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4620B1 -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620B1
KR100424620B1 KR10-2002-0016742A KR20020016742A KR100424620B1 KR 100424620 B1 KR100424620 B1 KR 100424620B1 KR 20020016742 A KR20020016742 A KR 20020016742A KR 100424620 B1 KR100424620 B1 KR 10042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s
network
mobile termina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817A (ko
Inventor
류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620B1/ko
Priority to US10/358,284 priority patent/US7450544B2/en
Priority to AU2003200522A priority patent/AU2003200522B9/en
Priority to GB0304146A priority patent/GB2387296B/en
Publication of KR2003007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IP주소들을 할당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들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이동단말이 통신중 제1서브네트워크에서 임의 다른 제2서브네트워크로 이동시, 상기 제2서브 네트워크의 방문MAS(Foreign mobile Access Server)가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와 이전 AP(Access Point)의 IP를 포함하는 제1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홈MAS가 상기 제1메세지로부터 상기 방문MAS의 주소를 획득하며, 상기 제1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홈MAS의 주소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포함하는 제2메세지를 상기 방문MAS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MAS와 상기 홈MAS가 서로 획득된 상대방 MAS IP 주소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OF MOBILE NODE AMONG THE SUB-NETWORK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AN)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서브 네트워크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기 서브 네트워크는 예를들어 하나의 사설망 내에서 게이트웨이(gateway)로 구분되는 작은 네트워크 단위로 가정될 것이다.
종래에 있어, 이동단말(Mobile Node)의 이동성은 동일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만 지원되었고, 그 적용 기술은 IP(Internet Protocol)상의 이동성 지원이 아닌 이더넷(Ethernet or 802.3) 상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 레벨 데이터를 이용해서 지원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하위 서브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서브 네트워크는 이동단말(101), 억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102, 103), 이동 억세스 서버( MAS : Mobile Access Server)(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101)은 WLAN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를 장착한 이동노드를 의미한다. 억세스 포인트(102, 103)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실질적으로 무선 링크를 통하여 이동단말과 정보를 교환한다. 이동억세스서버(104)는 억세스 포인트들을 제어하는 장비로서,호 설정 및 해제와 같은 신호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상기 이동억세스서버(104)는 인터넷/인트라넷(Internet/Intranet)105와 통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즉, 현재 개발된 제품의 대부분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브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제1억세스 포인트(102)에서 제2억세스포인트(103)로의 핸드오프는 가능하지만, 다른 서브 네트워크로의 핸드오프는 불가능하다. 상기 동일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절차(flow)는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다. 상기 도 2는 이동단말(mobile node)이 제1억세스포인트의 서비스 영역에서 제2억세스포인트의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핸드오프 절차를 보여준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101)은 201단계에서 제1억세스포인트(102)와 통신을 하기 위해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102)로 동기화 이후 연결요구메세지(Association_Req)를 전송하다. 그러면,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102)는 203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의 연결요구를 알리기 위한 억세스요구메세지(Access_Req)를 상기 이동억세스서버(104)로 전송한다. 상기 억세스요구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억세스서버(104)는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 이동 요구 메시지가 정상인지 확인하고 이동단말에 관련된 위치 데이타를 갱신하고 이동단말에 대한 서비스 패스(메시지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억세스서버(104)는 205단계에서 상기 억세스요구메세지에 응답하는 억세스응답메세지(Access_Req)를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102)로 전송하고,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102)는 207단계에서 상기 연결요구메세지에 응답하는 연결응답메세지(Association_Req)를 상기 이동단말(101)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연결을 설정한후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102)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동일 서브네트워크의 다른 억세스포인트(제2억세스포인트)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단말(101)은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의 신호 세기가 약해짐을 판단하고 새로운 억세스 포인트를 찾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103)의 신호를 포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101)은 209단계에서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103)로 재연결요구메세지(Reassociation_Req)를 전송하고,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103)는 상기 이동억세스서버(104)로 핸드오프 요구메세지(Handover_Req)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억세스서버(104)는 상기 이동단말의 위치등록(Location_registration)에 대한 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이동단말로의 데이터패스를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에서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로 변경한다. 