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46736A - Busbar Mounting Device - Google Patents

Busbar Mou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736A
KR20060046736A KR1020050067238A KR20050067238A KR20060046736A KR 20060046736 A KR20060046736 A KR 20060046736A KR 1020050067238 A KR1020050067238 A KR 1020050067238A KR 20050067238 A KR20050067238 A KR 20050067238A KR 20060046736 A KR20060046736 A KR 20060046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unch
ridge
state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4187B1 (en
Inventor
히데키 고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18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절약화를 도모한 버스바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bar mounting apparatus that can save space.

커트용 펀치(31)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8)가 지지됨과 동시에, 스트리퍼 플레이트(28)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의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29)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스페이서 플레이트(29)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상호간에서의 한 쪽의 대향면에 융기부(29a)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대향면에 융기부(29a)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28a)가 형성된다. 브릿지 절단 공정 시에는, 융기부(29a)와 요홈부(28a)가 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12)과 하형(13)이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31)가 돌출 상태로 되고, 코오킹 공정 시에는 융기부(29a)와 요홈부(28a)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12)과 하형(13)이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31)가 비돌출 상태로 된다. The stripper plate 28 is supported by the punch holder plate 27 with the punch 31 for cutting, and the spacer plate 29 is formed between the stripper plate 28 and the punch holder plate 27. It is supported to be manipulated to exit and enter. A ridge 29a is formed on one opposing surface between the spacer plate 29 and the stripper plate 28, and the ridge 29a can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on the other opposing surface. The recess 28a to be fitted is formed. At the time of the bridge cutting process, when the raised part 29a and the recessed part 28a are made into a state where the upper mold | type 12 and the lower mold | type 13 approached and operated, the cut punch 31 will be in the protruding state, During the coking process, when the ridge 29a and the recess 28a are in a non-matching state, and the upper mold 12 and the lower mold 13 are approached and operated, the cut punch 31 is in a non-projected state. .

Description

버스바 장착 장치{BUSBAR MOUNTING APPARATUS}Busbar Mounting Device {BUSBAR MOUN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브릿지 절단 공정 시의 프레스 스테이션 부분의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the press station part in the bridge cutting process.

도 3은 브릿지 절단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bridge cutting state.

도 4는 코오킹 공정 시의 프레스 스테이션 부분의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of the press station part in the coking process.

도 5는 코오킹 가공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king process state;

도 6은 브릿지 절단 공정 시의 하이 스토퍼 부분의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of the high stopper part in the bridge cutting process.

도 7은 코오킹 공정 시의 하이 스토퍼 부분의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of the high stopper part at the coking process.

도 8은 종래의 버스바 장착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usbar mounting apparatus.

도 9는 버스바 플레이트와 절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usbar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버스바 플레이트2: busbar plate

2a : 버스바2a: busbar

2b : 브릿지2b: bridge

3 : 절연판3: insulation plate

3a : 코오킹용 돌기부3a: caulking protrusion

11 : 버스바 장착 장치11: busbar mounting device

12 : 상형12: Pictograph

13 : 하형13: lower mold

14 : 프레스 장치14: press device

17 : 워크 세트 테이블17: workset table

20 :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work station

21 : 프레스 스테이션21: press station

25 : 커트용 다이25: die for cutting

26 : 코오킹용 펀치26: punching for caulking

27 : 펀치 홀더 플레이트27: Punch Holder Plate

28 : 스트리퍼 플레이트28: stripper plate

28a : 요홈부28a: groove

29 : 스페이서 플레이트29: spacer plate

29a : 융기부29a: ridge

30 : 에어 실린더30: air cylinder

31 : 커트용 펀치31: Cut punch

33 : 하이 스토퍼33: high stopper

36 : 슬라이더 플레이트36: slider plate

37 : 에어 실린더37: air cylinder

본 발명은 절연판에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한 버스바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bar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 busbar on an insulating plate.

예컨대, 자동차의 배선에 사용되는 접합 박스의 내부에는 절연판에 버스바를 장착하여 절연판 상에 회로를 구성한 것이 내장되어 있고, 종래에는 이러한 버스바를 절연판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버스바 장착 장치(1)가 있었다. For example, inside a junction box used for wiring of an automobile, a bus bar is mounted on an insulating plate and a circuit is formed on the insulating plate. In the past, a bus bar as shown in FIG. 8 is a device for mounting such a bus bar on an insulating plate. There was a mounting device 1.

이 버스바 장착 장치(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복수 편의 버스바(2a)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2b)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2)나 절연판(3)이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4)과,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하게 된 상형과 하형을 갖는 프레스 스테이션(5)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This busbar mounting apparatus 1 is a bus bar plate 2 or insulating plate 3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busbars 2a as shown in FIG. It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work set station 4 which is set to the top, and the press station 5 which has the upper mold | type and lower mold | type which became accessible to each other and operated.

그리고, 워크 세트 스테이션(4)에 있어서 워크 세트 테이블(6)에서의 워크 세트 영역(6a)의 소정 위치에 버스바 플레이트(2)를 세트하고, 이 버스바 플레이트(2)가 세트된 워크 세트 테이블(6)을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7)의 작동에 의해, 레일(8)을 따라서 프레스 스테이션(5)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의 브릿지 커트 영역(5a)으로 이동시킨다. And in the work set station 4, the bus bar plate 2 is set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ork set area | region 6a in the work set table 6, and this work bar in which the bus bar plate 2 was set is set. The table 6 is moved along the rail 8 to the bridge cut region 5a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of the press station 5 by the operation of an actuator 7 such as an air cylinder.

