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03341A - 플라즈마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341A
KR20060103341A KR1020067012570A KR20067012570A KR20060103341A KR 20060103341 A KR20060103341 A KR 20060103341A KR 1020067012570 A KR1020067012570 A KR 1020067012570A KR 20067012570 A KR20067012570 A KR 20067012570A KR 20060103341 A KR20060103341 A KR 2006010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ll surface
plasma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781B1 (ko
Inventor
유우이찌 가와노
다다시 시마즈
도시히꼬 니시모리
가즈또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7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458Vessel
    • H01J37/32477Vessel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tecting vessels or internal parts, e.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01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e.g. dust, moisture or residual gas, in the reaction cha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파티클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클리닝 처리의 부담을 경감시킨 박막 제작 장치를 제공한다. 그로 인해, 진공 챔버(1)의 내부에 가스 노즐(14)로부터 가스(13)를 공급하는 동시에, 고주파 안테나(7)에 급전하여 상기 가스(13)를 플라즈마화하여 기판(6)에 박막(15)을 성막하는 박막 제작 장치에 있어서, 박막 성분이 진공 챔버(1)의 내벽면에 부착하도록 세라믹제의 내통(20)을 진공 챔버(1)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도록 하여 설치한다.
진공 챔버, 가스 노즐, 고주파 안테나, 내통, 플라즈마

Description

플라즈마 처리 장치{PLASM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플라즈마 처리시의 파티클의 발생을 억제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장치 등의 제조에서는 플라즈마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 플라즈마 에칭 장치 등을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7은 종래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일예인, 박막 제작 장치(플라즈마 CVD 장치)의 개략 투시측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CVD 장치라 함은, 진공 챔버(1) 내에 도입한 박막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기 금속 착체 등의 가스(원료 가스)(13)를 고주파 안테나(7)로부터 입사하는 고주파에 의해 플라즈마 상태(10)로 하고, 플라즈마(10) 중의 활성인 여기 원자에 의해 기판(6) 표면의 화학적인 반응을 촉진하여 금속 박막(15) 등을 성막하는 장치이다.
상기 플라즈마 CVD 장치 및 성막 방법에 있어서는, 본래 기판에 성막될 금속 박막 등(이하, 박막 성분이라 함)이 성막 공정의 반복에 수반하여 챔버 내벽 등에도 부착ㆍ퇴적되는 경우가 있다. 챔버 내벽 등에 퇴적된 박막 성분은 성막 공정 중에 박리되어 파티클원으로서 기판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한편, 챔버 내에 있어서의 가스의 분포나 흐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결과적으로 균일한 박막을 제작 가능한 성막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이 성막 장치는 후술하는 본원 발명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와 비슷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성막 장치에 있어서의「환형 돌출부(부호 19)」등의 박막 성분이 부착되기 쉬운 부분에는, 상기 박막 성분의 부착ㆍ퇴적에 대한 대책은 취해지고 있지 않다. 즉, 박막 성분의 부착ㆍ퇴적이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환형 돌출부는 챔버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부터, 환형 돌출부 등은 챔버의 내벽면과 전혀 다른 점이 없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477호 공보
따라서, 종래의 플라즈마 CVD 장치를 이용하여 성막하는 경우에는, 챔버 내부를 정기적으로 클리닝 처리하여 부착ㆍ퇴적한 박막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클리닝 처리를 빈번하게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는 박막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챔버 내를 에칭 등에 의해 클리닝하기 위해서는, 클리닝하는 부위를 가열하여 에칭 속도(클리닝 속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라즈마에 의한 가열만으로는 챔버는 충분히 가열하는 것이 어렵고, 클리닝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별도 가열 장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는 에칭 반응에 의해 반응 생성물이 생기는 플라즈마 에칭 장치에 있어서도 공통의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판 오염의 원인이 되는 파티클의 발생을 억제하여 챔버 내의 클리닝 처리의 필요성을 배제하거나, 또는 그 빈도를 적게 하거나, 또는 그 