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9472A -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472A
KR20060009472A KR1020040057471A KR20040057471A KR20060009472A KR 20060009472 A KR20060009472 A KR 20060009472A KR 1020040057471 A KR1020040057471 A KR 1020040057471A KR 20040057471 A KR20040057471 A KR 20040057471A KR 20060009472 A KR20060009472 A KR 20060009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nergy
aqueous solution
battery
nee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방
Original Assignee
이기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방 filed Critical 이기방
Priority to KR102004005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9472A/ko
Priority to PCT/KR2005/002365 priority patent/WO2006009404A1/en
Publication of KR2006000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47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6Electrodes for primary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13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73Double-ended needles, e.g. used with pre-evacuated sampling tubes
    • A61B5/150488Details of construction of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61B5/1508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short range,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30Deferred-action cells
    • H01M6/32Deferred-action cells activated through external addition of electrolyte or of electroly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83Tes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3Sending and receiving of information, e.g. using 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4Storing results with means integrated in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01L2300/027Digital display, e.g. LCD,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36Integrated biosensor, micro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45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6Cards, e.g. flat sample carriers usually with flow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6Alloys based on magnesium or aluminium
    • H01M4/466Magnesium 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Halog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NA 등의 생체정보를 검사하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나노시스템, 바이오시스템에 적합한 배터리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필요시점에서 투여되는 물, 피 또는 오줌과 같은 수용액에 의해서 배터리가 작동되고,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기에너지가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공급이 되어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 각부에서 추출 또는 배설되는 피, 오줌 또는 체액 등과 같이 직접 몸에서 얻는 수용액 뿐만 아니라 DNA를 포함하는 검사액체 등의 수용액을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접촉시키면, 수용액에 포함된 물중 일부가 배터리로 흘러서 배터리를 작동하고, 수용액의 나머지 부분이 검사를 위한 DNA Chip 또는 바이오센서 등으로 흐르며 배터리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응용분야는 의약분야의 일회용 진단장치, DNA Chip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Lab on a Chip뿐만 아니라 물과 접촉하는 환경에서 에너지를얻어서 필요한 일을하는 어떠한 시스템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바이오시스템, DNA Chip (디엔에이 칩), Microarray, Biosensor, 배터리(Battery), 물을 이용한 배터리 (Water-activated Battery), 일회용 진단장치, 일회용 진단시약, 진단키트, MEMS, Nanosystem.

Description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Systems with Water-activated Battery}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DNA Chip부분을 보여주는 구성도.
제4도는 제2도의 배터리부분을 보여주는 구성도.
제5는 제1도의 시스템내부의 신호흐름도.
제6도에서 제11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액체투입을 위해서 주사바늘을 붙인 실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액체추출과 약물투입을 위한 두개의 주사바늘을 가진 시스템의 실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피검사를 위한 일회용 진단장치의 실시예.
본 발명은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나노시스템, 바이오시스템에 적합하게 물을 이용하여 작동이 시작되는 배터리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머신이라고도 불리는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BioMEMS, 나노시스템 (Nanosystems), 진단장치들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많은 연구기관들이 미래에 큰 역할을 할 이 기술들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미국, 일본,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이 기술을 국가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서 이분야에서 많은 연구결과가 있다. DNA Chip, 진단장치, 마이크로 트랜시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실리콘기판을 직접 가공하여 제작하는 기판미세가공(Bulk Micromachining Technology)과 기판위에 얇은 막을 쌓아 올려서 가공하는 표면미세가공(Surface Micromachining Technology) 기술로 주로 많들어진다. 이러한 제품은 액추에이터, 센서 등과 회로를 기판위에 마이크로크기로 작게 만들어서 성능을 크게 높이고 가격을 아주 싸게 할 수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Lab on a chip은 수많은 실험 장비를 하나의 실리콘 조각위에 만들어서 한방울의 액체로 여러 검사를 동시에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로 DNA를 검사할 수 있는 Chip이 DNA Chip이다. 이 기술은 향후 Nano Technology 등 미래의 기술과 어울려서 미래의 핵심 기술로 자리를 잡아 갈 것이다.
이러한 MEMS, Nano/Bio 관련기술은 많은 기계부품과 전자부품을 실리콘 등의 기판위에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현재의 기술로는 에너지원을 외부에 의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가로, 세로 크기가 1mm x mm의 실리콘 칩위에 마이크로 송수신기를 만들고 나서 작동을 시킬 때는 기존의 큰 파워서플라 이나 건전지를 이용하였다. 또한 현재의 DNA Chip (또는 Micro Array)기술에서 보면, 탐침DNA (Probe DNA)를 기판위에 올려 놓은 상태인 DNA Chip위에 검사에 필요한 DNA 수용액을 떨어트리면, 수용액에 있는 DNA와 탐침 DNA가 결합 (Hybridization)한다. 이러한 결합은 DNA의 이상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자외선 등의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읽어 낸다. 이러한 분석작업에는 스캐너라 불리는 정보입력장치와 컴퓨터 및 목적에 맞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므로, 분석작업이 오래 걸리고 분석에 필요한 비용이 높으며, 의사와 같이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수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작동이 필요시점에서 투여되는 물, 피 또는 오줌과 같은 수용액에 의해서 배터리가 작동되고,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기에너지가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공급이 되어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 각부에서 추출 또는 배설되는 피, 오줌 또는 체액 등과 같이 직접 몸에서 얻는 수용액 뿐만 아니라 DNA를 포함하는 검사액체 등의 수용액을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접촉시키면, 수용액에 포함된 물중 일부가 배터리로 흘러서 배터리를 작동하고, 수용액의 나머지 부분이 검사를 위한 DNA Chip 또는 바이오센서 등으로 흐르며 배터리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발명을 구성한다.
