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의해,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촬영대기 위치에 있을 때 촬영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공통 광축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광학 요소를 가지고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광학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LG3)가 상기 공통 광축 외측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반경방향 퇴피 요소로 되어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직진 가동 프레임;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둘레에 위치하고, 회전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을 광축 방향의 수납 위치와 촬영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과의 광축 방향의 상대 이동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반경방향 퇴피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진입하게 되는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제공된다.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상기 회전 구동 부재가 수납 위치로부터 촬영대기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면서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가 회전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은 상기 수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에 연통하는,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의 반경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반경방향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요소의 일부가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에 진입한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공통 광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피벗을 중심으로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와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부재는, 외주면에 복수의 캠 홈을 가지는 캠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 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캠 홈의 궤적에 따라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이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 링은 상기 회전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상기 공통 광축 방향의 이동력을 상기 공통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으로 변환하는 캠 면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 캠 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캠 바는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배후에 위치된 고정 부재로부터 상기 공통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캠 면은 상기 고정 캠 바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내에 편입되고, 촬상 소자가 상기 고정 부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상기 촬영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학 요소 지지 프레임이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주밍 동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광축은 상기 공통 광축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상기 직진 가동 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벗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하는 요동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동 프레임은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유지시키는 원통형 홀더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요동 프레임은, 상기 수납식 렌즈 프레임이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수납될 때, 상기 원통형 홀더부의 일부가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내로 진입하도록, 상기 피벗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줌 렌즈 광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 둘레에 위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는 상기 복수의 광학 요소 중의 최전방 광학 요소와 최후방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되는 중간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카메라내에 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로,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촬영대기 위치에 있을 때 촬영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공통 광축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광학 요소를 가지고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광학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가 상기 공통 광축 외측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반경방향 퇴피 요소로 되어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지지하고,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직진 가동 프레임;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둘레에 위치하고, 회전 구동 부재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을 광축 방향의 수납 위치와 촬영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회전 부재;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과의 광축 방향의 상대 이동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를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반경방향 퇴피시키는 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 및 상기 회전 구동 부재가 수납 위치로부터 촬영대기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면서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방 지하는 공전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제공된다.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정지시에,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일부가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내로 진입한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가 회전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은 상기 수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에 연통하는, 상기 직진 가동 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의 반경방향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상기 공통 광축상의 상기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반경방향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반경방향 퇴피 광학요소의 일부가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에 진입한다.
상기 회전 구동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내주면과 회전 부재의 외주면 중의 일방에, 상기 공통 광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전달 홈; 및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외주면 중의 타방에, 상기 회전 전달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 전달 돌기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전 기구는, 상기 회전 전달 홈의 일단부에 연통하여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 회전 허용 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회전의 초기 단계에, 상기 회전 전달 돌기가 상기 상대 회전 허용 홈내에 결합된다.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상기 회전 구동 부재의 상기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 전달 돌기에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고, 상기 회전 전달 돌기를 상기 상대 회전 허용 홈으로부터 상기 회전 전달 홈으로 진입시키는 진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식 렌즈 시스템은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구동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공통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비회전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입 장치는, 상기 비회전 링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비회전 링에 형성된 관통 슬롯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전달 돌기가 상기 관통 슬롯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관통 슬롯은 상기 상대 회전 허용 홈과 평행하고, 상기 회전 전달 돌기가 상기 상대 회전 허용 홈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회전 전달 돌기가 끼워지는 회전 방향 홈부; 및 상기 회전 전달 홈과 상기 상대 회전 허용 홈의 양방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회전 전달 돌기가 상기 회전 전달 홈내에 위치할 때에, 상기 회전 전달 돌기가 끼워지는 경사 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식 렌즈 시스템이 수납 위치에 위치될 때,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의 직경이 감소되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수납식 렌즈 시스템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회전 구동 부재가 수납 위치로부터 촬영대기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회전의 초기 단계(역으로 말해, 회전 구동 부재가 촬영대기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를 향해서 회전하는 회전 구동 부재의 최종 단계)에 있어 회전 부재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회전 부재가 실질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는 직진 가동 부재와 같이 취급될 수 있으며, 이것은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와 회전 부재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반경방향 퇴피 광학 요소가 회전 부재의 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내의 일정 지점까지 퇴피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줌 렌즈의 일 실시 형태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으로부터의 줌 렌즈(10)의 상반부는 와이드단에서의 줌 렌즈(1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광축으로부터의 줌 렌즈(10)의 하반부는 텔레단에서의 줌 렌즈(1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수납 위치(완전히 수납된 위치)에서의 줌 렌즈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줌 렌즈(10)는 디지털 카메라(카메라 보디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편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10)의 촬영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은,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셔터(S), 제 3 렌즈 그룹(반경방향으로 퇴피가능 한 광학 요소; LG3), 제 4 렌즈 그룹(LG4), 로 패스 필터(광 필터; 11) 및 CCD 촬상 센서(고체 촬상 소자; 12)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제 3 렌즈 그룹(LG3)이 촬영 광축(Z1)을 따라 소정의 이동 방식으로 구동되어, 주밍 동작을 실행하는 한편, 제 4 렌즈 그룹(LG4)이 촬영 광축(Z1)을 따라 구동되어 포커싱 작동을 실행한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광축 방향"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언급이 없다면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5는, 줌 렌즈(10)의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이러한 구성 요소의 확대도이다. 줌 렌즈(10)는 카메라 보디(도시하지 않음)내에 편입되어 있고, 이 카메라 보디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배럴(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 배럴(13)의 후방부에 CCD 홀더(14)(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CCD 홀더(14)의 중앙부에는 CCD 촬상 센서(12)가 장착되어 CCD 베이스 플레이트(15)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로 패스 필터(11)가 CCD 홀더(14)에 의해 유지되어 CCD 촬상 센서(12)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있다. 로 패스 필터(11)와 CCD 촬상 센서(12)의 사이는 환형 밀봉 부재(16)가 설치되어 그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줌 렌즈(10)는 고정 배럴(13)내에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함이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AF 렌즈 그룹(제 4 렌즈 그룹(LG4)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4 렌즈 프레임; 17)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줌 렌즈(10)는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을 회전시킴이 없이 광축 방향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을 안내하기 위해 촬영 광축(Z1)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배럴(13)과 CCD 홀더(14)에 한 쌍의 AF 가이 드 축(18A, 18B)의 각 가이드 축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은 그 반경방향 양측에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이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AF 렌즈 프레임(17)은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상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을 지지하는 고정 배럴(13)과 CCD 홀더(14)의 부분은 고정 배럴(13)의 외경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따라서 AF 가이드 축(18A, 18B)은 고정 배럴(13)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내부에 고정 배럴(13)에 고정된 AF 모터(19)를 구비하고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은 AF 모터(19)의 구동력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다. AF 모터(19)의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이송 나사 샤프트(회전 유도 나사)로서 기능하고, 이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는 AF 너트(20)(도 6 참조)상에 형성된 암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결합하고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은 AF 너트(2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가압 부재; 21)에 의해 광축 방향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고, AF 렌즈 프레임(17)의 전방 이동단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AF 너트(20)의 표면과 AF 렌즈 프레임(17)의 표면 사이의 맞닿음에 의해 결정된다. AF 모터(19)의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광축 방향의 AF 너트(20)의 후방 이동은 AF 렌즈 프레임(17)가 AF 너트(2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인장 코일 스프링(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런 구조에 의해, AF 모터(19)의 회전 드라이브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AF 렌즈 프레임(17)이 광축 방향으로 진퇴된다.
