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1592A - 휴대 통신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592A
KR20060111592A KR1020067012249A KR20067012249A KR20060111592A KR 20060111592 A KR20060111592 A KR 20060111592A KR 1020067012249 A KR1020067012249 A KR 1020067012249A KR 20067012249 A KR20067012249 A KR 20067012249A KR 20060111592 A KR20060111592 A KR 2006011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image
image data
address boo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935B1 (ko
Inventor
다카키 와다
다카히로 사토
유이치 다네야
구니야스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8Message addressing, e.g. address format or anonymous messages, ali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메일 일람에 대해, 메일을 선택 혹은 개봉했을 때, 주소록에 등록된 화상과 음악을 출력하고, 상대를 인식시키는 휴대 통신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O4)는, 메일 박스(4O1)의 메일 일람으로 메일의 선택이 되었을 때, 혹은 개봉에 의해 본문을 표시할 때, 주소록(3O1)에 대해 해당 수신 메일의 송신원의 메일 주소를 검색하고, 주소록(3O1)의 해당 메일 주소의 송신원에 대응하여 등록된 화상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와의 식별 정보(3O2)가 있으면 그것들을 기초로, 정보 기억부(1OO)의 화상·음악 정보(3O2)로부터 화상 데이터 혹은 음악 데이터를 읽어들여, 화상은 휘도를 높게 하여 메일 일람 또는 메일 본문의 배경 화상으로서 콘트라스트를 더하여 표시부(12O)에 표시함과 함께, 음악은 음성 처리부(1O4)에 의해 음성 출력한다.

Description

휴대 통신 기기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 통신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전화기에 의한 전자 메일의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화기에서는, 주소록에 통화 상대에 관한 전화번호, 착신음, 및 화상이 등록되어 있으면, 전화의 착신 때, 발신자의 착신음을 울리고, 또 상대의 화상, 예를 들면 얼굴 사진을 표시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상대를 확인하고 나서 이야기할 수가 있다.
그런데,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전화로의 호출은 폐가 되는 일이 있지만, 전자 메일(이하 단지 「메일」이라고 한다)이라면 수신자는 적당한 때에 읽을 수 있고, 보내는 사람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통화에 비하면 경제적이므로 휴대전화기의 용도는, 최근에는 통화보다 메일로 연락하는 편이 보통이 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전화의 착신시와 마찬가지로 메일의 수신시에, 그 발신자의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등록된 화상의 표시 등을 실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특개 2002-176679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서는, 메일 수신시에는 상대를 확인할 수 있어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기억이 희미해져 버려, 수신 메일 일람으로부터 그 수신 메일을 선택하거나 혹은 개봉하여 본문을 읽거나 할 때, 상대를 상기 혹은 확인할 수 없게 되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일의 선택 혹은 개봉 시에, 메일의 상대를 유저에게 상기, 확인시키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 통신 기기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과,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특정되었을 때,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와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주소록 기억 수단에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고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특정될 때, 특정된 상대편 정보와 함께 그 상대편 정보와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도 표시되므로, 그 메일의 상대를 상기 혹은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 통신 기기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과,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 수단과, 메일이 특정되었을 때, 특정된 메일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특정된 메일의 본문과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주소록 기억 수단에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으면, 특정된 메일의 본문이 표시될 때, 그 상대편 정보와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도 표시되므로, 그 메일의 상대를 상기 혹은 확인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메일의 본문을 표시시킬 때,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메일의 본문을 합성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화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메일의 본문이 합성되어 표시되므로, 본문과 함께 화상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휘도를 최대 휘도에 가깝게 하는 고휘도화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휘도화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화상을 배경으로 하고, 그 위에 상기 메일의 본문을 검은색 글자로 하여 합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의 화상이 휘도 변화가 적은 밝은 배경 화상(백그라운드)으로서 표시되고, 메일의 본문이 검은색 글자이므로, 합성하여도 양자의 콘트라스트(contrast)가 있기 때문에, 본문이 읽기 쉽게 표시된다.
