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1723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723A
KR20050071723A KR1020040000005A KR20040000005A KR20050071723A KR 20050071723 A KR20050071723 A KR 20050071723A KR 1020040000005 A KR1020040000005 A KR 1020040000005A KR 20040000005 A KR20040000005 A KR 20040000005A KR 20050071723 A KR20050071723 A KR 2005007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short message
send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1723A/ko
Publication of KR2005007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송신자 단말기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call) 수신시, 수신자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호 연결 실패시, 송신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로를 통해 부가서비스를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고,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DTMF 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된 DTMF신호를 분석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요구한 경우,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해서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설정후,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억세스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상태를 검사하고 통화가능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상태인 경우, 통화가능 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송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METHOD FOR NOTIFYING STATE OF RELATIV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벗어났을 때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해 통화가능상태를 송신자 단말기로 알려주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사업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들어, 서비스 사업자들은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 스팸 SMS 차단 서비스, 자동 연결 서비스, 착신 전환 서비스,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통화중 대기 서비스, 캐치콜(catch call)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상기 캐치콜 서비스는 전원이 꺼져(Power off) 있거나 음영지역에 있을 때 수신된 호(call)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해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전원이 꺼져있거나 음영지역에 있을 때 걸려온 전화를 알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상대 단말기가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태에 있을 때 호(call)는 음성메시지 시스템(VMS : Voice Message System)에 자동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음성메시지 시스템은 송신자 단말기로 상대 단말기가 전화를 받을수 없다는 안내와 음성메시지 저장여부를 묻는다.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이후 상기 상대 단말기가 전화를 받을수 있는 상태로 진입했을 때 음성메시지의 존재를 단문메시지를 통해 통보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상대 단말기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걸려온 전화를 알수가 있다.
하지만,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상대 단말기가 전화를 받을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 아니면 전화를 받을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전혀 알수가 없다. 따라서, 전화가 되지 않을 경우 반복해서 전화를 걸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송신자가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수 있다면, 반복되는 전화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수고 및 자원(배터리, 채널점유 등)의 낭비를 최소화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벗어났을 때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해 통화가능상태를 송신자 단말기로 알려주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시스템의 상위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송신자 단말기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호(call) 수신시, 수신자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호 연결 실패시, 송신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로를 통해 부가서비스를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고,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DTMF 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된 DTMF신호를 분석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요구한 경우,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해서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설정후,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억세스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상태를 검사하고 통화가능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상태인 경우, 통화가능 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송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가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벗어났을 때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통화가능상태를 통화 불가능 상태에서 통화를 시도했던 송신자 단말기로 알려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망(network)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망 구조로서, 구성 요소의 이름만 달라질 뿐 IS-95A/B, GSM, IS-2000, WCDMA, UMTS 등에도 공통적인 구조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MS : Mobile Station)(8)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국(7)은 IP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 음성 중심의 단말(Legacy Terminal)이거나, IP를 지원하는 단말(IP Terminal)일 수 있다. 기지국( BTS : Base Transceiver System)(6)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실질적으로 무선 링크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비이다. 제어국( BSC : Base Station Controller)(5)은 기지국(BTS)들을 제어하는 장비로서, 호 설정 및 해제와 같은 신호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MSC(Mobile Switching Center)/게이트웨이(GW : Gateway)(3)는 이동통신 망과 인터넷(Internet),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를 연결하는 장비로서, 이기종 망간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지원한다. 상기 게이트웨이(GW)는 논리적인 이름으로써 통상 PDSN(Packet Data Service Node), AGW(Access Gateway) 혹은 MGW(Media Gateway) 등의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방문위치등록기(VLR : Visit Location Register)(4)는 상기 이동교환기(3)의 통신영역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및 가입자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한편,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71), 과금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과금데이터 시스템(BDS : Billing Data System)(72), 음성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 시스템(VMS : Voice Message System)(73) 및 착신전환서비스 등과 같은 원격제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제어(RFC : Remote Feature Control)서버(7z) 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부가서비스 노드들(71∼7z)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도 1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본다.
