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948A - 플래튼판 및 액체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튼판 및 액체 토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6948A KR20060026948A KR1020067000110A KR20067000110A KR20060026948A KR 20060026948 A KR20060026948 A KR 20060026948A KR 1020067000110 A KR1020067000110 A KR 1020067000110A KR 20067000110 A KR20067000110 A KR 20067000110A KR 20060026948 A KR20060026948 A KR 20060026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rib
- liquid
- ink
- recording pa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액체 토출 헤드의 하면의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의 토출 대상물을 지지하는 플래튼판에 있어서, 토출 대상물의 평탄성을 확보하여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하는 동시에, 그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튼판이다. 바닥면부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기록지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록지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를 갖는 플래튼이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기록지의 이면을 리브 정상면에서 지지하여 기록지와 잉크 토출면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도록 형성되고,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리브 정상면이 기록지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또는 리브 자체가 결락되어 형성된 것이다.
플래튼판, 리브 정상면, 잉크 토출면, 기록지, 잉크 흡수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 토출 헤드의 하면의 액체 토출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토출면의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의 토출 대상물을 지지하는 플래튼판 및 그것을 이용한 액체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체 토출 헤드의 액실 내의 액체를 가열하여 액체 토출 노즐로부터 액적을 토출하는 액체 토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 등의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의 하면의 잉크 토출면에 배열된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프린트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프린트 헤드의 잉크 토출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플래튼판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플래튼판은, 잉크젯 프린터에 내장된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를 이면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토출 대상물로서의 기록지와 잉크 토출면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는 부재이며, 예를 들어 판형의 형상을 갖고, 그 상면측에는 기록지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리브(플래튼 리브)가 기록지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플래튼판을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는, 플래튼판의 리브 정상면에서 지지된 기록지를 반송 수단으로 반송하여, 이 기록지의 표면에 대해 프린트 헤드의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기록지의 상하 좌우의 여백을 제로로 하여 인쇄하는, 소위 테두리 없음 인쇄를 행하는 경우나, 용지 사이즈의 설정을 잘못해서 설정 사이즈보다도 작은 기록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기록지의 주변 단부를 넘어 여분의 잉크 방울이 토출되므로, 플래튼판의 리브에 잉크가 부착하여 더러워지는 경우가 있고, 이 플래튼 리브에 부착된 잉크가, 인쇄시에 기록지의 이면을 오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기록지의 이면의 오손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플래튼판의 리브에 잉크 방울이 부착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어,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플래튼판으로서,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에, 토출된 잉크 방울을 받기 위한 오목부(잉크 받이)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8058호 공보(제3 내지 4 페이지, 도2, 도3)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821호 공보(제4 내지 5 페이지, 도1, 도2) 참조].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1805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82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소위 시리얼형의 프린트 헤드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된 것이며, 다수개의 노즐의 열이 기록지의 전체폭에 대응하여 배열된 라인형의 프린트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즉, 시리얼형의 프린트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기록지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프린트 헤드를 기록지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일정 영역의 화상이 형성된 후 기록지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여 정지하고, 그 상태에서 다음의 영역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잉크 토출면의 하방에 있어서의 기록지의 평탄성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라인형의 프린트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기록지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동시에, 기록지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잉크 토출면의 하방으로 반송된 기록지가 평탄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절한 화상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방향을 가변 제어하는 토출 방향 편향 수단을 구비한 프린트 헤드의 경우에는, 잉크 방울의 착탄 위치를 기록지의 폭 방향으로 편향시켜 토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잉크 토출면의 하방으로 반송된 기록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처하여, 액체 토출 헤드의 액체 토출면의 하방으로 반송된 토출 대상물의 평탄성을 확보하여 적절한 액체 토출이 행해지는 동시에, 토출 대상물의 이면의 오손이 방지되는 플래튼판 및 그것을 이용한 액체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하였다. 플래튼판의 바닥면부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토출 대상물의 이면을 지지하여 토출 대상물과 액체 토출면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고,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리브 정상면이 토출 대상물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래튼판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액체 토출 헤드의 액체 토출면의 하방으로 반송된 토출 대상물의 평탄성이 확보되고, 토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액체 토출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토출 대상물의 단부를 넘어 토출된 잉크에 의해 리브 정상면이 오손되는 일이 없어져, 토출 대상물의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그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를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됨으로써,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가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되게 된다. 따라서, 토출 대상물의 주변 단부를 넘어서 토출된 액체가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에 토출되어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가 휘어 하방으로 움푹해졌을 때에도, 토출 대상물을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하여 종이 걸림을 방지하여, 그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인접하는 열에 있어서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리브 정상면이 다른 리브의 리브 정상면에 대해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열됨으로써, 이 복수의 리브로 토출 대상물이 지지되고,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토출 대상물이 휘어 액체 토출면과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 대상물에 대해 적절한 액체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각 리브의 열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가 확보되므로, 플래튼판을 성형할 때에 이용하는 금형이 견고해진다.
