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60031A -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 Google Patents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031A
KR20060060031A KR1020067004491A KR20067004491A KR20060060031A KR 20060060031 A KR20060060031 A KR 20060060031A KR 1020067004491 A KR1020067004491 A KR 1020067004491A KR 20067004491 A KR20067004491 A KR 20067004491A KR 20060060031 A KR20060060031 A KR 2006006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address
public address
name server
wire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983B1 (ko
Inventor
페트리 니캐넨
자리 모노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6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9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단말, 무선통신망, 가변형 공인주소, 통신당사자, 외부 이름서버

Description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for reaching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도달가능성(mobile reachability)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3G(3rd Generation) 통신망들과 같이 패킷데이터통신들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망들은 이러한 통신망들에 연결된 무선단말들에 대해 인터넷프로토콜(IP)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일한 공인IP주소는 무선통신망들의 무선단말들에 영구적으로 할당되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한 이유는 이용가능한 IP주소들(구체적으로는 IPv4 주소들)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무선통신망 제공자는 사설IP 주소를 무선통신망 내의 통신을 위해 무선단말에 할당할 수 있고, 공인IP주소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의 통신을 위해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이용한다. (IP주소공간에서, 일부 주소들은 비공개의 "사설(private)" 시스템들에서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는 사설주소들로서 정의된다. 사설IP주소들은 그것들이 하나의 특정한 물리적 엔티티에 유일하게 라우팅 가능하지 않으므로 전역적으로 (globally) 사용될 수 없다. 반면, 공인IP주소들은 특정 물리적 엔티티에 유일하게 할당될 수 있고 그래서 그것들은 전역적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NAT기기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를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일부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요소를 통상 사용한다. NAT는 많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고; 주된 아이디어는 다른 네트워크들에서의 통신을 위해 NAT기기 이면에서 사용되는 사설주소를 공인IP주소로 대체하고 그 반대로 하는 것이다. 즉, NAT기기에서 출처(source) 및/또는 목적지 주소는 사설IP주소에서 공인IP주소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된다.
NAT는 번역 시에 예를 들면 다 대 일 매핑을 채용할 수 있고, 이는 모든 NAT기기 이면에서 사용되는 모든 사설IP주소들이 번역 시에 NAT기기의 공인IP주소에 의해 대체된다는 의미이다. 이런 식으로, NAT기기 이면에서 비롯되는 모든 데이터패킷들은 다른 네트워크들에서 그것들이 NAT기기에서 비롯되었던 것처럼 보이게 된다. 그때 NAT기기는 NAT기기로 반환되는 데이터패킷들의 트랙을 유지하며, 공인IP주소를 원래의 사설IP주소로 되돌아가게 번역하고, 그 데이터패킷들을 올바른 목적지들에 전송한다. 통상 다른 포트번호들이 다른 당사자(party)들에 속한 데이터패킷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다른 네트워크들로부터 NAT기기 이면의 무선단말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대신, 그 무선단말은 모든 통신을 시작해야 한다.
하나의 다른 대체예는 다 대 다 매핑을 번역시에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NAT기기 이면에서 사용되는 사설IP주소가 번역 시에 공인IP주소들의 풀(pool)로부터 취해진 공인IP주소에 의해 대체된다는 의미이다. 통상 풀에서 공인IP주소들의 수는 NAT기기 이면에서 사용중인 사설IP주소들의 수보다 작은데, NAT기기 이면의 모든 기기들이 동시에 통신하지 않고 그러므로 그것들의 각각에 대해 공인IP주소를 가질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인IP주소가 NAT기기 이면의 무선단말에 일시적으로 할당되므로, 무선단말은 이 일시적으로 할당된 공인IP주소를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들로부터 직접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공인IP주소가 주어진 순간에 무선단말에 할당되었는지를 찾아내는 수단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NAT 외에도, 다른 방법들이 IP주소를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출원 WO 01/97483 A2는 IP주소를 이동단말에 동적으로 할당하는 대체 방법을 기재한다.
무선 영역에서 현재 이용가능한 많은 IP기반 서비스들은, 무선단말이 통신을 시작한다는 이른바 풀(pull) 개념에 기초한다. 무선단말이 IP기반 통신 자체를 시작한다면, 그것은 통신이 시작될 때 유효한 공인IP주소가 무선단말에 할당되기에 충분하다. 이 경우 무선단말의 IP주소를 미리 아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른바 푸시-서비스들, IP기반 다수 플레이어 게임들 및 IP기반 채팅과 같은 일부 IP기반 서비스들에서는, 다른 통신당사자가 통신을 시작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의 IP주소가 알려지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이동전화기의 공인IP주소가 동적으로 변하는 동안, 일부 IP기반 푸시형 서비스를 무선통신망의 이동전화기에 막 제공하려고 하는 인터넷의 서버를 고려하자. 그러면, IP기반 통신을 시작하고 서비스를 이동전화기에 제공하기 위해 서버가 주어진 순간에 이동전화기의 유효한 IP주소를 찾아내는 수단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무선단말들의 유효한 IP주소정보는 통상 다른 통신당사자들을 위해 곧바로 이용가능하지는 않으므로, 무선단말들에 도달하기 위해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에서 논의된 문제를 해결하는 직접적인 방법은 무선통신망 운영자가 개별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들의 현재의 IP주소들을 공적으로(publicly) 알려주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해법을 도시하는 네트워크도를 보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무선통신망 A(101), 무선통신망 B(110), 인터넷서비스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네트워크(113) 및 인트라넷통신망(116)이 NAT기기들(105, 109 및 112)을 통해 그리고 NAT기능성을 포함하는 방화벽(115)을 통해 인터넷(106)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두 무선기기들인 이동전화기(103)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102)는 무선통신망 A에 연결되며, 이동전화기(111)는 무선통신망 B에 연결되며, 서버(108)는 인터넷에 연결되고 PC(Personal Computer)(117)는 인트라넷통신망에 연결된다.
