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993A -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1993A KR20060031993A KR1020040080993A KR20040080993A KR20060031993A KR 20060031993 A KR20060031993 A KR 20060031993A KR 1020040080993 A KR1020040080993 A KR 1020040080993A KR 20040080993 A KR20040080993 A KR 20040080993A KR 20060031993 A KR20060031993 A KR 200600319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quid crystal
- layer
- fluorescent lamp
- cholesteric liq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반사편광기능을 갖는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 및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다수의 액정층들은 베이스 위에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입사광중 다층 구조 각각에 형성된 액정의 꼬임 피치에 대응하는 광은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한다. 접착층은 다수의 액정층들간에 개재되어 서로 인접하는 액정층들을 접착시킨다. 위상차층은 액정층중 최외곽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최외곽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필름이나 평판형광램프용 글래스 위에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강하게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하도록 꼬임축을 한쪽방향으로 정렬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므로써,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의 반사편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DBEF 필름과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의 반사편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에 수직 입사광과 경사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일체형 평판형광램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광조사에 의한 UV 광중합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식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일체형 평판형광램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평판형광램프 110 : 리어 기판
120 : 프론트 기판 130 : 격벽
140 : 제1 외부전극 112, 114 : 형광층
114 : 반사층
124a, 124c, 124e, 124g, 124i, 124k : 콜레스테릭 액정층
124b, 124d, 124f, 124h, 124j, 124l : 접착층
124m : 위상차층
본 발명은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편광기능을 갖는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형광램프는 부품 수를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와 함께, 광학적/전기적 특성이 기존의 냉음극선 형광램프(CCFL)보다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휘도 및 고효율 특성을 위한 광원으로 방전 가스로 수은(Hg) 단독으로 또는 수은에 아르곤(Ar)을 혼합하여 사용한 평판형광램프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방전가스로서 수은을 사용할 경우 우수한 광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전극부에서 수은 증착에 의한 흑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서 CCFL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고 중소형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외한 전 제품에 CCFL을 사용하는 것이 현주소이다. 하지만 이의 효율이 제한적이고 한계를 가지고 있음으로 현재 관외전극 형광램프(EEFL)의 개발이 CCFL을 대체할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 세대 광원으로서의 평판형광램프 개발은 그 의미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평판형광램프의 개발은 차세대 표시장치의 개발에 있어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의 원가 절감 효과와 광전기적 특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평판형광램프를 백라이트 유닛에 실장할 때, 격벽 부위나, 홈 부위, 전극부 부위 등에서 손실되는 광량이 많아 광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간의 격벽이 형성되지 않으면 누설 전류나 전기적인 문제로 인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평판형광램프는 상부에 확산판이나, 프리즘 시트 및 반사편광필름 등의 다양한 필름류를 배치한다. 이러한 다양한 필름류의 사용은 평판형광램프 램프의 시트 단순화 기술을 달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반사편광필름과 확산판을 일체화시켜 평판형광램프용의 다기능 일체형 시트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지만, 이를 기술적으로 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편광기능을 갖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가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반사편광시트를 일체화시키는 평판형광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다른 목적은 상기한 평판형광램프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 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다수의 액정층과,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액정층들은 베이스 위에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입사광중 다층 구조 각각에 형성된 액정의 꼬임 피치에 대응하는 광은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한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다수의 액정층들간에 개재되어 서로 인접하는 액정층들을 접착시킨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액정층중 최외곽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최외곽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위상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은, (a) 베이스 위에 제1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1 용액을 코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 의한 결과물 위에 제2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2 용액을 코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 의한 결과물 위에 제3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3 용액을 코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 의한 결과물 위에 위상차층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는 램프 몸체, 제1 외부전극 및 반사편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 몸체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외 부 전극은 상기 램프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상기 방전 공간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방전 공간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반사편광부는 상기 램프 몸체 위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몸체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램프 몸체에 반사하고, 나머지는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는 램프 몸체 및 제1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 몸체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을 구비하여 출사부를 통해 광을 출사하되, 상기 출사부에 혼입된 무기 확산제를 이용하여 상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출사한다. 상기 제1 외부 전극은 상기 램프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상기 방전 공간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방전 공간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더욱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평판형광램프 및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평판형광램프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을 구비하는 램프 몸체와, 상기 램프 몸체 위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몸체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램프 몸체에 반사하고, 나머지는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반사편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평판형광램프에서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 및 표시장치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이나 평판형광램프용 글래스 위에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강하게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하도록 꼬임축을 한쪽방향으로 정렬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므로써,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평판형광램프의 단면도이다. 특히, 노즐법에 의해 형성된 격벽을 갖는 평판형광램프와, 상기 평판형광램프의 출사면에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도포된 확산판을 갖는 일체형 평판형광램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100)는 리어 기판(110), 프론트 기판(120), 복수의 격벽(130) 및 제1 외부전극(140)을 포함한다.
상기 리어 및 프론트 기판(110, 120)은 동일한 평판 형상을 가지며, 일 예로,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자외선은 차단하는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 기판(120)의 표면에는 프론트 기판(120)을 통해 출사된 광의 일부는 프론트 기판(120)에 반사하고, 나머지는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사하는 반사편광층(124)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편광층(124)은 프론트 기판(120)의 표면에 코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표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은 액정 상(phase)의 한 단계로 막대형 액정 분자가 나선형으로 꼬여있는 상태를 말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이라는 이름은 콜레스테롤 미리스테이트가 콜레스테릭 액정상을 가져서 붙여졌으며, 더 적절한 이름으로 는 카이럴 네마틱 액정(chiral liquid nematic crystal)이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상기 프론트 기판(120) 위에 형성되어, 액정 분자들의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상기 프론트 기판(120)에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시켜 위상차층에 제공한다.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상기 리어 및 프론트 기판(110, 120)은 밀봉 부재(15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밀봉 부재(150)는 상기 리어 및 프론트 기판(110, 120)의 사이에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리어 및 프론트 기판(110, 120)의 외곽을 밀봉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격벽(130)들은 상기 리어 및 프론트 기판(110, 12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복수의 방전 공간(170)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나란하게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격벽(130)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론트 기판(120)과 상기 리어 기판(110)에 상하부가 밀착된다.
