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602A -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59602A KR20060059602A KR1020040098731A KR20040098731A KR20060059602A KR 20060059602 A KR20060059602 A KR 20060059602A KR 1020040098731 A KR1020040098731 A KR 1020040098731A KR 20040098731 A KR20040098731 A KR 20040098731A KR 20060059602 A KR20060059602 A KR 20060059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mobile communication
- call request
- service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 (b) 호를 수신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었거나 가입되었지만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단계 (c)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단계 (d)의 확인 결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f)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g)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자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 이용 여부에 관계 없이 착신자의 통화가 종료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발신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통화 중 대기, 통화 요청, Call Waiting, Call Request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112 :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120 : 이동통신망 122 : 무선 기지국
124 : 이동통신 교환국 126 : HLR
128 : 통화 요청 서버 210 : 프로그램 저장부
220 : 메모리부 230 : 제어부
240 : NIC
본 발명은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가 통화를 위해 발신할 때에 착신자가 제 3 자와 통화 중인 경우에 착신자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통화 중인 착신자에게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로서 이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보완해주는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대두되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세대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방식과 제 2 세대 셀룰러(Cellular)/개인 휴대 통신(PCS :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방식을 거쳐 발전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ITU-R에서 표준으로 제정하고 있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상용화되고 있다.
IMT-2000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 CDMA 2000 EV-DO(Evolution Data Only), WCDMA(Wideband CDMA) 등으로 기존의 IS-95A, IS-95B, IS-95C 망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IMT-2000 시스템을 이용하면 기존의 음성 통신 서비스 및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한 서비스의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의 상대방과 통화한다. 한편, 이동통신 가입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발신하였지만, 상대방이 이미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와 통화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통신 가입자는 잠시 후에 재 발신함으로써 다시 통화를 시도할 수 있지만, 상대방이 통화를 종료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간략하고 짧게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긴급히 통화해야 하는 경우에 상대방과 바로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통화 중 대기(Call Waiting) 서비스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한 예이다. 통화 중 대기 서비스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화 중에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면,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했음을 알려주어 통화 중에도 발생하는 모든 통화 요청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 서비스이다.
한편, 통화 중 대기 서비스는 통화하려는 상대 즉, 착신자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어야 통화 중에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고, 착신자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리 긴급한 통화이더라도 착신자의 통화 시에는 통화를 요청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신자가 통화를 위해 발신할 때에 착신자가 제 3 자와 통화 중인 경우에 착신자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통화 중인 착신자에게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발신하면 통화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 (b) 호를 수신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었거나 가입되었지만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d) 단계 (c)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단계 (d)의 확인 결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f) 통화 요청 신호를 수 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g)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발신하면 통화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무선 기지국 및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및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 서비스 종류 및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이고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가입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상태이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통화 요청(Call Request)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발신하면 통화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통화 요청 프로그램에 따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및 프로그램 저장부 및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화 요청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통화 요청 서비스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Call Request) 서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동통신으로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을 이용한다는 가정 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CDMA 2000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정한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 및 이동통신망(120)을 포함한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각 단말기 상호 간에 또는 공중 교환 전화망(미도시)을 통한 일반 유선 전화기와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단,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발신할 때 제 3의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일반 유선 전화기일 수도 있다.)와 음성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본 발명에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공중 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미도시)을 통한 일반 유선 전화기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망(120)은 무선 기지국(122),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24),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라 칭함)(126) 및 통화 요청(Call Request) 서버(128)를 포함하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 간에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 기지국(122)은 기지국 전송기(BTS :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미도시),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미도시) 및 중계기(Cell Enhancer)(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미도시)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112)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 112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채널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는 다수의 기지국 전송기(미도시)를 제어 및 관리하면서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24)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HLR(126)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112)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단말기 식별 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동통신 교환국(124)은 HLR(126)을 이용하여 발착신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위치를 파악한다.
통화 요청 서버(128)는 본 발명인 통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버(1280)는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 및 통화 상태를 확인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2)가 통화 중이고,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가입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상태이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선택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발신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버(128)는 프로그램 저장부(210), 메모리부(220), 제어부(2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이하 'NIC'라 칭함)(240)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10)는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통화 요청 서비스 가입 여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2)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 가입 여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통화 중 여부 등을 확인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22)가 통화 중이고,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 나 가입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상태이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발신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연결하기 위한 통화 요청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통화 요청 서버(128)의 운영 체제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컨대,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부(220)는 제어부(2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통화 요청 프로그램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국(124)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220)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에스디램(SDRAM :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통화 요청 서버(128) 전반을 제어하며, 프로그램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통화 요청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통화 요청 서비스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에게 제공한다.
NIC(240)는 이동통신 교환국(124)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키조작을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발신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으로 호를 발신한다(S31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발신 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망(120)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이동통신망(120)은 단계 S320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중인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30). 이동통신망(120)은 단계 S330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한다(S332). 이동통신망(120)은 단계 S330의 확인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40). 이동통신망(120)은 단계 S340의 확인 결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50).