인터넷, ISP네트워크, 인트라넷통신망 및 무선통신망 A는 이름서버들(107, 114, 118 및 104)을 각각 포함한다. 이름서버(이름서버)는 각종 기기들의 주소정보를 개별 기기들에 관련하여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들에 의해 유지하는 네트워크요소이다. 이름서버들은 일부 다른 이름서버에 유지되는 주소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이름서버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 B는 이름서버(도 1에는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전화기(103)가 동적 IP주소를 가지고 이 동적 IP주소는 예를 들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서버(도 1에는 미도시)에 의해 또는 NAT기기(105)에 의해 또는 일부 다른 수단에 의해 이동전화기에 일시적으로 할당된다고 가정하자. 이동전화기(103)의 공인IP주소가 바뀔 때마다 현재 유효한 주소는 이동전화기에 할당되었던 유일한 호스트이름에 관련하여 이름서버(104)에 저장된다. 무선통신망이 IP주소들의 할당 및 이름서버 둘 다를 제어하므로, 이름서버(104)를 최신 정보로 유지하는 것이 수월하다.
그때 이름서버(104)는 이동전화기(103)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이동전화기에 관련된 유일한 호스트이름에 의해 직접 또는 다른 이름서버 요소들을 통해 통지한다. 도 1에서 점선은 다른 이름서버들을 통해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이동전화기(103)의 IP주소가 배포되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PC(117)는 이름서버(118)로부터 이동전화기(103)의 IP주소를 얻고, 이름서버(118)는 이름서버(104)로부터의 IP주소를 이름서버(107)를 통해 얻고, PDA기기(102)는 이동전화기(103)의 IP주소를 이름서버(104)로부터 직접 얻는다.
이 해법은 많은 기술적 문제들을 가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해법의 문제는 비즈니즈적(business-wise) 무선통신망 운영자들이 일반적으로는 도달가능성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는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적어도 이 운영자들은 외부 당사자들에게 이 도달가능성 정보를 무료로 제공할 의향이 없는데,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그들의 사유(proprietary) 서비스들을 예를 들면 IP기반 서비스들에 의해 우회할 수 있어 네트워크 운영자들의 수입을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동단말기들의 주소지정능력(addressability)에 도달하는 다른 방법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제안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주소 변환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SIP 주소지정 방법에서, SIP 등록 프록시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다른 유형들의 정보(이를테면 사용자의 이메일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단말 IP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선단말 사용자들은 그들 자신들을 SIP 등록 프록시에 등록하여, 다른 무선단말 사용자들이 등록 프록시로부터 그들의 IP주소를 얻을 수 있게 한다. SIP의 사용은 특정 SIP 서버들이 구현되는 것과 클라이언트 단말들이 특정 SI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현재의 해법들 중의 어느 것도 최적이 아니고, 그러므로 모바일 도달가능성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대체 해법이 필요하다.
이제,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무선단말 자체가 자신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통지한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즉, 동적 IP주소를 가지는 무선단말은 자신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무선단말의 IP주소가 바뀔 때마다 갱신될 것이 요구된 다른 통신당사자들에 직접 통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IP주소가 주어지는 다른 통신당사자들은 미리 정의된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 조건부적으로(conditionally)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하면,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식별정보라는 용어는, 무선단말에 관련된 그리고 대응하는 무선단말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이러한 식별정보의 예는 예를 들면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이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무선단말들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들을 저장하고 배포하기 위해 외부 이름서버를 유지한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이름서버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무선단말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주어진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이름서버로부터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의하면,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무선단말이 등록된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외부 이름서버 내에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가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의하면,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망;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가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의하면,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망;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가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 및
외부 이름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의하면,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된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유지하도록,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이름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의하면,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구성된 무선단말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의하면,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그리고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하게끔 구성된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은 무선 데이터패킷 통신 능력을 가지는 임의의 적당한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들의 예들로는 이동전화기들, PDA기기들, 랩탑 컴퓨터들, 및 무선통신모듈에 연결된 다른 데이터 처리 기기들이 있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의하면,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당사자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는 무선 또는 유선 데이터패킷 통신 능력들을 가지는 임의의 적당한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들의 예들로는 범용 컴퓨터들, 서버들, 랩탑 컴퓨터들, 이동전화기들 및 PDA기기들이 있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의하면, 이름서버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공인주소는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어 있고 무선단말은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이름서버 내에 유지하며;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름서버 내에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가 상기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하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의하면,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그것에 동적으로 할당된 가변형 공인주소를 가지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를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에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그램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의하면,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그것에 동적으로 할당된 가변형 공인주소를 가지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하고, 상기 무선단말은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고,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하도록 구성된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그램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2양태에 의하면, 통신기기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당사자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접 수신하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그램에 제공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담고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관련한 종속항들에 담겨있는 주제 역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은 본 발명이 표준 IP기술에 기초하고 그래서 시스템들에 대한 추가 변형 없이 IP기반 프로토콜들 및 IP 프로토콜 상에 구축된 응용(application)들을 지원한다. SIP와 같은 특정 시작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네트워크들에서 지원되는 기능성에 관련될 필요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IP에 관계하는 본 발명의 사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의 이점은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주소정보가 이용가능하게 될 당사자들이 무엇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다음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도,
도 4~6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름서버를 도시하며,
도 8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을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되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시스템들의 네트워크도들이다. 이후로는, 동일한 참조번호 매김이 도 2 및 도 3에서 동일한 요소들에 대해 이용된다.
