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161A - 콘텐츠 검색 방법,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콘텐츠 검색장치, 콘텐츠 리스트 검색 장치 및 검색 서버 - Google Patents
콘텐츠 검색 방법,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콘텐츠 검색장치, 콘텐츠 리스트 검색 장치 및 검색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03161A KR20060103161A KR1020060026347A KR20060026347A KR20060103161A KR 20060103161 A KR20060103161 A KR 20060103161A KR 1020060026347 A KR1020060026347 A KR 1020060026347A KR 20060026347 A KR20060026347 A KR 20060026347A KR 20060103161 A KR20060103161 A KR 20060103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sic
- content
- user
- key inform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458 re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362551 Sam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ZINJLDJMHCUBIP-UHFFFAOYSA-N ethametsulfuron-methyl Chemical compound CCOC1=NC(NC)=NC(NC(=O)NS(=O)(=O)C=2C(=CC=CC=2)C(=O)OC)=N1 ZINJLDJMHCUB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11 autocorrelation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3 myoelectr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636—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by using biological or physiological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하게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 리스트가 검색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악곡의 악곡 부속 정보로서 악곡 템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각각 템포가 당해의 악곡 리스트에 대응하는 템포 범위 내에 있는 악곡을 목록화하여 복수의 악곡 리스트를 준비한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값으로서 검출한다. CPU는 그 키 값과 악곡 템포와의 차분이 가장 작은 악곡을 검색하거나, 또는 키 값이 속하는 템포 범위의 악곡 리스트를 검색한다.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경우,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악곡을 선택한다. 네트워크상의 검색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키 값에 의거하여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콘텐츠, 콘텐츠 리스트, 검색, 검색 서버, 악곡, 사용자, 동작 센서, 재생 장치, 정보 단말, 휴대 전화, 네트워크, 기억 장치, 동작 패턴, 리듬, 검색 수단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의 일례의 접속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악곡 검색에 관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악곡 리스트 검색에 관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보행시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센서 출력 신호와 자기 상관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의 악곡 부속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검색용의 스코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보행 템포의 변화에 따라 검색 결과의 악곡이 변화되는 모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검색용의 차분의 산출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악곡 검색의 처리 루틴의 일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악곡 검색의 처리 루틴의 일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의 악곡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각 악곡 리스트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보행 템포의 변화에 따라 검색 결과의 악곡 리스트가 변화되는 모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처리 루틴의 일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악곡 리스트 검색의 처리 루틴의 일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대표적인 리듬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리듬에 대응하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의 동작 패턴과 검색되는 악곡 리스트와의 대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인터넷상의 검색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검색 시스템에서의 처리 루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인터넷상의 검색 시스템의 다른 예를 개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의 검색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검색 시스템의 휴대 전화 단말의 일례의 접속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검색 시스템에서의 처리 루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사용자 단말 간 직접 무선통신을 행하는 검색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78547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0771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120198호 공보
(특허문헌 4)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3-84774호 공보
(특허문헌 5)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299980호 공보
(특허문헌 6)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0-55174호 공보
(특허문헌 7)특허 제3231482호 공보
본 발명은 음악 재생 장치, 휴대 전화 단말, 정보 단말, 통신 단말 등의 사용자 단말, 이들의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 네트워크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상기 검색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 검색 서버로 이루어지는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또는 콘텐츠 리스트의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장 장치의 기억 용량 증대화 및 소형화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의
고속화에 따라, 사용자는, 방대한 수의 악곡을 대용량 기억 장치에 기록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음악을 즐기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간단하게 음악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고 있다.
방대한 악곡 중에서 적절한 악곡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는, 악곡의 곡명이나 아티스트(artist) 이름을 지정하는 방법이나, 미리 준비된 장르나 재생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악 재생 장치가 임의로 악곡을 선택시키는 방법도 이용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나 기분, 또는 상황에 따라, 악곡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78547호 공보) 및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10771호 공보)에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미지에 맞은 악곡을 선택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20198호 공보)에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악곡을 선택하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84774호 공보)에는, 사용자의 기호나 이미지가 아니라, 평균 차속(car speed)에 맞춰서 악곡을 선택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나 이미지에 맞은 악곡을 선택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허문헌 5(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299980호 공보)에는, 사용자의 맥박이나 운동의 템포에 맞춰서 음악의 템포를 바꾸는 것이 개시되고 있고, 특허문헌 6(일본 공 개특허공보 특개평10-55174호 공보)에는, 음악 재생 장치에서, 지휘봉의 스윙에 따라 음악의 템포를 맞추는 것이 개시되고 있고, 특허문헌 7(특허 제3231482호 공보)에는, 자동 반주 장치로, 사용자의 연주에 반주의 템포를 맞추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악곡의 곡명이나 아티스트(artist) 이름을 지정하는 방법이나, 장르나 재생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있어서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음악 재생 장치가 임의로 악곡을 선택시키는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악곡이 선택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워드를 지정하거나, 또는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장치 측에서 악곡을 선택하는 방법도, 사용자에 있어서 번거롭고 불편하다.
특히, 사용자는, 보행중이나 운동중 등, 어떠한 동작 중에, 음악을 듣는 경우가 많지만, 그 경우, 키워드를 지정하거나 또는 음성을 입력하는 것은, 보행이나 운동 등에 방해가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0~30분 이상의 시간에 걸쳐서 산책이나 조깅 등을 할 경우, 1곡을 몇 분간 들을 때마다, 키워드를 지정하거나 음성을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것이 번거로울 경우에는, 20~30분 이상의 시간에 걸쳐서 같은 곡을 반복해 듣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작중에는 그 움직임에 맞은 악곡이 검색되어 재생되는 것이, 사용자의 동작에 방해가 안되는 점에서나 사용자의 의사나 희망에 따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5에는, 사용자의 운동의 템포에 맞춰서 음악의 템포를 바꾸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서, 악곡의 선택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산보나 조깅 등을 할 경우, 사용자가 특별하게 지시하지 않으면, 같은 악곡이 템포를 바꾸어 재생될 뿐, 단조로운 음악 재생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하게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은 콘텐츠 또는 콘텐츠 리스트가 검색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텐츠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 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 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의 콘텐츠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템포나 동작 리듬 등의 동작 패턴이 검출되어, 그 검출된 동작 템포나 동작 리듬 등의 동작 패턴에 맞은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 예를 들면 검출된 동작 템포에 맞은 악곡 템포의 악곡이나, 검출된 동작 리듬에 맞은 악곡 리듬의 악곡이 직접 검색된다.
상기의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템포나 동작 리듬 등의 동작 패턴이 검출되어, 그 검출된 동작 템포나 동작 리듬 등의 동작 패턴에 맞은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 예를 들면 검출된 동작 템포에 맞은 악곡 템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나, 검출된 동작 리듬에 맞은 악곡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가 검색된다.
[1. 제1 실시예: 도 1~도 18]
제1 실시예로서, 콘텐츠가 악곡을 포함하고, 동시에 사용자 단말에서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경우, 사용자 단말(악곡 검색 장치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장치) 및 악곡 검색 방법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방법을 나타낸다.
(1-1. 사용자 단말의 접속 구성: 도 1)
도 1에, 이 경우의 사용자 단말의 일례의 접속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의 사용자 단말(11)은 휴대형 또는 고정형의 음악 기록 재생 장치나 휴대 전화 단말 등으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CPU(16)을 구비하고, 그 버스(17)에,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록된 ROM(18), 및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전개되는 RAM(19)이 접속된다.
또한, 버스(17)에는, 내부 기억 장치부(21)가 인터페이스(22)을 통해 접속되고, 외부 기억 장치부(23)가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접속된다. 내부 기억 장치부(21)는 사용자 단말(11)에 내장된 하드 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이며, 외부 기억 장치부(23)는 CD나 메모리 카드 등의 분리형(removable) 기억 장치이다. 내부 기억 장치부(21) 또는 외부 기억 장치부(23)에는 다수의 악곡의 악곡 데이터 및 악곡 부속 정보, 및 복수의 악곡 리스트가 기록된다.
또한, 버스(17)에는 키 입력부(25)가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접속되고, 마이크로폰(27)이 음성 처리부(28)를 통해 접속되는 동시에, 음성 처리부(31)를 통해 음성 출력부(32)가 접속되고, 표시 제어부(33)를 통해 액정 표시부(34)가 접속된다.
음성 처리부(28)는 마이크로폰(27)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필요에 따라 압축하는 것이며, 음성 처리부(31)는 버스(17)에 송출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압축되어 있는 것이면 압축 해제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며, 음성 출력부(32)는 스피커나 헤드폰이다.
또한, 버스(17)에는 인터넷(100)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35)가 접속되는 동시에, 무선 인터페이스(36)를 통해 안테나(37)가 접속된다. 단, 제1 실 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11)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이 실행될 경우에는 외부 인터페이스(35)나, 무선 인터페이스(36) 및 안테나(37)는 없어도 좋다.
또한, 버스(17)에는, 동작 센서(41)가 인코더(42)를 통해 접속되고, 환경 센서(44)가 인코더(45)를 통해 접속된다.
동작 센서(41)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동작 센서(41)로서는 그 출력의 동작 정보로부터,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동작 템포나 동작 리듬 등의 동작 패턴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심박이나 근전도(myoelectric potential) 등,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손발의 움직임, 머리나 팔 흔들림, 몸의 상하 이동이나 전후좌우의 흔들림 등, 사용자의 신체적인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후술과 같이 가속도 센서나 비디오 카메라 등을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벨트 운동 기구에서 달리는 등, 피트니스 머신을 이용해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그 머신의 움직임을 사용자의 움직임으로서 검출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인코더(42)는 동작 센서(41)의 출력의 동작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에서, 처리 해석하고, 사용자의 동작 템포나 동작 리듬 등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환경 센서(44)는 그 때의 일시나 온도, 그 자리의 위치 등을, 환경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며, 인코더(45)는 환경 센서(44)의 출력의 환경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에서, 처리 해석하고, 그 때, 그 자리의 환 경을, 계절별로, 주야별로, 춥고 따뜻함에 따라, 옥내와 옥외에 따라, 바닷가나 산록 등의 지역별로, 등과 같이 패턴화해서 검출하는 것이다.
환경 센서(44) 및 인코더(45)는 없어도 무관하지만, 이것들을 설치함으로써, 후술과 같이 환경의 차이를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에 보조적으로 이용 할 수 있다.
또한, 후술과 같이, 검출된 키 정보를 등록하고, 그 등록된 키 정보를 호출하고,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경우에는, 환경 센서(44) 및 인코더(45)로 이루어지는 환경 검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특별하게 지정하지 않고, 그 때 그 자리의 환경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1-2. 사용자 단말의 기능 구성: 도 2 및 도 3)
<1-2-1. 악곡 검색의 경우: 도 2>
도 1의 예의 사용자 단말(11)은 악곡 검색에 관해서는, 기능적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 동작 정보 검출부(52), 키 정보 검출부(53), 콘텐츠 검색부(54) 및 검색 결과 출력부(55)로 구성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는 도 1의 예에서는, 내부 기억 장치부(21) 또는 외부 기억 장치부(23)로 구성되어, 다수의 악곡의 악곡 데이터 및 악곡 부속 정보를 기억/유지하는 것이다.