먼저, 단말기(8p)가 단말기(81)로 통화를 시도하고 상기 단말기(81)가 음영지역에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단말기(8p)의 호(call)가 이동교환국(31)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교환국(31)은 홈위치등록기(1)를 억세스해서 상기 단말기(81)의 정보(위치 등) 확인한후 상기 단말기(81)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호 연결을 실패하면, 상기 단말기(8p)의 호를 상기 음성메시지 시스템(73)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단말기(8p)와 상기 음성메시지 시스템(73)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면, 상기 음성메시지 시스템(73)은 상기 통화로를 통해 연결실패메시지(예 : 전화기의 전원이 꺼져 있어 전화를 받을수 없습니다 음성메시지를 남기시려면 1번을, 통화가능통보서비스를 신청하시려면 2번을 눌러주세요)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검사해서 사용자가 누른 버튼 정보를 확인한다. 만일, 사용자가 2번(통화가능 통보서비스)을 선택했다면, 상기 음성메시지 시스템(73)은 상기 홈위치등록기(수신자 단말기의 영역)에 상기 단말기(8p)의 전화번호를 등록해서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설정하게 된다.
이후, 상기 단말기(81)가 음영지역을 탈출하면, 상기 이동교환국(31)은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1)로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1)는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단문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단말기(8p)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8p)의 사용자는 상기 단문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단말기(81)가 통화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문메시지를 확인한후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바로 상기 단말기(81)로 발신을 수행할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04)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104)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106)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06)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마이크(114) 및 스피커(116)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위 시스템이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알고리즘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 시스템들 중 이동교환국(3), 음성메시지 시스템(73), 홈위치등록기(1) 및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71)가 연동해서 수행하는 절차이다. 따라서 이하 수행의 주체를 특정 단위시스템에 국한하지 않고 상위시스템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위 시스템은 301단계에서 하위 시스템(기지국 시스템)으로부터 호(call)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호(call) 수신시, 상기 상위 시스템은 3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호(call)로부터 수신자 번호를 추출하고, 30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수신자 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상기 상위 시스템은 307단계에서 상기 호 연결이 실패되는지 검사한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 실패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있을 때 발생한다. 만일, 상기 호 연결이 성공되면, 상기 상위 시스템은 329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전원이 꺼져 있거나 음영지역이 있어 호가 연결되지 못할 경우, 상기 상위 시스템은 309단계로 진행하여 송신자 단말기(또는 발신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상기 송신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한후, 상기 상위 시스템은 311단계에서 상기 통화로를 통해 송신자 단말기로 연결실패메시지(예 : 전화기의 전원이 꺼져 있어 전화를 받을수 없습니다 음성메시지를 남기시려면 1번을, 통화가능통보서비스를 신청하시려면 2번을 눌러주세요)를 송출한다.
상기 연결실패메시지를 송출한후, 상기 상위 시스템은 313단계에서 상기 통화로를 통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DTMF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상위 시스템은 3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DTMF 신호를 분석해서 사용자가 누른 버튼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상위 시스템은 317단계에서 상기 버튼 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선택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상위 시스템은 331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선택했으면, 상기 상위 시스템은 319단계로 진행하여 홈위치등록기(수신자 단말기의 영역)에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해서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설정한다.
