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990A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4990A KR20060074990A KR1020040113533A KR20040113533A KR20060074990A KR 20060074990 A KR20060074990 A KR 20060074990A KR 1020040113533 A KR1020040113533 A KR 1020040113533A KR 20040113533 A KR20040113533 A KR 20040113533A KR 20060074990 A KR20060074990 A KR 200600749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t line
- line contact
- film
- contact hole
-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518 low pressure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1 spacer nit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88 bor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60 phosph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1569 Apoptosis regulator Bcl-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12583 BCL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8484 TiS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8 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JQOUPTWCFRMM-UHFFFAOYSA-N tungsten disilicide Chemical compound [Si]#[W]#[Si] WQJQOUPTWCF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42 tungsten silic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 H01L21/7683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in via holes or trenches, e.g. non-conductive sidewall l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e.g. cleaning or removal of oxides on underlying conduc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5—Bit lin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적층 산화막을 관통하는 비트라인콘택홀 형성시 적층산화막 계면에서 틈이 발생되어 비트라인콘택간의 브릿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산화막과 제 2산화막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적층된 상기 제 1 및 제 2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이 노출되는 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라인콘택홀의 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가 형성된 비트라인콘택홀을 BOE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suitable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bridge between the bit line contact by the gap formed at the interface of the layer of the oxide layer when forming the bit line contact hole through the laminated oxide film, the semicondu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A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forming a first oxide film and a second oxide film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laminating them; Etching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oxide layers to form bit line contact holes through which the semiconductor substrate is exposed; Forming a nitride film spacer on sidewalls of the bit line contact holes; And cleaning the bit line contact hole in which the nitride layer spacer is formed with a BOE solution.
비트라인 콘택홀, 선폭 조절, 브릿지, 습식 케미컬Bitline contact hole, line width adjustment, bridge, wet chemical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와 TEM 사진,1A to 1D ar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and TEM photograph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와 TEM 사진.
2A to 2E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TEM photograph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 반도체 기판 22 : 소자분리막21
23 : 게이트 절연막 24 : 게이트 전도막23: gate insulating film 24: gate conductive film
25 : 게이트 하드마스크 26 : 스페이서25 gate
27 : 제 1층간절연막 28 : 랜딩 플러그27: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28: landing plug
29 : 제 2층간절연막 30 : 스페이서 질화막29: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30: spacer nitride film
31 : 베리어 메탈
31: Barrier Metal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트라인 콘택홀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 자세히는 주변영역에 형성되는 비트라인 콘택홀이 인접 홀과 브릿지(Bridg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forming a bit line contact hole, and more particularly,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bit line contact holes formed in a peripheral region are intended to prevent adjacent holes and bridges from occurring.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반도체 메모리 소장 중 DRAM(Dynamic Random Acess Memory) 등은 예컨대, 1T1C(하나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캐패시터)로 구성된 단위 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셀영역과 그 이외의 단위 소자들을 포함하는 주변영역으로 크게 구분된다.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etc. in the semiconductor memory colle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a cell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composed of 1T1C (one transistor and one capacitor) and a peripheral region including other unit elements. .
