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13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7135A KR20060087135A KR1020050007991A KR20050007991A KR20060087135A KR 20060087135 A KR20060087135 A KR 20060087135A KR 1020050007991 A KR1020050007991 A KR 1020050007991A KR 20050007991 A KR20050007991 A KR 20050007991A KR 20060087135 A KR20060087135 A KR 20060087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partition wall
- groove
- discharge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8 sand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88 Gadol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한정하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격벽들과, 상기 방전셀에 대응되어 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존재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후방패널을 소송하는 공정에서 격벽재료의 수축 및 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격벽을 따라 진행하는 진동과 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210: 전방패널 120, 220: 후방패널
128, 228: 홈 130: 격벽
130a: 가로격벽 130b: 세로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형화가 용이하고,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전극들간에 인가되는 직류 혹은 교류 전압에 의하여 방전가스가 충전된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상기 방전가스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켜 가시광선을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셀 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일으켜 발광하는 방전 메커니즘을 발광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어, 방전셀 내부에서는 방전에 의한 충격파가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파는 방전셀의 내면들을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진동이 소음을 유발하여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치하게 되면, 가정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품가치가 저하 및 제품경쟁력이 약화 등의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한정하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격벽들과, 상기 방전셀에 대응되어 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들과, 상기 방전셀 내에 존재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격벽의 홈은 상기 격벽의 상기 전면기판 쪽의 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의 홈은 상기 격벽의 상기 배면기판 쪽의 면상에 형성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격벽들은 상기 유지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격벽과 상기 가로격벽이 배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로격벽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인 상기 가로격벽의 폭이 상기 가로격벽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인 상기 세로격벽의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과 세로격벽이 교차하는 상기 가로격벽 교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기판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홈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며, 타원형일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전극들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방전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지전극들은 상기 전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배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유지전극들을 덮도록 상기 전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전방유전체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후방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패널(110)은 소다유리 등으로 구성된 투명한 전면기판(111)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전면기판(11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배면기판(121)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기판(111)은 후술하는 형광체층(125)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투 과되도록 투명한 소다유리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면기판은 형광체층(125)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진행하는 경로인 광경로 상(이하 광경로 상이라 부르기로 한다.)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배면기판(121)은 유리등으로도 형성 가능하지만,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불투명한 재료로도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방패널(100)은 상기 전면기판(111) 및 배면기판(121) 사이에 상기 배면기판(121)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126)들을 한정하는 격벽(130)들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13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홈(128)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128)은 상기 격벽(130)의 소성과정 중 상기 격벽 재료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격벽재료의 융기 및 들림 현상을 방지하고,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파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이 격벽을 따라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홈(128)에 대해서는 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격벽(130)들은 Pb, B, Si, Al 및 O 등과 같은 원소를 포함하는 유리성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필요에 따라, ZrO2, TiO2, 및 Al2
O3 와 같은 필러(filler)와 Cr, Cu, Co, Fe, TiO2 등과 같은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0)들은 상술한 격벽재료로 구성되는 격벽재 페이스트를 배면기판(121)의 전면 혹은 후술하는 후방유전체층(123)의 전면에 도포한 후, 소정의 패턴을 갖는 마스크 패턴을 그 격벽재 페이스트에 배치하고, 가속된 연마입자로 마스크 패턴이 가리지 않는 부분을 식각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샌드블래스팅 법에 의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0)은 격벽재 페이스트에 감광성 물질을 포함시켜 노광, 현상을 통해 격벽에 소정의 형상을 구현하는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격벽(130)은 소정의 강도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400℃~600℃ 정도의 분위기에서 소성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소성공정에 의해 격벽재료의 휘발성 물질이 휘발되어 격벽재료의 수축이 발생한다. 이때, 이러한 수축은 상술한 소성공정이 상기 격벽재료를 샌드블래스팅법 혹은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으로 패터닝 한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에 특히 문제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패널(110)은 상기 전면기판(111) 및 배면기판(121) 사이에 배치되는 전극(117)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극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전극(114)들과 상기 유지전극(114)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방전셀(126)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122)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전극(114)들은 상기 전면기판(111)의 배면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전면기판(111)의 전면에 가시광선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등과 같이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층이 배치될 수 있고, 그 층의 전면에 상기 유지전극들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면기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특정 보호층에 의해 덮인 상태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상기 유지전극(114)들은 상기 전면기판(111)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X 전극(113) 및 Y 전극(1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Y 전극(112)과 X 전극(113) 각각은 광경로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X 전극(112) 및 Y 전극(113)은 가시광선을 투과시키기 위해 ITO(Indium Thin Oxide)등으로 형성된 투명전극(112b, 113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112b, 113b)은 일반적으로 저항이 높아 대형 패널에서는 방전셀(126)들에 불균일한 전기장을 형성할 염려가 있으므로, 방전셀(126)들 간에 균일한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X 전극(113) 및 Y 전극(112)은 고전도성을 갖는 금속, 예를 들면, 구리, 은, 크롬 등으로 형성된 버스전극(112a, 113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스전극(112a, 113a)은 전기 전도율이 높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알루미늄, 구리, 크롬 등의 물질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30)들은 상기 유지전극들(114)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격벽(130a)과 상기 가로격벽(130a)이 배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격벽(130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위화소를 구성하는 방전셀(126)들이 상기 가로격벽(130a) 및 세로격벽(130b)에 의해 한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셀(126)들이 직사각형의 매트릭스 형태로 한정되나, 그 형상이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각종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의 형태라 하더라고, 소성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되 면, 그 각이 형성된 모서리 부분이 완곡하게 만입된다.
