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215A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2215A KR20060012215A KR1020040060975A KR20040060975A KR20060012215A KR 20060012215 A KR20060012215 A KR 20060012215A KR 1020040060975 A KR1020040060975 A KR 1020040060975A KR 20040060975 A KR20040060975 A KR 20040060975A KR 20060012215 A KR20060012215 A KR 200600122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mode
- concrete
- fastening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바와 상기 지주바와 거푸집을 고정하는 거푸집용 레모드 및 상기 지주바와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L)간에 개재되는 밀폐부재 및 받침부재로 구성된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거푸집 제작공정을 보다 신속ㆍ정확히 구현 가능하며, 콘크리트 양생단계를 완료한 후, 상기한 구성의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별도의 레모드 시스템 제작공정을 거치지 않고 축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L) 상에 적용 가능하므로, 축조효율 등을 대폭 개선 가능한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mode for the formwor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particular, a formwork for the formwork for fixing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 and the formwork and the sealing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concrete placing object (L) By using the formwork system for formwork,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formwork manufacturing proces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o perform concrete pouring work.After completing the concrete curing step, the formwork system for formwork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easily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deling system for formwor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struction efficiency, because it can be applied onto a concrete placing object L to be built without undergoing a separate remodal system manufacturing process.
거푸집(유로폼), 스펀지, 타설, 콘크리트, 타이바(Tie bar), 타이고정부재Formwork (Eurofoam), Sponge, Placing, Concrete, Tie Bar, Tie Fixtur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ld mode for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의 사용상태예시사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re-mode system for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체결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stening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을 이용한 공정도.Figure 4 is a process chart using the remod system for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major parts of the drawings>
10 : 거푸집 11 : 통공10 formwork 11: through-hole
20 : 타이바(Tie bar) 20: tie bar
21 : 구형 걸림부 30 :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21: spherical locking part 30: the remod system for the formwork
40 : 지주바 41 : 절취부40: holding bar 41: cutout
50 : 거푸집용 레모드 51 : 삽입홈50: mold mode 51: insert groove
52 : 수직패널 53 : 타이바 체결홈52: vertical panel 53: tie bar fastening groove
54 : 베이스패널 55 : 연장부54
56 : 체결공 60 : 밀폐부재56: fastening hole 60: sealing member
70 : 받침부재 80 : 체결부재70: support member 80: fastening member
90 : 타이바고정부재 91 : 고정공90: tie bar fixing member 91: fixing hole
L :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 S :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L: Concrete casting object S: Concrete casting space
본 발명은,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 층간바닥체 등을 구현하기 위한 거푸집의 수평유지, 거푸집의 조립공정이 보다 신속ㆍ정확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단계를 완료한 이후에 축조하고자하는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에 바로 적용 가능하여 축조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거푸집용 레모드 및 이를 적용한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de system for formwor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maintenance of the formwork,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ormwork for implementing the wall, interlayer floor, etc. can be made more quickly, accurately and easily Of cours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crete pouring and curing step,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concrete placing object to be built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formwork remodal system and the method for applying the formwork It is about.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을 축조하는 데에는 콘크리트가 타설공정과, 일정시간동안 경화단계를 거쳐 축조되는 건축물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공정이 가장 보편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As is well known, in order to build a building, concrete is poured most commonly,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a building that is constructed through a curing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거푸집은 축조 대상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그 규격이 다양하게 분화되며, 해당 규격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수직상태로 견고하게 축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면이나 슬래브(slab) 면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야만 한다.The formwork is divided into various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to be built, in order to firmly build the wall of the building vertically by using the formwork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to the floor surface or slab (cured) surface cured with concrete The concrete must be poured while keeping it level.