이 때, 스토퍼(9)가 워크 세트 테이블(6)의 이동 경로 상에 출몰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고, 이 스토퍼(9)에 워크 세트 테이블(6)이 접촉하여 브릿지 커트 영역(5a) 위치에서 정지된다. At this time, the stopper 9 protrudes on the movement path of the work set table 6 so that the work set table 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9 and stops at the bridge cut area 5a position. do.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형의 하강 조작에 의해 상형에 구비된 커트용 펀치와 하형에 구비된 커트용 다이의 협동에 의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2)의 브릿지(2b)를 절단하고 복수 편의 버스바(2a)로 분단한다. In this state, the press apparatus is operated, and the bridge 2b of the bus bar plate 2 is cut and plural by the cooperation of the cut punch provided in the upper mold and the cut die provided in the lower mold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upper die. It divides into convenience bus bar 2a.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6)은 초기 위치의 워크 세트 스테이션(4)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스테이션(4) 위치에서 분단된 각 버스바(2a) 상의 소정 위치에 절연판(3)을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하여 다시 워크 세트 테이블(6)을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프레스 스테이션(5)의 상형과 하형 사이의 절연판 코오킹 영역(5b)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 상기 스토퍼(9)는 하강 조작되고, 워크 세트 테이블(6)의 이동 경로 상에서 아래쪽으로 후퇴하고 있다. Thereafter, the work set table 6 is returned to the work set station 4 position i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insulation plate 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each bus bar 2a segmented at the work set station 4 position. The work set table 6 is moved again by setting to a crystalline shape, thereby moving to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region 5b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of the press station 5. At this time, the stopper 9 is moved downward and retracts downwar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work set table 6.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키고, 상형의 하강 조작에 의해 각 버스바(2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절연판(3)의 각 코오킹용 돌기부(3a)를 하형에 구비된 코오킹용 펀치로 눌러 코오킹 고정하고, 이로 인해 절연판(3)과 각 버스바(2a)가 일체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this state, the press apparatus is operated, and each of the coking protrusions 3a of the insulating plate 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respective busbars 2a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upper die is pressed by the caulking punch provided in the lower die. In this way, the insulating plate 3 and the bus bars 2a are integrated.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6)은 워크 세트 스테이션(4)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테이블(6)상에서 일체화된 절연판(3)을 취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Thereafter, the work set table 6 was returned to the work set station 4 position, and was configured to take out the insulating plate 3 integrated on the work set table 6.

또한, 워크 세트 스테이션 위치에서 버스바 플레이트와 절연판을 병렬로 세트 가능한 워크 세트 테이블을 배치하고, 프레스 스테이션 위치에서의 제1 프레스 공정으로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하고 있는 동안에 절연판을 들어 올리고, 그 후, 분단된 각 버스바 상에 절연판을 세트하고 다음의 제2 프레스 공정으로 절연판에 각 버스바를 코오킹 고정한 후, 워크 세트 테이블을 워크 세트 스테이션 위치로 복귀시켜 일체화된 절연판을 취출하는 구성인 것도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188060호 참조).Further, a work set table capable of setting the bus bar plate and the insulation plate in parallel at the work set station position is placed, and the insulation plate is lifted while cutting the bridge of the bus bar plate in the first press process at the press station position. Thereafter, the insulating plate is set on each of the divided busbars, and the busbars are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by the following second press step, and then the work set table is returned to the workset station position to take out the integrated insulating plate.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6-188060).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브릿지 커트 영역(5a)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5b)을 워크 세트 테이블(6)의 이동 방향을 따라 각각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스 장치에서의 금형 사이즈가 대형화되어 버스바 장착 장치(1)의 설치를 위해 보다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ridge cut region 5a and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region 5b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ork set table 6, the mold size in the press apparatus is reduced. Has become larger, and a larger space is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the busbar mounting apparatus 1.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188060호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워크 세트 테이블 상에 버스바 플레이트와 절연판을 병렬로 각각 세트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세트 테이블이 대형화되고,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장치에서의 금형 사이즈가 대형화되어 버스바 장착 장치(1) 설치를 위해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88060, since the busbar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are set in parallel on the workset table, respectively, the workset table is enlarged, an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mold size in the press apparatus has been enlarged, so that a large space is required for the busbar mounting apparatus 1 installation.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 절약화를 도모한 버스바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bar mounting apparatus that is designed to save spa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복수 편의 버스바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나 절연판을 세트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과,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하게 된 상형과 하형을 갖고, 상형측 및 하형측에 각각 구비된 커트용 펀치와 커트용 다이의 협동에 의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커트용 다이가 구비된 상형측 혹은 하형측 에 구비된 코오킹용 펀치에 의해 분단된 각 버스바를 상기 절연판에 코오킹 고정하는 프레스 스테이션을 구비한 버스바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트용 펀치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에, 이격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 혹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상호간에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의 대향면에 상기 융기부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의 절단 시에는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가 합치 상태가 되고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상기 커트용 펀치가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돌출된 상태로 되고, 상기 절연판에 대한 코오킹 고정 시에는 융기부와 요홈부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비돌출 상태로 되어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The technical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has the work set station which sets the bus bar plate and insulation board which are joined by the bridge | segment which can divide a plurality of bus bars, and the upper mold | type and lower mold | type which became accessible to each other, and an upper mold | type side. And by cutting the bridge of the busbar plate by cooperation of the cut punch provided on the lower die side and the die for cutting, and by the caulking punch provided on the upper die side or the lower die side provided with the cut die. A bus bar mounting apparatus having a press station for caulking and fixing each divided bus bar to the insulating plate, wherein the stripper plate is supported by the punch holder plate provided with the cut punch in a pressing state in a separation direction, A spacer plate is formed between the stripper plate and the punch holder plate. It is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anipulated to come out and enter into the plate surface direction, and intersects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of exiting and entering the spacer plate on at least one opposing surface between the spacer plate and the punch holder plate or between the spacer plate and the stripper plate. A ridge is formed, and a recess is formed on the other opposing surface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ridge can be freely inserted and pulled out, and when the bridge is cut, the ridge and the groove are in a state of agreement. Wh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approached to each other, the cut punch is protruded from the stripper plate, and when the caulking is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the ridge and the recess are in a non-matching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If it is operated close to each other, the cut fern Than the stripper plate is in a non-projected state, the formed point.

