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402A - How to detect ear button o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How to detect ear button o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9402A KR20060029402A KR1020040078325A KR20040078325A KR20060029402A KR 20060029402 A KR20060029402 A KR 20060029402A KR 1020040078325 A KR1020040078325 A KR 1020040078325A KR 20040078325 A KR20040078325 A KR 20040078325A KR 20060029402 A KR20060029402 A KR 200600294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 ear
- mobile station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버튼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핸즈프리 용 이어폰이 연결되어야 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부분에 충전기 DC잭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이어폰이 연결된 후 통화를 위한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인식하여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국 모뎀에서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한 후, 이어폰에 장착된 이어버튼이 선택된 것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 모뎀에서,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한 후 이어버튼이 선택된 것을 인식한 시간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간격이 이동국 모뎀에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기존의 동작상태를 유지하고, 이동국 모뎀에 설정된 시간 이내가 아닌 경우 이어버튼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오작동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n ear butt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related art, even when a charger DC jack is connected to an ear jack por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hands-free earphone is to be connec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arphone is connected after the cal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ar button for the operation was recognized as pres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at an earphone is connected to a mobile station mod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recognizes that an ear button mounted on the earphone is selected, and recognizes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station modem. Determining a time interval recognizing that the selection is made; maintaining an existing operation state when the time interval is within a time set in the mobile station modem, and performing an ear button processing operation when the time interval is not within a time set in the mobile station modem. It is composed of the effect of preventing malfunction.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어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감지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earphone and the ear jack detec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감지를 위한 수치의 도표.2 is a table of values for ear jack detection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버튼 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ear butt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이동국모뎀 20: 이어잭(Ear-Jack)10: Mobile station modem 20: Ear-Jack
21: 스피커 스위치 22: 마이크 스위치21: speaker switch 22: microphone switch
23: 이어폰 스위치 30: 이어폰(Ear-Phone)23: Earphone switch 30: Earphone (Ear-Phone)
31: 스피커 32: 마이크31: speaker 32: micro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버튼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Ear-Phone) 삽입 플러그에 충전기의 DC잭이 삽입되는 경우 이어폰의 이어버튼(Ear-Button)이 눌려진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버튼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n ear butt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DC jack of the charger is inserted into an earphone plu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ar button of the earphone is recognized as being pres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button sen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되었고, 그에 따라 각종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issemin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necessary for using a communication service has become popular. According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various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 중 하나가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으로서, 장시간 통화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고 차량 등을 운행하는 중에 전화를 받거나 걸 때의 주의력이 저하로 인한 사고 발생을 감소시킨다. One of the additiona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hands free function, which reduces the inconvenience of a user who talks for a long time and reduc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a decrease in attention when receiving or making a call while driving a vehicle.
일반적으로, 운전 중에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 일단 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거나 폴더를 열어야 하며, 발신의 경우에도 손과 함께 시선도 이동통신 단말기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주의력을 약화시켜 사고를 유발하므로 법적으로 운전 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접적인 사용을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면 사용자가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는 핸즈프리가 개발되었다. In general, when receiving a call while driving, a user must press a button or open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is hand, and in case of an outgoing call, his eyes are dir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driver's attention is weakened to cause an accident, so the law regulates the direct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Reflecting this, whe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directly make a call without lif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sfree was develop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핸즈프리 용 이어폰이 연결되어야 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Ear-Jack) 부분에 충전기 DC잭이 연결되는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이어폰이 연결된 후 통화를 위한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인식하여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charger DC jack is connected to the ear jack (Ear-Jack)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hands-free earphone is to be connected, the ear for the call after the earphone is connected in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recognized that the button is pressed and mal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사용자의 실수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에 충전기 단자를 삽입한 경우와, 이어폰을 정상 적으로 삽입한 후 이어버튼을 누른 경우를 구별할 수 있도록 이어폰이 삽입된 것을 인식한 시간과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을 인식한 시간 간격에 따라 이어버튼 프로세싱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버튼 감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distinguishes a case in which a charger terminal is inserted into an ear ja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istake of a user and an ear button is pressed after a earphone is normally inser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ear butt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ear button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time when the earphone is inserted and a time interval when the ear button is