게다가 또한,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는, 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 상기 액적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재를 구비함으로써, 액체 토출 헤드의 각 노즐로부터 기세 좋게 토출된 액적의 튀어 오름 비말을 줄일 수 있어, 토출 대상물의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한 액적을 액체 흡수재에 흡수함으로써, 액적이 어느 정도 모였다 해도, 그 액체가 진동에 의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는,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완전한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어, 토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액체 토출 장치에 장착된 액체 토출 헤드의 하면의 액체 토출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플래튼판을, 전술한 플래튼판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래튼판의 바닥면부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토출 대상물의 이면을 지지하여 토출 대상물과 액체 토출면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고,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리브 정상면이 토출 대상물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래튼판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액체 토출 헤드의 액체 토출면의 하방으로 반송된 토출 대상물의 평탄성이 확보되고, 토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액체 토출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토출 대상물의 단부를 넘어 토출된 잉크로 리브 정상면이 오손되는 일이 없어져, 토출 대상물의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가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되게 되어, 토출 대상물의 주변 단부를 넘어서 토출된 액체가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에 토출되어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가 휘어 하방으로 움푹해졌을 때에도, 토출 대상물을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하여 종이 걸림을 방지하여, 그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로 토출 대상물이 지지되고,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토출 대상물이 휘어 액체 토출면과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 대상물에 대해 적절한 액체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각 리브의 열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가 확보되므로, 플래튼판을 성형할 때에 이용하는 금형이 견고해진다.
게다가 또한, 액체 토출 헤드의 각 노즐로부터 기세 좋게 토출된 액적의 튀어 오름 비말을 줄일 수 있어, 토출 대상물의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한 액적을 액체 흡수재에 흡수함으로써, 액적이 어느 정도 모였다 해도, 그 액체가 진동에 의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완전한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어, 토출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토출 헤드에 대한 토출 대상물의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으로 토출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가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반송 수단을 갖고, 상기 액체 토출 헤드로부터 소정의 액체가 토출되는 영역 내에서는, 상기 반송 수단의 반송 벨트를 상기 액체 토출 헤드에 대해 상기 플래튼판보다도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액체 토출 헤드로부터 소정의 액체가 토출되는 영역 내에서 토출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가 액체 토출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소정의 액체로 오염되는 것을 간이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반송 벨트가 액체 토출 헤드에 대해 플래튼판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반송 벨트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경로 변경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경로 변경 수단으로 반송 벨트의 경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튼판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1a는 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1b는 도1a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1c는 도1a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상기 플래튼판에 배열된 리브의 정상면을 기록지가 반송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상기 플래튼판의 리브의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상기 플래튼판의 리브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출 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배치된 상부 덮개를 개방하여 수납부 내에 헤드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상기 액체 토출 장치에 있어서의 헤드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8은, 도5에 도시한 프린터 본체부의 외커버를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한 헤드 캡 개폐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10a 내지 도10e는, 상기 헤드 캡 개폐 기구에 의해 헤드 캡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은, 도5에 도시한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헤드 카트리지가 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정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상기 헤드 카트리지의 잉크 토출면을 밀폐 보호하고 있던 헤드 캡이 캡 퇴피 위치까지 퇴피하여 인화 동작이 가능해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유지 보수시에 프린터 본체부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는, 상기 플래튼판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단면 직선 형상의 경사면이 상류측 단부에 형성된 리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상기 플래튼판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단면 곡선 형상의 곡면이 상류측 단부에 형성된 리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6은, 상기 플래튼판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절결이 없고, 연속된 물결 형상의 정상면을 갖는 리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상기 플래튼판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리브의 다른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상기 플래튼판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기록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리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벨트 반송 수단 및 플래튼판의 세부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20은, 플래튼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래튼판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1a는 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1b는 도1a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1c는 도1a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플래튼판(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의 잉크 토출면(22)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잉크 토출면(22)에 배열된 각 잉크 토출 노즐(23)(23k, 23c, 23m, 23y)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기록지(51)를 이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재이며, 토출 대상물로서의 기록지(51)의 단부를 넘어 토출된 여분의 잉크 방울을 받아 저류하는 잉크 저장조로서의 기능도 하고 있다.
이 플래튼판(1)은,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의 전체폭 방향에 대응한 폭으로 주위에 수직 상승 부재를 갖는 가늘고 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체가 ABS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래튼판(1)에 있어서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는 돌출부(1a)가 설치되고, 기록지(51)의 반송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토출된 잉크 방울을 충분히 저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래튼판(1)은,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바닥면부(1b)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2 내지 6)가,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래튼판(1)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있다.