줌 렌즈(10)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줌 기어 축(22a)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배럴(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줌 기어(22)를 구비하고 있다. 줌 기어 축(22a)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고정 배럴(13) 및 CCD 홀더(14)에 고정되어 있다. 줌 기어(22)는 그것의 기어 치형부가 고정 배럴(13)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고, 줌 모터(23)(도 5에 직사각형 라벨로 개념적으로 나타냄)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배럴(13)은 그 내주면에 암 헬리코이드(13a),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및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을 구비하고 있다. 암 헬리코이드(13a)의 나사산은 광축 방향 및 고정 배럴(13)의 원주 방향 모두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다.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은 광축 방향(Z1)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은 암 헬리코이드(13a)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3개 한 세트의회전 가이드 홈(13d)은 각각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의 전단부와 연통하도록 고정 배럴(13)의 원주를 따라 뻗어 있도록 고정 배럴(13)의 내주면의 전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암 헬리코이드(13a)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 바로 뒤에 위치하는 고정 배럴(13)의 내주면의 특정 전방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각각의 3개 한 세트의 상기 홈(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및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에 관해서는, 각각의 세트의 홈이 고정 렌즈 배럴(13)의 내주면상에 원주 방향 위치를 달리하여 배열되어 있는 3개의 홈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6에서는 3개 홈들 중 일부만이 보여지고 있다.
줌 렌즈(10)는 고정 배럴(13)의 내측에 헬리코이드 링(회전 구동 부재; 25)을 구비하고 있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외주면상에 수 헬리코이드(25a)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를 구비하고 있다. 수 헬리코이드(25a)는 암 헬리코이드(13a)와 결합하고,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는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또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 내에 각각 결합된다. 헬리코이드 링(25)은 수 헬리코이드(25a) 나사산부에 줌 기어(22)와 맞물리는 환형상 기어(25c)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줌 기어(22)의 회전이 환형상 기어(25c)에 전달되었을 때, 헬리코이드 링(25)은, 수 헬리코이드(25a)가 암 헬리코이드(13a)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소정의 범위내에서는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한다. 헬리코이드 링(25)의 전방 이동이 고정 배럴(13)에 대해 소정의 지점을 넘으면, 수 헬리코이드(25a)가 암 헬리코이드(13a)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헬리코이드 링(25)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의 결합에 의해 고정 배럴(1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이 없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만 한다. 암 헬리코이드(13a)가 수 헬리코이드(25a)와 결합 관계에 있는 상태에서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는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 내에 각각 위치되고, 따라서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암 헬리코이드(13a)는 서로 간섭하진 않는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는 3개의 외부 텔레스코핑 배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 1 외부 배럴( 광학 요소 지지 프레임; 37), 제 2 외부 배럴(34) 및 제 3 외부 배럴(회전 구동 부재; 26)을 가진 텔레스코픽 타입이다. 헬리코이드 링(25)은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내주면상의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결합 오목부; 25d)를 구비하고 있고,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25d)의 전단부는 헬리코이드 링(25)의 전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제 3 외부 배럴(26)은 대응하는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3개의 회전 전달 돌기(결합 돌기; 26a)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의 회전 전달 돌기(26a)는 전방으로부터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25d)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 3 외부 배럴(26)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13 참조). 3개의 회전 전달 돌기(26a)와 3개이 회전 전달 오목부(25d)는 촬영 광축(Z1)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즉,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일체로 회전한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서 3개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의 전방면에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는 헬리코이드 링(25)의 전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도록 헬리코이드 링(25)의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외부 배럴(26)은, 대응하는 3개소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를 구비하고 있고, 이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는, 전방으로부터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내로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제 3 외부 배럴(26)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3개 한 세트의 결합 오목부(25e)내로 각각 결합되는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는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3개의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에 결합할 때 동시에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내에 결합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압축 코일 스프링(도시 안함)에 의해 광축 방향에 있어 서로로부터 이간하는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은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사이에 압축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외부 배럴(26)의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26b)는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 가이드 홈(13d)의 전방 안내 면에 대해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헬리코이드 링(25)의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각각 압축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 가이드 홈(13d)의 후방 안내 면에 대해 가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외부 배럴(26)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회전 전달 홈(26c)의 전단부는 제 3 외부 배럴(26)의 전단부에서 폐쇄되어 있고, 각각의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부는 제 3 외부 배럴(26)의 후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3개의 회전 전달 홈(26c)의 원주 방향 위치는 각각 3개의 회전 전달 돌기(26a)의 원주 방향 위치에 대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 전달 돌기(26a)는 장 돌기부(26a1)와, 광축 방향 후방으로의 돌출량이 장 돌기부(26a1)보다 작은 단 돌기부(26a2)로 이루어지고,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 개구부는 장 돌기부(26a1)와 단 돌기부(26a2) 사 이에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제 3 외부 배럴(26)의 원주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장 돌기부(26a1)의 표면과 단 돌기부(26a2)의 표면이 회전 전달 홈(26c)의 일부(후단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내주면에, 3개의 회전 전달 오목부(25d)와 각각 연통하는 3개 한 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공전 기구 요소; 25f)을 구비하고 있다. 이 3개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은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각각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일단부(도 13에서 보았을 때 좌측 단부)가 회전 전달 오목부(25d)와 연통하고 있고, 각각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타단부(도 13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가 폐단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을 서로 조합시킨 상태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이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 개구부(도 19에서 보았을 때 장 돌기부(26a1)의 우측 면)에 연통하여, 이 상대 회전 허용 홈(25f)과 회전 전달 홈(26c)이 함께 L자 모양의 홈부를 형성한다.