또한, 상기 고휘도화 처리는, 최대의 휘도 계조를 m으로 하고, 상기 화상의 임의의 화소의 휘도 계조를 n으로 하면, 해당 화소의 휘도 계조를 (m+n)/2 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대의 화상이 가장 어두운 화소에서도 최대 휘도의 반으로 밝게 표시되고, 원래의 화상의 화소의 휘도에 대응하여, 원래의 화상보다 밝은 배경 화상(백 그라운드)으로서 표시되므로, 화상도 메일의 본문도 보기 쉽게 표시된다.
또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휘도를 최소 휘도에 가깝게 하는 저휘도화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휘도화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그 위에 상기 메일의 본문을 흰색 글자로 하여 합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의 화상이 휘도 변화가 적은 어두운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되고 메일의 본문이 흰색 글자이므로, 합성하여도 양자의 콘트라스트가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는 화상도 메일의 본문도 보기 쉽게 표시된다.
또한, 상기 기억 수단은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음악 데이터 기억부를 가지고,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은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음악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메일의 본문을 표시할 때,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메일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아울러 출력하는 음악 출력부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주소록 기억 수단에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음악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으면, 그 메일 주소의 메일의 본문이 표시될 때, 그 음악 데이터의 음악도 출력되므로, 유저는 상대에게 연관된 음악에 의해, 상대를 상기 혹은 확인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메일 일람을 표시하고 있을 때, 선택한 메일 일람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와 상기 메일 일람을 합성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화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메일 일람이 표시될 때, 선택된 메일의 상대의 화상을 메일 일람의 배경으로서 끊임없이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대편 정보는, 상대편의 메일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에 대해, 상기 메일의 상대편의 메일 주소를 포함한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아울러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주소록 기억 수단에 대해, 메일 주소를 기초로 상대편 정보를 특정할 수 있어 그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와,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부를 가지는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특정되었을 때,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판독 단계와, 읽어낸 화상 데이터를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와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단계를 가진다.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해, 주소록 기억 수단에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으면, 적어도 하나의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특정될 때, 특정된 상대편 정보와 함께 그 상대편 정보와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도 표시되므로, 메일의 상대를 상기 혹은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와,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부를 가지는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메일이 특정되었을 때, 특정된 메일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판독단계와, 읽어낸 화상 데이터를 특정된 메일의 본문과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단계를 가진다.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해, 주소록 기억 수단에 특정된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으면, 특정된 메일의 본문이 표시될 때, 그 상대편 정보와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도 표시되므로, 그 메일의 상대를 상기 혹은 확인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전화기의 일실시의 형태의 블럭도.
도 2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휴대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정보 기억부의 주소록 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정보 기억부의 메일 관계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주소록과 메일의 메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주소록에의 등록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주소록에의 등록 결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수신 메일 일람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본문과 배경 화상과의 합성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배경 화상의 휘도의 변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상기 실시의 형태의 본문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
도 12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변형으로서의 수신 메일 일람에 있어서의 배경 화상의 표시의 일례.
< 부호의 설명 >
101 : 안테나
102 : 통신부
104 : 음성 처리부
106 : 마이크 (송화부)
107 : 스피커 (수화부)
100 : 정보 기억부
110 : 조작부
111 : 주소록 메뉴 버튼
112 : 메일 메뉴 버튼
115 : 결정 버튼
116 : 상 버튼
117 : 하 버튼
120 : 표시부
130 : 주소록 처리부
140 :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
301 : 주소록
302 : 화상·음악 정보
303 :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304 : 화상·음악 데이터 파일
401 : 메일 박스
402 : 수신 메일 박스
403 : 송신 메일 박스
404 : 메일 관리표
501 : 주소록 메뉴
511 : 메일 메뉴
601 : 신규 등록
602 :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 일람
603 :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일람
701 : 주소록 등록예
801 : 수신 메일 일람
811 : 수신 메일 표시예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 통신 기기의 휴대전화기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정보통신기기인 휴대전화기의 구성도이다. 이 휴대전화기는, 안테나(101), 통신부(102), 음성 처리부(104), 마이크(106), 스피커(107), 정보 기억부(100), 조작부(110), 표시부(120), 주소록 처리부(130),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의 접는 방식의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기를 연 상태로, 정면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각 부합은, 도 1에 대해 대응하는 구성부가 있으면 그 부호와 같다.