또한,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의 합치 상태와, 융기부와 요홈부의 비합치 상태에서,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접근 높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고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Moreover, you may have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access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hich made the upper mold | type and the lower mold | type mutual access distance different in the mating state of the said raised part and the said recessed part, and the non-matched state of the raised part and the recessed p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버스바 장착 장치(11)는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해진 상형(상부 금형 : 12)과 하형(하부 금형 : 13)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14)로 주로 구성되고 있고, 하형(13)에서 일측방으로 한 쌍의 레일 지지 플레이트(15)가 돌출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shown in FIGS. 1 to 7, the bus bar mounting apparatus 11 has an upper mold (upper mold: 12) which is operabl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in the prior art. It consists mainly of the press apparatus 14 provided with the lower mold | type (lower metal mold | die: 13), and the pair of rail support plates 15 are arrange | positioned protrudingly to one side from the lower mold | type 13. As shown in FIG.

그리고, 각 레일 지지 플레이트(15) 상에 레일(16)이 각각 설치되고, 양 레일(16)에 걸쳐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구비되며,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18)의 작동에 의해, 레일(16)을 따라서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적절한 수의 코일 용수철에 의해 상방향 가압형으로 하측의 테이블 베이스부에 지지되어 있고, 각 코일 용수철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강 조작 가능하게 되고 있다. And the rails 16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each rail support plate 15, the work set table 17 is provided over both rails 16, and by operation | movement of actuators 18, such as an air cylinder, The work set table 17 is comprised so that a movement operation is possible along the rail 16. On the other hand, this work set table 17 is supported by the appropriate number of coil springs by the upward press type | mold, and is supported by the lower table base part, and can operate to lower | hang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each coil spring.

이로 인하여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복수 편의 버스바(2a)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2b)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2)나 절연판(3)이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와, 버스바 플레이트(2)에서의 브릿지(2b)의 절단이나 각 버스바(2a)를 절연판(3)에 코오킹 고정하기 위한 상형(12)과 하형(13)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스 스테이션(21) 위치에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As a result, the work set table 17 is a work set station in which a bus bar plate 2 or an insulating plate 3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bus bars 2a by a bridge 2b that can be divided into sets is positioned in a positioning shape ( 2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mold 12 and the lower mold 13 for cutting the bridge 2b in the bus bar plate 2 and for caulking the respective bus bars 2a to the insulating plate 3. It is comprised so that a movement operation is possible at the press station 21 position.

또한, 프레스 장치(14)에서의 하형(13)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고, 하형(13)의 네 구석에 세워 배치된 가이드 포스트(22)에 의한 안내 하에서, 상형(12)이 승강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mold | type 13 in the press apparatus 14 is installed and fix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upper mold | type 12 raises and lowers under the guide by the guide post 22 arrange | positioned upright in four corners of the lower mold | type 13. It is structured to be operable.

하형(13)에서의 프레스 스테이션(21) 위치에 대응한 상면측에는 다이홀더 플레이트(24)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그 다이홀더 플레이트(24)에는 버스바 플레이트 (2)의 각 브릿지(2b)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각각 커트용 다이(25)가 설치됨과 동시에, 절연판(3)의 코오킹용 돌기부(3a)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에 각각 코오킹용 펀치(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커트용 다이(25)나 각 코오킹용 펀치(26)는 대략 동일 높이를 갖고 상향 돌출형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The die holder plate 24 is fixed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si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ess station 21 in the lower die 13, and the bridge holder 2 of the busbar plate 2 is positioned at the die holder plate 24. The cutting dies 25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ame, and the punching punches 26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aulking projections 3a of the insulating plate 3, respectively. At this time, each cutting die 25 and each caulking punch 26 have a structur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nd is arrange | positioned upwardly.

또한, 상형(12)에서의 프레스 스테이션(21)에 대응한 하면측에는 펀치 홀더 플레이트(27)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상기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에는 이격 방향, 즉 하측 방향으로 적절한 수의 코일 용수철에 의해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28)가 현수 지지되어 있다. Further, a punch holder plate 27 is fixedly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side corresponding to the press station 21 in the upper die 12, and the punch holder plate 27 has an appropriate number of coil springs in the separation direction, that is, the downward direction. The stripper plate 28 is suspended and supported by the pressure state.