줌 렌즈(10)는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내측에 제 1 직진 안내 링(비회전 링; 30)을 구비하고 있다. 헬리코이드 링(25)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주 방향 홈(25g)을 구비하고, 제 3 외부 배럴(26)은 그것의 후단부와 전단부 근처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는 후방 원주 방향 홈(26d) 및 전방 원주 방향 홈(26e)을 구비하고 있다(도 7 참조).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의 외주면에, 광축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차례로 제 1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a), 제 2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b), 및 제 3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c)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a), 제 2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b), 및 제 3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c)는 각각 원주 방향 홈(25g), 후방 원주 방향 홈(6d), 및 전방 원주 방향 홈(26e)내에 결합된다. 이 결합에 의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동시에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의해 지지된다. 또,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통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완전히 분할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의 후단부 부근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돌기(30d)를 구비하고 있다. 이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돌기(30d)와 고정 배럴(13)의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13b)의 결합에 의해,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된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관통 홈; 30e)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통 슬롯(30e)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주 방향 슬롯부(공전 기구 요소/ 회전 방향 홈부; 30e-1), 이 원주 방향 슬롯부(30e-1)의 일단부(도 12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제 1 리드 슬롯부(진 입 장치/ 경사 홈부; 30e-2), 및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일단부(도 12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제 2 리드 슬롯부(경사 홈부; 30e-3)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경사각은 제 1 직진 안래 링(30)의 원주 방향에 대한 제 2 리드 슬롯부(30e-3)의 경사각보다 크다. 줌 렌즈(10)는, 전방부가 제 1 외부 배럴(37)내에 끼워지는 캠 링(회전 부재; 31)을 구비하고 있다. 캠 링(31)의 외주면의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고정된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회전 전달 돌기/ 공전 기구 요소; 32)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내에 끼워져 있다. 이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또한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을 관통하여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또는 3개 한 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 끼워져 있다.
고정 배럴(13)로부터 캠 링(31)까지의 줌 렌즈(10)의 가동 요소의 전진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줌 모터(23)에 의해 줌 기어(22)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의 관계에 의해 헬리코이드 링(25)이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 1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a)와 원주 방향 홈(25g)의 결합, 제 2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b)와 후방 원주 방향 홈(26d), 및 제 3 복수의 상대 회전 가이드 돌기(30c)와 전방 원주 방향 홈(26e)의 결합으로 인해, 제 3 외부 배럴(26)와 제 1 직진 안내 링(30) 사이 및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1 직진 안내 링(30) 사이의 각각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고, 공통 회전 축(즉, 촬영 광축(Z1))의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 록,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각각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의 이 회전은 제 3 외부 배럴(26)이 헬리코이드헬리코이드 링(25)과 함께 회전하면서 헬리코이드 링(25)과 함께 전진하게 하고, 또한 제 1 직진 안내 링(30)이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게 한다.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내에 결합되어 있고, 또한 3개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폐쇄 단부(32-K1; 도 19 참조)내에 결합되어 있다. 도 l4와 도 16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6에서는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의 동작을 도면에서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관통 슬롯(30e)만을 남겨 두고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지우고 있다. 또, 도 14 및 도 16에서는, 제 1 직진 안내 링(30)(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은, 본래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하측(반경방향 내측)에 숨겨져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지만, 도면 중에서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전진될 때,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전진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은 캠 링(3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그것들과 3개 한 세트의관통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의 개별적인 결합 관계에 의해, 광축 방향으 로는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로부터의 줌 렌즈(10)의 전진 동작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15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로부터 약 3O도 회전한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과 회전 전달 홈(26c)의 교차부(32-K2; 도 19 참조)에 결합되어 있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이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좌측 단부에서 회전 전달 홈(26c)의 측면(도 19에서 보았을 때 좌측 면)에 의해 롤러 종동자(32)로 전달될 수 있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하면서 더 전진 이동하면,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원주 방향 슬롯부(30e-1)로부터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 도 15 및 도 17에서 보았을 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각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는 관통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전단부(도 15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에 접근하도록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해당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내에서의 각각의 롤러 종동자(32)의 전방 이동은,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 전달 홈(26c)내에 결합되게 한다(즉,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으로부터 회전 전달 홈(26c)으로 진입된다).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내에 각 각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할 때에는 항상,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과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이 결합을 통해, 제 3 외부 배럴(26)의 토크(회전력)이 캠 링(31)에 전달된다. 그때,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캠 링(31)은 회전하면서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형상에 따라 전방으로 전진한다. 이때,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회전 전달 홈(26c)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으면서 이 회전 전달 홈(26c)내에서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직진 안내 링(30) 자체도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캠 링(31)은, 제 1 직진 안내 링(30)(및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전방으로의 직진 이동분과, 3개 한 세트의 롤로 종동자(32)와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의 결합을 통한 캠 링(31)의 전진 이동분의 합산 이동량만큼 광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상술한 회전 전진 동작은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가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을 때에만 행해진다. 이때,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는 각각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내에서 이동하고 있다. 헬리코이드 링(25)이 소정 이동량만큼 전진되면,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가 서로로부터 결합해제되어,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으로부터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로 이동한다.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의 결합해제시에는 회전하더라도, 헬리코이드 링(25)이 고정 배럴(13)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의 미끄럼이동 결합관계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이 없이 광축 방향 일정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가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으로부터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내로 미끄럼이동한 시점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는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으로부터 제 2 리드 슬롯부(30e-3)내로 들어간다. 각각의 관통 슬롯부(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는,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부터 멀어지고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전단부(도 15에서 보았을 때 상단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을 광축 방향 정위치에서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더 회전 시키면,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관통 슬롯(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캠 링(31)은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회전하면서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의 형상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와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결합과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의 결합에 의해, 토크를 캠 링(31)에 전달하는 회전 구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줌 기어(22)를 줌 모터(23)를 통해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 면, 줌 렌즈(10)의 상기 가동 요소들은 고정 배럴(13)로부터 캠 링(31)으로 이상의 전진 동작과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이 반대의 동작으로, 광축 방향 정위치에서 회전하는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은, 암 헬리코이드(13a)와 수 헬리코이드(25a)가 서로 결합한 후,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항상 회전하는 일 없이,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에 추종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한다.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 또는 제 2 리드 슬롯부(30e-3) 내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캠 링(31)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의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에 의해,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동일한 회전 전달 홈(26c)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으면서, 이 회전 전달 홈(26c)내에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부터 원주 방향 슬롯부(30e-1)내로 이동한 때에,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회전 전달 홈(26c)의 후단 개구부로부터 벗어나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 결합된다. 