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500Y1 -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4500Y1 KR200364500Y1 KR20-2004-0020816U KR20040020816U KR200364500Y1 KR 200364500 Y1 KR200364500 Y1 KR 200364500Y1 KR 20040020816 U KR20040020816 U KR 20040020816U KR 200364500 Y1 KR200364500 Y1 KR 2003645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ear microphone
- microphone device
- interface connector
-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해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의 일측에서 소정의 P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와는 별도로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해 PC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USB 포트를 통해 PC의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PC와의 데이터 통신 및 충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고가의 데이터 전송용 또는 충전용 케이블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 microphone device used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USB port is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C on one side of the ear microphon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separately from the USB port An interface connector port installed in the ear microphone to be connected, a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C through the USB port, and data from the PC through the USB port. Since the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C via the ear microphone device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func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purchase expensive data transmission or charging cabl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등 각종 통신 수단에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로폰(ear-microphone)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C와의 데이터 통신 및 충전 기능을 겸비하여 별도의 데이터 통신용 컨넥터 및 충전용 컨넥터를 배제시킨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microphone device used for variou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portable wireless device that eliminates a separate data communication connector and a charging connector by having a data communication and charging function with a PC. A multifunction ear microphone device for a terminal.
근래들어, 각종 전자, 통신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반면에 점차 소형 경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부착 또는 부가하여 사용되고 있는 주변기기 역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며, 예를 들면, 착탈이 가능한(attachable) 카메라 장치, 단말기상에 설치하여 통화 핸즈프리 상태에서 통화기능을 수행하거나, 단말기에 적용된 MP3 기능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도록 구성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등이 대별될 수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portable wireless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nd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s have been diversifi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users, while gradually becoming smaller and thinner. . Accordingly, peripheral devices that are used by being attached or added to the terminal are also developing. For example, an attachable camera device, installed on the terminal, performs a call function in a call hands-free state, or is applied to the terminal. Ear microphone devices or the like configured to listen to music using the MP3 function may be roughly classified.
특히,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소정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신체, 예를 들면, 주머니나 가방등에서 꺼내지 않고도 단말기에 설치된 소정의 단자에 연결시켜 통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기본적으로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거나,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와,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별도의 조작 버튼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조작 버튼은 통화연결 또는 음악의 재생, 정지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ar microphone device is a predetermined remote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a call function by connecting a terminal to a predetermined terminal installed in the terminal without the user taking the terminal out of a body, for example, a pocket or a bag. The ear microphone device basically includes a speaker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or listening to music and a microphon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user voice to the other party, and a separate operation button may be used during a call. hav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button may be a button for performing a function such as call connection or music play or stop.
한편, 상기 단말기는 별도의 데이터 케이블을 사용하여 PC등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단말기의 하측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와 PC에 설치되는 USB 포트에 소정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PC의 데이터를 단말기에 송신하거나 제어하고, 단말기상의 데이터를 PC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a PC or the like using a separate data cable. That is, a predetermined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and the USB port installed at the PC to transmit or control the data of the PC and to transmit the data on the terminal to the PC.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PC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이어 마이크로폰과는 별도로 고가의 데이터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입비가 추가로 부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and the terminal, an expensive data cable needs to be used separately from the microphone, resulting in an additional purchase cos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데이터 통신 기능과 충전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 ear microphone device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charging func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데이터 통신용 장치 및 충전용 장치 없이 데이터 통신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 ear microphone device for a portable radio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nd charging functions without a separate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로 다른 단말기를 연계시키기 위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ar microphone device for linking different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ar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14: 충전부10: ear microphone unit 14: charging unit
15: 데이터 전송부 18: USB 포트15: data transmission unit 18: USB port
19: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19: Interface connector por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해 사용되는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의 일측에서 소정의 P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와는 별도로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해 PC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상기 USB 포트를 통해 PC의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PC와의 데이터 통신및 충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 microphone device used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USB port is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C on one side of the ear microphone, An interface connector port installed in the ear microphon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separately from the USB port, and a charging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C through the USB port.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of the PC to the terminal through the USB port, and simultaneously performs data communication and charging functions with the PC through the ear microphone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로 다른 단말기를 연계시키기 위한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로 본 실시예에서는 해드셋 형태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목걸이 형태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등 다양한 핸즈 프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ar microphone device for associating different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ar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ar microphone device of the headset type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hands-free devices such as a necklace type ear microphone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공지의 이어 마이크로폰의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스피커 장치(11)를 통해 단말기(20)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청취하거나 상대방과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 장치(12)를 통해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적소에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와, 상기 USB 포트와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USB 포트는 PC(Personal Computer)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수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 USB 포트와 PC는 공지의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의 소형화 및 휴대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USB 포트는 공지의 미니 USB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interface connector port) 역시 단말기상에 설치된 인터페이스 컨넥터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핀, 18핀, 21핀, 24핀 형태의 포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RS-232C 포트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functions of a known ear microphone used in connection with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20. For example, the speaker device 11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may listen to music output from the terminal 20 or perform a call function with the other party, an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icrophone device 12. You can send voic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place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USB port (Universal Serial Bus Port) and an interface connector port separate from the USB port. The USB port is installed as a mea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personal computer (PC). The USB port and the PC can be connected through a known USB cable. Preferably, for miniaturization and portability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the USB port may use a known mini-USB port. In addition,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interface connector port)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connector installed on the terminal, for example, may be a port of the 10 pin, 18 pin, 21 pin, 24 pin ty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 example, an RS-232C port.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는 충전부(14)와 데이터 전송부(17)를 포함한다. 상기 USB 포트(18)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와 연결된 D+, D-의 두 개의 데이터 전송 라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나의 접지 단자인 GND(ground terminal)와 상기 충전부(14)에 연결되어 단말기 배터리 팩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Vbus 라인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unit 14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7. The USB port 18 includes two data transmission lines of D + and D- connected to the data transmission unit, and is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GND) and a charging unit 14, which is one ground terminal, and a terminal battery pack. It consists of a Vbus line to supply power.