안테나(101)는, 도시되지 않은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상대의 음성, 수신 메일 등의 변조 신호의 전파를 받아, 그 변조 신호를 통신부(102)에 전달한다. 또, 반대로 통신부(102)로부터 받은 당 전화기의 말하는 사람의 음성, 송신 메일 등의 변조 신호의 전파를 통신 기지국에 보낸다.
통신부(102)는, 안테나(101)로부터 받은 변조 신호를, 상대의 음성, 수신 메일 등의 신호로 복조하여, 음성은 음성 처리부(104)로 출력하고, 메일은 정보 기억부(100)의 수신 메일 박스(402)에 기록한다. 또 반대로, 당 전화기의 말하는 사람의 음성, 송신 메일 등의 변조 신호를 안테나(101)로 전달한다.
음성 처리부(104)는, 통신부(102) 또는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로부터 받은 음성신호를 스피커(107)로 출력한다. 또, 마이크(106)로부터 받은 당 전화의 말하는 사람의 음성을 통신부(102)에 전달한다.
정보 기억부(100)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으로 실현되고, 각종의 정보, 예를 들면 주소록(301), 화상·음악 정보(302), 수신 메일 박스(402)와 송신 메일 박스(403)를 포함하는 메일 박스(401), 메뉴 등을 기억한다.
도 3은, 주소록(301) 및 화상·음악 정보(302)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주소록(301)은, 전화 혹은 메일 등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 상대의 정보를 기재한 것으로, 기재 항목에는, 이름, 전화번호, 메일 주소, 화상 데이터의 식별자, 음악 데이터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주소록(301)에의 등록은, 주소록 처리부(130)가 유저의 조작부(110)의 버튼 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주소록 처리부(130) 및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해 참조 된다.
화상·음악 정보(302)는, 화상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에 관한 정보이며,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303)와 화상·음악 데이터 파일(304)로 이루어진다.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303)는, 화상 데이터의 식별 정보와 음악 데이터의 식별 정보로 이루어지고, 각 식별 정보는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해 참조 되어 표시부(120) 등에 출력된다.
화상·음악 데이터 파일(304)은, 화상 데이터 파일 군 및 음악 데이터 파일 군으로 이루어지고, 각 파일은 파일명을 가진다.
여기서, 화상 데이터의 식별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식별자이며,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을 의미한다. 또 마찬가지로 음악 데이터의 식별 정 보는, 음악 데이터의 식별자이며, 구체적으로는 음악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을 의미한다.
화상·음악 정보(302)의 화상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에는, 유저가 작성한 유저 데이터와 휴대전화기에 최초부터 기록되어 있는 프리세트(pre-set) 데이터가 있다. 유저 데이터는 RAM에, 프리세트 데이터는 R0M에 각각 기억되어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는, 휴대단말용의 컨텐츠 기술 언어, 예를 들면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로 각각 지정된 형식의 데이터이면 좋다.
도 4는 메일 박스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일 박스(401)는 수신 메일 박스(402), 송신 메일 박스(403) 및 메일 관리표(404)로 이루어진다.
수신 메일 박스(402)는 수신 메일(412)을 저장하고, 수신 메일(412)은 수신 일시의 빠른 순서로 관리되고 있다. 송신 메일 박스(402)도 마찬가지로 송신 메일(413)을 저장하고, 송신 메일(413)은 송신 일시의 빠른 순서로 관리되고 있다.
수신 메일(412)에는, 송신자의 이름, 메일 주소, 수신 일시, 주제, 본문의 정보 항목이 포함되고,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해 참조 되고, 표시부(120) 등에 출력된다. 또, 송신 메일(413)에는, 송신지의 이름, 메일 주소, 송신 일시, 주제, 본문의 각 항목이 포함된다.
메일 관리표(404)는, 메일의 표시시 혹은 송수신시에 있어서의 제어 조건 등의 설정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의 변경은 조작부(110)를 통해서 행해진다. 메일 관리표(404)로 관리하는 제어 조건에는, 수신·표시 설정으로서 배경 화상과 배경 음악에 있어서 온(ON) 또는 오프(OFF)로 설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배경 화상이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수신 메일(412)의 본문이 표시될 때, 그 메일 주소가 주소록(301)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화상도 등록되어 있으면, 그 화상도 배경 화상으로서 아울러 표시된다. 배경 화상이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으면, 배경 화상의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배경 음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수신 메일(412)의 본문이 표시될 때, 그 메일 주소가 주소록(301)에 등록되어 있고 또한 음악도 등록되어 있으면, 그 음악도 배경 음악(BGM)으로서 아울러 음성 출력된다.