그러나 콘크리트로 양생되는 바닥면이나 슬래브 면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1mm ~ 3mm의 편차를 가지고 양생되는 바, 건축물의 층고가 2600mm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슬래브의 두께를 150mm하여 시공되어 거푸집의 규격이 600*1200인 것을 2개 상하로 결합하여 벽체의 거푸집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바닥면에서 슬래브가 형성되는 면까지의 높이는 2550mm이므로 건축물의 층고와 대비하여 볼 때 50mm의 편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편차(50± 3mm)에 대하여 종래에는 수평목과 얇은 합판 등을 이용하여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였다.However, the floor or slab surface that is cured with concrete is cured with a deviation of 1mm to 3mm without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When the floor height of a building is 2600mm, it is usually constructed by 150mm thickness of the slab. Even if the standard of 600 * 1200 is combined with two up and down to form the wall formwork, the height from the floor to the surface where the slab is formed is 2550mm, so a deviation of 50mm occurs when compared with the height of the building. For the deviation (50 ± 3mm), the horizontal and the height were conventionally adjusted using a horizontal wood and a thin plywood.
그러나 이상과 같이 수평목과 얇은 합판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수평목의 두께가 고르지 못하거나 또는 바닥면의 편차와 층고의 높이 차이 분에 해당하는 두께의 수평목을 얻을 수 없음으로 인해 수평목을 수평으로 유지하거나 층고의 높이 차이 분에 해당되는 높이 만큼 수평목을 높이기 위해서는 얇은 합판을 수평목의 밑으로 2겹 또는 여러 겹을 겹쳐서 군데 둔데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 수평목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할 경우 수평목 밑에 괴여진 얇은 합판에 의해서 생긴 틈으로 콘크리트가 누출되어 마감상태가 좋지 못하여 별도의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height of the formwork is adjusted and leveled by using horizontal wood and thin plywood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wood of thickness is equivalent to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wood is uneven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floor and the height of the floor. In order to keep the horizontal neck horizontal or raise the horizontal neck by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height, the hassle and work of inserting thin plywood in two or several layers below the horizontal neck There was a difficulty. In addition,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after the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wood installed in the above manner, the concrete leaked into the gap caused by the thin plywood stuck under the horizontal wood, and the finishing condition was not good,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eparate finishing treatment had to be performed. .
특히 목재는 물을 먹으면 뒤틀리는 현상이 있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에 의하여 수평목과 합판은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수평목을 바닥면에 고정할 때 수평목에 망치를 이용하여 못을 박거나 뺄때 수평목이 쪼개어지는 문제점과, 또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 수평목에 콘크리트가 붙어 있어서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한번 사용한 수 평목과 얇은 합판은 폐기 처리되어야만 하였던 바, 건축물 폐자재의 양산에 따른 환경오염을 초래하였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자재의 손실로 인해서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wood is warped when water is eaten, so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horizontal wood and the plywood are warped due to the moisture generated from the concrete com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wood splits when you put or pull out, and also when the concrete is placed on the formwork, the concrete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wood so that it cannot be reused. Therefore, once used horizontal wood and thin plywood had to be disposed of, there was a problem such as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mass production of building waste material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cost is high due to the loss of materials.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6613호”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가 개시된 바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form horizontal adjustment mode"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0326613" has been disclosed.
