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41213A -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및 그 블랭크 - Google Patents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및 그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213A
KR20060041213A KR1020067000291A KR20067000291A KR20060041213A KR 20060041213 A KR20060041213 A KR 20060041213A KR 1020067000291 A KR1020067000291 A KR 1020067000291A KR 20067000291 A KR20067000291 A KR 20067000291A KR 20060041213 A KR20060041213 A KR 2006004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ortion
blank
pack
lid
hard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탐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21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85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 B65D5/6691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internal frame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lid in the closed position by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opening of the lid opens simultaneously an inner package withi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텅 리드형의 담배 팩은 직입방체 형상의 박스 부분(2)과, 이 박스 부분(2)의 개구단(6)을 개폐하는 텅 리드(4)를 구비하고, 박스 부분(2)의 측면 에지(40)는 박스 부분(2)의 바닥벽(38)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걸쳐 뻗는 모따기(42)를 포함하고, 모따기(42)는 0.8∼2mm의 폭을 갖는다.
텅 리드, 담배, 팩, 모따기, 시가렛, 끽연, 끽연물품, 블랭크, 뚜껑

Description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및 그 블랭크{HARD PACK OF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OF}
본 발명은 필터 담배(Filter Cigarette) 등의 막대모양 끽연(喫煙)물품을 위한 하드 팩(Hard Pack) 및 그 블랭크(Blank)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하드 팩은, 예컨대 일본 특개2001-17165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의 하드 팩은 소위, 힌지 리드 팩(Hinge Lid Pack)이라고 불리워지며, 박스(Box) 부분과, 이 박스 부분의 개구단(開口端)을 개폐하는 뚜껑(Lid)을 갖고, 뚜껑은 개구단의 후방 모서리(後緣)에 힌지(Hinge) 결합되어 있다. 박스 부분은 내측 패키지(Inner Package)를 수용하고 있고, 내측 패키지는 20개피의 필터 담배의 다발과, 이 담배 다발을 감싸는 포재(包材)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담배 팩을 가지고 다닐 때, 흡연자는 셔츠 등에 부착된 가슴 포켓(Pocket)에 담배 팩을 넣는 일이 많고, 이는 흡연자가 흡연하려고 할 때, 담배 팩의 꺼내기가 매우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담배 팩 박스 부분 및 뚜껑은 함께 입방체(立方體) 형상을 이루고, 이들 박스 부분 및 뚜껑의 측면 에지(Lateral Edge)는 예각(銳角)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슴 포켓에 담배 팩을 넣을 때, 그 예각의 측면 에지가 가 슴 포켓에 걸리는 일이 있어, 가슴 포켓으로의 담배 팩의 삽입은 용이하지 않다.
상술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는, 담배 팩의 예각의 측면 에지를 둥글게 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통상의 팩 포장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전용(專用)의 팩 포장기가 필요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팩 포장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가슴 포켓 등으로의 삽입이 용이한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및 그 블랭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드 팩은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이룬 견고한 박스 부분으로서, 개구단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박스 부분과, 이 박스 부분의 개구단에 접속되어 개구단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박스 부분 내에 수용된 내측 패키지로서, 복수의 막대모양 끽연물품과, 이들 막대모양 물품을 감싸는 내측 포재를 포함하는 내측 패키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박스 부분은 전벽(前壁), 후벽(後壁), 두 개의 측벽 및 전벽과 측벽과의 사이 및 후벽과 측벽과의 사이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 형성된 모따기를 더 포함하며, 모따기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걸쳐 뻗고, 또한, 0.8∼2mm의 폭을 갖는다.
박스 부분은 그 하부가 바닥벽을 향하여 약간 끝이 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류의 가슴 포켓에 하드 팩을 넣을 때, 하드 팩이 가슴 포켓에 걸리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가슴 포켓으로의 팩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모따기의 폭은 0.8∼2mm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하드 팩의 블랭크에 모따기를 위한 접힘선(Fold Line)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통상의 팩 포장기에서도 모따기를 구비한 하드 팩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박스 부분의 모따기는 하드 팩에 신규하고도 참신한 외관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박스 부분은 전벽에 형성된 슬릿(Slit)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뚜껑은 박스 부분의 개구단을 닫기 위한 주요부와, 이 주요부로부터 일체로 뻗고, 개구단이 닫혀진 상태에서 슬릿을 통하여 박스 부분 내에 끼우기가 가능한 혀형상부(Tongue)를 포함한다. 이러한 박스 부분 및 뚜껑을 구비한 하드 팩은 소위, 텅 리드 팩(Tongue Lid Pack)이라고 불리운다.
