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56411A -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및 기능 모듈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및 기능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411A
KR20060056411A KR1020067006329A KR20067006329A KR20060056411A KR 20060056411 A KR20060056411 A KR 20060056411A KR 1020067006329 A KR1020067006329 A KR 1020067006329A KR 20067006329 A KR20067006329 A KR 20067006329A KR 20060056411 A KR20060056411 A KR 2006005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526B1 (ko
Inventor
유타카 오에
노부유키 에노모토
후지 아사다
시게타카 카나이
Original Assignee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보다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이용자가 코어 모듈(20)에 임의로 소망의 기능 모듈(31, 32, 33)을 조합시킴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가 구축된다. 이러한 구축시에 있어서, 코어 모듈(20)은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을 조합시키는지를 사전에 알 수는 없지만, 기능 모듈(31, 32, 33)의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 및 코어 모듈(20)의 모듈간 통신 처리부를 통하여 코어 모듈(20)의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식별 정보에 의해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이 조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어 모듈(20)은 기능 모듈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기능을 실현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기능의 변경이나 추가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부담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및 기능 모듈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및 기능 모듈{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R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FUNC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및 기능 모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 모듈 및 복수의 기능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요소가 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및 기능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음성 통화 기능에 더해서, 메일 처리 기능(메일의 작성, 메일의 송수신, 수신 메일 내용의 표시 등),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는 객체 지향 언어[예를 들면, JAVA(등록상표)]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게임, 음악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자가 기지국을 통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등을 해서 즐긴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에 있어서는 카메라 기능을 탑재하는 것도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다채로운 기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제공자는 이들 기능을 다양하게 조합시킨 모델을 준비하고,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려고 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제공자가 준비한 모델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결정되어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말하자면 최대공약수적인 관점으로부터 준비된 것이며,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확실하게 부응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관련한 기술의 진보는 현저하며, 단기간에 새로운 기능이 탑재된 새로운 모델이 발표되어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능을 이용하려면, 이용자는 그 때까지 이용하고 있었던 구 모델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대해서 새로운 기능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 불만이 없는 경우라도 새로운 모델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구입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이용자에 있어서는 새로운 기능의 이용을 위한 부담이 커지고 있었다.
또한, 새로운 모델을 구입하면 이용자는 새로운 기능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불만이 없는 경우에도 그 때까지 이용하고 있었던 구 모델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폐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아직 충분히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부분의 자원의 유효한 이용을 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기능의 변경이나 추가 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부담을 저감함과 아울러 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제 1 관점으로부터 행하면, 코어 모듈과 기능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코어 모듈과의 사이에서 자신의 모듈 식별 정보의 송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 모듈은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무선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기능 모듈과의 사이에서 상기 모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의 수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모듈간 통신 처리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접속 모듈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다.
이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이용자가 코어 모듈에 임의로 소망의 기능 모듈을 조합시킴으로써, 이용자가 바라는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축시에, 코어 모듈은 어떠한 종류의 기능 모듈을 조합시킬지를 사전에 알 수는 없지만, 기능 모듈의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 및 코어 모듈의 모듈간 통신 처리 수단을 통해 코어 모듈의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모듈 식별 정보에 의해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이 조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어 모듈은 그 기능 모듈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맞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이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코어 모듈과 기능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서 구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기능으로 바꾸거나 추가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코어 모듈 또는 기능 모듈을 새로운 코어 모듈 또는 기능 모듈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기능 모듈을 추가하거나 할 경우에도 상기 새로운 코어 모듈 또는 기능 모듈만을 구입하는 것만으로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하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기능의 변경이나 추가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부담을 저감함과 아울러 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기능 모듈이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코어 모듈이 상기 모듈 식별 정보로부터 새로운 제어용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상기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인스톨(install)하는 제어용 정보 인스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코어 모듈과 조합된 기능 모듈 중에 코어 모듈이 미리 제어용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를 행할 수 없는 기능 모듈이 존재하고 있었던 경우에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이 그 기능 모듈의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이어서, 제어용 정보 인스톨 수단이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인스톨한다. 그 결과, 조합시킨 단계에서는 코어 모듈을 제어할 수 없었던 기능 모듈이라도 자동적으로 코어 모듈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용 정보를 제어용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새롭게 접속되는 것이 예상되는 모든 기능 모듈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코어 모듈에 탑재하거나,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네트워크 등을 통해 다른 장치로부터 제어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은 제 2 관점으로부터 행하면, 기능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무선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기능 모듈과의 사이에서 상기 기능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 식별 정보의 수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모듈간 통신 처리 수단과, 상기 모듈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접속 모듈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이다.