도 5는 정보 기억부(100)에 기억되어 있는 주소록 메뉴(501) 및 메일 메뉴(5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기억부(100)는 이러한 메뉴를 R0M에 기억하고 있다.
조작부(110)는, 유저에 의한 각종의 조작을 접수한다. 유저에 의한 조작에는, 전화의 발신과 수신, 주소록(301)의 등록, 메일의 읽기 등이 있다.
도 2는, 조작부(110)에 있어서의 각종 버튼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부(110)의 버튼에는, 주소록 메뉴 버튼(111), 메일 메뉴 버튼(112), 결정 버튼(115), 상 버튼(116), 하 버튼(117), 0에서 9의 숫자 버튼 등이 있다.
표시부(120)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이것들은 예를 들면 액정 패널로 실현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기능의 설정이나 메일 표시 등 휴대전화기의 통상의 조작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 서브 디스플레이는 간단한 정보의 표시, 예를 들면 착신시의 착신 메시지의 표시 등에 사용된다. 이하 에서는 표시부(120)에 대한 표시라고 하면,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표시를 가리킨다.
주소록 처리부(130)는, 통신하는 상대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주소록의 등록과 참조를 실시한다.
주소록에의 통신 상대의 신규의 등록은, 유저가 먼저 주소록 메뉴 버튼(111)을 누르는 것으로써 행해진다. 주소록 메뉴 버튼(111)이 눌러지면, 주소록 처리부(130)는, 주소록 메뉴(501)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표시한다는 것은 표시부(120)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소록 메뉴(501)의 메뉴 항목에는, 「참조」와「신규 등록」이 있고, 처음에는 「참조」의 항목이 선택 후보로서 반전 표시(미도시)되고 있다. 유저에 의해 하 버튼(117)이 눌러지면, 「참조」가 통상 표시로 변화하고, 다음의 「신규 등록 」이 반전 표시된다.
도 6은, 주소록에 신규 등록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에 의해 신규 등록의 메뉴 항목에 대해서 결정 버튼(115)이 눌러지면, 주소록 처리부(130)는, 신규 등록(601)의 화면을 표시한다. 신규 등록(601)의 항목에는, 상대의 이름, 전화번호, 메일 주소, 화상, 음악이 포함된다. 처음에는 이름이 입력 후보로서 반전 표시되고 있다. 유저가 결정 버튼(115)을 누르는 것으로써 「이름」의 입력 화면(미도시)이 표시되므로, 이름을 조작부(110)의 적당한 버튼에 의해 입력하고, 다시 결정 버튼(115)을 누르면 신규 등록(601)의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때 입력한 이름이 이름의 항목에 표시되고 있다. 이하, 유저는 마찬가지로 하여 하 버튼(117)으로 항목을 이동하면서 전화번호, 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다음에, 「화상」의 항목으로, 유저가 결정 버튼(115)을 누르면, 주소록 처리부(130)는, 정보 기억부(100)에 있는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303)로부터,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를 읽어내어 표시한다.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 일람(602)은 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화상 데이터 식별자를 식별 정보로 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 일람(602)에서는, 유저 데이터, 프리세트(pre-set) 데이터의 종류의 순서로 화상 데이터 식별자가 표시된다.
유저는, 상 버튼(116), 하 버튼(117)의 조작으로 적당한 화상 데이터 식별자를 반전 표시하고, 결정 버튼(115)을 눌러 선택한다.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303)로, 예를 들면 「야마다씨의 근접 촬영」이라는 이름을 화상 데이터의 작성·기억 시에 화상 데이터에게 주어, 그 데이터 식별자와 대응하여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303)에 기록해 두어도 괜찮다. 그때,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 표시(601)로서 데이터 식별자에 대신하여 화상의 이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화상·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303)에는, 데이터의 이름을 기록 항목으로서 추가하고, 대응하는 데이터 파일명과 대응하여 기록해 두는 것이 좋다.
