知识产权数据技术有限公司 评估企业投资潜力的方法及计算机系统
US10943195B2 (en) * 2015-03-20 2021-03-09 Schneider Electric Systems Usa, Inc. Asset management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10348816B2 (en) 2015-10-14 2019-07-09 Adp, Llc Dynamic proxy server
TWI578242B (zh) * 2015-11-13 2017-04-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技術趨勢預測方法及系統及非暫態電腦可讀取記錄媒體
US10762559B2 (en) * 2016-04-15 2020-09-01 Adp, Llc Management of payroll lending within an enterprise system
CN107844874A (zh) * 2016-09-19 2018-03-27 鼎捷软件股份有限公司 企业营运问题分析系统及其方法
CN108182502A (zh) * 2016-12-08 2018-06-19 爱信诺征信有限公司 企业成长性评价指标的生成方法、企业成长值的统计方法
JP2019008691A (ja) * 2017-06-28 2019-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経営支援装置、経営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93671B2 (ja) * 2018-05-09 2022-06-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価値管理サーバ、価値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948887A (zh) * 2019-01-23 2019-06-28 石化盈科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炼化企业经营管理分析方法、存储介质和计算设备
CN110555730A (zh) * 2019-08-28 2019-12-10 上海明品医学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产品上市后研究的数据统计分析方法
US12014436B2 (en) * 2020-09-30 2024-06-18 Aon Risk Services, Inc. Of Maryland Intellectual-property landscaping platform
JP7341973B2 (ja) 2020-11-12 2023-09-11 PwCコンサルティング合同会社 分析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分析方法
JP7519034B2 (ja) * 2021-11-24 2024-07-19 ソウル大学校産学協力団 特許品質評価を通じた企業投資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647A (ja) * 1999-04-08 2003-09-16 オーリジン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研究開発プロジェクトにおいて用いられる特許関連ツールおよび方法論
JP2004500617A (ja) * 1999-06-04 2004-01-08 ストック−プリセプレディクター ドットコム,エルエルシー 特許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1280815A1 (en) * 2000-07-26 2002-02-05 Wilkinson, William T. Intellectual property investment process
US20030172014A1 (en) * 2000-09-01 2003-09-11 Chris Quackenbush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valuation and analysis
JP2002352071A (ja) * 2001-05-25 2002-12-06 Masakazu Nakai 評価算定システム
JP2003233703A (ja) * 2001-08-28 2003-08-22 Hitachi Ltd 経営指標処理システム
JP2003331102A (ja) * 2002-03-07 2003-11-21 Mizuho Corporate Bank Ltd ブランド価値評価を利用した金融スキ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92078A1 (en) 2005-06-02
CA2543597A1 (en) 2005-06-02
WO2005041095A1 (ja) 2005-05-06
IL175118A0 (en) 2006-10-05
JP4018720B2 (ja) 2007-12-05
WO2005050512A1 (ja) 2005-06-02
KR20060108614A (ko) 2006-10-18
NO20062325L (no) 2006-07-21
JPWO2005050510A1 (ja) 2007-06-14
WO2005050510A1 (ja) 2005-06-02
CN1864170A (zh) 2006-11-15
AU2004292081A1 (en) 2005-06-02
NO20062326L (no) 2006-07-21
US20070083402A1 (en) 2007-04-12
EP1686514A4 (en) 2006-11-08
JP4018724B2 (ja) 2007-12-05
IL175120A0 (en) 2006-09-05
NO20062324L (no) 2006-07-21
CN1867930A (zh) 2006-11-22
JPWO2005050512A1 (ja) 2007-06-14
AU2004284620A1 (en) 2005-05-06
EP1686517A4 (en) 2006-11-22
KR20060097116A (ko) 2006-09-13
JPWO2005041095A1 (ja) 2011-02-10
US20070033127A1 (en) 2007-02-08
IL175119A0 (en) 2006-09-05
CA2543601A1 (en) 2005-05-06
EP1686517A1 (en) 2006-08-02
EP1688873A1 (en) 2006-08-09
IS8457A (is) 2006-05-11
CA2543621A1 (en) 2005-06-02
US20070094117A1 (en) 2007-04-26
CN1864172A (zh) 2006-11-15
EP1688873A4 (en) 2006-11-08
IS8456A (is) 2006-05-11
IS8458A (is) 2006-05-11
EP1686514A1 (en) 2006-08-02
CN1833255A (zh) 2006-09-13
CN1846220A (zh) 2006-10-11
CN1833254A (zh) 2006-09-13
JP4018722B2 (ja)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3898A (ko)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JP4018718B2 (ja) 企業価値評価装置並びに企業価値評価プログラム
Pla-Santamaria et al. Portfolio optimization based on downside risk: a mean-semivariance efficient frontier from Dow Jones blue chips
KR20060096432A (ko) 기업평가 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Riahi-Belkaoui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value of the firm: theory and evidence
Morrell Property performance analysis and performance indices: a review
JP4018719B2 (ja) 企業評価装置並びに企業評価プログラム
KR20060096481A (ko) 기업평가장치 및 기업평가 프로그램
Kartikasari et al. Financial Ratio Analysis at PT. Indocement Tunggal Prakarsa Tbk. Registered on The Indonesia Stock Exchange for The 2016-2020 Period
Rassier et al. A formulary approach for attributing measured production to foreign affiliates of US parents
Mwangi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Stucture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 Listed at the Nairobi Stock Exchange
Nabusiime Effect of Capital Structure on Profitability of Tea Companies in Kenya
Magar CAPITAL ADEQUACY AND PROFITABILITY OF NEPALESE COMMERCIAL BANKS
Wokeh et al. INVENTORY MANAGEMENT TECHNIQUES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LISTED OIL AND GAS COMPANIES IN NIGERIA
Noriska et al. JURNAL MULTIDISIPLIN MADANI (MUDIMA)
HS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Financial Dialectics and Economic Value Added vs. Traditional Profit based Measures: a case study at BHEL-Electro Porcelains Division (EPD)
Comisari National Accounts: Sources and Uses
WIDYASTUTI MASTER PROGRAM OF BUSINESS ADMINISTRATION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