예컨대, 비트라인(Bitline)은 셀 트랜지스터의 소스 쪽에 연결되어 실제로 데이타가 전송되는 라인으로, 셀 영역 측면에서는 이러한 비트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게이트 전극(예컨대, 워드라인) 측면의 소스/드레인 접합 영역에 콘택된 셀 콘택 플러그와 비트라인 콘택을 통해 연결되며, 이러한 비트라인을 통해 전달된 셀 테이타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를 포함하는 주변영역 측면에서는 비트라인 감지증폭기와 비트라인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콘택이 필요하다.For example, a bitline is a line connected to the source side of a cell transistor to actually transmit data. On the cell region side, a source / drain junction region on the side of a gate electrode (eg, a wordlin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such a bitlin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itline sense amplifier and the bitline is provided on the periphery side, including a bitline sense amplifier for sensing and amplifying the cel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bitline and a cell contact plug contacted to the bit contact. A contact is required for the connection.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공정 단면도와 TEM 사진이다.1A to 1D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TEM photograph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1)에 국부적으로 필드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분하는 소자분리막(12)이 형성되어 있고, 셀영역의 반도체 기판(11) 상에 게이트 절연막(13), 게이트 전도막(14), 게이트 하드마스크(15)가 적층되고 그 측벽에 스페이서(16)를 갖는 게이트 패턴(G1)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A, a
주변영역의 반도체 기판(11) 상에도 게이트 절연막(13), 게이트 전도막(14), 게이트 하드마스크(15)가 적층되고 그 측벽에 스페이서(16)를 갖는 게이트 패턴(G2)이 형성되어 있다.The
셀영역에서는 제 1층간절연막(17)을 관통하여 반도체 기판(11)과 접속되고 게이트 하드마스크(15)와 그 상부가 평탄화된 랜딩 플러그(18)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cell region, a
랜딩 플러그(18) 및 제 1층간절연막(17) 상에는 제 2층간절연막(19)이 형성되어 있다.A second
이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영역에서는 제 2층간절연막(19)이 선택적으로 식각되어 랜딩 플러그(18)를 노출시키는 제 1비트라인콘택홀이 형성되어 있고, 주변영역에서는 제 2층간절연막(19)과 제 1층간절연막(17)이 선택적으로 식각되어 기판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2비트라인콘택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후, 베리어 메탈을 증착하기전 세정(Cleaning) 공정을 실시할 때, 산화막을 소량 식각하는 BOE용액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습식 케미컬의 측면 식각(Lateral Etch) 습성에 의해 적층된 제 1, 2 층간절연막(17,19) 사이가 식각되어 틈(A)이 발생하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B, a first bit line contact hole is formed in the cell region to selectively etch the second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BCL2의 프로파일을 따라 베리어 메탈(20)을 증착하는데, 습식 케미컬에 의한 측면 식각시 발생한 틈(A)은 측벽 스텝 커버리지가 비교적 우수한 베리어 메탈(20)로 채워지므로, 인접 비트라인 콘택홀과의 브릿지 유발 가능성이 있고, 누설 전류(Leakage Current)에 의한 비트라인콘택 저항 증가의 원인이 되므로 DRAM 동작에 치명적인 원인을 일으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C, the
도 1d는 세정시 BOE 용액의 습식 케미컬로 인한 적층 산화막(17,19) 사이에 틈이 발생한 TEM 사진이다.FIG. 1D is a TEM photograph in which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tacked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영역에 제 2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한 후, 베리어 메탈을 증착하기 전 세정 공정시 습식 케미컬에 의해 적층된 층간절연막 사이에 틈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인접한 비트라인콘택간에 브릿지가 발생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the second bit line contact hole in the peripheral region,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stacked by the wet chemical during the cleaning process before depositing the barrier metal,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adjacent bit line contacts. A bridge is occurr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적층 산화막을 관통하는 비트라인콘택홀 형성시 적층산화막 계면에서 틈이 발생되어 비트라인콘택간의 브릿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s a semiconductor device suitable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ridges between bit line contacts due to the occurrence of gaps at the interface of the stacked oxide layers when forming the bit line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laminated oxide fil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적인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산화막과 제 2산화막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적층된 상기 제 1 및 제 2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이 노출되는 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트라인콘택홀의 측벽에 질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질화막 스페이서가 형성된 비트라인콘택홀을 BOE용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stacking a first oxide film and a second oxide film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etching the stacked first and second oxide films. Forming an exposed bit line contact hole, forming a nitride spacer on a sidewall of the bit line contact hole, and cleaning the bit line contact hole on which the nitride film spacer is formed with a BOE solu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2A through 2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를 이루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반도체 기판(21)에 국부적으로 필드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구분하는 소자분리막 (2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A, an