상기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바닥면 또는 슬래브(slab) 면에 고정되는 고정 수평판 및 고정 수직판으로 형성된‘┗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바닥부재와;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 수평판과 이동 수직판으로 형성된 ‘┏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개략적인 구성을 갖는 바, 보다 상술하면, 상기 바닥부재의 고정 수평판에는 바닥면 또는 슬래브 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못을 박을 수 있는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고정 수평판과 고정 수직판으로 형성된 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삽입부를 형성한 지지대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 양측면에는 보강부재의 결합판과 결합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삽입부 내측으로는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이 형성된 것이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받침 수평판에는 거푸집과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수단을 체결할 수 있는 결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받침 수평판의 내측으로는 바닥부재의 지지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판의 양측면은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을 갖고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과 이동 수직판 사이에는 바닥부재의 고정 수직판에 삽입되어 보강부재가 상하 로 이동할 수 있도록 틈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재의 좌우측면으로는 또 다른 보강부재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는 바,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었다.Looking at the prior art, a bottom member having a '┗' shaped bent portion formed of a fixed horizontal plate and a fixed vertical plat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r slab (slab) surface; Has a schematic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 bent portion of the '┏' shape formed of a supporting horizontal plate and a moving vertical plate to adjust and support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formwork, more specifically, the fixed number of the bottom member The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ich can be nailed to fix the bottom surface or the slab surface, and the inner side of the bent portion formed by the fixed horizontal plate and the fixed vertical plate is composed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are provided, and lo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 corrugation shap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insertion part of the support. In addition, the supporting horizontal plate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fastening the coupling means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formwork,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ing horizontal plate is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upport of the bottom member The plate is provided, but both sides of the coupling plate has a corrugat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coupling by bolts and nuts, between the coupling plate and the moving vertical plate is inserted into the fixed vertical plate of the bottom member to reinforce the member The gap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with a long hole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reinforcing member, it was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and height of the formwork.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그 구성물의 개수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제작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수평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이 다소 복잡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완료한 후 이를 또 다른 콘크리트 타설대상에 적용시키기 위하여는 분해 및 조립작업에 있어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었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s well as the number of its components, as well as a separate manufacturing cost to implement this, as well as the process for performing the horizontal adjustment is made a little more complicated concrete casting and curing After completion, it required a considerable time for disassembly and assembly work to apply it to another concrete placing object.
따라서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용이한 작업성, 작업시간의 단축가능성, 이로 인한 인건비절감효과 등이 가능하며,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지 않아 별도의 마감처리가 요구되지 않어야 하며, 거푸집과 거푸집용 레모드가 설치된 면에 있어서도 마감처리가 깨끗이 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양생한 후에 거푸집용 레모드를 탈거하면 거푸집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어 다른 콘크리트 타설 공정에 그대로 활용될 수 있어 작용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거푸집용 레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출현이 요구되어왔다.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easy workability, shortening of working time, labor cost reduction effect, etc. are possible, and when the concrete is placed in the formwork, the concrete does not leak from the floor, so no separate finishing treatment is required. It should not be used,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inishing treatment is also clean on the surface where formwork and formwork are installed.In particular, if the formwork is removed after curing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using concrete, the formwork is separated smoothly. Since it can be used in other concrete placing process as it is, the emergence of formwork mod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has been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제기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을 보다 신속ㆍ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은 물론, 거푸 집의 수평오차를 보정함과 동시에 상기 거푸집에 의해 생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으로부터 콘크리트의 유출방지를 도모함으로써 마감공정 등의 생략이 가능한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and can be installed more quickly, accurately and easily, as well as correcting the horizontal error of the formwork and generated by the formwork.