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03315A -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 Google Patents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315A
KR20060103315A KR1020067004847A KR20067004847A KR20060103315A KR 20060103315 A KR20060103315 A KR 20060103315A KR 1020067004847 A KR1020067004847 A KR 1020067004847A KR 20067004847 A KR20067004847 A KR 20067004847A KR 20060103315 A KR20060103315 A KR 2006010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vicinity
crotch
worn state
tigh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오야마
아츠코 카와무라
요시아키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Priority to KR102006700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315A/ko
Publication of KR2006010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1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둘레의 근육에 작용해서 자세를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간편하며 위화감없이 착용할 수 있는 거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조임력의 크기가 부위에 따라 다른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는 거들(숏, 롱)류이다. 조임 천부(21)는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 근방에서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다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앞측에는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CORRECTIVE CLOTHES WITH CROTCH}
본 발명은, 자세교정용의 거들과 같은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92903호 공보의 거들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는, 선골에서 대둔근의 근섬유 방향을 따라, 강한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띠형상의 강 조임력부가 형성되고, 고관절을 안정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요추전만을 약화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요통대책이나 정체(整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들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6-17310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0-830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0436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92903호 공보에 나타내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일본 특허공개 평6-173101호 공보의 거들에서는, 요부(腰部)를 수평방향으로 조이는 띠형상의 골반 교정편이 부착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공개 평10-8303호 공보에서는 띠형상의 고정구를 부착한 거들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104369호 공보에서는 신축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를 요부에 감도록 한 거들이 개시되어 있다. 즉, 우대퇴부에서 좌요부, 좌대퇴부에서 우요부에 걸 쳐서, 인체의 배면에서 교차되는 좌우 밴드를 구비한 요통치료용 거들이 개시되고, 신축성의 밴드로 골반 전체를 감싸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들에서는 자세교정의 효과가 낮고, 취급도 곤란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6-173101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평10-8303호 공보에 나타내어지는 거들에서는, 의류의 본체와는 별체(또는 일단이 본체에 꿰매붙여짐)의 벨트형상 교정편이나 고정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취급이 곤란하다. 일본 특허공개 2001-104369호 공보의 거들에 대해서도, 의류의 본체와는 별체의 신축성 밴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착용시에 위화감이 있어 취급도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이들 거들은 요통대책을 주안으로 하고 있어, 자세의 밸런스를 개선하는 효과는 낮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세교정 타입의 의료는, 상반신용의 새우등 교정의료나 하반신용의 요통 예방의료가 중심이며, 골반 둘레의 근육에 작용해서 전신의 자세를 좋게 하고자 하는 시도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조임력에 의해, 골반 둘레의 근육이 골반에 작용시키는 힘과 같은 힘을 골반에 작용시킴으로써 자세를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간편하며 위화감없이 착용할 수 있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의 리서치에 의하면,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에 의해 자세의 밸런스가 나쁘게 되어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래서, 자세의 밸런스에 각종각양의 문제가 있는 사람을 모니터로 해서, 골반 둘레의 근육(이상근, 장요근, 선극근, 외복사근 등)을 따라 테이핑을 실시해서, 자세변화나 주관(착용감)을 조사했다.
그 결과, 특히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진 사람에 대해서는, 이상근의 서포트를 실시하는 것이 자세교정의 효과가 높고, 외복사근의 서포트를 병용하면, 보다 더 한층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선극근에 대해서는 충분한 자세교정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 골반 둘레의 근육 중 이상근 및 외복사근의 위치를 도시하면, 도1A, 도1B에 해칭으로 그리는 바와 같다. 이상근은, 골반을 배면에서 본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관절에 위치하고, 고관절을 외선(外旋)시키기 위한 근육이다. 외복사근은 인체를 앞면에서 본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부로부터 복부를 지나 흉부에 걸쳐서 넓게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인체의 대전자, 장극 및 선골의 위치를 도시하면, 도2A∼도2D와 같다. 또, 도2A는 인체를 앞면에서 본 골격, 도2B는 그 외형상, 도2C는 인체를 배면에서 본 골격, 도2D는 그 외형상을 나타낸다. 장극은 도2A 및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반의 외측 꼭대기부에 위치하고, 대전자는 도2C 및 도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골의 꼭대기부에 위치한다. 또한 선골은 도2C 및 도2D에 해칭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반 중앙의 요추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는,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고,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둔열(gluteal line)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는, 조임력의 크기가 부위에 따라 다른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고,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인체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조임부는, 이 의류자체의 구성요소를 이루도록,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이상근을 그 길이방향에서 서포트해서 선골의 약간 하부를 뒤에서 누르는 듯한 작용을 한다. 