각각의 격벽(130)에는 서로 인접한 상기 방전 공간(170)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통로(18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180)는 상기 격벽(130)을 불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일부가 끊어지게 형성하거나, 상기 격벽(130)의 일부에 구멍을 뚫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180)는 바람직하게 각 격벽(130)마다 하나 씩 형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180)들의 형성 위치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 통로(180)들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하나 이상의 방전 공간(170)으로 주입되는 방전 가스는 상기 연결 통로(180)를 통해 다른 방전 공간(170)으로 이동되며, 결국 모든 방전 공간(170)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된다. 상기 연결 통로(180)는 방전 가스의 주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각 격벽(130)마다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전극(140)은 상기 프론트 기판(120)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방전 공간(170)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방전 공간(17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즉, 상기 격벽(13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된다.
상기 평판형광램프(100)는 상기 리어 기판(110)의 외면에 상기 제1 외부전극(140)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외부전극(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형광램프(100)는 제1 및 제2 형광층(112, 122)과 반사층(1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형광층(112)은 상기 리어 기판(110)의 내면 및 격벽(130)의 측면에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형광층(122)은 상기 프론트 기판(120)의 내면에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된다. 즉, 각각의 방전 공간(170)들은 상기 제1 및 제2 형광층(112, 42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형광층(112)은 상기 리어 기판(110)의 내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격벽(130)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형광층(112, 422)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상기 반사층(114)은 상기 리어 기판(110)과 제1 형광층(11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114)은 상기 제1 및 제2 형광층(112, 422)에 의해 발생된 가시광선을 프론트 기판(120) 측으로 반사시켜 상기 리 어 기판(110)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1의 반사편광층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특히,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갖는 반사편광층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편광층은 프론트 기판(120) 위에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입사광중 다층 구조 각각에 형성된 액정의 꼬임 피치에 대응하는 광은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다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a, 124c, 124e, 124g, 124i, 124k)과, 상기 다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a, 124c, 124e, 124g, 124i, 124k)간에 개재되어 서로 인접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들을 접착하는 접착층(124b, 124d, 124f, 124h, 124j, 124l)과, 최외곽 콜레스테릭 액정층(124k) 위에 형성되어, 상기 최외곽 콜레스테릭 액정층(124k)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위상차층(124m)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a, 124c)은 제1 및 제2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잔여 파장의 광은 투과하고, 제3 및 제4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e, 124g)은 상기 제1 및 제2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a, 124c)을 통해 투과된 광중 제3 및 제4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잔여 파장의 광은 투과하며, 제5 및 제6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i, 124k)은 상기 제3 및 제4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e, 124g)을 통해 투과된 광중 제5 및 제6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잔여 파장의 광은 투과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장의 광이 가장 큰 파장을 갖고, 상기 제6 파장의 광이 가장 작은 파장을 갖는 구조로, 광이 진행할수록 파장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파장의 광은 레드 영역 파 장에 대응하는 광이고, 제3 및 제4 파장의 광은 그린 영역 파장에 대응하는 광이며, 제5 및 제6 파장의 광은 블루 영역 파장의 광이다. 이러한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간의 배합 비율 조정을 통해 달성한다.
상기 다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들(124a, 124c, 124e, 124g, 124i, 124k)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124b, 124d, 124f, 124h, 124j, 124l)의 두께보다 두껍다. 예를들어, 상기 다수의 액정층들 각각의 두께와 상기 접착층의 두께 비율은 4.5 : 1 내지 3.5 :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상차층(124m)의 두께는 최외곽 액정층(124k)의 두께보다 대략 2.5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최외곽 액정층(124k)의 두께가 20㎛라면,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는 50㎛이다.
이상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갖는 반사편광부가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과 같은 유리기판 위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폴리에스터 필라멘트(PEF) 필름과 같은 베이스 필름 위에 반사편광부를 형성시켜 반사편광필름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로서, 도 4a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분자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꼬임축과 피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방향자는 나선형 축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한다. 상기한 나선형 구조는 회전 주기(p)와 함께 콜레스테릭 상의 특징이다. 상기 나선형의 축 은 광축과 일치한다. 즉, 네마틱 상(Nematic phase)을 이루는 분자 중에서 그 분자 구조 내에 거울 대칭이 깨지는 카이랄(chiral) 구조를 갖는 경우 나선 구조의 네마틱 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콜레스테릭 액정(CLC)이라 한다. 국소적으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은 네마틱과 같이 액정 분자가 한 방향을 향하지만, 거시적으로는 방향자에 수직인 나선 축이 있으며 이 축을 기준으로 방향자는 일정하게 회전하는 특징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은 일정한 간격으로 그 꼬임을 반복하고 있다. 반복되는 길이를 피치(pitch, p)라고 하며, 반복되는 구조에 의해서 광이 브래그(Bragg) 반사를 일으킨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꼬임축(chiral axis)이 베이스 표면에 수직하도록 일방향으로 정렬하고 있을 때,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강하게 반사를 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λ)은 액정의 피치(p)와 액정의 굴절률(Δn)에 비례하는 값이다(λ=p*Δn).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면 반사율이 50%가 되어 이상적인 물질을 가정한다면 광을 투과와 반사를 50:50으로 나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액정의 두께가 피치의 10배 정도가 되면 50%의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서 반사된 광은 액정의 꼬임 방향(chirality)에 따라 우원편광(right 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일 수도 있고, 좌원편광(left 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일 수도 있다. 즉, 콜레스테릭 액정이 라이트 핸디드(right handed) 구조이면 우원편광된 광이 반사가 되고, 반대로 콜레스테릭 액정이 레프트 핸디드(left handed) 구조이면 좌원편광된 광이 반사가 된다. 그리고 반사가 되지않고 투과된 광은 반사된 광과 반대의 편광을 갖게 된다.