한편, 상기 버스전극(112a, 113a)은 상기 가로격벽(130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버스전극에 전기적 신호인 전위가 인가되는 때에는, 상기 버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투명전극에 전위가 전달되어 상기 방전셀들 내부로 인입된 투명전극에 의해 방전셀(126) 내부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버스전극(112a, 113a)은 상기 가로격벽(130a) 및 전면기판(1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버스전극(112a,113a)이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로격벽(130a)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시광선이 전면으로 진행하는 것을 상기 버스전극이 가로막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버스전극(112a, 113a)들이 상기 가로격벽(130a) 상에 위치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방전셀(126)마다 X 전극(113) 및 Y 전극(112)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가로격벽(130a)에 두 개의 버스전극이 위치하여 배치된다. 이때, 이들 버스전극간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격벽(130b)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인 상기 가로격벽의 폭(Wa)이 상기 가로격벽(130a)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인 상기 세로격벽의 폭(Wb)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격벽(130)들이 상기 가로격벽(130a) 및 세로격벽(130b)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128)은 상기 가로격벽(130a)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홈(128)은 상기 가로격벽(130a) 및 세로격벽(130b)이 교차하는 상기 가로격벽의 교차부(130aa)에 형성된다. 상기 홈(128)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10)은 상기 버스전극(112a, 113a) 및 투명전극(112b, 113b)을 포함하는 유지전극(114)들을 덮도록 상기 전면기판(111)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전방유전체층(115)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유전체층(115)은 상기 유지전극(114)들에 인가된 전위에 의하여 상기 방전셀(126) 내부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하전입자를 가속시킬 때, 가속된 하전입자가 상기 유지전극(114)들의 표면에 직접 충돌하여 전극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전방유전체층(115)은 그 상면에 후술하는 어드레스방전시 벽전하가 축적되어 유지방전에서 벽전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방전시 인가하여야 하는 전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유전체층(115)은 광 경로 상에 위치하므로 투명한 유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방전셀(126) 내에,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유전체층(115)을 덮도록 배치되는 보호막(116)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막(116)은 상기 전방유전체층 및 상기 전방유전체층이 덮는 유지전극(114)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방전 발생으로 인한 하전입자들의 충돌 시 2차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보호막의 재료로는 MgO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유지전극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구리, 은, 크롬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122)들을 구비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은 상기 배면기판(121)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되어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유지전극(114)들의 배치에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은 상기 유지전극(114)들의 배치에 이용되는 상술한 스크린 인쇄법 또는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121)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후방유전체층(12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후방유전체층(123)이 배치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동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어드레스방전이 발생하는 때에 가속된 하전입자가 어드레스전극에 직접 충돌하여 어드레스전극을 손상케 할 수 있으며, 특히 격벽(130)들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가속된 연마입자나 에칭용액에 의해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22)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후방유전체층(12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패널(120)은 상기 방전셀(126)내에 배치되는,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배면기판(121)과 가로격벽(130a) 및 세로격벽(130b)이 한정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형광체층(125)을 구비한다.