기판과; 상기한 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될 수 있는
에너지발생부와; 상기한 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에너지소모부로 구성되어서; 상기한 에너지발생부에 물을 포함하는 액체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한 에너지발생부가 작동이 시작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이 전기에너지를 상기한 에너지소모부에 공급하여 에너지소모부에서 에너지를 소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의 구성에 덧붙여서 다음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더 실시하면 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상기한 에너지발생부와 에너지소모부에 상기한 액체가 쉽게 원하는 위치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사람의 몸에서 추출한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 소모부가 DNA, RNA 또는 단백질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Chip (또는 Microarr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피의 구성성분중 일부 또는 전부를 분석하는 분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오줌의 구성성분중 일부 또는 전부를 분석하는 분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동물의 피, 침, 콧물, 오줌, 질분비물, 인분, 체액, DNA, RNA, 단백질, 세포조직과 식물의 수액, DNA, RNA, 세포조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정보를 외부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음성정보, 화상정보, 데이터
등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외부로 송수신하는 통신기기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음성정보와 화상정보를 보여
줄 수 있는 텔레비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음성정보만을 받아볼 수 있는
라디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발생부가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되는
배터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표면장력에 의해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나 종이와 같은 다공질 물질을 포함하는 배터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배터리가 애노드(Anode)에 마그네슘과 캐소
드(Cathode)에 염화은(AgCl) 또는 염화구리(CuCul)을 이용하며, 상기한 물을
포함하는 액체와 접촉하였을 때, 작동이 시작이 되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
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발생부와 에너지소모부에 상기한 액체가 접촉하였을때 표면장력에 의해서, 상기한 액체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액체를 쉽게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상기한 유로에 연결된 액체유입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액체유입부분이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액체유입부분이 주사바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주사바늘이 스토퍼(Stopper)를 가져서 피부에 찌를 때 정해진 깊이로 찌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주사바늘을 피부에 찔렀다가 빼낼 때 주사바늘이 피부에 붙어있는 것을 막기위해서, 상기한 주사바늘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주사바늘을 붙잡는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주사바늘과 상기한 주사바늘을 붙잡는 장치가 톱니바퀴의 맞물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주사바늘을 원하는 부위에 찌를 때 상기한 주사바늘이 파열수단을 파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파열수단이 막(Membr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주사바늘을 원하는 부위에 찌를 때, 상기한 액체의 성분과 반응하거나 상 기한 액체성분에 녹아서 없어지는 물질을 파열수단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액체가 시스템안으로 잘 흘러 들 수 있도록 상기 파열수단을 기준으로 해서 시스템쪽의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상기한 분석결과에 따라 필요한 약을 가지고 있는 약보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약이 주사바늘을 통해서 자동으로 또는 필요시 수동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원하는 생체의 정보를 분석하는 진단부, 상기한 진단부에서 진단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필요한 진단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 필요한 경우 처리한 신호를 외부로 보내거나 외부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송신부, 앞에서 설명한 각부의 움직임을 조정 또는 지시할 수 있는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 원하는 진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송신부가 도전체 또는 광케이블과 같은 도파
로를 이용하여 신호를 유선으로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송수신부가 레이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
선, 라디오나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정도의 주파수의 전파 등을 포함하는 전
자파와 초음파를 포함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바람직한 또 다른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판과; 상기한 기판위에 위치하며 전압을 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극과; 상기한 전극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받아 들일 수
있는 공간 (Chamber)과; 상기한 수용액과 전극의 직접적인 전기접촉을 피하기 위해 상기한 전극위에 형성시킨 투과층(Permeation Layer)과; 상기한 수용액중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투과층위에 부착될 때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의 부착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감지부로 구성되어서, 상기한 수용액이 상기한 공간안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한 전극에 전압을 가하므로서 상기한 전극주변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상기한 수용액중의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전극위의 투과층에 부착되게 하여,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수용액중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한 감지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덧붙여서 다음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실시하면 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 상기한 전극에 전기장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상기한 전극과 마주보면서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곳에 대응전극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전극위에 형성된 투과층에 미리 DNA 또는 RNA 등의 생물학적인 탐침(Probe)를 올려 놓아서, 상기한 수용액중에 대응하는 생물학적인 물질이 있어서 결합(hybridization)이 일어날 때, 상기한 감지부가 상기한 결합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한 감지부에서 검출을 하는 것과 같이 전기적인 에너지가 필요할 때, 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작동이 시작되는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감지부가 검출을 할 때, 피, 침, 콧물,
오줌, 질분비물, 인분, 세포조직 등 동물의 몸에서 배출되거나 추출할 수 있는 체액과 식물의 수액, 세포조직 등의 생물학 적인 샘플이 포함된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스템.