상술한 콜레스테릭 액정의 특성을 이용하면 원편광자를 만들 수 있고, 반사되는 광의 대역폭(bandwidth)이 충분히 넓어서 가시광 영역을 모두 덮을 수 있다면 특별한 파장에 대한 원편광자가 아닌 백색광에 대한 원편광자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선편광판(linear polarizer)과는 달리 콜레스테릭 액정은 광을 반사하기 때문에 반사된 광을 재반사시킬 수 있다면 그 광을 재활용하여 모든 광을 하나의 편광으로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의 반사편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론트 기판(120) 위에는 우측으로 액정분자들이 꼬인 콜레스테릭 액정층(124a)이 형성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124a)에 우원편광과 좌원편광 성분의 광이 혼재된 비편광 성분의 광(LPS)이 입사됨에 따라, 액정의 꼬임 방향과 동일한 우원편광은 입사측에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한다. 상기 반사된 우원편광은 재활용되므로 광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투과된 광, 예를들어 좌원편광은 위상차층(124m)에 의해 선편광 성분의 광(LP)으로 변환된다.
도 6은 일반적인 반사편광 필름(DBEF)과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의 반사편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반사편광필름인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은 이방성 필름과 등방성 필름을 수백개층으로 적층시킨 구조(다 중 적층 필름)이다. 상기 이방성 필름은 x-축, y-축 및 z-축 중 어느 한쪽 방향이 연신되어 연신 방향으로 변화된 굴절율을 갖고, 상기 등방성 필름은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율이 동일한 값을 갖는다.
다중 적층 필름이 연신되지 않으면, A 물질의 굴절률(nx(A))과 B 물질의 굴절률(nx(B))은 동일하게되어, 반사편광 동작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다중 적층 필름을 x 방향으로 연신하면, A 물질 필름은 x 방향의 연신으로 굴절율이 높아지고(nx>ny=nz), A 물질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률(nx(A))과 B 물질 필름의 x축 방향의 굴절률(ny(B))은 상이하게 되므로, 미러처럼 P-편광 성분의 광은 투과하고, S-편광 성분의 광은 반사하는 과정을 통해 광을 회수시켜 P-편광 성분의 광의 세기는 증가시킨다.
동작시, 상기 DBEF은 램프(LAMP)로부터 발생되어 확산판(DIFF)을 경유하는 P-편광 성분의 광과 S-편광 성분의 광중 P-편광 성분의 광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투과시키고, S-편광 성분의 광은 확산판(DIFF)을 경유하여 백라이트(LAMP)측으로 반사시키며, 반사판(REF)에서 반사되어 편광 휘도를 향상시키는 원리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액정표시패널(LCDP)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아래 및 위에 각각 배치된 바텀 편광판(BP) 및 탑 편광판(TP)을 포함한다.
상술한 DBEF는 수백 μm 두께내 필름에서 800 백층 이상으로 필름을 적층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 역시 비싸다는 단점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CLCF)은 램프(LAMP)로부터 발생되어 확산판(DIFF)을 경유하는 좌원편광 성분의 광(R)과 우원편광 성분의 광(L) 중 좌원편광 성분의 광(R)은 위상차층(PHL)에 투과시키고, 우원편광 성분의 광(L)은 확산판(DIFF)을 경유하여 백라이트(LAMP)측으로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편광 휘도를 향상시킨다. 위상차층(PHL)은 좌원편광 성분의 광이 입사됨에 따라, 이를 P-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시켜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은 간단한 공정으로 수개층만으로 형성되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 위에 위상차층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DBEF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판형광램프용 글래스 위에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강하게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하도록 꼬임축을 한쪽방향으로 정렬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형성하므로써, 콜레스테릭 액정층에서 반사된 광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꼬임 방향에 따라 우원편광과 좌원편광으로 변환되고, 꼬임 방향에 동일한 편광은 반사시켜 백라이트 유닛에 회수되어 휘도를 DBEF처럼 향상시켜 최종적으로 위상차 필름을 통해 선편광으로 변환되어 액정패널에 전달하여 평판형광램프의 전극부 골부분에서의 암선을 방지하고,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특히, 노즐법에 의해 형성된 격벽을 갖는 평판형광램프 위에 확산층과,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이 일체로 형성된 평판형광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200)는 리어 기판(110), 프론트 기판(120), 복수의 격벽(130) 및 제1 외부전극(140)을 포함한 다. 도 1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 기판(120)의 표면에는 프론트 기판(120)을 통해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확산층(226)이 형성되고, 상기 확산층(226)의 표면에는 확산층(226)을 통해 출사된 광의 일부는 확산층(226)에 반사하고, 나머지는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외부에 출사하는 반사편광층(반사편광필름)(124)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편광층(124)은 프론트 기판(120)의 표면에 코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표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평판형광램프의 단면도이다. 특히, 성형 타입의 평판형광램프 위에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이 일체로 형성된 평판형광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300)는 램프 몸체(310) 및 제1 외부전극(320)을 포함한다. 램프 몸체(310)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330)을 갖는다. 제1 외부전극(320)은 램프 몸체(310)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방전 공간(330)들과 교차되도록 방전 공간(33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램프 몸체(310)는 리어 기판(340), 상기 리어 기판(340)과 결합되어 방전 공간(330)들을 형성하는 프론트 기판(3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어 기판(340)은 사각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며, 일 예로,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자외선은 차단하는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기판(350)은 상기 리어 기판(340)과 결합되어 방전 공간(330)들을 형성하며, 일예로, 상기 리어 기판(340)과 동일한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기판(350)은 상기 리어 기판(340)과 이격되어 방전 공간(330)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방전 공간부(352), 인접하는 방전 공간부(352)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기판(340)과 접하는 복수의 공간 분할부(354) 및 상기 방전 공간부(352)들과 공간 분할부(354)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기판(340)과 결합되는 실링부(356)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기판(350)은 일 예로, 성형 가공(form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리어 기판(340)과 같은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기판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원하는 형상의 금형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을 성형함으로써, 상기 방전 공간부(352), 공간 분할부(354) 및 실링부(356)를 포함하는 프론트 기판(350)을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프론트 기판(350)은 베이스 기판을 가열한 후 공기의 흡입을 통해 형상을 가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 기판(350)의 종단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과 유사한 복수의 반타원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프론트 기판(350)은 종단면이 반원,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 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기판(350) 위에는 반사편광층(380)이 형성된다. 