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338A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Google Patents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0338A KR20060070338A KR1020040109043A KR20040109043A KR20060070338A KR 20060070338 A KR20060070338 A KR 20060070338A KR 1020040109043 A KR1020040109043 A KR 1020040109043A KR 20040109043 A KR20040109043 A KR 20040109043A KR 20060070338 A KR20060070338 A KR 20060070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electrode
- storage capacitor
- conductor
- thin film
- gate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8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5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s or shapes of the interlayer dielectric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관한 것으로,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게이트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드레인 전극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 상기 데이터선,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제1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제2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막과 분리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는 그 하부의 게이트선의 한 단부를 넘어서고, 상기 단부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연장한다. 이로 인해, 유지 축전기 영역과 드레인 전극 및 화소 전극간의 접촉부의 감광막의 단차가 줄어들다.
박막트랜지스터표시판, 슬릿, 마스크, 리프트오프, 언더컷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배치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Ia-IIa' 선, IIb-IIb' 선 및 IIb'-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은 각각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의 중간 단계에서의 배치도로서, 공정 순서대로 나열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Va-IVa' 선, IVb-IVb' 선 및 IVb'-IV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Va-IVa' 선, IVb-IVb' 선 및 IVb'-IV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 및 도 4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IIa-VIIa' 선, VIIb-VIIb' 선 및 VIIb'-V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6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IIa-VIIa' 선, VIIb-VIIb' 선 및 VIIb'-V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a 및 도 7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도 9a 및 도 10b는 각각 도 8a 및 도 8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9a 및 도 9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도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1a 및 도 11b 다음 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유지 축전기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감광막이 식각된 다음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축전기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감광막이 식각된 다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드레인 전극과 화소 전극간의 접촉부에 대한 단면도로서 감광막이 식각된 다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thin film transistor, TFT)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에서 각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회로 기판으로 사용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선와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하고 있 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선을 통하여 전달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 전극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로서,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과 채널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과 반도체층을 중심으로 소스 전극과 마주하는 드레인 전극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사진 식각 공정이 소요된다. 각 사진 식각 공정은 다수의 복잡한 세부 공정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사진 식각 공정의 횟수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제조 공정의 소요 시간과 비용을 좌우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한 기술적 과제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공정 마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상기 게이트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드레인 전극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 상기 데 이터선,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제1 부분 및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제2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제3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제외한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제4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막과 분리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는 그 하부의 게이트선의 한 단부를 넘어서 상기 단부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뻗어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약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으로 에워싸인 영역 중에서,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가장자리 부근이고,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으로 에워싸인 영역 중에서,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한 가장자리 부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접촉 구멍 및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접촉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접촉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접촉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함께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접촉 구멍을 더 가지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상기 제3 접촉 구멍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구멍과 동일한 경계선을 가지는 접촉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를 제외하면 상기 데이터선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일부는 상기 게이트선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배치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Ia-IIa' 선, IIb-IIb' 선 및 IIb'-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의 한 예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 복수의 게이트선(gate line)(1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고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다른 층 또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하여 면적이 넓은 끝 부분(129)을 가지고 있다. 각 게이트선(121)의 일부는 아래로 돌출하여 복수의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124)을 이룬다. 또한 각 게이트선(121)의 다른 일부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복수의 확장부(projection)를 이룬다.
게이트선(121)은 은(Ag)이나 은 합금 등 은 계열 금속,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 금속 및 구리(Cu)나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크롬(Cr), 티타늄(Ti), 탄탈륨(Ta),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 따위로 이루어진 도전막을 포함한다. 그러나 게이트선(121)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두 개의 도전막(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한 도전막은 게이트선(121)의 신호 지연이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도록 낮은 비저항(resistivity)의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계열 금속, 은 계열 금속 또는 구리 계열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다른 도전막은 다른 물질, 특히 ITO(indium tin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와의 접촉 특성이 우수한 물질, 이를테면 크롬, 몰리브덴, 티타늄, 탄탈륨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다. 비저항이 낮은 도전막이 상부에 오고 접촉 특성이 우수한 도전막이 하부에 오는 구조로는 크롬 하부막과 알루미늄-네오디뮴(Nd) 합금의 상부막을 들 수 있고, 그 반대인 예로는 알루미늄-네오디뮴 하부막과 몰리브덴 상부막을 들 수 있다.
게이트선(121)의 측면은 기판(110)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그 경사각은 약 30-80° 범위이다.