pres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국 모뎀에서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한 후, 이어폰에 장착된 이어버튼이 선택된 것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 모뎀에서,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한 후 이어버튼이 선택된 것을 인식한 시간 간격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간격이 이동국 모뎀에 설정된 시간 이내인 경우 기존의 동작상태를 유지하고, 이동국 모뎀에 설정된 시간 이내가 아닌 경우 이어버튼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fter recogniz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in the mobile station mod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ing that the ear button mounted on the earphone is selected, and in the mobile station modem, the earphone is connected Determining a time interval after recognizing that the ear button is selected after the recognition; maintaining the existing operation state when the time interval is within the time set in the mobile station modem, and processing the ear button when the time interval is not within the time set in the mobile station mod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nsisting of performing the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이어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감지 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 핀(Speaker pin), 마이크 핀(Mic pin), 이어폰(Ear-Phone) 인식 핀, 이어버튼(Ear-Button) 인식 핀을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국 모뎀(MSM: Mobile Station Modem)(10)과,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1),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32) 및 이어버튼이 눌리는 동작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결정되는 이어버튼 스위치(33)를 포함하는 이어폰(Ear-Phone)(30)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국 모뎀(1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국 모뎀(10)과 이어폰(30)의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칭 동작을 하는 이어잭(20)으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earphone and the ear jack detect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the speaker pin (Speaker pin), microphone pin (Mic pin), earphone (Ear-Phone) recognition pin, ear button ( Mobile Station Modem (MSM) 10 which includes an Ear-Button (ID) recognition pin and controls overall op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nents, a speaker 31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Earphone (Ear-Phone) 30 including the 32 and the
상기 이어잭(20)은, 이동국 모뎀(10)의 스피커 핀과 이어폰(30)의 스피커(31)를 연결 여부를 결정하는 스피커 스위치(21)와, 이동국 모뎀(10)의 마이크 핀과 이어폰(30)의 마이크(32)를 접속시키는 연결선과, 이 연결선에 공통단자(c)가 접속되고, 전원 Vcc 및 접지에 각각 일측단자(a)와 타측단자(b)가 접속되는 마이크 스위치(22)와, 이동국 모뎀(10)의 이어폰 인식 핀이 공통단자(c'), 전원 Vcc 및 접지가 각각 일측단자(a')와 타측단자(b')에 접속되는 이어폰 스위치(23)로 구성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어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감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2의 도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arphone and the ear jack sen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iagram of FIG. 2.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20)을 통해 이어폰(30)을 삽입하지 않은 경우, 이어잭(20)의 스피커 스위치(21)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마이크 스위치(22)의 공통단자(c)는 일측단자(a)에, 이어폰 스위치(23)의 공통단자(c')는 일측단자(a')에 연결되어 이동국 모뎀(10)의 스피커 핀, 마이크 핀, 이어폰 인식 핀은 각각 로우(0V), 하이(2.6V), 하이(2.6V)를 나타낸다. 또한, 이어폰(3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어버튼 인식 핀은 로우(0V) 상태를 나타낸다. When the
한편, 이어폰(30)을 삽입한 경우 이어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면, 이어잭(20) 의 스피커 스위치(21)가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이동국 모뎀(10)의 스피커 핀이 스피커에 연결되고, 마이크 스위치(22)의 공통단자(c)는 일측단자(a)에 연결되어 이동국 모뎀(10)의 마이크 핀은 하이(2.6V)를, 이어폰 스위치(23)의 공통단자(c')는 타측단자(b')에 연결되어 이동국 모뎀(10)의 이어잭 인식 핀은 로우(0V)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어폰(30) 내의 이어버튼 스위치(33)는 접지된 단자에 연결되어 이동국 모뎀(10)의 이어버튼 인식 핀은 로우(0V)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이 때, 이어폰(30) 외부에 장착된 이어버튼이 눌러지면, 이어잭(20) 마이크 스위치(23)의 공통단자(c)가 타측단자(b)에 접속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여 이동국 모뎀(10)의 마이크 핀이 로우(0V) 상태로 전환되고, 이어폰(30)의 이어버튼 스위치(33)에 의해 이어버튼 인식 핀이 전원 VCC 단자에 연결되어 하이(2.6V) 상태로 전환된다.At this time, when the ear button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그런데, 이어폰 대신에 충전기의 DC잭을 삽입한 경우, 스피커(31) 및 마이크(32)는 연결될 수 없으므로 이동국 모뎀(10)의 이어 핀과 마이크 핀은 로우(0V)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어잭 인식 핀과 이어버튼 인식 핀의 논리 값이 이어폰을 삽입한 후 이어버튼을 눌렀을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By the way, when the DC jack of the charger is inserted in place of the earphone, since the speaker 31 and the microphone 32 cannot be connected, the ear pin and the microphone pin of the
따라서, 사용자의 실수로 이어잭(20)에 충전기 DC잭을 삽입하였을 때, 이어폰의 이어버튼, 즉 통화키(Send key)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고 가장 최근에 통화 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harger DC jack is inserted into the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버튼 감지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흐름도와 같이 이동국 모뎀의 이어폰 인식 핀이 하이(High)에서 로우(Low)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하는 단계(S100)와, 그 다음 이동국 모뎀의 이어버튼 인식 핀이 로우에서 하이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이어폰의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을 인식하는 단계(S200)와,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을 인식한 것이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한 후 1.5초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S300)와, 이어폰 인식 후 1.5초 이내인 경우 이어폰이 아닌 충전기 DC잭이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S400)와, 이어폰 인식 후 1.5초 이내가 아닌 경우 이어버튼 프로세싱(Processing) 동작, 즉 통화키 역할을 하는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Therefore, in the ear button det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recognition pin of the mobile station modem is switched from a high state to a low state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Recognizing that the ear button of the earphone is pressed by switching the ear button recognition pin of the mobile station modem from low to high state (S200), and recognizing that the ear button is pressed. Determining whether it is within 1.5 seconds after recogniz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S300), and recognizing that the charger DC jack is inserted instead of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within 1.5 seconds (S400), and 1.5 after the earphone is recognized. If not within seconds, the ear button processing operation (processing), that is, a step (S500) serving as a call key is ma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되고 이어폰 외부에 장착된 이어버튼이 눌러지면, 일반적으로 이동국 모뎀의 이어폰 인식 핀은 하이에서 로우로, 이어버튼 인식핀은 로우에서 하이 상태로 전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어폰과 이어버튼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S100, S200).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ar button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earphone is pressed, the earphone recognition pin of the mobile station modem is changed from high to low, and the ear button recognition pin is changed from low to high state. Earphones and ear buttons can be recognized (S100, S200).
