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03210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210A
KR20060103210A KR1020060026753A KR20060026753A KR20060103210A KR 20060103210 A KR20060103210 A KR 20060103210A KR 1020060026753 A KR1020060026753 A KR 1020060026753A KR 20060026753 A KR20060026753 A KR 20060026753A KR 20060103210 A KR20060103210 A KR 2006010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iring layer
wiring
passivation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719B1 (ko
Inventor
노부유끼 다까이
다꾸야 스즈끼
유지 쯔까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a substantially radial tightening or secur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57Partial encapsulation or coating
    • H01L23/3192Multilay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12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 H01L2224/02122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being formed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01L2224/02163Auxiliary members for bonding areas, e.g. spacers being formed o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on the bonding area
    • H01L2224/02165Reinforcing structures
    • H01L2224/02166Col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42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wire connectors, e.g. wirebond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001Internal layers
    • H01L2224/05075Plural internal layers
    • H01L2224/0508Plural internal layers being stacked
    • H01L2224/05082Two-lay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001Internal layers
    • H01L2224/05099Material
    • H01L2224/0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0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001Internal layers
    • H01L2224/05099Material
    • H01L2224/0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05163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1550°C
    • H01L2224/05166Titanium [Ti]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001Internal layers
    • H01L2224/05099Material
    • H01L2224/0518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non metallic, non metalloid inorganic material
    • H01L2224/05187Ceramics, e.g. crystalline carbides, nitrides or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99Material
    • H01L2224/05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05617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400°C and less than 950°C
    • H01L2224/05624Aluminium [Al]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99Material
    • H01L2224/056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056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056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17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400°C and less than 950°C
    • H01L2224/45124Aluminium (Al)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63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5Material
    • H01L2224/48505Material at the bonding interface
    • H01L2224/48699Principal constitu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e connector being Aluminium (Al)
    • H01L2224/487Principal constitu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e connector being Aluminium (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bonding area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8717Principal constitu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e connector being Aluminium (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bonding area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400°C and less than 950 °C
    • H01L2224/48724Aluminium (Al)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5Material
    • H01L2224/48505Material at the bonding interface
    • H01L2224/48699Principal constitu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e connector being Aluminium (Al)
    • H01L2224/487Principal constitu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e connector being Aluminium (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bonding area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8738Principal constitu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ire connector being Aluminium (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bonding area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8747Copper (C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4Silicon [S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8Argon [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2Titanium [T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7Cobalt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Tin [S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49Nitrides composed of metals from groups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24/04944th Group
    • H01L2924/04941T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49Nitrides composed of metals from groups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24/050414th Group
    • H01L2924/05042Si3N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9Details of hybrid assemblie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901Structure
    • H01L2924/1904Component type