그리고, 이 스트리퍼 플레이트(28)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의 상호간의 간극에 스페이서 플레이트(29)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형(12)측에 부착 지지된 액추에이터로서의 에어 실린더(30)의 신축 동작에 의해, 스페이서 플레이트(29)는 그 플레이트(29)의 면 방향, 즉 수평 방향(도 2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And the spacer plate 2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learance gap between this stripper plate 28 and the punch holder plate 27,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air cylinder 30 as an actuator attached and supported by the upper mold | die 12 side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spacer plate 29 is suppor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pacer plate 29 can be manipulated to come out and enter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plate 29, that is,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또한, 스페이서 플레이트(29)에서의 스트리퍼 플레이트(28)와 대향하는 하면의 대향면에는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상기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 방향의 융기부(29a)가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 각 융기부(29a)에 대향하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상면의 대향면에는 각 융기부(29a)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28a)가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intersects with the outgoing and entering operation direction of the spacer plate 29, the ridge portion 29a in the orthogonal direction comes out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pposite the stripper plate 28 in the spacer plate 29. It is formed in plural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operation direction to be entered, and each ridge 29a is fit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ripper plate 28 facing each of the ridges 29a so as to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Groove portions 28a to be matched are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또한,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에는 버스바 플레이트(2)의 각 브릿지(2b) 위 치에 대응하는 소정 위치, 즉 다이홀더 플레이트(24)의 각 커트용 다이(25)에 대응한 소정 위치에 각각 커트용 펀치(31)가 하향 돌출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Further, the punch holder plate 27 has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bridge 2b of the busbar plate 2, that is,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cut die 25 of the die holder plate 24. The cut punch 31 is prov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respectively.

이 때, 이 각 커트용 펀치(31)의 펀치 홀더 플레이트(27)부터의 돌출 길이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요홈부(28a)가 합치하여 서로 끼워맞춰져 맞물린 상태에서,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커트용 다이(25)와 협동 가능한 길이이고,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하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protruding length from the punch holder plate 27 of each cut punch 31 is the yaw of each ridge 29a of the spacer plate 29 and the stripper plate 28 as shown in FIG. In a state where the groove portions 28a are fitt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the groove portion 28a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per plate 28 to cooperate with the cutting die 25, and the spacer plate 29 as shown in FIG. In the case where the raised portions 29a and the recessed portions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in inconsistent state, the protrusions 29a ar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per plate 28.

또한, 스트리퍼 플레이트(28)에서의 각 커트용 펀치(31) 위치에 대응한 부분에는 커트용 펀치(3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멍(28b)이 각각 형성되고, 스페이서 플레이트(29)에서의 각 커트용 펀치(31) 위치에 대응한 부분에는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나오고 들어가는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커트용 펀치(31)가 헐겁게 삽입되고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으로 긴 구멍 형상의 헐겁게 끼워지는 구멍(2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hole 28b which guides the cut punch 31 is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each cut punch 31 position in the stripper plate 28, and each cut in the spacer plate 29 is formed, respectively. Holes 29b, which are loosely inserted in the long hole shape in the operation direction in which the cut punch 31 is loosely inserted and exited so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movement of the spacer plate 29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unch punch 31. These are formed, respectively.

또한, 도 1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각 가이드 포스트(22)의 상호간에 위치하여 상형(12)과 하형(13)의 상호 접근 거리를 규제하는 접근 높이 조정 기구로서의 하이 스토퍼(33)가 구비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by the imaginary line of FIG. 1, the high stopper as an access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hich is located between each guide post 22 of both sides, and controls the mutual approach distance of the upper mold | type 12 and the lower mold | type 13 ( 33).

각 하이 스토퍼(3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형(13)에서 3개의 스토퍼 지주(34a, 34b, 34c)가 상향 돌출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앙의 스토퍼 지주(34b)가 그 양측의 스토퍼 지주(34a, 34c)보다도 높게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each of the high stoppers 33 has three stopper struts 34a, 34b, and 34c arranged upward in the lower mold 13, and a central stopper strut 34b. ) Is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e stopper struts 34a and 34c on both sides thereof.

또한, 상형(12)에는 하강 조작시에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35a, 35b, 35c)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일측의 접촉부(35c)는 슬라이더 플레이트(36)에 장착되고, 상형(12)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로서의 에어 실린더(37)의 신축 동작에 의해 중앙의 스토퍼 지주(34b) 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에어 실린더(37)의 신장 상태에서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스토퍼 지주(34b)의 위쪽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Moreover, the contact part 35a, 35b, 35c which is contact-removably contacted each stopper support 34a, 34b, 34c at the time of a descent operation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mold | type 1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35c on one side is mounted on the slider plate 36 and operated to move in and out of the center stopper support 34b direction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air cylinder 37 as the actuator mounted on the upper die 12.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upport part 36a of the slider plate 36 may be located in the upper position of the stopper support 34b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air cylinder 37.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의 단축 상태에서의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대향하는 합치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7)는 단축 상태가 되어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n, as shown in FIG. 2, the ridge 29a of the spacer plate 29 in the shortened state of the air cylinder 30 and the concave portion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face each other. In FIG. 6, the air cylinder 37 is shortened so that the stopper struts 34a, 34b, 34c and the contact portions 35a, 35b, 35c face each other in the up-down direction. hav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의 신장 상태에서의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위치가 어긋난 비합치 상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7)가 신장 상태가 되고,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스토퍼 지주(34b)의 상측 위치에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ridges 29a of the spacer plate 29 and the grooves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air cylinder 30. In the non-matching state, as shown in FIG. 7, the air cylinder 37 is in an extended state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 36a of the slider plate 36 faces the upper position of the stopper strut 34b. Consists of.