즉,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위에 강한 조임력이 작용하므로, 둔부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서 측부의 텐션이 약해지고, 따라서 엉덩이에 힘이 들어가서 엉덩이의 구멍이 닫히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또한 가지므로, 외복사근에 대해서도 작용을 부여해서 자세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즉, 둔열 상부근방에서 발생하는 하방을 향하는 힘과, 인체 앞면 조임부에서 발생하는 상방을 향하는 힘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골반을 일으켜 세우는 듯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한다는 것으로 되고, 그 의미에서는, 인체 앞면부의 크롯치부분과 허리부분의 파워차에 대해서는, 허리부를 향해서 서서히 조임력이 강해지면, 상방향으로 미는 힘이 강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대전자 근방의 조임력에 대해서 서술하면, 먼저, 대전자에 조임력을 가함으로써, 측방향(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힘이 발생한다. 그것에 의해, 골반의 위치가 바른 위치에 자리잡는다. 바꿔 말하면, 대전자의 조임력은, 골반을 정위치에서 안정시키는 기능이 있다라고 할 수 있다. 또, 대전자 근방에 조임력을 발생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뼈가 정위치에 자리잡으므로, 그것을 지점으로 해서 둔열 상부근방을 향해 볼록형으로 되어 있는 조임부에 있어서의 「골반을 누르는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골반이 정위치에 자리잡았기 때문에, 골반은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는, 조임력의 크기가 부위에 따라 다른 좌우 한쌍의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고, 좌우 한쌍의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각각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둔열의 상부근방을 향하도록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인체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좌우 한쌍의 조임부는, 이 의류자체의 구성요소를 이루도록,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좌우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류로서의 취급이 용이하며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다.그리고,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조임부는, 이상근을 서포트해서 선골의 약간 하부를 뒤에서부터 누르는 듯한 작용을 한다. 즉,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부위에 강한 조임력이 작용하므로, 둔부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 측부의 텐션이 약해지고, 따라서 엉덩이에 힘이 들어가서 엉덩이의 구멍이 닫히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더 가지므로, 외복사근에 대해서도 작용을 부여해서 자세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즉, 둔열 상부근방에서 발생하는 하방향으로 향하는 힘과, 인체 앞면 조임부에서 발생하는 상방향을 향하는 힘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골반을 일으켜 세우는 듯한 회전하는 힘이 발생한다는 것으로 되고, 그 의미에서는, 인체 앞면부의 크롯치부분과 허리부분의 파워차에 대해서는, 허리부를 향해서 서서히 조임력이 강해지면, 상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강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있어서,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둔열 상부근방의 조임력이 가장 강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둔열 상부근방에 강한 조임력이 가해짐과 아울러,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을 향해서 조임력이 작용하므로, 이상근에 작용을 부여해서 자세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있어서,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둔열 상부근방의 조임력이 가장 강하고,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서서히 약해져 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둔열 상부근방에 가장 강한 조임력이 작용하고, 또한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을 향해서 조임력이 작용하므로, 이상근에 작용을 부여해서 자세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있어서, 착용자의 태퇴에 꼭 맞는 태퇴부를 또한 갖고, 조임부는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다시 태퇴부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조임부는 다시 발목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대전자 및 골반 둘레의 근육에 작용을 부여해서 전신의 자세를 개선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있어서,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둔부 상부근방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있어서,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조임부와 하측에 위치하는 강한 조임력의 하측 조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상측 및 하측 조임부가 협동해서 이상근에 바람직하게 작용을 부여해서,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의 착용자의 자세를 좋게 하는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있어서, 조임부는 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조임부는 편성해서 한장의 천의 파워전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로서는, 예를 들면 거들, 스패츠, 수영복, 타이즈, 팬티스타킹, 스포츠용 타이즈, 레오타드, 보디슈트, 남성용 팬츠 등이 있다.
도1A는, 인체의 이상근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1B는, 인체의 외복사근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2A는, 인체를 앞면에서 본 골격도에 있어서의 장극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2B는, 인체를 앞면에서 본 외형도에 있어서의 장극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2C는, 인체를 앞면에서 본 골격도에 있어서의 선골 및 대전자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2D는, 인체를 앞면에서 본 외형도에 있어서의 선골 및 대전자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3A는, 실시형태의 거들과, 인체의 장극, 선골 및 대전자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착용상태 배면도이다.
도3B는, 실시형태의 거들과, 인체의 장극, 선골 및 대전자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착용상태 측면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의 기능을 인체의 요부의 골격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의 기능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이다.