상기 통화기능 통보서비스를 설정한후, 상기 상위 시스템은 321단계에서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억세스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상태를 검사한다. 그리고 상기 상위 시스템은 323단계에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상태에 있는지 검사한다. 만일 통화가능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상위 시스템은 다시 수신자 단말기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321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통화가능상태에 있으면, 상기 상위 시스템은 32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가능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작성한다. 예를들어,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123-456-7890 님이 전화를 받을수 있는 상태입니다. 바로 통화하시려면 통화버튼을 눌러주세요"와 같이 작성하게 된다. 또한, 단문메시지의 송신자 번호 저장 영역에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확인한후 바로 통화버튼을 눌러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발신을 수행할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단문메시지를 작성한후, 상기 상위 시스템은 3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송신자 단말기로 전송한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송신자 단말기)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이하 설명되는 알고리즘은 송신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단문메시지를 확인한후 바로 통화버튼을 눌러 수신자 단말기로 발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내용(예 : 123-456-7890 님이 전화를 받을수 있는 상태입니다. 바로 통화하시려면 통화버튼을 눌러주세요 12/24 8:33 P 123-456-7890)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통화버튼(또는 발신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통화버튼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1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송신자 번호(123-456-7890)로 자동 발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단문메시지를 확인한후 통화버튼 입력하여 바로 통화를 시도할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위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상태(통화가능상태)를 SMS를 통해 이전 통화를 시도한 송신자 단말기로 통보해주기 때문에, 송신자의 소모적인 통화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반복해서 전화를 함으로써 발생하는 불필요한 수고 및 비용(배터리, 채널점유 등)을 제거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망(network)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위 시스템이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4)

  1. 이동통신시스템의 상위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송신자 단말기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호(call) 수신시, 수신자 단말기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호 연결 실패시, 송신자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로를 통해 부가서비스를 안내하는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고,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DTMF 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된 DTMF신호를 분석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요구한 경우,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등록해서 통화가능 통보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능 통보서비스 설정후, 상기 홈위치등록기를 억세스해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상태를 검사하고 통화가능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통화가능 상태인 경우, 통화가능 상태를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송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버튼을 눌러 바로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수 있도록 상기 단문메시지의 송신자 번호 저장 영역에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메시지는 음성메시지 시스템(VMS : Voice Message System)에서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00005A 2004-01-02 2004-01-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KR20050071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005A KR20050071723A (ko) 2004-01-02 2004-01-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005A KR20050071723A (ko) 2004-01-02 2004-01-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723A true KR20050071723A (ko) 2005-07-08

Family

ID=3726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005A KR20050071723A (ko) 2004-01-02 2004-01-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17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61B1 (ko) * 2005-02-18 2007-07-09 (주)티아이스퀘어 유무선 통신망에서 전화 발신 시 통화 불능 상태에서의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6887B1 (ko) * 2007-08-27 2010-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673B1 (ko) * 2009-03-11 2011-05-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61B1 (ko) * 2005-02-18 2007-07-09 (주)티아이스퀘어 유무선 통신망에서 전화 발신 시 통화 불능 상태에서의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6887B1 (ko) * 2007-08-27 2010-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673B1 (ko) * 2009-03-11 2011-05-16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가능 알림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4624B (zh) 多sim ue响应于接收到呼叫而发送繁忙状态消息的方法和装置
US6349224B1 (en) Method for making mobile-to-mobi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7590225B2 (en) Method for addressing billing in a message service, messaging service system, server and terminal
JP2009060643A (ja) パケット・データ・チャネルによる短メッセージ送信
US20040001474A1 (en) Arranging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KR100651408B1 (ko) 음성 모드와 데이터 모드간 대체를 이용한 화상전화안내방송 방법
US7502362B1 (en) Method for maintaining a data transmission connection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2005007172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KR20020097457A (ko) 착신 단말기의 전화 통화 가능 상태 통보 방법
CN100474977C (zh) 用于处理呼叫的方法和系统
JPH11177713A (ja) 通信端末装置
KR1009716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문 메세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521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상태 서비스 방법
KR10099892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접속 정보 제공 방법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95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 표시방법
US769745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send response
KR100560148B1 (ko) 무선 핸드셋간의 메신저 서비스 중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0362568B1 (ko)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내부 사설망 착신호 거부방법
CN101573995B (zh) 电信网络中的呼叫发起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00074670A (ko) 통신단말기에서 팩스/비동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70916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