도 2에서, 무선통신망 A(221), 무선통신망 B(210), ISP네트워크(213) 및 인트라넷통신망(216)이 각각 NAT기기들(220, 209 및 212) 및 NAT기능성을 포함하는 방화벽(215)을 통해 인터넷(206)에 연결된다. 두 개의 무선기기들인 이동전화기(201)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205)는 무선통신망 A에 연결되며, 이동전화기(202)는 무선통신망 B에 연결되며, 서버(203)는 인터넷에 연결되고 PC(Personal Computer; 204)는 인트라넷통신망에 연결된다.
인터넷, ISP네트워크 및 인트라넷통신망은 이름서버들(207, 214 및 218)을 각각 포함한다. 이름서버는 각종 기기들의 주소정보를 개별 기기들에 관련된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에 의해 유지하는 네트워크요소이다. 이름서버들은 어떤 다른 이름서버에 유지되는 주소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이름서버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망 A 및 무선통신망 B는 이름서버들(도 2에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전화기(201)는 자신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PDA(205), 이동전화기(202), 서버(203) 및 PC(204)와 같은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직접 통지한다. 도 2에서 점선들은 이동전화기의 IP주소가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어떻게 보내지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통지하는 것은, 이동전화기(201)가 주소갱신요구를 다 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실질적으로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그리고 다른 통신당사자들이 그들이 수신한 주소갱신요구의 출처주소를 추출하고 그 출처주소를 이동전화기(201)의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로서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통지는 이런 식으로 행해지는데, 다른 통신당사자가 알고 있는 출처주소는 사실상 이동전화기가 도달될 수 있게 하는 공인IP주소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주소갱신요구는 이동전화기(201)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그래서 다른 통신당사자들은 그들이 수신한 어드레스정보가 누구의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주소갱신요구들을 송신하는 빈도는 네트워크 환경에 달려 있다. 예를 들면 개별 통신엔티티의 능동적 연결들이 종료된 후에 X분/시간 동안 하나의 통신엔티티에 대해 공인IP주소를 예약하도록 NAT기기가 구성되었다면, X분/시간마다 주소갱신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값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많은 이동통신망 구현예들에서, 이동기기의 IP주소는 이동기기의 지리적 위치가 변경될 때 변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그 이동기기가 정지해 있다면 동일한 IP주소가 더 긴 기간 동안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이동통신망 제공자의 네트워크 구성에 의존하여 IP주소는 다소 자주 변경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환경에서, 주소갱신요구들을 보내는 적당한 빈도는 예를 들면 하루일 수 있다.
무선단말의 지리적 위치 및 그것의 IP주소 사이의 링크는 이동통신망의 가장자리에서 NAT를 이용해야 하는 부가적인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즉, 무선단말의 지리적 위치를 그것의 IP주소에 의해 드러내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면, 이동통신망 내의 그 무선단말의 IP주소는 NAT에 의해 숨겨질 필요가 있다.
주소갱신요구들을 송신하는 것에 대한 대체예로서, 이동전화기(201)에서 돌아가는 "디먼(daemon)" 소프트웨어가 있을 수 있는데, 이 소프트웨어는 이동전화기에 할당된 공인IP주소를 계속 모니터하고 이 공인IP주소가 변경될 때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공인IP주소를 자동으로 송신한다. 또한 이 경우 공인IP주소에는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기(201)를 식별하는 정보가 동반되어 다른 통신당사자들은 그들이 수신한 주소정보가 누구의 것인지를 알게 된다.
당연히, 이동전화기(201)는 자신이 소유한 IP주소를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직접 통지할 수 있기 위해 다른 통신당사자들의 IP주소들을 알 필요가 있다. 다른 통신당사자들은 정적 IP주소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IP주소는 공적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다. 그 경우 다른 통신당사자의 IP주소를 아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다른 통신당사자도 IP주소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것은 공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다. 그 경우 IP기반 통신과는 다른 것이 다른 통신당사자의 IP주소를 이동전화기(201)에 초기에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문메시징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 또는 실황 또는 전화 통화로의 구두적(verbal)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분명히, 임의의 다른 적당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PDA(205), 이동전화기(202), 서버(203) 및 PC(204)와 같은 다른 통신당사자들에서 돌아가는 "청취자 디몬(listener daemon)" 소프트웨어가 있 고, 이 청취자 디몬은 이동전화기(201)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그것이 송신될 때마다 수신하고 저장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S(HTTP Secure)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신호하기(signing), 인증(authentication) 및 사용자 식별 방법들은, 적당한 쿠키교환들(cookie exchanges) 및/또는 이동전화기의 이전에 유효한 IP주소의 이용과 결합하여, 이동전화기(201) 및 다른 통신당사자들(205, 202, 203 및 204) 사이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것이고, 그래서, 그것들은 여기서는 더 이상 다루어지지 않는다.