또한, 박스 부분은 개구단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Inner 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뚜껑은 박스 부분의 개구단에 덮이도록 하여 개구단을 개폐하는 입방체(立方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박스 부분 및 뚜껑을 구비한 하드 팩은 모따기를 제외하고, 통상의 힌지(Hinge) 리드형 팩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하드 팩이 힌지 리드형 팩과 같은 형태인 경우, 박스 부분의 측면 에지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모따기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바닥벽 쪽의 박스 부분의 크로스 에지(Cross Edge)도 또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모따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뚜껑의 측면 에지 및 크로스 에지도 또한 모따기를 더 가질 수 있다.
텅 리드형 또는 힌지 리드형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는 상술한 측면 에지를 형성하는 접힘선을 포함하고 있고, 이 접힘선은 모따기를 형성할 부위에 한 쌍의 분기(分岐)된 접힘선을 갖는다. 이 경우, 분기된 접힘선 사이에는 0.8∼2mm의 간격이 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분기된 접힘선은 통상의 팩 포장기에서의 접는 조작에 의해, 측면 에지에 모따기를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부여한다.
블랭크는 측면 에지 및 크로스 에지를 형성하기 위한 접는 밴드(Fold Band)를 포함할 수 있고, 접는 밴드는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압흔선(壓痕線)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블랭크는 접는 밴드가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이들 접는 밴드를 서로 분리하는 절결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담배 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담배 팩을 열린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담배 팩에 수용된 내측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담배 팩이 입은 옷의 가슴 포켓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담배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블랭크의 절취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블랭크의 절취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의 담배 팩을 닫힌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담배 팩을 열린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담배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변형예의 담배 팩을 닫힌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담배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및 도 2는 담배 팩을 나타낸다. 이 담배 팩은 박스 부분(2) 및 혀형상 뚜껑(4)을 포함하고, 혀형상 뚜껑(4)은 박스 부분(2)에서의 개구단(6)의 후방 모서리에 셀프 힌지(Self Hinge, 8)를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혀형상 뚜껑(4)은 셀프 힌지(8)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박스 부분(2)의 개구단(6)을 개폐한다.
더 상세하게는, 박스 부분(2)의 전벽(前壁, 10)에는 슬릿(12)이 형성되고, 이 슬릿(12)은 개구단(6) 측을 향하여 열린 V자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혀형상 뚜껑(4)은 그 선단부에 혀형상부(14)를 갖는다. 이 혀형상부(14)는 끝이 가는 형상을 이루어, V자 슬릿(12) 내에 집어넣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박스 부분(2)의 개구단(6)이 혀형상 뚜껑(4)에 의해 닫혀진 때, 혀형상 뚜껑(4)은 그 혀형상부(14)가 V자 슬릿(12)에 집어넣어진 닫힌 위치로 유지된다.
한편, 도 2는 혀형상 뚜껑(4)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박스 부분(2) 안에는 내측 패키지(16)가 수용되어 있다. 이 내측 패키지(16)는 20개피의 필터 담배(FC)를 갖는 담배 다발과, 이 담배 다발을 감싸는 내측 포재를 포함하고, 이 내측 포재는 예컨대, 알루미늄 증착 시트(Sheet)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담배 팩의 제조 후, 담배 팩의 혀형상 뚜껑(4)이 최초로 열렸을 때, 박스 부분(2)의 전벽(10)에 거의 U자 형상의 애퍼츄어(Aperture, 18)가 형성되고, 형성된 애퍼츄어(18)는 박스 부분(2)의 개구단(6)으로 이어진다. 또한, 애퍼츄어(18)의 형성과 동시에, 내측 패키지(16)에서의 포재의 일부, 즉, 애퍼츄어(18)에 대응한 부분으로부터 내측 패키지(16)의 상단에 이르는 부분이 분리되어, 내측 패키지(16)가 열린다. 이 결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패키지(16) 안의 담배 다발의 일부는 내측 포재의 분리 영역 및 애퍼츄어(18)를 통하여 노출된다.