그리고 213단계에서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프 응답메세지(Handover_Res)를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103)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103)는 215단계에서 핸드오프 완료를 알리는 재연결 응답메세지(Reassociation_Res)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핸드오프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단말(101)은 상기 제2억세스포인트(103)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제품들은 동일 서브 네트워크(동일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는 이동성(억세스 네트워크간 핸드오프)을 지원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서브 네트워크간에는 이동성이 지원되지 않고 있다. 서로 다른서브 네트워크간에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Mobile IPv4"가 고려될수 있다. 그러나, 상기 "Mobile IPv4"가 지원되려면 이동단말에서도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 즉, 이동단말에서의 지원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성 지원시 MAS에 홈에이젼트(HA : Home Agent)/방문 에이젼트(FA : Foreign Agent)의 "Mobile Agent"를 구비시키고, 이들간에 터널링(Tunneling) 구조를 갖도록 구현해야 하므로, 일단 데이터 패스를 변환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Mobile IPv4"와 같이 복잡하지도 않고 특히 이동단말의 변경 없이도, 서로 다른 서브 네트워크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서브네트워크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IP주소들을 할당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들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이동단말이 통신중에 제1서브네트워크에서 임의 다른 제2서브네트워크로 이동시, 상기 제2서브 네트워크의 방문MAS(mobile Access Server)가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 또는/그리고 이전 억세스 포인트 주소를 포함하는 제1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홈MAS가 상기 제1메세지로부터 상기 방문MAS의 주소를 획득하며, 상기 제1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홈MAS의 주소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포함하는 제2메세지를 상기 방문MAS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MAS와 상기 홈MAS가 서로 획득된 상대방 주소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하위 서브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동일 서브 네트워크 내에서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절차(flow)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들로 구성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홈(Home) 서브 네트워크에서 다른(Foreign) 서브 네트워크로 이동시 구성요소들간에 교환되는 신호 메시지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문 이동액세스서버(Foreign MAS)의 핸드오프 수행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이동억세스서버(MAS)의 핸드오프 수행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하나의 사설망(예 : WLAN) 내의 서로 다른 서브네트워크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로 구분되는 소규모 네트워크 단위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들로 구성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네트워크(300)는 제1 내지 제3억세스포인트(302,303, 304)와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를 포함하고 구성되고, 제2서브네트워크(310)는 제4 및 제5억세스포인트(312,313)와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와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는 인터넷(320)을 통해 연결된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이동단말들(301-1, 301-2, 301-3)은 WLAN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 Network Interface Card)를 장착한 이동노드를 의미한다. 억세스포인트들(302,303,304,312,313)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실질적으로 무선 링크를 통하여 이동단말과 정보를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억세스포인트들은 유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d LAN)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AN)간의 브리지(Bridge)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이동단말로부터의 요구메세지에 대한 이동억세스서버(MAS)로의 포워딩(forwarding)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억세스서버(305)는 상기 제1억세스포인트(302) 내지 제3억세스포인트(304)를 제어하고, 이동억세스서버(315)는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 및 제5억세스포인트(313)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억세스서버들(305,315)은 다수의 프로토콜들(호설정, 호해제, 이동성, 관리, 보안)을 지원하고, 상기 억세스포인트들 및 이동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데이터 패스 스위칭(Data Path Switching) 및 IP할당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억세스서버들(305,315)은 인터넷(Internet)320과 통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근거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홈(Home) 서브 네트워크에서 다른 서브 네트워크(이하 방문(foreign) 서브 네트워크라 칭함)로 이동시 네트워크 구성요소들간에 교환되는 신호 메시지들을 보여준다. 상기 도 4는 이동단말(301-2)이 제1서브네트워크(300)의 제3억세스포인트(304) 서비스영역에서 제2서브네트워크(310)의 제4억세스포인트(31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의 핸드오프 수행 절차를 보여준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301-2)로부터 연결요구를 수신한 상기 제3억세스포인트(304)는 401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의 연결요구를 알리기 위한 억세스요구메세지(Access_Req)를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로 전송한다. 