이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서는 이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 임의로 소망의 기능 모듈을 조합시켰을 때,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을 조합시키는지를 사전에 알 수는 없지만, 모듈간 통신 처리 수단을 통해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모듈 식별 정보에 의해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이 조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은 기능 모듈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서는 상기 모듈 식별 정보로부터 새로운 제어용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기능 모듈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과, 상기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에 의해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상기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인스톨하는 제어용 정보 인스톨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과 조합된 기능 모듈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이 미리 제어용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를 행할 수 없는 기능 모듈이 존재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이 그 기능 모듈의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제어용 정보 인스톨 수단은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인스톨한다. 그 결과, 조합시킨 단계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을 제어할 수 없었던 기능 모듈이라도 자동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서는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과, 표시 출력을 행하기 위한 표시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만으로 이용자의 지시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통한 메일 송수신 등이라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최소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3 관점으로부터 행하면,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과의 사이에서 자신의 모듈 식별 정보의 송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이다.
이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 조합될 때,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에 의해 자신의 모듈 식별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은 모듈 식별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어떤 종류의 이동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이 조합되었는지를 알 수 있고, 조합된 기능 모듈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이 이용되기 위한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용 정보의 다운로드 요구가 있었을 때에 상기 제어용 정보를 상기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과 조합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이 미리 제어용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를 행할 수 없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이 존재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이 자동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의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 정보를 다운로드해서 인스톨할 수 있다. 그 결과, 조합시킨 단계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을 제어할 수 없었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이라도, 자동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하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기능의 변경이나 추가시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부담을 저감함과 아울러 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및 기능 모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코어 모듈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우측면측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코어 모듈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의 코어 모듈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측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B의 제 1 부분의 배면측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2B의 제 2 부분의 배면측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코어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5A는 조작부 모듈의 제 1 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조작부 모듈의 제 2 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표시부 모듈의 제 1 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표시부 모듈의 제 2 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조작부 모듈 및 표시부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8A는 카메라 모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플래쉬 램프 모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는 라디오 튜너 모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텔레비젼 튜너 모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스피커 모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GPS모듈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A ~ 도 9C의 각종 기능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럭도 이다.
도 11은 코어 모듈에 의한 접속 모듈의 제어를 위한 정보의 취득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제 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제 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는 제 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일 실시형태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의 외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이며, 코어 모듈(20), 및 이 코어 모듈(2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 모듈(31), 표시부 모듈(32) 및 카메라 모듈(33)을 구비하고 있다.
코어 모듈(20)의 구성은 도 2A ~ 도 4에 의해 종합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A ~ 도 3B에는 코어 모듈(20)의 외관 구성이 도시되고, 도 4에는 코어 모듈(20)의 내부 구성이 기능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우측면도인 도 2A, 정면도인 도 2B 및 좌측면도인 도 2C에 있어서, 종합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은 제 1 부분(21)과,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서 축(AX)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제 2 부분(2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1 부분(21)은 조작 입력키가 배열된 조작부와, 접속 단자(24L)를 갖는 모듈 접속부(23L)와, 접속 단자(24R)를 갖는 모듈 접속부(23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듈 접속부(23L)와 모듈 접속부(23R)는 같은 기구적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접속 단자(24L)와 접속 단자(24R)는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 2 부분(22)은 문자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부분(21)의 조작부에는 각각이 손톱 끝 등에 의해 아래로 누를 수 있는 소형 조작키가 필요 최소한의 종류만큼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분(22)의 표시부에는 1행 또는 2행의 표시가 가능한 표시 디바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제 2 부분(22)이 제 1 부분(21)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X방향에서 본 도면이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21)의 도 2B에 있어서의 배면에는 조작부 모듈 접속용 단자(24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분(22)이 제 1 부분(21)에 대해서 접혀진 상태에 있어서의 ―X방향에서 본 도면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22)의 도 2B에 있어서의 배면에는 표시부 모듈 접속용 단자(24U)가 배치되어 있다.