이 리브(2 내지 6)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51)의 이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제1 리브(2) 내지 제5 리브(6)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리브 정상면(2a) 내지 리브 정상면(6a)이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고, 상기 잉크 토출면(22)의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기록지(51)의 이면을 리브 정상면(2a 내지 6a)으로 지지하여 기록지(51)와 잉크 토출면(22)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도록 형성되고,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리브 자체가 결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판(1)에 상기한 바와 같이 배열된 복수의 리브(2 내지 6)에 의해,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되는 영역 외에서 기록지(51)의 이면을 지지하여 기록지(51)와 잉크 토출면(22)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고,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리브(2 내지 6)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리브 정상면이 기록지(51)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래튼판(1)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2 내지 6)에 의해,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의 하방으로 반송된 기록지(51)의 평탄성이 확보되어, 기록지(51)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지(51)의 주변 단부를 넘어서 토출된 잉크로 리브(2 내지 6)의 정상면이 오손되는 일이 없어져, 기록지(51)의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은,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의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는 리브 자체가 결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영역 내에도 리브(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그 리브 정상면을 기록지(51)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리브(2 내지 6)는,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그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기록지(51)의 선단부를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브(3)의 상류측 단부에는, 크게 모따기된 경사면(3b)이 형성되어 있고,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기록지(51)의 선단부를 리브 정상면(3a)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늘어져 반송되어 온 기록지(51)의 선단부를 상기 리브(3)의 경사면(3b)에서 정상면(3a)으로 유도하여, 종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테두리 없음 인쇄를 행할 때에 있어서는, 기록지(51)의 선단부에 잉크 방울이 토출되었을 때에, 기록지(51)의 선단부가 휘어 하방을 향해 움푹해지기 쉽지만, 제2 리브(3)의 상류측 단부에 경사면(3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록지(51)의 선단부를 상기 리브(3)의 경사면(3b)에서 정상면(3a)으로 유도하여, 종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3 리브(4) 내지 제5 리브(6)에 있어서도,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리브(3)의 정상면(3a)을 통과한 기록지(51)가 다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반송될 때에, 제2 리브(3)와 제3 리브(4) 사이에 기록지(51)의 선단부가 하부 방향으로 늘어져 진입해 와도, 기록지(51)가 제3 리브(4)의 상류측 단부에 걸리는 일 없이 리브 정상면(4a)으로 유도되고, 다음의 제4 리브(5) 및 제5 리브(6)로 기록지(51)를 차례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지(51)를 리브 정상면(2a 내지 6a)에서 지지하여 잉크 토출면(22)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리브(2) 내지 제4 리브(5)의 하류측 단부에도, 상술과 같은 경사면(2c 내지 5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시 생략하였지만, 기록지(51)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그 반송 방향의 선단부가 각 리브(2 내지 5)의 하류측 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지(51)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종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리브(2 내지 6)의 상류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된 기록지(51)의 종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다른 구체적인 형태 형상에 대해서는, 도14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또한,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튼판(1)의 복수의 리브(2 내지 6)는, 인접하는 열에 있어서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리브 정상면이 다른 리브의 리브 정상면에 대해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3 리브(4)의 열은, 그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열된 제2 리브(3)의 열 및 제4 리브 (5)의 열에 대해, 각각 화살표 C로 나타내는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록지(51)는, 상술한 배열의 리브(2 내지 6)로 지지되므로,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성이 확보된다. 그로 인해, 기록지(51)가 휘어 잉크 토출면(22)과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록지(51)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래튼판(1)의 리브(2 내지 6)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한 경우에는, 각 리브의 열 사이에 있어서의 거리가 확보되므로, 상기 플래튼판(1)을 성형할 때에 이용하는 금형이 견고해지는 장점도 있다.
또, 상기 리브(2 내지 6)의 배열은, 도1a 내지 도1c에 도시하는 데 한정되지 않고, 기록지(5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다른 구체적인 배열에 대해서는,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래튼판(1)은 잉크 토출면(22)의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 잉크 흡수재(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잉크 흡수재(7)는,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재가 되는 것으로, 스폰지 등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테두리 없음 인쇄를 행할 때에 기록지(51)의 주변 단부를 넘어 토출된 잉크 방울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기세 좋게 토출된 잉크 방울의 튀어 오름 비말을 줄일 수 있어, 기록지(51)의 이면의 오손 방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잉크 흡수재(7)를 구비함으로써, 어느 정도 잉크액이 모였다고 해도, 진동에 의해 잉크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래튼판(1)은, 유지 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잉크로 더러워졌을 때는 제거하여 간단히 청소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체 토출 장치의 일예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잉크젯 프린터(11)는, 기록지의 소정 위치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프린터 본체부(12)와, 헤드 카트리지(13)(도6 참조)와, 기록지 트레이(14)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본체부(12)는, 기록지 트레이(14) 내에 수납된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나, 기록지에 대해 적절히 인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전기 회로부를 내부에 수납한 것으로, 그 전방면 하부에 설치된 트레이 삽입구(15)에 기록지 트레이(14)가 착탈 가능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 