게이트선(121)위에 질화규소(SiNx) 따위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수소화 비정질 규소(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비정질 규소는 약칭 a-Si로 씀)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선형 및 섬형 반도체(151, 157)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 반도체(151)는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이로부터 복수의 돌출부(projection)(154)가 게이트 전극(124)을 향하여 뻗어 나와 있다. 섬형 반도체(157)는 선형 반도체(151)와는 분리되어 있으며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반도체(151, 157)의 상부에는 실리사이드(silicide) 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물질로 만들어진 복수의 선형 및 섬형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161, 165, 167)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 접촉 부재(161)는 복수의 돌출부(163)를 가지고 있으며, 이 돌출부(163)와 섬형 접촉 부재(165)는 쌍을 이루어 반도체(151)의 돌출부(154) 위에 위치한다. 섬형 접촉 부재(167)는 주로 섬형 반도체(167) 위에 위치한다.
반도체(151, 157)와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5, 167)의 측면 역시 기판(110)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경사각은 30-80°이다.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5, 167) 및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복수의 데이터선(data line)(171)과 복수의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175) 및 복수의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storage capacitor conductor)(177)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선(171)은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하며 다른 층 또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하여 면적이 넓은 끝 부분(179)을 가지고 있다. 각 데이터선(171)에서 드레인 전극(175)을 향하여 뻗은 복수의 가지가 소스 전극(source electrode)(173)을 이룬다. 각 드레인 전극(175)은 다른 층과의 접속을 위하여 면적이 넓은 한 쪽 끝 부분과 선형인 다른 쪽 끝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각 소스 전극(173)은 드레인 전극(175)의 다른 쪽 끝 부분을 일부 둘러싸도록 굽어 있다.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151)의 돌출부(154)와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루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channel)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돌출부(154)에 형성된다.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는 게이트선(121)의 확장부와 중첩되어 있다.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는 그와 중첩하는 하부의 게이트선(121)의 확장부의 한 단부에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바람직하게 약 3㎛ 이상 연장되어 있다. 즉,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가 게이트선(121)의 확장부의 한 가장자리를 넘어서 일정 거리 이상 더 뻗어 있다. 이렇게 하여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와 게이트선(121)의 확장부가 중첩하는 영역(이하, 유지 축전기 영역이라 칭함)과 드레인 전극(175)과 화소 전극이 접촉하는 영역 사이의 단차가 줄어든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는 크롬, 티타늄, 탄탈륨, 몰리브덴 따위의 내화성 금속(refractory metal) 또는 이들의 합금 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또한 은 계열 금속 또는 알루미늄 계열 금속 따위로 이루어진 도전막과 크롬, 티타늄, 탄탈륨, 몰리브덴 및 이들의 합금 따위로 이루어진 다른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의 측면 역시 경사져 있으며,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하여 약 30-80° 범위이다.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5, 167)는 그 하부의 반도체(151, 157)와 그 상부의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사이에만 존재하며 접촉 저항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선형 반도체(151)는 데이터선(171)과 드레인 전극(175) 및 그 아래의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5)와 거의 동일한 모양을 가진다. 그러나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를 비롯하여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에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섬형 반도체(157)는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및 그 아래의 저항성 접촉 부재(167)와 거의 동일한 모양을 가진다.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노출된 반도체(154) 부분 전체와 드레인 전극(175) 위에는 질화규소 따위의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passivation layer)(1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호막(180)은 평탄화 특성이 우수하며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가지는 유기 물질이나, 플라스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으로 형성되는 a-Si:C:O, a-Si:O:F 등 유전 상수가 약 4.0 이하인 저유전율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하부 무기막과 상부 유기막의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보호막(180)은 데이터선(171)의 끝 부분(179)을 드러내는 복수의 접촉 구멍(contact hole)(182)과 대략 게이트선(121)과 데이터선(171)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에서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 가장자리 부근의 영역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가장자리 부근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의 개구부(187, 188, 189)를 가지고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40)과 함께 보호막(180)은 게이트선(121)의 끝 부분(129)을 드러내는 복수의 접촉 구멍(181)을 가지고 있다. 게이트선(121)과 데이터선(171)으로 에워싸인 영역 일부에서 복수의 개구부(187)는 기판(110)의 일부를 드러내고 있고, 복수의 개구부(188, 189)는 드레인 전극(175)과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의 일부를 드러내고 있다.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를 덮는 일부(M1)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를 덮는 일부(M2)는 보호막(180)으로 덮여져 있다. 이때,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를 덮는 일부(M1)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를 덮는 일부(M2)의 보호막(180)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보호막(180)보다 그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87)와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의 일부(M1)(188)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의 일부(M2)(189)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pixel electrode)(190)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 구멍(181, 182)에는 복수의 접촉 보조 부재(contact assistant)(81, 82)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0)과 접촉 보조 부재(81, 82)는 IZO, ITO 또는 a-ITO(비정질 ITO) 따위의 투명한 도전체 또는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드레인 전극(175)의 일부(M1)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 체(177)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화소 전극(190) 및 접촉 보조 부재(81, 82)의 경계는 보호막(180)의 경계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화소 전극(190)은 드레인 전극(175)과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드레인 전극(175)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화소 전극(190)은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인가 받는 다른 표시판(도시하지 않음)의 공통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 사이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킨다.