    • H01L2924/19043Component type being a re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선층으로 이루어지는 본딩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10)의 최상층의 제2 배선층(22)(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23A)(예를 들어 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짐)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반사 방지층(23A) 및 그것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을 덮고, 또한 제2 배선층(22)의 다른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4)를 가진 패시베이션층(25A)을 형성하는 공정과,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을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개구부(24) 내에서 반사 방지층(23A)이 노출되지 않게 되어,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제2 배선층(22)과 반사 방지층(23A)과의 전지 반응에 의한 제2 배선층(22)의 용출을 억지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 반도체 칩, 반사 방치층, 배선층, 패시베이션층, 본딩 와이어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 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 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 시하는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 는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0은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1은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0A, 10B, 10C, 10D, 10E, 10F, 10G : 반도체 칩
10T : 트랜지스터
11 : 게이트 절연막
12 : 게이트 전극
13 : 소스, 드레인
14 : 제1 층간 절연막
15 : 제1 플러그
16 : 제1 배리어층
17 : 제1 배선층
18 : 제2 배리어층
19 : 제2 층간 절연막
20 : 제2 플러그
21 : 제3 배리어층
22 : 제2 배선층
22F : 용출물
22H : 결손부
23A, 23B, 23C, 23D, 23E, 23F, 23G : 반사 방지층
24, 24A, 24B, 24C, 24D, 24E, 54 : 개구부
25A, 25B, 55 : 패시베이션층
25C, 25D : 제1 패시베이션층
25E, 25F, 25G : 패시베이션층
27C, 27D : 제2 패시베이션층
28 : 금속층
30 : 수분
53 : 반사 방지층
56 : 본딩 와이어
101 : 제1 레지스트층
102 : 제2 레지스트층
103 : 제3 레지스트층
104 : 제4 레지스트층
105 : 제5 레지스트층
106 : 제6 레지스트층
107 : 제7 레지스트층
108 : 제8 레지스트층
109 : 제9 레지스트층
110 : 제10 레지스트층
111 : 제11 레지스트층
112 : 제12 레지스트층
113 : 제13 레지스트층
114 : 제14 레지스트층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58678호 공보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선층으로 이루어지는 본딩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 회로 등의 입출력 단자나 전원 단자 등의 외부 접속용 전극으로서 본딩 패드가 알려져 있다. 본딩 패드는, 예컨대 알루미늄(Al) 배선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본딩 와이어 등을 통하여 리드 프레임 등과 접속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Al)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본딩 패드를 구비한 종래예에 관한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0은 종래예에 관한 반 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 이 반도체 장치는 다층 배선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이후의 반도체 칩)에는, 트랜지스터(10T)가 형성되어 있다. 즉, 반도체 기판(10) 상에 게이트 절연막(11) 및 게이트 전극(1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 소스(13) 및 드레인(13)이 형성되어 트랜지스터(10T)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반도체 기판(10) 상에,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2)으로 이루어지는 제1 층간 절연막(14)이 형성되고, 트랜지스터(10T)의 소스(13) 혹은 드레인(13)에 대응하여, 에칭 등에 의해 콘택트 홀이 형성되고, 거기에 제1 플러그(15)가 매립된다. 또한 제1 층간 절연막(14) 상에, 티탄(Ti) 및 티탄 나이트라이드(TiN)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1 배리어층(16)이 형성된다. 이 제1 배리어층(16) 상에는, 예를 들어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된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된 제1 배선층(17)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10T)의 소스(13) 혹은 드레인(13)과 제1 배선층(17)은 제1 플러그(1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배선층(17) 상에, 제1 배리어층(16)과 마찬가지의 제2 배리어층(18)이 형성된다. 이들 제1 배리어층(16), 제1 배선층(17) 및 제2 배리어층(18)은 소정의 패턴으로 패터닝된다. 그리고 제2 배리어층(18) 상에는 제1 층간 절연막(14)과 마찬가지의 제2 층간 절연막(19)이 형성된다. 제2 층간 절연막(19)에는, 필요에 따라서 콘택트 홀이 형성되고, 거기에 제2 플러그(20)가 매립된다. 제2 플러그는 제1 배선층(17)과 후술하는 제2 배선층(22)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 상에, 제1 배리어층(16)과 마찬가지의 제3 배리어층(21)이 형성되고, 그 위에는 예를 들어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된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제2 배선층(2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26 배선층(22) 상에는, 예를 들어 티탄 나이트라이드(TiN)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층(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 배리어층(21),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53)을 패터닝하지만, 그때 반사 방지층(53)에 의해, 패터닝용 마스크에 이용하는 도시 생략된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노광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및 현상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2 배선층(22)의 패터닝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53)을 덮는 패시베이션층(55)을 형성한다. 그 후, 제2 배선층(22)을 노출시키는 개구부(54)를 형성하도록 하여 반사 방지층(53) 및 패시베이션층(55)을 에칭한다. 이 개구부(54)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은 제2 배선층(22)과 도시 생략된 리드 프레임을 접속하는 본딩 와이어(56)가 형성되는 본딩 패드로 된다.
또, 본원과 관련된 기술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을 들 수 있다.
도 41은 도 40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의 하나의 공정, 혹은 완성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그 최상층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1에서는 본딩 와이어(56)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4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55)의 개구부(54)에서는 제2 배선층(22)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53)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들의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53)에, 불순물을 포함하는 수분(30), 즉 반도체의 제조 공정에서 이용되는 수분이나 대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 등이 부착되면, 도 4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선층(22)에, 그 알루미늄(Al) 성분이 용출되어 이루어지는 결손부(22H)가 발생하고, 또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의 표면에, 그 용출물(22F)이 퇴적되고 있었다.