상기 형광체층(125)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칼라 화상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방전셀(126)들을 적색 발광 방전셀, 녹색 발광 방전셀, 청색 발광 방전셀로 구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광체층(125)은 상기 적색 발광 방전셀, 녹색 발광 방전셀, 청색 발광 방전셀 의 각각의 내부에 적색 발광, 녹색 발광,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형광체층(125)은 적색발광 형광체, 녹색발광 형광체, 청색발광 형광체중 어느 하나의 형광체, 솔벤트, 및 바인더가 혼합된 형광체 페이스트가 상기 후방유전체층(123)이 배치된 때에는, 상기 방전셀(126) 내의 후방유전체층(123)의 전면과 상기 가로격벽(130a) 및 세로격벽(130b)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된 후에 건조 및 소성공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적색발광 형광체로서는 (Y,Gd)BO3:Eu3+ 등이 있고, 녹색발광 형광체로서는 Zn2Si04:Mn2+등이 있으며, 청색발광 형광체로서는 BaMgAl10O17
:Eu2+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방전셀(126) 내에는 제논(Xe)가스를 포함한 네온(Ne), 헬륨(He),또는 아르곤(Ar)중의 어느 하나 혹은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진 방전가스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방전가스의 압력은 진공상태(0.5 atm)이므로, 방전가 스의 진공에 따른 압력이 전면기판(111) 및 배면기판(121)을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은 상기 격벽(115)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패널(110) 및 후방패널(120)은 프릿트(flit)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가장자리가 봉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구비하는 상기 홈(128)의 기능에 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130)을 제작하기 위해 수행하는 소성공정시 발생하는 격벽의 수축방향(131, 132)이 도시되어 있다. 격벽재료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패터닝 되어 격벽의 형상이 완성된 경우, 상기 격벽(130)이 소정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성공정을 수행한다.
소성공정은 최고 온도가 격벽재료의 연화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400℃~600℃)가 되도록 형성된 소성로 내에 넣어 상기 후방패널(120)을 가열함으로써 진행되는데, 이러한 소성공정 중에 격벽재료에 포함되어 있던 휘발성 물질 등이 휘발되어 소정의 수축률로 수축하게 된다.
상기 격벽(130)이 소성공정에 의해 수축하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방향을 향하는 수축방향(131, 132)으로 격벽(130)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수축에 따른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소성전의 격벽(130)에 인가되는 이러한 압축응력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되며,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0)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격벽(130)에 큰 응력이 발생하고, 특히 최 외곽부에 배치된 격벽(130)에서 응력이 최대가 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 외곽부에서 발생하는 최대 응력이 격벽(130)의 끝단부에서 최대의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그로 인해 격벽(130)의 높이가 올라가는 격벽(130)의 융기 현상과 격벽(130)이 기판과 떨어지는 들림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격벽(130)의 끝단에서 융기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을 결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전방패널이 융기된 격벽(130)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부의 결합이 정확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격벽(130)과 전방패널(110)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에 위치한 방전셀(126)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충격파 혹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에 위치한 방전셀(126)에서 발생한 충격파가 격벽(130)들을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 외곽부에 위치한 격벽(130)들에 전달되고, 그로 인해, 격벽들의 최 외곽부와 전방패널(110) 사이에서 상기 격벽의 융기에 의해 발생한 틈 사이로 상기 격벽(130)과 전방패널(110)이 주기적으로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후방패널(120)에서 발생한 들림 현상에 의해 상기 충격파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최 외곽부의 격벽(130)을 타격하는 경우 상기 격벽(130)을 심하게 떨리게 하고, 그로 인해 상기 격벽(130)이 주기적으로 후방패널(120)을 타격하여 심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소성 공정 시 격벽의 수축을 최소화하는 것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는 격벽(130)의 전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격벽(130a)의 교차부(130aa)에 형성된 홈(128)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홈(128)이 소성공정시 격벽의 수축을 줄이는 이유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격벽을 패터닝 한 후, 소성공정을 수행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축방향(131,132)을 따라 격벽의 수축이 발생한다. 이때, 수축에 따른 응력은 격벽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따라서, 그 응력은 상기 홈(128)에서도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128)의 주위에서 응력이 발생하면, 그 홈을 따라 홈의 크기가 늘어나는 방향으로 응력이 발생하며 그 응력에 의해 상기 홈의 크기가 늘어난다. 