이 시점에서,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회전이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로 전달되는 것이 중지되고, 그에 따라 캠 링(31)은, 회전하는 일 없이,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함께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된다. 각각의 롤러 종동자(32)는 상대 회전 허용 홈(25f)내에서 이동하고, 줌 렌즈(10)는, 각각의 롤러 종동자(32)가 상대 회전 허용 홈(25f)의 폐쇄 단 부(도 13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에 도달한 때에 수납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캠 링(31)의 반경방향 내부의 줌 렌즈(10)의 구조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직진 안내 링(30)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3쌍 한 세트의 제 1 직진 안내 홈(30f) 및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6개 한 세트의 제 2 직진 안내 홈(30g)을 구비하고 있다. 각 쌍의 제 1 직진 안내 홈(30f)은 각각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원주 방향에서 제 2 직진 안내 홈(30g)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내부에 제 2 직진 안내 링(33)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직진 안내 링(33)은 그것의 외측 가장자리에 제 2 직진 안내 링(33)의 링부(33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분기형 돌기(33a)(도 8 참조)를 귀하고 있다. 각각의 분기형 돌기(33a )는 그것이 반경방향 외단부에 대응하는 쌍의 제 1 직진 안내 홈(30f)내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반경방향 돌기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 2 외부 배럴(34)의 외주면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6개 한 세트의 반경방향 돌기(34a)(도 11 참조)가 6개 한 세트의 제 2 직진 안내 홈(30g)내에 그것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직진 안내 링(33)과 제 2 외부 배럴(34)의 6개 한 세트의 반경방향 돌기(34a) 각각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 안내되고 있다. 줌 렌즈(10)는 캠 링(31)의 내부에 제 2 렌즈 그룹(LG2)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광학 요소 지지 프레임; 35)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외부 배럴(37)은 제 1 렌즈 그룹(LG1)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제 2 외부 배럴(34)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캠 링(31)의 반경방향 내부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직진 가동 프레임; 36)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직진 안내 링(33)은, 제 2 렌즈 그룹(LG2)을 지지하는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LG3)을 지지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을 양자 모두 회전시키는 일 없이 직진 안내하기 위한 직진 안내 부재로서 기능하는 한편, 제 2 외부 배럴(34)의 6개 한 세트의 반경방향 돌기(34a)는 제 1 외부 배럴(37)을 회전시키는 일 없이 직진 안내하기 위한 직진 안내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직진 안내 링(33)은 링부(33b)상에 링부(33b)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키(33c)를 구비하고 있다. 링부(33b)의 불연속한 외측 가장자리부는, 캠 링(31)의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한 불연속한 원주 방향 홈(31a)내에, 캠 링(31)에 대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은 가능하고 광축 방향의 캠 링(31)에 대한 상대 이동은 불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키(33c)는 링부(33b)로부터 캠 링(31)내로 돌출하고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은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키(33c)가 각각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대응하는 3개 한 세트의 안내 홈(35a)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은 또한 촬영 광축(Z1)상에 중심을 가지는 링부(35b)와, 이 링부(35b)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상의 각각에 상기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각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방 돌출편(35c)은 각각,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주면상에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대응하는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부(36a)내에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6a)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촬영 광축(Z1)상에 중심을 가지는 링부(36b)와, 이 링부(36b)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링부(36b)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한 6개 한 세트의 복수의 전방 돌출편(36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부(36a) 각각은 링부(36b)의 외주면(직진 안내 홈부(36a)의 저면)과 링부(36b)의 외주면의 광축방향 양 측면상의 인접한 2개의 전방 돌출편(36c)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사이의 이 결합 구조에 의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이 제 2 직진 안내 링(33)에 의해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된다.
도 8, 도 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링(31)은 그것의 내주면에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과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은 3개 한 세트의 후방 돌출편(35c)의 외주면에, 캠 링(31)의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내에 각각 결합된 3개 한 세트의 후방 캠 종동자(CF2)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6개 전방 돌출편(36c) 중 3개의 외주면에, 캠 링(31)의 3개 한 세트의전방 내측 캠 홈(CG3)내에 각각 결합되는 3개 한 세트의 전방 캠 종동자(CF3)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의 4세트의 홈 또는 종동자, 즉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 3개 한 세트의 전방 캠 종동자(CF3) 및 3개 한 세트의 후방 캠 종동자(CF2)는 각각,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대략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각각은 제 2 직진 안내 링(33)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있기 때문에, 캠 링(31)의 회전은,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과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의 궤적에 따라,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줌 렌즈(10)는 제 2 렌즈 그룹(LG2)을 지지하는 제 2 렌즈 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렌즈 프레임(40)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링부(35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도 10 참조). 제 2 렌즈 프레임(40)은, 그것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 나사(조정 나사)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암 나사(조정 나사)의 결합에 의해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링부(35b)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렌즈 프레임(40)의 수 나사와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암 나사는 각각 촬영 광축(Z1)상에 그것들의 중심을 가지고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렌즈 프레임(40)의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 에 대한 광축 방향 상대 위치가 제 2 렌즈 프레임(40)을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줌 렌즈(10)는 제2 및 제 3 렌즈 그룹(LG2, LG3) 사이에 셔터(S)를포함하는 셔터 유닛(41)을 구비하고 있다. 셔터 유닛(41)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어, 그것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셔터 유닛(41)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셔터 유닛(41)내에 편입되어 있다.
줌 렌즈(10)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내측에, 제 3 렌즈 그룹(LG3)을 셔터 유닛(4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하고 유지하는 제 3 렌즈 프레임(반경방향 퇴피 렌즈 프레임/요동 프레임; 42)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고정되는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피벗된다. 피벗 샤프트(44)는 촬영 광축(Z1)으로부터 일정 거리 편심되어 위치되어 있고,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는 도 1,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촬영 위치와,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도 2 및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으로 퇴피한 광축(Z2)에 위치하는 도 2, 도 23, 도 24, 도 25 및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퇴피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이 그것의 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소정 지점을 넘어 도 26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규제 핀(정지 핀; 46)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토션 코일 스프링(47)에 의해 회전 규제 핀(46)과 접촉하게 되는 방 향(도 26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8)은 제 3 렌즈 프레임(42)을 광축 방향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피벗 샤프트(44)상에 끼워져 있고, 제 3 렌즈 프레임(42)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사이의 백러시 제거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광축 방향으로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이동한다. 도 6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 홀더(14)는, 그것의 전방면에, 제 3 렌즈 프레임(42)에 결합 가능하도록 CCD 홀더(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 제어 캠 바(반경방향 퇴피 구동 부재/고정 캠 바; 49)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수납 방향으로 후방 이동하여 CCD 홀더(14)에 접근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단면에 형성된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 도 21 참조)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특정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회전시킨다. 위치 제어 캠 바(49)는 또한 그것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촬영 광축(Z1)과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으로 뻗어 있는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 제어 캠 바(49)로 수행되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퇴피 동작은 이후에 상술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부 배럴(34)은 그것의 내주면에,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다른 원주 방향 위치에 형성된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4b)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외부 배럴(37)은 그것의 후단부 외주면에, 3개 한 세트의 직진 안내 홈(34b)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고 있는 3개 한 세트의 결합 돌기(37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외부 배럴(37)은,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제 2 외부 배럴(34)을 통해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고 있다. 제 2 외부 배럴(34)은 그것의 후단부 부근의 내주면에, 원주를 따라 뻗어 있는 불연속한 내측 플랜지(34c)를 구비하고 있다. 캠 링(31)은 그것의 외주면에, 내측 플랜지(34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불연속한 원주 방향 홈(31b)을 구비하고 있어, 캠 링(30)이 제 2 외부 배럴(34)에 대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2 외부 배럴(34)은 캠 링(31)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즉, 제 2 외부 배럴(34)은 광축 방향으로 캠 링(31)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 1 외부 배럴(37)은 그것의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3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CF1)를 구비하고 있고, 캠 링(31)은 그것의 외주면에, 3개 한 세트의 3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CF1)가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3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CG1)을 구비하고 있다.