이 문제는,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S3)에 부착된 불순물을 포함하는 수분(30)이나 전해질로 되어,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 반사 방지층(53)의 티탄(Ti) 성분이 전지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즉, 이 전지 반응에서는 알루미늄(Al)의 이온화 경향보다도, 티탄(Ti)의 이온화 경향 쪽이 낮으므로, 티탄(Ti) 이온에 비하여 많은 알루미늄(Al) 이온이 이동하여, 알루미늄이 용출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딩 패드로서 이용되는 제2 배선층(22)과 도시 생략된 리드 프레임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에 접속 불량이 발생하여, 반도체 장치의 수율이 저하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선층으로 이루어지는 본딩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 칩에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과, 상기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 칩에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고, 또한 노출되어 있지 않은 상기 배선층과 직접 접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 칩에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과, 상기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있으며,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는 금속층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 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전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과 직접 접하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 및 상기 제1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제1 패시베이션층을 덮도록 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다시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2 패시베이션층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 및 상기 제1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제1 패시베이션층을 덮도록 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가 다시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패시베이션층을 스퍼터 에칭법에 의해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을 덮도록 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 박막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이 순서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는, 도 40에 도시한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제2 배선층(22)까지의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중,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도시 생략된 레지스트층의 노광 및 현상)를 포함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A)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배선층(22)은 알루미늄(Al)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합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및 구리(Cu)로 이루어지는 합금이어도 된다. 혹은, 제2 배선층(22)은 알루미늄(Al), 실리콘(Si) 및 구리(Cu)로 이루어지는 합금이어도 된다. 또한, 제2 배선층(22)은, 예를 들어 약 950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반사 방지층(23A)은 도 40에서의 반사 방지층(53)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고, 예를 들어 티탄 나이트라이드(TiN)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그 이외의 티탄 합금 혹은 티탄(Ti)이어도 된다. 반사 방지층(23A)은, 예를 들어 약 20 내지 80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및 반사 방지층(23A)의 일부 상을 덮도록 하여, 제1 레지스트층(101)을 형성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1 레지스 트층(101)을 마스크로 하여 반사 방지층(23A)을 에칭하여,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1 레지스트층(101)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제2 배선층(22) 상, 및 반사 방지층(23A) 상을 덮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25A)을 형성한다. 이 패시베이션층(25A)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산화막(SiO2) 및 실리콘 질화막(SiN)의 2층으로 이루어지며, 플라스마 CVD법에 의해 이 순서로 형성된다. 혹은 패시베이션층(25A)은 실리콘 산화막(SiO2) 혹은 실리콘 질화막(SiN) 중 어느 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패시베이션층(25A)은, 예를 들어 약 900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5A)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잔존하는 반사 방지층(23A) 상, 및 반사 방지층(23A)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레지스트층(102)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2 레지스트층(102)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A)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A)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반사 방지층(23A)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즉, 반사 방지층(23A)의 단부는 패시베이션층(25A)으로 덮인다. 또한, 도 4의 단면도에 서는 개구부(24)의 일부 측벽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 밖의 측벽에 있어서도 반사 방지층(23A)은 패시베이션층(25A)으로 덮여 있다. 상기 에칭의 종료 후, 제2 레지스트층(102)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에 적층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A)으로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 내에서 반사 방지층(23A)이 패시베이션층(25A)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패시베이션층(25A)은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배선층(22)과 충분히 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층(23A)에,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분, 즉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분(예를 들어 정전기 방지를 위한 CO2를 포함한 다이싱용 물)이나 대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 등이 접하는 경우가 없어져,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된다. 즉,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 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를 포함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서,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B)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23B)은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방지층(23A)과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선층(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층간 절연막(19) 상에, 제3 레지스트층(103)을 형성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3 레지스트층(103)을 마스크로 하여 반사 방지층(23B)를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3 레지스트층(103)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및 제2 배선층(22) 상을 덮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25B)을 형성한다. 이 패시베이션층(25B)은 1층 혹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실시 형태의 패시베이션층(25A)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막 두께로,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 성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5B)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및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4 레지스트층(104)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4 레지스트층(104)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B)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4 레지스트층(104)은 제거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B)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것에 퇴적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B)으로 분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 근방의 제2 배선층(22) 상에 반사 방지층(23B)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써,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되어,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를 포함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서,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C)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23C)은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방지층(23A)과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제2 배선층(22) 상, 및 반사 방지층(23C) 상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25C)을 형성한다. 