이 때문에, 박스 부분(2)의 전벽(10)에는 애퍼츄어(18)를 위한 절취선(20)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이 절취선(20)은 V자 슬릿(12)과 개구단(6)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패키지(16)의 내측 포재(22)에도, 거의 U자형의 분리선(24)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담배 팩의 제조시점에서, 내측 포재(22)의 분리선(24)은 박스 부분(2)의 절취선(20)과 일치하고, 또한, 분리선(24)은 내측 포재(22)의 접힘 플랩(Flap, 26)에서 종단(終端)으로 되어 있다. 접힘 플랩(26)은 측면 내측 패키지(16)의 폐쇄된 상단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단면을 형성하는 다른 부분보다 가장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분리선(24)은 내측 포재(22)에 분리예정부분을 구획하고, 또한, 절취선(20)은 박스 부분(2)의 전벽(10)에 절취예정부분을 구획한다. 담배 팩의 제조시점에서, 분리예정부분 및 절취예정부분은 서로 접착된 상태에 있고, 또한, 전벽(10)의 절취예정부분 및 내측 포재(22)의 내측 접힘 플랩(26)은 함께, 혀형상 뚜껑(4)의 내면에 각각 접착된 상태로 있다.
또한, 담배 팩의 제조시점에서, 혀형상 뚜껑(4)은 한 쌍의 접힘 돌출부(Lug, 28)을 갖는다. 이들 접힘 돌출부(28)는 혀형상 뚜껑(4)의 양측 모서리에 분리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박스 부분(2)의 양측벽(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담배 팩이 최초로 열릴 때까지의 사이 혀형상 뚜껑(4)은 한 쌍의 접힘 돌출부(28)를 통하여 박스 부분(2)에 접착된 상태로 있다. 그러나, 담배 팩이 최초로 열릴 때, 즉, 혀형상 뚜껑(4)이 닫힌 위치에서부터 열린 위치를 향하여 회동 될 때, 혀형상 뚜껑(4)과 접힘 돌출부(28)와의 사이의 분리선이 파단(破斷)되어, 혀형상 뚜껑(4)은 한 쌍의 접힘 돌출부(28)로부터 분리된다. 이 결과, 혀형상 뚜껑(4)은 그 셀프 힌지(8)를 중심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혀형상 뚜껑(4)이 열린 위치를 향하여 회동될 때, 절취예정부분은 박스 부분(2)의 전벽(10)으로부터 절취되어, 절취편(切取片, 32)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전벽(10)에 전술한 애퍼츄어(18)가 형성된다. 또한, 절취편(32)의 형성과 동시에, 내측 패키지(16)의 내측 포재(22)로부터 분리예정부분이 잘려 나가서, 분리편(34)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취예정부분 및 접힘 플랩(26)은 혀형상 뚜껑(4)의 내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취편(32) 및 분리편(34)은 혀형상 뚜껑(4)의 내면에 접착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담배 팩이 최초로 열렸을 때, 혀형상 뚜껑(4)이 접힘 돌출부(28)로부터 분리되므로, 이 분리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담배 팩의 양측 면에 파단 흔적(36)을 각각 남긴다. 이들 파단 흔적(36)의 발생은 담배 팩에 대한 개봉을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한다. 따라서, 도 1의 담배 팩은 이미 열려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박스 부분(2)은 수직한 네 개의 측면 에지(30)를 갖고, 이들 측면 에지(40)에는 모따기(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모따기(42)는 박스 부분(2)의 바닥벽(38)으로부터 박스 부분(2)의 개구단(6)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뻗고, 대응하는 예각의 측면 에지(40)로 수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따기(42)는 0.8∼2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9∼1.5mm의 범위의 최대폭 및 측벽(30)의 길이의 약 절반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술한 담배 팩에 의하면, 박스 부분(2)에서의 바닥벽(38)의 네 개의 모퉁이에는 모따기(42)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연자가 입은 옷의 가슴 포켓에 담배 팩을 넣을 때, 담배 팩의 측면 모서리(40)가 걸리는 일이 없이, 담배 팩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모따기(42)의 존재는 담배 팩, 즉, 박스 부분(2)의 파지성(把持性)을 양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담배 팩에 신규하고도 참신한 외관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1의 담배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이면(裏面))를 나타낸 것이다. 블랭크는 그 중앙에, 후면 패널(Rear Panel, 44), 바닥면 패널(Bottom Panel, 46) 및 정면 패널(Front Panel, 48)을 갖는다. 이들 패널(44, 46, 48)은 도 5에서 보아서 위쪽으로부터 일렬로 정렬되며, 그리고, 패널간의 각각 수평한 접힘선(50) 을 통하여 구획되어 있다.