- 상기한 수용액중의 전하를 띠는 물
질이 상기한 전극위의 투과층위에 부착될 때, 정전용량 (Capacitance), 저항(Resistance), 인덕턴스(Inductance)의 임피던스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한 임피던스변화를 이용하여 상기한 투과층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수용액중의 전하를 띠는 물질이 작은 자석과 같이 자장을 띠는 물질을 가기고서 상기한 전극위의 투과층위에 부착될 때, 홀센서(Hall Sensor)와 같이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한 투과층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투과층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경우, 레이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전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부분에 조사하여, 상기한 전자기파의 반사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투과층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경우, 초음파를 포함하는 음파를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부분에 조사하여, 상기한 음파의 반사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상기한 전자기파와 초음파의 반사투과특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에 반사투과특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포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기판과; 상기한 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감지 또는 검사하고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중의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될 수 있는 에너지발생부과; 상기한 기판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에너지를 소모하며, 상기한 수용액에 포함된 감지하고자하는 물질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에너지소모부로 구성되어서; 상기한 수용액이 유입될 때, 상기한 수용액속의 물에 의해서 에너지발생부에서 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한 에너지를 상기한 에너지소모부에서 이용하면서 상기한 수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을 감지 또는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5도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DNA를 검사하는 일회용 DNA Chip(Micro array)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체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100은 주로 에너지 소모부를 가지는 윗판 101와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아래판 102로 구성된다. 상기한 윗판 101은 편의상 투명한 물질로 제작 될 수 있다. 상기한 윗판 101에는 DNA를 전기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DNA센서부 103, 상기한 DNA센서부 103과 후술할 배터리에 DNA를 포함하는 수용액(미도시)를 받아들일 수 있는 구멍 104, 상기한 구멍 104와 상기한 DNA센서 103을 연결해주는 유로 109, 상기한 DNA를 검사한 후 결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숫자나 문자표시장치 108을 가지는 표시부 107, 상기한 DNA검사중 필요한 검사를 선택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106으로 이루어진 입력부 105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외관을 쉽게 보여주기 위해서 삼차원적으로 그린 것이며 상기한 시스템의 단면과 DNA 센서부, 배터리부는 각각 제2도, 제3도와 제4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도는 상기한 시스템의 단면중 DNA센서부 103과 배터리부 122를 보여주는 것이다. 구멍 104는 DNA를 포함하는 수용액(미도시)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멍 104는 DNA센서부 103과 배터리부 122에 유로(Channel) 109과 12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DNA센서부 103과 배터리부 122의 상세한 작동원리는 제3도와 제 4도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여기서는 제1도와 제2도를 이용하여 DNA를 포함하는 수용액(미도시)이 상기한 구멍 104에 주입될 때 시스템 전체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DNA를 포함하는 상기한 수용액(미도시)를 구멍 104에 떨어트리면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상기한 수용액은 유로 109과 121을 통하여 DNA센서부 103과 배터리 부 122로 이동한다. 상기한 배터리부 122로 이동한 수용액중 물은 물에 의해서 작동하는 배터리부 122를 작동시켜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이때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연결선 (미도시)를 통하여 제2도에서 언급한 DNA센서부 103과 제 1도에서 언급한 입력부 105와 표시부 107 등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부분으로 공급이 된다.
제2도에서 언급한 DNA센서부에는 DNA를 분석하기 위한 어떠한 센서도 놓여질 수 있는데 여기서는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DNA센서부의 실시예로서 제3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전기적으로 DNA를 감지하는 DNA센서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DNA센서부의 실시예로서 상기한 배터리 122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쉽게 DNA검사를 할 수 있다. DNA부 103은 크게 아래판 131과 윗전극 137과 상기한 아래판 131과 윗전극 137사이에 공간(또는 유로) 120을 두어서 상기한 유로 109를 통하여 상기한 수용액이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아래판 131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 132, 133, 134가 있으며 상기 전극사이에는 다수의 절연체 135가 있어서 전극사이를 절연시키며, 상기 전극과 절연막 위에는 아가로우스(Agarose) 등과 같이 다공질물질로 이루어진 투과층(Permeation Layer) 136이 있다. 상기한 전극 132, 133, 134위에 있는 상기한 투과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감지하고자 하는 DNA의 절편(미도시)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부착시켜 놓은 상태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133의 전극위의 투과층위에 DNA절편 (DNA probe)이 붙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DNA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메커니즘을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제2도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DNA를 포함하는 수용액(미도시)이 제3도의 공간 120을 채우면 상기한 공간 120에는 DNA특성상 음의 전하를 가지는 DNA절편이 많이 분포하게 된다. 상기한 전극 133의 위의 투과층에 부착된 DNA절편은 특정한 병에 관련된 DNA 탐침 (DNA probe)이며 상기 수용액속에는 상기 DNA탐침과 결합(Hybridization)될 수 있는 DNA절편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윗전극 137에 음의 전압을 가하고 상기한 전극 133에 양의 전압을 가하면 상기한 수용액속에서 음으로 대전되어 있는 DNA절편들은 상기한 전극 133쪽으로 움직이다가 상기한 투과층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DNA절편이 상기한 전극 133위의 투과층에 올려져 있는 DNA탐침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한 DNA절편과 DNA탐침이 결합을 하게 된다. 상기한 다른 전극 132와 134위에 위치한 다른 DNA탐침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원하는 부분의 전극 위에서 DNA탐침과 수용체속의 DNA절편이 결합한 경우, 상기 DNA절편이 결합했는지 안했는지를 전기적으로 검사하여 결합유무를 알 수 있다.