이 제1 패시베이션층(25C)은 한 층 혹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실시 형태의 패시베이션층층(25A)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막 두께로,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5C)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및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5 레지스트층 (105)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5 레지스트층(105)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C) 및 반사 방치층(23C)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C)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4A)가 형성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시베이션층(25C) 상 및 개구부(24A) 내를 덮도록 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27C)을 형성한다. 이 제2 패시베이션층(27C)은 제1 패시베이션층(25C)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제2 패시베이션층(27C)은, 예를 들어 약 30 내지 100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패시베이션층(27C)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잔존하는 반사 방지층(23C) 상, 및 반사 방지층(23C)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6 레지스트층(106)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6 레지스트층(106)을 마스크로 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27C)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 에칭 종료 후, 제6 레지스트층(106)은 제거된다.
이에 의해, 제1 패시베이션층(25C) 및 제2 패시베이션층(27)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반사 방지층(23C)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개 구부(24B)가 형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측벽 바닥부에 위치하는 레지스트층은, 노광의 반사에 의해 반드시 정확하게 패터닝되는 것은 아니다. 그로 인해, 제2 패시베이션층(27C)의 에칭 시, 개구부(24B)의 측벽의 바닥부가 필요 이상으로 제거되어, 반사 방지층(23C)이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6 레지스트층(106)을 반사 방지층(23C)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 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형성하면, 상기 에칭 후에 있어서도, 제2 패시베이션층(27C)은 개구부(24B) 내의 반사 방지층(23C)의 단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것에 적층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C)으로 분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B) 내에서 반사 방지층(23C)이 제2 패시베이션층(27C)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층(23C)에,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분, 즉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분(예를 들어 정전기 억지를 위한 CO2를 함유한 다이싱용 물)이나 대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이 접하는 경우가 없어져,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된다. 즉,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B)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를 포함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서,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D)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 방지층(23D)은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방지층(23A)과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제2 배선층(22) 상, 및 반사 방지층(23D) 상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25D)을 형성한다. 이 제1 패시베이션층(25D)은 1층 혹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실시 형태의 패시베이션층(25A)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막 두께로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 후,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시베이션층(25D)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및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7 레지스트 층(107)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7 레지스트층(107)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D) 및 반사 방지층(23D)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D)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4A)가 형성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시베이션층(25D) 상 및 개구부(24A) 내를 덮도록 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27D)을 형성한다. 이 제2 패시베이션층(27D)은, 제1 패시베이션층(25D)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제2 패시베이션층(27D)은, 예를 들어 약 30 내지 200 nm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패시베이션층(27D)의 표면을, 제2 배선층(22)의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스퍼터 에칭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패시베이션층(25D) 및 제2 패시베이션층(27D)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반사 방지층(23D)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개구부(24C)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것에 적층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D)으로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C) 내에서 반사 방지층(23D)이 제2 패시베이션층(27D)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층(23D)에,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분, 즉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분(예를 들어 정전기 억지를 위한 CO2를 함유한 다이싱용의 물)이나 대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이 접하는 경우가 없어져,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된다. 즉,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C)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8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층간 절연층(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를 함유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서,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E)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 반사 방지층(23E)은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방지층(23A)과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제2 배선층(22) 상 및 반사 방지층(23E) 상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25E)을 형성한다. 