동작 정보 검출부(52)는 도 1의 예에서는, 동작 센서(41) 및 CPU(16)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키 정보 검출부(53)는 도 1의 예에서는, 인코더(42) 및 CPU(16) 등으로 구성되어, 동작 정보 검출부(52)로 얻을 수 있는 동작 정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콘텐츠 검색부(54)는 도 1의 예에서는, CPU(16), ROM(18) 및 RAM(19) 등으로 구성되어, 키 정보 검출부(53)로 얻을 수 있는 키 정보를 바탕으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악곡으로부터, 그 때의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맞는 악곡 패턴의 악곡을 검색하는 것이다.
검색 결과 출력부(55)는 도 1의 예에서는, 음성 처리부(31), 음성 출력부(32) 및 CPU(16) 등으로 구성되어, 콘텐츠 검색부(54)로 검색된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의해, 그 검색된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색된 악곡은 반드시 그 자리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콘텐츠 검색부(54)로 검색된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부속 정보에 의해, 그 검색된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이 도 1의 액정 표시부(34)에 표시되고, 표시 제어부(33), 액정 표시부(34) 및 CPU(16) 등이 검색 결과 출력부(55)를 구성한다.
<1-2-2.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 도 3>
도 1의 예의 사용자 단말(11)은 악곡 리스트 검색에 관해서는, 기능적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 동작 정보 검출부(52), 키 정보 검출부(53),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 및 검색 결과 출력부(55)로 구성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는 도 1의 예에서는, 내부 기억 장치부(21) 또는 외부 기억 장치부(23)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 경우에는, 다수의 악곡의 악곡 데이터 및 악곡 부속 정보뿐만 아니라, 후술과 같은 복수의 악곡 리스트를 기억/유지하는 것이다.
동작 정보 검출부(52) 및 키 정보 검출부(53)는 도 2에 나타낸 악곡 검색의 경우와 같다.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는 도 1의 예에서는, CPU(16), ROM(18) 및 RAM(19) 등으로 구성되어, 키 정보 검출부(53)로 얻을 수 있는 키 정보를 바탕으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리스트로부터, 그 때의 사용자의 동작 패턴에 맞는 악곡 패턴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이다.
검색 결과 출력부(55)는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후술과 같은 방법에 의해 악곡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의해, 그 선택된 악곡을 재생하거나,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에 목록화되어 있는 각 악곡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부속 정보에 의해, 검색된 악곡 리스트에 목록화되어 있는 각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을 도 1의 액정 표시부(34)에 표시하는 것으로, 도 1의 예에서는 CPU(16), 음성 처리부(31), 음성 출력부(32), 표시 제어부(33) 및 액정 표시부(34) 등으로 구성된다.
(1-3. 동작 정보 및 키 정보: 도 4 및 도 5)
사용자가 옥외를 보행할 때에, 사용자 단말(11)에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시킬 경우,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1은, 동작 센서(41)를 내장하거나 동작 센서(41)를 장착 또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11)을 허리에 부착하거나 팔에 두르는 등 하여 휴대하고,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을 재생하여 들을 경우에는, 음성 출력부(32)로서의 헤드폰을 두부에 장착한다.
이 경우의 동작 센서(41)로서는, 가속도 센서, 변형 센서, 압력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보행중인 사용자 1의 몸의 상하 이동, 발의 진행, 팔 흔들림 등으로부터 사용자 1의 보행 상태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보행 중에는, 동작 센서(41)의 출력의 동작 정보로서, 도 5의 상단에 센서 출력 신호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압(V)이 짧은 시간 내에서는 조금씩 변화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주기성을 가지고 변화되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이 경우, 사용자 1이 왼발을 (땅에) 딛을 때부터 오른쪽 발을 (땅에) 닫을 때까지의 시간, 및 오른쪽 발을 딛을 때부터 왼발을 딛을 때까지의 시간이, 각각 1 주기가 된다.
이 보행 주기는 보행 템포를 나타내고, 보행 주기가 짧으면 보행 템포가 빠르고, 보행 주기가 길면 보행 템포가 느리다. 또, 여기에서, 보행은 주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대응하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하는 경우(이하, 이 경우를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이라고 칭한다), 또는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대응하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경우(이하, 이 경우를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이라고 칭한다),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키 정보 검출부(53)에서는 이 보행 템포를 키 정보로서 검출한다.
그 검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의 상단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센서 출력 신호의 자기 상관 함수를 요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 출력 신호가 도 5의 상단에 나타내는 것이 될 경우, 그 자기 상관 파형은 도 5의 하단에 나타내는 것이 되고, 그로부터 보행 주기, 즉 보행 템포(동작 템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 주기가 600msec이면, 1 걸음이 600msec이므로, 1 분당 100
걸음에 해당하고, 악곡 템포(음악 템포)로 변환하면, 4분음표로 템포 100이 된다. 도 5의 예는, 보행 템포가 100(1 분당 100 걸음)의 경우에서, 이 경우, 키 정보(키 값)로서 동작 템포가 100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치)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옥내에서 운동하는 경우에는, 동작 센서(41)(동작 정보 검출부(52))로서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코더(42)(키 정보 검출부(53))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화상 인식이나 패턴 인식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정보(키값)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센서(41)로서, 휴대 전화 단말의 키 버튼이나 pc의 키보드를 이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키 버튼을 누르거나 키보드를 치는 것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신호(동작 정보)를, 인코더(42)(키 정보 검출부(53))로 처리 해석함으로써, 키 버튼 가압 템포나 키보드 타격 템포를, 사용자의 동작 템포로서 검출 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센서(41)로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키 버튼 가압시나 키보드 타격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획득하여,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음성 신호를 동작 정보로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동작 리듬을 검출하고, 그 동작 리듬에 대응하는 악곡 리듬의 악곡을 검색하거나, 또는 동작 리듬에 대응하는 악곡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한다(이하, 이 경우를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이라고 칭한다). 이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1-4. 악곡 부속 정보: 도 6 및 도 7)
도 6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는 각 악곡의 악곡 부속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ID 정보(번호)는 각 악곡을 당해의 악곡 검색 시스템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1)에 있어서, 고유하게 특정하는 정보로, 각 ID 정보에 대하여, 악곡 부속 정보로서, 아티스트(artist) 이름, 곡명, 앨범명, 템포(i), 및 스코어가 기술된다.
템포(i)는 당해의 악곡의 템포이며, 도 6에서는, 최저는 ID(i)=5의 악곡의 82, 최고는 ID(i)=1의 악곡의 140이다.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 이 "템포(i)"를 악곡 검색에 사용할 수 있 다.
또한,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 후술과 같이, 이 템포(i)가 각각의 악곡 리스트에 대응하는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악곡이 각각의 악곡 리스트에 목록화된다.
스코어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11)로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경우에는, 도 7의 카테고리 1, 2, 3중의 어느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카테고리 1은 당해의 악곡에 대한 사용자의 기호이며, 사용자가 당해의 악곡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할 때, 또는 그 후의 적절한 시기에, 단계(치) 0,1,2,3,4중 어느 쪽의 단계를 결정하고, 악곡에 부속되게 한다. 단계 0은 기호가 가장 낮고, 단계 4는 기호가 가장 높은 것으로 한다.
카테고리 2는 당해의 악곡의 과거의 재생 회수로, 사용자 단말(11)의 CPU(16)에 의해 단계가 결정되어 재기록될 있다. 예를 들면, 후술과 같이 과거의 재생 회수가 적은 악곡이 우선적으로 검색 또는 선택되도록, 단계 0을 재생 회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단계 4를 재생 회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한다. 반대로, 과거의 재생 회수가 많은 악곡이 우선적으로 검색 또는 선택되도록, 단계 0을 재생 회수가 가장 적고, 단계 4를 재생 회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하여도 좋다.
카테고리 3은, 당해의 악곡이 최후에 재생된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1)의 CPU(16)에 의해 단계가 결정되어 재기록될 있다. 단계 0은 경과 시간이 가장 짧고, 단계 4는 경과 시간이 가장 긴 것으로 한다.
편의상, 도 7에 카테고리 4로서 나타내지만, 후술의 제2 또는 제3 실시예와 같이 악곡 검색 시스템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시스템이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경우에는, 스코어로서, 네트워크상에서의 각 사용자의 당해 악곡에 대한 인기를 사용한다.
(1-5.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도 8~도 11)
도 8에,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일례로서, 사용자의 보행 템포에 대응하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할 경우에 있어서의, 보행 템포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시점(t0)에서, 사용자 단말(11)에 악곡의 검색 및 재생을 지시해서 보행을 시작하고, 시점(t0)으로부터 시점(t1)까지의 기간, 및 시점(t1)으로부터 시점(t10)까지의 기간(P10)에서는 빠른 일정한 템포로 보행하고, 시점(t10)으로부터 시점(t20)까지의 기간(P20)에서는 서서히 보행 템포를 느리게 하고, 시점(t20)으로부터 시점(t30)까지의 기간(P30)에서는 느리게 일정한 템포로 보행하고, 시점(t30)으로부터 시점(t40)까지의 기간(P40)에서는 점차 보행 템포를 빨리하고, 시점(t40)으로부터 시점(t50)까지의 기간(P50)에서는 기간(P10) 보다 빠른 일정한 템포로 보행한다.
도 2에 나타낸 콘텐츠 검색부(54)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Tc)을 검색 주기로서, 키 정보 검출부(53)로부터 보행 템포(동작 템포)로서 검출된 키 치(키 정보)를 받아들인다.
시간(Tc)은 예를 들면, 2초로 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보행 주기가 600msec(보행 템포가 100) 정도일 때에는 검색 주기가 보행 주기의 3배 이상에 해당하여 검색 주기 내에서 보행 주기(보행 템포)가 여러 번 검출될 수 있지만, 키 정보 검출부(53)에서는, 그 복수 회분에 걸치는 보행 템포 검출치의 평균치, 또는 최후의 보행 템포 검출치가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으로서 출력된다. 도 8의 경우, 시점(t0)으로부터 시간(Tc)을 경과한 시점(t1)에 있어서, 최초의 키값 Tek이 출력된다.
그리고, 콘텐츠 검색부(54)에서는 시간(Tc)의 검색 주기 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각 악곡에 대한 도 9의 식(1)을 이용하여, 악곡의 템포(템포(i))와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 사이의 차분 D(i)을 산출하고, 이 차분 D(i)이 가장 작은 악곡, 즉, 그 때의 보행 템포에 가장 가까운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 결과의 악곡으로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예에서,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이 105이었을 때에는, ID(i)=3인 악곡의 키값 Tek와 템포(템포(3)=104))에 관한 차분 D(3)이 1로 최소가 되므로, ID(i)=3인 악곡이 선택된다.
또한, 도 6의 예에서,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이 100이었을 때에는, ID(i)=7인 악곡(템포(7)=102))에 관한 차분 D(7), 및 ID(i)=13인 악곡(템포(13)=98))에 관한 차분 D(13)이 모두 2로 최소가 된다.