또한 화소 전극(190)과 공통 전극은 축전기[이하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라 함]를 이루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된 후에도 인가된 전압을 유지하는데, 전압 유지 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액정 축전기와 병렬로 연결된 다른 축전기를 두며 이를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라 한다. 유지 축전기는 화소 전극(190)과 이에 인접한 다른 게이트선(121)[이를 전단 게이트선(previous gate line)이라 함]의 중첩으로 만들어지며, 유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 즉 유지 용량을 늘이기 위하여 게이트선(121)을 확장한 확장부를 두어 중첩 면적을 크게 하는 한편, 화소 전극(190)과 연결되고 확장부와 중첩되는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를 보호막(180) 아래에 두어 둘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한다.
접촉 보조 부재(81, 82)는 접촉 구멍(181, 182)을 통하여 게이트선(121)의 끝 부분(129)과 데이터선(171)의 끝 부분(179)과 각각 연결된다. 접촉 보조 부재(81, 82)는 게이트선(121)의 끝 부분(129) 및 데이터선(171)의 끝 부분(179)과 외부 장치와의 접착성을 보완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것 은 아니며, 이들의 적용 여부는 선택적이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에서 대하여 도 3 내지 도 12b와 앞서의 도 1 내지 도 2b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6은 각각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의 중간 단계에서의 배치도로서, 공정 순서대로 나열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Va-IVa' 선, IVb-IVb' 선 및 IVb'-IV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IVa-IVa' 선, IVb-IVb' 선 및 IVb'-IV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 및 도 4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IIa-VIIa' 선, VIIb-VIIb' 선 및 VIIb'-V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6의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을 VIIa-VIIa' 선, VIIb-VIIb' 선 및 VIIb'-VII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a 및 도 7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다. 또한 도 9a 및 도 10b는 각각 도 8a 및 도 8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도 9a 및 도 9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며, 도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0a 및 도 10b 다음 단계에서의 도면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1a 및 도 11b 다음 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 따위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 금속 따위의 도전체층을 스퍼터링 따위의 방법으로 1,000 Å 내지 3,000 Å의 두께로 증착하고 사진 식각하여 복수의 게이트 전극(124)을 포함하는 복수의 게이트선(121)을 형성한다.
다음,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140),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을 화학 기상 증착법(CVD) 등으로 연속하여 적층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의 재료로는 질화규소가 좋으며 적층 온도는 약 250~400℃, 두께는 2,000∼5,000Å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금속 따위의 도전체층(170)을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소정의 두께로 증착한 다음 그 위에 감광막(70)을 1 μm 내지 2 μm의 두께로 도포한다.
그 후, 광마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감광막(70)에 빛을 조사한 후 현상한다. 현상된 감광막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다른데, 도 5a 및 5b에서 감광막(70)은 두께가 다른 제1 내지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영역(A)(이하 배선 영역이라 함)에 위치한 제1 부분과 영역(B)(이하 채널 영역이라 함)에 위치한 제2 부분은 각각 도면 부호 72와 74로 나타내었고 영역(C)(이하 기타 영역이라 함)에 위치한 제3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는 부여하지 않았는데, 이는 제3 부분이 0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아래의 도전체층(170)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제1 부분(72)과 제2 부분(74)의 두께의 비는 후속 공정에서의 공정 조건에 따라 다르게 하되, 제2 부분(74)의 두께를 제1 부분(72)의 두께의 1/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4,000 Å 이하인 것이 좋다.