상기 억세스요구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억세스서버(305)는 상기 이동단말에게 통신을 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를 허용 갱신하여 이동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는 403단계에서 상기 억세스요구메세지에 응답하는 억세스응답메세지(Access_Req)를 상기 제3억세스포인트(304)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억세스포인트(304)는 상기 이동단말(301-2)의 연결요구에 대한 응답메세지를 상기 이동단말(301-2)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연결을 설정한후, 상기 이동단말(301-2)은 상기 제3억세스포인트(304) 및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을 수행하던 중 상기 이동단말(302-2)이 제4억세스포인트(304)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단말(302-2)은 상기 제3억세스 포인트의 신호가 약해짐을 판단하여 주위의 다른 억세스 포인트를 스캔하여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04)의 신호를 포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단말(302-2)은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04)로 재연결요구메세지(Reassociation_Req)를 전송하고,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04)는 407단계에서 상위의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로 상기 이동단말(301-2)의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핸드오프 요구메세지(Handover_Req)를 전송한다.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는 상기 이동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물리적 어드레스(예 : MAC address) 또는/그리고 상기 제3억세스포인트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는 상기 이동단말의 정보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는 409단계에서 주위 이동억세스서버들(제1이동억세스서버)로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Home MAS Find 메시지(이용가능 프로토콜:RARP 또는 임의로 정의된 프로토콜)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그리고, 상기 Home MAS Find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20)는 411단계에서 상기 Home MAS Find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의 MAC 어드레스와 IP어드레스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포함하는 Home MAS Find 응답 메시지을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는 홈 이동억세스서버(305)의 MAC 어드레스와 IP 어드레스 및 이동단말(301-2)의 IP주소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는 413단계에서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의 갱신을 요구하고, 상기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는 415단계에서 상기 갱신요구에 응답하게 된다. 이로써, 이동성에 필요한 MAS간의 인증 및 이동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05)에 갱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는417단계에서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로 상기 핸드오프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세지를 전송하여 핸드오프를 완료한다. 상기 핸드오프를 완료한후, 상기 이동단말(301-2)은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 상기 제2이동억세스서버(315) 및 제1이동억세스서버(305)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문 이동억세스서버(315)의 핸드오프 수행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방문MAS는 이동단말이 이동한 위치에 있는 이동억세스서버를 의미하고, 홈MAS는 이동단말이 초기 연결요구(Association_request)를 수행한 이동억세스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방문 MAS(315)는 501단계에서 하위 억세스포인트로부터 핸드오프 요구(Handover_Req)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방문 MAS(305)는 52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가 수신되면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억세스포인트로부터의 핸드오프 요구메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방문 MAS(315)는 505단계에서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에 포함된 이동단말(302-2)의 MAC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동단말(302-2)에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방문 MAS(315)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정상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이동단말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507단계로 진행하여 주위 이동억세스서버들(제1이동억세스서버)로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Home MAS Find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Home MAS Find 메시지를 전송한후, 상기 방문 MAS(315)는 509단계에서 상기 Home MAS Find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세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방문 MAS(315)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답메세지로부터 홈 MAS(305)의 MAC 어드레스와 IP어드레스 및 상기 이동단말(301-2)의 IP어드레스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방문 MAS(315)는 홈 MAS에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ROUTE 정보 갱신을 요구하고 513단계에서 이동성에 필요한 MAS간의 인증 및 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갱신(update)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갱신한후, 상기 방문 MAS(315)는 515단계에서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에 대한 응답메세지를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에 전송하여 핸드오프를 완료한다. 상기 핸드오프를 완료완후, 상기 방문 MAS(315)는 517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송수신 데이터를 상기 홈 MAS(305)를 통해 교환한다. 즉, 이동단말(301-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 상기 방문 MAS(315), 상기 홈 MAS(305)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홈 MAS(305), 상기 방문 MAS(315) 및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301-2)에게 전달된다.