음악의 등록도, 화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 일람(603)으로부터 적당한 음악 데이터 식별자를 선택하면 좋다.
도 7은, 주소록(301)에, 송신원 정보를 등록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송신원 정보란, 메일의 송신원의 송신원 정보를 말한다.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수신 메일의 표시를 실시한다. 수신 메일의 송신원의 메일 주소와 그 송신원의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수신 메일의 표시 때,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과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 파일의 음악도 아울러 출력한다.
여기서, 화상의 출력은, 본문의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또 음악의 출력은, 본문의 표시중, 음성 처리부(104)를 통해서 음성 출력된다.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유저에 의해 메일 메뉴 버튼(112)이 눌러지면, 메일 메뉴를 표시한다. 메일 메뉴(511)는 그 일례이다.
메일 메뉴(511)로부터 유저가 결정 버튼(115)에 의해 「수신 메일 박스」를 선택하면,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수신 메일 박스에 있는 수신 메일을 기초로, 그 수신 메일 일람(801)을 작성하고, 수신 일시의 빠른 순서로 표시한다. 수신 메일 일람(801)으로 표시되는 항목에는, 수신 월일, 송신원의 이름이 포함된다. 여기서, 송신원의 이름은 주소록에 대해 송신원의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이름으로, 이름이 없거나 혹은 송신원의 메일 주소가 없을 때,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송신원 메일 주소를 이름으로 간주하여 표시한다.
수신 메일 일람(801)의 최초의 표시에 대해, 표시 제어부(140)는 선두의 메일이 선택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반전 표시한다. 따라서, 최초로 표시되는 수신 메일 일람(801)은, 선두의 메일이 선택된 수신 메일 일람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 버튼(116) 및 하 버튼(117)의 누름에 의해, 표시 제어부(140)는, 선택되는 수신 메일을 이동하고, 수신 메일 일람에 대해 선택된 메일을 반전 표시한다.
결정 버튼(115)이 눌러지면, 현재 수신 메일 일람(801)에서, 선택되고 있는 메일, 예를 들면 야마다 타로(802)의 메일을 표시 제어부(140)가 개봉하고, 그 메일의 송신원의 이름, 수신 일시, 주제, 본문의 순서로 표시한다.
도 9는, 메일의 본문을 표시할 때에, 화상도 표시하는 경우에,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한 본문과 화상의 합성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주소록에 등록된 메일 송신원의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의 화상 데이터 파일을 읽어들여, 그것을 원 화상으로 하여 RAM(Random Access Memory)의 일시 영역에 있어 화상의 화소마다 휘도 혹은 농도를 주는 화상 전개(image transform)를 실시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각 화소는 R, G, B의 3 원색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색에 대해, 0에서 10까지의 10 계조의 휘도로 주어진다고 한다.
다음에,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전개된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색의 휘도를 높게 하거나, 혹은 낮게 하여 배경 화상으로 한다.
도 10은, 현 화상의 각 색의 휘도 계조를 높게 하거나 혹은 낮게 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휘도를 높게 하는 고휘도화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에 나타나는 것처럼, 원 화상의 색의 휘도가 n이면, 그것을 5에서 10까지의 6 계조의 휘도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원 화상의 휘도 계조가 0 또는 1의 경우는 5로, 2 또는 3의 경우는 6으로 변환한다.
또, 최대 휘도를 m(m=10), 원 화상의 색의 휘도를 n으로 하면, 변환 후의 휘 도 c는 다음의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 : c = (m+n)/2 여기서 소수점부는 잘라서 버림
이렇게 해서 얻을 수 있는 휘도를 높게 한 처리 후의 화상을 배경 화상으로 하고 거기에 메일의 본문을 검은색 글자(문자 부분의 화소의 R, G, B를 모두 O의 휘도로 한다)로 덮어쓰는 것에 의해 합성하고, 그것을 표시한다.