이때, 게이트선(121)의 확장부 위에 도포되는 감광막(72)은 게이트선(121)의 확장부를 넘어서 확장부의 한쪽 끝에서 소정 거리(L) 이상, 예를 들어 3㎛이상 뻗 어 있다.
이와 같이, 위치에 따라 감광막의 두께를 달리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노광 마스크에 투과 영역(light transmitting area)과 차광 영역(light blocking area)뿐 아니라 반투과 영역(translucent area)을 두는 것이 그 예이다. 반투과 영역에는 슬릿(slit) 패턴, 격자 패턴(lattice pattern) 또는 투과율이 중간이거나 두께가 중간인 박막이 구비된다. 슬릿 패턴을 사용할 때에는, 슬릿의 폭이나 슬릿 사이의 간격이 사진 공정에 사용하는 노광기의 분해능(resolution)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는 리플로우(reflow)가 가능한 감광막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투과 영역과 차광 영역만을 지닌 통상의 마스크로 리플로우 가능한 감광막을 형성한 다음 리플로우시켜 감광막이 잔류하지 않은 영역으로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얇은 부분을 형성한다.
적절한 공정 조건을 주면 감광막(72, 74)의 두께 차 때문에 하부 층들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식각 단계를 통하여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소스 전극(173)을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복수의 드레인 전극(175) 및 복수의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를 형성하고 복수의 돌출부(163)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선형 저항성 접촉 부재(161) 및 복수의 섬형 저항성 접촉 부재(165, 167), 그리고 복수의 돌출부(154)를 포함하는 복수의 선형 반도체(151) 및 복수의 섬형 반도체(157)를 형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배선 영역(A)에 위치한 도전체층(170),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의 부분을 제1 부분이라 하고, 채널 영역(B)에 위치한 도전체층(170),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의 부분을 제2 부분이라 하고, 기타 영역(C)에 위치한 도전체층(170),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의 부분을 제3 부분이라 하자.
이러한 구조를 형성하는 순서의 한 예는 다음과 같다.
(1) 기타 영역(C)에 위치한 도전체층(170),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및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의 제3 부분 제거,
(2) 채널 영역(B)에 위치한 감광막의 제2 부분(74) 제거,
(3) 채널 영역(B)에 위치한 도전체층(170) 및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의 제2 부분 제거, 그리고
(4) 배선 영역(A)에 위치한 감광막의 제1 부분(72) 제거.
이러한 순서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1) 기타 영역(C)에 위치한 도전체층(170)의 제3 부분 제거,
(2) 채널 영역(B)에 위치한 감광막의 제2 부분(74) 제거,
(3) 기타 영역(C)에 위치한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및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의 제3 부분 제거,
(4) 채널 영역(B)에 위치한 도전체층(170)의 제2 부분 제거,
(5) 배선 영역(A)에 위치한 감광막의 제1 부분(72) 제거, 그리고
(6) 채널 영역(B)에 위치한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의 제2 부분 제거.
감광막의 제2 부분(74)을 제거할 때 감광막의 제1 부분(72)의 두께가 줄겠지만, 감광막의 제2 부분(74)의 두께가 감광막의 제1 부분(72)보다 얇기 때문에, 하 부층이 제거되거나 식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부분(72)이 제거되지는 않는다.
적절한 식각 조건을 선택하면, 감광막의 제3 부분 아래의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및 진성 비정질 규소층(150) 부분과 감광막의 제2 부분(74)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감광막의 제2 부분(74) 아래의 불순물 비정질 규소층(160) 부분과 감광막의 제1 부분(72)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선(121)의 확장부(127) 상부에 도포된 감광막(72)으로 인해, 게이트선(121)의 확장부(127)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섬형 저항성 접촉 부재(167) 및 섬형 반도체(157)는 게이트선(121)의 확장부(127)를 넘어서, 확장부(127)의 한쪽 단부에서부터 소정 거리(L) 이상 이격되어 있다.
도전체층(170)의 표면에 감광막 찌꺼기가 남아 있으면 애싱(ashing)을 통하여 제거한다.
이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위에 보호막(180)을 적층한 다음, 그 위에 감광막(40)을 도포하고 그 위에 광마스크(50)를 정렬한다.
광마스크(50)는 투명한 기판(51)과 그 위의 불투명한 차광층(52)으로 이루어지며, 차광층(52)의 폭이 일정 폭 이상 없는 투과 영역(D)과 소정 폭 이상 차광층(52)이 있는 차광 영역(E), 그리고 차광층(52)의 폭 또는 간격이 소정 값 이하인 슬릿형 반투과 영역(F)을 포함한다.