코어 모듈(20)은 그 내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코어 모듈(20) 전체 및 접속된 각종의 모듈을 제어하는 통괄 제어부(25)와, (b)통괄 제어부(25)용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26)와, (c)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27)와, (d)송수신하는 고주파의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 신호 처리부(28)를 구비하고 있다.
통괄 제어부(25)는 (i) 무선 신호 처리부(28)와 접속되고, 안테나(27) 및 무선 신호 처리부(28)를 통해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부(61)와, (ⅱ) 상기한 접속 단자(24L), 접속 단자(24R), 조작 모듈 접속용 단자(24D) 및 표시 모듈 접속용 단자(24U)와 접속되고, 접속된 기능 모듈(31, 32, 33) 각각과의 사이의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 모듈간 통신 처리부(62)와, (ⅲ) 모듈간 통신 처리부(62)를 통해 접속된 기능 모듈(31, 32, 33)(도 1 참조) 각각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괄 제어부(25)는 (iv) 모듈간 통신 처리부(62)를 통해 접속된 기능 모듈(31, 32, 33)로부터 제어용 정보(제어용 프로그램을 포함함)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64)와, (v) 다운로드부(64)에 의해 취득된 제어용 정보를 모듈 제어부(63)내로 인스톨하는 인스톨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괄 제어부(25)를 중앙처리장치(CPU),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SP) 등을 구비해서 구성하고, 상기의 각 부(61 ~ 65)의 기능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조작부 모듈(3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키 배치에 준해서 배치된 조작키와, 상기한 조작부 모듈 접속용 단자(24D)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41)와, 통화시에 있어서의 음성을 수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 키보드 배치와 동등한 조작키가 배치됨과 아울러, 조작부 모듈(31)과 마찬가지로 조작 모듈 접속용 단자(24D)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41)를 구비한 조작용 모듈(31')을 코어 모듈(20)에 접속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표시부 모듈(32)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동작중에 있어서의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한 표시부 모듈 접속용 단자(24U)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42)와, 통화시에 있어서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통화용 스피커(4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 모듈(32)은 도 6A에 있어서의 배면측에 대기 동작중에 있어서의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와, 호출음 등의 안내음을 출력하기 위한 안내용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형의 디스플레이가 배치됨과 아울러, 표시부 모듈(32)과 마찬가지로 표시부 모듈 접속용 단자(24U)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42)를 구비한 표시용 모듈(32')을 코어 모듈(20)에 접속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조작부 모듈(31, 31') 및 표시부 모듈(32, 32') 각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a) 각 기능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5)와, (b) 제어부(45)용의 프로그램, 코어 모듈(20)이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정보, 각종의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46)와, (c) 각 기능 모듈 고유의 기능에 따른 디바이스를 갖는 고유 기능 디바이스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45)는 코어 모듈(20)과의 사이의 통신을 처리하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45)를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구비해서 구성하고, 상기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의 기능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33)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의 모듈 접속 부(23L) 또는 모듈 접속부(23R)와 접속가능한 기구적 구조를 갖는 접속부(51)와, 모듈 접속부(23L) 및 모듈 접속부(23R)와 같은 기구적 구조를 갖는 