주소정보를 알려줄 통신당사자들은 예를 들면 미리 정의된 목록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통신당사자들이 그 목록에 추가되도록 요청될 수도 있다. 통신당사자를 목록에 추가하는 것은 IP기반 서비스에 가입할 때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이동전화기의 사용자는 통신당사자들을 목록에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더구나, 이동전화기(201)의 사용자는 어떤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자신의 공인IP주소를 알려줄 것인지를 제어할 추가적인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주소정보의 송신을 미리 정의된 프로파일 정보에 의해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시간 동안 사용자는 "바쁨(busy)" 프로파일을 선택하여 주소정보를 인터넷의 뉴스 푸시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자유시간" 프로파일은 주소정보를 뉴스 푸시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고 일부 비즈니스접점에 주소정보를 보내는 것을 거부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들은 주어진 순간 에 받기 원하는 통신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당연히 "자유시간"에서 "바쁨"으로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것은 뉴스 푸시 서버가 이동전화기에 접촉하는 것을 순간적으로 방지할 수 없지만, 이동전화기의 공인IP주소가 변경되자마자, 뉴스 푸시 서버는 이동전화기에 대한 자신의 접촉을 잃는다.
위에서 설명된 어드레싱 정보의 거부 외에도 더 진보된 방화벽들 또는 다른 정보보안대책들이 이동전화기(201)의 보안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전형적으로는 어드레싱 정보의 거부는 방어의 제1선으로 간주되지만, 더 진보된 보안대책들 이를테면 방화벽들은 원치 않는 연결 시도들을 실제로 차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무선통신망 A(221), 무선통신망 B(210), ISP네트워크(213) 및 인트라넷통신망(216)이 NAT기기들(220, 209 및 212) 및 NAT기능성을 가지는 방화벽(215)을 통해 인터넷(206)에 각각 연결된다. 두 개의 무선기기들인 이동전화기(301)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313)는 무선통신망 A에 연결되며, 이동전화기(310)는 무선통신망 B에 연결되며, 서버(311)는 인터넷에 연결되고 PC(Personal Computer; 312)는 인트라넷통신망에 연결된다.
인터넷, ISP네트워크 및 인트라넷통신망은 이름서버들(207, 214 및 218)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무선통신망 A 및 무선통신망 B는 이름서버들(도 3에는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은 부가적으로 다른 이름서버(302), 이른바 외부이름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전화기(301)는 자신의 현재 유효한 IP주소 를 이동전화기(301)의 공인IP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인터넷의 외부 이름서버(302)에 송신한다. 이 IP주소는 전형적으로는 이동전화기에 대해 정해진 IP주소 및 호스트이름의 조합물로서 송신된다. 부가적으로 이 조합물은 적당한 인증 자격증명(authorization credential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전화기(301)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는 실질적으로 주기적인 주소갱신요구들에 의해 외부 이름서버(302)에 송신될 수 있고, 이로써 외부 이름서버는 그것이 수신한 주소갱신요구의 출처주소를 추출하고 그 출처주소를 이동전화기(301)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로서 사용한다. 대안으로, 이동전화기(301)에서 돌아가는 "디몬" 소프트웨어가 있을 수 있고, 이 디몬 소프트웨어는 이동전화기에 할당된 공인IP주소를 계속 모니터하고 공인IP주소가 변경될 때 그 공인IP주소를 외부 이름서버에 자동으로 송신한다.
외부 이름서버는 이동전화기(301)의 현재 유효한 IP주소를 테이블 또는 다른 적당한 데이터구조 내에 유지하고, 직접 또는 다른 이름서버를 통해 필요해질 때, 그 IP주소를 PDA(313), 이동전화기(310), 서버(311) 및 PC(312)와 같은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제공한다. 도 3에서 점선들은 이동전화기의 IP주소가 어떻게 시스템 내에서 배포되는 지를 도시한다.
주소정보 외에도, 외부 이름서버(302)는 바람직하게는 개별 이동전화기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유지한다. 그러면, 이동전화기(301)의 IP주소가 주어지는 통신당사자들은 개별 프로파일 정보로 주어진 조건들에 기초하여 조건부적으로 선택된다. 프로파일 정보는 미리 외부 이름서버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이동전화기 (301) 내에서 정해지고 이동전화기의 IP주소와 함께 외부 이름서버에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프로파일 정보를 이동전화기(301)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바꿀 수 있다. 이 프로파일 정보는 새로운 주소 또는 주소갱신요구가 보내질 때마다 또는 그 프로파일이 바뀐 때에만 송신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파일 정보가 바뀌었지만 이동전화기의 IP주소는 변경되지 않았다면 프로파일 정보는 주소정보 없이 단독으로 송신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는 이동전화기(301)의 IP주소가 임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주어지지 않을 것을 나타낼 수 있거나 예를 들면 이동전화기(301)의 IP주소가 작동시간 동안 주어질(또는 주어지지 않을) 주소들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들 사이의 방화벽들 및 다른 보안대책들에 관련된 양태들이 고려되어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방화벽(215)은 주소정보를 PC(204)에 직접 송신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합에서, 이동전화기(201)는 자신의 IP주소를 다른 통신당사자들과 외부 이름서버 모두에 직접 통지하기에 적합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PC(204)는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주소정보를 얻을 것이지만, 어느 다른 통신당사자들은 주소정보를 이동단말기(201)로부터 직접 수신한다.