도면상에서는 반사편광층(380)이 프론트 기판과는 별도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였을 뿐, 반사편광층(380)은 코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프론트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편광층(380)은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들과, 최외곽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표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상기 프론트 기판(380) 위에 형성되어, 액정 분자들의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상기 프론트 기판(380)에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시켜 위상차층에 제공한다.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상기 프론트 기판(350)은 일 예로, 유리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유리와 금속의 혼합물인 프릿(frit) 등의 접착 부재(360)를 통해 리어 기판(340)과 결합된다. 즉, 상기 리어 기판(340)과 프론트 기판(350)의 사이에 상기 실링부(356)에 대응하여 접착 부재(360)를 개재한 후 소성함으로써, 상기 리어 기판(340)과 프론트 기판(350)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접착 부재(360)는 리어 기판(340)과 프론트 기판(350) 사이의 실링부(356)에만 형성되며, 상기 리어 기판(340)과 접하는 공간 분할부(354)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공간 분할부(354)는 상기 램프 몸체(310)의 내부와 외부간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리어 기판(340)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어 기판(340)과 프론트 기판(350)의 결합 후 상기 방전 공간(330)들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 상태를 만들며, 이후, 방전 공간(330)들에는 플라즈마 방전을 위한 여러 종류의 방전 가스가 주입된다. 일 예로, 상기 방전 가스는 수은(Hg), 네온(Ne), 아르곤(Ar), 크세논(Xenon) 및 크립톤(Krypton)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 공간(330)들에 존재하는 상기 방전 가스의 가스압은 약 50 torr 정도로, 외부 대기압인 760 torr와 비교하여 압력차가 발생된다. 이러한 압력차로 인해 램프 몸체(3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하는 힘이 발생되며, 이러한 힘에 의하여 공간분할부(354)는 리어 기판(340)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기판(350)에는 서로 인접한 방전 공간(330)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통로(37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370)는 각각의 공간 분할부(35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어느 하나 이상의 방전 공간(330)에 주입되는 방전 가스는 상기 연결통로(370)를 통하여 다른 방전 공간(330)으로 이동되며, 결국, 모든 방전 공간(330)들에는 균일한 가스압으로 방전 가스가 분포되게 된다.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은 상기 프론트 기판(35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은 상기 프론트 기판(350)의 양 단부에 상기 방전 공간부(35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모든 방전 공간(330)들과 중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은 도전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구리(Cu), 니켈(Ni), 은(Ag),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등의 금속 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 파우더(metal powder)를 스프레이 코팅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론트 기판(350)의 외면 중 제1 외부전극(320)이 형성될 위치만을 제외한 영역에 마스크를 배치한 후,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이 형성될 위치에 상기 금속 파우더를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한 다음 상기 마스크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은 도전성의 알루미늄 테이프(Al tape)를 붙이거나, 도전성의 금속 물질을 실버 페이스트(Ag paste) 등의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 IZO)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전극(32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 전압을 램프 몸체(310)에 인가하여 방전 공간(330)들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램프 몸체(310)는 상기 리어 기판(34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형광층(342), 반사층(344) 및 프론트 기판(35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 형광층(35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형광층(342, 158)은 상기 방전 공간(330)들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상기 반사층(344)은 상기 리어 기판(340)과 제1 형광층(34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층(344)은 상기 제1 및 제2 형광층(342, 158)에 의해 발생된 가시광선을 상기 프론트 기판(350) 측으로 반사시켜 상기 리어 기판(340)을 통해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램프 몸체(310)는 상기 프론트 기판(350)과 제2 형광층(358)의 사이 및/또는 리어 기판(340)과 반사층(344)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호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제1 또는 제2 기판(340, 150)과 방전 가스의 주성분인 수은과의 화학적인 반응을 방지하여 수은의 손실 및 흑화 현상을 방지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에 대해 수직 입사광과 경사 입사광의 편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특히, 도 10a는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플랫한 액정 반사편광필름에 수직 입사광과 경사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설명하고, 도 10b는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의 형상에 연동하게 배치된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에 수직 입사광과 경사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콜레스테릭 액정 편광판은 가시광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다층으로 적층된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 위에 원편광 성분의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는 1/4 위상차 필름(Quarter Wave Film)(QWF)을 붙이고, 그 위에 투과축이 45도 틀어진 선편광판(POL)을 붙여 구성한다.
도면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은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에 의해 완전한 원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원편광 성분의 광은 1/4 위상차 필름(QWF)을 경유하면서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선편광 성분의 광이 선편광판(POL)을 경유함에 따라, 해당 선편광 성분의 광은 그대로 투과되므로 편광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다.