상기 충전부(14)는 상기 PC(3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여 단말기의 배터리에 공급될 정도로 안정화시키는 충전 제어부(16)와, 소정의 스위치(미도시 됨)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 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PC(30)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안정화시켜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단말기(20)의 배터리 팩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 변환부(15)를 포함한다.The charging unit 14 includes a charging control unit 16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power applied from the PC 30 and stabilizing enough to be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switch (not shown). And a voltage converter 15 for stabiliz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C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 and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pack of the terminal 20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상술한 구성을 갖는 충전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우선, PC(30)와 휴대 단말기(20)를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를 이용하여 연결시킨다. 즉,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USB 포트(18)와 PC(30)의 USB 포트(미도시 됨)를 소정의 케이블에 의해 연결시키며,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19)와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 컨넥터(미도시 됨)를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와 단말기(20) 또는 PC(30)와 연결되는 연결 수단은 공지의 케이블 일 수 있으며, 상기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10)에 일체화되어 인출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First, the PC 30 and the portable terminal 20 are connected using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That is, the USB port 18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and the USB port (not shown) of the PC 30 ar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cable, and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19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is connected. And an interface connector (not shown) of the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and the terminal 20 or the PC 30 may be a known cable, and may be a cable integrated with the ear microphone device 10 and drawn out.
그후, 상기 충전 제어부(16)는 PC(30)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되지 않았으면, 상기 충전 제어부(16)는 전압 변환부(15)에 포함되어 있는 스위치(미도시됨)를 스위칭시켜 전원이 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것을 중지시킨다. 상기 스위치로는 공지된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harging control unit 16 perform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applied from the PC 30 is stabilized. If the applied power is not stabilized, the charging control unit 16 switches the switch (not shown) included in the voltage converter 15 to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battery of the terminal. As the switch, a known n-MOS transistor may be used.
한편, 인가된 전원이 안정화되었을 경우, 상기 전압 변화부(15)로 PC(30)의 전원을 단말기(20)에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10)의 배터리 팩(battery pack)을 충전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충전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단말기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lied power is stabilized,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power of the PC 30 to the terminal 20 to the voltage change unit 15. After performing the process of charging the battery pack (battery pack) of the terminal 10, the power supply to the terminal is stopped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본 고안에 개시된 도 2의 도면상에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18)와 스피커 장치(11)를 포함하는 이어잭(13)[마이크로폰(12)포함]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선택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포트(19)에 함께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the ear jack 13 (including the microphone 12) including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18 and the speaker device 11 is separately illustrated on the drawings of FIG. 2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connector port 19 is selectively shown. ) Can be included together.
본 고안에 따른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는 단말기를 위한 충전 기능 및 데이터 전송 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가의 데이터 전송용 또는 충전용 케이블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Ear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has a charging function and a data transmission function for the terminal does not need to purchase expensive data transmission or charging cable,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y to us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0816U KR200364500Y1 (en) | 2004-07-21 | 2004-07-21 |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0816U KR200364500Y1 (en) | 2004-07-21 | 2004-07-21 |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4500Y1 true KR200364500Y1 (en) | 2004-10-19 |
Family
ID=4943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0816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4500Y1 (en) | 2004-07-21 | 2004-07-21 |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450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948B1 (en) | 2005-12-07 | 2007-07-20 | 주식회사 큐세미 | Versatile Bluetooth Headset Device |
KR100782929B1 (en) | 2005-09-23 | 2007-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function bluetooth headset |
-
2004
- 2004-07-21 KR KR20-2004-0020816U patent/KR20036450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929B1 (en) | 2005-09-23 | 2007-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ultifunction bluetooth headset |
KR100740948B1 (en) | 2005-12-07 | 2007-07-20 | 주식회사 큐세미 | Versatile Bluetooth Headse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30654B2 (en) |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82929B1 (en) | Multifunction bluetooth headset | |
US20070232233A1 (en) | Wireless handset with bluetooth remote control and dialing functionality on voip software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web phone | |
KR100764869B1 (en) | Network walkman | |
US20070026908A1 (en) |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 |
KR200364500Y1 (en) |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CN204836485U (en) | Blue -tooth earphone | |
KR20090008572A (en) | Hybrid bluetooth headset | |
KR100651204B1 (en) | Interface device and method with extern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 |
KR101139647B1 (en) | Apparatus For Multiple Interfa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203813936U (en) | Audio transmission equipment | |
JP2006041787A (en) | Headset unit for radio communication | |
CN221829062U (en) | Bluetooth earphone | |
CN105530559A (en) | Bluetooth earphone | |
KR200356181Y1 (en) | Compatible multi-functional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 |
KR20050014251A (en) | Earphone with extended memory and device extending memory having the same | |
KR200400196Y1 (en) | Earphone apparatus with memory expansion module using USB port for data linking | |
KR20040103201A (en) | Multi-function interface apparatus and telecommunication method using it | |
KR100698321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120303A (en) | Connecting device between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 |
CN203773943U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Bluetooth-enabled speaker | |
CN211019167U (en) | Bluetooth headset and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thereof | |
KR200385662Y1 (en) | Connector attached bluetooth wireless earphone | |
KR200368159Y1 (en) | Earphone device having a memory | |
KR200292416Y1 (en) | Exterior Controller for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72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4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7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0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