이어서, 반도체 기판(21) 상에 게이트 절연막(23), 게이트 전도막(24), 게이트 하드마스크(25)가 적층되고 그 측벽에 스페이서(26)를 갖는 게이트 패턴(G1)이 형성되어 있다.Subsequently, a
게이트 패턴(G1) 형성 방법은 게이트 절연막(23) 상에 게이트 전도막(24)과 게이트 하드마스크(25)를 차례로 증착한 다음,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게이트 패턴 형성을 위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마스크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게이트 전도막(24)과 게이트 하드마스크(25)를 식각함으로써 게이트 하드마스크(25), 게이트 전도막(24), 게이트 절연막(23)의 적층 구조를 갖는 게이트 패턴(G1)을 형성한다.In the method for forming the gate pattern G1, the gate
게이트 전도막(24)은 폴리실리콘,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Ti, TiN 등의 단독 또는 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게이트 하드마스크(25)는 질화막 계열 또는 산화막 계열의 절연성 막을 포함한다.The gate
이어서, 게이트 패턴(G1)의 프로파일을 따라 질화막과 산화막의 단독 또는 조합된 형태로 절연막을 증착한 다음, 에치백 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패턴 측벽에 스페이서(26)를 형성한다. 스페이서(26)는 후속 식각 공정에서 게이트 패턴(G1)이 어택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이다.Subsequently, an insulating film is deposited along the profile of the gate pattern G1 in the form of a nitride film or an oxide film alone or in combination, and then an etch back process is performed to form
이어서, 주변영역의 반도체 기판(21) 상에도 게이트 절연막(23), 게이트 전도막(24), 게이트 하드마스크(25)가 적층되고 그 측벽에 스페이서(26)를 갖는 게이트 패턴(G2)이 형성되어 있다.Subsequently, the
이어서, 셀영역과 주변영역의 전면에 제 1층간절연막(27)을 형성한다. 제 1층간절연막(27)은 산화막 계열의 절연성 막이나, 유기 또는 무기 계열의 저유전율막을 포함한다.Subsequently, a first
제 1층간절연막(27)을 산화막 계열의 물질막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BSG(Boro-Silicate-Glass)막, BPSG(Boro-Phopho-Silicate-Glass)막, PSG(Phospho-Silicate-Glass)막, TEOS(Tetra-Ethyl-Ortho-Silicate)막,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SOG(Spin On Glass)막 또는 APL(Advanced Planarization Layer)막 등을 이용하며, 산화막 계열 이외에 무기 또는 유기 계열의 저유전율막을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first interlayer
이어서, 후속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제 1층간절연막 (27) 상부를 CMP 또는 전면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시킨다. Subsequently, in order to secure a subsequent photolithography process marg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이어서, 평탄화된 제 1층간절연막(27) 상에 랜딩 플러그 형성을 위한 마스크 패턴(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제 1층간절연막(27)을 식각하여 셀영역에서 게이트 패턴(G1) 사이의 반도체 기판(21)을 노출시킨 다음,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고 전면에 플러그 형성용 전도막을 형성한 후, 게이트 하드마 스크(25)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플러그(28)를 분리(Isolation)시킨다. Subsequently, a mask pattern (not shown) for forming a landing plug is formed on the planarized first
계속해서, 랜딩 플러그(28)와 제 1층간절연막(27) 상에 제 2층간절연막(29)을 증착한 다음, 제 2층간절연막(29) 상부를 평탄화시킨다. 제 2층간절연막(29)은 제 1층간절연막(27) 물질과 동일 물질을 사용한다.Subsequently, a second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영역에서는 제 2층간절연막(29)이 선택적으로 식각되어 랜딩 플러그(28)를 노출시키는 제 1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하고, 주변영역에서는 제 2층간절연막(29)과 제 1층간절연막(27)이 선택적으로 식각되어 반도체 기판(21)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 2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B, the second
제 2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한 후, 층간절연막(27,29)을 식각하지 않으면서 제 2비트라인콘택홀 식각시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잔유물(도시 생략)을 제거하는 세정을 실시한다.After forming the second bit line contact hole, cleaning is performed to remove the photoresist residue (not shown) used during the second bit line contact hole etching without etching the
이어서, 세정 공정을 실시한 제 2비트라인콘택홀의 측벽을 따라 스페이서 질화막(30)을 증착한다. 균일하게 증착하기 위해 스텝 커버리지가 우수하고 치밀한 구조를 갖고 있는 LPCVD에 의한 질화막(Nitride)를 사용한다. Subsequently, a