이때, 그 홈의 크기가 늘어나는 정도에 비례하여 격벽 전체에 걸쳐 수축되는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홈(128)이 격벽(130)에 복수개 형성되면, 그 홈들마다 그 크기가 늘어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홈들의 크기가 늘어난 만큼 격벽 전체에 있어서 수축된 길이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홈(128)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부의 격벽들의 수축되는 길이도 줄어들게 되고, 결국, 외곽부의 격벽들에 형성되는 모멘 트의 크기도 줄어들게 되어 융기와 들림현상이 최소화된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의 격벽에서 발생하는 융기 및 들림 현상이 최소화됨으로 인하여 전방패널(110)과 후방패널(120)의 진동에 의한 충돌이 저감되고 결국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격벽(130a)의 두께가 상기 세로격벽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되면 상기 가로격벽(130a)에서 발생하는 수축이 더욱 크기 때문에 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130a)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축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가로격벽 및 세로격벽 모두에서 공히 다 일어나므로, 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 및 세로격벽이 교차하는 상기 가로격벽(130a)의 교차부(130a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홈(128)의 주위에 발생하는 응력은 상기 홈의 응력이 균일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므로, 상기 전면기판(111)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홈(128)의 단면의 형상은 비록, 공정 시작 시 형상이 무엇이든 간에 원형이나 타원형에 가깝게 형성된다. 그러나, 격벽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홈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상기 홈의 단면의 형상이 반드시 원형이거나 타원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홈의 소음 저감기능의 상술한 바와 다른 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격벽을 패터닝 한 후 소성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128)이 격벽의 수축을 완화시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격벽(130)을 패터닝 하기 이전에 소성공정을 수행하는 때, 혹은 소성공정을 전혀 수행되지 않는 때 에도 상기 홈(128)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당한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격벽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융기와 들림현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발생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나, 소성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격벽의 끝단에 융기와 들림현상이 크게 저감된다.
그러나, 격벽을 배치하기 위해 수행되는 각종 공정에서는 알려진 또는 알려지지 않은 불량요소가 있으며, 그로 인해 격벽의 끝단에 융기와 들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격벽의 다른 부분에서도 미세한 들림현상 등이 발생한다.
이 때에, 방전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격벽을 따라 전파되면서 이러한 불량부분의 격벽이 전면기판 혹은 배면기판과 주기적으로 부딪히게 되어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방전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격벽을 타격하더라도 그 타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격벽을 따라 전파되지 않도록 하면 이들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전셀(126)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충격파가 발생하면 이 충격파가 격벽을 타격하고, 그에 따라 격벽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격벽(130)을 따라 진행방향(133)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격벽의 전면에 홈(128)이 형성되면, 그 진동은 상기 홈(128)에서 일부 차단되어 반사되면서 상쇄간섭을 일으켜 진동이 저감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홈들이 연속적으로 불연속면으로 작용하면서 그 진동은 복수의 홈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결국, 진동의 감소로 인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관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2실시예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격벽(230)의 홈(228)이 상기 격벽(230)의 배면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이때, 도 4에는 상기 유지전극들(114)이 상기 전면기판(111)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유지전극들이 반드시 상기 전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유지전극(114)들은 상기 배면기판(121)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은 상기 전면기판(111)에 지지되어 배치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격벽(2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로격벽(230a)과 세로격벽(230b)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홈(228)은 상기 가로격벽(230a)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228)은 상기 가로격벽(230a) 및 세로격벽(230b)이 교차하는 상기 가로격벽(230a)의 교차부(230aa)에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같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째, 소성공정시 격벽이 수축되는 현상을 완화시켜 격벽의 융기와 들림현상을 최소화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한다.