다음에, 휘도를 낮게 하는 저휘도화의 경우에는, 도 10(b)에 나타나는 것처럼, 원 화상이 있는 색의 휘도 n이면, 그것을 0에서 5까지의 6 계조의 휘도로 변환한다. 그것을 5에서 10까지의 6 계조의 휘도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원 화상의 휘도 계조가 1 또는 2의 경우는 1로, 3 또는 4의 경우는 2로 하여 변환한다.
또, 변환 후의 휘도 c는 다음의 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식 2 : c = n/2 여기서 소수점부는 잘라서 버림
처리 후의 배경 화상에 대해, 메일의 본문을 흰색 글자(문자 부분의 화소의 R, G, B를 모두 O의 휘도로 한다)로, 덮어쓰는 것에 의해 합성하고, 그것을 표시한다. 이상, 어떤 방법의 합성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도 11은 메일의 본문 표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한 메일의 본문 표시의 처리에 대해 도 1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수신 메일의 송신원의 이름, 수신 일시, 주제를 표시한 후, 본문을 표시한다. 다음에,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메일 데이터(401)에 있는 메일 관리표(404)를 참조하고, 수신·표시 설정의 배경 화상의 플래그가 온(ON)인지를 체크한다(S10). 배경 화상이 온(ON)이 아니면, 배경 화상의 표시는 하지 않고 해당 메일의 본문을 통상의 방법으로 표시한다(S60).
배경 화상이 온(ON)의 경우,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해당 메일의 송신원의 메일 주소가 주소록(301)에 등록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20).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본문을 통상과 같이 표시한다(S60). 송신원의 메일 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면, 또한, 주소록에 해당 메일 주소와 같은 상대의 화상의 항목으로서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30).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본문을 통상과 같이 표시한다(S60).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는, 그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정보 기억부(100)의 화상·음악 데이터 파일(304)로부터 읽어들여, RAM의 일시 영역에 화상의 전개(transform)를 실시하고, 각 화소의 각 R, G, B 색의 휘도 계조를 식 1에 따라 높게 하여 배경 화상으로 변환한다(S40). 해당 메일의 본문을 검은색 글자로 하여, 그 검은색 글자 부분을 상기의 배경 화상에 덮어 쓰기하여 표시한다(S50).
다음에, 주소록에 해당 메일 주소와 대응하여, 음악의 항목으로서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체크한다(S70).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그 음악 데이터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음악 데이터 파일을 화상·음악 데이터 파일(304)로부터 읽어들여, 음성 처리부(104)를 통해서 그 음악을 출력한다(S80).
이상이, 수신 메일 표시 제어부(140)에 의한 본문 표시의 처리이다.
상기의 본문 표시의 처리에 대해, S40의 단계에 있어서, 화상의 배경 화상화에서는 휘도 계조를 높게 하여, 본문을 검은색 글자로 표시하고 있다. 이것을, 화상의 배경 화상화에서는 휘도 계조를 식 2에 의해 낮게 하여, 본문을 흰색 글자로 표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본문 처리의 대상을 수신 메일로 하고 있지만, 송신 박스에 있는 송신이 끝난 송신 메일(413)의 본문의 표시 때, 또는 작성 도중의 송신 메일의 본문의 표시 때도, 마찬가지로 하여 상대의 화상과 음악의 출력을 실시해도 괜찮다.
또, 실시의 형태에서는, 화상의 휘도 계조는 O으로부터 10까지로 하고 있지만, 이 계조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화상 데이터 및 표시 장치의 성능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또, 휘도는 화소의 3 원색의 각 색의 휘도로서 설명했지만, 색은 이 3 원색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또 화소가 무색 농담(gray scale)으로 나타내지는 경우도 휘도에 포함된다.
또,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신 메일의 본문을 표시할 때, 수신 메일의 송신원의 메일 주소와 대응하여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가 주소록(301)에 대해 등록되어 있으면, 그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로 나타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을, 메일 일람의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것에 더하여, 혹은 이것을 대신하여, 수신 메일 일람(801)의 표시 때에, 도 8과 같이 현재 선택되고 있는 수신 메일(802)의 송신원 메일의 메일 주소와 대응하여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가 주소록에 대해 등록되어 있으면,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로 나타나는 화 상 데이터 파일의 화상을, 수신 메일 일람(120)의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도 12는, 「야마다」라고 하는 송신원의 송신원 정보에 등록된 화상 데이터 식별 정보가 가리키는 화상 데이터를 배경 화상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현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디지탈 신호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탈 신호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등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기 통신회선, 무선 또는 유선 통신회선, 혹은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탈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 통신 기기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활용된다.

