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630A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6630A KR20060086630A KR1020050007493A KR20050007493A KR20060086630A KR 20060086630 A KR20060086630 A KR 20060086630A KR 1020050007493 A KR1020050007493 A KR 1020050007493A KR 20050007493 A KR20050007493 A KR 20050007493A KR 20060086630 A KR20060086630 A KR 20060086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output
- battery
- converter
- vol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에 있어서,교류 입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제1직류출력을 출력하는 교류/직류변환부와,배터리와,교류 입력을 직류로 변화하여 상기 배터리에 직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충전부와,교류입력이 정전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정전신호를 발생하는 정전검출부와,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제2직류출력을 상기 교류/직류변환부의 제1직류출력에 연결하는 직류/직류변환부와,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제2직류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제2직류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부를 구비하여,교류입력이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교류/직류변화부를 통하여 제1직류출력이 출력되고, 교류입력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변환한 제2직류출력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변환부는,교류입력을 직류출력으로 바꾸는 브리지정류회로와,상기 브리지정류회로의 직류출력 단자 양측에 접속된 직렬연결의 두개의 제1 및 제2콘덴서와,상기 제1콘덴서와 제2콘덴서의 연결점과 교류입력의 하나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 입력전압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배터리충전부는,교류입력에 연결된 브리지정류회로와,과충전방지회로 및 과방전방지회로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스위칭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검출부는,교류입력에 연결된 브리지정류회로와,상기 브리지정류회로의 출력에 제어입력이 연결되고 스위칭단자의 한쪽 단자가 기준전압에 연결된 스위칭소자와,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단자의 다른쪽 단자와 정류된 교류입력 사이에 연결되어 정전신호를 발생하는 제1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스위칭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제어부는,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제2직류출력과 기준전압 사이에 직렬로 차례대로 연결된 세개의 제1저항, 제2저항 및 제3저항과,상기 제2저항과 제3저항 사이의 연결점에 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가 연결 되고, 비반전입력은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 사이의 연결점에 연결되고, 반전입력에는 기준전압이 연결되는 제2연산증폭기와,상기 제2연산증폭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2포토커플러와,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입력 측이 연결되고, 출력은 상기 직류/직류변환기의 제어입력에 연결된 펄스폭변조제어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를 받아서 교류입력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직류/직류변환기의 제2직류출력을 상기 제1직류출력보다 낮은 전압이 되도록 유지시켜서 배터리의 전력이 소모되지 아니 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를 입력받아서 교류입력 정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제2직류출력으로 변환시켜 제1직류출력을 대신할 수 있도록 상기 직류/직류변환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특징인 스위칭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로서,교류입력을 직류출력으로 바꾸는 브리지정류회로와, 상기 브리지정류회로의 직류출력 단자 양측에 접속된 직렬연결의 두개의 제1 및 제2콘덴서와, 상기 제1콘덴서와 제2콘덴서의 연결점과 교류입력의 하나의 단자 사이에 연결된 입력전압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교류 입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제1직류출력을 출력하는 교류/직류변환부와,배터리와,교류입력에 연결된 브리지정류회로와, 과충전방지회로 및 과방전방지회로를 가지는 배터리 충전제어회로를 구비하여, 교류 입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직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충전부와,교류입력에 연결된 브리지정류회로의 출력에 스위치 제어입력이 연결되고 스위칭단자의 일측이 기준전압에 연결된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단자의 타측과 정류된 교류입력 사이에 연결되어 정전신호를 발생하는 제1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전검출부와,동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입력 단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어입력 단자에서 입력되는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의 전압을 변환하여 제2직류출력을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기 교류/직류변환부의 제1직류출력 측에 연결하는 직류/직류변환부와,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제2직류출력과 기준전압 사이에 직렬로 차례대로 연결된 세개의 제1저항 제2저항 및 제3저항과, 상기 제2저항과 제3저항 사이의 연결점에 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저항과 제2저항 사이의 연결점에 비반전입력이 연결되고 반전입력에는 기준전압이 연결되는 제2연산증폭기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2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입력 측이 연결되고 출력은 상기 직류/직류변환기의 제어입력에 연결된 펄스폭변조제어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가 교류입력 정상을 나타내면 상기 직류/직류변환기의 제2직류출력을 상기 제1직류출력보다 낮은 전압을 유지시켜 배터리의 전력이 소모되지 아니 하도록 동작시키고, 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가 교류입력 정전을 나타내면 상기 직류/직류변환기를 가동시켜 배터리 전원으로 제2직류출력이 제1직류출력을 대신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것이 특징인 스위칭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교류 입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교류/직류변환회로에 있어서,정류소자 4개 중 제1소자의 애노드와 제2소자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교류입력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고, 정류소자 4개 중 제3소자의 애노드와 제4소자의 캐소드가 접속되어 교류입력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제1소자와 제3소자의 각 캐소드가 접속되어 직류 "-" 전극으로 되고, 제2소자와 제4소자의 각 애노드가 접속되어 직류 "+" 전극으로 되는 브리지 정류회로와,상기 브리지 정류회로의 "-" 전극과 "+" 전극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제1 콘덴서 및 제2콘덴서와,상기 제1 콘덴서 및 제2콘덴서의 연결점과 상기 교류 입력의 어느 일단에 연결된 절환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스위치가 오프 된 상태이면 교류입력이 전파 정류되어 상기 "-" 전극과 "+" 전극 단자를 통하여 직류 출력되고,상기 스위치가 온 된 상태이면 교류입력이 반파 정류되어 상기 "-" 전극과 "+" 전극 단자를 통하여 직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직류 변환회로.