게다가, 이동전화기(201 또는 301)로부터 다른 네트워크들에 보내진 주소정보를 얻을 때에 고려되어야만 하는 얼마간의 보안 관련 쟁점들이 있다. 대부분의 방화벽들 및 다른 보안대책들은 HTTP 트래픽이 그것들을 (다소) 자유로이 가로지르 는 것을 허용하므로, 포트 80에 대한 HTTP 연결은 주소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P기반 통신은 어느 일정한 IP주소에 그리고 특정 포트에 주소지정된다. 포트 80은 HTTP 트래픽과의 연결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런 방식에서 주소정보를 보내는 것은 방화벽의 관점에서 "정규(normal)" HTTP 트래픽과는 결코 다르지 않다.
도 4~6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4의 흐름도는 도 3의 시스템에 적합한 방법을 도시하고 도 5a, 5b 및 6의 흐름도들은 도 2의 시스템에 적합한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4에서, 도 3의 이동전화기(301)와 같은 무선단말은 단계 40에서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에 의해 외부 이름서버에 등록된다. 여기서 '외부 이름서버'라는 용어는 무선단말과 동일한 네트워크에 위치되지 않은 이름서버를 말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외부 이름서버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들에 무관하게 자신의 서비스들을 누구에게나 제공하는 독립적인 제3자에 의해 유지된다.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은 무선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사용되는 외부 이름서버에 의해 정식화(formulation) 될 수 있다. 호스트이름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완전히 가상적인 이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식별정보가 호스트이름 대신 이용될 수 있다.
단계 41에서, 예를 들면 무선단말의 주소정보가 이용가능하게 될 대상 및/또는 시기에 대해 정의하는 프로파일 정보가 무선단말에 대해 정의된다. 여기서 정의한다(defining)는 말은 미리 정의된 프로파일을 활동적이게 하거나 또는 프로파일 을 실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가 단계 42에서 찾아내어진다. 이 단계는 현재의 공인주소를 계속 폴링하는 단계 및/또는 주어진 순간에 단말에 할당된 공인주소를 볼 수 있는 어떤 외부 서비스로부터 현재의 공인주소를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즉시 이용가능하고 그래서 그것들은 여기서 추가로 논의되지 않는다.
단계 43에서, 현재의 공인주소는 현재 활동중인 프로파일 정보와 함께 외부 이름서버에 송신된다. 또한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이 대응하는 무선단말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현재의 공인주소를 외부 이름서버에 송신하는 동안 포함된다. 현재의 공인주소가 송신되는 때마다 프로파일 정보를 보내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대신에, 프로파일은 그것이 변경된 때에만 송신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프로파일이 변형되었지만 현재의 공인주소는 변경되지 않았다면, 프로파일 정보는 단독으로도 송신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은 외부 이름서버에서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열쇠이고 그래서 외부 이름서버에 무엇인가가 송신될 때마다 호스트이름이 송신된다.
그 후 현재의 공인주소는 단계 44에서 상기 외부 이름서버 내에 개개의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과 관련하여 유지된다. 단계 45에서,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는 개별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조건부적으로 배포된다. 이로써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미리 정의된 이름서버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도 5a에서, 호스트이름은 도 2의 이동전화기(201)와 같은 무선단말을 위해 단계 50에서 정의된다.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자신의 주소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는 다른 통신당사자들에 의해 호스트이름이 유일하게 식별가능한 한 호스트이름은 어느 정도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이름을 대신하는 다른 식별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는 단계 51에서 찾아내어진다. 도 4의 단계 42와 동일하게, 단계 51은 현재의 공인주소를 계속적으로 폴링하는 단계 및/또는 주어진 순간에 단말에 할당된 공인주소를 볼 수 있는 일부 외부서비스로부터 현재의 공인주소를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현재의 공인주소는 단계 52에서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송신된다. 현재의 공인주소를 송신하는 것은 어떤 식으로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만 한정되지는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대신에, 현재의 공인주소는 필요한 만큼 많은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4의 단계 43과 같이, 현재의 공인주소에는 단계 52에서도 무선단말에 대해 정의된 호스트이름이 동반되고 그래서 다른 통신당사자는 무선단말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통신기기는 유선(fixed) 또는 무선으로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인 임의의 통신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는 예를 들면 주소정보를 송신하는 무선단말과는 동일하거나 다른 무선통신망에 위치된 다른 무선단말, 또는 인터넷에 또는 일부 사설통신망에 위치된 서버 또는 범용컴퓨터일 수 있다. 주소정보를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송신하는 것은 주소정보가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직접 전해지고 이름서버와 같은 중간 저장소는 주소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배치를 말한다. 당연히, 주소정보는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도달하기 전 에 일부 네트워크요소에 일시 저장될 수 있다.
단계 53에서,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는 개별 호스트이름과 관련하여 다른 통신당사자에 유지됨으로써,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다른 통신당사자에서 호스트이름에 의해 장차의 사용을 위해 곧바로 이용가능하다.