작업 부담을 경감시킨 플라즈마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챔버의 내부에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챔버의 내압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수단과,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챔버 내의 하방에 설치되어, 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갖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의 상기 챔버의 내벽면으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벽면 보호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벽면 보호 부재가 대신 오염되도록 함으로써 챔버 내벽면에의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의 부착ㆍ퇴적을 방지하는 동시에, 벽면 보호 부재를 챔버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함으로써 챔버 내의 클리닝 처리를 불필요로 한다. 또한, 벽면 보호 부재를 복수 준비하여, 벽면 보호 부재의 클리닝 처리 대기에 의한 처리 공정의 중단을 배제하여 반도체 장치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상기 챔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대보다도 상방의 내벽면을 덮는 내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파티클원의 대부분이 지지대(기판)보다도 상방의 챔버 내벽면에 부착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에 기인하므로, 벽면 보호 부재로서 상기 부위를 챔버 내 일주에 걸쳐서 덮는 내통으로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파티클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상기 챔버에 점 접촉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점 접촉으로 지지된다」라 함은, 예를 들어 챔버의 내벽면 또는 벽면 보호 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작은 돌기부를 거쳐서 벽면 보호 부재가 챔버에 설치되는, 즉 벽면 보호 부재와 챔버와의 접촉 면적이 작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벽면 보호 부재와 챔버와의 접촉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벽면 보호 부재를 지지 가능한 최소의 면적) 함으로써, 플라즈마에 의해 가열된 벽면 보호 부재로부터의 열이동을 억제한다. 벽면 보호 부재를 고온으로 보유 지지함으로써, 벽면 보호 부재에 부착되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을 높은 균일성ㆍ부착력으로 부착(박리가 적어짐)시킨다. 플라즈마에 의한 가열이 불량일 때에는, 벽면 보호 부재에 히터를 설치하여 온도 제어를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세라믹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벽면 보호 부재의 재료를 세라믹으로 함으로써, 플라즈마 내성을 향상시켜 장기 수명화시키는 동시에, 챔버의 측벽면의 외측 주위에 권취한 코일 형상의 안테나를 플라즈마 발생 수단으로 한 타입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벽면 보호 부재의 재료를 알루미늄으로 함으로써,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경량화하여, 교환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표면이 산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벽면 보호 부재의 표면을 산화 처리함으로써, 내식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표면이 조면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조면화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블라스트 처리를 들 수 있고,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부착되는 생성물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부착된 생성물이 박리되어 기판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수단은 상기 벽면 보호 부재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반응 가스가 도입되는 부근, 즉 가스 공급 수단(가스 노즐)의 노즐 선단부 부근은 파티클원이 되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이 특히 부착되므로, 가스 노즐의 배관이 성막실 내에 노출되어 있으면, 상기 노출 부분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이 부착되어 파티클원이 되거나, 별도 클리닝 처리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벽면 보호 부재에 마련한 관통 구멍을 통과시켜 가스 노즐을 배치함으로써, 플라즈마 처리실 내에 노출되는 가스 배관을 짧게 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와 상기 챔버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벽면 보호 부재와 진공 챔버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함으로써, 플라즈마에 의해 가열된 벽면 보호 부재의 열손실을 억제하는 동시에, 단열재에 의해 벽면 보호 부재를 진공 챔버 내벽면에 지지함으로써 직접 접촉에 의한 열이동을 배제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벽면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챔버의 벽면을 100 ℃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이다.