상기한 DNA탐침과 수용체속의 DNA절편이 결합했는지의 유무는 결합전후의 정전용량 (Capacitance), 저항(Resistance), 인덕턴스(Induc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나,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장센서, 또는 빛과 같은 전자기파와 소리와 같은 음향파를 이용하여 결합전후의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한 전극 133과 상기한 윗전극 137사이의 회로는 하나 이상의 인덕턴스 (L), 정전용량 (C), 저항(R)을 이용한 등가회로(Equvilaent Circiut)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결합전후의 등가회로의 인덕턴스, 정전용량, 저항의 변화로부터 상기한 수용액중의 DNA절편이 상기한 전극 133위의 투과층에 있는 DNA탐침에 부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결합후의 정전용량 C가 크게 변하는 경우 이 정전용량을 재기 위해서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간단히 정전용량센서를 구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한 전극 133에 임의의 저항 (R)을 연결하여 상기한 정전용량 C에 의해서 구성되는 RC회로에 교류전압을 가해주면 결합전후의 임피던스 (Impedance)의 변화에 따라 교류전류가 변화하므로 결합유무를 알 수 있다. 상기한 정전용량의 검사중, 수용액속의 음의 전하를 가지는 DNA가 상기한 전극 133위의 투과층에 더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전극 133을 음의 전압, 상기한 137을 양의 전압으로 하는 바이어스전압(Bias Voltage)을 상기한 교류전압에 직렬로 같이 가해주면 검사중에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수용액중의 DNA절편에 작은 자성물질(미도시)을 부착한 경우에는 상기한 전극 133위에 위치한 투과층위에는 결합된 DNA들이 자성을 띠게 된다. 이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전극 133의 근방에 위치한 자장센서를 놓는다면 이 자장센서를 이용하여 결합유무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전극 133의 아래에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의 일종인 홀센서(Hall Sensor)를 위치시켜두면 결합시 자장의 변화로부터 바로 결합유무를 알 수 있다. 상기한 DNA의 결합유무를 빛과 같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검사할 수도 있다. 상기한 윗판 137이 투명전극이고 상기한 전극 133위의 투과층위에 결합된 DNA가 형광물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한 윗판 137을 통하여 빛의 일종인 자외선을 조사하면 형광물질의 발광에 의하여 결합유무를 알게 된다. 상대적으로 저주파인 RF(Radio Frequency)대의 전자기파 등을 조사하여 반사되거나 투과되는 비율로부터도 결합유무를 알 수 있다. 소리와 같은 음향파도 또한 결합유무 검사에 이용이 가 능하다. 상기한 전극 133위의 투과층에 있는 결합된 DNA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경우 초음파의 반사 또는 투과 특성의 차이로부터 DNA의 결합유무를 알 수 있다.
제2도에서 설명한 시스템에서 전기에너지 공급원으로서 물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배터리 122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물과 접촉하여 발전하는 어떠한 기존의 배터리도 상기한 배터리 122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제4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배터리 122는 윗판 145에 애노드(Anode)으로서 마그네슘층 144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판 141의 위에 차례로 전자를 모으는 역할을 하는 금속층(구리나 크롬/금층 등) 142와 상기 금속층위에 캐소드(Cathode)로 사용되는 염화은(AgCl)또는 염화구리(CuCl) 143을 증착 또는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한 마그네슘 144와 상기한 염화은 (또는 염화구리) 143사이에는 공간 146이 있는 구조이다. 편의상 캐소드로 염화은이 사용된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NA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주입되면, 표면장력에 의해서 상기한 수용액은 제2도의 유로 121을 통과하여 제4도의 상기 공간 146으로 밀려들어오고 상기한 수용액중의 물은 마그네슘 144와 염화은 143과 접촉하여 다음과 같은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킨다.
Mg + 2AgCl --> MgCl2 + 2Ag (수식1)
이러한 화학반응의 결과에 의해서 마그네슘 144가 산화하여 전자(미도시)가 발생하며 이 전자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회로 (미도시)를 지나고 상기 금속층 142를 거처 염화은 143에 전자가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한 배터리 122는 외부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공간 146은 빈공간으로 놓아둘 수도 있고 종이와 같은 다공질 물질로 채워 넣을 수도 있다.