본 발명인 통화 요청 서비스는 발신자를 위한 부가 서비스로서, 착신자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하여 통화 중에 새로운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착신자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로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를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신자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았거나 가입은 했지만 활성화하지 않은 경우에 착신자에게 통화를 요청하기 위해 활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통화 중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고, 통화 중인 경우에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통화 중 대기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며, 가입되지 않은 경우에 비로소 통화 요청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통화 요청 서비스보다 우선적으로 서비스한다.
본 발명에서 통화 요청 신호는 통화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한 식별 신호로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하여금 전자 신호음(듀얼 톤 멀티 프리퀀시(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 또는 멀티 프리퀀시(MF))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와 메시지(예를 들면, "전화가 왔습니다." 등)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액정 화면에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전자 신호음 또는 메시지를 스피커 또는 액정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착신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한 통화 요청에 대해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이동통신망(120)으로 송신한다. 이동통신망(120)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요청을 승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이동통신망(120)은 단계 S360의 판단 결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통화 요청을 승인한 경우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발신 호를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연결한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발신 호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와 연결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서로 통화를 한다(S37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았거나 가입하였으나 비활성화 상태인 착신자의 통화 중에도 착신자에게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함으로써 착신자의 통화가 종료되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발신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9)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발신하면 통화 중인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상기 호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b) 상기 호를 수신하여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c) 상기 단계 (b)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인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었거나 가입되었지만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d) 상기 단계 (c)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e) 상기 단계 (d)의 확인 결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f)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을 승인하는 단계; 및(g) 상기 호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은무선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통화 요청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 요청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을 이용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 저장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한 서비스의 종류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은,상기 단계 (c) 및 상기 단계 (d) 사이에,(c1) 상기 단계 (c)의 확인 결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는,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했음을 통보하는 식별 신호로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전자 신호음(듀얼 톤 멀티 프리퀀시(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 또는 멀티 프리퀀시(MF))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 및 메시지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발신하면 통화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무선 기지국;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된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홈 위치 등록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및 가입한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상기 호를 처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 및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 서비스 종류 및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이고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가입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통화 요청(Call Request)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는,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통화 요청이 발생했음을 통보하는 식별 신호로서,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전자 신호음(듀얼 톤 멀티 프리퀀시(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 또는 멀티 프리퀀시(MF))을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와 메시지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게 하는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서버는,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는 상기 통화 중 대기 서비스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시스템.
-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호를 발신하면 통화 중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새로운 통화 요청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상기 호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통화 요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상기 통화 요청 프로그램에 따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부;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 및상기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화 요청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통화 요청 프로그램의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통화 요청 서비스를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Call Request) 서버.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요청 서버는,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입 서비스 종류 및 통화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중이고 통화 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가입되어 있지만 비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를 상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요청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8731A KR20060059602A (ko) | 2004-11-29 | 2004-11-29 |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8731A KR20060059602A (ko) | 2004-11-29 | 2004-11-29 |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9602A true KR20060059602A (ko) | 2006-06-02 |
Family
ID=3715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8731A KR20060059602A (ko) | 2004-11-29 | 2004-11-29 |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5960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7533B1 (ko) * | 2007-07-26 | 2009-03-06 | (주)제너시스템즈 |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
-
2004
- 2004-11-29 KR KR1020040098731A patent/KR2006005960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7533B1 (ko) * | 2007-07-26 | 2009-03-06 | (주)제너시스템즈 | 신호음 제공 시스템 및 신호음 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14624B (zh) | 多sim ue响应于接收到呼叫而发送繁忙状态消息的方法和装置 | |
US8121584B2 (en) | Methods for handling conference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 |
JP4708473B2 (ja) | 通信システム、移動機、着信制御方法 | |
KR20020071296A (ko) |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 |
KR100651408B1 (ko) | 음성 모드와 데이터 모드간 대체를 이용한 화상전화안내방송 방법 | |
US2007013512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network identification by a mobile subscriber unit | |
KR20030000491A (ko) |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 |
KR20060059602A (ko) | 통화 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US2008012509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ddress book entry between wireless devices | |
KR100484074B1 (ko) |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 |
KR100350248B1 (ko) |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 |
KR100673243B1 (ko) | 착신자가 설정한 통화연결음 제공 상태에서 발신자가 설정한 통화 연결음으로의 변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100854406B1 (ko) |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 |
CN100512501C (zh) |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 |
KR20050072199A (ko) |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 |
KR100678712B1 (ko) | 통화 중 대기 유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KR101254489B1 (ko) | 통화데이터 저장서비스 시스템 및 통화데이터 저장서비스 방법 | |
KR20050071723A (ko)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 |
KR100749435B1 (ko) |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 |
KR20060074930A (ko) | 이동통신망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537694B1 (ko) |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 |
KR20050005144A (ko) | 이동 통신망에서의 통화음성 문자변환 서비스 방법 | |
KR100793309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번호 전송방법 및 그 발신번호 메세지 구조를 가진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KR20010037171A (ko) |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 |
KR10073233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이용한 그룹 콜 구현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