패널(44, 46, 48)은 박스 부분(2)의 후벽, 바닥벽(38) 및 전벽(10)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그 때문에, 정면 패널(48)에는 전술한 V자 슬릿(12) 및 절취선(20)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면 패널(44)의 위쪽에는 셀프 힌지(8)를 형성하기 위한 접힘선(52)을 통하여 혀형상 뚜껑 패널(54)이 접속되어 있다. 혀형상 뚜껑 패널(54)은 수평한 접힘선(56)을 갖고, 이 접힘선(57)은 혀형상 뚜껑 패널(56)을 접힘선(52)쪽의 뚜껑 패널(58)과 혀형상 패널(60)로 구획하고, 혀형상 패널(60)은 끝이 가는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다.
뚜껑 패널(58)은 박스 부분(2)의 개구단(6)을 폐쇄하는 뚜껑을 위한 부분이며, 혀형상 패널(60)은 혀형상부(14)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혀형상 패널(60)은 그 기부(基部)의 양측에 돌출 플랩(Lug Flap, 64)을 각각 갖고, 이들 돌출 플랩(64)은 전술한 분리선(62)을 통하여 혀형상 패널(6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돌출 플랩(64)은 전술한 접힘 돌출부(28)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후면 패널(44) 양측에는, 접힘선(66)을 통하여 내측 측면 플랩(68)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 내측 측면 플랩(68)의 상하에는 수평한 접힘선(70)을 통하여 내측 상단 플랩(72) 및 하단 내측 플랩(7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내측 상단 플랩(72)은 뚜껑(58)을 위한 보강부재이며, 내측 하단 플랩(74)은 바닥면 패널(46)을 위한 보강부재이다.
정면 패널(48)의 양측에도, 접힘선(76)을 통하여 외측 측면 플랩(78)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 외측 측면 플랩(78)은 대응하는 쪽의 내측 측면 플랩(68)과 함께, 박스 부분(2)의 측벽(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접힘선(66)에서의 바닥면 패널(46) 쪽의 부위는 한 쌍의 분기된 접힘선(66a, 66b)으로서 분기되어 있다. 이들 분기된 접힘선(66a)은 접힘선(66)으로부터 좌우로 떨어져 있고, 이 후, 바닥면 패널(46)을 향하여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그러나, 각 접힘선(66)의 나머지의 부위는 단 하나의 접힘선(66c)으로서 남겨져 있다.
또한, 각 접힘선(76)에서의 바닥면 패널(46) 쪽의 부위도 또한, 분기된 접힘선(66a, 66b)과 같이 한 쌍의 분기된 접힘선(76a, 76b)으로서 분기되며, 그리고, 각 접힘선(76)의 나머지의 부위는 단 하나의 접힘선(76c)으로서 남겨져 있다.
상술한 분기된 접힘선(66a, 66b; 76a, 76b)은 전술한 모따기(42)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각 측면 플랩(68, 78)의 외측 모서리에는, 분기된 접힘선(66a, 66b; 76a, 76b)과 대응하는 부위에 오목부(68b, 78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68b, 78b)가 대응하는 쪽의 분기된 접힘선(66b, 76b)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각 내측 하단 플랩(74)은 오목부(68b)와 한 선상으로 이어지는 외측 모서리를 갖는다.
도 5 중의 경사선 영역은 블랭크에 형성되는 접착제 도포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이들 접착제 도포영역은 본 실시예의 블랭크를 위해 새롭게 추가되어 있 다.
더 상세하게는, 정면 패널(48)의 접착제 도포영역(G)1은 절취선(20)에 의해 구획되는 구역 내, 즉, 절취예정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접착제 도포영역(G1)은 절취예정부분의 이면과 내측 패키지(16)의 분리예정부분을 접착할 수 있다.
좌우의 상단 내측 플랩(72)의 접착제 도포영역(G2)은 내측 패키지(16)의 측면 플랩(26)과 내측 상단 플랩(72)의 이면을 접착할 수 있다. 그리고, 혀형상 패널(60)의 접착제 도포영역(G3)은 혀형상 패널(60)의 이면과 절취예정부분의 표면을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돌출 플랩(64)의 접착제 도포영역(G4)은 그 돌출 플랩(64)의 이면과 대응하는 쪽의 외측 측면 플랩(78)의 표면을 접착할 수 있다.