이렇게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 콘텐츠 검색부(54)에서는 그간의 상기 스코어가 가장 높은 악곡을 선택한다. 상기 예에서는, ID(i)=7인 악곡은 스코어가 4, ID(i)=13인 악곡은 스코어가 0이므로, ID(i)=7인 악 곡이 선택된다.
또한, 이렇게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 중에서, 콘텐츠 검색부(54)가 임의로 1개의 악곡을 선택하도록 검색 프로그램을 구성해도 좋다.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복수의 악곡이 스코어도 동일할 경우에도, 그 중에서, 콘텐츠 검색부(54)가 임의로 1개의 악곡을 선택하도록 검색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또한, 도 1의 예와 같이, 환경 센서(44) 및 인코더(45)에 의한 환경 검출부를 만들고, 그 때 그 자리의 환경을, 계절별로, 주야별로, 춥고 따뜻함에 따라, 옥내와 옥외에 따라, 바닷가나 산록 등의 지역별로, 등과 같이 패턴화해서 검출할 경우에는,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 중에서 곡명이나 앨범명 등의 악곡 부속 정보 중에, 검출된 환경을 나타내는 어구가 존재하는 악곡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악곡 부속 정보로서 당해의 악곡에 맞는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 중에서, 그 환경 표현 정보가 환경 검출부에서 검출된 환경과 일치하는 악곡을 선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사용자의 보행 템포가 50인 경우와 같이 느린 템포일 경우, 도 6과 같은 예에서는, 도 9의 식(1)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하면, 악곡 템포가 82인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보행 템포에 맞지 않는 악곡이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 값 Tek가, 어떤 한계치 이하일 때에는 도 9의 식(1) 대신에 식(2)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하도록, 즉 결과적으로 키값 Tek을 n배로 보정하여 식(1)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하도록, 검색 프로그램을 구성해도 좋다. n은 2 또는 3이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이 50이었을 때, n=2로 됨으로써, 식(1)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할 경우에 키값 Tek이 100이었을 때와 같은 검색 결과가 되고,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거의 2배의 악곡 템포인 사용자의 보행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선택된다.
반대로, 사용자의 보행 템포가 200인 빠른 템포일 경우, 도 6과 같은 예에서는, 도 9의 식(1)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하면 악곡 템포가 140인, 사용자의 보행 템포에 맞지 않는 악곡이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이 어떤 한계치 이상일 때에는, 도 9의 식(1) 대신에 식(3)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하도록, 즉 결과적으로 키값 Tek을 1/n로 보정해서 식(1)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하도록, 검색 프로그램을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의 n도 역시 2 또는 3이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이 200이었을 때, n=2로 됨으로써, 식(1)에 의해 차분 D(i)을 산출할 경우에 키값 Tek이 100이었을 때와 같은 검색 결과가 되고,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거의 1/2의 악곡 템포인, 사용자의 보행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선택된다.
이상과 같은 검색의 결과, 도 8의 경우, 기간(P10)에서는 시간(Tc)의 검색 주기 마다 같은 곡 A가 선택되고, 기간(P20)에서는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감소에 따라 선택되는 악곡이 변경되고, 기간(P30)에서는 시간(Tc)의 검색 주기 마다 같은 곡 F가 선택되고, 기간(P40)에서는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증가에 따라 선택되는 악곡이 변경되고, 기간(P50)에서는 시간(Tc)의 검색 주기 마다 같은 곡 L이 선택된다.
검색 결과의 악곡을 재생할 경우, 기간(P10, P30 또는 P50)에서와 같이 시간(Tc)의 각 회의 검색시마다 전회의 검색시와 같은 악곡이 선택될 경우, 재생시 곡의 시작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재생하지 않고 전회의 검색시에 재생한 부분으로부터 계속되는 부분을 재생하도록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기간(P10)의 시간 길이가 곡 A의 전체 시간 길이보다 클 경우에는, 곡 A를 처음부터 최후까지 재생한 후, 곡 A의 시작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재생하도록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또한, 이 경우, 식(1), 식(2) 또는 식(3)에 의해 산출된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악곡이, 곡 A를 포함해서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곡 A의 재생 후, 차분 D(i)이 같은 것 이외의 곡을 선택하고 재생하도록, 검색 프로그램 및 재생 프로그램을 구성해도 좋다.
기간(P20)과 같이 보행 템포가 늦어질 경우에는, 보행 템포 검출 치로부터 일정값(α)을 줄인 값을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으로 하고, 반대로 기간(P40)과 같이 보행 템포가 빨라질 경우에는, 보행 템포 검출 치에 일정값(α)을 부가한 값을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으로 하여도 좋다. α는 1 분당 5 전후의 템포분에 해당한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변화를 예측하면서 악곡 검색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보행 템포가 크게 변화되는 것으로써, 재생되는 악곡이 수초 이하의 짧은 시간 마다 빈번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행 템포의 변화율이 소정치를 넘을 경우에는, 보행 템포의 변화율이 소정치 이하일 경우에 비해 상기 검색 주기의 시간(Tc)을 길게 하도록, 동작 템포 검출 및 악곡 검색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도 있다.
검색 결과에 따라 재생하는 악곡을 변경할 경우, 이전의 곡을 페이드 아웃(fade out)시키는 동시에, 이후의 곡을 페이드 인(fade in)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악곡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곡의 머리의 부분은 템포 102, 그 후의 부분은 템포 98로 하는 것 같이, 곡의 각부에서 템포가 다른 것이 있다.
이러한 악곡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악곡 부속 정보로서 곡의 부분 마다 템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차분 D(i)도 부분 마다 산출하고, 그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부분만을 또는 당해 악곡 전체를 선택한다.
또는, 악곡 부속 정보로서 곡의 머리 부분이나 클라이막스 부분의 템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차분 D(i)이 최소가 되는 악곡으로서 당해의 악곡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당해 악곡의 머리 부분이나 클라이막스 부분만을 재생하거나, 또는 당해 악곡을 다음에 다른 악곡이 선택될 때까지 머리로부터 재생한다.
도 10 및 도 11은 사용자 단말(11)이 이상과 같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을 행할 경우의 전체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1)은 사용자의 검색 시작 지시에 의해 전체의 처리를 시작하고, 우선 스텝 61에서, 동작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을 클리어하고, 다음에 스텝 62로 진행되어, 동작 정보 검출부(52)로 동작 정보의 검출을 시작하고, 다음에 스텝 63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종료 지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 지시가 있을 때에는 전체의 처리를 종료한다.
사용자의 종료 지시가 없을 때에는, 스텝 63에서 스텝 64로 진행되어, 키 정보 검출부(53)로 동작 정보 검출부(52)의 출력의 동작 정보를 처리하고, 또한 스텝 65로 진행되어, 검색 주기의 시간(Tc)이 경과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간(Tc)을 경과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63으로 돌아가고, 또한 사용자의 종료 지시가 없으면, 스텝 64로 돌아가서 동작 정보의 처리를 속행한다.
스텝 65에서 시간(Tc)을 경과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66으로 진행되어 키 정보 검출부(53)에서, 스텝 64에서의 처리 결과로부터,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고, 또한 스텝 67로 진행되어, 키값 Tek을 검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동작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키값 Tek을 검출할 수 없었을 때에는, 스텝 67에서 스텝 68로 진행되어, 스텝 61에서와 마찬가지로 키값 Tek을 클리어한 후에, 스텝 63으로 돌아가고, 다음 검색 주기에서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67에서 키값 Tek을 검출할 수 있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71로 진행되어, 전술한 방법에 의해 악곡을 검색하고, 또한 스텝 72로 진행되어, 악곡을 검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악곡을 검색할 수 있었을 때에는, 스텝 73로 진행되어, 검색 결과를 출력한 뒤에, 스텝 63으로 되돌아오고, 악곡을 검색할 수 없었을 때에는, 스텝 74로 진행되어, 에러 처리를 한 뒤에, 스텝 63으로 돌아간다.
스텝 73에서의 출력 처리는 검색된 악곡을 재생하고, 또는 검색된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을 표시하는 것 등이며, 스텝 74에서의 에러 처리는 사용자에 대하여 악곡을 검색할 수 없는 취지를 표시 또는 고지하는 것 등이다.
이상과 같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에 의하면, 이하의 각 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11)에 대하여,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시킬 수 있다.
(1a) 보행시, 보행 템포가 느릴 때에는 악곡 템포의 느린 악곡이 검색되고, 보행 템포가 빠를 때에는 악곡 템포의 빠른 악곡이 검색되는 것 같이, 보행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검색된다.
(1b) 휴대 전화 단말에서의 메일 작성시, 키 버튼 누름 템포가 느릴 때에는 악곡 템포의 느린 악곡이 검색되고, 키 버튼 누름 템포가 빠를 때에는 악곡 템포의 빠른 악곡이 검색되는 것 같이, 키 버튼 누름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검색된다.
(1c) pc에서의 문장 입력시, 키보드 타격 템포가 느릴 때에는 악곡 템포의 느린 악곡이 검색되고, 키보드 타격 템포가 빠를 때에는 악곡 템포의 빠른 악곡이 검색되는 것 같이, 키보드 타격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검색된다.
(1d) 노래방 기계로 노래 부를 때, 마이크로폰이나 선곡 리모트 콘트롤러의 흔들림 템포가 느릴 때에는 악곡 템포의 느린 노래방 악곡이 검색되고, 마이크로폰이나 선곡 리모트 콘트롤러의 흔들림 템포가 빠를 때에는 악곡 템포의 빠른 노래방 악곡이 검색되는 것 같이, 마이크로폰이나 선곡 리모트 콘트롤러의 흔들림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노래방 악곡이 검색된다.
(1e) 벨트 운동 기구에 의한 주행시, 운동 기구의 운전 템포에 맞춘 사용자의 주행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검색된다.
(1-6.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 도 12~도 16)
도 12는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경우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는 악곡 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악곡 리스트 1은 템포가 110 미만인 슬로 템포(slow tempo)의 악곡을 목록화한 것이며, 악곡 리스트 2는 템포가 110 이상 150 미만인 보행시(walking)의 재생에도 알맞은 악곡을 목록화한 것이며, 악곡 리스트 3은 템포가 150 이상인 조깅시의 재생에도 알맞은 악곡을 목록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악곡 리스트 1에는 ID=1-1~1-8의 8곡이 목록화되고, 악곡 리스트 2에는 ID=2-1~2-6의 6곡이 목록화되고, 악곡 리스트 3에는 ID=3-1~3-5의 5곡이 목록화되어 있다.
각 악곡 리스트 1, 2, 3에는, 각각 목록화된 악곡의 악곡 부속 정보로서,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아티스트(artist) 이름, 곡명, 앨범명, 템포(i) 및 스코어가 기술된다.