Claims (11)

  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과,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특정되었을 때,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와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2.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과,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 수단과,
    메일이 특정되었을 때, 특정된 메일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특정된 메일의 본문과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메일의 본문을 표시시킬 때,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메일의 본문을 합성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화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부를 가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휘도를 최대 휘도에 가깝게 하는 고휘도화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휘도화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화상을 배경으로서 그 위에 상기 메일의 본문을 검은색 글자로 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휘도화 처리는,
    최대의 휘도 계조를 m으로 하고, 상기 화상의 임의의 화소의 휘도 계조를 n으로 하면, 해당 화소의 휘도 계조를 (m + n)/2 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합성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휘도를 최소 휘도에 가깝게 하는 저휘도화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휘도화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화상을 배경으로서 그 위에 상기 메일의 본문을 흰색 글자로 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음악 데이터를 기억하는 음악 데이터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은,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음악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메일의 본문을 표시할 때,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메일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음악 데이터를 아울러 출력하는 음악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메일 일람을 표시할 때, 선택한 메일 일람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와 상기 메일 일람을 합성하는 화상 합성부와,
    상기 화상 합성부에서 합성된 합성 화상을 표시하는 합성 화상 표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대편 정보는, 상대편의 메일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주소록 기억 수단에 대해, 상기 메일의 상대편의 메일 주소를 포함한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아울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
  10.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와,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부를 가지는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메일의 상대편 정보가 특정되었을 때,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판독 단계와,
    읽어낸 화상 데이터를 상기 특정된 상대편 정보와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
  11.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와,
    메일의 상대편을 나타내는 상대편 정보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주소록 기억부를 가지는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메일이 특정되었을 때, 특정된 메일의 상대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판독 단계와,
    읽어낸 화상 데이터가 특정된 메일의 본문과 아울러 표시시키는 출력 제어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067012249A 2003-11-27 2004-11-26 휴대 통신 기기 KR101110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7659 2003-11-27
JP2003397659 2003-11-27
PCT/JP2004/017607 WO2005052804A1 (ja) 2003-11-27 2004-11-26 携帯通信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592A true KR20060111592A (ko) 2006-10-27
KR101110935B1 KR101110935B1 (ko) 2012-03-13

Family

ID=3463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249A KR101110935B1 (ko) 2003-11-27 2004-11-26 휴대 통신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20080032670A1 (ko)
JP (3) JP4592018B2 (ko)
KR (1) KR101110935B1 (ko)
CN (1) CN1886736B (ko)
WO (1) WO2005052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019B1 (ko) * 2005-08-26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전송방법
JP5060047B2 (ja) * 2005-10-14 2012-10-31 旭化成株式会社 混雑状況提示装置、及び、混雑状況情報閲覧システム
JP2007122561A (ja) * 2005-10-31 2007-05-17 Kddi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似顔絵データ提供システム
JP4657944B2 (ja) * 2006-02-20 2011-03-23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763237B1 (ko) * 2006-05-1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66315B1 (ko) * 2007-01-19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폴더 설정방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35210B1 (ko) * 2007-03-12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2010061416A (ja) * 2008-09-04 2010-03-18 Sony Corp 映像表示装置、サーバ、携帯端末、映像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US8416262B2 (en) 2009-09-16 2013-04-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ing an overlay on a device display screen
EP2299693B1 (en) * 2009-09-16 2019-03-13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ing an overlay on a device display screen
JP5515691B2 (ja) * 2009-11-30 2014-06-1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受信機
EP2618545A4 (en) * 2010-09-14 2014-07-30 Nec Casio Mobile Comm Ltd MOBILE TERMINAL