줌 렌즈(10)는 제 1 외부 배럴(37) 내부에, 제 1 렌즈 그룹 조정 링(50)을 통해 제 1 외부 배럴(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 1 렌즈 프레임(51)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렌즈 그룹(LG1)은 제 1 렌즈 프레임(51)에 의해 고정되어 유지된다. 제 1 렌즈 프레임(51)은 그것의 외주면에, 부분 수 나사(51a)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렌즈 그룹 조정 링(50)은 그것의 내주면에, 수 나사(51a)와 결합되는 부분 암 나사(50a)를 구비하고 있다(도 11 참조). 제 1 렌즈 프레임(51)의 제 1 렌즈 그룹 조정 링(50)에 대한 광축 방향 상대 위치는 부분 수 나사(51a)와 부분 암 나사 (50a)를 통해 줌 렌즈(10)의 조립시에 조정될 수 있다.
줌 렌즈(10)는 제 1 외부 배럴(37)의 전단부에, 카메라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얼룩지거나 흠집이 생기는 것으로부터 줌 렌즈(10)의 촬영 광학 시스템의 최전방 렌즈 요소, 즉 제 1 렌즈 그룹(LG1)을 보호하기 위해,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었을 때, 줌 렌즈(10)이 전단부 개구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렌즈 배리어 기구(54)(도 5)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배리어 기구(54)는 복수의 배리어 블레이드(전방 한 쌍의 배리어 블레이드 및 후방 한 쌍의 배리어 블레이드; 54a)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배리어 기구(54)는 복수의 배리어 블레이드(54a)가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는 제 1 렌즈 그룹(LG1)의 전방에서 완전히 닫혀지고,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촬영대기 상태에서는 완전히 열리도록 동작한다.
이상의 구조를 가진 줌 렌즈(10)의 렌즈 배럴 전진 동작 및 렌즈 배럴 수납 동작을 아래에 설명한다.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줌 모터(23)에 의해 줌 기어(22)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헬리코이드 링(회전 구동 부재; 25)과 제 3 외부 배럴(회전 구동 부재; 26)의 결합체가 수 헬리코이드(25a)와 암 헬리코이드(13a)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방 이동하게 되고, 또한 제 1 직진 안내 링(30)이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최초에는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헬리코이드 링(25), 제 3 외부 배럴(26) 및 제 1 직진 안내 링(3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만 하고, 약 3O도의 각도만큼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 의 결합체의 상술한 회전에 의해 회전한 후에, 제 3 외부 배럴(26)로부터 토크가 캠 링(31)에 전달되어,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와 롤러 종동자(32)의 결합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소정 위치까지 전진된 직후에, 헬리코이드 링(25)의 수 헬리코이드(25a)와 고정 배럴(13)의 암 헬리코이드(13a)가 서로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돌기(25b)와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의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결합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촬영 광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광축 방향 전진 이동을 정지한 시점(즉, 3개 한 세트의 회전가이드 돌기(25b)가 3개 한 세트의 경사 홈(13c)로부터 각각 3개 한 세트의 회전 가이드 홈(13d)내로 미끄럼 이동하여 들어가는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가 각각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1 리드 슬롯부(30e-2)로부터 제 2 리드 슬롯부(30e-3) 내로 들어가서, 캠 링(31)은 제 1 직진 안내 링(30)에 대해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캠 링(31)이 회전하면, 캠 링(31)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 2 직진 안내 링(33)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하는 일 없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각각, 전방 캠 종동자(CF3) 세트와 전방 내측 캠 홈(CG3) 세트의 결합과, 후방 캠 종동자(CF2) 세트와 후방 내측 캠 홈(CG2) 세트의 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궤적으로 캠 링(31)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내에 구비된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위치 제어 캠 바(49)에 의해 촬영 광축(Z1) 위쪽의 반경방향 수납 위치에 유지되어 있어,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은 촬영 광축(Z1)으로부터 이 촬영 광축(Z1) 위쪽에 위치되는 반경방향 퇴피 광축(Z2)로 이동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도 1,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로부터 줌 영역내의 위치까지 이동되는 도중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위치 제어 캠 바(49)로부터 분리되어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부터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이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촬영 광축(Z1)과 일치되는 도 1, 도 22 및 도 26에 도시된 촬영 위치로 회전한다. 이후,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수납될 때까지,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촬영 위치에 유지된다.
또, 캠 링(31)이 회전하면, 이 캠 링(31)의 둘레에 위치되어 있으며 회전하지 않고서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는 제 1 외부 배럴(37)이, 3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CG1)과 3개 한 세트의 캠 종동자(CF1)의 각각의 맞물림 관계로 인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캠 링(31)에 대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제 1 렌즈 그룹(LG1)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 촬상면(CCD 촬상 센서(12)의 수광면)에 대한 제 1 렌즈 그룹(LG1)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전방 이동량과 이 캠 링(31)에 대한 제 1 외부 배럴(37)의 이동량의 합산치에 의해 결정되고, 제 2 렌즈 그룹(LG2)이 수납 위치로부 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 촬상면에 대한 제 2 렌즈 그룹(LG2)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전방 이동량과 이 캠 링(31)에 대한 제 2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5)의 이동량의 합산치에 의해 결정되고, 제 3 렌즈 그룹(LG3)이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때 촬상면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LG3)의 축방향의 위치는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전방 이동량과 이 캠 링(31)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이동량의 합산치에 의해 결정된다. 주밍(줌 작동)은 상기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이 서로의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촬영 광축(Z1) 상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줌 렌즈(10)가 전진하도록 구동되면, 먼저 줌 렌즈(10)는,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세팅되어 있는, 도 1의 촬영 광축(Z1)으로부터 줌 렌즈(10)의 상반부에 도시된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계속하여, 줌 모터(23)를 렌즈 배럴 전진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줌 렌즈(10)가 텔레단에 세팅되어 있는, 도 1의 촬영 광축(Z1)으로부터 줌 렌즈(10)의 하반부에 도시된 위치로 전진 이동한다.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10)의 이러한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세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렌즈 그룹(LG1)과 제 2 렌즈 그룹(LG2)의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되고, 제 2 렌즈 그룹(LG2)과 제 3 렌즈 그룹(LG3)의 사이의 간격이 크다. 줌 렌즈(10)가 텔레단에 세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렌즈 그룹(LG1)과 제 2 렌즈 그룹(LG2)의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제 2 렌즈 그룹(LG2)과 제 3 렌즈 그룹(LG3)의 간격이 작아진다. 줌 작동을 위한 이와 같은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 사이의 간격의 변화 는, 3개 한 세트의 외측 캠 홈(CG1),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 및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의 궤적에 의해 이루어진다. 텔레단과 와이드단 사이의 줌 영역에서는,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이 광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으면서 회전만 한다. 한편, 동일한 줌 영역에 있어서, 캠 링(31)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와 제 1 직진 안내 링(30)의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의 제 2 리드 슬롯부(30e-3)의 맞물림 관계로 인해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진퇴이동한다.