이 제1 패시베이션층(25E)은, 1층 혹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실시 형태의 패시베이션층(25E)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막 두께로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 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5E)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및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8 레지스트층(108)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8 레지스트층(108)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E) 및 반사 방지층(23E)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E)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4A)가 형성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시베이션층(25E) 상 및 개구부(24A) 내를 덮도록 하여, 금속층(28)을 형성한다. 이 금속층(28)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고,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층(28)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nm 정도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층(28)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잔존하는 반사 방지층(23E) 상, 및 반사 방지층(23E)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9 레지스트층(109)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9 레지스트층(109)을 마스크로 하여 금속층(28)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9 레지스트층(109)은 제거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E) 및 금속층(28)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반사 방지층(23E)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개구부(24D)가 형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구부의 측벽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레지스트층은 노광의 반사에 의해 반드시 정확하게 패터닝되는 것은 아니다. 그로 인해, 금속층(28)의 에칭 시, 개구부(24D)의 측벽의 바닥부가 필요 이상으로 제거되어, 반사 방지층(23E)이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9 레지스트층(109)을 반사 방지층(23E)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 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를 때까지 형성하면, 상기 에칭 후에 있어서도, 금속층(28)은 개구부(24D) 내의 반사 방지층(23E)의 단부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것에 적층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E)으로 분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D) 내에서 반사 방지층(23E)이 금속층(28)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치층(23E)에,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분, 즉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분(예를 들어 정전기 억지를 위한 CO2를 함유한 다이싱용의 물)이나 대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이 접하는 경우가 없어져,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된다. 즉,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D)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4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행한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를 포함하는 패터닝 공정을 거쳐서,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F)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 방지층(23F)은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방지층(23A)과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제2 배선층(22) 상, 및 반사 방지층(23F) 상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25F)을 형성한다. 이 제1 패시베이션층(25F)은 1층 혹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실시 형태의 패시베이션층(25F)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막 두께로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 후,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5F)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및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0 레지스트층(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10 레지스트층(110)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F) 및 반사 방지층(23F)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F)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24A)가 형성된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시베이션층(25F) 상 및 개구부(24A) 내를 덮도록 하여 금속층(28)을 형성한다. 이 금속층(28)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고, 스퍼터법에 의해 10 내지 1000 nm 정도의 막 두께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층(28)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 잔존하는 반사 방지층(23F)의 일부 상, 및 반사 방지층(23F)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1 레지스트층(111)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11 레지스트층(111)을 마스크로 하여 금속층(28)을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11 레지스트층(111)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것에 적층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F)으로 분리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E) 내에서 반사 방지층(23F) 및 제2 배선층(22)이 금속층(28)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층(23F)에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분, 즉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분(예를 들어 정전기 억지를 위한 CO2를 함유한 다이싱용의 물)이나 대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이 접하는 경우가 없어져,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된다. 즉,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E)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 조하여 설명한다. 도 35 내지 도 3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5 내지 도 39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배선층(22)보다 상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을 한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19)보다 하층의 구성 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방지층(23G)의 일부 상에 제12 레지스트층(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12 레지스트층(112)을 마스크로 하여 반사 방지층(23F)을 에칭하여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또, 반사 방지층(23G)은 제1 실시 형태의 반사 방지층(23A)과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12 레지스트층(112)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G)의 일부 상에 제13 레지스트막(1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를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13 레지스트층(113)을 마스크로 하여 제2 배선층(22) 및 반사 방지층(23G)을 에칭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 에칭의 종료 후, 제13 레지스트층(113)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배리어층(21) 상, 제2 배선층(22) 상, 및 반사 방지층(23G) 상을 덮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25G)을 형성한다. 이 제1 패시베이션층(25G)은 1층 혹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제1 실시 형태의 패시베이션층(25A)과 마찬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의 막 두께로 마찬가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층(25G) 상 중, 제3 배리어층(21)의 일부 상, 잔존하는 반사 방지층(23C) 상, 및 반사 방지층(23G)이 잔존하지 않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 상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4 레지스트층(114)을 형성한다. 그리고 불소(F)를 함유한 가스, 예를 들어 CHF3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CF4 및 O2로 이루어지는 가스, 혹은 SF6으로 이루어지는 가스 등을 이용한 드라이 에칭에 의해, 제14 레지스트층(114)을 마스크로 하여 패시베이션층(25G)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한다.