반투과 영역(F)은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의 가장자리 일부(M1)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의 가장자리 일부(M2)와 마주보고, 투과 영역(D)은 게이트선 (121)의 끝 부분(129)과 데이터선(171)의 끝 부분(179) 및 대략 게이트선(121)과 데이터선(171)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 일부 영역과 마주보며, 그 외의 부분은 차광 영역(E)과 마주본다.
이러한 광마스크(50)를 통하여 감광막(40)에 빛을 조사한 후 현상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제1 부분(41)과 두꺼운 제2 부분(42)이 남는데, 이는 도 8a 및 도 8b에서 빗금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광마스크(40)를 통하여 감광막(50)에 빛을 조사한 후 현상하면, 도 8a 및 도 8b에서 빗금친 부분이 없어지고, 나머지 부분이 남는다.
이어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남은 감광막(41, 42)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보호막(180) 부분을 제거하고 연속해서 드러난 게이트 절연막(140)을 식각하여, 대략 게이트선(121)과 데이터선(171)으로 에워싸인 영역 중에서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 가장자리 일부(M1)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가장자리 일부(M2)를 제외한 영역에 복수의 개구부(187, 188, 189)를 형성한다. 또한 게이트선(121)의 끝 부분(129)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1)과 데이터선(171)의 끝 부분(179)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2)을 형성한다. 이때, 감광막(41, 42)이 식각되지 않은 조건으로 식각을 수행하며 보호막(180)이 감광막(41, 42) 아래로 언더컷될 수 있다.
다음, 애싱(ashing) 공정을 실시하여 얇은 감광막 부분(41)을 제거한다. 이때, 두꺼운 감광막 부분(42)의 두께가 줄어든다. 또한 얇은 감광막 부분(41) 하부의 보호막 부분(180), 즉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 가장자리 일부(M1)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가장자리 일부(M2)의 보호막 부분(180)도 어느 정도 두께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어 도 12a 내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IZO 또는 ITO 또는 a-ITO 막을 스퍼터링으로 적층하여 투명 도전체막(90)을 형성한다. IZO의 경우 표적으로는 일본 이데미츠(Idemitsu)사의 IDIXO(indium x-metal oxide)라는 상품을 사용할 수 있고, In2O3 및 ZnO를 포함하며, 인듐과 아연의 총량에서 아연이 차지하는 함유량은 약 15-20 atomic%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ZO의 스퍼터링 온도는 250℃ 이하인 것이 다른 도전체와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때, 투명 도전체막(90)은 남은 감광막 부분(42) 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91)과 그 외의 곳에 위치하는 제2 부분(92)으로 이루어지는데 감광막 부분(42)의 두꺼운 두께로 인하여 감광막 부분(42)과 기타 부분의 단차가 심하여 투명 도전막(90)의 제1 부분(91)과 제2 부분(92)이 적어도 일부분 서로 분리되어 틈이 생기고 이에 따라 감광막 부분(42)의 측면이 적어도 일부분 노출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감광막 부분(42) 아래의 보호막(180)이 감광막 부분(42) 아래로 언더컷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인더컷으로 인해 투명 도전막(90)의 제1 부분(91)과 제2 부분(92) 간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드레인 전극(175)의 확장부 가장자리 일부와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가장자리 일부가 보호막(180)으로 덮여 있으므로 기판(110)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 그리고 기판(110)과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와의 단차가 줄어들어, 기판(110) 위에 형성된 화소 전극(190)과 드레인 전극(175)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177) 위에 형성된 화소 전극(190)의 연결이 끊어질 우려가 없다.
이어 기판(110)을 감광막 용제에 담그면 용제는 남은 감광막(42)의 노출된 측면을 통하여 감광막(42)으로 침투하고 이에 따라 감광막 부분(42)이 제거된다. 이때, 감광막(42) 위에 위치하는 투명 도전막(90)의 제1 부분(91) 또한 감광막 부분(42)과 함께 떨어져 나가므로, 결국 투명 도전막(90)의 제2 부분(92)만이 남게 되며 이들은 복수의 화소 전극(190)과 복수의 접촉 보조 부재(81, 82)를 이룬다(도 1과 도 2a 및 도 2b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과 그 하부의 저항성 접촉 부재(161, 165) 및 반도체(151)를 하나의 사진 공정으로 형성하고, 화소 전극(190) 및 접촉 보조 부재(81, 82)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사진 공정을 생략하여 전체 공정을 간소화한다.