이후, 상기 방문 MAS(315)는 519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통신이 완료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방문 MAS(315)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한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홈 이동억세스서버(305)의 핸드오프 수행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홈 MAS(305)는 601단계에서 인터넷을 통해 임의 MAS로부터 특정 이동단말의 IP주소를 요청하는 Home MAS Find 메세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Home MAS Find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홈 MAS(305)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홈 MAS(305)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이동단말을 식별하는 물리적 주소(MAC) 어드레스 및 상기 Home MAS Find 메시지를 전송한 서버의 정보(MAC주소, IP주소 등)를 획득한다. 상기 특정 이동단말은 앞서 설명한 바에 근거하여 이동단말(301-2)로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홈 MAS(305)는 605단계에서 상기 획득된 상기 이동단말(301-2)의 MAC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이동단말(301-2)의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이동단말(301-2)의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홈 MAS(305)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고 상기 이동단말(301-2)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홈 MAS(305)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Home MAS Find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메세지는 상기 획득된 이동단말(301-2)의 IP주소 및 상기 홈 MAS의 MAC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후, 상기 홈 MAS(305)는 609단계에서 상기 방문 MAS(315)의 요청에 따라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갱신한다. 즉, 이동단말(301-2)의 위치등록 정보 등을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홈 MAS(305)는 611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송수신데이터를 상기 방문 MAS(315)를 통해 교환한다. 즉, 이동단말(301-2)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 상기 방문 MAS(315), 상기 홈 MAS(305)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상기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홈 MAS(305), 상기 방문 MAS(315) 및 상기 제4억세스포인트(312)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301-2)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방문 MAS(315)는 519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통신이 완료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홈 MAS(305)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단말(301-2)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한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잡한 프로토콜이나 이동단말의 추가적인 병경 없이도, 억세스포인트(AP)와 이동억세스서버(MS)만으로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단말의 이동을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layer)에서 파악함으로써 데이터라우팅패스를 신속하게 새로운 억세스포인트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IP주소들을 할당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들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통신중이 제1서브네트워크에서 임의 다른 제2서브네트워크로 이동시, 상기 제2서브 네트워크의 방문MAS(mobile Access Server)가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제1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홈MAS가 상기 제1메세지로부터 상기 방문MAS의 주소를 획득하며, 상기 제1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홈MAS의 주소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포함하는 제2메세지를 상기 방문MAS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MAS와 상기 홈MAS가 서로 획득된 상대방 주소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세지는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또는 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임의의 메시지를 정의하는 방법.
  3.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IP주소들을 할당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통신중인 제1서브네트워크에서 임의 다른 제2서브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서브네트워크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네트워크의 억세스포인트(AP)가 상기 제2서브네트워크의 방문MAS로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핸드오프 요구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MAS가 상기 핸드오프 요구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제1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세지에 응답하는 제2메세지 수신시, 상기 제2메세지로부터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홈MAS의 주소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MAS가 상기 획득된 상기 홈MAS의 주소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IP주소들을 할당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이 통신중인 제1서브네트워크에서 임의 다른 제2서브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홈MAS가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제1메세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제1메세지로부터 상기 제2서브네트워크의 방문MAS의 주소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홈MAS의 주소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포함하는 제2메세지를 상기 제2서브네트워크의 방문MAS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MAS가 상기 획득된 상기 방문MAS의 주소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네트워크들의 각각에 서로 다른 IP주소들을 할당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상기 서브 네트워크들 사이에 이동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통신중이 제1서브네트워크에서 임의 다른 제2서브네트워크로 이동시, 상기 이동단말의 MAC주소를 포함하는 제1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제2서브네트워크의 방문MAS와,