제5도는 제1도와 제2도에서 설명한 물에 의해서 작동되는 시스템에서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신호흐름도이다. 제5도의 신호흐름도중 진단부 501 (제1도에서는 DNA센서로 설명), 에너지공급부 503, 표시부 506, 입력부 507은 제1도 또는 제2도에서 언급이 된 것들이다. 제어부 505, 메모리부 502, 송신부 504는 제1도 또는 제2도에서 그림의 간결성을 위해서 표시하지 않았었다. 제5도는 제1도와 제2도에서 언급한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잘 작동하기 위해서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진단부 501과 에너지공급부 503이 반드시 있어야하는 중요부이며 나머지부는 필요에 따라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즉 제1도에서 보여주는 시스템이 이미 정해진 검사만 하도록 이미 결정이 되어 있다면 상기한 입력부 507은 필요가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제1도에서 입력부 105와 입력버튼 106은 없어도 된다. 제5도를 이용하여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여주는 시스템이 작동시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도에서처럼 DNA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수용액을 받아들이는 구멍 104에 투입이 될 경우를 예로 들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2도에서 배터리부 122로 설명한 에너지공급부 503에서는 전기에너지가 발생하여 제5도에 나타낸 각부를 활성화환다. 따라서 DNA센서로서 설명한 진단부 501은 상기한 DNA수용액 속의 DNA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 505에 보내고, 필요시에 쉽게 검사결과를 알 수 있도록 표시부 506을 작동시킨다. 메모리부 502는 복잡한 검사시에 구체적으로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데이터저장 복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드디스크 반도체메모리 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입력부 507은 상 기한 제어부 505를 제어하거나 상기 메모리부 등 다른 부분에 특정 작업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보드 또는 버튼 등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제어부 505는 각부의 신호전달을 제어하며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할 것인지를 지정하게 된다. 송신부 504는 제어부에서 나오는 검사 결과를 외부의 컴퓨터나 기록장치 등에 보내기 위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부분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선은 동선과 같은 도전성 도선을 이용하거나 광케이블처럼 빛이나 전자기파를 안내하는 도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의 경우는 레이저, 전파,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과 같은 형태의 전자기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형태로서 초음파와 같은 음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시스템 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제5도에서 각부의 신호는 주로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서 전달이 되지만 에너지를 전달 할 수 있는 어떠한 경우의 신호전달방법도 이용가능하다. 즉 각부의 신호는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 레이저, 전파, 적외선, 자외선을 포함하는 전자기파, 또는 초음파와 같은 음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와 제5도까지는 물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DNA절편을 가지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서 얻으며, 상기한 전기에너지를 필요한 각부에 공급하면서 DNA를 검사하는 진단장치를 설명하였다. 제6도는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람의 몸에서 추출한 피에 의해서 작동되는 진단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시스템으로서 보여준 것이다. 피를 이용하여 발전하고 피의 검사를 하는 진단시스템 600은 기판의 윗면 601에 피검사에 필요한 바이오센서 606과 피를 주입하는데 필요한 주사바늘 603, 피가 표면장력에 의해서 상기한 바이오센서 606 안으로 밀려들어 갈 때 상기 바이오센서 606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기구멍 604와 필요한 검사가 완료될 때 결과를 표시할 표시부 605가 위치하며, 기판의 뒷면 602에는 앞에서 언급한 물에 의해서 발전이 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진단시스템 600의 내부에는 제5도에서 보여주는 신호흐름도중 원하는 검사를 원할히 하는데 필요한 전기회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한 제5도의 신호흐름도에서 진단부, 표시부, 제어부와 에너지 공급부만 있게 된다.
제6도를 참고하여 피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고, 상기한 발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피의 검사를 하는 경우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피를 검사하는 진단시스템 600의 주사바늘 603을 피부 (미도시)에 찌르면 피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피는 주사바늘 603을 따라 기판 뒷면 602안에 있는 배터리(미도시)와 바이오센서 606의 유로를 따라 안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로 들어간 피중 물에 의해서 배터리에서는 전기가 발생하며, 상기한 전기는 적절한 전기선(미도시)을 따라 필요한 각부에 공급이 된다. 상기한 피의 일부는 바이오센서 606의 유로를 따라 흐르며 상기한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검사가 진행이 되고, 이 처리결과는 표시부 605에 표시되게 된다. 바이오센서 606 내부에 있는 공기 등의 기체는 공기구멍 60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7도에서 제11도는 제6도의 실시예에서 피를 쉽게 유입시키기 위하여, 진단부(배터리부 포함) 701에 주사바늘 702를 부착한 실시예인데 일부만을 그린 것이다. 703은 스토퍼(Stopper)로서 없어도 무관하지만, 바늘이 일정한 깊이만큼 피부 로 파고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진단부 701은 내부에 공간 708을 가지며, 상기 공간 708에 접한 진단수단 (배터리포함) 709를 가지며, 진단부의 일측에는 주사바늘 702가 위치하며, 상기 주사바늘 702위에는 스토퍼 703이 고정되었다. 상기 주사바늘 702는 가이드 704에 의하여 마개 706에 연결이 되며, 상기 마개는 주사바늘이 안내될 수 있는 통로 705를 가지며, 상기 마개 706의 끝에는 파열수단 707이 있다. 내부공간 708은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상태로 유지하거나 대기압의 압력을 유지해도 되지만,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면 피를 추출할 때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된다.
위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환자의 피를 추출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피를 추출한 후 이어지는 검사는 제 6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피부에서 피를 추출하는 것까지만 설명한다. 먼저 환자의 피부 (미도시)를 향하여 주사바늘 702를 꼽으면, 스토퍼 703에 상기 피부가 걸리면서 상기 주사바늘 702가 가이드 704와 통로 705를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여, 파열수단 707을 뚫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람몸안의 피가 몸안의 피의 압력과 내부공간 708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주사바늘 702을 타고 이동하여 진단수단(배터리포함) 709에 피 710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진단부 701에서는 피를 추출하고 난 후 주사비늘 702를 빼낼 때 상기 주사바늘 702가 피부쪽에 붙어서 불편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제 10도로서, 제8도에서 주사바늘을 포함하는 부분을 상세히 그린 것이다. 주사바늘 1001로 피부(미도시)를 찌를 때 상기 주사바늘 1001은 우측의 화살표 1005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서로 맞물린 톱니 1002, 1003은 우측으로 이동한 상기 주사바늘 1001이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1004는 톱니 1003의 지지부를 나타낸다.