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work system for formwork and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omit the finishing process by preventing the leakage of concrete from the space to be pla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을 통한 콘크리트 타설공정 및 콘크리트 양생공정을 완료한 후,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을 분리하여 별도의 레모드 시스템의 제작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축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 상에 배치 및 거푸집 체결고정공정 등을 바로 실시할 수 있어 축조효율을 대폭 개선 가능한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mpleting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and concrete curing process through the formwork remod system, the concrete placing to be built without separating the formwork system for formwork without going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parate remod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work system for a formwork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be directly performed on a subject and a form fastening fixing process, thereby greatly improving construction efficienc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은,Remod system for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거푸집(10), 상기 거푸집(10)을 상호 이격시켜 체결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S)을 확보하기 위한 타이바(Tie bar)(20) 및, 상기 거푸집(10)의 수평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으로서, 상기 거푸집(10)을 각각 상방 지지하는 다각형상의 지주바(40); 상기 지주바(4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51)과, 상기 삽입홈(51)을 이루는 수직패널(52)의 상단부가 소정폭 및 높이로써 하방 절취되어 상기 타이바(20)가 삽입 및 체결되는 타이바체결홈(53)을 구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거푸집용 레모드(50)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S)과 인접하는 상기 지주바(40)의 저면 일측면 상에 상기 지주바(40)와 동일한 길이로 배치되어 콘크리트의 유출방지 및 상기 고정부재(50)가 수평 보정되도록 하는 밀폐부재 (60); 로 이루어지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에,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는, 베이스패널(54)과, 상기 베이스패널(54)의 일측단이 상방 접철되어 상기 베이스패널(54)과 직각을 이루는 연장부(55)와, 상기 베이스패널(54) 상면 중 상기 연장부(55)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면으로 상기 연장부(55)의 일측면과 상호 대향되도록 수직 돌설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55)와의 사이에 상기 삽입홈(51)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수직패널(52), 상기 베이스패널(54)과 상기 연장부(55) 및 상기 수직패널(52) 소정부위면을 각각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56)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us, the
또한, 상기 밀폐부재(60)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의 저면타단에는,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와 타설 대상표면 간에 개재 삽입되어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가 수평 또는 수직정렬을 이루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받침부재(7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ttom end of the
이에, 상기 밀폐부재(60)는, 스펀지, 연질 또는 경질재 고무, 발포소재,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재로부터 선택됨이 바람직하다.Thus, the sealing
그리고, 상기 지주바(4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S)과 상기 거푸집(10)과 인접된 부위면이 소정각도 절취되어 걸레받이부재를 체결 또는 형성하기 위한 절취부(41)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거푸집 레모드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는,On the other hand, a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ormwork mod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ⅰ) 거푸집용 레모드(50)에 형성된 삽입홈(51)에 지주바(40)를 삽입하고 체결부재(80)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 고정한 후, 상기 지주바(40)의 일측 저면 상에 상기 지주바(40)와 동일한 길이의 밀폐부재(60)를 고정 체결함으로써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제작하는 단계(S10);Ⅰ) After inserting the
ⅱ)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콘크리트 타설 대상표면(L)상에 타설 대상물(W)의 두께만큼 이격 배치하고(S20),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상에 수평계를 위치시켜 상기 밀폐부재(60)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의 저면과 타설 대상표면(L)간에 받침부재(70)를 하나씩 삽입 개재하여 상기 수평계를 통해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이 평행을 이루도록 설정(S30)한 후, 상기 체결부재(80)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상기 타설 대상체(L)상에 체결 고정하는 단계(S40);Ii) placing the formwork
ⅲ)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상에 각각 거푸집(10)을 입설 안치시켜 콘크리트 타설공간부(S)를 형성하고 타이바(20)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10)을 상호 체결한 후, 상기 타설공간부(S)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50);Ⅲ) form the concrete pouring space (S) by placing the formwork (10) on the