    상기 제1메세지를 수신하여 상기 방문MAS의 주소를 획득하며, 상기 제1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홈MAS의 MAC주소와 IP주소 및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를 포함하는 제2메세지를 상기 방문MAS로 전송하는 상기 제1서브네트워크의 홈MAS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MAS와 상기 홈MAS가 서로 획득된 상대방 주소를 가지고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를 라우팅(Rou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16742A 2002-03-27 2002-03-2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2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742A KR100424620B1 (ko) 2002-03-27 2002-03-2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58,284 US7450544B2 (en) 2002-03-27 2003-02-05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subnetworks of mobile node in wireless LAN
AU2003200522A AU2003200522B9 (en) 2002-03-27 2003-02-1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subnetworks of mobile node in wireless LAN
GB0304146A GB2387296B (en) 2002-03-27 2003-02-25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between subnetworks of mobile node in wireless 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742A KR100424620B1 (ko) 2002-03-27 2002-03-2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817A KR20030077817A (ko) 2003-10-04
KR100424620B1 true KR100424620B1 (ko) 2004-03-25

Family

ID=1972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742A KR100424620B1 (ko) 2002-03-27 2002-03-27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50544B2 (ko)
KR (1) KR100424620B1 (ko)
AU (1) AU2003200522B9 (ko)
GB (1) GB2387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2199A4 (en) * 2002-05-13 2005-08-17 Air Broadband Communications I SYSTEM AND METHOD FOR DSL MOBILE ACCESS ROUTER
KR20030088724A (ko) * 2002-05-14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네트워크에서 라우팅방법
KR100485355B1 (ko) * 2002-09-17 2005-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의 분산 시스템간 핸드오프 방법
KR100501323B1 (ko) * 2002-12-16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
JP4185853B2 (ja) * 2003-11-28 2008-11-26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無線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移動局
EP1679857A4 (en) * 2003-10-30 2009-11-25 Vodafone Pl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RE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FUNCTION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194031B1 (ko) * 2003-12-02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Ip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서로 다른 무선인터페이스를 갖는 기지국간 핸드오프 방법
US8520605B2 (en) * 2004-01-06 2013-08-27 Vasu Networks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broadband access and distribution of content and communications through an access point
CN100544518C (zh) 2004-01-06 2009-09-23 哈瓦公司 在蜂窝网络与因特网协议语音网络之间自动转换的电话
US8913604B2 (en) 2004-01-06 2014-12-16 Vasu Networks Corporation Access point with controller for billing and generating income for access point owner
US10419996B2 (en) 2004-01-06 2019-09-17 Vasu Networks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cellular and wifi networks
US8078164B2 (en) * 2004-01-06 2011-12-13 Vasu Networks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VOIP/cellular seamless roaming switching controller
US8514867B2 (en) 2004-01-06 2013-08-20 Hava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broadband content usage within a system
US7477894B1 (en) * 2004-02-23 2009-01-13 Foundry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wireless roaming among and across wireless area networks
WO2005081560A1 (ja) * 2004-02-25 2005-09-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ハンドオーバ方法、通信メッセージ処理方法及びこれら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449498B2 (ja) * 2004-03-05 2010-04-14 Kddi株式会社 移動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EP1578059A1 (en) * 2004-03-19 2005-09-21 Swisscom Mobile AG WLAN handover
US7558227B2 (en) * 2004-03-26 2009-07-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r wake even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706326B2 (en) * 2004-09-10 2010-04-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that implement handoff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100745997B1 (ko) 2004-09-15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간재가입 방법
US10320989B2 (en) 2005-02-11 2019-06-11 Vasu Networks Corporation Access point with controller for billing and generating income for access point owner
KR100727932B1 (ko) 2005-02-14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노드를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204098B (zh) * 2005-06-21 2014-04-30 摩托罗拉移动公司 用于提供分布式虚拟移动代理的系统和方法
US9031047B2 (en) * 2005-06-21 2015-05-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e communications using surrogate and care-of-internet protocol addresses
US9026152B2 (en) * 2005-06-21 2015-05-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paging and locating update in a network
WO2007001952A1 (en) * 2005-06-21 2007-01-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ncy during wireless connectivity changes