하지만, 도면이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 름(CLC)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에 의해 타원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된다. 왜냐하면, 콜레스테릭 액정을 굴절률 측면에서 보면 필름 면상에서는 등방성(isotropic)을 갖지만, 필름 두께 방향으로는 굴절률이 필름 면에서의 값보다 더 작기 때문이다.
상기 타원편광 성분의 광은 상기 1/4 위상차 필름(QWF)을 경유하더라도 완전한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되지 못하고, 선편광에 가까운 타원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편광판(POL)을 지날 때 선편광판(POL)의 투과축과 같은 성분은 투과를 하지만, 그렇지 않은 성분은 흡수가 되기 때문에 투과하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상대적으로 광량이 줄어든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되어 출사된다.
이처럼,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되는 광에 대해서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의 복굴절률에 의해 휘도나 색깔이 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이나 상기 1/4 위상차 필름(QWF)은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의 형상과 연동하므로 어느 방향에서도 입사되는 광은 거의 수직에 가깝게 입사된다. 도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CLC)이나 1/4 위상차 필름(QWF)을 평판형광램프(FFL)로부터 이격시켜 도시하였고, 실질적으로 직진성을 광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였다.
<실시예-4>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특히, 성형 타입의 평판형광램프 위에 확산층과,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이 일체로 형성된 평판형광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400)는 램프 몸체(310) 및 제1 외부전극(320)을 포함한다. 상기한 도 8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비교할 때 확산층(490)이 프론트 기판(340)과 반사편광층(380) 간에 더 개재된다. 물론, 상기 확산층(490)은 프론트 기판(340)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편광층(380) 역시 상기 확산층(490) 위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편광층(380)은 보다 확산된 광을 이용하여 반사 및 투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프론트 기판의 골부위에서 발생되는 암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반사편광필름 일체형 평판형광램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글래스(GLS) 위에 레드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1 용액(CLCR)을 제1 롤러(RO1)와 제1 니퍼(NP1)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광 조사를 통해 경화시킨 후 제1 접착층(ADH1)을 도포한다. 상기 제1 용액(CLCR)은 레드 파장대의 광이 반사되도록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8:2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이다. 상기 제1 용액(CLCR)은 총 함량에 대해 UV 개시제인 이가큐어(Igacure) 184가 5%함량 첨가되고, 톨루엔과 같은 용매(solvent)에 50중량%의 농도로 만들어진 용액을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magnetic stirring)시킨 용액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광조사에 의한 UV 광중합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식들이다. 특히, UV 광의 조사에 의한 UV 접착 경화를 설명하는 구조식들이다. 도면상에서 'I'는 광중합 개시제이고, 'M'은 모노머이며, 'O-O'은 광중합성 올리고머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V 가교제는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성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광가교성 고분자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를 UV 광을 조사시키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구적으로 접착면을 접착시킴과 동시에 굴절율과 광투과성을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크릴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와 올리고머와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및 이가큐어(IgacureTM) 시리즈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하고 자외성 경화에 수반되는 체적수축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제1 접착층(ADH1)이 도포된 피처리물 위에 그린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2 비율로 배합된 제2 용액(CLCG)을 제2 롤러(RO2)와 제2 니퍼(NP2)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광 조사를 통해 경화시킨 후 제2 접착층(ADH2)을 도포한다. 상기 제2 용액(CLCG)은 그린 파장대의 광이 반사되도록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7:3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이다. 상기 제2 용액(CLCG)은 총 함량에 대해 UV 개시제인 이가큐어(Igacure) 184가 5%함량 첨가되고, 톨루엔과 같은 용매(solvent)에 50중량%의 농도로 만들어진 용액을 80-9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magnetic stirring) 시킨 용액이다.
제2 접착층(ADH2)이 도포된 피처리물 위에 블루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3 비율로 배합된 제3 용액(CLCB)을 제3 롤러(RO3)와 제3 니퍼(NP3)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광 조사를 통해 경화시킨다. 상기 제3 용액(CLCB)은 블루 파장대의 광이 반사되도록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6:4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이다. 상기 제3 용액(CLCB)은 총 함량에 대해 UV 개시제인 이가큐어(Igacure) 184가 5%함량 첨가되고, 톨루엔과 같은 용매(solvent)에 50중량%의 농도로 만들어진 용액을 80-9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magnetic stirring) 시킨 용액이다.
제3 용액(CLCB)이 UV 경화된 피처리물 위에 접착층을 갖는 위상차층을 접착시킨다. 상기 위상차층 아래에는 박리 필름 형태로 제3 접착층(ADH3)이 구비된다.
이상에서는 레드, 그린 및 블루에 대응하는 파장대의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을 각각 8:2, 7:3, 및 6:4의 비율로 혼합시킨 것을 설명하였으나, 7.5:2.5, 6.5:3.5 및 5.5:4.5의 비율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레드, 그린 및 블루 파장대의 다양한 광들을 반사시키기 위해 다양한 비율 조합도 가능하다.