따라서, 각 융기부(29a)와 각 요홈부(28a)가 서로 위치가 어긋난 비합치 상태에서는, 합치 상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형(12)의 하강 한도 위치가 약간 위쪽으 로 정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refore, in the non-matching state where the ridges 29a and the recesses 28a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upper die 12 stops slightly upwar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coincidence state. have.

한편,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의 접촉 시의 소음을 완화하도록 각 접촉부(35a, 35b, 35c)를 경질 우레탄 고무로 구성해도 된다. In addition, you may comprise each contact part 35a, 35b, 35c with hard urethane rubber so that the noise at the time of the contact of each stopper support 34a, 34b, 34c and each contact part 35a, 35b, 35c may be alleviated.

그리고, 절연판(3)에 각 버스바(2a)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워크 세트 스테이션(20)에 위치되는 워크 세트 테이블(17)에서의 워크 세트 영역(17a)의 소정 위치에 버스바 플레이트(2)를 세트하고, 이 버스바 플레이트(2)가 세트된 워크 세트 테이블(17)을 액추에이터(18)의 작동에 의해 각 레일(16)을 따라 프레스 스테이션(21)의 상형(12)과 하형(13) 사이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이동시킨다. In the case where the bus bars 2a are attached to the insulating plate 3, the bus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ork set area 17a in the work set table 17 located at the work set station 20 as in the prior art. The bar plate 2 is set, and the work set table 17 on which the bus bar plate 2 is set is operated by the actuator 18 so that the upper die 12 of the press station 21 is moved along each rail 16. ) And the work press area 21a between the lower mold 13.

이 워크 프레스 영역(21a) 위치에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도착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는 단축 상태로 되어 있고,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한 합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7)도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축 상태로 되어 있고, 하이 스토퍼(33)에서의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In a state where the work set table 17 arrives at the work press area 21a position, as shown in FIG. 2, the air cylinder 30 is in a shortened state, and each raised portion 29a of the spacer plate 29 is provided. ) And each groove portion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in a mating state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over, the air cylinder 37 is also shortened as shown in FIG. 6, and each stopper support 34a, 34b, 34c and each contact part 35a, 35b, 35c in the high stopper 33 mutually exist. It is in an opposing state.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14)가 작동하여 상형(12)이 하강 조작되면, 스트리퍼 플레이트(28) 하면이 버스바 플레이트(2)에 맞닿고, 그 후 다시 하강 조작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끼워 맞춰진 맞물림 상태로 되는 동시에 워 크 세트 테이블(17)도 초기 높이보다 하강 조작되고, 이로 인해 커트용 펀치(31)가 스트리퍼 플레이트(2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대향하는 커트용 다이(25)와의 협동에 의해 버스바 플레이트(2)의 각 브릿지(2b)를 절단한다. When the press apparatus 14 operates in this state, and the upper die 12 is operated to desce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per plate 28 abuts the busbar plate 2 and then descends again. Similarly, the ridges 29a of the spacer plate 29 and the grooves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 set table 17 is also lowered from the initial height. For this reason, the cut punch 31 protrudes below the stripper plate 28, and cut | disconnects each bridge 2b of the bus bar plate 2 by cooperation with the cut die 25 which opposes.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스토퍼(33)에서의 각 스토퍼 지주(34a, 34b, 34c)와 각 접촉부(35a, 35b, 35c)가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하게 맞닿아 상형(12)의 하강이 규제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each stopper support 34a, 34b, 34c and each contact part 35a, 35b, 35c in the high stopper 33 contact each other so that contact upper part 12 is possible, and the upper mold | type 12 is carried out. Down is regulated.

그리고, 각 브릿지(2b)의 절단 후, 상형(12)은 초기의 상승 위치에 복귀된다. 이 때, 스트리퍼 플레이트(28)는 펀치 홀더 플레이트(27)로부터 떨어지는 아래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하여, 각 융기부(29a)와 각 요홈부(28a)의 끼워 맞춰진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밀려 내려갔던 워크 세트 테이블(17)도 초기의 높이로 복귀된다. Then, after the cutting of each bridge 2b, the upper die 12 is returned to the initial raised position. At this time, the stripper plate 28 is spaced apart from the punch holder plate 27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reby the fitted state of each ridge 29a and each recess 28a is released. In addition, the work set table 17 which has been pushed down is also returned to the initial height.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초기 위치의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에서 분단된 각 버스바(2a) 상의 소정 위치에 절연판(3)을 위치 결정 형상으로 세트하고, 다시 워크 세트 테이블(17)을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이동시킨다. Thereafter, the work set table 17 is returned to the work set station 20 position i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insulating plate 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each bus bar 2a segmented at the work set station 20 position. It sets to a crystalline shape, and moves the workpiece | work set table 17 to the workpiece | work press area 21a again.