그러나, 충전기의 DC잭이 삽입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동작하므로, 이동국 모뎀은 이어버튼 인식 핀이 로우에서 하이 상태로 전환된 것이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지한 후 1.5초 이내인지 판단한다. 보통,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한 후 사용자가 1.5초 내에 이어버튼을 누를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므로, 이동국 모뎀에 그와 같은 시간 설정을 한다(S300).However, since 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even when the DC jack of the charger is inserted, the mobile station modem determines whether the ear button recognition pin is changed from low to high state within 1.5 seconds after recogniz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Usually, since it is extremely unlikely that the user presses the ear button within 1.5 seconds after connecting the earphon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time is set in the mobile station modem (S300).
따라서, 이동국 모뎀에서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인식한 후 1.5초 이내라고 판단한 경우 실제로는 충전기 DC잭이 삽 입된 것으로 파악하고 통화 연결을 위한 동작을 하지 않는다(S400). 그러나 1.5초 이내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이어버튼이 눌러졌을 때의 동작, 즉 가장 최근 통화 상대의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500).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ar button is pressed by the mobile station modem within 1.5 seconds after recogniz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it is actually determined that the charger DC jack is inserted and does not operate for call connection (S400). .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within 1.5 seconds, the operation when the ear button is pressed, that is, performs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o the phone number of the most recent call partner (S500).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어폰이 연결된 후 1.5초 이후부터 이어버튼의 프로세싱 동작을 정상적으로 처리하며, 그 전에 이어버튼의 프로세싱 동작이 인식되면 그에 따른 동작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rmally processes the processing of the ear button from 1.5 seconds after the earphone is connected. If the processing of the ear button is recognized b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rocess the operation accordingly.
여기서, 이어버튼 프로세싱 동작을 위한 시간을 1.5초로 설정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계 시 필요에 따라 그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Here, although the time for the ear button processing operation is set to 1.5 seconds, this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ime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when design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핸즈프리 용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실수로 이어폰 대신 충전기를 연결시킨 경우 이어폰의 이어버튼이 눌러진 것과 같이 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오작동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operating as if the ear button of the earphone is pressed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harger instead of the earphone when the user accidentally connects the hands-free earphon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alfunction.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325A KR20060029402A (en) | 2004-10-01 | 2004-10-01 | How to detect ear button on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325A KR20060029402A (en) | 2004-10-01 | 2004-10-01 | How to detect ear button on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9402A true KR20060029402A (en) | 2006-04-06 |
Family
ID=3713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8325A Ceased KR20060029402A (en) | 2004-10-01 | 2004-10-01 | How to detect ear button on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940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88594B2 (en) | 2014-08-14 | 2017-03-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
-
2004
- 2004-10-01 KR KR1020040078325A patent/KR2006002940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88594B2 (en) | 2014-08-14 | 2017-03-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ear-jack terminal cap interwork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99867B1 (en) | Mobile terminal | |
JPH06216978A (en) | Transmitter-receiver | |
WO2005027480A1 (en) | User attachable keypad | |
CN103067607B (en) | Call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 |
US7136671B2 (en) |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an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 |
KR20060029402A (en) | How to detect ear button on mobile terminal | |
KR200202271Y1 (en) | Earphone for portable telephone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 |
KR100559039B1 (en) | Voic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64500Y1 (en) |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31222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ar mike in telephone | |
KR100365861B1 (en) | Device for sensing headset of cellular phone | |
KR200356181Y1 (en) | Compatible multi-functional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 |
KR200309139Y1 (en) | Headphone set connected to Personal Computer via USB port and having mobile phone hands-free function | |
KR100403563B1 (en) | A Identification Card holder | |
KR20060007281A (en) | Earphone circuit and handsfree earphone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200193791Y1 (en) | Device for selecting output termial of computer-sound card | |
KR20070030391A (en) | Ear microphon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617791B1 (en) | Ear microphon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2004147266A (en) | Bluetooth adapter for telephone set | |
KR20010018124A (en) | Method For Voice Activated Dialing Using Ear Mic-Phon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229548Y1 (en) | Handle cover system with phone dialing function | |
KR200214956Y1 (en) | The message convert device of A headset and earphone | |
KR101143772B1 (en) |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 |
KR20000020928U (en) | Mike earphone system for handphone | |
KR200283859Y1 (en) | Hands free with voice-understanding dial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1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