도 5b에서, 호스트이름은 도 2의 이동전화기(201)와 같은 무선단말을 위해 단계 55에서 정의된다. 이것은 도 5a의 단계 5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그 후,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을 포함하는 주소갱신요구는 단계 56에서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송신된다. 당연히, 주소갱신요구는 필요하다면 하나를 넘는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보내질 수 있다. 호스트이름은 주소갱신요구의 페이로드에 포함되어 다른 통신당사자는 무선단말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다른 통신기기는 무선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통신기기일 수 있다.
단계 57에서, 다른 통신당사자에 의해 보이는 주소갱신요구의 출처주소는 다른 통신당사자에게서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로서 유지된다. 도 2에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통신당사자가 주소갱신요구 내에서 보는 출처주소는 사실상 무선단말이 도달될 수 있게 하는 공인IP주소이다. 이 주소는 예를 들면 주소들의 테이블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a의 단계 53과 동일하게, 주소는 개개의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에 관련하여 저장된다. 이런 식으로,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다른 통신당사자에게서 호스트이름에 의해 장차의 사용을 위해 곧바로 이용가능하다.
위의 예들에서 다른 통신당사자 역시 무선단말이고 양 단말들이 장시간 오프라인으로 있다면, 그것들은 서로의 유효한 IP주소들을 잃어버릴 수 있다. 이 문제는 한 당사자의 IP주소를 보내기 위해 IP기반 통신과는 다른 것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수동으로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실황 또는 전화통화의 구두적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a 또는 5b에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합들에서, 무선단말은 자신의 IP주소를 다른 통신당사자들 및 외부 이름서버 모두에 통지한다. 그러면, 두 통신당사자들이 서로의 유효한 IP주소를 잃어버린 경우, 유효한 주소정보가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여전히 얻어질 수 있다.
도 6에서, 도 5a의 단계 50과 동일하게, 호스트이름(또는 다른 식별정보)이 단계 60에서 무선단말을 위해 정의된다. 단계 61에서는, 도 4의 단계 41과 동일하게, 예를 들면 무선단말의 주소정보가 제공될 대상과 시기에 대해 정의하는 프로파일 정보가 무선단말을 위해 정의된다. 그러면,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는 단계 62에서 찾아내어진다.
단계 63에서, 다른 통신당사자들의 집합이 무선단말을 위해 정의된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그 후,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 및 호스트이름은 단계 64에서 다른 통신당사자들의 상기 집합의 구성원들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송신된다. 단계 65에서,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는 개별 호스트이름에 관련하여 다른 통신당사자의 구성원들 내에 유지되고, 이로써 그 구성원들은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호스트 이름에 의해 장차의 사용을 위해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름서버(70)를 도시한다.
이름서버(70)는 처리부(71)와 처리부(71)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모듈(72)을 포함한다. 처리부(71)는 프로세서(미도시), 메모리(74), 및 메모리(74)에 저장되어 처리부(71)에 의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컴퓨터소프트웨어(7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75)에 따라, 이름서버(7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름서버가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를 개별 단말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접 수신하게 하고,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를 메모리(74) 내에서 개별 무선단말의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에 관련하여 유지시킨다.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는 이름서버에 메시지의 페이로드로서 송신될 수 있거나 이름서버는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소갱신요구와 같은 메시지의 출처주소를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이름서버(70)를 제어하여 이름서버가 무선단말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고 무선단말의 현재의 공인주소를 개별 무선단말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로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조건부적으로 배포하도록 한다.
위의 예에서, 주소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구조는 테이블일 필요는 없고 연결리스트(linked list) 또는 벡터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당한 데이터구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80)을 도시한다.
무선단말(80)은 처리부(81), 무선주파수(RF)부(82),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UI; 83)를 포함한다. 무선주파수부(82)와 사용자인터페이스(83)는 처리부(81)에 연결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83)는 전형적으로는 사용자가 무선단말(80)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키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처리부(81)는 프로세서(미도시), 메모리(84), 및 메모리(84)에 저장되어 처리부(81)의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컴퓨터소프트웨어(8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85)에 따라, 무선단말(80)의 동작을 제어하여 무선단말이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의 외부 엔티티를 동적으로 통지하여 상기 외부 엔티티 또는 어떤 다른 외부 엔티티가 무선단말(80)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외부 엔티티는 예를 들면 외부 이름서버 또는 또 다른 통신당사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무선단말(80)을 제어하여 어떤 다른 당사자들에게 IP주소를 직접 통지할지 또는 어떤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IP주소가 외부 엔티티로부터 배포될지를 조건부적으로 선택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9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기기(90)는 유선 단말이다. 그러나, 이 통신단말은 대신으로 무선단말일 수도 있다.
통신기기(90)는 처리부(9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모듈(92), 및 사용자인터페이스(93)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모듈(92)과 사용자인터페이스(93)는 처리부(91)에 연결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93)는 전형적으로는 사용자가 통신기기(90)를 이용할 수 있게 돕는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처리부(91)는 프로세서(미도시), 메모리(94), 및 메모리(94)에 저장되어 처 리부(91)의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소프트웨어(9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95)에 따라, 통신기기(90)의 동작을 제어하여 통신기기가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를 개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하고 수신된 주소를 메모리(94) 내의 테이블(96)에 저장할 수 있게 한다.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는 통신기기에 메시지의 페이로드로서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기기는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주소갱신요구와 같은 메시지의 출처주소를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공인IP주소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통신기기를 제어하여 이 통신기기가 테이블(96)에 저장된 주소가 테이블에 저장된 무선단말들에 도달하기 위해 주소정보를 이용하게 한다.