접속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접속부(51)에는 모듈 접속부(23L)의 접속 단자(24L) 또는 모듈 접속부(23R)의 접속 단자(24R)와 접속가능한 접속 단자(53)가 설치되고, 접속부(52)에는 접속 단자(24L) 및 접속 단자(24R)와 같은 형상의 접속 단자(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이 접속부(51) 및 접속부(52)를 구비하는 도 8B에 도시되는 플래쉬 램프 모듈(34), 도 8C에 도시되는 라디오 튜너 모듈(35), 도 9A에 도시되는 텔레비젼 튜너 모듈(36), 도 9B에 도시되는 스피커 모듈(37) 또는 도 9C에 도시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38) 등을 코어 모듈(20)에 접속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기능 모듈(33 ~ 38)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a) 각 기능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5)와, (b) 제어부(55)용의 프로그램, 코어 모듈(20)이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정보, 각종의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56)와, (c) 각 기능 모듈 고유의 기능에 따른 디바이스를 갖는 고유기능 디바이스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55)는 접속 단자(53, 54)와 접속되고, 코어 모듈(20)과의 사이의 통신을 처리하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는 접속 단자(53)를 통해 입력된 코어 모듈(20)로부터의 제어 코드나 데이터가 자체 모듈에 대한 것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커맨드(command)나 데이터를 접속 단자(54)를 향해서 패스 스로우(pass through)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 리부(58)는 접속 단자(54)를 통해 데이터 등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등을 접속 단자(53)를 향해서 패스 스로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5)를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구비해서 구성하고, 상기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의 기능을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에서는 전원이 온(on)되는 등에 의해 초기화 지령이 행해지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의 모듈 제어부(63)가 모듈간 통신 처리부(62)를 통해 각 기능 모듈(31, 32, 33)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각 기능 모듈(31, 32, 33)이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는 식별 정보 요구를 송신한다. 이 식별 정보 요구를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 또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에서 수신한 각 기능 모듈(31, 32, 33)의 제어부(45) 또는 제어부(55)는 기억부(46) 또는 기억부(56)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45) 또는 제어부(55)는 상기 식별 정보를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 또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로부터 코어 모듈(20)을 향해 송신한다.
코어 모듈(20)의 모듈 제어부(63)는 각 기능 모듈(31, 32, 33)로부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기능 모듈의 제어용 프로그램 등의 제어용 정보가 이미 인스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부정적이었을 경우에는, 모듈 제어부(63)는 다운로드부(64)에 대해서 제어용 정보의 다운로드를 의뢰한다. 이 의뢰를 받은 다운로드부(64)는 제어용 정보가 인스톨되어있지 않은 모듈에 대해서, 제어용 정보의 통지를 요구하는 제어용 정보 요구를 모듈간 통 신 처리부(62)를 통해 송신한다. 이렇게 해서, 코어 모듈(20)의 모듈 제어부(62)는 어떤 모듈이 접속되어 있는지를 인식한다.
이 제어용 정보 요구를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 또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로 수신한 기능 모듈의 제어부(45) 또는 제어부(55)는 기억부(46) 또는 기억부(56)로부터 제어용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45) 또는 제어부(55)는 상기 제어용 정보를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 또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58)로부터 코어 모듈(20)을 향해 송신한다.
다운로드부(64)는 제어용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용 정보를 인스톨부(65)로 통지한다. 그리고, 인스톨부(65)는 상기 제어용 정보의 모듈 제어부(63)로의 인스톨을 행한다.