이에 의해, 패시베이션층(25G)에는 제2 배선층(22)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반사 방지층(23G)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에칭의 종료 후, 제14 레지스트층(114)은 제거된다.
다음으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된 다이싱 라인을 따른 다이싱에 의해, 반도체 기판(10) 및 그것에 적층된 각 층을, 복수의 반도체 칩(10G)으로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4) 내에서 반사 방지층(23G)이 패시베이션층(25G)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층(23G)에 불순물 을 함유하는 수분, 즉 제조 공정에 이용되는 수분(예를 들어 정전기 억지를 위한 CO2를 함유한 다이싱용의 물)이나 대기 중에 함유되는 수분 등이 접하는 경우가 없어져,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반사 방지층의 티탄(Ti) 성분과 제2 배선층(22)의 알루미늄(Al) 성분과의 전지 반응의 발생이 회피된다. 즉, 제2 배선층(2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의 용출이 회피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24)에서 노출되는 제2 배선층(22)에 대하여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의 접속 불량이 최대한 억지되어,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배선층(22)을 본딩 패드로 하고, 그것보다 하층의 구성은 도 40의 종래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최상층의 배선층이 본딩 패드가 되는 반도체 장치이면, 상기 이외의 구성을 가진 반도체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층을 구성하는 금속이 용출되어 결손이나 용출물의 퇴적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배선층에 와이어 본딩을 실시할 때에, 종래예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접속 불량을 억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선층으로 이루어지는 본딩 패드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그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 칩에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과,
    상기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 칩에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고, 또한 노출되지 않은 상기 배선층과 직접 접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반도체 칩과,
    상기 반도체 칩에 형성된 배선층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 상에 형성된 반사 방지층과,
    상기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구비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있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는 금속층으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은 티탄 또는 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과 상기 금속층이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복수의 무기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0.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전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1.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도록 하여, 제1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 및 상기 제1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제1 패시베이션층을 덮도록 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다시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2 패시베이션층을 에치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시베이션층의 제거 방법이 스퍼터 에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3.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치층을 형성하고, 이들을 패터닝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도록 하여,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 및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 제거하고,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가 노출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덮도록 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4. 반도체 기판에 배선층 및 반사 방지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층 및 상기 반사 방지층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사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배선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단부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기 패시베이션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과 금속층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9항, 제10항,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지고, CVD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시베이션층은 무기막으로 이루어지고, CVD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의 제조 방법.
  18.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 방지층은 티탄또는 티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026753A 2005-03-25 2006-03-24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8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7685 2005-03-25
JP2005087685 2005-03-25
JP2006045448A JP2006303452A (ja) 2005-03-25 2006-02-22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045448 2006-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10A true KR20060103210A (ko) 2006-09-28
KR100808719B1 KR100808719B1 (ko) 2008-02-29

Family

ID=3739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753A KR100808719B1 (ko) 2005-03-25 2006-03-24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80256B2 (ko)
JP (1) JP2006303452A (ko)
KR (1) KR100808719B1 (ko)
CN (1) CN1855467B (ko)
TW (1) TWI3038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3593A (ja) * 2005-10-03 2007-04-19 Seiko Instruments Inc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875546B1 (en) * 2006-09-01 2011-01-2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etal corrosion on bond pads
KR100875795B1 (ko) 2006-12-28 2008-12-2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형성 방법
JP5177551B2 (ja) * 2008-12-26 2013-04-03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535475B2 (ja) * 2008-12-26 2014-07-02 住友電工デバイ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452064B2 (ja) * 2009-04-16 2014-03-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5443827B2 (ja) * 2009-05-20 2014-03-1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160498B2 (ja) * 2009-05-20 2013-03-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622433B2 (ja) * 2010-04-28 2014-11-1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20267779A1 (en) * 2011-04-25 2012-10-25 Mediatek Inc. Semiconductor package