이 절연판(3) 세트 후의 2번째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 위치에 워크 세트 테이블(17)이 도착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30)는 신장 상태로 되어 있고,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비합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37)도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로 되어 있고, 하이 스토퍼(33)에서의 중앙의 스토퍼 지주(34b)와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work set table 17 arrives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work press region 21 a after the set of the insulating plates 3, as shown in FIG. 4, the air cylinder 30 is in an extended state, and the spacer Each ridge 29a of the plate 29 and each recess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in an inconsistent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are sh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air cylinder 37 is also extended, and the center stopper support 34b of the high stopper 33 and the support part 36a of the slider plate 36 oppose each other. It is in a state.

이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14)가 작동하여 상형(12)이 하강 조작되면, 스트리퍼 플레이트(28) 하면이 버스바 플레이트(2)에 맞닿고, 그 후 다시 하강 조작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각 융기부(29a)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각 요홈부(28a)가 서로 위치 어긋나고 있기 때문에,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의 하면과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하면의 거리가 줄어들지 않고, 커트용 펀치(31)가 스트리퍼 플레이트(2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비돌출 상태에서 하강하며. 이 하강에 수반하는 워크 세트 테이블(17)의 하강에 의해, 각 버스바(2a)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절연판(3)의 각 코오킹용 돌기부(3a)가,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대향하는 코오킹용 펀치(26)로 눌리며, 이로 인하여 코오킹 고정되어 절연판(3)과 각 버스바(2a)가 일체화된다. When the press apparatus 14 operates in this state and the upper die 12 is lowered,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per plate 28 abuts the bus bar plate 2, and then the lower operation is performed again. Similarly, since the ridges 29a of the spacer plate 29 and the grooves 28a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punch holder plate 2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ripper plate 28 are separated. The distance is not reduced, and the cut punch 31 descends in a non-protruding state where the cut punch 31 does not protrude downward from the stripper plate 28. By lowering the work set table 17 accompanying this lowering, each of the coking protrusions 3a of the insulating plate 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respective busbars 2a protrudes downwards and opposes the punching for coking. It is pressed by (26), whereby caulking is fixed so that the insulating plate 3 and each bus bar 2a are integrated.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스토퍼(33)에서의 스토퍼 지주(34b)와 슬라이더 플레이트(36)의 받침부(36a)가 서로 접촉 분리 가능하게 맞닿아 상형(12)의 하강이 규제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stopper support 34b of the high stopper 33 and the supporting portion 36a of the slider plate 36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wering of the upper die 12 occurs. Regulated.

그리고, 절연판(3)에 대한 각 버스바(2a)의 코오킹 고정 후, 상형(12)은 초기의 상승 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에어 실린더(30)도 단축 상태로 복귀되고, 각 융기부(29a)와 각 요홈부(28a)가 서로 대향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하이 스토퍼(33)에서의 에어 실린더(37)도 단축 상태로 복귀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밀어 내려져 있던 워크 세트 테이블(17)도 초기의 높이로 복귀된다. And after caulking each bus bar 2a with respect to the insulating plate 3, the upper mold | type 12 is returned to an initial raise position. At this time, the air cylinder 30 is also returned to the shortened state, and the ridges 29a and the grooves 28a ar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air cylinder 37 in the high stopper 33 also returns to the shortened state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work set table 17 which was pushed down also returns to an initial height.

그 후, 워크 세트 테이블(17)은 워크 세트 스테이션(20) 위치로 복귀되고, 워크 세트 테이블(17) 상에서 일체화된 절연판(3)을 취출하면 버스바(2a)가 장착된 절연판(3)을 얻을 수 있다. Thereafter, the work set table 17 is returned to the work set station 20 position, and when the integrated insulating plate 3 is taken out on the work set table 17, the work plate table 17 is mounted with the bus bar 2a. You can get it.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버스바 플레이트(2)의 브릿지(2b)를 절단하는 브릿지 커트 영역과, 분단된 각 버스바(2a)와 절연판(3)을 코오킹 고정하는 절연판 코오킹 영역이 단일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겸용된 구조이며, 영역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형(12) 및 하형(13)의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버스바 장착 장치(1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도 적어도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bridge cut area which cut | disconnects the bridge 2b of the bus bar plate 2, and the insulation board core which caulks and clamps each divided bus bar 2a and the insulating plate 3 are made. Since the king area is a structure that serves as a single work press area 21a, and the area can be shared, the overall size of the upper die 12 and the lower die 13 can be made small and compact.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the busbar attachment device 11 is also reduced, and space can be saved.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을 워크 프레스 영역(21a)에서 공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구조에서의 스토퍼 등이 불필요해져 각종 부품 개수의 삭감이나, 금형의 단순화 및 금형 사이즈의 컴팩트화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ridge cut area and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area are made common in the work press area 21a, a stopper or the lik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is unnecessary, and the cost of reducing the number of various parts, simplifying the mold and compacting the mold siz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reduction can be achieved.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이 동일한 위치의 워크 프레스 영역(21a)으로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세트 스테이션(20)에서 세트된 버스바 플레이트(2)나 절연판(3)을 프레스 스테이션(21)으로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 이동 스트로크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사이클 타임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ridge cut area and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area are common to the work press area 21a at the same position, the bus bar plate 2 and the insulating plate 3 set at the work set station 20 are replaced with a press station ( 21), the movement stroke can be reduced and the cycle time can be improved.