제 1 렌즈 그룹(LG1), 제 2 렌즈 그룹(LG2) 및 제 3 렌즈 그룹(LG3)이 줌 영역에 있을 때에는, 피사체 거리에 따라 AF 모터(19)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제 4 렌즈 그룹(LG4)을 유지하는 AF 렌즈 프레임(17)이 촬영 광축(Z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포커싱 작동이 실행된다.
줌 모터(23)를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줌 렌즈(10)는 상기의 전진 작동과는 반대로 작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10)를 수납한다. 이러한 줌 렌즈(10)의 수납 동작의 도중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위치 제어 캠 바(49)에 의해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피벗 샤프트(44) 둘레로 회전운동하면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후퇴한다.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수납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 3 렌즈 그룹(LG3)은, 제 4 렌즈 그룹(LG4), 로 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되는, 다시 말해, 제 3 렌즈 그룹(LG3)이 제 4 렌즈 그룹(LG4), 로 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위치되어 있는 광축 방향에서의 축방향의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방향의 범위 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되는 공간의 반경방향 외측 공간으로 퇴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3 렌즈 그룹(LG3)를 퇴피시키기 위한 줌 렌즈(10)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줌 렌즈(10)가 완전히 수납되었을 때 줌 렌즈(10)의 길이를 단축시키므로, 도 2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 다시 말해, 광축 방향으로 카메라 보디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제 3 렌즈 그룹(LG3)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는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이란 용어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26 및 도 27 각각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과 같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 요동암부(42b), 원통형 피벗부(42c) 및 결합 돌기(42d)를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는 제 3 렌즈 그룹(LG3)을 직접 유지하여 지지한다. 상기 요동암부(42b)는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반경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원통형 피벗부(42c)는 요동암부(42b)의 피벗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 돌기(42d)는 요동암부(42b)의 다른 쪽 단부(자유단)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암부(42b)는 이 요동암부(42b)로부터 광축 방향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후방 돌출부(42e)를 가지고 있다. 상기 원통형 피벗부(42c)는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에는, 원통형 피벗부(42c)의 부근에서, 이 원통형 피벗부(42c)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캠 결 합 돌출부(42f)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 샤프트(44)는 원통형 피벗부(42c)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각각 제 3 렌즈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55)(도 10 참고) 및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베어링부(베어링 구멍)(36d)에 지지되어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55)는 세트 스크루(56)에 의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광축 방향으로 그 중심부의 내측 둘레면에 중심 내측 플랜지(36e)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내측 에지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요동할 수 있는 개구부(36f)를 형성하고 있다(도 9, 도 10, 도 22, 도 23, 도 26 및 도 27 참조). 상기 중심 내측 플랜지(36e) 상에는 베어링부(36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 내측 플랜지(36e)는 상기 베어링부(36d)의 하부에, 광축 방향으로 중심 내측 플랜지(36e)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캠 결합 돌기 삽입 구멍(36g)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 유닛(41)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전방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후방 공간에서, 촬영 광축(Z1)의 하부에 회전 규제 핀(46)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촬영 광축(Z1)을 사이에 두고 회전 규제 핀(46)과 반대측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을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관통하여 뻗어 있는 반경방향 개구부(36h)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경방향 개구부(36h)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 단부 부근의 절결부로서 형 성되어 있고,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 단부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9,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링(31)의 내주면에는, 렌즈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 반경방향 개구부(36h)에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반경방향 오목부(반경방향 퇴피용 수납부)(3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반경방향 바깥쪽으로(도 27에서 보았을 때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구역이 부분적으로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이나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 중의 하나 캠 홈의 대체로 뒤집혀진 V자 형상부의 후방의 삼각형 구역 내에 있는 캠 링(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3개 한 세트의 후방 내측 캠 홈(CG2)이나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과 간섭하지 않는 캠 림(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 캠 링(31)은, 캠 링(31)의 후단부 부근의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있는 캠 링(3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3개의 외측 돌기(31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경방향 오목부(31c)는, 3개의 외측 돌기(31d) 중의 하나의 외측 돌기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외측 돌기(31d)가 형성되어 있는 캠 링(31)의 부분은 각각 충 분한 벽 두께를 가지고 있고, 그 결과, 캠 링(31)은 반경방향 오목부(31c)가 캠 링(31)의 내주면에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경방향 오목부(31c)를 3개의 외측 돌기(31d) 중의 하나의 외측 돌기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캠 링(31)의 내주면의 일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캠 링(31)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외측 돌기(31d)는 단순한 보강 부재가 아니고, 그 내주면에는 불연속적인 원주 방향의 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3개의 외측 돌기(31d)의 외주면에는 불연속적인 원주 방향의 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외측 돌기(31d)는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를 각각 지지하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은, 원통형 피벗부(42c)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전방면측에 위치되고 또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후방 공간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요동암부(42b)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개구부(36f)를 관통하도록 광축 방향으로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42g)(도 28 참고)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을 지지하는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로 인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를 중심으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및 캠 링(31)에 대해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운동(요동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돌기(42d)가 회전 규제 핀(46)에 접촉하는 하방 회전운동 단으로부터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일부(예를 들면, 후방 돌출부(42e))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 (36)의 일부(예를 들면,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개구부(36f)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36f1))에 접촉하는 상방 회전운동 단까지가,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회전운동의 범위로 된다. 피벗 샤프트(44)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LG3)은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요동할 때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을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중심 내측 플랜지(36e)의 후방의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내부 공간에서 피벗 샤프트(44) 둘레로 요동한다.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코일부는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피벗부(42c)에 고정되어 있고,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대향 스프링 단부들 중의 하나(전방 돌출 스프링 단부)는 요동암부(42b)와 결합하고,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다른 쪽 스프링 단부(후방 돌출 스프링 단부)는 중심 내측 플랜지(36e)와 결합하고 있다. 이 토션 코일 스프링(47)은 피벗 샤프트(44)을 중심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도 26 및 도 27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상기 가압 방향으로의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회전운동 단, 즉 제 3 렌즈 그룹(LG3)의 촬영 위치는 결합 돌기(42d)와 회전 규제 핀(46)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 규제 핀(46)은 회전가능한 편심 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규제 핀(46)을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편심 핀과 결합 돌기(42d)의 결합 지점이 조정될 수 있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AF 렌즈 프레임(17)은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참고).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는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의 반경방향의 대향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는 광축 방향으로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한 쌍의 AF 가이드 축(18A, 18B)이 각각 끼워맞춤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은 제 1 암부(17a) 및 제 2 암부(17b)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는 촬영 광축(Z1)을 둘러싸는 중공의 박스 형상(직사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는 그 전방 단부면에 제 4 렌즈 그룹(LG4)이 고정되는 원형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의 후방 단부는 로-패스 필터(11)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개방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렌즈 프레임(17)은, 로-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속으로 진입하는 위치(AF 렌즈 프레임(17)의 축방향의 이동을 위한 후방 이동단)까지 광축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는 촬영 광축(Z1)을 통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중의 이러한 단면에 놓인 부분은 작은 양만큼 만 후방으로 뻗어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 중의 다른 원주 방향 부분은 광축 방향으로 로-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를 커버하도록 충분히 후방으로 뻗어 있다. AF 렌즈 프레임(17)이 이 후방 이동단까지 이동하면, CCD 홀더(14)로부터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방 단부가 광축 방향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의 전방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방 단부에는 촬영 광축(Z1)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평면에 놓인 퇴피 캠 면(49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뻗어있는 위치 제어 캠 바(49)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촬영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이 형성되어 있다(도 21 참고).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및 위치 제어 캠 바(49)는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서, 위치 제어 캠 바(49)가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삽입 및 후퇴 가능하다.