챔버 자체를 100 ℃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벽면 보호 부재의 온도를 안정화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따르면,
챔버의 내부에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챔버의 내압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수단과,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챔버 내의 하방에 설치되어, 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갖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의 상기 챔버의 내벽면에의 부착을 방지하는 벽면 보호 부재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챔버 내벽면에의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의 부착ㆍ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면 보호 부재를 챔버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함으로써, 챔버 내의 클리닝 처리를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벽면 보호 부재를 복수 준비하여, 벽면 보호 부재의 클리닝 처리 대기에 의한 처리 공정의 중단을 배제하여 반도체 장치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상기 챔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대보다도 상방의 내벽면을 덮는 내통인 것으로 하였으므로,
파티클원의 대부분이 지지대(기판)보다도 상방의 챔버 내벽면에 부착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에 기인하는 것에 비추어, 효과적으로 파티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상기 챔버에 점 접촉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벽면 보호 부재와 챔버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플라즈마에 의해 가열된 벽면 보호 부재로부터의 열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벽면 보호 부재를 고온으로 보유 지지함으로써, 벽면 보호 부재에 부착되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을 높은 균일성ㆍ부착력으로 부착(박리가 적어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세라믹제인 것으로 하였으므로,
플라즈마 내성을 향상시켜 장기 수명화시키는 동시에, 챔버의 측벽면의 외측 주위에 권취한 코일 형상의 안테나를 플라즈마 발생 수단으로 한 타입의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금속제, 특히 알루미늄제인 것으로 하였으므로,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경량화하여, 교환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표면이 산화 처리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내식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표면이 조면화 처리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부착되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부착된 생성물이 박리되어 기판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클리닝 처리의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수단은 상기 벽면 보호 부재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성막실 내에 노출되는 가스 배관을 배제할 수 있고, 노출된 배관 부분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이 부착되어 파티클원이 되거나, 별도 클리닝 처리가 필요해지는 등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와 상기 챔버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플라즈마에 의해 가열된 벽면 보호 부재의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에 의해 벽면 보호 부재를 진공 챔버 내벽면에 지지함으로써, 직접 접촉에 의한 열이동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벽면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 특히 100 ℃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벽면 보호 부재의 온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개략 투시측 단면도이다.
도2의 (a)는 도1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2의 (b)는 내통의 일부를 진공 챔버의 내부로부터 본 개략 개관도이다.
도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내통 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내통 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내통 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6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내통 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7은 종래의 박막 제작 장치의 일예의 개략 투시측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진공 챔버
2 : 성막실
3 : 천정판
4 : 지지대
6 : 기판
7 : 고주파 안테나
8 : 정합기
9 : 고주파 전원
10 : 플라즈마
13 : 가스
14 : 가스 노즐
14a : 챔버벽 내 가스관
15 : 박막
20 : 내통
20a : 내통 본체
20b : 돌기부
20c : 돌기부
20d : 구멍부
21 : 챔버 단차부
22 : 공간
23 : 단열재
24 : 가스 노즐
24a : 노즐 선단부
24b : 챔버벽 내 가스관
25 : 가스 노즐
25a : 노즐 선단부
25b : 챔버벽 내 가스관
26 : 가스 노즐
26a : 노즐 선단부
26b : 챔버벽 내 가스관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개략 투시측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진공 챔버(1) 내에는 성막실(2)이 형성되고, 진공 챔버(1)의 상부에는 원형의 천정판(3)이 설치되어 있다. 성막실(2)의 중심에는 기판(6)을 지지하는 지지대(4)가 구비되고, 예를 들어 정전 척 등에 의해 반도체의 기판(6)이 지지대(4)의 상면에 정전적으로 흡착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천정판(3) 상에는, 예를 들어 원형 링 형상의 고주파 안테나(7)가 배치되고, 고주파 안테나(7)에는 정합기(8)를 거쳐서 고주파 전원(9)이 접속되어 있다. 고주파 안테나(7)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자파가 진공 챔버(1)의 성막실(2)에 입사된다(플라즈마 발생 수단).
한편, 성막실(2) 내에 있어서의 천정판(3)보다 낮고, 지지대(4)보다 높은 위치에 가스(13)가 도입되도록 가스 공급 수단인 가스 노즐(14)이 마련되어 있다. 가스 노즐(14)은 진공 챔버(1)의 외측 주위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진공 챔버(1)의 측벽 부분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고정되고, 성막실(2) 내에서 상방으로 배관됨으로써, 노즐 선단부(가스 분사구)의 위치를 천정판(3)보다 낮고 지지대(4)보다 높은 위치로 하고 있다.
성막실(2) 내에 도입된 가스(13)는 성막실(2)에 입사된 전자파에 의해 이온화되어 플라즈마 상태가 된다. 가스(13)는 박막(15)의 재료가 되는 원소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 예를 들어 유기 금속 착체의 가스 등이고, 플라즈마 상태가 된 후, 기판(6)에 흡착 등 함으로써 박막(15)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유기 금속 착체의 가스로부터는 금속 박막이 형성되고, 암모니아 가스와 디보란 가스와의 조합으로부터는 질화붕소막이 형성되고, 가스종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박막(15)을 성막할 수 있다.