도 14는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일례로서, 사용자의 보행 템포에 대응하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경우에 있어서의 보 행 템포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는 보행 템포의 변화에 있어서는 도 8의 예와 같다.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에서는 도 8에 나타낸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Tc)을 검색 주기로서, 키 정보 검출부(53)로부터 보행 템포로서 검출된 키값 Tek을 받아들이고, 시간(Tc)의 검색 주기 마다 그 키값 Tek이 110 미만인지, 110 이상 150 미만인지, 150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는 키값 Tek이 110 미만일 때에는, 악곡 리스트 1을 선택하고, 키값 Tek이 110 이상 150 미만일 때에는 악곡 리스트 2를 선택하고, 키값 Tek이 150 이상일 때에는 악곡 리스트 3을 선택한다.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와 같이, 키값 Tek이 50인 경우와 같이 어떤 한계치 이하일 때에는 키값 Tek을 n배(n은 2 또는 3)로 보정하고, 반대로, 키값 Tek이 200인 경우와 같이 어떤 한계치 이상일 때에는 키값 Tek을 1/n (n 은 2 또는 3)로 보정한다.
이상과 같은 검색의 결과, 도 14의 경우에는, 시점(t1)으로부터 시점(t10)까지의 기간(P10)에서는 악곡 리스트 2가 선택되고, 시점(t10)으로부터 시점(t20)까지의 기간(P20)에서는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감소에 따라 선택되는 악곡 리스트가 변경되고, 시점(t20)으로부터 시점(t30)까지의 기간(P30)에서는 악곡 리스트 1이 선택되고, 시점(t30)으로부터 시점(t40)까지의 기간(P40)에서는 사용자의 보행 템포의 증가에 따라 선택되는 악곡 리스트가 변경되고, 시점(t40)으로부터 시점(t50) 까지의 기간(P50)에서는 악곡 리스트 3이 선택된다.
또한, 이렇게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고, 재생할 경우, 악곡의 선택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다:
(2a)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임의로 악곡을 선택하고 재생한다.
(2b)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곡순(ID 번호가 작은 순)으로 악곡을 선택하고 재생한다.
(2c)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상기 스코어가 높은 순으로 악곡을 선택하고, 악곡 리스트 중에 스코어가 같은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그 복수의 악곡으로부터 임의로 또는 곡순으로 1개의 악곡을 선택하고 재생한다.
(2d) 검색된 악곡 리스트 중의 각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을, 액정 표시부(34)에 표시해서 사용자에 제시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악곡을 지시하고, CPU(16)가 그 지시에 따라서 악곡을 선택해서 재생한다.
또, 형식적으로 악곡 리스트가 생성되어 있지만, 거기에 악곡이 1개도 목록화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악곡을 그대로 계속해서 재생하던지, 곡이 없는 것을 사용자에 제시해서 사용자의 지시를 기다리도록 한다.
도 14는 상기 (2a)의 방법에 의해, 기간(P10)에서는 처음에는 악곡 리스트 2로부터 악곡 2-5가 선택되고, 그 재생 후는 악곡 리스트 2로부터 악곡 2-2가 선택되고, 기간(P30)에서는 처음에는 악곡 리스트 1로부터 악곡 1-6이 선택되고, 그 재생 후는 악곡 리스트 1로부터 악곡 1-3이 선택되고, 기간(P50)에서는 처음에는 악곡 리스트 3으로부터 악곡 3-4가 선택되고, 그 재생 후는 악곡 리스트 3으로부터 악곡 3-1이 선택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사용자 단말(11)이 이상과 같은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경우의 전체의 처리의 이례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1)은 사용자의 검색 시작 지시에 따라서 전체의 처리를 시작하고, 우선 스텝 111에서 동작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을 클리어하고, 다음에 스텝 112로 진행되어, 동작 정보 검출부(52)로 동작 정보의 검출을 시작하고, 다음에 스텝 113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종료 지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 지시가 있었을 때에는 전체의 처리를 종료한다.
사용자의 종료 지시가 없을 때에는, 스텝 113으로부터 스텝 114로 진행되어, 키 정보 검출부(53)로 동작 정보 검출부(52)의 출력의 동작 정보를 처리하고, 또한 스텝 115로 진행되어, 검색 주기의 시간(Tc)을 경과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시간(Tc)을 경과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113으로 돌아가고, 또한 사용자의 종료 지시가 없으면, 스텝 114로 돌아가서, 동작 정보의 처리를 속행한다.
스텝 115에서 시간(Tc)을 경과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116으로 진행되어, 키 정보 검출부(53)로, 스텝 114에서의 처리의 결과로부터, 동작 템포를 키값 Tek 으로서 검출하고, 또한 스텝 117로 진행되어, 키값 Tek을 검출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동작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키값 Tek을 검출할 수 없었을 때에는, 스텝 117로부터 스텝 118로 진행되어, 스텝 111에서와 마찬가지로 키값 Tek을 클리어한 뒤에, 스텝 113로 돌아가고, 다음 검색 주기에서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117에서 키값 Tek을 검출할 수 있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121로 진행되어, 전술한 방법에 의해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고, 또한 스텝 122로 진행되어,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었을 때에는, 스텝 123로 진행되어, 전술한 방법에 의해,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고, 또한 스텝 124로 진행되어, 악곡을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악곡을 선택할 수 있었을 때에는, 스텝 125로 진행되어, 선택된 악곡을 재생(선택된 악곡의 재생을 시작)한 뒤에, 스텝 113으로 돌아간다.
스텝 122에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수 없었다고 판단했을 때, 또는 스텝 124에서 악곡을 선택할 수 없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126로 진행되어, 에러 처리로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할 수 없는 취지 또는 악곡을 선택할 수 없는 취지를 표시하거나 고지한 뒤에, 스텝 113으로 돌아간다.
이상은,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고 재생할 경우이지만, 검색 결과의 출력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3a) 검색된 악곡 리스트에 목록화되어 있는 각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을 액정 표시부(34)에 표시해서 사용자에 제시한다.
(3b) 검색된 악곡 리스트의 ID 정보(번호)나 명칭,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을 검색시의 시간 순으로 내부 기억 장치부(21) 또는 외부 기억 장치부(23)에 등록한다.
(3c) 검색된 악곡 리스트의 내용(검색된 악곡 리스트에 목록화되어 있는 각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 된 악곡의 아티스트(artist) 이름이나 곡명 등을, 인터넷(100), 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나 무선통신 네트워크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다른 사용자에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악곡 리스트 검색에서는, 키값 Tek에 의해 직접 악곡을 검색하는 경우와는 달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각 악곡에 대하여 도 9에 도시된 차분 D(i)을 산출할 필요가 없어서, 검색 처리의 부담을 현저하게 경감 할 수 있다.
(1-7.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도 17 및 도 18)
사용자가 댄싱 동작이나 스트레치 등의 운동을 할 경우, 그때 또는 그 도중에, 동작 리듬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삼바 리듬에서 발이나 몸을 움직이거나, 살사의 리듬에서 발이나 몸을 움직이거나, 처음에는 삼바의 리듬에서 발이나 몸을 움직이고, 다음에 살사의 리듬에서 발이나 몸을 움직이는 경우 등이다.
이 경우, 동작 센서(41)의 출력 신호에서 보면 출력 신호의 파형 자체가 변화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보행 템포를 바꾸면서 일정 시간 이상에 걸쳐 보행할 경우에는, 센서 출력 신호의 주기는 변화되지만, 센서 출력 신호의 파형 자체는 사인파적인 형상에서 변화되지 않는데 비해, 상기와 같이 동작 리듬을 바꿀 경우에는, 센서 출력 신호의 파형 자체가 변화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동작 리듬이 변화될 경우에는, 그때의 동작 리듬에 맞는 악곡 리듬의 악곡이 검색되어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 리듬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동작 리듬에 대응하는 악곡 리듬의 악곡을 검색하거나, 또는 검출된 동작 리듬에 대응하는 악곡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한다.
동작 리듬의 검출을 위해, 미리 대표적인 각각의 리듬의 패턴(파형)을 리듬 패턴 데이터로서 사용자 단말(11)에 등록한다.
도 17은 대표적인 각각의 리듬의 패턴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신호 레벨이다.
패턴 A는 큰 피크 사이에 중간 크기의 피크가 3개 존재하는 패턴이며, 패턴 B는 큰 피크 사이에 중간 크기의 피크가 2개 존재하는 패턴이며, 패턴 C는 중간 크기의 피크 사이에 작은 피크가 1개 존재하는 패턴이며, 패턴 D는 중간 크기의 피크의 사이가 거의 변화되지 않는 패턴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키 정보 검출부(53)는 동작 정보 검출부(52)의 출력의 동작 정보를 처리하고, 동작 정보의 신호 파형을 식별하고, 상기와 같이 리듬 패턴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대표적인 각각의 리듬의 패턴과 비교하고, 유사한 패턴을 검색함으로써, 그때의 동작 패턴이 상기 패턴 A, B, C, D 중 어느 것인지를 특정하고, 특정 결과(검출 결과)를 키 코드로서 출력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는 각 악곡의 악곡 부속 정보로서는, 상기 템포(템포(i)) 대신에, 또는 템포(템포(i))와 함께, 당해의 악곡의 리듬을 나타내는 리듬 코드(리듬 명칭)이 부가된다.
<1-7-1.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콘텐츠 검색부(54)는 선정된 검색 주기 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중에서, 리듬 코드가 동작 패턴 특정 결과(검출 결과)의 키 코드와 일치하는(대응하는) 악곡을, 검색 결과의 악곡으로서 선택한다.
리듬 코드가 키 코드와 일치하는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와 같이, (4a) 그 중, 상기 스코어가 가장 높은 악곡을 선택한다, (4b) 그 중, 임의로 1개의 악곡을 선택한다, (4c) 그 중, 그때 그 자리의 환경에 맞는 악곡을 선택한다, 등의 방법에 의해 1개의 악곡을 선택한다.
또한, 악곡 부속 정보로서, 리듬 코드와 함께 상기 템포(템포(i))를 부가하고, 키 정보 검출부(53)에서는 상기와 같이 동작 패턴을 특별히 정하고, 키 코드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와 같이,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고, 콘텐츠 검색부(54)에서는, 리듬 코드가 키 코드와 일치하는 악곡이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그 중, 상기 차분 D(i)이 가장 작은 악곡을 선택하는 것 같이 구성해도 좋다.
사용자 단말(11)이 이상과 같은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을 행할 경우의 전체의 처리도, 키값 Tek을 키 코드로 바꿔 놓는 점을 제외하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
<1-7-2. 리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
리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에서는,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악곡 리스트 1로서 상기 패턴 A와 같은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되고, 악곡 리스트 2로서 상기 패턴 B과 같은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되고, 악곡 리스트 3으로서 상기 패턴 C와 같은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되고, 악곡 리스트 4로서 상기 패턴 D와 같은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된다.
그리고, 리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은 선정된 검색 주기 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리스트 1, 2, 3, 4로부터, 리듬 코드가 동작 패턴 특정 결과(검출 결과)의 ㅋ키 코드와 일치하는(대응하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 결과의 악곡 리스트로서 선택한다.
또한, 이렇게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할 경우,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의 악곡 선택과 같이, 상기 (2a)~(2d) 등의 방법에 의해 악곡을 선택한다.