이 트레이 삽입구(15)는 기록지의 배지구도 겸하고 있고, 프린터 본체부(12) 내에서 인화된 기록지는, 기록지 트레이(14)의 상면의 배지 받침부(14a) 상에 배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방면 상부에는, 잉크젯 프린터(11)의 전체 동작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표시부)(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본체부(12)의 상면측에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덮개(17)가 부착되어 있고, 이 상부 덮개(17)를 개방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상면측에 헤드 카트리지(13)를 수납하는 수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수납부(18)는 화살표 Z 방향으로 내려진 헤드 카트리지(13)를 수납하여, 착탈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헤드 카트리 지(13)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4색의 잉크 탱크(19)를 구비한 프린트 헤드(20)와, 이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측에 장착된 헤드 캡(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린트 헤드(20)는 풀 라인형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그 하면의 잉크 토출면에 잉크 토출 노즐열이 기록지(예를 들어 A4판)의 전체폭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고, 프린터 본체부(12)의 수납부(18)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기록지 상에 잉크를 토출하여 필요 폭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7은, 상기 헤드 카트리지(13)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잉크 탱크(19)는, 잉크(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 용기가 되는 것으로, Y, M, C, K의 4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4개의 탱크(19y, 19m, 19c, 19k)가 착탈 가능하게 세트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20)는, 잉크 탱크(19y, 19m, 19c, 19k)로부터 잉크의 공급을 받아 잉크를 토출하는 액체 토출 헤드가 되는 것으로, 그 하면의 잉크 토출면(22)에는 Y, M, C, K의 4색의 잉크 토출 노즐(액체 토출 노즐)(23)의 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측에는, 헤드 캡(21)이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헤드 캡(21)은,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을 보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방에 수직 상승 부재를 갖는 가늘고 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잉크 토출면(22)을 이동하면서 증점 부착된 잉크의 찌꺼기를 와이핑하는 클리닝 롤러(클리닝 부재)(24), 및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공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는 폐액 수용부(25)를 갖고 있다. 또, 클리닝 롤러(24)는 탄성력을 갖는 동시에 흡습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폐액 수용부(25)는, 흡습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호 26은, 헤드 캡(21) 내에서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노즐 밀봉 부재를 나타내고 있고, 평소의 비인쇄시에는 헤드 캡(21)에 의해 잉크 토출 노즐(23)은 밀폐 보호되어, 잉크가 마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헤드 캡(21)의 이동 구조를, 도8 및 도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도6에 도시한 프린터 본체부(12)의 외커버를 제거하여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9는, 헤드 캡 개폐 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에 있어서, 프린터 본체부(12)에 대해 헤드 카트리지(13)를 화살표 Z 방향으로 내려 수납부(18)에 수납한 후, 헤드 착탈 기구(27)를 약 90도 전방측으로 쓰러뜨려, 헤드 카트리지(13)를 프린터 본체부(12)에 고정한다. 이 때, 도7에 도시하는 헤드 캡(21)이, 도8에 도시하는 헤드 캡 개폐 기구(28)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9는, 도8에 도시한 헤드 캡 개폐 기구(28)의 상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우선, 도7에 도시한 클리닝 롤러(24)가 부착된 헤드 캡(21)은,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변부에 직선 형상의 래크(29)가 형성된 이동용 래크판(40)에 연결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이동용 래크판(40)은, 헤드 캡(21)을 화살표 D, E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동용 래크판(40)의 내측 측면의 상부 양단부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 핀(41a, 41b)을, 프린터 본체부(12)의 한쪽 외측판(42)에 형성된 직선 형상의 이동 가이드 홈(43)에 결합시켜, 하변부에 형성된 래크(29)를, 상기 한쪽 외측판(42)에 부착된 이동용 모터(44)의 회전축 상의 웜 기어(45)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온(30)에 맞물리게 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헤드 캡(21)의 한쪽 외측면에는, 이동용 래크판(40)측을 향해 전후 2개의 캡 가이드 핀(46a, 46b)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본체부(12)의 한쪽 외측판(42)의 중간부에는, 헤드 캡(21)의 이동 궤적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 형상으로 만곡된 2개의 캡 가이드 홈(47, 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캡(21)의 전후 2개의 캡 가이드 핀(46a, 46b)은, 각각 프린터 본체부(12)의 외측판(42)의 캡 가이드 홈(47, 48)에 결합되고, 또한 전방부의 캡 가이드 핀(46a)만은 상기 이동용 래크판(40)의 전단부에 세로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49)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구에 의해, 상기 이동용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웜 기어(45)를 거쳐서 피니온(30)이 화살표 F, G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래크(29)에 의해 이동용 래크판(40)이 화살표 D, E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헤드 캡(21)의 전방부의 캡 가이드 핀(46a)이 이동용 래크판(40)의 전단부의 가이드 홈(49)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상기 헤드 캡(21)은 이동용 래크판(40)과 함께 화살표 D, E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 때의 헤드 캡(21)의 이동 궤적은, 전후 2개의 캡 가이드 핀(46a, 46b)이 결합하는 캡 가이드 홈(47, 48)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 캡 개폐 기구(28)에 의해 헤드 캡(21)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 동작에 대해, 도10a 내지 도10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0a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헤드 캡(21)이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에 대해 폐쇄된 위치에 있고, 잉크 토출면(22)의 Y, M, C, K의 4색 잉크 토 출 노즐(23)이 노즐 밀봉 부재(26)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프린터 기동시 또는 인화 개시시 또는 사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프린터 본체부(12)에 캡 개방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도9에 도시하는 이동용 모터(44)가 회전 구동되어, 도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캡(21)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헤드 캡(21)의 이동에 수반하여, 예를 들어 스폰지로 된 클리닝 롤러(24)가 잉크 토출면(22)을 마찰시키면서 순차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이 회전 이동시에, Y, M, C, K의 4색의 잉크 토출 노즐(23) 내에 고화하여 증점한 잉크의 찌꺼기를, 클리닝 롤러(24)로 닦아낼 수 있다.