상세한 장치 제어로서는, 압력 제어 수단으로서의 진공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성막실(2) 내를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가스 노즐(14)로부터 가스(13)를 소정 유량으로 도입한다. 고주파 전원(9)으로부터 고주파 안테나(7)에 정합기(8)를 거쳐서 고주파 전력(1 ㎒ 내지 100 ㎒, 1 ㎾ 내지 10 ㎾)를 인가함으로써, 성막실(2) 내에서 가스(13)가 여기되어 플라즈마 상태가 되고, 기판(6) 상에 박막(15)이 성막된다. 이 때, 기판(6)의 온도는 온도 제어 수단으로서의 히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200 ℃ 내지 450 ℃로 설정된다.
이 때, 박막 성분이 진공 챔버(1)의 내벽면에 부착하지 않도록,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면 보호 부재인 세라믹제의 내통(20)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20)은 진공 챔버(1)에 있어서의 지지대(4)보다도 상방의 내벽면을 덮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도2의 (a)는 도1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고, 진공 챔버(1) 내에 설치된 내통(20)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20)은 내통 본체(20a)와, 돌기부(20b, 20c)로 이루어지고, 내통 본체(20a)는 원통 형상의 진공 챔버(1)의 내부에 장착 가능한 진공 챔버(1)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을 하고 있다.
진공 챔버(1)에는 내통(20)을 원주 일주에 걸쳐서 하부로부터 지지 가능한 챔버 단차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내통(20)의 하단부에 마련된 돌기부(20b)가 챔버 단차부(2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됨으로써, 내통(20)의 진공 챔버(1) 내에 있어서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내통(20)의 외벽면에 마련된 돌기부(20c)가 진공 챔버(1)의 내벽면에 접촉함으로써, 내통(20)의 진공 챔버(1) 내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어긋남이 방지되어 있다.
도2의 (b)는 내통(20)의 일부를 진공 챔버(1)의 내부로부터 본 개략 개관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20b)는 통 형상의 내통 본체(20a)의 하단부에 있어서 원주를 따라 단속적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그 개수는 챔버 단차부(21) 상에 내통 본체(20a)를 지지 가능한 개수 이상이면 된다. 또한, 돌기부(20c)는 내통 본체(20a)의 외벽면에 있어서, 돌기부(20b)와 마찬가지로 통의 원 주를 따라 단속적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그 개수는 2, 3개 이상이면 된다. 또,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내통(20)의 유지열의 관점으로부터는, 돌기부(20b, 20c)의 개수는 적을수록 좋다.
또한, 가스 노즐(14)은 진공 챔버(1)에 있어서의 내통(20)보다 하방에 있어서 챔버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직선 형상으로 마련된 챔버벽 내 가스관(14a)을 거쳐서 진공 챔버(1)의 내부에 있어선 상방으로 연장되어 성막실(2) 내로 수평 방향으로 가스(13)를 공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성막 공정에 있어서의 박막 성분의 챔버 내벽에의 부착은 가스(13)가 공급되는 높이, 즉 가스 노즐(14)의 노즐 선단부의 높이에 있어서 특히 일어나기 쉬우므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챔버(1)의 내벽면과 가스 노즐(14)의 노즐 선단부를 충분히 차단하는 높이가 되도록 내통(20)을 설치한다.
내통(20)을 설치함으로써, 내통(20)의 내벽면이 박막 성분에 의해 오염되므로, 진공 챔버(1)의 내벽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성막 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챔버 내부를 클리닝할 때에는, 내통(20)을 진공 챔버(1)로부터 제거하여 클리닝하면 되고, 클리닝 처리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복수의 내통(20)을 준비해 둠으로써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박막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성막 공정에 있어서, 성막실(2) 내에 발생하는 플라즈마(10)에 의해 내통(20)은 약 200 ℃ 내지 400 ℃로 가열된다. 이 결과, 내통(20)의 벽면에 부착되는 박막 성분은 막질이 향상된 부착성이 높은 박막 성분이고, 퇴적해도 박리 등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내통(20)에 부착된 박막 성분은 종래의 진공 챔버에 부착되는 박막 성분에 비해 기판(6)을 오염시키는 파티클원이 되기 어려워진다.