사용자 단말(11)이 이상과 같은 리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경우의 전체의 처리도, 키값 Tek을 키 코드로 바꿔 놓는 점을 제외하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
(1-8. 키 정보의 등록 및 호출에 의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전술한 예는, 사용자의 동작 템포 또는 동작 리듬의 검출과, 그 검출 결과의 키 정보에 의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동시에 행할 경우이지만, 이하의 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 템포 또는 동작 리듬의 검출시, 검출 결과의 키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한번, 사용자의 동작 템포 또는 동작 리듬을 검출하고 키 정보로서 등록한 후는, 그 등록된 키 정보를 호출하는 것으로써, 새로이 사용자의 동작 템포 또는 동작 리듬을 검출하지 않고,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의 검색,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의 검색, 사용자의 동작 리듬에 맞는 악곡 리듬의 악곡의 검색, 또는 사용자의 동작 리듬에 맞는 악곡 리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의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다음의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A) 평일 아침에, 통근 때문에, 자택으로부터 역까지 조금 빠른 걸음으로 걷는다.
(B) 월요일, 수요일 및 금요일의 저녁에, 근무처의 가까운 공원에서, 조깅을 한다.
(C) 토요일 및 일요일의 아침에, 자택 주변을 천천히 산책한다.
이 경우, (A) (B) (C)의 각 경우에, 최초로 또는 몇회 째로 실제 보행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에 대하여 템포 모드(템포 명칭)을 지정한 뒤에, 보행 템포(동작 템포)를 키 정보로서 검출하여 등록시킨다.
템포 모드의 지정은, (A)의 경우이면, 「템포 A」 또는 「아침」등으로 지시하고, (B)의 경우이면, 「템포 B」 또는 「저녁」등으로 지시하고, (C)의 경우이 면, 「템포 C」 또는 「휴일」등으로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단말(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 정보 검출부(52)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또한 키 정보 검출부(53)로 사용자의 보행 템포(동작 템포)를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동시에, CPU(16)가 그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 정보를 상기 지정된 템포 모드와 대응시키고, 내부 기억 장치부(21) 또는 외부 기억 장치부(23)에 등록한다.
보행 도중에 보행 템포가 변화될 경우, (x) 교차로 등에서 보행을 정지하는 것 같을 때를 제외하고, 보행 템포의 변화가 미소하여, 전체로서는 보행 템포가 일정할 경우에는, 전술한 복수 회분에 걸친 보행 템포 검출치의 평균치를,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으로 하고, (y)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행 템포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그 보행 템포의 변화에 따라 시간순으로 변화되는 보행 템포 검출치를, 그대로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으로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A) (B) (C)의 각 경우에 있어, 보행 템포 검출 결과의 키값 Tek을 템포 모드와 대응하여 등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평일의 아침에 자택으로부터 역까지 보행시, 사용자는 「템포 A」 또는 「아침」등으로 템포 모드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11)에 악곡 검색을 지시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 단말(11)의 CPU(16)는 지정된 템포 모드의 등록된 키값 Tek을 호출하고, 그 호출한 키값 Tek으로 표시되는 보행 템포(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하여 재생한다.
사용자가 「템포 A」 또는 「아침」등으로 템포 모드를 지정하지 않고 단지 악곡 검색을 지시하기만 하면, 사용자 단말(11)의 CPU(16)는 사용자 단말(11) 내에 구비할 수 있는 달력 시계 회로에 의해 그때가 「평일의 아침」인 것을 검출하고, 「평일의 아침」의 템포 모드의 등록된 키값 Tek을 호출하도록, 사용자 단말(11)을 구성하는 가능하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 상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오래된 악곡이 삭제되고 새로운 악곡이 추가되는 등, 악곡이 수시 변경되므로, 예를 들면 평일의 아침에 상기 바와 같이 등록된 키값 Tek을 호출하는 것으로써 악곡 검색을 행하는 경우에도, 매일 아침 같은 악곡이 검색되어 재생되는 일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른 악곡을 들을 수 있다.
이상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이지만,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 또는 리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1-9.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에 대한 그 밖의 방법)
전술한 예는, 악곡 부속 정보로서, 악곡 템포 또는 악곡 리듬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해 두는 경우이지만, 악곡 검색의 경우, 검색시마다, 각 악곡의 악곡 템포 또는 악곡 리듬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에 기록되는 악곡수가 방대하면 각 악곡의 악곡 템포 또는 악곡 리듬의 검출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지만, 그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악곡 검색을 지시할 때, 동시에 검색 범위라고 하는 분류를 지시하고, 사용자 단말(11)이 그 지시된 분류에 속하는 악곡 중에서 동작 템포 또는 동작 리듬에 맞는 악곡을 검색하도록 사용자 단말(11)을 구성하면, 악곡 템포 또는 악곡 리듬의 검출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분류의 지시는 특정한 장르나 악곡 리스트를 지시하는 것 등이다.
사용자 단말(11)을,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및 리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 중 일부에 대응시켜,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자 단말(11)에 실행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제2 실시예: 도 19~도 21]
제2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이 인터넷을 통해 검색 서버와 접속되는 악곡 검색 시스템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시스템, 및 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의 악곡 검색 방법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 방법을 나타낸다.
(2-1. 제1 예: 도 19 및 도 20)
도 19는 이 경우의 검색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2)이 인터넷(100)을 통해 검색 서버(200)에 접속된다.
사용자 단말(12)은, 인터넷(100)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춘 음악 재생 장치나 pc 등이며, 도 1의 예의 사용자 단말(11)과 마찬가지로, 단말 본체부(13)에 동작 센서(41) 및 외부 인터페이스(35)가 접속된 것이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색 서버(200)에서 악곡이 검색 또는 선택되고, 사용자 단말(12)에서의 스트리밍(streaming) 재생 등을 위한 악곡 데이터도 검색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2)로 송신되므로, 사용자 단말(12)의 단말 본체부(13)에서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는 없어도 무관하다.
검색 서버(200)는 이 예에서는,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동시에,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하는 것으로, 분배 서버이기도 하고, 서버 제어부(210)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0), 콘텐츠 검색부(230) 및 외부 인터페이스(240)가 접속되어 구성되고, 외부 인터페이스(240)에 의해 인터넷(100)에 접속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0)에는 다수의 악곡의 악곡 데이터 및 악곡 부속 정보가 축적되어 복수의 악곡 리스트가 기록된다.
즉, 이 예의 검색 시스템에서,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동작 정보 검출부(52) 및 키 정보 검출부(53)는 사용자 단말(12)로서 구성되고,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 및 도 2에 나타낸 콘텐츠 검색부(54) 또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0) 및 콘텐츠 검색부(230)로서 검색 서버(200)에 구비할 수 있다.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2) 의 동작 정보 검출부(52)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12)의 키 정보 검출부(53)에서는 그 동작 정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정보(키값 Tek)로서 검출한다.
사용자 단말(12)은 그 검출된 키 정보(키값 Tek)를 인터넷(100)을 통해서 검색 서버(200)로 송신한다.
검색 서버(200)는 그 송신된 키 정보(키값 Tek)를 수신하고, 콘텐츠 검색부(230)로, 제1 실시예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악곡을 검색한다. 단, 스코어로서는 도 7에 카테고리 4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인터넷(100) 상의 당해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사용자의 당해 악곡에 대한 인기를 사용한다. 이 경우, 상기 카테고리 1과 마찬가지로, 단계 0은 인기가 가장 낮고, 단계 4는 인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한다.
검색 서버(200)는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2)은 그 송신된 악곡 데이터에 의해, 검색된 악곡을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한다.
이상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선정된 검색 주기로서 실행된다.
도 20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에 사용자 단말(12) 및 검색 서버(200)가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12)은 우선 스텝 81에서, 검색 서버(200)에 접속하고, 다음에 스텝 82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검출하여 키값 Tek으로서 검색 서버(200)에 송신한다.
검색 서버(200)는 스텝 251에서, 그 송신된 키값 Tek을 수신하고, 키값 Tek 에 대응하는, 즉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하고, 또한 스텝 252로 진행되어, 그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12)은 스텝 83에서, 그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악곡을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2)은 스텝 83로부터 스텝 84로 진행되어, 전체의 처리를 종료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지 않으면, 스텝 82로 돌아가고, 종료할 때에는 스텝 85로 진행되어, 종료 처리를 한 뒤에, 전체의 처리를 종료한다.
검색 서버(200)도 스텝 252로부터 스텝 253로 진행되어, 사용자 단말(12)에 대한 전체의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지 않으면, 스텝 251로 돌아가고, 종료할 때에는 스텝 254로 진행되어, 종료 처리를 한 뒤에, 사용자 단말(12)에 대한 전체의 처리를 종료한다.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에는, 검색 서버(200)는 스텝 251에서, 제1 실시예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동시에, 그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고, 스텝 252에서, 그 선택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한다.
이상의 예는, 사용자 단말(12)로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는 경우이지만, 사용자 단말(12)로부터 검색 서버(200)에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서버(200)에서,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고, 그 키값 Tek에 대응하는, 즉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 같이, 검색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이지만,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이상의 예는 검색시, 검색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검색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2)로 악곡을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하는 경우이지만, 사용자 단말(12)에서는, 검색시, 검색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 뿐으로, 그 후에 그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재생하거나, 혹은, 검색 서버(200)에서는, 검색시, 검색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하지 않고, 예를 들면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의 ID 정보를, 「시작으로부터 4분20초는 곡 A, 다음 1분05초는 곡 B, ‥‥ 다음 18초는 곡 X‥‥」 등과 같이 검색시의 시간순으로, 검색 서버(200) 내에 기록해 두거나, 또는 검색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해서 사용자 단말(12) 내에 기록하고, 뒤에 사용자 단말(12)로, 검색 서버(200)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또는 사용자 단말(12) 내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의해,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을 검색시의 시간순으로 재생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예의 검색 시스템에서도, 키 정보의 등록 및 호출에 의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의 소정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5a) 사용자 단말(12)로, 키 정보의 검출, 검출된 키 정보의 등록, 및 등록된 키 정보의 호출을 행하고, 사용자 단말(12)로부터 검색 서버(200)에 그 호출된 키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서버(200)로, 그 송신된 키 정보에 의해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한다.
(5b) 사용자 단말(12)로, 키 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12)로부터 검색 서버(200)에 그 검출된 키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서버(200)로, 그 송신된 키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2)로부터의 검색 실행 지시에 의해 그 등록된 키 정보를 호출하고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한다.
(5c) 사용자 단말(12)로부터 검색 서버(200)에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서버(200)로, 그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키 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키 정보를 등록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12)로부터의 검색 실행 지시에 의해 그 등록된 키 정보를 호출하고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한다.
(2-2. 제2 예: 도 21)
도 19의 예는 검색 또는 선택의 결과를 동작 검출 대상의 사용자측의 사용자 단말(12)에 송신하는 경우이지만, 검색 또는 선택의 결과를 다른 사용자측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다른 사용자측의 사용자 단말에서 스트리밍(streaming) 재생 등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1은 이 경우의 검색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2 및 14)이 인터넷(100)을 통해 검색 서버(200)에 접속된다.