WO2007001953A1 (en) * 2005-06-21 2007-01-04 Motorola,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direct route between agents of a sender node and a receiver node
GB2440704B (en) * 2005-06-21 2009-10-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mobile station communications using internet protocol based communications
WO2007001949A2 (en) * 2005-06-21 2007-01-04 Motorola, Inc. Address resolution protocol-based wireless access point
EP2456259B1 (en) * 2005-07-25 2014-04-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an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handover characteristics of radio access networks
EP1748669B1 (en) * 2005-07-25 2019-01-30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update method for access points, and handoff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07043767A1 (en) * 2005-10-07 2007-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f user equipment us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72397B1 (ko) * 2006-02-10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장치
KR100790135B1 (ko) * 2006-08-1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리지 기반 무선 기지국 기간망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TW200820676A (en) * 2006-10-27 2008-05-01 Hon Hai Prec Ind Co Ltd Network access device, network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960124B1 (ko) * 2007-12-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 및 그 핸드오버방법
US9113335B2 (en) * 2008-04-30 2015-08-18 Aruba Networks Inc. Distributed load balancing in wireless networks
US8446860B2 (en) * 2008-08-07 2013-05-21 Fujitsu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access device localization on a wireless network
CN102036325B (zh) 2009-09-28 2013-06-0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建立或修改本地ip接入承载的方法和设备
US20120252449A1 (en) * 2011-03-29 2012-10-04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high-speed mo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61935B1 (en) * 2011-09-28 2017-02-01 Smith Micro Software, Inc. Self-adjusting mobile platform policy enforcement agent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mobility and efficient use of local and network resources
WO2015154927A1 (en) * 2014-04-07 2015-10-15 Thomson Licensing Method of controlling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apparatus and system emplementing the method
US10911400B2 (en) * 2016-05-17 2021-02-02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movement validation
US11877202B2 (en) 2022-02-24 2024-01-16 T-Mobile Usa, Inc. Handovers between IPV4 public data network sessions and 5G radio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633A (en) * 1992-07-08 1995-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ortcut network layer routing for mobile hosts
DE69332431T2 (de) 1992-09-08 2003-06-18 Sun Microsystem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indungsmöglichkeitserhaltung von Knoten in einem drahtlosen lokalen Netz
US6006090A (en) 1993-04-28 1999-12-21 Proxim, Inc. Providing roaming capability for mobile computers in a standard network
JP3251797B2 (ja) 1995-01-11 2002-01-28 富士通株式会社 ワイヤレスlanシステム
KR100212029B1 (ko) 1996-08-29 1999-09-01 서평원 무선 랜에서의 스테이션 위치 이동방법
US5991287A (en) * 1996-12-30 1999-11-23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handover in a wireless computer network
US6831915B1 (en) * 1997-02-20 2004-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rvice node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EP0924913A1 (de) * 1997-12-19 1999-06-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von Mobilität im Internet
US6188681B1 (en) 1998-04-01 2001-02-13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lternative second stationary access point in response to detecting impeded wireless connection
US7088694B1 (en) * 1998-05-05 2006-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fer of overlapping routing area control information in a radio access network
US7248572B2 (en) * 1998-09-22 2007-07-24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US6940847B1 (en) * 1999-01-15 2005-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service nodes from entities disposed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272129B1 (en) * 1999-01-19 2001-08-07 3Com Corporation Dynamic allocation of wireless mobile nodes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US6973057B1 (en) * 1999-01-29 2005-1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ublic mobile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6560217B1 (en) * 1999-02-25 2003-05-06 3Com Corporation Virtual home agent service using software-replicated home agents
US6473413B1 (en) * 1999-06-22 2002-10-29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ethod for inter-IP-domain roaming across wireless networks
US6477156B1 (en) 1999-06-29 2002-11-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operating radio device in alternate operating mode