<실시예-5>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특히, 성형시 무기 확산제가 배합되어 제조된 불투명 글래스를 갖는 평판형광램프와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도포된 확산판과 상기 평판형광램프와 확산판간에 개재된 확산층을 갖는 일체형 평판형광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광램프(500)는 램프 몸체(510) 및 제1 외부전극(520)을 포함한다. 램프 몸체(510)는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530)을 갖는다. 제1 외부전극(520)은 램프 몸체(510)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방전 공간(530)들과 교차되도록 방전 공간(53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도 11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램프 몸체(510)는 리어 기판(540), 상기 리어 기판(540)과 결합되어 방전 공간(530)들을 형성하는 프론트 기판(5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어 기판(540)은 사각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며, 일 예로,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자외선은 차단하는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기판(550)은 상기 리어 기판(540)과 결합되어 방전 공간(530)들을 형성하며, 일예로, 상기 리어 기판(540)과 동일한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기판(550)은 상기 리어 기판(540)과 이격되어 방전 공간(530)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방전 공간부(552), 인접하는 방전 공간부(552)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기판(540)과 접하는 복수의 공간 분할부(554) 및 상기 방전 공간부 (552)들과 공간 분할부(554)들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기판(540)과 결합되는 실링부(556)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기판(550)은 확산 기능을 위해 무기 확산제가 배합되고, 성형 가공(form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리어 기판(540)과 같은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기판을 무기 확산제를 배합시켜 제조하고,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원하는 형상의 금형을 통해 상기 베이스 기판을 성형한다. 이 외에도, 상기 프론트 기판(550)은 베이스 기판을 가열한 후 공기의 흡입을 통해 형상을 가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확산기능이 부여된 상기 프론트 기판(580) 위에는 확산층(490)과, 상기 확산층(490)위에 반사편광층(380)이 형성된다. 상기 확산층(490)은 프론트 기판을 통해 제1 확산된 광을 제2 확산시켜 반사평광층(380)에 제공한다. 도면상에서는 확산층(490)과 반사편광층(380)이 프론트 기판과는 별도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였을 뿐, 확산층(490) 및 반사편광층(380)은 코팅 방식 등을 이용하여 프론트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반사편광층(380)은 복수의 콜레스테릭 액정층들과, 최외곽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표면에 형성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은 상기 프론트 기판(380) 위에 형성되어, 액정 분자들의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상기 프론트 기판(380)에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시켜 위상차층에 제공한다.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한다.
이상에서는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 전면에 무기 확산제를 배합시켜 확산 기능을 부여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프론트 기판의 골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암부가 발생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프론트 기판의 골 부분에만 무기 확산제를 형성하여 휘선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론트 기판의 골부분에 배합되는 무기 확산제의 농도를 다른 부분에 배합되는 무기 확산제의 농도보다 높게 하여 휘선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반사편광필름 일체형 평판형광램프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특히, 확산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레진을 갖는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벙커(BNK)는 이산화규소(SiO2)와 같이 글래스를 형성하는 물질에 혼합된 광학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건조부(DE)를 통해 건조시킨 후, 건조된 글래스를 압출 성형부(FO1)를 통해 일정 두께로 압출한다. 압출된 글래스를 복수의 냉각롤과 제1 및 제2 가열부(HT1, HT2)를 경유시켜 확산 기능이 부여된 프론트 기판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300 내지 330℃ 수지온도, 즉 유리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에서부터 Tg + 180 ℃ 까지의 조건에서 100 내지 140 ℃의 냉각롤을 갖추고 압출 성형한다. 압출 성형시 전단 응력(shear strain)과 냉각시 글래스의 수축율간의 균형을 맞추기 압출 라인을 통해 대략 34㎛ 두께로 제조한다. 글래스 성형시 AL2O3 확산제, Talc(Si,Mg) 확산제나, 실리콘 확산제, CaCO3 확산제와 같은 무기 확산제를 배합하여 글래스내에 확산기능을 부여한다. 상기한 확산제는 서로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확산기능을 하는 무기물의 양은 0.01% 내지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본 발명의 종전 기술 대비 특성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 실험예들을 제시한다.
실험예에서는 13.3인치에 채용되는 공히 백라이트를 사용하고, 일반적인 액정패널에서 3M사에서 제조된 DBEF-D(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Diffuser)와 본 발명의 제5 및 제6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평판형광램프에 대해서 동일한 암실에서 필름만 교체하여 BM-7 휘도 측정기(TOPCON사 제조)를 사용하여 13-포인트와 5-포인트 각각의 휘도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면 하기하는 표 1과 같다.
여기서, 제5 실시예는 도 1이나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 위에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층이 형성된 예이고, 제6 실시예는 도 7이나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광램프의 프론트 기판 위에 확산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층이 형성된 예이다.
포인트 | 비교예 | 실시예-5 | 실시예-6 |
평균(13p) | 106 | 145 | 130 |
평균(5p) | 109 | 150 | 134 |
Wx | 0.3136 | 0.3197 | 0.3183 |
Wy | 0.3467 | 0.3679 | 0.3550 |
휘도균일도 | 69.7% | 75.9% | 73.1% |
휘도비교(13p) | 7.0% | 8.8% | 8.6% |
휘도비교(5p) | 7.2% | 9.1% | 8.8% |
휘도효율(13p) | - | 126% | 123% |
휘도효율(5p) | - | 126% | 122% |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E 색좌표계의 백색광의 x-축 값이나, y- 축 값 역시 제5 실시예나 제6 실시예는 비교예와 임계 범위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13-포인트나 5-포인트에 대해서 측정된 평균 휘도는 제5 실시예나 제6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휘도균일도 면에서, 제5 실시예 및 제6 실시예는 각각 75.9% 및 73.1%로서 비교예의 69.7%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광의 휘도를 100%로 볼 때, 13-포인트와 5-포인트의 비교예에서는 각각 7.7% 및 7.2%인 반면, 13-포인트나 5-포인트의 제5 실시예에서는 8.8% 및 9.1%이고, 13-포인트나 5-포인트의 제6 실시예에서는 각각 8.6% 및 8.8%이므로 휘도 효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5 실시예에서는 13-포인트 및 5-포인트에 대해서는 비교예보다 공히 26% 휘도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고, 제6 실시예에서는 13-포인트에 대해서는 비교예보다 23% 휘도가 상승하고, 5-포인트에 대해서는 비교예보다 22% 휘도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600)는 평판형광램프(300), 디스플레이 유닛(700) 및 인버터(8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한 평판형광램프(300)는 도 8에서 설명한 프론트 기판에 일체로 형성된 콜레스테릭 액정 반사편광필름을 갖는 평판형광램프이다. 물론, 도 1, 도 7,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한 평판형광램프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700)은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710),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20, 73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20, 73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는 데이터 연성회로필름(740) 및 게이트 연성회로필름(750)을 통해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에 인가된다.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연성회로필름(740, 750)은 일 예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 COF)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연성회로필름(740, 750) 각각은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인쇄회로기판(720, 73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를 적절한 타이밍에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에 인가하기 위하여 구동신호를 제어하는 상기 데이터 및 게이트 구동칩(742, 75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칭함) 기판(712), 상기 TFT 기판(712)과 대향하여 결합되는 컬러필터 기판(714) 및 상기 두 기판(712, 714)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716)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712)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유리기판이다. 상기 TFT들의 소스 및 게이트 단자에는 각각 데이터 및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화소전극(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714)은 색화소인 RGB 화소(미도시)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714)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패널(710)은 상기 TFT의 게이트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TFT가 턴-온(turn on)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상기 TFT 기판(712)과 컬러필터 기판(714)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716)의 배열이 변화되고, 상기 액정층(716)의 배열 변화에 따라서 상기 평판형광램프(300)로부터 공급되는 광의 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얻게 된다.