사용자 단말(12)은 도 19의 예와 같은 것이다. 사용자 단말(14)은 사용자 단말(12)과 마찬가지로, 인터넷(100)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춘 음악 재생 장치나 pc 등이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능은 없어도 무관하다. 검색 서버(200)는 도 19의 예와 같은 것이다.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 도 19의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2)의 동작 정보 검출부(52)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12)의 키 정보 검출부(53)에서는, 그 동작 정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정보(키값 Tek)로서 검출한다.
사용자 단말(12)은 그 검출된 키 정보(키값 Tek)을, 인터넷(100)을 통해서 검색 서버(200)에 송신한다.
검색 서버(200)는 그 송신된 키 정보(키값 Tek)을 수신하고, 콘텐츠 검색부(230)로, 제1의 실시예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즉 도 19의 예와 마찬가지로,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고, 또한 악곡 리스트를 검색했을 경우에는, 그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전술한 방법으로 악곡을 선택한다.
또한, 검색 서버(200)는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4)에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14)은 그 송신된 악곡 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한다.
이 경우, 악곡 데이터의 검색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4)로의 송신, 및 사용자 단말(14)에서의 스트리밍(streaming) 재생은 검색시(사용자 동작 검출시), 사용자 단말(14)이 검색 서버(200)에 접속하는 것으로써 실행되거나, 또는 검 색 후(사용자 동작 검출 후), 사용자 단말(14)이 검색 서버(200)에 접속하는 것으로써 실행되도록 한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2)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다른 사용자 측의 사용자 단말(14)로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4) 측의 사용자는 재생되는 악곡의 템포로부터 사용자 단말(12)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알 수 있고, 자신이 같은 동작 템포로 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4) 측이 사용자 단말(12) 보다 고음질에서 악곡을 재생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2 및 14)을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고, 사용자 단말(12)에서는 동작 센서(41)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14)에서는 검색 서버(200)로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을 고음질로 재생하는 것 같은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예에서도, 사용자 단말(12)로부터 검색 서버(200)로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서버(200)에서,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고 그 키값 Tek에 대응하는, 즉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 같이, 검색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이지만,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이 예에서도, 사용자 단말(14)에서는 검색 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악 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 뿐으로, 그 후에 그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재생하거나, 혹은, 검색 서버(200)에서, 검색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4)에 송신하지 않고, 예를 들면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의 ID 정보를, 상기 제1의 예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검색시의 시간순으로 검색 서버(200) 내에 기록해 두거나, 또는 검색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4)에 송신해서 사용자 단말(14) 내에 기록하고, 뒤에 사용자 단말(14)이 검색 서버(200)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4) 내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의해,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을 검색시의 시간순으로 재생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예의 검색 시스템에서도, 상기(5a) (5b) (5c) 등의 방법에 의해, 키 정보의 등록 및 호출에 의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수 있다.
[3. 제3 실시예: 도 22~도 24]
제3 실시예로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3-1. 제1 예: 도 22~도 24)
도 22는 이 경우의 검색 시스템(휴대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 측의 휴대 전화 단말(15)이 기지국(310)을 포함하는 휴 대 전화 네트워크(300)를 통해 검색 서버(400)에 접속된다.
휴대 전화 단말(15)은 이 예에서는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예의 사용자 단말(11)과 마찬가지로, CPU(16), 버스(17), ROM(18), RAM(19), 내부 기억 장치부(21), 인터페이스(22), 외부 기억 장치부(23), 인터페이스(24), 키 입력부(25), 인터페이스(26), 마이크로폰(27), 음성 처리부(28), 음성 처리부(31), 음성 출력부로서의 스피커(38), 표시 제어부(33), 액정 표시부(34), 무선 인터페이스(36), 안테나(37), 동작 센서(41), 인코더(42), 환경 센서(44) 및 인코더(45)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메라부(촬영부)(47)가 영상 처리부(48)를 통해 버스(17)에 접속된 것으로, 도 22에는 그 중, 키 입력부(25), 송화용의 마이크로폰(27), 수화용의 스피커(38), 액정 표시부(34) 및 안테나(37)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색 서버(400)로 악곡이 검색 또는 선택되어, 휴대 전화 단말(15)에서의 스트리밍(streaming) 재생 등을 위한 악곡 데이터도 검색 서버(400)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15)로 송신되므로, 휴대 전화 단말(15)에서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는 없어도 무관하다.
검색 서버(400)는 이 예에서는,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동시에,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15)로 송신하는 것으로, 분배 서버이기도 하고, 서버 제어부(410)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0), 콘텐츠 검색부(430), 무선 인터페이스(440) 및 안테나(450)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0)에는 다수의 악곡의 악곡 데이터 및 악곡 부속 정보가 축적되어 복수의 악곡 리스트가 기록 된다.
즉, 이 예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동작 정보 검출부(52) 및 키 정보 검출부(53)는 휴대 전화 단말(15)로서 구성되고,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51), 및 도 2에 나타낸 콘텐츠 검색부(54) 또는 도 3에 나타낸 콘텐츠 리스트 검색부(56)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20) 및 콘텐츠 검색부(430)로서 검색 서버(400)에 구비될 수 있다.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 단말(15)의 동작 정보 검출부(52)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휴대 전화 단말(15)의 키 정보 검출부(53)에서는 그 동작 정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정보(키값 Tek)로서 검출한다.
휴대 전화 단말(15)은 그 검출된 키 정보(키값 Tek)을, 휴대 전화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검색 서버(400)에 송신한다.
검색 서버(400)는 그 송신된 키 정보(키값 Tek)을 수신하고, 콘텐츠 검색부(430)에서, 제1 실시예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악곡을 검색한다. 그러나, 스코어로서는 도 7에 카테고리 4로서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300) 상의 당해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사용자의 당해 악곡에 대한 인기를 사용한다.
검색 서버(400)는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15)에 송신하고, 휴대 전화 단말(15)은 그 송신된 악곡 데이터에 의해, 검색된 악곡을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한다.
이상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선정된 검색 주기로서 실행된다.
도 24는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의 경우에 휴대 전화 단말(15) 및 검색 서버(400)가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 단말(15)은 우선 스텝 91에서, 검색 서버(400)에 접속하고, 다음에 스텝 92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검출하고, 키값 Tek으로서 검색 서버(400)에 송신한다.
검색 서버(400)는 스텝 461에서 그 송신된 키값 Tek을 수신하고, 키값 Tek에 대응하는, 즉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하고, 또한 스텝 462로 진행되어, 그 검색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15)로 송신한다.
휴대 전화 단말(15)은 스텝 93에서, 그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악곡을 스트리밍(streaming) 재생한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15)은 스텝 93로부터 스텝 94로 진행되어, 전체의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지 않으면, 스텝 92로 돌아가고, 종료할 때에는, 스텝 95로 진행되어, 종료 처리를 한 뒤에, 전체의 처리를 종료한다.
검색 서버(400)도 스텝 462로부터 스텝 463로 진행되어, 휴대 전화 단말(15)에 대한 전체의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지 않으면, 스텝 461로 돌아가고, 종료할 때에는 스텝 464로 진행되어, 종료 처리를 한 뒤에, 휴대 전화 단말(15)에 대한 전체의 처리를 종료한다.
템포 대응의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에는, 검색 서버(400)는 스텝 461에서, 제1 실시예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동시에, 그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고, 스텝 462에서, 그 선택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15)로 송신한다.
이상의 예는 휴대 전화 단말(15)로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는 경우이지만, 휴대 전화 단말(15)로부터 검색 서버(400)에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서버(400)에서,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값 Tek으로서 검출하고, 그 키값 Tek에 대응하는, 즉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 같이, 검색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은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이지만,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이 예에서도, 휴대 전화 단말(15)에서는, 검색시, 검색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 뿐으로, 그 후에 그 다운로드한 악곡 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재생하거나, 혹은, 검색 서버(400)에서, 검색시, 검색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 또는 검색된 악곡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휴대 전화 단말(15)에 송신하지 않고, 예를 들면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의 ID 정보를, 제2 실시예의 제1의 예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검색시의 시간순으로 검색 서버(400) 내에 기록해 두거나, 또는 검색 서버(400)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15)에 송신해서 휴대 전화 단말(15) 내에 기록하고, 뒤에 휴대 전화 단말(15)이 검색 서버(400)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휴대 전화 단말(15) 내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의해,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을 검색시의 시간순으로 재생하는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예의 검색 시스템에서도, 상기 (5a) (5b) (5c) 등의 방법에 의해, 키 정보의 등록 및 호출에 의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수 있다.
(3-2. 제2 예)
도 22의 예는 검색 또는 선택의 결과를 동작 검출 대상의 사용자 측의 휴대 전화 단말(15)로 송신하는 경우이지만, 제2 실시예의 제2 예와 마찬가지로, 검색 또는 선택의 결과를 다른 사용자 측의 휴대 전화 단말로 송신하고, 다른 사용자 측의 휴대 전화 단말에서 스트리밍(streaming) 재생 등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4. 제4 실시예: 도 25]
제2 및 제3 실시예의 제2 예는 네트워크 상의 검색 서버에 의해 검색 또는 선택된 결과를, 동작 검출 대상의 사용자와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경우이지만, 동작 검출 대상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직접 전술한 키 정보 또는 동작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하는 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도 25는 이 경우의 검색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는, 사용자 단말(500 및 600)이 각각 무선 통신 단말로서, 한정된 거리 내에서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경우이다.
사용자 단말(500)은 제어부(510)에, 기억 장치부(521), 키 입력부(522), 액정 표시부(523), 음악 재생부(524), 메일 처리부(525) 및 송수신부(526)가 접속되고, 송수신부(526)에, 안테나(527)가 접속되는 동시에, 제어부(510)에, 동작 정보 검출부(528) 및 키 정보 검출부(529)가 접속된 것이다.
제어부(510)는 CPU, ROM 및 RAM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500)의 각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500)이 수신측이 될 때에는 악곡 검색부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기억 장치부(521)는 내장형 또는 분리형(removable)의 기억 장치에서, 악곡 데이터, 악곡 부속 정보, 악곡 리스트 등이 기록된다. 음악 재생부(524)는 기억 장치부(52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 또는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송신된 악곡 데이터에 의해, 악곡을 재생하는 것이며, 메일 처리부(525)는 메일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동작 정보 검출부(528)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동작 정보 검출부(5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며, 키 정보 검출부(529)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키 정보 검출부(53)와 마찬가지로 동작 정보 검출부(528)로 얻을 수 있는 동작 정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 또는 동작 리듬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600)도 사용자 단말(500)과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500)의 각부와 대응하는 각부에는 600대의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이 예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500)이 제공측, 사용자 단말(600)이 수신측이 되는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의 경우, 사용자 단말(500)의 동작 정보 검출부(528)에서는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500)의 키 정보 검출부(529)에서는 그 동작 정보를 처리 해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정보(키값 Tek)로서 검출한다.