또한, 도시 생략된 광학식 또는 기계식 등의 센서에 의해, 예를 들어 스폰지로 된 폐액 수용부(25)(도7 참조)가 클리닝 롤러(24)로 잉크의 찌꺼기를 닦아낸 후에 잉크 토출 노즐(23)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면, 그 잉크 토출 노즐(23)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잉크의 공 토출이 행해진다. 도10b에서는, Y색의 잉크 토출 노즐(23)에 대해 클리닝 롤러(24)로 잉크의 찌꺼기를 닦아낸 후에, 그 Y색의 잉크 토출 노즐(23)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폐액 수용부(25)에 대해 잉크를 공 토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0c에서는, K색의 잉크 토출 노즐(23)에 대해 클리닝 롤러(24)로 잉크의 찌꺼기를 닦아낸 후에, 그 K색의 잉크 토출 노즐(23)의 바로 아래에 도달한 상기 폐액 수용부(25)에 대해 잉크를 공 토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Y, M, C, K의 4색의 잉크 토출 노즐(23)의 전체부에 대해, 클리닝 롤러(24)에 의한 와이프와 잉크의 공 토출이 종료된 상태에서, 도10d에 도 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21)은 화살표 D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하여 헤드 캡 퇴피 위치에 계류된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 본체부(12) 및 헤드 카트리지(13)는 인화 가능해진다.
소정의 인화가 종료되면, 프린터 본체부(12)에 캡 폐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어, 도9에 도시하는 이동용 모터(44)가 역회전되어, 도10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21)이 상기 헤드 캡 퇴피 위치로부터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왕로와 같은 궤적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 동작한다. 이 귀로에 있어서는, 클리닝 롤러(24)는 잉크 토출 노즐(23)의 와이핑을 하지 않고, 잉크의 공 토출도 하지 않는다. 클리닝 롤러(24)의 수명을 길게 하여, 부품 교환 시기를 늦추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헤드 캡(21)이 화살표 E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한 결과, 도10a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도11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11)의 내부 구조의 구체적인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헤드 카트리지(13)가 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정지 상태를 도시한다. 도12는,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을 밀폐 보호하고 있던 헤드 캡(21)이 캡 퇴피 위치까지 퇴피하여, 인화 동작이 가능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잉크젯 프린터(l1)는,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방면 하부에 설치된 트레이 삽입구(15)에 장착된 기록지 트레이(14)의 삽입 방향 선단부의 상부에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급지 수단(50)이 마련되어 있고, 기록지 트레이(14)에 수납된 기록지(51)를 수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지(51)의 공급 방향에는, 대향하는 두 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분리 수단(52)이 마련되어 있고, 겹쳐서 수납된 기록지(51)를 1매씩 분리하여 급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 수단(52)에 의해 분리된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전방에서 프린터 본체부(12)의 상방 부위에는,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을 반전하는 반전 롤러(5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전 롤러(53)에서 반전된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전방에는 벨트 반송 수단(54)과, 상술한 플래튼판(1)이 설치되어 있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화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벨트 반송 수단(54)의 선단부(55)가 화살표 H 방향으로 내려가, 프린트 헤드(20)의 하면과의 사이에 큰 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12에 나타내는 인화 동작 상태에 있어서는, 벨트 반송 수단(54)의 선단부(55)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상승하여 수평 상태가 되고, 프린트 헤드(20)의 하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작은 갭의 기록지 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화 정지 상태에 있어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은 헤드 캡(21)으로 폐쇄되어 있고, 잉크 토출 노즐(23)의 잉크가 건조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헤드 캡(21)에는, 클리닝 롤러(24)가 설치되어 있고, 인화 동작 개시 전에 헤드 캡(21)이 소정의 캡 퇴피 위치(도12 참조)에 퇴피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잉크 토출 노즐(23)을 클리닝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잉크젯 프린터(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상면의 상부 덮개(17)를 개방하여 프린트 헤드(20)를 수납부(18) 내에 화살표 Z 방향으로 내려 수납한다. 또한,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방면 하부에 설치된 트레이 삽입구(15)에 기록지 트레이 (14)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 때,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부(12)의 내부는, 벨트 반송 수단(54)의 선단부(55)가 화살표 H 방향으로 내려가 있고,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이 헤드 캡(21)으로 폐쇄되어 인화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인화 개시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헤드 캡(21)이 도11의 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헤드 캡 퇴피 위치로 퇴피한다. 이 때, 도10a 내지 도10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캡(21)의 퇴피 동작에 수반하여, 클리닝 롤러(24)가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의 표면을 미끄럼 이동하여 잉크 토출 노즐(23)을 클리닝한다.
또한, 이 헤드 캡(21)이 소정의 헤드 캡 퇴피 위치에 퇴피하면, 벨트 반송 수단(54)의 선단부(55)가 도11 중 화살표 I 방향으로 상승하여,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상태에서 벨트 반송 수단(54)과 프린트 헤드(20) 사이에 소정의 작은 갭의 기록지 통로를 형성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도12에 나타내는 인화 동작 상태에 있어서, 급지 수단(50)이 구동하여, 기록지 트레이(14)에 겹쳐서 수납된 기록지(51)가 화살표 K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 때, 분리 수단(52)에 의해 기록지(51)는 1매씩 분리되어 화살표 L 방향으로 수시로 급지된다.
이 급지된 기록지(51)는, 반전 롤러(53)에 의해 반송 방향이 반전되어 벨트 반송 수단(54)까지 이송된다. 그리고, 기록지(51)는 벨트 반송 수단(54)에 의해 프린트 헤드(20)의 하방부까지 운반되어 간다.