이는 내통(20)의 두께(약 3 내지 5 ㎜로 얇음), 재질 등의 이유에 의해 진공 챔버(1)에 비해 내통(20)이 가열되기 쉬운 것, 및 내통(20)이 진공 챔버(1)에 돌기부(20b, 20c)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말하자면 점 접촉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내통(20)으로부터 진공 챔버(1)로 전도되는 열로서는, 양 부재의 접촉에 의한 전도열은 적고, 대략 공간(22)을 거쳐서 전도되는 복사열로만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이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20)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내통(20)의 온도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내통(20)의 온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진공 챔버(1)의 측벽 부분을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로는 10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내통(20)의 벽면에 부착되는 박막 성분을 박리하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는 결과, 한번에 성막할 수 있는 막 두께를 증가(종래는 약 1 ㎛,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0 ㎛)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통(20)에 부착된 박막 성분의 클리닝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내통(20)의 온도를 플라즈마에 의한 가열로 200 ℃ 내지 400 ℃라는 고온으로 할 수 있으므로, 내통(20)을 챔버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클리닝 처리(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칭에 의한 클리닝)한 경우에는, 에칭 속도, 즉 클리닝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종래의 진공 챔버(1)의 내벽면을 클리닝 처리 할 때에는, 진공 챔버(1)가 가열되기 어려우므로 플라즈마에만 의한 가열로는 충분하지 않아 클리닝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클리닝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챔버 온도를 올리기 위한 가열 장치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내통의 부분(도1의 A부에 상당)의 단면 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20)과 진공 챔버(1) 사이[도2에 있어서의 공간(22)에 상당]에 단열재(23)를 끼워 넣었다. 끼워 넣어진 단열재(23)는 압축되어 있고, 내통(20)을 진공 챔버(1)에 지지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통(20)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기부(20b, 20c)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점 접촉에 의한 내통(20)으로부터 진공 챔버(1)로의 열전도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단열재(23)를 설치함으로써 내통(20)의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단열재로서는, 테프론(등록상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박막 제작 장치의 내통의 부분(도1의 A부에 상당)의 단면 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20)에 가스 노즐(24)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부(20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가스 노즐(24)은 진공 챔버(1)에 있어서의 내통(20)보다 하방 외부로부터 진공 챔버(1)의 벽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평 방향으로 진공 챔버(1)의 내부[성막실(2)]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챔버벽 내 가스관(24b)을 거쳐서, 진공 챔버(1)의 내부의 노즐 선단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구멍부(20d)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노즐 선단부(24a)로부터 성막실(2) 내로 수평 방향으로 가스(13)를 공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노즐이 진공 챔버 내에 있어서 내통보다도 더욱 내측에 배치(챔버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는 부분)된, 즉 챔버 내에 노출되는 가스 배관이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박막 성분이 상기 배관 부분에 부착되어 별도의 클리닝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노즐(24)에 있어서 성막실(2) 내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한의 노즐 선단부(24a)만으로서, 별도의 클리닝을 불필요로 하였다.
또, 노즐 선단부(24a)는 가스 노즐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내통(20)을 진공 챔버(1)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노즐 선단부(24a)를 횡방향으로 제거한 후에 내통(20)을 상방으로 제거한다.
<제4 실시 형태>
도5는 상기 제3 실시 형태를 변형한 제4 실시 형태이고, 도4에 있어서의 챔버벽 내 가스관(24b)에 상당하는 배관 부분을 내통(20)과 진공 챔버(1) 사이의 공간(22), 즉 챔버벽의 외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진공 챔버(1)의 벽 내에 형성하는 배관 부분을 챔버벽 내 가스관(25b)으로만 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진공 챔버(1)에 형성하는 배관은 직선 형상의 챔버벽 내 가스관(25b)만으로 좋기 때문에, 도4에 도시하는 챔버벽 내 가스관(24b)에 비해 단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챔버 내에 노출된 배관 부분은 도4에 도시하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노즐 선단부(25a)뿐이므로, 별도의 클리닝을 불필요로 하는 것에 다름이 없다.