JP5702844B2 (ja) * 2013-11-01 2015-04-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14057086A (ja) * 2013-11-01 2014-03-27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CN103646883B (zh) * 2013-11-28 2016-04-13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一种铝衬垫制备方法
JP6793575B2 (ja) * 2017-03-07 2020-12-02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6832755B2 (ja) * 2017-03-14 2021-02-24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783688B2 (ja) * 2017-03-14 2020-11-11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M555065U (zh) * 2017-09-05 2018-02-01 恆勁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封裝件及其封裝基板
JP7032159B2 (ja) 2018-02-05 2022-03-08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CN109166838A (zh) * 2018-08-29 2019-01-0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顶层金属键合垫的引出结构及其制造方法
JP7378335B2 (ja) * 2020-03-31 2023-11-13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07953A (ko) * 2020-07-13 2022-01-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CN112820657B (zh) * 2021-01-05 2024-05-14 苏州工业园区纳米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解决铝垫打线异常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830A (en) * 1980-04-25 1981-11-21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JPH061764B2 (ja) * 1985-02-14 1994-01-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タ−ン形成法
JPH0622235B2 (ja) * 1987-05-21 1994-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215615A (ja) * 1988-07-01 1990-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
JPH02205323A (ja) * 1989-02-03 1990-08-15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4233228A (ja) * 1990-12-28 1992-08-21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593965B2 (ja) * 1991-01-29 1997-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139781B2 (ja) * 1991-08-07 2001-03-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35647A (ja) * 1994-06-03 1995-12-22 Yamaha Corp 半導体装置
US5892282A (en) * 1995-05-31 1999-04-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arrier-less plug structure
JPH11312670A (ja) * 1998-04-28 1999-11-09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677226B1 (en) * 1998-05-11 2004-01-13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having a bonding pad and a fuse
KR100278657B1 (ko) * 1998-06-24 2001-02-01 윤종용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구조및그제조방법
US7416971B2 (en) * 2004-09-23 2008-08-26 Megica Corporation Top layers of metal for integrated circuits
TW536794B (en) * 1999-02-26 2003-06-11 Hitachi Ltd Wiring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circuit board
JP2001196413A (ja) * 2000-01-12 2001-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該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cmp装置、及びcmp方法
JP3449333B2 (ja) 2000-03-27 2003-09-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377040B2 (ja) * 2000-07-24 2009-12-02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の製造方法
US6617674B2 (en) * 2001-02-20 2003-09-09 Dow Corning Corporatio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6593222B2 (en) * 2001-09-07 2003-07-15 Lattice Corporation Metho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rmosonic gold to aluminum wire bonds
JP2004158678A (ja) 2002-11-07 2004-06-03 Sanyo Electric Co Ltd ボンディングパッド
US7470997B2 (en) * 2003-07-23 2008-12-30 Megica Corporation Wirebond pad for semiconductor chip or wafer
US6790759B1 (en) * 2003-07-31 2004-09-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strain relieving bump design
DE10337569B4 (de) * 2003-08-14 2008-12-11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 Anschlussanordn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3452A (ja) 2006-11-02
US20060249845A1 (en) 2006-11-09
CN1855467A (zh) 2006-11-01
TWI303855B (en) 2008-12-01
CN1855467B (zh) 2011-06-15
TW200636892A (en) 2006-10-16
US7880256B2 (en) 2011-02-01
KR100808719B1 (ko) 200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71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37386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37565B2 (ja) 集積回路チップ、集積回路チップの形成方法、電子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モジュールの形成方法
JP200609336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924172B2 (en) Method of forming a bond pad
CN108257934B (zh) 焊垫开口及熔丝焊接口的制作方法与焊垫开口结构
US9059110B2 (en) Reduction of fluorine contamination of bond pads of semiconductor devices
JP201407857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201901896A (zh) 半導體元件以及其製造方法
US864844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247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92163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side wall protection film for bond pad and wiring
US20060141759A1 (en) Method of forming pad and fuse in semiconductor device
KR20070105827A (ko) 리페어 퓨즈를 구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7566594B2 (en) Fabricat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681676B1 (ko)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
US2005023665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121724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892B1 (ko) 반도체 소자의 패드 산화 방지방법
KR100850082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시 본딩 패드 형성 방법
US757599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al line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10071880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90268B1 (ko) 금속 패드의 부식 방지를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0836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90046574A (ko) 반도체 소자의 패드 오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