상술한 블랭크는 먼저, 후면 패널(44) 위로 내측 패키지(16)을 받아들인다. 이 후, 블랭크의 플랩이나 패널은 내측 패키지(16)에 대하여 전술한 절취선에서, 도 5 중의 Ⅰ∼Ⅴ의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접혀진다. 이 결과, 도 6에 도시되는 중간 팩을 얻을 수 있다. 도 6의 중간 팩에서는 정면 패널(48), 즉, 전벽(10)의 표면에 혀형상 패널(60)이 중첩된 상태로 있다.
이 후, 혀형상 패널(60)의 좌우의 돌출 플랩(64)이 분리선(62)으로부터 각각 접혀지고, 이들 돌출 플랩(64)은 대응하는 쪽의 외측 측면 플랩(78)의 표면에 접착 되고,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담배 팩의 절취 형성, 즉, 그 제조가 완료된다.
도 7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담배 팩의 제조시점에서, 혀형상부(14)는 박스 부분(2)의 전벽(10) 위에 V자 슬릿(12)을 덮도록 중첩되어 있을 뿐이며, V자 슬릿(12) 안으로 집어넣어져 있지 않다.
전술한 모따기(42)는 내측 및 외측 측면 플랩(68, 78)의 접힘과 동시에 형성된다. 즉, 접힘선(66)에 관하여, 그 분기된 접힘선(66a, 66b)사이의 간격(W, 도 1 및 도 2 참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좁으므로, 내측 측면 플랩(68)이 접힘선(66)에서 접혀질 때, 내측 측면 플랩(68)은 접힘선(66a, 66b, 66c)을 따라 각각 접혀진다.
접힘선(76)에 관하여도, 그 분기된 접힘선(76a, 78b) 사이의 간격은 좁으므로, 외측 측면 플랩(78)이 접힘선(76)에서 접혀질 때, 외측 측면 플랩(78)은 접힘선(76a, 76b, 76c)을 따라 각각 접혀진다.
그러므로, 박스 부분(2)의 세로방향 에지(40)은 접힘선(66c, 76c)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박스 부분(2)의 모따기(42)는 분기된 접힘선(66a, 66b; 76a, 76b)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모따기(42)의 형성은 내측 및 외측 측면 플랩(68, 78)의 1회의 접힘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 결과, 블랭크의 접힘으로 통상의 팩 포장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측 측면 플랩(68)의 외측 모서리는 전술한 오목부(68b)를 갖고 있으 므로, 외측 측면 플랩(78)이 접혀질 때, 내측 측면 플랩(68)의 외측 모서리, 즉, 접힘선(66a, 66b)이 외측 측면 플랩(78)의 접힘선(76a, 76b)과 간섭하는 일은 없이 박스 부분(2)에서의 전벽(10) 쪽의 모따기(42)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측면 플랩(78)의 외측 모서리도 또한 오목부(78b)를 갖고 있으므로, 외측 측면 플랩(78)의 외측 모서리가 박스 부분(2)에서의 후벽쪽의 모따기(42)에 대하여 튀어나오는 일도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담배 팩은 텅 리드형 팩에 한정되지 않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힌지 리드형 팩에도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힌지 리드형 팩도 또한 박스 부분(2) 및 뚜껑(5)을 구비하고, 박스 부분(2)은 내측 프레임(7, 도 9)을 포함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7)은 박스 부분(2)에서의 개구단(6)의 앞 부분을 형성하고, 전술한 애퍼츄어(18)에 상당하는 애퍼츄어(9)를 갖고 있다.
뚜껑(5)은 박스 부분(2)과 같은 입방체 형상을 이루고, 셀프 힌지(8)를 통하여 박스 부분(2)의 후벽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뚜껑(5)은 박스 부분(2)으로부터 노출한 내측 프레임(7)의 부위에 덮도록 하여, 박스(2)의 개구단(6)을 폐쇄한다. 힌지 리드형 팩이 최초로 열릴 때, 즉, 뚜껑(5)이 닫힌 위치에서부터 열린 위치로 향하여 최초로 회동될 때, 뚜껑(5)의 회동은 내측 패키지(16)의 분리예정부분을 내측 패키지(16)로부터 동시에 잘려나간다. 이 잘려나감은 분리편(34)을 형성하지만, 이 분리편(34)은 뚜껑(5)의 내면에 접착한 상태로 유지된다(도 9).