위의 예에서, 주소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구조는 테이블일 필요는 없고, 임의의 다른 적당한 데이터구조, 이를테면 연결리스트 또는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 및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위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의 상세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동등한 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공인주소를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하는 임의의 특정 기술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보다는, 본 발명은 임의의 적당한 방법과 연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적당한 방법이 무선단말의 현재 유효한 공인주소를 찾아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34)

  1.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주소갱신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소갱신요구는 출처주소 및 목적지주소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 의해 보이는 주소갱신요구의 출처주소를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갱신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무선단말에 할당된 공인주소를 얻기 위해 주어진 순간에 동적으로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찾아내는 단계; 및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현재 공인주소의 이전의 송신 후에 상기 현재 공인주소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송신하는 단계가 행해지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찾아내는 단계는,
    무선주소의 공인주소를 무선단말의 공인주소를 볼 수 있는 외부 엔티티로부터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찾아내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계속해서 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어떤 다른 통신당사자들에게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통지할지를 조건부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이용가능하게 될 것이 어떤 것인지에 관해 정의하는 미리 정의된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 내에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가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장차의 사용을 위해 곧바로 이용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미리 정의된 호스트이름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는, 무선통신능력을 가지는 이동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기기 또는 랩탑컴퓨터와 같은 범용컴퓨터, 서버 및 다른 무선단말 중의 하나인 방법.
  1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제1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무선단말이 등록된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외부 이름서버 내에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가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주소갱신요구를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소갱신요구는 출처주소 및 목적지주소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의해 보이는 주소갱신요구의 출처주소를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주소갱신요구를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하는 단계는,
    무선단말에 할당된 공인주소를 얻기 위해 주어진 순간에 동적으로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찾아내는 단계; 및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현재 공인주소의 이전의 송신 후에 상기 현재 공인주소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행해지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름서버에 현재 공인주소를 통지하는 것과 협력하여 상기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름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주소정보를 이용가능하게 될 것이 어떤 것인지를 정의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주소정보가 이용되거나 이용되지 않을 기간을 정의하는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제1무선통신망의 외부에 위치된 방법.
  22.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망;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가 상기 무선단말 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망;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가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 및
    외부 이름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이름서버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시스템.
  24.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된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유지하도록,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이름서버.
  25.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구성된 무선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출처주소 및 목적지주소를 포함하는 주소갱신요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 의해 보이는 주소갱신요구의 출처주소를 무선단 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로서 이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지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단말.
  27. 제25항에 있어서,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얻기 위해 주어진 순간에 무선단말에 할당된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찾아내는 단계; 및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실질적으로 직접 송신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통지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단말.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인주소가 통지되는 다른 통신당사자들이 어떤 것인지를 조건부적으로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무선단말.
  29.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로서, 가변형 공인주소는 상기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하며, 상기 무선단말은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되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그리고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무선단말의 상 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하게끔 구성된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단말.
  30.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당사자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기기.
  31. 이름서버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공인주소는 무선단말에 동적으로 할당되어 있고 무선단말은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관련하여 상기 이름서버 내에 유지하며;
    상기 식별정보에 관련된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이름서버 내에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가 상기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하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2.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그것에 동적으로 할당된 가변형 공인주소를 가지고,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당사자를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에 실질적으로 직접 동적으로 통지하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그램.
  33.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단말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무선단말은 그것에 동적으로 할당된 가변형 공인주소를 가지며, 상기 무선단말은 상기 무선통신망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변형 공인주소에 의해 도달가능하고, 상기 무선단말은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에 관련된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무선단말의 현재 공인주소를 동적으로 통지하고,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프로파일 정보에 주어진 조건들에 따라 무선단말의 상기 현재 공인주소를 조건부적으로 배포하도록 구성된 상기 외부 이름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상기 외부 이름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의해 조건부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그램.
  34. 통신기기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에 있어서, 다른 통신당사자에게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다른 통신당사자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접 수신하는 루틴을 제공하는 컴퓨터프로그램.