사용자 단말(500)의 제어부(510)는 그 검출된 키 정보(키값 Tek)을 송수신부(526) 및 안테나(527)에 의해 사용자 단말(600)로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600)에서는 그 송신된 키 정보(키값 Tek)을, 안테나(627) 및 송수신부(626)에 의해 수신하고, 제어부(610)는 제1 실시예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기억 장치부(621)에 기록되어 있는 다수의 악곡으로부터,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대응하는 악곡 템포의 악곡을 검색하거나, 또는, 기억 장치부(621)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악곡 리스트로부터,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대응하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목록화된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고, 또한, 그 검색한 악곡 리스트로부터 악곡을 선택하고 음악 재생부(624)에 의해 그 검색 또는 선택된 악곡이 재생된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에 맞는 악곡 템포의 악곡이 사용자 단말(600)로 재생되고, 사용자 단말(600) 측의 사용자는 재생되는 악곡의 템포로부터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알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0) 측의 사용자에 대하여 일체감 등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600)이 제공측, 사용자 단말(500)이 수신측이 되는 템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수도 있다.
제공측이 되는 사용자 단말에서는 키 정보로 변환되기 전의 동작 정보를, 수 신측이 되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수신측이 되는 사용자 단말에서는 그 동작 정보로부터, 제공측이 되는 사용자 단말 측의 사용자의 동작 템포를 키 정보로서 검출하고, 그 키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 또는 악곡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 같이, 검색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500 및 600)의 어느 한편이 제공측, 타방이 수신측이 되는 리듬 대응의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5a) (5b) (5c)와 같은 방법에 의해(단지, 검색 서버는 수신측이 되는 사용자 단말로 바꿔 놓을 수 있다), 키 정보의 등록 및 호출에 의한 악곡 검색 또는 악곡 리스트 검색을 행할 수 있다.
[5. 기타 실시예: 특히 악곡 이외의 콘텐츠의 경우]
전술한 각 실시예는, 콘텐츠가 악곡인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콘텐츠가 악곡 이외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니메이션 화상에서는 화상 전체의 변화나 화상 내의 캐릭터 등의 움직임에 템포나 리듬이 존재하고, 어떤 콘텐츠에서는 템포가 빠르고, 다른 콘텐츠에서는 템포가 느리다라고 하는 콘텐츠마다의 템포의 차이나, 어떤 콘텐츠에서는 어떤 패턴의 리듬, 다른 콘텐츠에서는 다른 패턴의 리듬이라고 하는 콘텐츠마다의 리듬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각 콘텐츠에 콘텐츠 부속 정보로서, 당해 콘텐츠의 템포나 리듬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콘텐츠 리스트의 검색용에는, 템포가 당해의 콘텐츠 리 스트에 대응하는 템포 범위 내에 있는 콘텐츠를 당해의 콘텐츠 리스트로 목록화하고, 또는 리듬이 당해의 콘텐츠 리스트에 대응하는 패턴인 콘텐츠를 당해의 콘텐츠 리스트에 목록화함으로써, 전술한 악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콘텐츠 또는 콘텐츠 리스트의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별하게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 리스트가 검색되게 된다.
Claims (26)
-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등록하는 공정과,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상기 검색 공정은,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호출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상기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공정과,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등록하는 공정과,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호출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동작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키 정보 검출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고,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등록하는 공정과,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동작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키 정보 검출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상기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고,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등록하는 공정과,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검색 서버에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 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동작 정보를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키 정보 검출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고,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등록하는 공정과,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고,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동작 정보를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키 정보 검출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고,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검출한 키 정보를 등록하는 공정과,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고, 통신 단말에 송신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공정은, 상기 통신 단말에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 복수의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부속 정보를 기억 유지하는 기억 장치부와,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상기 기억 장치부에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부속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된 키 정보를 등록하고, 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기억 장치부에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부속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호출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검색 장치.
- 각각 콘텐츠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목록화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를 기억 유지하는 기억 장치부와,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상기 기억 장치부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검출된 키 정보를 등록하고, 그 등록한 키 정보를 호출하는 제어 수단 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기억 장치부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호출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리스트 검색 장치.
-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는 검색 서버로서,복수의 콘텐츠의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부속 정보를 기억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와,이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부속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콘텐츠 데이터 및/또는 콘텐츠 부속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
-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는 검색 서버로서,각각 콘텐츠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한 콘텐츠가 목록화된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를 기억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와,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며,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 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
-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컴퓨터를,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수단, 및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콘텐츠 검색용 프로그램.
- 콘텐츠 리스트의 검색을 위해 컴퓨터를,사용자의 움직임을 동작 정보로서 검출하고, 그 동작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패턴을 키 정보로서 검출하는 수단, 및복수의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패턴의 콘텐츠가 목록화된 콘텐츠 리스트를 검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콘텐츠 리스트 검색용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88328 | 2005-03-25 | ||
JPJP-P-2005-00088328 | 2005-03-25 | ||
JPJP-P-2006-00024745 | 2006-02-01 | ||
JP2006024745A JP5225548B2 (ja) | 2005-03-25 | 2006-02-01 | コンテンツ検索方法、コンテンツリスト検索方法、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リスト検索装置および検索サー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3161A true KR20060103161A (ko) | 2006-09-28 |
Family
ID=365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6347A Withdrawn KR20060103161A (ko) | 2005-03-25 | 2006-03-23 | 콘텐츠 검색 방법,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콘텐츠 검색장치, 콘텐츠 리스트 검색 장치 및 검색 서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7790976B2 (ko) |
EP (1) | EP1705588A1 (ko) |
JP (1) | JP5225548B2 (ko) |
KR (1) | KR2006010316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67545B2 (en) | 2010-04-15 | 2016-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thereof |
KR20160126957A (ko) * | 2016-10-24 | 2016-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130818A (en) * | 1999-07-06 | 2005-07-25 | Intercure Ltd | Interventive-diagnostic device |
EP1538970B1 (en) | 2002-08-09 | 2020-06-17 | Intercure Ltd. | Generalized metronome for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
US8672852B2 (en) | 2002-12-13 | 2014-03-18 | Intercure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beneficial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
US7236154B1 (en) | 2002-12-24 | 2007-06-26 | Apple Inc. | Computer light adjustment |
US7894177B2 (en) | 2005-12-29 | 2011-02-22 | Apple Inc. | Light activated hold switch |
US7521623B2 (en) | 2004-11-24 | 2009-04-21 | Apple Inc. | Music synchronization arrangement |
US7616097B1 (en) | 2004-07-12 | 2009-11-10 | Apple Inc. | Handheld devices as visual indicators |
CN101128150A (zh) * | 2004-07-23 | 2008-02-20 | 以康源有限公司 | 使用非接触式麦克风进行呼吸型式测定的装置和方法 |
JP4243862B2 (ja) | 2004-10-26 | 2009-03-25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利用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方法 |
US20070189544A1 (en) * | 2005-01-15 | 2007-08-16 | Outland Research, Llc | Ambient sound responsive media player |
US7603414B2 (en) * | 2005-09-09 | 2009-10-13 | Outland Research, Llc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llaborative background music amo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US7489979B2 (en) | 2005-01-27 | 2009-02-10 | Outland Research, Llc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jecting or deferring the playing of a media file retrieved by an automated process |
US7562117B2 (en) | 2005-09-09 | 2009-07-14 | Outland Research, Llc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llaborative broadcast media |
JP4247626B2 (ja) * | 2005-01-20 | 2009-04-02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JP4595555B2 (ja) | 2005-01-20 | 2010-12-08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
US20070213110A1 (en) * | 2005-01-28 | 2007-09-13 | Outland Research, Llc | Jump and bob interface for handheld media player devices |
US20070061314A1 (en) * | 2005-02-01 | 2007-03-15 | Outland Research, Llc | Verbal web search with improved organization of documents based upon vocal gender analysis |
US20070106663A1 (en) * | 2005-02-01 | 2007-05-10 | Outland Research,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user personality type to improve the organization of documents retrieved in response to a search query |
JP4389821B2 (ja) * | 2005-03-22 | 2009-12-24 | ソニー株式会社 | 体動検出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体動検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
JP4741267B2 (ja) | 2005-03-28 | 2011-08-03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
JP2006301276A (ja) * | 2005-04-20 | 2006-11-02 | Sharp Corp | 携帯用楽曲再生装置 |
US20060241864A1 (en) * | 2005-04-22 | 2006-10-26 | Outland Research,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and-send data transfer within a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JP2007011928A (ja) | 2005-07-04 | 2007-01-18 | Sony Corp |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
JP4696734B2 (ja) * | 2005-07-06 | 2011-06-08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方法 |
US7519537B2 (en) | 2005-07-19 | 2009-04-14 | Outland Research,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bo-manual gesture interface |
JP5133508B2 (ja) | 2005-07-21 | 2013-01-30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
US8176101B2 (en) | 2006-02-07 | 2012-05-08 | Google Inc. | Collaborative rejection of media for physical establishments |
US7577522B2 (en) | 2005-12-05 | 2009-08-18 | Outland Research, Llc | Spatially associated personal reminder system and method |
US7825319B2 (en) * | 2005-10-06 | 2010-11-02 | Pacing Technologi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pacing repetitive motion activities |
US20110072955A1 (en) | 2005-10-06 | 2011-03-31 | Turner William D | System and method for pacing repetitive motion activities |
US7586032B2 (en) * | 2005-10-07 | 2009-09-08 | Outland Research, Llc | Shake responsive portable media player |
US7683252B2 (en) * | 2005-11-23 | 2010-03-23 | Microsoft Corporation | Algorithm for providing music to influence a user's exercise performance |
US7728214B2 (en) * | 2005-11-23 | 2010-06-01 | Microsoft Corporation | Using music to influence a person's exercise performance |