또한, 상형(12)과 하형(13)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하이 스토퍼(3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 플레이트(2)의 브릿지(2b) 절단 공정과, 절연판(3)의 코오킹용 돌기부(3a) 코오킹 공정으로 상형(12)의 하강 정지 위치를 보 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Moreover, since the high stopper 33 which made the upper mold | type 12 and the lower mold | type 13 mutually different mutually close distances is provided, the bridge 2b cutting process of the busbar plate 2 and the insulating plate 3 are carried out. Caulking protrusion (3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re surely regulated than the stop position of the upper die 12 in the coking process.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을 워크 프레스 영역(21a)에서 공통화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의 크기의 상형과 하형을 이용한 경우에는, 워크 프레스 영역(21a)을 2개소 확보할 수 있고, 절단 공정이나 코오킹 공정을 복수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버스바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도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ridge cut area | region and the insulation board caulking area | region are commonized in the work press area | region 21a, when using the upper mold | type and lower mold | type of the same magnitude | size as before, two work press area | regions 21a can be ensured, In addition, a bus bar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cutting and caulking processes simultaneously can be provided, and space-saving can be achieved in this regar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플레이트(29)와 스트리퍼 플레이트(28)의 상호간에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융기부(29a)와 요홈부(28a)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펀치 홀더 플레이트(27)와 스페이서 플레이트(29)의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 사이에 각각 융기부와 요홈부를 설치하는 구조로 해도 되며, 상기 실시예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ridge portion 29a and the groove portion 28a are formed so that the spacer plate 29 and the stripper plate 28 can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from each other.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provides a ridge and a recessed part, respectively,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holder plate 27 and the spacer plate 29 which oppose each other, and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t all.

또한, 상형(12)측에 커트용 펀치(31)를 배치하고, 하형(13)측에 커트용 다이(25)나 코오킹용 펀치(26)를 배치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형(12)측에 커트용 다이(25)나 코오킹용 펀치(26)를 배치하고, 하형(13)측에 커트용 펀치(31)를 배치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Moreover,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cutting punch 31 on the upper mold | type 12 side, and the cutting die 25 and the caulking punch 26 on the lower mold | type 13 side is shown, the upper mold | type 12 side is shown. The cutting die 25 and the caulking punch 26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die 13 and the cutting punch 3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die 13 side.

본 발명의 버스바 장착 장치에 따르면, 커트용 펀치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에 이격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 혹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상호간에서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대향면에,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의 대향면에 융기부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브릿지의 절단 시에는 융기부와 요홈부가 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돌출 상태가 되고, 절연판에 대한 코오킹 고정 시에는, 융기부와 요홈부가 비합치 상태로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비돌출 상태로 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브릿지 커트 영역과, 분단된 각 버스바와 절연판을 코오킹 고정하는 절연판 코오킹 영역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형 및 하형의 컴팩트화가 도모되고, 이로 인하여 버스바 장착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스페이스도 적어도 되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usbar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per plate is supported by being pressed in the spaced direction to the punch holder plate with the punch for cut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r plate between the stripper plate and the punch holder plate is in the direction of its plate. A ridge which is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anipulated to come out and enters, intersects with the direction of entry and exit of the spacer plate on at least one opposing surface between the spacer plate and the punch holder plate or between the spacer plate and the stripper plate. Grooves ar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to be fitted so that the ridges can be inserted and removed freely, and when the bridge is cut, the ridges and the grooves are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dies are approached and operated. In case The punch for the cut is more protruding than the stripper plate, and when the caulking is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when the ridge and the recess are in an inconsistent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approach each other, the cut punch does not protrude more than the stripper plate. Since the structure is made in a state, the upper and lower dies can be commonized by the bridge cut area for cutting the bridge of the busbar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area for caulking the divided busbars and the insulating plate.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the busbar mounting device can be reduc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ave space.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의 공통화에 의해, 종래 구조에서의 스토퍼 등이 불필요해지고 각종 부품 개수의 삭감이나 금형의 단순화 및 금형 사이즈의 컴팩트화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on use of the bridge cut region and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region eliminates the need for a stopper or the like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can reduce costs by reducing the number of various parts, simplifying the mold, and compacting the mold size.

또한, 브릿지 커트 영역과 절연판 코오킹 영역이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 세트 스테이션으로 세트된 버스바 플레이트나 절연판을 프레스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킴에 있어서 이동 스트로크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사이클 타임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ridge cut area and the insulating plate caulking area are common, the moving stroke can be reduced by moving the busbar plate and the insulating plate set to the work station to the press station, and the cycle time is improved. have.

또한, 융기부와 요홈부의 합치 상태와, 융기부와 요홈부의 비합치 상태에서, 상형과 하형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접근 높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하면, 상형과 하형의 접근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ructure of which the access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hich made the mutual approach distance of the upper mold | type and the lower mold | type different is provided in the state of agreement of a ridge | bulb part and a recessed part, and a non-matching state of a bulge part and a recess part, the access position of an upper mold | type and a lower mold | type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ore surely regulated.