KR1020067004491A 2003-09-05 2004-08-1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Expired - Lifetime KR100808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56,834 US7944947B2 (en) 2003-09-05 2003-09-05 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for reaching a wireless terminal
US10/656,834 2003-09-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042A Division KR20080005439A (ko) 2003-09-05 2004-08-1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31A true KR20060060031A (ko) 2006-06-02
KR100808983B1 KR100808983B1 (ko) 2008-03-04

Family

ID=342264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042A Ceased KR20080005439A (ko) 2003-09-05 2004-08-1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KR1020067004491A Expired - Lifetime KR100808983B1 (ko) 2003-09-05 2004-08-1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042A Ceased KR20080005439A (ko) 2003-09-05 2004-08-13 무선단말에 도달하기 위한 주소정보 제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944947B2 (ko)
EP (1) EP1661314B1 (ko)
KR (2) KR20080005439A (ko)
CN (1) CN1846406B (ko)
AT (1) ATE518331T1 (ko)
WO (1) WO2005025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0316A1 (en) * 2004-08-05 2006-02-09 Ixi Mobile (R&D) Ltd. Advance viewing of subscriber profil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26602B1 (en) * 2004-10-22 2010-11-02 Juniper Networks, Inc. Enabling incoming VoIP calls behind a network firewall
DE102004055331A1 (de) * 2004-11-16 2006-08-17 Jochen Schumacher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Adresse in einem Daten-Netzwerk
US8041824B1 (en) * 2005-04-14 2011-10-18 Strauss Acquisitions, L.L.C. System, device, method and software for providing a visitor access to a public network
US7523197B2 (en) * 2006-03-09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IP address discovery in rapidly changing network environment
WO2007143679A2 (en) * 2006-06-07 2007-12-1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address method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898249B1 (en) * 2006-08-08 2014-11-2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 user identifier with a device identifer
JP5528328B2 (ja) * 2007-05-04 2014-06-25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プッシュ・メールなどの料金請求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
US9106489B2 (en) * 2008-07-17 2015-08-11 Dish Network,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network address of an audio/video node to a communication device
US20100042674A1 (en) * 2008-08-15 2010-0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y of dynamic ip addresses
US8614976B1 (en) 2010-03-29 2013-12-2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nickname associated with a mobile node
FR2968496B1 (fr) * 2010-12-03 2013-07-05 Sagemcom Documents Sas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ppairage d'un terminal et d'un compte utilisateur
US11418580B2 (en) * 2011-04-01 2022-08-16 Pure Storage, Inc. Selective generation of secure signatures in a distributed storage network
EP2854475B1 (en) * 2012-06-29 2018-10-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Gateway system,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344452B2 (en) 2012-07-19 2016-05-1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er control over WiFi network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8704A (en) * 1995-09-25 2000-08-22 Netspeak Corporation Point-to-point internet protocol
US6243749B1 (en) * 1998-10-08 2001-06-05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network address updating
US6563824B1 (en) * 1999-04-20 2003-05-13 3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orrect workstation within a LAN for a LAN modem to route a packet
JP3636637B2 (ja) * 2000-05-30 2005-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経路最適化方法
KR100708087B1 (ko) * 2000-06-03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간 ip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95592A1 (en) 2000-06-08 2001-12-13 Motorola, Inc. Mobile ip push service
US6687252B1 (en) 2000-06-12 2004-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IP address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464374B1 (ko) 2000-11-01 200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정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US7039721B1 (en) * 2001-01-26 2006-05-02 Mcafe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es
US20020105954A1 (en) * 2001-02-02 2002-08-08 Craig Peter Alan Dynamic update proxy
US7120701B2 (en) * 2001-02-22 2006-10-10 Intel Corporation Assigning a source address to a data packet based on the destination of the data packet
US20020138622A1 (en) * 2001-03-21 2002-09-26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long lived addresses in a private network for push messaging to mobile devices
DE10116547A1 (de) * 2001-04-03 2002-10-10 Nokia Corp Registrierung eines Endgeräts in einem Datennetz
JP4433126B2 (ja) * 2001-05-17 2010-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選択方法、移動局及び基地局
ES2263791T3 (es) * 2001-06-08 2006-12-16 4Th Pass Inc. Metodo, medio de memoria, red de ordenadores y dispositivo para la comunicacion de datos en modo bilateral con dispositivos radioelectricos.
JP2003101570A (ja) * 2001-09-21 2003-04-04 Sony Corp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ー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072340B2 (en) * 2002-01-31 2006-07-04 Telcordia Technologies, Inc. Dynamic assignment and validation of IP addresses in wireless IP networks
KR100485801B1 (ko) * 2002-03-07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사설망에 존재하는 네트워크장치들 간의직접접속을 제공하는 망접속장치 및 방법
US20070169073A1 (en) * 2002-04-12 2007-07-19 O'neill Patrick Update package generation and distribution network
US20060146820A1 (en) * 2002-11-26 2006-07-06 Robert Friedman Geo-intelligent traffic man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439A (ko) 2008-01-11
US20050054343A1 (en) 2005-03-10
US20090022102A1 (en) 2009-01-22
KR100808983B1 (ko) 2008-03-04
EP1661314A1 (en) 2006-05-31
ATE518331T1 (de) 2011-08-15
EP1661314B1 (en) 2011-07-27
CN1846406B (zh) 2012-06-27
CN1846406A (zh) 2006-10-11
WO2005025136A1 (en) 2005-03-17
US7944947B2 (en)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2102A1 (en) 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for reaching a wireless terminal
EP1743461B1 (en) Registration redirect methods and system
EP10172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mobile server and peer-to-peer services with dynamic DNS update
US7274943B2 (en) Service subscrip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37757B2 (en) Systems for providing peer-to-peer communications
EP1451984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information distribution to mobile stations
US20030131061A1 (en) Transparent proxy server for instant messaging system and methods
US200802156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nnection of Clients Behind Symmetric Firewalls
EP2077024B1 (en) Communication system
EP18481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network topology
US20060092917A1 (en) SIP Enabled Device identification
CN100586110C (zh) 用于将消息路由到暂时不可利用的网络用户的方法、系统和网络设备
EP1728370B1 (en) Transmission of communication between data transmission networks
JP4728933B2 (ja) Ip電話通信システム、ip電話通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790067B2 (ja) Ip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ゲートウエイ装置及びip機器
Li et al. Extending Instant Messaging to Provide Pervasive Personal Communication
García Hijes Corporate Wireless IP Telepho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205

Appeal identifier: 2007101011044

Request date: 2007102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7112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6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2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5021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