US20070118043A1 (en) * | 2005-11-23 | 2007-05-24 | Microsoft Corporation | Algorithms for computing heart rate and movement speed of a user from sensor data |
JP4654896B2 (ja) * | 2005-12-06 | 2011-03-23 | ソニー株式会社 | 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JP4264752B2 (ja) | 2005-12-16 | 2009-05-20 | ソニー株式会社 | 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機および再生方法 |
US7882435B2 (en) | 2005-12-20 | 2011-02-01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Electronic equipment with shuffle operation |
JP2007188597A (ja) * | 2006-01-13 | 2007-07-26 | Sony Corp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EP1811496B1 (en) * | 2006-01-20 | 2009-06-17 | Yamaha Corporatio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usic reproduction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
JP4811046B2 (ja) * | 2006-02-17 | 2011-11-09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オーディオ再生機および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 |
JP4356700B2 (ja) * | 2006-02-21 | 2009-11-04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 |
US20080030456A1 (en) * | 2006-07-19 | 2008-02-07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tion Responsive Output Modific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
TW200820225A (en) * | 2006-10-25 | 2008-05-01 | Taiwan Chest Disease Ass | Home-based exercise tranining method and system guided by automatically assessment and selecting music |
JP4844355B2 (ja) * | 2006-11-09 | 2011-12-28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ポータブ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 |
CN101192255A (zh) * | 2006-11-24 | 2008-06-04 | 台湾胸腔疾病协会 | 自动评估与选曲的居家运动训练的方法及其系统 |
TW200824408A (en) * | 2006-11-27 | 2008-06-01 | Htc Corp | Methods and systems for information retrieval during communication, and machine readable medium thereof |
JP4506750B2 (ja) * | 2006-12-13 | 2010-07-21 | ヤマハ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再生装置 |
JP4506749B2 (ja) * | 2006-12-13 | 2010-07-21 | ヤマハ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再生装置 |
JP5148119B2 (ja) * | 2007-01-18 | 2013-02-20 | 株式会社アキタ電子システムズ | 音楽選曲再生方法 |
JP4697165B2 (ja) * | 2007-03-27 | 2011-06-08 | ヤマハ株式会社 | 音楽再生制御装置 |
JP4816534B2 (ja) * | 2007-03-27 | 2011-11-16 | ヤマハ株式会社 | 音楽再生制御装置 |
US7956274B2 (en) * | 2007-03-28 | 2011-06-07 | Yamaha Corporation | Performan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
JP4311466B2 (ja) * | 2007-03-28 | 2009-08-12 | ヤマハ株式会社 | 演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
JP5169328B2 (ja) * | 2007-03-30 | 2013-03-27 | ヤマハ株式会社 | 演奏処理装置及び演奏処理プログラム |
US7985911B2 (en) | 2007-04-18 | 2011-07-26 | Oppenheimer Harold B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a pre-categorized song database from which consumers may select and then download desired playlists |
US20080257134A1 (en) * | 2007-04-18 | 2008-10-23 | 3B Music,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pdating A Pre-Categorized Song Database From Which Consumers May Select And Then Download Desired Playlists |
US8269093B2 (en) | 2007-08-21 | 2012-09-18 | Apple Inc. | Method for creating a beat-synchronized media mix |
US7766794B2 (en) * | 2007-11-02 | 2010-08-03 | Microsoft Corporation | Mobile exercise enhancement with virtual competition |
JP2009151107A (ja) * | 2007-12-20 | 2009-07-09 | Yoshikazu Itami | 身体情報を使ったサウンド提供装置 |
JP5262137B2 (ja) * | 2008-01-29 | 2013-08-14 | 船井電機株式会社 | コンテンツ記憶再生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US7939742B2 (en) * | 2009-02-19 | 2011-05-10 | Will Glaser | Musical instrument with digitally controlled virtual frets |
US7972245B2 (en) * | 2009-02-27 | 2011-07-05 | T-Mobile Usa, Inc. | Presenting information to users during an activity, such as information from a previous or concurrent outdoor, physical activity |
JP2010278965A (ja) * | 2009-06-01 | 2010-12-09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携帯情報端末、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KR101635508B1 (ko) * | 2009-08-28 | 2016-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텐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EP2487866A4 (en) * | 2009-10-06 | 2015-12-16 | Rfid Mexico Sa De Cv | GEOGRAPHIC LOCALIZATION SYSTEM |
US8495235B2 (en) * | 2010-03-24 | 2013-07-2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music resource connection, selection and rating for providing a radio like user listening experience |
EP2389992A1 (en) * | 2010-05-26 | 2011-11-30 |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 Training apparatus with musical feedback |
JP2012002885A (ja) * | 2010-06-14 | 2012-01-05 | Brother Ind Ltd | 運動用楽曲情報再生装置、運動用楽曲情報配信システム、運動用楽曲情報再生方法、及び運動用楽曲情報再生プログラム |
US8989521B1 (en) * | 2011-11-23 | 2015-03-24 | Google Inc. | Determination of dance steps based on media content |
JP2013117688A (ja) * | 2011-12-05 | 2013-06-13 | Sony Corp | 音響処理装置、音響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サーバ装置、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処理システム |
GB2497935A (en) * | 2011-12-22 | 2013-07-03 | Ibm | Predicting actions input to a user interface |
EP2812772A4 (en) * | 2012-02-06 | 2015-10-07 | Ericsson Telefon Ab L M | USER DEVICE WITH IMPROVED FEEDBACK POSSIBILITIES |
US9183822B2 (en) * | 2012-05-23 | 2015-11-10 | Google Inc. | Music selection and adaptation for exercising |
JP5345723B2 (ja) * | 2012-09-04 | 2013-11-20 | 株式会社アキタ電子システムズ | 音楽選曲再生方法 |
US9595932B2 (en) | 2013-03-05 | 2017-03-14 | Nike, Inc. | Adaptive music playback system |
US20140317480A1 (en) * | 2013-04-23 | 2014-10-23 | Microsoft Corporation | Automatic music video creation from a set of photos |
US9269341B1 (en) * | 2013-06-30 | 2016-02-23 | Second Wind Technologies, Inc. | Method for processing music to match runners tempo |
US9208764B2 (en) * | 2013-07-05 | 2015-12-08 | Google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media files based on activity levels |
DE202013007367U1 (de) * | 2013-08-14 | 2014-11-1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 Audiosystem für ein Fahrzeug |
GB2524241A (en) * | 2014-03-17 | 2015-09-23 | Justin Philip Pisani | Sensor media control device |
WO2016009644A1 (ja) * | 2014-07-15 | 2016-01-21 | 旭化成株式会社 | 入力デバイス、生体センサ、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及びモード設定方法 |
US9536560B2 (en) | 2015-05-19 | 2017-01-03 | Spotify Ab | Cadence determination and media content selection |
US10055413B2 (en) | 2015-05-19 | 2018-08-21 | Spotify Ab | Identifying media content |
US9568994B2 (en) | 2015-05-19 | 2017-02-14 | Spotify Ab | Cadence and media content phase alignment |
US9563268B2 (en) | 2015-05-19 | 2017-02-07 | Spotify Ab | Heart rate control based upon media content selection |
US9978426B2 (en) * | 2015-05-19 | 2018-05-22 | Spotify Ab | Repetitive-motion activity enhancement based upon media content selection |
US10372757B2 (en) | 2015-05-19 | 2019-08-06 | Spotify Ab | Search media content based upon tempo |
US10503764B2 (en) * | 2015-06-01 | 2019-12-10 | Oath Inc. | Location-awareness search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
US11113346B2 (en) | 2016-06-09 | 2021-09-07 | Spotify Ab | Search media content based upon tempo |
US10984035B2 (en) | 2016-06-09 | 2021-04-20 | Spotify Ab | Identifying media content |
CN106372248A (zh) * | 2016-09-22 | 2017-02-01 | 广东远峰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音乐播放方法及装置 |
JP2018082308A (ja) * | 2016-11-16 | 2018-05-2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8090210A (zh) * | 2017-12-29 | 2018-05-29 |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 搜索音频的方法和装置 |
CN111324805B (zh) * | 2018-12-13 | 2024-02-13 |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 查询意图确定方法及装置、搜索方法及搜索引擎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76323A (en) * | 1987-06-03 | 1988-10-11 | Donald Spector | Biofeedback system for an exerciser |
JPH1063265A (ja) * | 1996-08-16 | 1998-03-06 | Casio Comput Co Ltd | 自動演奏装置 |
JP2001216069A (ja) * | 2000-02-01 | 2001-08-10 | Toshiba Corp | 操作入力装置および方向検出方法 |
EP1128358A1 (en) * | 2000-02-21 | 2001-08-29 | In2Sports B.V. | Method of generating an audio program on a portable device |
JP2001306071A (ja) * | 2000-04-24 | 2001-11-02 | Konami Sports Corp | 音楽編集装置及び音楽編集方法 |
IL136434A0 (en) | 2000-05-29 | 2001-06-14 | Gal Moshe Ein | Wireless cursor control |
AU2001276865A1 (en) | 2000-07-10 | 2002-01-21 | Edward H. Hagey | Portable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
JP2002282227A (ja) | 2001-03-23 | 2002-10-02 | Osaka Gas Co Ltd | 生体情報計測装置 |
JP2004537777A (ja) | 2001-05-14 | 2004-12-16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リアルタイムのコンテンツのストリームと対話するための装置 |
JP2003084774A (ja) * | 2001-09-07 | 2003-03-19 | Alpine Electronics Inc | 楽曲の選択方法及び装置 |
JP3947959B2 (ja) * | 2001-10-02 | 2007-07-25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曲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曲データ配信方法 |
JP2003140664A (ja) * | 2001-11-07 | 2003-05-16 | Fujitsu Ten Ltd | 音声再生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音声再生プログラ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 |
US7521623B2 (en) * | 2004-11-24 | 2009-04-21 | Apple Inc. | Music synchronization arrangement |
NL1023191C2 (nl) | 2003-04-15 | 2004-10-18 | V O F Multipro | Systeem voor de voortbrenging van geluid. |
JP2005156641A (ja) | 2003-11-20 | 2005-06-16 | Sony Corp | 再生態様制御装置及び再生態様制御方法 |
-
2006
- 2006-02-01 JP JP2006024745A patent/JP522554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3-23 KR KR1020060026347A patent/KR20060103161A/ko not_active Withdrawn
- 2006-03-24 EP EP06251591A patent/EP1705588A1/en not_active Ceased
- 2006-03-27 US US11/390,544 patent/US779097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67545B2 (en) | 2010-04-15 | 2016-06-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thereof |
KR20160126957A (ko) * | 2016-10-24 | 2016-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705588A1 (en) | 2006-09-27 |
JP2006302490A (ja) | 2006-11-02 |
US20060243120A1 (en) | 2006-11-02 |
JP5225548B2 (ja) | 2013-07-03 |
US7790976B2 (en) | 2010-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103161A (ko) | 콘텐츠 검색 방법, 콘텐츠 리스트 검색 방법, 콘텐츠 검색장치, 콘텐츠 리스트 검색 장치 및 검색 서버 | |
US8199937B2 (en) | Contents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CN101002985B (zh) | 控制音乐再现的设备和再现音乐的设备 | |
JP4306754B2 (ja) | 楽曲データ自動生成装置及び音楽再生制御装置 | |
KR20070101783A (ko) | 콘텐츠 검색 선택 방법,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검색 서버 | |
JP3632644B2 (ja) | 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の動作パターン制御プログラム | |
CN100435728C (zh) | 再现内容数据的方法和装置 | |
CN104460982A (zh) | 基于生物统计参数给出音频 | |
CN101014994A (zh) | 内容生成设备和内容生成方法 | |
JP4403415B2 (ja) | 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 |
WO2017028686A1 (zh) |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 |
WO2002047066A1 (fr) | Procede et dispositif de recherche de contenu, et procede et systeme de communication | |
CN101057273B (zh) | 内容重放方法和内容重放装置 | |
JP4322691B2 (ja) | 選曲装置 | |
CN106407451B (zh) | 运动步频智能音乐播放联动系统 | |
KR20040077784A (ko) | 검색된 음악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음악 검색 시스템 | |
JP2023025013A (ja) | 音楽療法のための歌唱補助装置 | |
JP2007250053A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 |
JP2008299631A (ja) |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 |
JP3984830B2 (ja) | カラオケ配信システム、カラオケ配信方法、及びカラオケ配信プログラム | |
USRE43379E1 (en) | Music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06301276A (ja) | 携帯用楽曲再生装置 | |
US7385130B2 (en) | Music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07156280A (ja) | 音響再生装置、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 |
JP2001195079A (ja) | 携帯型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