US7130629B1 (en) * 2000-03-08 2006-10-31 Cisco Technology, Inc. Enabling services for multiple sessions using a single mobile node
US6687252B1 (en) * 2000-06-12 2004-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IP address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WO2001099457A1 (en) 2000-06-20 2001-12-27 Nokia Networks Oy A method for performing a mobile user terminal route update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operated based on the internet protocol
JP4201466B2 (ja) * 2000-07-26 2008-12-24 富士通株式会社 モバイル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vpnシステム及びvpnの設定方法
US7042864B1 (en) * 2000-08-01 2006-05-09 Cisco Technology, Inc. Enabling push technologies for mobile IP
GB2366483A (en) * 2000-08-21 2002-03-06 Lucent Technologies Inc A method of delivering packets to a roaming mobile
FI20001877A (fi) 2000-08-25 2002-02-26 Nokia Networks Oy Yhteisvastuun vaihtaminen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R100520141B1 (ko) * 2000-10-26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주소를 가지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US6771623B2 (en) * 2000-12-01 2004-08-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ensuring reliable mobile IP service
US6954790B2 (en) * 2000-12-05 2005-10-11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Network-based mobile workgroup system
US7106710B1 (en) * 2000-12-28 2006-09-12 Cisco Technology, Inc. Separation of packet registration from mobile devices
US7152238B1 (en) * 2000-12-29 2006-12-19 Cisco Technology, Inc. Enabling mobility for point to point protocol (PPP) users using a node that does not support mobility
US7155518B2 (en) * 2001-01-08 2006-12-26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Extranet workgroup formation across multiple mobile virtual private networks
US6771962B2 (en) * 2001-03-30 2004-08-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by which to provide temporary identifiers to a mobile node involved in a communication handover
US6826154B2 (en) * 2001-05-24 2004-11-30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mobility between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US7313628B2 (en) * 2001-06-28 2007-12-25 Nokia, Inc. Protocol to determine optimal target access routers for seamless IP-level handover
US6663352B2 (en) * 2001-07-25 2003-12-1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determining vapor pressure in pumping systems
US6961774B1 (en) * 2001-08-02 2005-11-0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s between internet protocol (IP) core networks in the wireless domain
US7103359B1 (en) * 2002-05-23 2006-09-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point ro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817A (ko) 2003-10-04
US20030185172A1 (en) 2003-10-02
GB2387296B (en) 2004-06-30
AU2003200522B2 (en) 2004-08-26
GB0304146D0 (en) 2003-03-26
US7450544B2 (en) 2008-11-11
AU2003200522A1 (en) 2003-10-16
GB2387296A (en) 2003-10-08
AU2003200522B9 (en)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620B1 (ko)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의 서브네트워크간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023631B2 (ja) コンパティブルでない移動ネットワーク内でローミングする移動局とのパケットデータ通信
JP3814185B2 (ja) 基地局装置、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US20090135783A1 (en) FMIPv6 Intergration with Wimax
JPH1135528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パケットゲートウェイ、および、ipパケットルーティング方法
KR101047252B1 (ko) 모바일 ip 통신 시스템, 모바일 ip 통신 장치 및 모바일 ip 통신 방법
US20080132237A1 (en) Relocation controlling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2005526448A (ja) 無線装置間でのip通信用技術
US7907584B2 (en) Access router device, mobility control system, and mobility control method
EP130912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server of virtual private network to mobile node
US20100082796A1 (en) Mobile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US8160067B2 (en) Address resolution protocol-based wireless access point method and apparatus
JP4057715B2 (ja) ルータ装置、無線端末装置、無線基地局及びメッセージ送信制御方法
JP30800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の位置登録方式
JP4436240B2 (ja) ネットワーク間でローミングするためのモバイル制御チャネルの使用
JP3846625B2 (ja) モバイルipを利用したデータ転送方式
US20070086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over in transport layer
JP2003318943A (ja) Ipアドレス生成方法及び無線基地局装置
KR100679803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라우팅 영역 갱신 시스템 및 그 갱신 방법
JP4750115B2 (ja) クロスオーバノード検出方法、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するためのクロスオーバノード検出用プログラム、クロスオーバノード検出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中継装置
JP2004241895A (ja) 代理位置登録オプションを備えた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30088724A (ko) 무선네트워크에서 라우팅방법
JP3885942B2 (ja) 移動端末のデータ通信方法
KR101291190B1 (ko) 2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들간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는방법
JP3679352B2 (ja) 移動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ホーム・エージェント、通信中継装置、通信端末、帯域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