여기에서, 각 기능 모듈의 식별 정보는 모듈의 종별(種別)을 나타내는 전체 식별 정보와 모듈의 상세한 기능을 나타내는 개별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33) 등의 카메라 모듈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우선, 카메라 모듈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전체 식별 정보로 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한 촬상 화상의 화소수나 필요한 입력키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를 개별 식별 정보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체 식별 정보에 더해서 개별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코어 모듈(20)은 자신의 기능 설정을 변경하거나, 다른 기능 모듈로부터의 제어용 정보를 인스톨하거나 할 경우에 더욱 상세한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33)에 탑재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카메라의 촬상 화소수를 나타내는 개별 식별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로 촬상한 사진 등의 데이터를 전자우편에 첨부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송신할 경우로 대비하여 코어 모듈(20)내의 무선 신호 처리부(28)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촬상 화소수가 큰 경우에는 첨부 데이터의 사이즈도 커지기 때문에 카메라의 촬상 화소수로부터 예측되는 사진 등의 데이터의 사이즈가 이동 통신망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 사이즈의 한계값보다도 커질 경우에 메일 송신시의 데이터 첨부를 제한하거나, 코어 모듈(20)내의 도시되지 않은 일시 보존 영역의 메모리 관리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순의 실행에 의해 코어 모듈(20)이 각 기능 모듈(31, 32, 33)의 제어가 가능해지면, 이용자의 지령에 따라 코어 모듈(20)이 제어 코드나 데이터를 주고받아서 각 기능 모듈(31, 32, 33)을 제어하고,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로서의 기능을 발휘시킨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에서는 조작부 모듈(31)이 제어 가능해지면, 코어 모듈(20)의 조작부의 기능이 정지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표시부 모듈(32)이 제어 가능해지면, 코어 모듈(20)의 표시부의 기능이 정지되도록 되어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1O)는 이용자가 코어 모듈(20)에 임의로 소망의 기능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구축시에 있어서, 코어 모듈(20)은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을 조합시키는지를 사전에 알 수는 없지만, 기능 모듈의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부(48, 58) 및 코어 모듈(20)의 모듈간 통신 처리부(62)를 통해 코어 모듈(20)의 접속 모듈 제어 수단(63)에 통지되는 식별 정보에 의해 어떤 종류의 기능 모듈이 조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어 모듈(20)은 기능 모듈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맞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1O)에서는 코어 모듈(20)과 기능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서 구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기능으로 바꾸거나 추가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기능 모듈을 새로운 기능 모듈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기능 모듈을 추가하거나 할 경우에도 상기 새로운 기능 모듈만을 구입하는 것만으로 완료된다.
또한, 코어 모듈(20)과 조합된 기능 모듈 중, 코어 모듈(20)이 제어용 프로그램 등의 제어용 정보를 미리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를 행할 수 없는 기능 모듈이 존재하고 있었던 경우에, 다운로드부(64)가 그 기능 모듈의 기억부(46 또는 56)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인스톨부(65)가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접속 모듈 제어부(63)로 입력한다. 그 결과, 조합시킨 단계에서는 코어 모듈(20)을 제어할 수 없었던 기능 모듈이라도 자동적으로 코어 모듈(20)에 의한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모듈(20)은 자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각 기능 모듈에 송신해도 좋고, 또한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능 모듈의 식별 정보를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이 복수 종류의 제어용 정보를 구비하는 것이 전제가 되지만, 상기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은 코어 모듈(20)의 기능이나 코어 모듈(20)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각 기능 모듈의 종 류에 따른 최적의 제어용 정보를 코어 모듈(20)로 송신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이 자신을 제어하는 최적의 제어용 정보를 코어 모듈(20)내로 인스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전 업 등에 의해 코어 모듈(20)에 복수 종류가 존재할 경우에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은 코어 모듈(20)로부터 수신한 버전 정보 등에 의거하여 코어 모듈(20)에 있어서 최적인 제어용 정보를 코어 모듈(20)로 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코어 모듈(20)은 코어 모듈(20)에 있어서 최적인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의 제어용 정보를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이 키 입력에 의해 제어 가능한 것인 경우에는 조작부 모듈이 접속되어 있는지, 또한 조작부 모듈의 종류가 조작부 모듈(31)인지 또는 조작부 모듈(31')인지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키 입력의 접수 처리가 상이하다는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에, 코어 모듈(20)이 이들의 정보를 상기 기능 모듈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새롭게 접속된 기능 모듈은 코어 모듈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조작부 모듈의 종류에 따른 제어용 정보를 코어 모듈(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어 모듈(20)은 최적화된 기능 모듈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용 정보를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모듈(20)이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표시 출력을 행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코어 모듈(20)만으로 이용자의 