제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8도와 다른 파열수단을 가지는 주사바늘을 나타낸 것으로서 주사바늘 1101에 파열수단110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바늘 1101은 그 내부에 용해물질인 파열수단 1102를 가지며 스토퍼 1103에 고정되어있다. 상기 스토퍼 1103의 마개 1104에 연결이 되며, 상기 마개 1104는 진단부 몸체 1105에 연결되고, 상기 진단부 몸체는 공간 1107과 진단수단(배터리포함) 1106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주사바늘 1101이 피부에 삽입되면 피에 있는 물질(예 물)과 상기 파열수단 1102가 반응하여 녹게 되며, 이에 따라 피는 상기 공간 1107로 이동하게 되어 진단장치 1106에 피를 공급하게 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간 1107을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하면 피를 뽑는데 유리하고 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진단장치 실시예에서는 주로 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주사바늘을 사용하였는데 주사바늘을 하나 더 구비하여 진단된 결과에 따라 약을 투입할 수도있다. 이것을 보여주는 실시예가 제 12도이다. 진단처방부(배터리포함) 1200은 검사주사바늘 1202와 처방주사바늘 1203이 몸체 1201에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검사주사바늘 1202를 통하여 유입된 피는 진단처방부 1200안에 있는 검사수단 (미도시)에 의해 검사되어서 필요하다면 처방주사바늘 1203을 통하여 바로 약을 공급할수 있게 된다. 상기 두 바늘은 따로 두 개의 바늘로 있을 수도 있고 한 몸체의 바늘에서 구멍만 두 개를 가질 수도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처방약이 처방주사바늘 1203을 통 해서 자동으로 공급되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검사결과를 보고서 검사자의 판단에 따라 약을 공급하게 상기한 처방약의 주사바늘 1203을 피부에 찔러 약을 별도로 공급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성과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 내용을 용이하게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물에 의해서 발전이 되는 배터리를 기판(Substrate)의 뒷면에 위치시키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상기한 배터리를 기판의 윗면에 진단부 등의 다른 구성부분과 같이 배열하여서 기판의 윗면이 모든 구성부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을 이해한 사람은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이 된다. 제3도와 제6도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DNA와 피를 검사하는 바이오센서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해한 사람은 검사하고자 하는 액체에 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본 발명에 포함이 된다. 예를 들어서 오줌과 체액 등 물을 기본으로 하여 다른 물질이 첨가된 경우는 물이 배터리를 작동시킬수 있고 검사하는 센서가 상기한 배터리에서 작동되는 에너지에 의해서 작동이 되어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설명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물을 기본으로 하는 액체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투입이 될때 상기한 시스템의 배터리가 물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고, 발전되는 에너지를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제어부 등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에너지소모부가 시스템의 일부로서 만들어 질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서 기판의 앞면에 라디오, 텔레비젼 또는 휴대폰 (Celluar Phone)과 같은 에너지소모부와 물에 의해서 작동되는 배터리를 같이 만든 경우에, 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접촉하면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원하는 작동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이 된다.
기판의 일부에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되는 배터리와 기판의 다른 일부분에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에너지소모부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물을 포함하는 어떠한 액체에 의해서도 작동이 되므로 DNA, 피, 오줌 등의 생체에 관련된 정보를 쉽게 얻는데 편리한 일회용 진단장치(또는 진단키트) 같은 시스템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의사 등의 전문가들이 하는 검사를 각개인이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약국 등에서 일회용 진단장치를 사서 원하는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소모부에 라디오, 텔레비젼, 휴대폰등을 만들면 물에의해서 작동이 시작되는 편리한 시스템을 만들수 있다.

Claims (41)

  1. 기판과;
    상기한 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될 수 있는 에너지발생부와;
    상기한 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에너지소모부로 구성되어서;
    상기한 에너지발생부에 물을 포함하는 액체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한 에너지발생부가 작동이 시작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이 전기에너지를 상기한 에너지소모부에 공급하여 에너지소모부에서 에너지를 소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발생부와 에너지소모부에 상기한 액체가 쉽게 원하는 위치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에 의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사람의 몸에서 추출한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 소모부가 DNA, RNA 또는 단백질중 적어도 하 나를 분석하는 Chip (또는 Microarr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피의 구성성분중 일부 또는 전부를 분석하는 분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오줌의 구성성분중 일부 또는 전부를 분석하는 분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동물의 피, 침, 콧물, 오줌, 질분비물, 인분, 체액, DNA, RNA, 단백질, 세포조직과 식물의 수액, DNA, RNA, 세포조직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정보를 외부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음성정보, 화상정보, 데이터 등의 정보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외부로 송수신하는 통신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음성정보와 화상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텔레비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음성정보만을 받아볼 수 있는 라디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발생부가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되는 배터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이 표면장력에 의해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나 종이와 같은 다공질 물질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터리가 애노드(Anode)에 마그네슘과 캐소드(Cathode)에 염화은(AgCl) 또는 염화구리(CuCul)을 이용하며, 상기한 물을 포함하는 액체와 접촉하였을 때, 작동이 시작이 되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항, 제2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발생부와 에너지소모부에 상기한 액체가 접촉하였을때 표면장력에 의해서, 상기한 액체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를 쉽게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상기한 유로에 연결된 액체유입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유입부분이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유입부분이 주사바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사바늘이 스토퍼(Stopper)를 가져서 피부에 찌를 때 정해진 깊이로 찌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8항과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사바늘을 피부에 찔렀다가 빼낼 때 주사바늘이 피부에 붙어있는 것을 막기위해서, 상기한 