US20140280620A1 (en) * 2013-03-15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identification manage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4125326B (zh) * 2013-04-28 2016-03-02 上海鼎讯电子有限公司 设置消息背景的方法和终端
US10965630B2 (en) * 2018-08-03 2021-03-30 Flash App, LLC Enhanced data sharing to and between mobile device users
US11991131B2 (en) 2018-08-03 2024-05-21 Flash App, LLC Enhanced enterprise data sharing to mobile device use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297A (ja) * 1991-02-06 1992-09-04 Nec Eng Ltd 画像表示装置
JPH05204795A (ja) * 1991-10-30 1993-08-13 Hitachi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H0766832A (ja) * 1993-08-26 1995-03-10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電子メ−ル方式
JPH11175441A (ja) * 1997-12-10 1999-07-02 Sharp Corp 通信情報認識方法及び装置
JP2001296828A (ja) * 2000-04-13 2001-10-26 Casio Comput Co Ltd 移動体通信装置、同装置の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4516247B2 (ja) * 2000-08-24 2010-08-0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携帯端末
US6704027B2 (en) * 2000-08-24 2004-03-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Portable terminal
JP4757984B2 (ja) * 2000-08-31 2011-08-24 任天堂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2132663A (ja) * 2000-10-20 2002-05-10 Nec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531962B2 (ja) * 2000-10-25 2010-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システム並びに電子メール出力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2176679A (ja) * 2000-12-07 2002-06-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2291052A (ja) * 2001-03-28 2002-10-04 Denso Corp 携帯電話
JP3885567B2 (ja) * 2001-11-21 2007-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対話支援装置および対話支援システム
US20030110227A1 (en) * 2001-12-06 2003-06-12 O'hagan Timothy Patrick Real time streaming media communication system
JP2003224634A (ja) * 2002-01-31 2003-08-08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
EP1349407A3 (en) * 2002-03-28 2006-12-06 Casio Computer Co., Lt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7295213B2 (en) * 2002-05-10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metadata color temperatur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tadata
JP4351160B2 (ja) * 2002-08-12 2009-10-28 京セラ株式会社 撮影機能付き通信端末、同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
US20040221012A1 (en) * 2003-04-30 2004-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mail forward filter
JP2005045587A (ja) * 2003-07-23 2005-02-17 Nec Saitama Ltd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この装置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
CN1275491C (zh) * 2003-08-20 2006-09-13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移动电话图片处理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83872A (ja) 2010-12-16
WO2005052804A1 (ja) 2005-06-09
JP5597745B2 (ja) 2014-10-01
JP5597473B2 (ja) 2014-10-01
US9418463B2 (en) 2016-08-16
US20140082109A1 (en) 2014-03-20
US20080032670A1 (en) 2008-02-07
KR101110935B1 (ko) 2012-03-13
CN1886736A (zh) 2006-12-27
JPWO2005052804A1 (ja) 2007-12-06
US20160337285A1 (en) 2016-11-17
US10237219B2 (en) 2019-03-19
JP4592018B2 (ja) 2010-12-01
JP2013176154A (ja) 2013-09-05
US20160071299A1 (en) 2016-03-10
CN1886736B (zh) 2010-09-15
US9276891B2 (en) 201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745B2 (ja) 携帯通信機器
KR100771944B1 (ko) 휴대 전화기용 전자 메일 취급 방법 및 이 취급 방법을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US6704027B2 (en) Portable terminal
KR100528715B1 (ko)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KR20010085734A (ko) 휴대 전화기의 스크롤 모드 변경방법 및 이 스크롤변경방법을 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US20060001756A1 (en) Data communications device, data communications system, document display method with video and document display program with video
KR2006002747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폰북 등록 이미지를 갱신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644033B1 (ko) 메시지 작성시 이미지 검색에 의한 수신자 확인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JP20080109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0642195B1 (ko)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팩스 송수신 장치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4467536B2 (ja) 電話機
JP2003087360A (ja) 携帯端末
US8761837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history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communication history display program
JP2002149559A (ja) 電子メールを表示する端末装置および電子メールの表示方法
JP2001177626A (ja) 通信端末
JP2005303360A (ja) 携帯電話端末及びその画像合成方法
JP2002324028A (ja) 通信端末
JPH08293930A (ja) 画像信号送信装置
KR20050024597A (ko) 이름에 의한 이메일,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JP2001160848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における画像読取/処理方法
KR200601241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법 및팩시밀리
JPH1028162A (ja) 携帯電話機
JP2005101842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