또한, 기록지(51)가, 프린트 헤드(20)의 하방부에 도달하면, 인화 신호가 입 력되어, 상기 인화 신호에 따라서 프린트 헤드(20)의 소정의 발열 저항 소자가 구동된다. 그리고, 일정 속도로 이송되는 기록지(51)에 대해, 4색의 잉크에 대응하는 잉크 토출 노즐(23)의 열로부터 잉크 방울이 토출되어, 기록지(51) 상에 컬러의 프린트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11)에 있어서는,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의 잉크 토출면(22)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술한 플래튼판(1)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플래튼판(1)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각 잉크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기록지(51)의 이면을 지지하여 기록지(51)와 잉크 토출면(22)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고, 잉크 토출면(22)으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리브 정상면이 기록지(51)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래튼판(1)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잉크 토출면(22)의 하방으로 반송된 기록지(51)의 평탄성이 확보되어, 기록지(51)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테두리 없음 인쇄를 행할 때에, 기록지(51)의 주변 단부를 넘어서 토출된 잉크에 의해 리브 정상면이 오손되는 일이 없어져, 기록지(51)의 이면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지(51)에의 인화가 모두 종료하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51)는 프린트 헤드(20)의 하방부로부터 화살표 M 방향으로 반송되어, 배지구를 겸한 트레이 삽입구(15)로부터 기록지 트레이(14)의 상면의 배지 받침부(14a)에 배지된다. 그리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반송 수단(54)의 선단 부(55)가 화살표 H 방향으로 내려가, 헤드 캡(21)이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을 폐쇄하여 인화 정지 상태로 복귀하고, 잉크젯 프린터(11)의 동작이 정지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잉크젯 프린터(11)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보수시에 프린터 본체부(12)를 개방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용지 걸림 등에 대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벨트 반송 수단(54)은, 2개의 메인 풀리(56a, 56b) 사이에 반송 벨트(57)가 권취되어 있고, 도중에 상기 반송 벨트(57)의 긴장 정도를 조정하는 텐션 롤러(58)가 배치되고, 또한 프린트 헤드(20)에 대한 기록지(51)의 공급측에 안내판과 핀치 롤러(60)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기록지(51)의 배출측에는 가압 롤러(61)가 배치되어, 소정의 반송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반송 수단(54) 및 플래튼판(1)의 세부의 부착 구조에 대해,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벨트 반송 수단(54) 및 플래튼판(1)은, 도11 내지 도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래튼판(1)이 프린트 헤드(20)의 잉크 토출면(22)(도7 참조)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20)에 대해 하강, 또는 상승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우선, 벨트 반송 수단(54)은, 2개의 메인 풀리(56a, 56b) 사이에 반송 벨트(57)가 권취되어 있고, 도중에 상기 반송 벨트(57)의 긴장 정도를 조정하는 텐션 롤러(58)가 배치되고, 또한 프린트 헤드(20)에 대한 기록지(51)의 공급측에 안내판(59)과 핀치 롤러(60)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기록지(51)의 배출측에는 가압 롤러(61)가 배치되어, 소정의 반송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메인 풀리(56a)와 제2 메인 풀리(56b)로 소정의 반송 경로의 양단부를 이루고 있고, 제1 메인 풀리(56a)의 메인 샤프트(62)에 도시 생략한 구동 수단으로 서의 모터의 회전이 기어를 거쳐서 전달되어, 제1 메인 풀리(56a)가 구동측이 되고 제2 메인 풀리(56b)가 종동측이 되어 반송 벨트(57)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반송 벨트(57)는, 기어 부착 전동 벨트인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고, 평기어, 헬리컬 기어 또는 베벨 기어 등의 기어가 부착되어, 미끄러짐이 없고 소음도 적은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핀치 롤러(60)와 가압 롤러(61)는, 상기 반송 벨트(57)의 회전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핀치 롤러(60)는, 안내판(59)에 대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되어 있고,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51)를 반송 벨트(57)와의 사이에 협입하여 프린트 헤드(20)의 하방 위치에 화살표 M 방향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압 롤러(61)는, 제2 메인 풀리(56b)에 대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되어 있고, 프린트 헤드(20)의 위치로부터 하류측으로 송출된 기록지(51)를 반송 벨트(57) 사이에 협입하여 인출하고, 배지구까지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프린트 헤드(20)로부터 잉크가 토출되는 영역 내에서는, 벨트 반송 수단(54)의 반송 벨트(57)가 프린트 헤드(20)에 대해 플래튼판(1)보다도 후방(도19에 있어서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 벨트(57)가 프린트 헤드(20)에 대해 플래튼판(1)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반송 벨트(57)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경로 변경 수단[제1 가이드 롤러(63a) 및 제1 가이드판(64a) ; 제2 가이드 롤러(63b) 및 제2 가이드판(64b)]이 마련되어 있다.