제 3 렌즈 그룹(LG3)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기 위한 상기 구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 3 렌즈 그룹(LG3)과 다른 결합 요소의 작동은 이하에서 설한다. CCD 홀더(14)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광축 방향의 위치는 3개 한 세트의 전방 내측 캠 홈(CG3)의 캠 궤적에 의한 캠 링(31)의 축방향의 이동과, 캠 링(31) 자신의 축방향의 이동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도 1의 줌 렌즈(10)의 상반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10)가 와이드단 또는 그 부근으로 이동할 때, CCD 홀더(14)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줌 렌즈(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CCD 홀더(14)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와이드단의 축방향의 위치로부터 최후방 축방향 위치(수납 위치)까지의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퇴 동작을 이용하여, 제 3 렌즈 그룹(LG3)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시킨다.
와이드단으로부터 텔레단까지의 줌 영역에서는,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스 프링력에 의해 결합 돌기(42d)의 단부를 회전 규제 핀(46)과 접촉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3 렌즈 프레임(42)이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제 3 렌즈 그룹(LG3)의 광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광축(Z1)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촬영 위치에 놓인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위치에 놓여 있을 때, 위치 제어 암(42f)이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으로 노출된다(도 26 참고).
줌 렌즈(10)의 촬영 대기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메인 스위치를 OFF 상태로 전환하면, AF 모터(19)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AF 렌즈 프레임(17)이 CCD 홀더(14)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렌즈 프레임(17)의 최후방 위치(수납 위치)에 수납된다. 이 때, CCD 홀더(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로-패스 필터(11) 및 CCD 촬상 센서(12)가,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렌즈 홀더부(17c)의 내부로 진입하여 제 4 렌즈 그룹(LG4)과 로-패스 필터(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 렌즈 프레임(17)이 최후방 위치에 도달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전방 단부가 광축 방향으로 AF 렌즈 프레임(17)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전술한 렌즈 배럴 수납 동작을 실행하도록 줌 모터(23)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구동된다. 줌 렌즈(10)의 와이드단을 넘어 줌 렌즈(10)를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줌 모터(23)가 구동되면,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제 1 리드 슬롯부(30e-2))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의 맞물림에 의해, 캠 링(31)은 촬영 광축(Z1) 주위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1과 도 2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캠 링(31)에 대하여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있을 때보다 줌 렌즈(1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광축 방향에서 줌 렌즈(10)의 전방에 위치하지만, 렌즈 배럴 수납 작동에서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수납 이동량이 캠 링(31) 내에서 캠 링(31)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전진 이동량보다 크기 때문에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CCD 홀더(14)에 접근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제 3 렌즈 프레임(42)과 함께 더욱 수납 이동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선단부는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내로 들어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제어 암(42f)은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내에 진입한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이 위치 제어 암(42f)에 접촉한다.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은, 위치 제어 암(42f)을 광축 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동안 도 26 및 도 27에서 보았을 때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피벗 샤프트(44)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리드 면이다. 그러므로,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이 위치 제어 암(42f)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후퇴하면,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결합 돌기(42d)를 회전 규제 핀(4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회전하게 한다.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으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광축 방향에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수납 이동에 따라 도 22와 도 26에 되시된 촬영 위치로부터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수납 위치를 향하여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피벗 샤프트(44) 주위로 회전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수납 위치까지 회전하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위치 제어 암(42f)은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결합할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까지 위치 제어 캠 바(49)상에서 미끄럼이동한다. 위치 제어 암(42f)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과 결합되어 있는 이러한 상태에서,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이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수납 이동에 의해서 반경방향 퇴피 위치(상방)의 방향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 주위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동시에,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은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촬영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유지한다.
도 4,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은 반경방향 개구(36h)로 진입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캠 링(31)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바로 외측에 위치되고, 반경방향 개구(36h)를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로 진입한다.
도 24 및 도 2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는 전방으로 돌출한 렌즈 홀더부(17c)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따라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촬영 광축(Z1)에 더 이상 근접될 수 없다. 그러므로, 만약 반경방향 오목부(31c)가 캠 링(31)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캠 링(31)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 링(31)의 내경을 본 실시형태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3 렌즈 그룹(LG3)(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본 실시형태의 줌 렌즈(10)에서, 캠 링(31)의 내경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경은 반경방향 오목부(31c)의 반경방향 깊이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줌 렌즈(10)의 직경 감소에 기여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렌즈 배럴 수납 동작을 실행하도록 줌 모터(23)가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구동된다. 줌 렌즈(10)의 와이드단을 넘어 줌 렌즈(10)를 렌즈 배럴 수납 방향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줌 모터(23)가 구동되면, 3개 한 세트의 관통 슬롯(30e)(제 1 리드 슬롯부(30e-2))와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의 맞물림에 의해, 캠 링(31)은 촬영 광축(Z1) 주위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 다. 도 1과 도 2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캠 링(31)에 대하여 줌 렌즈(10)가 와이드단에 있을 때보다 줌 렌즈(1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광축 방향에서 줌 렌즈(10)의 전방에 위치하지만, 렌즈 배럴 수납 작동에서 고정 배럴(13)에 대한 캠 링(31)의 수납 이동량이 캠 링(31) 내에서 캠 링(31)에 대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전진 이동량보다 크기 때문에 줌 렌즈(10)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CCD 홀더(14)에 접근한다.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이 제 3 렌즈 프레임(42)과 함께 더욱 수납 이동하면, 위치 제어 캠 바(49)의 선단부는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내로 들어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제어 암(42f)은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을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캠 바 삽입 관통 구멍(36g) 내에 진입한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이 위치 제어 암(42f)에 접촉한다.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은, 위치 제어 암(42f)을 광축 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동안 도 26 및 도 27에서 보았을 때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피벗 샤프트(44)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리드 면이다. 그러므로,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이 위치 제어 암(42f)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과 함께 후퇴하면,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결합 돌기(42d)를 회전 규제 핀(4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을 회전하게 한다.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으면 제 3 렌즈 프레임(42)은, 광축 방향에서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수납 이동에 따라 도 22와 도 26에 되시된 촬영 위치로부터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수납 위치를 향하여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피벗 샤프트(44) 주위로 회전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도 23과 도 27에 도시된 반경방향 수납 위치까지 회전하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위치 제어 암(42f)은 반경방향 퇴피 캠 면(49a)으로부터 결합할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까지 위치 제어 캠 바(49)상에서 미끄럼이동한다. 위치 제어 암(42f)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과 결합되어 있는 이러한 상태에서, 위치 제어 캠 바(49)의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이 광축(Z1)과 평행하게 뻗어 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수납 이동에 의해서 반경방향 퇴피 위치(상방)의 방향으로 제 3 렌즈 프레임(42)은 피벗 샤프트(44) 주위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동시에, 반경방향 퇴피 위치 유지 면(49b)은 토션 코일 스프링(47)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 3 렌즈 프레임(42)이 촬영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 3 렌즈 프레임(42)을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유지한다.