둘째, 방전시 발생하는 충격파가 유발하는 격벽의 진동의 전파를 감쇄시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한정하며, 홈이 형성되는 격벽들;상기 방전셀에 대응되어 방전을 일으키도록 배치되는 전극들;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들; 및상기 방전셀 내에 존재하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격벽의 홈은 상기 격벽의 상기 전면기판 쪽의 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격벽의 홈은 상기 격벽의 상기 배면기판 쪽의 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격벽들은 상기 유지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격벽과 상기 가로격벽이 배치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세로격벽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인 상기 가로격벽의 폭이 상기 가로격벽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한 길이인 상기 세로격벽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 이 패널.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홈은 상기 가로격벽과 세로격벽이 교차하는 상기 가로격벽 교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기판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홈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기판과 평행한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홈의 단면의 형상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들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방전셀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전극들은 상기 전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배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유지전극들을 덮도록 상기 전면기판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전방유전체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도록 배치되는 후방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991A KR20060087135A (ko) | 2005-01-28 | 2005-01-28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JP2005352338A JP2006210327A (ja) | 2005-01-28 | 2005-12-06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EP05112699A EP1686606A3 (en) | 2005-01-28 | 2005-12-22 | Plasma display panel (PDP) |
US11/327,313 US20060170350A1 (en) | 2005-01-28 | 2006-01-09 | Plasma display panel(PDP) |
CNA200610004786XA CN1812042A (zh) | 2005-01-28 | 2006-01-28 | 等离子体显示面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991A KR20060087135A (ko) | 2005-01-28 | 2005-01-28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7135A true KR20060087135A (ko) | 2006-08-02 |
Family
ID=3617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7991A Withdrawn KR20060087135A (ko) | 2005-01-28 | 2005-01-28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70350A1 (ko) |
EP (1) | EP1686606A3 (ko) |
JP (1) | JP2006210327A (ko) |
KR (1) | KR20060087135A (ko) |
CN (1) | CN181204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91093A (ja) * | 2006-09-29 | 2008-04-17 |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WO2009088158A1 (en) * | 2008-01-07 | 2009-07-16 | Lg Electronics Inc. | Plasma display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86297A (en) * | 1988-06-14 | 1992-02-04 |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orming fluorescent screen thereof |
US6097357A (en) * | 1990-11-28 | 2000-08-01 | Fujitsu Limited |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
JP3259253B2 (ja) * | 1990-11-28 | 2002-02-25 | 富士通株式会社 |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
EP1231590A3 (en) * | 1991-12-20 | 2003-08-06 | Fujitsu Limited |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
EP0554172B1 (en) * | 1992-01-28 | 1998-04-29 | Fujitsu Limited |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
JP3025598B2 (ja) * | 1993-04-30 | 2000-03-27 | 富士通株式会社 |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
JP2891280B2 (ja) * | 1993-12-10 | 1999-05-17 | 富士通株式会社 |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
JP3163563B2 (ja) * | 1995-08-25 | 2001-05-08 | 富士通株式会社 |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
JP3424587B2 (ja) * | 1998-06-18 | 2003-07-07 | 富士通株式会社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
JP3701185B2 (ja) * | 2000-09-06 | 2005-09-28 |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
KR20040051289A (ko) | 2002-12-12 | 2004-06-18 | 현대 프라즈마 주식회사 | 투명전극이 없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CN100337296C (zh) * | 2003-01-02 | 2007-09-12 | 三星Sdi株式会社 | 等离子体显示面板 |
FR2851691A1 (fr) | 2003-02-21 | 2004-08-27 | Thomson Plasma | Panneau a plasma a reseau de barrieres dotees de cavites debouchant par leur sommet |
US6832137B2 (en) | 2003-04-17 | 2004-12-14 | Ford Motor Company | Leaky cable bas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otive parking aid, reversing aid, and pre-collision sensing |
JP4399196B2 (ja) * | 2003-07-01 | 2010-01-13 |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
-
2005
- 2005-01-28 KR KR1020050007991A patent/KR20060087135A/ko not_active Withdrawn
- 2005-12-06 JP JP2005352338A patent/JP2006210327A/ja active Pending
- 2005-12-22 EP EP05112699A patent/EP1686606A3/en not_active Ceased
-
2006
- 2006-01-09 US US11/327,313 patent/US2006017035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1-28 CN CNA200610004786XA patent/CN181204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170350A1 (en) | 2006-08-03 |
EP1686606A3 (en) | 2006-09-06 |
CN1812042A (zh) | 2006-08-02 |
EP1686606A2 (en) | 2006-08-02 |
JP2006210327A (ja) | 2006-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87135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10067319A (ko) | 플라스마 표시장치 | |
KR20070107868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59226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70326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70325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719536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70295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731460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77772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US20070046194A1 (en) | Plasma display panel | |
KR100777730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71957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581948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741130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58194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37243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47617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8377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670314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60102424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58332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0730215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60088767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KR20080000353A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