즉,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튼판(1)이 상기 벨트 반송 수단(54)을 지 지하는 가대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하방 위치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57)의 반송 경로 상에서, 플래튼판(1)에 대한 기록지(51)의 공급측 단부의 근방에 제1 가이드 롤러(63a) 및 제1 가이드판(64a)이 설치되고, 플래튼판(1)으로부터의 기록지(51)의 배출측 단부의 근방에 제2 가이드 롤러(63b) 및 제2 가이드판(6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63a) 및 제1 가이드판(64a)의 안내에 의해, 플래튼판(1)에 대한 기록지(51)의 공급측 단부의 전방에 있어서 반송 벨트(57)의 경로를 플래튼판(1)의 후방(하방측)에 잠입시켜 변경하고, 제2 가이드 롤러(63b) 및 제2 가이드판(64b)의 안내에 의해, 플래튼판(1)으로부터의 기록지(51)의 배출측 단부보다 후방에 있어서 반송 벨트(57)의 경로를 플래튼판(1)의 상면 위치에 부상하도록 변경하고 있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20)로부터 잉크가 토출되는 영역 내에서는, 반송 벨트(57)는 프린트 헤드(20)에 대해 플래튼판(1)보다도 후방(하방측)에 잠입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프린트 헤드(20)로부터 토출된 잉크가 반송 벨트(57)에 부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 벨트(57)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51)의 반송 방향(M)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도20은, 플래튼판(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면의 좌측이 제1 가이드 롤러(63a)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고, 도면의 우측이 제2 가이드 롤러(63b)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 하여, 상기 플래튼판(1)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가는 폭의 4개의 반송 벨트(57a, 57b, 57c, 57d)가 권취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반송 벨트(57)는 4개 권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개수를 설치해도 좋다. 또, 가는 폭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지(51)의 종이 폭과 동등 또는 그보다 넓은 폭의 1개의 폭 넓은 벨트를 설치해도 좋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의 바닥면부(1b)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브(3 내지 5)는,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단면 직선 형상으로 단부면 처리가 된 경사면(3d 내지 5d)이 형성되어 있고, 기록지(51)를 지지하는 정상면은 존재하지 않고, 하류 단부의 정상변에서 기록지(5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각 리브(3 내지 5)의 하류 단부의 정상변이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의 바닥면부(1b)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리브(3 내지 5)는,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단면 곡선 형상(1/4 원호)으로 단부면 처리가 된 곡면(3e 내지 5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2 및 도3에 도시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의 바닥면부(1b)로부터 수직 설치된 리브(8)에 절결이 없고, 연속된 물결 형상의 정상면을 갖게 되어 있고, 잉크 방울이 부착되는 영역의 정상면은 기록지(51)에 접촉하지 않도록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2 및 도3에 도시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의 리브(3 내지 6)는, 예를 들어 제2 리브(3)의 열과, 제3 리브(4)의 열과, 제4 리브(5)의 열은, 각각 화살표 C에 나타내는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고, 제5 리브(6)의 열이 상기 제2 리브(3)의 열과 기록지(5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록지(51)는, 상술한 배열의 리브(3 내지 6)로 지지되므로,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탄성을 확보하여 기록지(51)의 표면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의 리브(3' 내지 5')는, 기록지(51)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전체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리브(3' 내지 5')에 의해 기록지(51)가 지지되므로, 기록지(5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완전한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기록지(51)에 대해 적절한 잉크 토출을 행할 수 있다. 또, 도18에 있어서는, 플래튼판(1)의 리브(3' 내지 5')는, 기록지(51)의 전체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브(3' 내지 5')가 기록지(51)의 전체폭보다 짧은 폭이 되고, 그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만큼 연속해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된 예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토출 헤드의 액실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토출 노즐로부터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기록 방식이 잉크젯 방식의 팩시밀리 장치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액체 토출 노즐(23)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는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액실 내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것이면, 다른 액체의 토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A 감정 등에 있어서 DNA 함유 용액을 팰릿(pallet) 상에 토출하기 위한 액체 토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 액체 토출 헤드의 하면의 액체 토출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토출면의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의 토출 대상물을 지지하는 플래튼판이며,그 바닥면부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상기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를 갖고,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상기 토출 대상물의 이면을 리브 정상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토출 대상물과 상기 액체 토출면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도록 형성되고,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상기 리브 정상면이 토출 대상물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또는 리브 자체가 결락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그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를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인접하는 열에 있어서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리브 정상면이 다른 리브의 리브 정상면에 대해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 상기 액적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판.