<제5 실시 형태>
도6은 상기 제3 실시 형태(도4 참조)를 변형한 제5 실시 형태이고, 도4에 있어서의 챔버벽 내 가스관(24b)에 상당하는 배관 부분을 직선 형상의 챔버벽 내 가스관(26b)으로 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진공 챔버(1)의 외부에 있어서의 가스(13)를 공급하는 높이를 챔버 내에 있어서 가스(13)를 도입하는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고 있고, 가스 공급 수단이 마련되는 만큼, 진공 챔버(1)의 측벽 외주위의 자유도가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플라즈마 발생 수단으로서 챔버 주위에 코일 형상 안테나를 설치하지 않는 타입의 장치 등과 같이, 진공 챔버(1)의 측벽 외주위에 설치하는 부품이 적은 경우에는, 도6에 도시하는 가스 노즐 구조로 함으로써, 보다 단순한 가스 노즐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내통의 재질로서는 세라믹 외에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제의 내통인 경우에는, 표면을 산화 처리함으로써 부식성, 마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재질에 관계없이 내통의 표면을 블라스트 처리 등의 조면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박막 성분 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통(20)에 마련한 돌기부(20b, 20c)는 진공 챔버(1)측에 마련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챔버 내의 클리닝 처리의 필요성을 배제하거나, 또는 그 빈도를 적게 하거나, 또는 그 작업 부담을 경감시킨 장치이므로, 높은 생산성이 요구되는 성막 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챔버의 내부에 반응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챔버의 내압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수단과,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가스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 수단과,
    상기 챔버 내의 하방에 설치되어, 처리 대상이 되는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갖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생성물의 상기 챔버의 내벽면으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벽면 보호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상기 챔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대보다도 상방의 내벽면을 덮는 내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상기 챔버에 점 접촉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세라믹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표면이 산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는 표면이 조면화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수단은 상기 벽면 보호 부재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보호 부재와 상기 챔버 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벽면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챔버의 벽면을 100 ℃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20067012570A 2003-12-24 2004-12-07 플라즈마 처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6648 2003-12-24
JP2003426648A JP3962722B2 (ja) 2003-12-24 2003-12-24 プラズマ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41A true KR20060103341A (ko) 2006-09-28
KR100774781B1 KR100774781B1 (ko) 2007-11-07

Family

ID=3470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4781B1 (ko) 2003-12-24 2004-12-07 플라즈마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07843A1 (ko)
EP (1) EP1699077B1 (ko)
JP (1) JP3962722B2 (ko)
KR (1) KR100774781B1 (ko)
CN (1) CN100479111C (ko)
DE (1) DE602004025739D1 (ko)
TW (1) TWI288186B (ko)
WO (1) WO2005062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3094B2 (ja) * 2005-09-02 2011-09-2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用環状部品、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外側環状部材
US8038837B2 (en) 2005-09-02 2011-10-18 Tokyo Electron Limited Ring-shaped component for use in a plasma processing,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outer ring-shaped member
JP5351625B2 (ja) * 2009-06-11 2013-1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5396256B2 (ja) * 2009-12-10 2014-01-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13241679A (ja) * 2013-07-09 2013-12-05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方法
JP6435090B2 (ja) * 2013-10-03 2018-12-0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CN105002477B (zh) * 2015-08-27 2018-06-29 广东先导稀材股份有限公司 一种石墨沉积装置及其制备方法
US11532463B2 (en) * 2019-07-29 2022-12-20 Applied Materials, Inc. Semiconductor processing chamber and methods for cleaning the same
CN113136567B (zh) * 2021-03-12 2022-11-15 拓荆科技股份有限公司 改善腔体气流均匀性的薄膜沉积装置及方法
CN115985747B (zh) * 2022-12-25 2025-02-18 北京屹唐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反应腔室及晶圆刻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3533A (ja) * 1989-01-10 1990-07-18 Fujitsu Ltd プラズマ気相成長装置の汚染防止方法