제 2비트라인콘택홀에 스페이서 질화막(30)을 증착하므로써 제 2비트라인콘택홀 측벽을 노출하지 않고 후속 제 2비트라인콘택홀 세정 공정시 습식 케미컬 침투로 인한 디펙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 질화막(30)은 10Å∼1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By depositing the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비트라인콘택홀 바닥면의 스페이서 질화막(30)을 제거하기 위해 블랭킷(Blanket)으로 에치백한다. 방향성을 갖는 건식 식각의 특성으로 인해 제 2비트라인콘택홀 측벽의 스페이서 질화막(30a)은 제거되지 않으면서 제 2비트라인콘택홀의 바닥면의 질화막(30)을 제거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C, the spacer is etched back with a blanket to remove the
이어서, 도 2d은 도 2c의 공정을 진행한 후의 TEM 사진으로, 제 2비트라인콘택홀 바닥면을 제외한 제 2비트라인콘택홀 측면에 층간절연막(27,29)의 계면(B)을 보호하는 스페이서 질화막(30)이 증착된 것을 볼 수 있다.Subsequently, FIG. 2D is a TEM photograph after the process of FIG. 2C, and protects the interface B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을 진행하면 스페이서 질화막(30)이 제 1, 2층간절연막(27, 29) 사이의 계면을 막아주기 때문에 습식 케미컬의 침투를 방지하여 측면 습식각에 의한 이웃하는 비트라인콘택간 브릿지를 방지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E, the
계속해서, 결과물의 프로파일을 따라 베리어 메탈(31)을 증착한다. 베리어 메탈(31)은 Ti막, TiN막, TiSi2막 등의 단독 또는 조합된 구조를 사용하고 그 증착 두께를 얇게 하여 베리어 메탈(31)과 이후 콘택홀에 매립될 비트라인 전도막 사이에서의 콘택 저항을 최소화한다.Subsequently,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비트라인콘택홀 내부에 스페이서 질화막을 증착하므로써, DRAM 동작에 치명적인 페일을 유발하는 비트라인콘택 간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depositing a spacer nitride film inside the second bit line contact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idge between the bit line contacts causing a fatal fail in DRAM operation.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은 주변영역 비트라인콘택홀에 스페이서 질화막을 형성하여 측벽을 통해 인접 비트라인 콘택홀 사이에 발생하는 디펙트를 방지하므로써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r nitride film is formed in the bit line contact hole in the peripheral area, thereby preventing defects occurring between adjacent bit line contact holes through sidewalls,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3533A KR20060074990A (en) | 2004-12-28 | 2004-12-28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3533A KR20060074990A (en) | 2004-12-28 | 2004-12-28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4990A true KR20060074990A (en) | 2006-07-04 |
Family
ID=3716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3533A KR20060074990A (en) | 2004-12-28 | 2004-12-28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74990A (en) |
-
2004
- 2004-12-28 KR KR1020040113533A patent/KR2006007499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5165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DRAM device invention | |
KR100476690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082784B2 (en) |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acked storage nodes of capacitors in cell region separated from peripheral region | |
US8022457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vertical channel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0726145B1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587635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KR100378200B1 (en) | Method for forming contact plug of semiconductor device | |
KR20110028971A (en) |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two kinds of contact holes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by one photo process | |
KR20100057203A (en) | Wir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wiring structure | |
KR100275551B1 (en) | Contact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1168606B1 (en) | wiring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wiring structure | |
US6281073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ell | |
KR100699915B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88931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US7179744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
US6982199B2 (en) | Bitline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ud type capping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085983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ith buried bit line | |
KR20060074990A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1061171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 |
KR20080060385A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20040008622A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ummy storage node | |
KR20070002783A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687862B1 (en) | How to make landing plug contacts | |
KR20080028591A (en) | Contact hole fo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KR20060135194A (en)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