ⅳ) 콘크리트 양생완료(S60, S70) 후,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타설 대상표면(S)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ⅱ) 및 ⅲ)단계를 진행하는 단계; 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ii) after completion of concrete curing (S60, S70), separating th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xamples presented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5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모드 시스템(30)의 사용상태예시사시도, 도 3은 도 2의 체결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를 이용한 시공공정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용 레모드(50)는, 베이스패널(54), 상기 베이스패널(54)의 일측 단이 상방 접철되어 상기 베이스패널(54)과 직각을 이루는 연장부(55)와, 상기 베이스패널(54) 상면 중 상기 연장부(55)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면으로 상기 연장부(55)의 일측면과 상호 대향되도록 수직 돌설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55)와의 사이에 상기 삽입홈(51)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수직패널(52), 상기 베이스패널(54)과 상기 연장부(55) 및 상기 수직패널(52) 소정부위면을 각각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56)을 구비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도 1참조)1 to 3, the form mode for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첨부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거푸집용 레모드(50)를 이용한 콘크리트 축조공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cret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formwork for
작업자는,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에 형성된 삽입홈(51)에 지주바(40)를 삽입하고 체결부재(80)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체결 고정한 후, 상기 지주바(40)의 일측 저면 상에 상기 지주바(40)와 동일한 길이의 밀폐부재(60)를 고정 체결함으로써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제작하는 단계(S10)를 진행한다.The operator inserts the
상기한 단계(S10)을 통해 다수의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제작 완료한 상태 에서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L)상에 콘크리트 타설 대상물의 두께(W)만큼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이격 배치하는 레모드 시스템 배치단계(S20)를 진행한다.(도 3참조)The thickness (W) of the concrete placing object on the concrete placing object (L) of the formwork mode (30) 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이후,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상에 수평계(미도시)를 위치시켜 상기 밀폐부재(60)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의 저면과 타설 대상체(L)의 표면간에 받침부재(70)를 하나씩 삽입 개재하여 상기 수평계(미도시)를 통해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이 평행을 이루도록 설정하는 레모드시스템 수평보정단계(S30)를 진행한다.(도 2 및 도 3참조)Subsequently, a level gauge (not shown) is placed on the
상기한 단계(S30)를 완료한 후, 시멘트 못 등으로 구현되는 체결부재(80)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의 베이스패널(54) 상에 구성된 체결공(56)을 통해 상기 받침부재(70) 및 타설 대상체(L)를 견고히 체결 고정한 후, 상기 지주바(40)의 상면 각각에 상기 거푸집(10)을 입설 안치시켜 콘크리트 타설공간부(S)를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10)에 형성된 통공(11)으로 타이바(20)가 관통되어 타이바고정부재(90)를 통해 상기 거푸집(10)이 상호 유격조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거푸집 체결고정단계(S40)를 진행한다.(도 2 및 도 3참조)After completing the above step (S30), by using a
상기한 단계들에 의해 생성된 상기 타설공간부(S)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50)가 진행되고, 이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S60) 및 콘크리트 양생완료단계(S70)가 진행됨으로써, 축조하고자 하는 벽체 또는 바닥체 등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step of placing concrete into the pouring space (S) generated by the above-mentioned step (S50) is carried out, and then, the concrete curing step (S60) to provide a suitable environment for curing the poured concrete and By completing the concrete curing step (S70),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implement the wall or floor to be built.
그리고, 상기한 단계(S70)를 완료함과 동시에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 시스템(30)을 양생완료된 벽체 등으로부터 분리시켜 축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L) 상에 상기한 레모드 시스템 제작단계(S10)의 다음 공정으로 바로 진행될 수 있어 공정을 대폭 생략 가능함에 따라 축조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n, at the same time to complete the step (S70) and at the same time the step for producing the remodal system on the concrete placing object (L) to be built by separating the
여기에서, 앞서 언급된 타이바(20)는 양단에 볼형상의 구형 걸림부(21)가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푸집(10)에 형성된 통공(11)으로 상기 구형 걸림부(21)가 돌출되고 타이바(20)를 이루는 로드(도면부호 미도시)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S) 내에 위치되되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에 형성된 삽입홈(51)을 경유하여 상기 거푸집(10)의 외주면으로 상기 구형 걸림부(21)가 돌출되도록 설정된다. 이후, 앞서 기재된 바 있는 타이바고정부재(90)에 상기 구형 걸림부(21)와 상기 거푸집(10)과 체결을 이루는 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타이바고정부재(90)에는 상기 구형 걸림부(21)보다 큰 내경으로써 천공되고 상기 내경의 상단면이 상기 타이바(20)의 로드와 동일한 직경의 너비로써 관통되어 이루어지는 고정공(91)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공(91)을 통해 상기 구형 걸림부(21)가 삽입되고 이어서, 상기 타이바고정부재(90)를 하방 가압함으로써 상기 구형 걸림부(21)와 인접된 상기 로드가 상기 고정공(91)에 형성된 일자형 홈에 삽입됨으로써 체결완료된다.Here, the above-mentioned
그리고, 앞서 언급된 지주바(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S)과 인접된 부위면이 절취됨에 따라 형성되는 절취부(41)가 구비되어 벽체를 축조함에 있어 바닥면과 벽체과 인접된 부위에 구비되는 걸레받이를 체결 또는 모르타르공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도 3)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holding
또한, 상기한 받침부재(70)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즉, 밀폐부재(60)가 연질재로 이루어지고, 거푸집(10)이 큰 중량을 가진 형태의 것을 적용할 시에는 그 하중에 의해 상기한 연질재의 밀폐부재(60)의 높이는 사실상 무시될 수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을 시에는 그 구성 및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이와 더불어, 상기 밀폐부재는 스펀지, 발포고무, 발포우레탄 등의 발포체, 연질재고무,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 등으로부터 선택 구성되어 레모드 시스템(30)과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콘크리트 타설 대상체(L)간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대상공간(S)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유출방지를 도모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is selected from a sponge, foam rubber, foam such as foam urethane, soft rubber,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like between the
상기한 구성 및 시공방법을 갖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can be variously modified.