지시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통해 메일 송수신 등이라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최소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에 대해, 도 5A ~ 도 6B 및 도 8A ~ 도 9C에 도시된 각 기능 모듈을 임의로 코어 모듈(20)에 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에 조작부 모듈(31'), 표시부 모듈(32'), 텔레비젼 모듈(36) 및 스피커 모듈(37)을 조합시켜, 엔터테인먼트 중시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10A)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에 카메라 모듈(33) 및 플래쉬 램프 모듈(34)을 조합시켜, 컴팩트성 및 정보 수집성을 중시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1OB)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에 스피커 모듈(37), 라디오 모듈(35) 및 GPS모듈(38)을 조합시켜, 옥외에서 사용할 때에 적합한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1OC)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A ~ 도 9C에 도시된 각 기능 모듈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모듈(20)에 직접 접속해도 좋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능 모듈을 통해 코어 모듈(20)에 접속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모듈(20)이 조작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이에 대해, 코어 모듈로서는 조작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라 한쪽만을 구비하거나, 양쪽 모두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 모듈(31)이나 표시부 모듈(32)을 통해서는 더욱 기능 모듈을 접속할 수 없는 구성으로 했지만, 조작부 모듈(31)이나 표 시부 모듈(32)에 접속부를 설치하고, 이들을 통해 더욱 기능 모듈을 접속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구축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코어 모듈과 기능 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로서;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코어 모듈과의 사이에서 자신의 모듈 식별 정보의 송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 모듈은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무선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기능 모듈과의 사이에서 상기 모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의 수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한 조의 기능 모듈 통신 처리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접속 모듈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은 자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어 모듈은 상기 모듈 식별 정보로부터 새로운 제어용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상기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인스톨하는 제어용 정보 인스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정보는 제어용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
  4. 기능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무선 송수신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기능 모듈과의 사이에서 상기 기능 모듈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 식별 정보의 수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한 조의 기능 모듈 통신 처리 수단과,
    상기 모듈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접속 모듈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식별 정보로부터 새로운 제어용 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상기 새로운 제어용 정보를 기억한 기능 모듈로부터 다운로드하는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과,
    상기 제어용 정보 다운로드 수단에 의해 다운로드된 제어용 정보를 상기 접속 모듈 제어 수단에 인스톨하는 제어용 정보 인스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과,
    표시 출력을 행하기 위한 표시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
  7.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과의 사이에서 자신의 모듈 식별 정보의 송신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이 이용하기 위한 제어용 정보를 기억 한 제어용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용 정보의 다운로드 요구가 있었을 때에 상기 제어용 정보를 상기 한 조의 코어 모듈 통신 처리 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기능 모듈.
KR1020067006329A 2003-10-30 2004-10-29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및 기능 모듈 KR100769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0658 2003-10-30
JPJP-P-2003-00370658 200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11A true KR20060056411A (ko) 2006-05-24
KR100769526B1 KR100769526B1 (ko) 2007-10-23

Family

ID=3454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329A KR100769526B1 (ko) 2003-10-30 2004-10-29 이동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용 코어 모듈및 기능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93547B2 (ko)
EP (1) EP1679857A4 (ko)
JP (1) JP4359596B2 (ko)
KR (1) KR100769526B1 (ko)
CN (1) CN1864393B (ko)
WO (1) WO20050438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61B1 (ko) * 2005-10-27 2007-02-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플랫폼의 수정없이 신규 모바일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830038B1 (ko) * 2007-08-02 2008-05-15 윤정균 모바일 폰 무선 인터넷 접속과 가입 통신사 변경장치 및 그변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3278B2 (en) * 2006-03-15 2010-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stallation of a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080161074A1 (en) * 2007-01-03 2008-07-03 Peter Fornell Mobile device having a hinge portion with which a hardware accessory is coupleable