내측 프레임(7)은 애퍼츄어(9)의 대신에, 전술한 절취(20)에 의해 구획된 절취예정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리드형 팩이 최초로 열릴 때, 절취예정부분의 절취 및 분리예정부분의 분리에 의해, 애퍼츄어(9)가 형성된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담배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10의 블랭크에 있어서, 도 5의 블랭크의 패널이나 플랩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0의 블랭크에 관하여는, 도 5의 블랭크와 다른 점만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의 블랭크는 뚜껑 패널(80)을 포함하고, 뚜껑 패널(80)은 후면 패널(44)에 접힘선(5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10에서 보아서, 뚜껑 패널(80)은 위쪽으로부터 내측 정면 패널(82), 외측 정면 패널(84), 외측 상단 패널(86) 및 뚜껑 후면 패널(88)로 구획되며, 이 뚜껑 후면 패널(88)이 접힘선(52), 즉, 셀프 힌지(8)를 통하여 리어 패널(4)에 접속되어 있다. 접힘선(51, 53, 55)은 패널(82, 84) 사이, 패널(84, 86) 사이, 패널(86, 88) 사이를 각각 구획한다.
외측 정면 패널(84)의 양측에는, 접힘선(90)을 통하여 외측 측면 패널(92) 이 각각 접속되고, 외측 후면 패널(88)의 양측에 접힘선(94)을 통하여 내측 측면 플랩(96)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내측 측면 플랩(96)에는, 접힘선(98)을 통하여 내측 상단 플랩(100)이 접속되어 있다.
내측 및 외측 정면 패널(82, 84)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이들 패널(82, 84)은 뚜껑(5)의 전벽을 형성한다. 또한, 외측 상단 패널(86) 및 내측 상단 플랩 (100)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이들 패널(86) 및 플랩(100)은 뚜껑(5)의 상단 벽(102, 도 8 참조)을 형성한다. 또한, 외측 측면 플랩(92) 및 내측 측면 플랩(96)이 서로 중첩되었을 때, 이들 플랩(92, 96)은 뚜껑(5)의 측벽을 형성한다.
도 10의 블랭크의 접힘 순서는 공지(公知)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도 10의 블랭크에 있어서도, 내측 측면 플랩(68) 및 외측 측면 플랩(78)의 접힘과 동시에, 박스 부분(2)의 측면 에지(40)에 모따기(42)가 같은 형태로 하여 형성된다.
도 10의 블랭크의 경우, 내측 측면 플랩(68)의 폭 H1은 내측 패키지(16)의 두께보다 약간 좁고, 그리고, 외측 측면 플랩(78)의 폭 H2는 폭 H1보다 약간 좁은 편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내측 및 외측 플랩(68, 78)의 외측 모서리가 모따기(42)의 형성에 간섭하거나, 또한, 모따기부(42)에 대하여 돌출하는 일도 없다.
상술한 텅 리드형 및 통상의 힌지 리드형의 팩은 모두, 박스 부분(2)의 측면 에지(40)의 일부만에 모따기(42)을 갖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되는 담배 팩과 같이, 측면 에지(40)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모따기(42)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의 담배 팩은 바닥벽(38) 및 상단 벽(102)의 크로스 에지(Cross Edge)에도 모따기(43)를 더 갖고 있고, 이들 모따기(43)는 그 크로스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다.
도 12은 도 11의 팩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블랭크는 도 10의 블랭크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 12의 블랭크의 경우, 도 10의 블랭크에서의 접힘선(50, 66(66a, 66b, 66c), 76(76a, 76b, 76c), 90) 및 접힘선(53, 55)의 각각이 접힘 밴드(104)로 바꿔져 있다. 각 접힘 밴드(104)는 서로 평행하게 뻗는 복수, 예컨대 세 개의 압흔선(壓痕線)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접힘 밴드(104)의 폭, 즉,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압흔선간의 간격이 0.8∼2mm, 바람직하게는 0.9∼1.5mm의 범위에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 1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접힘 밴드(104)가 서로 직교하는 교점(交点)에는 절결부(10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06)는 접힘 밴드(104)를 서로 분리한다.
상술한 접힘 밴드(104)의 폭도 또한 상기 범위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팩 포장기를 사용하여 도 12의 블랭크의 접힘 형성이 실시되면, 패널 또는 플랩의 1회의 접힘 조작만으로, 모따기(42, 43)를 구비한 도 11의 팩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06)는 패널 또는 플랩의 접힘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따기(42, 43)의 형성을 확실하게 한다.