일예로써, 지주바(40)를 생략한 상태에서 거푸집용 레모드(50)에 형성된 삽입홈(51)으로 거푸집(10)의 하단면이 바로 삽입됨은 물론, 전술한 체결구성에 의해 거푸집용 레모드(50)와 견고히 체결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한 밀폐부재(60)를 상기 거푸집(10)과 상기 거푸집용 레모드(50)의 저면부위에 배치 또는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한 받침부재(70)의 사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an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용의한 작업성, 작업시간의 단축가능성, 이로 인한 인건비절감효과 등이 가능함은 물론,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시에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지 않아 별도의 마감처리가 요구되지 않으며, 거푸집과 거푸집용 레모드의 이음새부분의 마감처리 또한 매우 깨끗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workability, shorten the working time,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etc., of course, concrete does not leak from the floor surface when pouring concrete into the formwork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nish,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nish of the seam of the formwork and the formwork for the formwork can also be very clean.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양생한 후에 거푸집용 레모드를 탈거하면 거푸집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어 다른 콘크리트 타설 공정에 그대로 활용될 수 있어 작용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f you remove the formwork for formwork after curing the building to be built using concrete, the formwork can be separated smoothly and can be used as it is in other concrete placing process,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There is this.
이와 더블어, 거푸집의 수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며, 시공시 설비재료의 절감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this way, the horizontal shape of the formwork can be precisely adjusted, an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has the effect of reducing equipment materials during construction.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0975A KR20060012215A (en) | 2004-08-02 | 2004-08-02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0975A KR20060012215A (en) | 2004-08-02 | 2004-08-02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2215A true KR20060012215A (en) | 2006-02-07 |
Family
ID=3712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0975A Ceased KR20060012215A (en) | 2004-08-02 | 2004-08-02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1221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6542A (en) * | 2005-01-27 | 2006-08-01 | (주)대경실업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2004
- 2004-08-02 KR KR1020040060975A patent/KR2006001221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6542A (en) * | 2005-01-27 | 2006-08-01 | (주)대경실업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6990B1 (en) | Outside heat-insulation wall method and outside heat-insulation wall thereby | |
JP5576207B2 (en) | Installation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4017051A (en) | Lightweight concrete beam form | |
JP2019157614A (en) | Foundation formwork structure for hou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formwork | |
JP3569878B2 (en) | Jig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labs | |
KR20090123388A (en) | Mold for making PC beam | |
CN111663770B (en) | Quick and easy combination and shaping mold for post-cast strip of cast-in-plac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quick and easy combination and shaping mold | |
CN113863549A (en) | Construction process of ribbed floor | |
CN201901941U (en) | Building system combining precast concrete member and cast-in-place concrete template | |
KR20060012215A (en)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04017645A (en) | Form device for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 and foundation technique using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 | |
KR20060086542A (en) | Formwork mode and its mod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212613744U (en) | Boundary beam and template reinforcing apparatus | |
CN111379337B (en) | Secondary structure anti-seepage and anti-leakage construction method | |
JP2007217871A (en) | Dry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2040732A (en) | Manufacture of cementitious panels | |
KR200326613Y1 (en) | The Lemod for adjustment to horizontal one'ns figure | |
KR20160120828A (en) | A supporter fixing unit for waterprof sill | |
JP7337119B2 (en) | Formwork unit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0296744B1 (en) | Mold installation of cement concrete building using horizontal mold rest and execution method | |
JPH103736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wet floating floor | |
JP7337752B2 (en) | Formwork unit an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100820596B1 (en) | Trench Foam Structure | |
KR20110101996A (en) | Prefabricated formwork for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 |
CN119553855A (en) | Wall form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