도6은, 실시형태에 따른 숏거들의 배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7A는, 도6의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 앞측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B는, 도6의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 앞측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C는, 도6의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 앞측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D는, 도6의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 앞측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E는, 도6의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 앞측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8은, 실시형태에 따른 숏거들의 자세교정 효과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9A는,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9B는,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0A는,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0B는,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1A는,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1B는,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1C는,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2는, 실시형태의 제4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3은, 실시형태의 제5변형예를 나타내는 숏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4A는, 실시형태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롱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4B는, 실시형태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롱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4C는, 실시형태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롱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4D는, 실시형태의 제6변형예를 나타내는 롱거들의 배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동일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3A, 도3B는, 실시형태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숏타입의 거들)를 나타내고, 도3A는 착용상태를 배면에서 본 도, 도3B는 측면에서 본 도이다. 이 거들은, 착용자의 하복부 앞면에 꼭 맞는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와, 둔부에 꼭 맞는 힙 천부(12)와, 크롯치부에 꼭 맞는 크롯치 천부(도시 생략)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인체(요부)에 꼭 맞는 조임 천부(21)를 서로 꿰매어서 구성된다. 착용자의 요부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조임 천부(21)는, 이 의류(거들) 자체의 구성요소를 이루도록, 요부에 바람직하게 꼭 맞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의 상부로부터 약간 하부 부근에 역삼각형상의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를 갖고, 이것도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외복사근을 서포트하고 있다.
조임 천부(21)는,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를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조임 천부(21)는 조임력의 크기가 부위에 따라 다른 옷감으로 구성되고, 둔열의 상부근방에 가장 강한 조임력이 작용하고,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서서히 약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착용상태에서 조임 천부(21)는 상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고, 그 최상부는 도3A에 나타내듯이, 둔열의 상부(선골의 하부위치)에 꼭 맞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숏거들에 의하면,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를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 천부(21)는, 이상근을 서포트해서 선골의 약간 하부를 뒤에서 누르는 듯한 작용을 한다. 즉, 둔열의 상부근방에 가장 강한 조임력이 작용하고,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서서히 약하게 되어 있으므로, 둔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측부의 텐션이 약해지고, 따라서 엉덩이에 힘이 들어가서 엉덩이의 구멍을 닫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둔부에 있어서의 거들의 옷감은 둔열상부의 조임력이 강하고, 엉덩이를 돌출시키는 힘과 착용자의 다리를 안짱다리로 되게 하는 힘이 발생한다. 즉, 도4에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골반을 뒤로 기울어지게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앞으로 기울어진 듯한 착용자의 자세를 좋게 하는 효과가 생긴다.
도5는, 이 작용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상근 서포트에 의해 선골( 약간 하부)을 뒤에서 누르는 힘(도면 중의 화살표①)이 작용하고, 외복사근 서포트에 의해 요추전만을 작게 하는 힘(도면 중의 화살표②)이 작용해서, 결과적으로 요부를 앞에서 뒤로 회전시키는 힘(도면 중의 화살표③)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의 착용자의 전신의 자세가 좋아진다.
또, 조임부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제1에 조임부를 구성하는 소재를 「의류본체의 천위에 붙여서」 구성한다, 제2에 조임부를 구성하는 소재를 「의류본체의 천과 꿰매붙이는」것에 의해 구성한다, 제3에 옷감본체의 「편성(환편성/경편성)한 1장의 천에서 파워전환」에 의해 구성한다의 세가지가 있다. 일례로서, 경편에 대 해서 서술하면, 자카드 무늬를 띠형상으로 커브시켜서 파워가 강한 곳을 형성한 싱글 러셀 자카드나, 트리콧 자카드나, 더블 러셀 자카드 생지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조임부는 선골 하부근방의 조임력을 가장 강하게 해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서히 힘이 약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숏타입 거들의 착용상태를 배면에서 본 도이다. 이 거들은,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도시 생략), 힙 천부(12) 및 크롯치 천부(도시 생략)를 갖고, 또한 도3A, 도3B의 실시형태와 같은 조임 천부(21)를 갖고 구성된다.