Claims (2)

복수 편의 버스바가 분단 가능한 브릿지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버스바 플레이트나 절연판을 세트하는 워크 세트 스테이션과, A work set station for setting a busbar plate and an insulating plate joined by a bridge capable of dividing a plurality of busbars, 서로 접근 이격 조작 가능하게 된 상형과 하형을 가지고, 상형측 및 하형측에 각각 구비된 커트용 펀치와 커트용 다이의 협동에 의해 상기 버스바 플레이트의 브릿지를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커트용 다이가 구비된 상형측 혹은 하형측에 구비된 코오킹용 펀치에 의해 분단된 각 버스바를 상기 절연판에 코오킹 고정하는 프레스 스테이션을 구비한 버스바 장착 장치에 있어서, The die for cutting has the upper mold | type and the lower mold | type which became accessible to each other, and cut | disconnects the bridge | bridging of the said busbar plate by cooperation of the cutting punch and the cutting die which were provided in the upper mold | type side and the lower mold | type side, respectively. In the bus bar mou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press station for caulking and fixing each bus bar segmented by the caulking punch provided in the upper mold | type side or lower mold side to the said insulating plate, 상기 커트용 펀치가 구비된 펀치 홀더 플레이트에, 이격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하여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에 스페이서 플레이트가 그 플레이트 면방향으로 나오고 들어가게 조작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펀치 홀더 플레이트의 상호간 혹은 스페이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의 상호간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스페이서 플레이트의 나오고 들어가는 조작 방향과 교차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다른쪽의 대향면에 상기 융기부를 자유자재로 끼우고 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지는 요홈부가 형성되며, The stripper plate is supported on the punch holder plate provided with the cut punch in a spaced apart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r plate can be manipulated to come out and enter the plate surface direction between the stripper plate and the punch holder plate. A ridge is supported, and a ridg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spacer plate and the punch holder plate or between the spacer plate and the stripper plate and intersects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spacer plate. The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to be fitted so that the ridge can be freely inserted and removed, 상기 브릿지의 절단 시에는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가 합치 상태가 되어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상기 커트용 펀치가 상기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돌출 상태로 되고, 상기 절연판에 대한 코오킹 고정 시에는 융 기부와 요홈부가 비합치 상태가 되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근 조작된 경우에, 커트용 펀치가 스트리퍼 플레이트보다 비돌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장착 장치. When the bridge is cut, the raised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are in a state where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appro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unch for cutting is made to protrude from the stripper plate, and caulking for the insulating plate. A bus bar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nch for cutting is more protruding than the stripper plate when the melting base and the recess are in an inconsistent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approac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와 상기 요홈부의 합치 상태와, 융기부와 요홈부의 비합치 상태에서,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상호 접근 거리를 상이하게 한 접근 높이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장착 장치. 2. An access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ccess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varying the mutually approaching dista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ridge and the recess are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Busbar attachment device.
KR1020050067238A 2004-08-04 2005-07-25 Busbar mounting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06441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8094A JP4385888B2 (en) 2004-08-04 2004-08-04 Busbar mounting device
JPJP-P-2004-00228094 200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36A true KR20060046736A (en) 2006-05-17
KR100644187B1 KR100644187B1 (en) 2006-11-10

Family

ID=3602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2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4187B1 (en) 2004-08-04 2005-07-25 Busbar mou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85888B2 (en)
KR (1) KR100644187B1 (en)
CN (1) CN100444486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G20060035A1 (en) * 2006-07-06 2008-01-07 Abb Service Srl ISOLATION ELEMENT OF CONDUTTRIC BARS AND INSULATION DEVICE AND SUPPORT OF CONDUTTRIC BARS INCLUDING THIS ELEMENT.
CN102360641B (en) * 2011-10-21 2013-06-26 成方泳 Bus self-piercing riveting device and support device for same
CN108767613A (en) * 2018-04-28 2018-11-06 温州中邦知识产权有限公司 A kind of Continuous maching connect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886B2 (en) * 1992-09-25 1999-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Busbar fixing method
JP2970331B2 (en) * 1993-08-09 1999-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Automatic busbar mounting device
JPH06253437A (en) * 1993-02-25 1994-09-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Electric connection box
JPH1021747A (en) * 1996-07-01 1998-01-23 Hino Kogyo Kk Bus-bar and manufacture of bus-bar
JP2000032629A (en) * 1998-07-13 2000-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Wiring board assembly and its manufacture
JP2001359221A (en) * 2000-06-13 2001-12-26 Yazaki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bus bar circuit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4869A (en) 2006-02-15
JP2006050782A (en) 2006-02-16
CN100444486C (en) 2008-12-17
JP4385888B2 (en) 2009-12-16
KR100644187B1 (en)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8681A (en) Wedge mechanism
KR20090073833A (en) Progressive mold
KR100644187B1 (en) Busbar mounting apparatus
CN104959469A (en) Blanking-and-punching die and blanking-and-punching technique
CN110465577B (en) Multi-face punching die for automobile side plate par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080154B1 (en) Punching mold device
JP2002321014A (en) Cam apparatus for bending work
KR20200064460A (en) Mold for forming outer panel of vehicle
JPH07299527A (en) Press forming device
US20090293324A1 (en) Ironing apparatus
CN213530466U (en) Stamping die of slide rail stop point
CN215786014U (en) A die-cut mechanism for sunroof guide rail L type breach
JP4050506B2 (en) Forging press
JP2707937B2 (en) Automatic mounting device for bus bars and insulating plates
JPH0757843A (en) Automatic installing device for bus bar
JPH0747137Y2 (en) Press machine
JP4333414B2 (en) Automatic processing equipment for bus bar assembly
JPH0515381Y2 (en)
CN219746128U (en) High-forming stripping stamping die
CN218699553U (en) Electric wiring groove perforating device
CN215431144U (en) Side flanging die and lower die assembly thereof
CN116557391B (en) Buckle and stamping equipment
JPS6350033Y2 (en)
CN217775234U (en) Bending die with self-locking sliding block
CN211135176U (en) Quick-change punching structure of rolling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