도 4, 도 23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은 반경방향 개구(36h)로 진입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캠 링(31)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바로 외측에 위치되고, 반경방향 개구(36h)를 통하여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로 진입한다.
도 24 및 도 2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줌 렌즈(10)의 수납 상태에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는 전방으로 돌출한 렌즈 홀더부(17c)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따라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촬영 광축(Z1)에 더 이상 근접될 수 없다. 그러므로, 만약 반경방향 오목부(31c)가 캠 링(31)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반경방향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캠 링(31)이 제 3 렌즈 프레임(42)의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 링(31)의 내경을 본 실시형태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3 렌즈 그룹(LG3)(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본 실시형태의 줌 렌즈(10)에서, 캠 링(31)의 내경과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외경은 반경방향 오목부(31c)의 반경방향 깊이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줌 렌즈(10)의 직경 감소에 기여한다.
단, 제 3 렌즈 프레임(42)을 지지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한 부재인 것에 반해, 캠 링(31)은 회전가능한 부재이고, 이에 따라,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가 반경방향 오목부(31c)에 진입할 때에 이 캠 링(31)과 제 3 렌즈 프레임(42)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반경방향 오목부(31c)와 반경방향 개구부(36h)의 원주 방향 위치는, 촬영 광축(Z1)의 주위에서로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의 줌 렌즈(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 통 수납 상태에서 경통 전진 동작을 할 때의 초기 단계에서,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이 회전할지라도, 캠 링(3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전 기구(3개한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 3개 한 세트의 슬롯(30e)의 원주 방향 슬롯부(30e-1) 및 3개 한 세트의 롤러 종동자(32)로 이루어짐)가 제공되어 있다. 이 공전기구 때문에, 와이드단으로부터 렌즈 배럴 수납방향으로 수납동작할 때, 캠 링(31)은 그 수납 위치의 앞의 소정의 지점(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의 조합체가 그 각각의 수납 위치에 도달하기 전 약 30도까지 회전하기 전의 지점)에서 회전을 정지하고, 그 이후 이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 후방으로 직진 이동된다. 이 캠 링(31)이 회전을 정지한 상태에서, 반경방향 오목부(31c)와 반경방향 개구부(36h)의 촬영 광축(Z1)의 주위에서의 원주 방향 위치가 서로 확실하게 대응하도록, 이 캠 링(31)의 설치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영역이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 내로 부분적으로 진입할 때에는, 반경방향 오목부(31c)와 반경방향 개구부(36h)가 줌 렌즈(10)의 반경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통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과 캠 링(31)과의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의 줌 렌즈(10)에서는, 상기 제 3 렌즈 그룹(LG3)(제 3 렌즈 프레임(42))이 촬영 광축(Z1)의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퇴피될 때, 이 제 3 렌즈 그룹(LG3)(제 3 렌즈 프레임(42))은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 내의 스페이스 내로만 퇴피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바로 외주측에 위치한 캠 링(31) 상에 형성된 오목부(반경방향 오목부(31c)) 내로도 진입되므로, 줌 렌즈(10)를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3 렌즈 프레임(42)을 지지하는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은 회전하지 않고 광축 방향으로의 직진이동이 가능한 부재인 것에 반해, 제 3 렌즈 그룹 이동 프레임(36)의 바로 외주측에 위치된 캠 링(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한 부재이다. 그러나,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캠 링의 반경방향 오목부(31C) 내로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때에, 상기 캠 링(31)에는 줌 렌즈(10)의 퇴피 동작의 최종단계(제 3 렌즈 프레임(42)이 광축(Z1)의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퇴피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술한 공전기구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렌즈 프레임(42)과 캠 링(31)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의 외측 영역이 캠 링(31)의 반경방향 오목부(31c) 내로 진입하자마자 캠 링(31)의 회전이 이미 정지되어 있다는 조건이 충족되는 한, 줌 렌즈(10)가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되는 때에 캠 링(31)이 회전을 정지하는 타이밍과,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동작을 개시하는 타이밍은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상, 상기의 설명은 도시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행하여 졌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렌즈 프레임(42)이 반경방향 퇴피 위치로 퇴피되는 때에 원통형 렌즈 홀더부(42a)(제 3 렌즈 그룹(LG3))의 일부분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캠 링(31)(회전가능한 부재) 상에 형 성된 수납부는 바닥이 있는 오목부(전술된 줌 렌즈의 실시 형태에서는 반경방향 오목부(31c))로서 형성되었지만, 이 수납부는 회전가능한 부재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면 이 회전가능한 부재 상에, 그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뻗어있는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전술된 줌 렌즈의 실시 형태에서 캠 링(31)은, 줌 렌즈(10)의 퇴피 상태로부터 전술된 바와 같은 초기의 전진 단계 이후에는(즉, 헬리코이드 링(25) 및 제 3 외부 배럴(26)은 회전하지만, 캠 링(31)은 회전하지 않고, 오직 광축방향으로만 이동하는 공전 단계 이후에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운동하는 타입이지만, 광축 방향으로 캠 링의 이동범위 내에 있는 촬영가능한 위치까지 전진된 후에는 고정 축 위치에서 회전하는 다른 타입이라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또, 전술된 줌 렌즈의 실시 형태에서 캠 링(31)은 캠 홈(캠 슬롯)을 경유하여 렌즈 그룹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가능한 부재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이 회전가능한 부재가 그 회전에 의해 광학 요소를 구동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캠 링 이외에다른 회전가능한 부재를 이용하는 렌즈 배럴의 타입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술된 줌 렌즈의 실시 형태에서는, 캠 링(31)에 대해 토크를 전달하는 회전 구동 부재는,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의 2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헬리코이드 링(25)과 제 3 외부 배럴(26)에 각각 대응하는 헬리코이드 링과 제 3 외부 배럴을 일체로 통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타입의 회전 구동 부재를 이용하는 퇴피가능한 렌즈 배럴의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 우, 3개 한 세트의 회전 전달 홈(26c)과 3개 한 세트의 상대 회전 허용 홈(25f) 각각은 상기 일체-타입의 회전 구동 부재 상에 3개 한 세트의 연속 홈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본원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자명한 변경이 행하여질 수 있으나, 그러한 변경은 청구된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한다.
전술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원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