도7A∼도7E는, 도6의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 앞측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7A∼도7E는 각각 다른 변형예의 착용상태를 비스듬히 앞측면에서 본 도이다. 도7A의 거들에서는,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에 인체 앞면 조임 천부(23)를 갖고, 이것이 외복사근을 서포트하고 있다. 이 인체 앞면 조임 천부(23)는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대략 V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7B의 거들은,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의 상부에 역삼각형상의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를 갖고 있다. 이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도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외복사근을 서포트하고 있다. 또한, 도7C의 거들은,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의 상부로부터 약간 하부 부근에 마름모형상의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를 갖고, 도7D의 거들은,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의 상부로부터 약간 하부 부근에 달걀형상의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를 가지며, 도7E의 거들은,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의 상부로부터 약간 하부 부근에 도검형상의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를 갖고 있다. 이들 인체 앞면 조임 천부(24)도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외복사근을 서포트하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숏거들의 자세를 좋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점선은 누드상태의 모니터의 자세, 실선은 착용상태의 모니터의 자세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크게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숏거들을 착용했을 때에는,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 뿐만 아니라, 하반신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 보폭이 늘어나는 효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이, 좌우의 태퇴의 근원부에서 좌우의 힙의 상부를 지나고, 둔열상부에서 결합되는 라인(조임 천부(21)의 라인)에서 이상근을 서포트하는 것이 자세를 좋게 하는 데에 있어서 필수이며, 계속해서, 복부 앞면을 앞중심에서 옆측으로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퍼지는 라인(인체 앞면 조임 천부(23,24)의 라인)에서 주로 외복사근을 서포트함으로써, 자세를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9A∼도14D에 나타내듯이 여러가지의 형태가 가능하다.
도9A, 도9B는, 각각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에 따른 숏타입의 거들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어느 경우나, 조임 천부(21)는 둔열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도9A의 거들에서는, 좌우 한쌍의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에 도달할 때까지 동일폭으로 구성되고, 도9B의 거들에서는, 좌우 한쌍의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에서 폭넓게 구성되어 있다.
도9A, 도9B의 어느 경우나, 조임 천부(21) 앞측에는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 뒤측에는 힙 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9B의 조임 천부(21)는 둔열의 상부를 폭넓게 덮고 있지만, 조임 천부(21)에 의해 강한 조임력이 가해지는 부위는, 둔열 상부근방이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을 향해서 조임력이 작용하므로, 이상근에 작용해서 자세를 좋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10A, 도10B는, 각각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에 따른 숏타입의 거들을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경우도, 요부의 뒤중심에는 역삼각형의 뒤중심 천부(31)가 꿰매붙여져 있다. 또한 조임 천부(21)는 둔열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도10A의 거들에서는, 좌우 한쌍의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좌우 한쌍의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에 이르기까지 동일폭으로 구성되고, 도10B의 거들에서는, 좌우 한쌍의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에서 폭넓게 구성되어 있다.
도10A, 도10B의 어느 경우나, 조임 천부(21) 앞측에는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 뒤측에는 힙 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 천부(21)는 둔열의 상부를 폭넓게 덮고 있지만, 조임 천부(21)에 의해 강한 조임력이 가해지는 부위는 이상근의 하측을 대강 따르고 있으므로, 특히 도10B의 거들에서는 이상근에 작용해서 자세를 좋게 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11A∼도11C는, 각각 실시형태의 제3변형예에 따른 숏타입의 거들을 앞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어느 경우나, 착용자의 둔부를 덮는 조임 천부(21)가 상측 부분 (21A)과 강한 조임력의 하측 부분(2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임 천부(21)의 앞측에는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가 있으며, 뒤측에는 힙 천부(12)가 있다.
도11A∼도11C가 서로 다른 점은, 조임 천부(21)의 하측 부분(21B)의 형상이다. 도11A에서는, 조임 천부(21)의 하측 부분(21B)은 둔열 상부근방의 비교적 좁은 부분을 피복하고, 도11B에서는, 조임 천부(21)의 하측 부분(21B)은 둔열상부로부터 둔열부에 이르는 비교적 넓은 부분을 피복하고, 도11C에서는, 조임 천부(21)의 하측 부분(21B)은 둔열상부로부터 대전자의 뒤측에 이르는 비교적 넓은 부분을 상측 부분(21A)을 따르도록 피복하고 있는 점이다.
이 제3변형예의 경우도, 조임 천부(21)에 있어서, 둔열 상부근방의 조임력이 가장 강하고,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조임력이 작용하므로, 이상근에 작용해서 자세를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11C의 경우에는 효과가 크다. 또한 조임 천부(21)가 상측 부분(21A)과 하측 부분(21B)으로 구성되므로, 이들이 갖는 조임력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2는, 실시형태의 제4변형예에 따른 숏타입의 거들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와 힙 천부는 특별히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되어서 거들 본체(10)를 구성하고, 그 둔열상부에는 착용상태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조임 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0변형예의 경우도, 조임 천부(21)의 조임력이 큰 부위는, 둔열 상부근방이다.