주사바늘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주사바늘을 붙잡는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사바늘과 상기한 주사바늘을 붙잡는 장치가 톱니바퀴의 맞물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18항, 제19항,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사바늘을 원하는 부위에 찌를 때 상기한 주사바늘이 파열수단을 파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파열수단이 막(Membr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18항, 제19항,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사바늘을 원하는 부위에 찌를 때, 상기한 액체의 성분과 반응하거나 상기한 액체성분에 녹아서 없어지는 물질을 파열수단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2항과 제24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가 시스템안으로 잘 흘러 들 수 있도록 상기 파열수단을 기준으로 해서 시스템쪽의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3항과 제7항과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석결과에 따라 필요한 약을 가지고 있는 약보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약이 주사바늘을 통해서 자동으로 또는 필요시 수동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너지소모부가 원하는 생체의 정보를 분석하는 진 단부, 상기한 진단부에서 진단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필요한 진단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 필요한 경우 처리한 신호를 외부로 보내거나 외부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송신부, 앞에서 설명한 각부의 움직임을 조정 또는 지시할 수 있는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 원하는 진단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한 송신부가 도전체 또는 광케이블과 같은 도파로를 이용하여 신호를 유선으로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한 송수신부가 레이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라디오나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정도의 주파수의 전파 등을 포함하는 전자파와 초음파를 포함하는 음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기판과;
    상기한 기판위에 위치하며 전압을 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극과;
    상기한 전극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받아 들일 수 있는 공간 (Chamber)과;
    상기한 수용액과 전극의 직접적인 전기접촉을 피하기 위해 상기한 전극위에 형성시킨 투과층(Permeation Layer)과;
    상기한 수용액중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투과층위에 부착될 때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의 부착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감지부;
    로 구성되어서, 상기한 수용액이 상기한 공간안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한 전극에 전압을 가하므로서 상기한 전극주변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상기한 수용액중의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전극위의 투과층에 부착되게 하여,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수용액중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한 감지부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에 전기장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상기한 전극과 마주보면서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곳에 대응전극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극위에 형성된 투과층에 미리 DNA 또는 RNA 등의 생물학적인 탐침(Probe)를 올려 놓아서, 상기한 수용액중에 대응하는 생물학적인 물질이 있어서 결합(hybridization)이 일어날 때, 상기한 감지부가 상기한 결합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4. 제31항, 제32항, 제3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한 감지부에서 검출을 하는 것과 같이 전기적인 에너지가 필요할 때, 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작동이 시작되는 배터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감지부가 검출을 할 때, 피, 침, 콧물, 오줌, 질분비물, 인분, 세포조직 등 동물의 몸에서 배출되거나 추출할 수 있는 체액과 식물의 수액, 세포조직 등의 생물학 적인 샘플이 포함된 수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스템.
  36. 제31항, 제32항, 제33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액중의 전하를 띠는 물질이 상기한 전극위의 투과층위에 부착될 때, 정전용량 (Capacitance), 저항(Resistance), 인덕턴스(Inductance)의 임피던스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한 임피던스변화를 이용하여 상기한 투과층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7. 제31항, 제32항, 제33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액중의 전하를 띠는 물질이 작은 자석과 같이 자장을 띠는 물질을 가기고서 상기한 전극위의 투과층위에 부착될 때, 홀센서(Hall Sensor)와 같이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한 투과층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8. 제31항과 제32항에 있어서, 상기한 투과층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경우, 레이저,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전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부분에 조사하여, 상기한 전자기파의 반사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9. 제31항과 제32항에 있어서, 상기한 투과층위에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경우, 초음파를 포함하는 음파를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된 부분에 조사하여, 상기한 음파의 반사투과특성을 이용하여,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이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0. 제38항과 제3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기파와 초음파의 반사투과특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전하를 띠는 물질에 반사투과특성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포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1. 기판과;
    상기한 기판의 일부에 위치하며 감지 또는 검사하고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중의 물에 의해서 작동이 시작될 수 있는 에너지발생부과;
    상기한 기판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에너지를 소모하며, 상기한 수용액에 포함된 감지하고자하는 물질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에너지소모부로 구성되어서;
    상기한 수용액이 유입될 때, 상기한 수용액속의 물에 의해서 에너지발생부에서 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한 에너지를 상기한 에너지소모부에서 이용하면서 상기한 수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을 감지 또는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40057471A 2004-07-23 2004-07-23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Withdrawn KR20060009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471A KR20060009472A (ko) 2004-07-23 2004-07-23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PCT/KR2005/002365 WO2006009404A1 (en) 2004-07-23 2005-07-21 Systems with water-activated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471A KR20060009472A (ko) 2004-07-23 2004-07-23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472A true KR20060009472A (ko) 2006-02-01