Claims (10)

  1.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하드 팩(Hard Pack)은,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이룬 견고한 박스 부분으로서, 개구단 및 바닥벽을 포함하는 박스 부분과,
    상기 박스 부분의 개구단에 접속되어 그 개구단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상기 박스 부분 내에 수용된 내측 패키지로서, 복수의 막대모양 끽연물품과, 이들 막대모양 물품을 감싸는 내측 포재를 포함하는 내측 패키지를 구비하며,
    상기 박스 부분은,
    전벽(前壁), 후벽(後壁), 두 개의 측벽 및 전벽과 측벽과의 사이 및 후벽과 측벽과의 사이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 형성된 모따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따기는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에 걸쳐 뻗고, 또한, 0.8∼2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분은 상기 전벽에 형성된 슬릿(Slit)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박스 부분의 개구단을 닫기 위한 주요부와, 이 주요부로부터 일체로 뻗고, 상기 개구단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박스 부분 내로 끼워넣어질 수 있는 혀형상부(Tongu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분은 상기 개구단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개구단에 덮혀지도록 하여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입방체(立方體)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는 상기 측면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부분은 상기 측면 에지와 교차하는 크로스 에지(Cross Edge)에 각각 형성된 모따기를 더 갖고, 이들 모따기는 상기 크로스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그 측면 에지 및 크로스 에지의 각각 형성된 모따기를 더 갖고, 이들 모따기는 상기 측면 에지 및 상기 크로스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7. 제2항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는, 상기 측면 에지를 형성하는 절취선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모따기를 형성할 부위에 한 쌍의 분기된 접힘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8. 제3항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는, 상기 측면 에지를 형성하는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접힘선은 상기 모따기를 형성할 부위에 한 쌍의 분기된 접힘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9. 제6항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는, 상기 측면 에지 및 상기 크로스 에지를 형성하기 위한 접힘 밴드를 포함하고, 각 접힘 밴드는 평행하게 뻗는 복수의 압흔선(壓痕線)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상기 접힘 밴드가 서로 교차하는 교점에, 이들 접힘 밴드를 서로 분리하는 절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
KR1020067000291A 2003-07-16 2004-07-15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및 그 블랭크 Ceased KR200600412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5479 2003-07-16
JPJP-P-2003-00275479 2003-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213A true KR20060041213A (ko) 2006-05-11

Family

ID=3407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291A Ceased KR20060041213A (ko) 2003-07-16 2004-07-15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하드 팩 및 그 블랭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67711B2 (ko)
EP (1) EP1645527A4 (ko)
JP (1) JP4212058B2 (ko)
KR (1) KR20060041213A (ko)
CN (1) CN1822995A (ko)
CA (1) CA2531809A1 (ko)
RU (2) RU2006104708A (ko)
TW (1) TWI253430B (ko)
UA (1) UA85388C2 (ko)
WO (1) WO20050075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583A (ko) * 2015-09-17 2018-05-2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경사진 에지 및 인접한 가로지르는 곡선형 에지를 가지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5965B1 (en) 2004-05-11 2009-07-01 Cadbury Adams USA LLC Package having insertable product retention member
US7971718B2 (en) 2005-05-09 2011-07-05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for dispensing and retaining gum slabs with adhesive securement
MXPA06012847A (es) 2004-05-11 2007-01-26 Cadbury Adams Usa Llc Empaque de tira de goma con retencion flap.
JP4657298B2 (ja) * 2004-07-08 2011-03-23 キャドバリー・アダムズ・ユーエスエイ・エルエルシー 消費者向け製品の再閉塞可能なパッケージ組立体
DE602006018855D1 (de) * 2005-01-14 2011-01-27 Japan Tobacco Inc Laschendeckelpackung für stäbchenförmige rauchartikel und zuschnitt dafür
BRPI0506010A (pt) * 2005-12-22 2007-10-02 Souza Cruz Sa embalagem para cigarros
RU2434800C1 (ru) * 2008-01-18 2011-11-27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EP2105385A1 (en) * 2008-03-25 2009-09-30 Philip Morris Products S.A. Pack for smoking articles
ES2555231T3 (es) 2009-02-02 2015-12-29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Envase precintado con apertura y con cierre reutilizable para productos de confitería
WO2011007422A1 (ja) * 2009-07-14 2011-01-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パッケージ
MX2012005362A (es) 2009-11-10 2012-05-29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Envase dividido multiple con solapa de cierre.