상기 인버터(800)는 상기 평판형광램프(300)를 구동하기 위한 방전 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인버터(8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상기 평판형광램프(300)의 구동을 위한 방전 전압으로 승압시켜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800)로부터 발생된 방전 전압은 제1 및 제2 전원선(810, 820)을 통해 상기 평판형광램프(300)의 제1 외부전극(320)에 각각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형광램프(300)가 제2 외부전극(322)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320, 3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선(810, 820)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도전 클립(392, 3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장치(600)는 상기 평판형광램프(3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용기(9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9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900)는 상기 평판형광램프(300)를 수납하기 위하여 바닥부(910) 및 상기 바닥부(91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의 측벽(9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용기(900)는 상기 평판형광램 프(300)의 수납시, 상기 평판형광램프(300)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98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상기 수납용기(900)에 결합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을 상기 광학 부재(950)의 상부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 부재(980)는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710)이 상기 수납용기(9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을 갖는 평판형광램프나 성형된 유리(formed glass)를 사용하는 평판형광램프에서 전극부 골 부분에 대응하여 암선의 발생을 방지하고,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판과 반사편광필름, 프리즘시트를 하나의 기능으로 통합하여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5)
- 베이스 위에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입사광중 다층 구조 각각에 형성된 액정의 꼬임 피치에 대응하는 광은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다수의 액정층들; 및상기 다수의 액정층들간에 개재되어 서로 인접하는 액정층들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중 최외곽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최외곽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위상차층을 더 포함하는 광학필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액정층의 두께가 20㎛이고,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이고,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꼬임축은 상기 베이스의 평면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꼬임 피치에 대응하는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액정층들은상기 베이스를 통해 투과된 광중 제1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잔여 파장의 광은 투과하는 제1 액정층;상기 제1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중 제2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잔여 파장의 광은 투과하는 제2 액정층; 및상기 제2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중 제3 파장의 광은 반사하고, 잔여 파장의 광은 투과하는 제3 액정층을 포함하는 광학필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파장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파장의 광은 각각 레드, 그린 및 블루 영역 파장의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액정층들 각각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액정층들 각각의 두께와 상기 접착층의 두께 비율은 4.5 : 1 내지 3.5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PEF)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유리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 (a) 베이스 위에 제1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1 용액을 코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b) 상기 단계(a)에 의한 결과물 위에 제2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2 용액을 코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c) 상기 단계(b)에 의한 결과물 위에 제3 광을 편광반사하기 위해 콜레스테릭 액정과 VA 액정이 제1 비율로 배합된 제3 용액을 코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d) 상기 단계(c)에 의한 결과물 위에 위상차층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제2 광 및 제3 광은 각각 레드 광, 그린 광 및 블루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용액 각각에는 UV 개시제가 5% 함량만큼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용액 각각은 용매(solvent)에 50중량%의 농도로 제조되고, 80 내지 90℃의 조건에서 30분간 교반(magnetic stirr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톨루엔(Tolu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율은 7.5 :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율은 6.5 :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율은 5.5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1/4 위상차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경화된 결과물 위에 제1 접착층을 형성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경화된 결과물 위에 제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을 구비하는 램프 몸체;상기 램프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상기 방전 공간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방전 공간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외부전극; 및상기 램프 몸체 위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몸체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램프 몸체에 반사하고, 나머지는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반사편광부를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광부는상기 프론트 기판 위에 형성되어,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상기 프론트 기판으로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및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꼬임축은 상기 프론트 기판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강하게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액정의 꼬임 방향에 따라 우원편광 또는 좌원편광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몸체와 콜레스테릭 액정층간에 개재된 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몸체는,리어 기판;프론트 기판; 및상기 리어 기판과 프론트 기판간에 개재되어, 복수의 방전 공간으로 분할하는 공간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편광부는 상기 프론트 기판 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 공간들에서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및상기 리어 기판의 내면 및 상기 프론트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층을 더 포함하는 평판 형광 램프.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몸체는,리어 기판; 및상기 리어 기판과 이격되어 상기 방전 공간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방전 공간부 및 인접하는 상기 방전 공간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 기판과 접하는 복수의 공간 분할부를 갖는 리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편광부는 상기 프론트 기판 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전 공간들에서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 및상기 리어 기판의 내면 및 상기 프론트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어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층을 더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기판은 골과 마루를 갖고, 상기 반사편광부는 상기 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몸체와 반사편광부간에 개재된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술폰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스틸렌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폴리비닐알콜계 또는 폴리노르보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을 구비하여 출사부를 통해 광을 출사하되, 상기 출사부에 혼입된 무기 확산제를 이용하여 상기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램프 몸체; 및상기 램프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며, 모든 상기 방전 공간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방전 공간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 위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몸체에서 출사된 광을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광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부는 위상차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확산제는 AL2O3 확산제, Talc(Si,Mg) 확산제, 실리콘 확산제, CaCO3 확산제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확산제는 0.01%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광램프.