Family

ID=3578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471A Withdrawn KR20060009472A (ko) 2004-07-23 2004-07-23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09472A (ko)
WO (1) WO20060094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77A3 (ko) * 2011-09-23 2013-07-04 주식회사 세라젬메디시스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7433B2 (en) 2004-10-25 2009-07-07 Mccain Joseph H Micro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energy source
US9198608B2 (en) 2005-04-28 2015-12-01 Proteus Digital Health, Inc.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ed in a container
CN101496042A (zh) 2006-05-02 2009-07-29 普罗秋斯生物医学公司 患者定制的治疗方案
US8057454B2 (en) 2006-08-25 2011-11-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dration sensing and monitoring
EP1901058A3 (en) * 2006-09-13 2010-0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xamination element and examination container for testing liquid samples
MY158019A (en) 2006-10-25 2016-08-30 Proteus Digital Health Inc Controlled activation ingestible identifier
US8718193B2 (en) 2006-11-20 2014-05-06 Proteus Digital Health, Inc. Active signal processing personal health signal receivers
MY165532A (en) 2007-02-01 2018-04-02 Proteus Digital Health Inc Ingestible event marker systems
JP5614991B2 (ja) 2007-02-14 2014-10-29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大表面積電極を有する体内型電源
US8540632B2 (en) 2007-05-24 2013-09-24 Proteus Digital Health, Inc. Low profile antenna for in body device
FI2192946T3 (fi) 2007-09-25 2022-11-30 Elimistön sisäinen laite, jossa on virtuaalinen dipolisignaalinvahvistus
EP2268261B1 (en) 2008-03-05 2017-05-10 Proteus Digital Health, Inc. Multi-mode communication ingestible event marker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G10201702853UA (en) 2008-07-08 2017-06-29 Proteus Digital Health Inc Ingestible event marker data framework
JP4992853B2 (ja) 2008-08-06 2012-08-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20110103446A (ko) 2009-01-06 2011-09-20 프로테우스 바이오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섭취-관련 바이오피드백 및 개별화된 의료 치료 방법 및 시스템
TWI517050B (zh) 2009-11-04 2016-01-11 普羅托斯數位健康公司 供應鏈管理之系統
TWI557672B (zh) 2010-05-19 2016-11-11 波提亞斯數位康健公司 用於從製造商跟蹤藥物直到患者之電腦系統及電腦實施之方法、用於確認將藥物給予患者的設備及方法、患者介面裝置
WO2015112603A1 (en) 2014-01-21 2015-07-30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9756874B2 (en) 2011-07-11 2017-09-12 Proteus Digital Health, Inc. Masticable ingestible product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20140203950A1 (en) 2011-07-21 2014-07-24 Mark Zdeblick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WO2014197402A1 (en) 2013-06-04 2014-12-11 Proteus Digital Health,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nd assessing outcomes
US9383332B2 (en) * 2013-09-24 2016-07-05 Lifescan Scotland Limited Analytical test strip with integrated battery
US10084880B2 (en) 2013-11-04 2018-09-25 Proteus Digital Health, Inc. Social media networking based on physiologic information
WO2016037872A1 (en) 2014-09-09 2016-03-1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Particulate water-activatable luminescent material
TWI775409B (zh) 2016-07-22 2022-08-21 日商大塚製藥股份有限公司 可攝食事件標示器之電磁感測及偵測
CN117254144B (zh) * 2023-11-17 2024-02-09 杭州高特电子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带电控式消防触发的储能电池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6708A (en) * 1991-11-19 1998-12-08 Massachusetts Institiute Of Technology Optical and electrical methods and apparatus for molecule detection
US5639423A (en) * 1992-08-31 1997-06-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fornia Microfabricated reactor
US6217744B1 (en) * 1998-12-18 2001-04-17 Peter Crosby Devices for testing fluid
KR20010111393A (ko) * 2000-06-09 2001-12-17 이기방 액체검사장치와 액체검사처방장치와 주사바늘과약물주입장치와 액체검사방법과 액체검사처방방법
KR20030075815A (ko) * 2002-03-18 2003-09-26 이기방 Mems용 마이크로배터리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77A3 (ko) * 2011-09-23 2013-07-04 주식회사 세라젬메디시스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장치
KR101436150B1 (ko) * 2011-09-23 2014-09-01 주식회사 세라젬메디시스 바이오센서 및 그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9404A1 (en) 2006-01-26
WO2006009404A8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9472A (ko) 물에 의해 작동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시스템
US10993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 analysis of bodily fluids
US7658091B2 (en) Method for the audible output of a piece of information in an analysis system
US9700245B2 (en) Transdermal analyte extraction and det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CN101563022B (zh) 带体内电化学分析物感测的流体传输
CN105163661B (zh) 护理点传感器系统
KR102316022B1 (ko) 유체 검사 칩 및 카세트
KR101647106B1 (ko) 폴더블 케이스 일체형 다중 디바이스
EP2660606B1 (en)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US20140350469A1 (en) Universal diagnostic platform
US20150182157A1 (en) On-Patient Autonomous Blood Sampler and Analyte Measurement Device
CN107405112A (zh) 用于绷带型监视装置的用户交互
RU2002115720A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для отбора пр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и измерения анализир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CN109922732B (zh) 诊断系统和方法
CN1950029A (zh) 体液采样设备
CN103932718A (zh) 动态连续测定体液中分析物的便携式监测系统
Xie et al. Enhanced interstitial fluid extraction and rapid analysis via vacuum tube‐integrated microneedle array device
US20220260556A1 (en) Saliva testing
CN101137323A (zh) 用于连续实时痕量生物分子采样、分析和递送的装置和方法
US20230397846A1 (en) Wearable device for sensing chloride in sweat
CN108982604A (zh) 一种动态连续测定体液中分析物的便携式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