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09099A -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 Google Patents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099A
KR20060009099A KR1020040056559A KR20040056559A KR20060009099A KR 20060009099 A KR20060009099 A KR 20060009099A KR 1020040056559 A KR1020040056559 A KR 1020040056559A KR 20040056559 A KR20040056559 A KR 20040056559A KR 20060009099 A KR20060009099 A KR 2006000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adapter
coupling pin
suppor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885B1 (ko
Inventor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85B1/ko
Priority to CNB2005100029797A priority patent/CN100392923C/zh
Publication of KR2006000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한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댑터의 구조는 어댑터에 구비된 플러그의 절첩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구조가 제공되지 않아 어댑터를 멀티탭에 연결할 때 어댑터의 크기와 플러그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어댑터의 몸체가 멀티탭에 장착된 콘센트를 일부 가리게 되어 상기 멀티탭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로 인하여 휴대와 보관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어댑터의 구조에 플러그를 절첩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멀티탭을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때 어댑터를 원하는 구조로 변경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가 어댑터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어댑터를 휴대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ADAPTOR HAVING ROTATION PLUG}
도 1의 (a)와 (b)는 종래의 어댑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어댑터가 멀티탭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구조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4(b)의 ‘Ⅴ-Ⅴ’선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구조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멀티텝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10 : 전면케이스
120 : 배면케이스 130 : 플러그수용홈
140 : 힌지축 150 : 절첩고정돌기
200 : 플러그 210 : 플러그몸체
220 : 플러그단자 230 : 결합핀
231 : 결합핀머리 232 : 결합핀몸체
240 : 회전제한홈 300 : 플러그지지부
310 : 힌지홈 320 : 절첩고정홈
330 : 결합핀공 340 : 회전제한돌기
본 발명은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댑터는 형상이 다른 2개의 기구를 이어주는 전원장치를 말하며, 내부에 정류기 및 변압기(TRANSFORMER)를 내장하고 있는 전기기기의 일종이다. 즉,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일반 전원공급부를 통해 들어오는 110V 및 220V의 전압을 감압하여 각 기기들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전기기기이다. 보통 소형라디오, 카세트플레이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 등에 전기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중간의 매개체로 콘센트에 꽂아 전기를 연결시켜 주는 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의 (a)와 (b)는 종래의 어댑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도 2c는 종래의 어댑터가 멀티탭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어댑터의 구조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플러그(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전면케이스(11)와 배면케이스(12)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20)는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케이스(11)에 설치되는 절연성 재질의 플러그몸체(21)와, 이 플러그몸체(21)에서 돌출되며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플러그단자(22)로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더 등의 사용하는 전원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여러개의 어댑터를 멀티탭(3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도 1 (a)와 같은 상기 플러그(20)가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어댑터와 도 1의 (b)와 같은 상기 플러그(20)가 상기 본체부의 너비방향으로 고정된 어댑터를 제공하고 아울러 멀티탭(30)의 콘센트(35) 방향도 다양하게 제공되지만 어댑터의 본체부(10)가 상기 콘센트(35)를 덮게 되어 멀티탭(30) 활용의 한계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플러그(2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댑터의 사용 후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댑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댑터의 본체부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며 그와 동시에 절첩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에 플러그수용홈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플러그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지지부와,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회전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구조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b)의‘Ⅴ-Ⅴ’선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의 구조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그 측면도이다.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는 전면케이스(110)와 배면케이스(120)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케이스(110)에 플러그수용홈(130)을 구비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 플러그수용홈(130)과 힌지 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지지부(300)와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회전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에 장착되는 플러그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케이스(110)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절첩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러 그수용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와 결합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힌지축(140)을 돌출 형성한다. 