-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방전 공간을 구비하는 램프 몸체와, 상기 램프 몸체 위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몸체로부터 출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램프 몸체에 반사하고, 나머지는 선편광 성분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반사편광부를 포함하는 평판형광램프; 및상기 평판형광램프에서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편광부는상기 램프 몸체 위에 형성되어, 꼬임 피치에 해당하는 파장의 광은 상기 램프 몸체로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는 콜레스테릭 액정층; 및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통해 투과된 광을 선편광 성분의 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출사하는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광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방전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광램프는 상기 램프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전 공간들과 교차되도록 상기 방전 공간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외부전극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0993A KR20060031993A (ko) | 2004-10-11 | 2004-10-11 |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
JP2004356282A JP2006113513A (ja) | 2004-10-11 | 2004-12-09 | 光学フィルムと、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平板蛍光ランプ及び表示装置 |
US11/247,916 US20060087863A1 (en) | 2004-10-11 | 2005-10-11 | Optical lens system,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
TW094135414A TW200619770A (en) | 2004-10-11 | 2005-10-11 | Optical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at fluorescent lamp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CNA200510112621XA CN1760719A (zh) | 2004-10-11 | 2005-10-11 | 光学膜及其制造方法以及平板荧光灯和显示装置 |
US11/284,273 US20060131522A1 (en) | 2004-10-11 | 2005-11-21 | Optical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at fluorescent lamp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0993A KR20060031993A (ko) | 2004-10-11 | 2004-10-11 |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1993A true KR20060031993A (ko) | 2006-04-14 |
Family
ID=3638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0993A Withdrawn KR20060031993A (ko) | 2004-10-11 | 2004-10-11 |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31522A1 (ko) |
JP (1) | JP2006113513A (ko) |
KR (1) | KR20060031993A (ko) |
CN (1) | CN1760719A (ko) |
TW (1) | TW20061977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28018A3 (ko) * | 2009-09-01 | 2011-06-30 |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 광대역 반사형 액정 필름, 그의 제조 방법과 광대역 반사형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807B1 (ko) | 2006-06-09 | 2013-04-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
TW201015125A (en) | 2008-10-01 | 2010-04-16 | Ind Tech Res Inst | Optical sheet |
WO2012004975A1 (ja) | 2010-07-07 | 2012-01-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配光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並びに配光制御装置の製造方法 |
KR101249656B1 (ko) * | 2010-12-31 | 2013-04-0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휘도증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
WO2012159074A1 (en) * | 2011-05-18 | 2012-11-22 | Eden Park Illumination, Inc. | Planar plasma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
WO2016098732A1 (ja) | 2014-12-19 | 2016-06-23 | 日本化薬株式会社 | 光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有する積層体 |
JP6687745B2 (ja) * | 2016-09-30 | 2020-04-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光学素子の製造方法 |
JP7015392B2 (ja) * | 2018-07-27 | 2022-02-1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光学素子およびセンサ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0153B1 (ko) * | 1998-01-10 | 2001-11-15 | 권문구 | 적층방법을 이용한 광대역 특성을 갖는 편광막의 제조방법 |
-
2004
- 2004-10-11 KR KR1020040080993A patent/KR20060031993A/ko not_active Withdrawn
- 2004-12-09 JP JP2004356282A patent/JP2006113513A/ja not_active Withdrawn
-
2005
- 2005-10-11 TW TW094135414A patent/TW200619770A/zh unknown
- 2005-10-11 CN CNA200510112621XA patent/CN1760719A/zh active Pending
- 2005-11-21 US US11/284,273 patent/US20060131522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28018A3 (ko) * | 2009-09-01 | 2011-06-30 |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 광대역 반사형 액정 필름, 그의 제조 방법과 광대역 반사형 액정 필름을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113513A (ja) | 2006-04-27 |
CN1760719A (zh) | 2006-04-19 |
US20060131522A1 (en) | 2006-06-22 |
TW200619770A (en) | 200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4390B2 (en) | Polarized light source device and back light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US7528915B2 (en) | Optical module, method of forming the optical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optical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 |
US6801270B2 (en) |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high light-recycling efficiency | |
JP2007219527A (ja) |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 |
KR19980065367A (ko) |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 |
US7679827B2 (en) | Integral optical plate, and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20060088669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brightness enhancement film of liquid crystal display and structure thereof | |
JP2006139238A5 (ko) | ||
KR20070064351A (ko) | 백라이트 및 정면 패널 상의 반사 편광기를 포함하는lcd | |
CN102032508A (zh) | 发光装置和显示器 | |
US6956630B2 (en) | Reflection type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 |
US20060238128A1 (en) |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 |
KR20060031993A (ko) | 광학필름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평판형광램프및 표시장치 | |
KR20050109974A (ko) | 비틀림-경사 배향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비틀림-경사 배향필름,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 |
KR101135363B1 (ko) | 광대역 반사형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장치 | |
US20060087863A1 (en) | Optical lens system,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 |
JP2006216543A (ja) |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 |
CN202188402U (zh) | 偏振光照明装置以及投影型图像显示设备 | |
US20060262569A1 (en) |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02202506A (ja) | 液晶光学素子 | |
US20060039151A1 (en) |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03337334A (ja) | バックライ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
CN100338511C (zh) | 增光膜的制法及其结构 | |
JP2002202524A (ja) | 液晶光学素子 | |
EP0796455B1 (en) | A device for backlighting a liquid crystal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