- 배터리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직류변환회로에 있어서,배터리와,교류 입력을 직류로 변화하여 상기 배터리에 직류를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충전부와,교류입력이 정전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정전신호를 발생하는 정전검출부와,상기 배터리의 직류전원의 전압을 변환하는 직류/직류변환부와,상기 정전검출부의 정전신호와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직류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직류/직류변환부의 직류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제어부를 구비하고,상기 전압제어부가 교류입력이 있을 때는 배터리의 전원을 직류 220V 정도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교류입력이 없을 때는 배터리의 전원을 직류 280V 정도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특징인 직류/직류변환회로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전검출부는,교류입력에 연결된 브리지정류회로와,상기 브리지정류회로의 출력에 제어입력이 연결되고 스위칭단자의 일측이 기준전압에 연결된 스위칭소자와,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단자의 타측과 정류된 교류입력 사이에 연결되어 정전신호를 발생하는 제1포토커플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직류/직류변환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493A KR100661470B1 (ko) | 2005-01-27 | 2005-01-27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493A KR100661470B1 (ko) | 2005-01-27 | 2005-01-27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6630A true KR20060086630A (ko) | 2006-08-01 |
KR100661470B1 KR100661470B1 (ko) | 2006-12-27 |
Family
ID=3717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7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1470B1 (ko) | 2005-01-27 | 2005-01-27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147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6977A (ko) * | 2015-03-31 | 2016-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11313537A (zh) * | 2020-04-01 | 2020-06-19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楚雄供电局 | 一种ups替代装置 |
WO2021095999A1 (ko) * | 2019-11-13 | 2021-05-20 | 엘에스일렉트릭㈜ | Ups 모듈 및 그 ups 모듈의 제어 방법 |
KR102638198B1 (ko) * | 2023-04-24 | 2024-02-19 | (주)금풍전력 | 항공등화 전원 듀얼 시스템 |
-
2005
- 2005-01-27 KR KR1020050007493A patent/KR10066147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6977A (ko) * | 2015-03-31 | 2016-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WO2021095999A1 (ko) * | 2019-11-13 | 2021-05-20 | 엘에스일렉트릭㈜ | Ups 모듈 및 그 ups 모듈의 제어 방법 |
KR20210058149A (ko) * | 2019-11-13 | 2021-05-24 | 엘에스일렉트릭(주) | Ups 모듈 및 그 ups 모듈의 제어 방법 |
US12132346B2 (en) | 2019-11-13 | 2024-10-29 | Ls Electric Co., Ltd. | UPS module and UPS module control method |
CN111313537A (zh) * | 2020-04-01 | 2020-06-19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楚雄供电局 | 一种ups替代装置 |
KR102638198B1 (ko) * | 2023-04-24 | 2024-02-19 | (주)금풍전력 | 항공등화 전원 듀얼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1470B1 (ko) | 2006-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81422A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AC and DC power inputs | |
JP3747381B2 (ja) | 電池内蔵の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 |
US7802121B1 (en) | Auxiliary power system | |
US7679943B2 (en) |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 |
US8203235B2 (en) | AC and DC uninterruptible online power supplies | |
JP5342598B2 (ja) | 電力変換器 | |
US6795322B2 (en) | Power supply with uninterruptible function | |
US573720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attery backup to power factor correction front end for maintaining power | |
CN100429857C (zh) | 不间断电源装置 | |
US20050285570A1 (en) | Providing resilient power to a system | |
IE75374B1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KR102690643B1 (ko) | 전력 변환 장치 | |
US20220376548A1 (en) | Online interactiv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 |
US10110058B2 (en) | Power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bnormal shutdown thereof | |
KR100661470B1 (ko) | 스위칭 모드 무정전 전원 장치. | |
JPH11113191A (ja) | 無停電電源装置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 |
JPH0787686A (ja) | 無停電電源装置 | |
KR101663445B1 (ko) |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한 무정전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방법 | |
CN110676916B (zh) | 自适应充电器 | |
JPH04304160A (ja) | バッテリーバックアップ機能付き直流電源装置 | |
CN201113549Y (zh) | 电力备援系统 | |
JP2001178024A (ja) | 非常用電源装置 | |
CN103368248A (zh) | 低功率消耗的备援电力系统 | |
CN215378756U (zh) | 医疗设备及其配电系统 | |
KR20020015465A (ko) | 무정전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