DE102010027140A1 (de) * 2010-07-14 2012-01-19 British American Tobacco (Germany) Gmbh Zigarettenpackung mit teilweise abgeschrägten Kanten
US9382062B2 (en) 2010-12-14 2016-07-05 Altria Client Services Llc Hinged lid packaging
ITBO20120341A1 (it) * 2012-06-20 2013-12-21 Gd Spa Pacchetto di articoli da fumo e sbozzato piano per realizzare il pacchetto.
GB202112369D0 (en) * 2021-08-31 2021-10-1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 pac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4933B1 (de) * 1985-05-02 1988-04-20 Focke & Co. (GmbH & Co.) Klappdeckelschachtel für Zigaretten oder dgl.
GB2175884B (en) * 1985-06-07 1989-12-06 Tabac Fab Reunies Sa Novel pack for smoking articles
DE4103612C2 (de) * 1991-02-07 1994-11-10 Focke & Co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oder dergleichen
IT1279725B1 (it) * 1995-09-25 1997-12-16 Gd Spa Pacchetto rigido con coperchio incernierato per elementi allungati
DE19644759A1 (de) * 1996-10-29 1998-04-30 Focke & Co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DE19648240B4 (de) * 1996-11-21 2006-01-05 Focke & Co.(Gmbh & Co. Kg)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und Zuschnitt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9718821A1 (de) * 1997-05-05 1998-11-12 Focke & Co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JP3131405B2 (ja) * 1997-08-04 2001-01-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タングリッドボックス、そのブランク及び製造方法
IT1299317B1 (it) * 1998-01-15 2000-03-16 Gd Spa Pacchetto di sigarette.
US6360943B1 (en) * 1999-02-17 2002-03-26 Focke & Co. (Gmbh & Co.) Flip-top box for cigarettes
JP2001171655A (ja) 1999-12-10 2001-06-26 Japan Tobacco Inc ヒンジリッドパック及びこのパックのためのブランク
DE10106548A1 (de) * 2001-02-13 2002-08-22 Philip Morris Prod Zuschnittbogen und daraus hergestellte Schachtel, insbesondere für Zigaretten
ITBO20010669A1 (it) * 2001-11-05 2003-05-05 Gd Spa Pacchetto rigido con coperchio incernierato per articoli da fum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583A (ko) * 2015-09-17 2018-05-2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경사진 에지 및 인접한 가로지르는 곡선형 에지를 가지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7538A1 (ja) 2005-01-27
RU2006104708A (ru) 2006-06-27
RU2008123716A (ru) 2009-12-20
JP4212058B2 (ja) 2009-01-21
UA85388C2 (ru) 2009-01-26
US20060169605A1 (en) 2006-08-03
CN1822995A (zh) 2006-08-23
TWI253430B (en) 2006-04-21
TW200505763A (en) 2005-02-16
EP1645527A4 (en) 2008-01-02
JPWO2005007538A1 (ja) 2007-09-20
EP1645527A1 (en) 2006-04-12
US7467711B2 (en) 2008-12-23
CA2531809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711B2 (en) Chamfered hard pack for rod-shaped smoking articles and blank for making the same
KR100632863B1 (ko)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CN101107182B (zh) 用于棒状吸烟物品的折页盖包装及其坯料
KR100748148B1 (ko) 막대모양의 끽연물품을 위한 텅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KR100882044B1 (ko) 봉모양 흡연물품을 위한 텅리드패키지 및 그 블랭크
JP5227086B2 (ja) タングリッド型パッケージ
KR100752617B1 (ko) 막대모양 끽연 물품의 힌지 리드형 팩 및 그 블랭크
US20100230303A1 (en) Pack for lump-form or granular material
KR20050040817A (ko) 힌지 연결식 뚜껑을 구비한 담배 제품용 강성 패킷
EA002233B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JPWO2005087619A1 (ja) 棒状喫煙物品の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及びそのブランク
US8757371B2 (en) Packet for smoking articles and relative cardboard blank
EP3914535B1 (en) A rigid pack for smoking articles and a blank for producing said rigid pack for smoking articles
CA3114553A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HK1108416B (en) Hinge lid package for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for
JP2001171655A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ク及びこのパックのためのブランク
HK1091183A (en) Hard pack of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of
HK1085097B (en) Tongue lid type pack for bar-like smoking article and blank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626

Appeal identifier: 2007101011789

Request date: 20071116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5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114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5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16

Effective date: 20080626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62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1116

Decision date: 20080626

Appeal identifier: 2007101011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