JPH0710935U (ja) * 1993-07-24 1995-02-14 ヤマハ株式会社 縦型熱処理炉
US5798016A (en) * 1994-03-08 1998-08-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hot wall reactive ion etching using a dielectric or metallic liner with temperature control to achieve process stability
US5620523A (en) * 1994-04-11 1997-04-15 Canon Sales Co., Inc. Apparatus for forming film
JP3171222B2 (ja) * 1994-06-14 2001-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
JP3077516B2 (ja) * 1994-07-15 2000-08-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3516097B2 (ja) * 1994-12-28 2004-04-0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マイクロ波プラズマ装置
JP3257328B2 (ja) 1995-03-16 2002-0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プラズマ処理方法
JPH09260364A (ja) * 1996-03-26 1997-10-03 Tokyo Electron Ltd 熱処理方法および熱処理装置
US6527865B1 (en) * 1997-09-11 2003-03-04 Applied Materials, Inc. Temperature controlled gas feedthrough
US6258170B1 (en) * 1997-09-11 2001-07-10 Applied Materials, Inc. Vaporization and deposition apparatus
US6129808A (en) 1998-03-31 2000-10-10 Lam Research Corporation Low contamination high density plasma etch chamb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H11354516A (ja) * 1998-06-08 1999-12-24 Sony Corp シリコン酸化膜形成装置及びシリコン酸化膜形成方法
US6383964B1 (en) * 1998-11-27 2002-05-07 Kyocera Corporation Ceramic member resistant to halogen-plasma corrosion
JP3808245B2 (ja) * 1999-07-30 2006-08-09 京セラ株式会社 半導体製造用チャンバ構成部材
US6635114B2 (en) * 1999-12-17 2003-10-21 Applied Material, Inc. High temperature filter for CVD apparatus
US20020015855A1 (en) * 2000-06-16 2002-02-07 Talex Sajoto System and method for depositing high dielectric constant materials and compatible conductive materials
JP2002222767A (ja) * 2001-01-26 2002-08-09 Seiko Epson Corp 真空装置用治具の形成方法
KR100432378B1 (ko) * 2001-08-30 2004-05-22 주성엔지니어링(주) Hdp-cvd 장치
JP2004260174A (ja) * 2003-02-25 200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半導体素子製造装置
US20060065523A1 (en) * 2004-09-30 2006-03-30 Fangli Hao Corrosion resistant apparatus for control of a multi-zone nozzle in a plasma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9077B1 (en) 2010-02-24
KR100774781B1 (ko) 2007-11-07
JP2005191023A (ja) 2005-07-14
EP1699077A4 (en) 2008-08-20
CN100479111C (zh) 2009-04-15
WO2005062362A1 (ja) 2005-07-07
US20070107843A1 (en) 2007-05-17
CN1898783A (zh) 2007-01-17
TW200532050A (en) 2005-10-01
DE602004025739D1 (de) 2010-04-08
TWI288186B (en) 2007-10-11
JP3962722B2 (ja) 2007-08-22
EP1699077A1 (en)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8915B (zh) 包含背部气体输送管路的衬底基座模块及其制造方法
KR100756095B1 (ko) 처리가스도입기구 및 플라즈마처리장치
CN106148916B (zh) 高温衬底基座模块及其组件
EP13529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VD
KR100817464B1 (ko) 기판 처리 챔버에서 가스 흐름을 도출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7931749B2 (en) Shower head and film-forming device using the same
US5456757A (en) Susceptor for vapor deposition
US20090311872A1 (en) Gas ring, apparatus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substrate, the apparatus including the gas ring, and method of processing semiconductor substrate by using the apparatus
KR20060100302A (ko) 양극처리된 기판 지지부
WO2009057838A1 (en) Apparatus for surface-treating wafer using high-frequency inductively-coupled plasma
KR100774781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EP1401013B1 (en) Plasma processing device
JP2003213421A (ja) 基板処理装置
TW202342806A (zh) 具有加熱噴頭的噴頭組件
JP2005330518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09161862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CN116169050A (zh) 基板处理装置及使用该装置的基板处理方法
KR10064826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배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기판 처리 장치
KR100208457B1 (ko) 증기증착용 서셉터
KR20030021692A (ko) 화학기상증착장치 및 그의 잔류물 제거방법
KR20070080766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JPH10324595A (ja) ガス供給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