JP5119499B2 (ja) * 2009-06-30 2013-01-1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電話システム及びモジュール管理方法
CN104969186A (zh) 2013-02-28 2015-10-0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创建方案制品的界面
KR102153042B1 (ko) * 2013-08-29 2020-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결합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524199B2 (en) * 2015-05-12 2016-12-20 Google Inc. Activating device functions based on configurations of device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2562B2 (ja) 1996-11-21 2004-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
JP3019013B2 (ja) * 1996-11-21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機
US5924044A (en) * 1997-02-26 1999-07-13 Motorola, Inc. Modula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s therewith
JPH11155001A (ja) * 1997-11-19 1999-06-08 Toshiba Corp 携帯無線電話装置および機能付加装置
GB2345988B (en) * 1999-01-21 2000-12-20 John Quentin Phillipps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6477357B1 (en) * 2000-03-24 2002-11-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Customizable wireless device having stackable modules
DE10030603A1 (de) * 2000-06-21 2002-01-03 Mannesmann Vdo Ag Externe Bedieneinheit für ein Mobilfunktelefon
GB2366484A (en) * 2000-08-24 2002-03-06 Graeme Roy Smith Modular mobile phone apparatus
US6961790B2 (en) * 2001-06-29 2005-11-01 Motorola, Inc. Self-extracting re-configurable interface used in modular electronic architecture
JP2003032381A (ja) * 2001-07-17 2003-01-31 Casio Comput Co Ltd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3152840A (ja) * 2001-11-13 2003-05-23 Nec Corp 携帯電話機
US7050783B2 (en) * 2002-02-22 2006-05-23 Kyocera Wireless Corp. Accessory detection system
KR100424620B1 (ko) * 2002-03-27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062260B2 (en) * 2003-03-27 2006-06-13 Nokia Corporation Fetching application and driver for extension device from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061B1 (ko) * 2005-10-27 2007-02-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플랫폼의 수정없이 신규 모바일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830038B1 (ko) * 2007-08-02 2008-05-15 윤정균 모바일 폰 무선 인터넷 접속과 가입 통신사 변경장치 및 그변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526B1 (ko) 2007-10-23
CN1864393A (zh) 2006-11-15
US20060198601A1 (en) 2006-09-07
EP1679857A1 (en) 2006-07-12
WO2005043865A9 (ja) 2005-09-01
EP1679857A4 (en) 2009-11-25
JPWO2005043865A1 (ja) 2007-11-29
WO2005043865A1 (ja) 2005-05-12
JP4359596B2 (ja) 2009-11-04
CN1864393B (zh) 2011-07-20
US7693547B2 (en) 201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695B1 (ko) 휴대단말기의 모듈러 장치 및 방법
KR100754828B1 (ko) 사용자 취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이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CN100459641C (zh) 移动视频电话终端
US7319886B2 (en) Communication system
AU651605B2 (en) Portable transceiver and ESN transfer system therefor
US769354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e module and func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153213B1 (ja) 電話回線の制御委譲システム
US20080086301A1 (en) Audio communication apparatus, audio communication system, au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udio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20070259648A1 (en)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JP2003110751A (ja) 携帯型情報機器及び回線切替え方法
JP2003125076A (ja) 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装置
MX2007010781A (es) Integracion de terminal inalambrica fija con dispositivos receptores de radio difusion.
KR20060108988A (ko) 플랫폼 계층에서 url 정보를 이용한 발신자 지정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제어 방법
JP2000049960A (ja) アダプタ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70075010A (ko) 단문 문자 메시지에서 금융 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4446492B2 (ja) プログラマブルゲートアレイ内の一連の回路うちの1つの回路をコンパイル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090091928A (ko) 단말장치와, 이에 포함되는 통신모듈 및 ui모듈과,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2001258074A (ja) 複数の電話番号を持つ携帯電話機
JP2002232946A (ja)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4349791A (ja) 通信システム
CN101023656A (zh) 具有图像传输操作的通信设备及其方法
KR20030046660A (ko) 무선 단말기에서 아바타 다운로드하는 방법
JP3614846B2 (ja) 携帯電話端末
KR200700718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JPH10257557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