다음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유지 축전기 영역에서의 감광막(40)의 두께와 드레인 전극(175)과 화소 전극(190)간의 접촉부에서의 감광막(40)의 두께를 살펴본다. 도 13은 종래의 유지 축전기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감광막(40)이 식각된 다음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축전기 영역에 대한 단면도로서, 감광막(40)이 식각된 다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드레인 전극(175)과 화소 전극(190)간의 접촉부에 대한 단면도로서 감광막(40)이 식각된 다음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180) 위의 감광막(42)의 두께(b)는 두께 (a1) 보다 (c1+d1)의 두께만큼 두껍다. 이때, (b1-a1)의 두께는 약 8000Å이다.
하지만 도 14의 경우, 두께(b1')는 두께(a1')보다 c1만큼 두껍고, 두께(a1')는 두께(a1)보다 (d1)만큼 두껍다.
이처럼, 도 13의 경우 감광막(41)의 두께 변화는 b1》a1인 반면에, 도 14의 경우 감광막(42)의 두께 변화는 b1'>a1'>a1의 같이 단계적으로 변하여, 감광막(42)의 프로파일은 보호막(180)의 프로파일과 유사해진다.
또한 도 14의 두께(a1')는 도 15의 두께(A)와 같고, 도 14의 두께(b1')는 도 15의 두께(B)와 비슷해지므로, 유지 축전기 영역의 감광막(42)의 두께 차이와 드레인 전극(175)과 화소 전극(190) 간의 접촉부의 감광막(42)의 두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 전극과 화소 전극을 연결하는 접촉구 및 화소 전극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화소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사진 식각 공정을 생략하여 전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축전기 영역에서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가 하부의 게이트선을 넘어서 소정 거리 이상 연장하므로 감광막의 프로 파일을 완만하게 하고, 유지 축전기 영역에 도포되는 감광막의 두께와 드레인 전극 및 화소 전극간의 접촉부에 도포되는 감광막의 두께 차이를 줄인다. 이로 인해, 감광막의 두께 차이를 고려하는 공정 조건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이 용이해지고, 그 만큼 공정 마진도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상기 게이트선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드레인 전극 및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상기 데이터선,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제1 부분 및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제2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막, 그리고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상기 드레인 전극의 제3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제외한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제4 부분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막과 분리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며,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는 그 하부의 게이트선의 한 단부를 넘어서 상기 단부에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뻗어 있는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제1항에서,상기 소정 거리는 약 3㎛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제2항에서,상기 제1 부위는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으로 에워싸인 영역 중에서, 상기 드레인 전극의 한 가장자리 부근이고,상기 제2 부위는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으로 에워싸인 영역 중에서,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한 가장자리 부근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제3항에서,상기 보호막은 상기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접촉 구멍 및 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접촉 구멍을 가지며,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접촉 구멍을 포함하고,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접촉 구멍을 포함하는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제4항에서,상기 보호막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함께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접촉 구멍을 더 가지고,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은 상기 제3 접촉 구멍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구멍과 동일한 경계선을 가지는 접촉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는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제1항에서,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데이터선과 상기 드레인 전극 사이를 제외하면 상기 데이터선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제1항에서,상기 유지 축전기용 도전체의 일부는 상기 게이트선의 일부와 중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9043A KR20060070338A (ko) | 2004-12-20 | 2004-12-20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9043A KR20060070338A (ko) | 2004-12-20 | 2004-12-20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0338A true KR20060070338A (ko) | 2006-06-23 |
Family
ID=3716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9043A Withdrawn KR20060070338A (ko) | 2004-12-20 | 2004-12-20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70338A (ko) |
-
2004
- 2004-12-20 KR KR1020040109043A patent/KR20060070338A/ko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2538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60016920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JP4898229B2 (ja) | 光マスク、及びそれを用いた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 |
JP2006201789A (ja) |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00058975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061844B1 (ko) | 박막 표시판의 제조 방법 | |
KR101209045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219041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70039274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 |
KR101160823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그 제조 방법 | |
KR20060083247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090256B1 (ko) | 광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방법 | |
KR101046925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878238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12550B1 (ko) | 광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방법 | |
KR20070052823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60089526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그 제조 방법 | |
KR20060070338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
KR20060060334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060068304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 |
KR101002937B1 (ko) |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60016925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60111753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50093881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 |
KR20060058967A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