도13은, 실시형태의 제5변형예에 따른 숏타입의 거들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조임 천부(21)의 앞측에는 프론트 웨이스트 천부(11), 뒤측에는 힙 천부(12) 가 위치하고,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로부터 대전자 근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조임 천부(21)를 복수의 마름모형상의 덧천을 나란히 배치해서 구성하고 있다.
도14A∼도14D는, 각각 실시형태의 제6변형예에 따른 롱타입 거들의 측면도이다. 도14A∼도14D의 어느 것에 있어서나, 거들 천부(10)는 착용자의 요부로부터 둔부를 거쳐서 태퇴부를 덮게 되어 있다. 착용자의 요부로부터 둔부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조임 천부(21)는 둔열상부로부터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도14C, 도14D의 예에서는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다시 하방을 향해서 무릎부 근방에 이르고 있다. 또, 도14A와 도14B, 도14C와 도14D에서는, 도14B 및 도14D의 거들이 둔열근방에 역삼각형상의 덧천(16)을 갖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거들, 스패츠, 수영복, 타이즈, 팬티스타킹, 스포츠용 타이즈, 레오타드, 보디슈트, 남성용 팬츠 등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에 의하면, 착용자의 인체에 조임력을 부여하는 조임부는, 이 의류자체의 구성요소를 이루어서 인체에 꼭 맞고, 이상근을 서포트해서 선골의 약간 하부를 뒤에서 누르는 작용을 한다. 이렇게, 이상근이나 외복사근 등의 골반 둘레의 근육에 작용해서 앞으로 기울어진 착용자의 자세를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취급이 간편해서 위화감없이 착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2. 조임력의 크기가 부위에 따라 다른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3. 조임력의 크기가 부위에 따라 다른 좌우 한쌍의 조임부를 착용자의 인체에 꼭 맞는 부위에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각각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둔열의 상부근방을 향하도록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조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앞중심의 크롯치 상방으로부터 좌우의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인체 앞면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둔열 상부근방의 조임력이 가장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상태에서 둔열의 상부근방으로부터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는, 둔열 상부근방의 조임력이 가장 강하고, 좌우의 둔부 상부근방을 지나서 좌우의 대전자 근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서서히 약해져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태퇴에 꼭 맞는 태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조임부는 대전자 근방으로부터 상기 태퇴부의 외측을 따라 더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또한 발목에 이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둔부 상부근방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서 볼록형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착용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조임부와 하측에 위치하는 강한 조임력의 하측 조임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편성해서 1장의 천의 파워전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들, 스패츠, 수영복, 타이즈, 팬티스타킹, 스포츠용 타이즈, 레오타드, 보디슈트, 남성용 팬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KR1020067004847A 2006-03-09 2003-11-28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Ceased KR20060103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847A KR20060103315A (ko) 2006-03-09 2003-11-28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4847A KR20060103315A (ko) 2006-03-09 2003-11-28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15A true KR20060103315A (ko) 2006-09-28

Family

ID=3762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847A Ceased KR20060103315A (ko) 2006-03-09 2003-11-28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3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637A (ko) 2017-09-28 2019-04-05 이원석 체형 교정 복대 구조의 속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속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637A (ko) 2017-09-28 2019-04-05 이원석 체형 교정 복대 구조의 속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속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834B1 (ko)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EP2432340B1 (en) Compression gar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06363A (en) Compression short with magnet pocket
US7670205B2 (en) Crotch-possessing corrective garment
WO2004096105A1 (ja) 股付き衣類
KR20140138936A (ko) 운동용 가랑이부를 갖는 의류
US10092048B2 (en) Garment
TWI558328B (zh) 附有褲襠的衣服
JP2008002013A (ja) 痩身衣類
JP4185340B2 (ja) 股付き矯正衣類
US20080262404A1 (en) Gantry jockstrap
JP4660630B1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JP2012052276A (ja) インナーウェア
WO2010050539A1 (ja) 衣類
JP4953670B2 (ja) 姿勢補整用下着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KR20060103315A (ko) 크롯치를 갖는 교정의류
JP2004300619A (ja) 股付き衣類
EP2683263A1 (en) An article of apparel
JP7570652B1 (ja) ボトム衣類
JP7671563B2 (ja) 下着
JP6902388B2 (ja) 矯正用衣類
JP2007016361A (ja) 男性用下着
JP6191087B2 (ja) ボトム衣類
JP2006037255A (ja) 下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