- 액체 토출 헤드의 하면의 액체 토출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플래튼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판으로 토출 대상물을 지지하여 반송하면서, 상기 토출 대상물에 대해 상기 액체 토출면의 각 노즐로부터 액적을 토출하는 액체 토출 장치이며,상기 플래튼판은, 그 바닥면부로부터 수직 설치되어 상기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를 갖고, 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외에서 상기 토출 대상물의 이면을 리브 정상면에서 지지하여 상기 토출 대상물과 상기 액체 토출면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서는 상기 리브 정상면이 토출 대상물의 이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리브 자체가 결락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그 상류측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토출 대상물의 선단부를 리브 정상면으로 유도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인접하는 열에 있어서, 토출 대상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리브 정상면이 다른 리브의 리브 정상면에 대해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는, 상기 각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적이 피착하는 영역 내에, 상기 액적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토출 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토출 헤드에 대한 토출 대상물의 공급측으로부터 배출측으로 토출 대상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가 소정의 경로 상에 배치된 반송 수단을 갖고,상기 액체 토출 헤드로부터 소정의 액체가 토출되는 영역 내에서는, 상기 반 송 수단의 반송 벨트를 상기 액체 토출 헤드에 대해 상기 플래튼판보다도 후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가 액체 토출 헤드에 대해 플래튼판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반송 벨트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경로 변경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91819A JP2005022318A (ja) | 2003-07-04 | 2003-07-04 | プラテン板及び液体吐出装置 |
JPJP-P-2003-00191819 | 2003-07-04 | ||
JPJP-P-2003-00191820 | 2003-07-04 | ||
JP2003191820A JP2005022319A (ja) | 2003-07-04 | 2003-07-04 | 液体吐出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6948A true KR20060026948A (ko) | 2006-03-24 |
Family
ID=3356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0110A Withdrawn KR20060026948A (ko) | 2003-07-04 | 2004-07-02 | 플래튼판 및 액체 토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7416296B2 (ko) |
EP (1) | EP1642734A4 (ko) |
KR (1) | KR20060026948A (ko) |
WO (1) | WO20050028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02935B2 (en) * | 2005-05-25 | 2010-09-28 | Agfa Graphics Nv | Printing table for a flatbed printing machine |
JP4251214B2 (ja) * | 2006-12-28 | 2009-04-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US7946700B2 (en) * | 2007-10-31 | 2011-05-2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inter with print head platen |
JP5794000B2 (ja) | 2011-06-30 | 2015-10-1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液体吐出装置 |
US8474972B2 (en) * | 2011-07-07 | 2013-07-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Rib profile for reduced contact pressure in a printing device |
US9126424B2 (en) * | 2013-01-21 | 2015-09-0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Inkjet printing platen |
CN108139707B (zh) | 2015-09-30 | 2021-10-19 | 兄弟工业株式会社 | 定影装置 |
JP6932982B2 (ja) * | 2017-04-28 | 2021-09-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7447483B2 (ja) * | 2019-12-25 | 2024-03-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39817B1 (en) | 1998-10-20 | 2001-05-29 | Hewlett-Packard Comapny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borderless print image |
JP3904055B2 (ja) * | 1999-04-06 | 2007-04-1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2001030481A (ja) * | 1999-07-27 | 2001-02-06 | Canon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2001071480A (ja) * | 1999-09-08 | 2001-03-21 | Noritsu Koki Co Ltd | プリンタ装置 |
US6644801B2 (en) * | 1999-12-27 | 2003-11-11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JP2002137466A (ja) * | 2000-08-23 | 2002-05-14 | Canon Inc | 記録装置 |
JP2002086821A (ja) * | 2000-09-20 | 2002-03-26 | Seiko Epson Corp | プラテン及び該プラテン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
US6796648B2 (en) * | 2000-12-27 | 2004-09-28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nk jet recording |
JP3728203B2 (ja) * | 2000-12-27 | 2005-12-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4110740B2 (ja) * | 2001-03-13 | 2008-07-0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JP2003053941A (ja) * | 2001-08-10 | 2003-02-26 | Canon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2003096658A (ja) * | 2001-09-25 | 2003-04-03 | Konica Corp | インクジェット捺染装置 |
US6840617B2 (en) * | 2002-04-02 | 2005-01-11 | Lexmark International, Inc. | Mid-frame for an imaging apparatus |
US6908168B2 (en) * | 2002-08-21 | 2005-06-21 | Canon Kabushiki Kaisha | Inkjet printing apparatus, inkjet printing method and program |
US6899421B2 (en) * | 2002-09-05 | 2005-05-31 | Konica Corporation | Plate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that platen |
JP3864421B2 (ja) * | 2003-09-24 | 2006-12-27 |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566653B2 (ja) * | 2004-08-18 | 2010-10-20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
2004
- 2004-07-02 WO PCT/JP2004/009775 patent/WO200500286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07-02 EP EP04747243A patent/EP164273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7-02 US US10/561,697 patent/US741629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02 KR KR1020067000110A patent/KR20060026948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42734A1 (en) | 2006-04-05 |
WO2005002862A1 (ja) | 2005-01-13 |
EP1642734A4 (en) | 2010-09-22 |
US20070109384A1 (en) | 2007-05-17 |
US7416296B2 (en) | 2008-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41795B2 (ja) | 液体噴射装置 | |
EP1493584B1 (en) | maintenance of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 |
US8297733B2 (e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recovery device | |
KR101133889B1 (ko) | 액체 토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5720979B2 (ja) | 回復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8147031B2 (en) | Recording apparatus | |
US877737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080211863A1 (en) | Inkjet recording apparatus | |
KR20060026948A (ko) | 플래튼판 및 액체 토출 장치 | |
US7798601B2 (en) |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the same | |
JP4765969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2005022318A (ja) | プラテン板及び液体吐出装置 | |
JP4186834B2 (ja) |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2008221497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3885776B2 (ja) |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2005022320A (ja) | 液体吐出装置 | |
JP3922222B2 (ja) |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5012765B2 (ja) | ヘッドキャップ | |
JP2010143186A (ja) | 液体吐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5022317A (ja) |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3885775B2 (ja) |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20100073418A1 (en) | Head cap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 |
JP2005022319A (ja) | 液体吐出装置 | |
JP4978613B2 (ja) | ヘッドキャップ | |
JP2007216645A (ja) | 液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1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