상기 힌지축(140)은 후술할 힌지홈(310)과 힌지 결합하여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회전 중심축이 되고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축(14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상에 후술할 절첩고정홈(320)과 결합하는 절첩고정돌기(150)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00)는 상기 플러그수용홈(130)의 전면과 밀착되어 마찰없이 회전 가능하도록 반원기둥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양측 단면에는 상기 힌지축(140)과 힌지 결합하는 힌지홈(310)을 함몰 형성하며 상기 힌지축(14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상의 상기 절첩고정돌기(15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첩고정홈(320)을 함몰 형성 한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전면에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후술할 결합핀(230)이 삽입되는 결합핀공(33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공(33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상 일측에는 후술할 회전제한홈(240)과 결합하는 단일개의 회전제한돌기(340)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부(200)는 절연성 재질의 플러그몸체(210)와 상기 플러그몸체(210)에서 돌출되며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플러그단자(220)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몸체(210)의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핀(23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230)은 결합핀머리(231)와 결합핀몸체(232)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핀몸체(232)는 결합핀공(330)에 삽 입되어 상기 플러그부(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200)가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핀머리(231)는 상기 결합핀몸체(232)의 단부에 상기 결합핀몸체(232)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230)의 중심과 일측을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상기 결합핀(230)의 중심과 타측을 연결한 선이 90도의 각을 갖도록 상기 결합핀(23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상 일부에 회전제한홈(240)을 관통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부(200)와 플러그지지부(300)의 결합은 상기 회전제한돌기(340)가 회전제한홈(2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핀(230)의 상단과 상기 결합핀공(330)의 하단 사이에 탄성스프링(25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스프링(250)이 결합핀공(3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스프링(250)의 직경은 결합핀공(33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머리(231)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플러그수용홈(130)에 절첩되어 있는 플러그부(200)를 손가락으로 잡고 세우면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상기 본체부(100)에 대한 회전운동으로 상기 플러그부(200)가 본체부(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세워진다. 상기 플러그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와 직각을 이루게 될때까지 회전 운동이 진행되면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절첩고정홈(320)이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측면이 접하는 접촉면에 돌출 형성된 절첩고정돌기(150)와 체결되어 회전 운동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00)와 직각을 이루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플러그부(200)의 회전 운동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절첩고정돌기(150)는 상기 절첩고정홈(320)에서 이탈되고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플러그부(200)가 일직선 상태가 되면 다시 상기 절첩고정홈(320)과 절첩고정돌기(150)가 체결되어 일직선 상태가 유지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부(200)의 회전 운동은 상기 본체부(100)의 너비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기준으로 90도 범위 내에서 가능하며 상기 플러그부(200)가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나 일직선을 이룬 상태 모두에서 가능하다. 상기 플러그지지부(3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회전제한돌기(340)가 상기 플러그몸체(210)의 결합핀(230)이 형성된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회전제한홈(240)에 삽입되어 회전 운동하므로 회전각 상기 회전제한홈(24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즉 90도로 제한된다. 상기 플러그부(200)와 플러그지지부(300)의 접촉이 일정한 힘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제한돌기(340)가 상기 회전제한홈(2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플러그부(200)와 플러그지지부(300)의 결합은 상기 결합핀머리(231)의 상단과 상기 결합핀공(330)의 하단 사이에 탄성스프링(2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제한돌기(340)의 측면이 상기 회전제한홈(240)의 일측 단부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하여 타측의 단부와 다시 접하게 되면 회전을 정지하게 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너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던 플러그부(200)는 길이방향으로 전환되고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어 도 4의 (b)의 점선 상태가 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상기와 같은 플러그지지부(300)의 절첩운동과 플러그부(200)의 회전 운동을 조합하여 어댑터의 구조를 변경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a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너비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직각을 이루는 구조이고 도 6b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직각을 이루는 구조이고 도 6c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일직선을 이루는 구조이고 도 6d는 상기 플러그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너비방향으로 회전이 고정되고 일직선을 이루는 구조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조를 변경한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탭터를 멀티텝(30)에 연결하면 상기 본체부(100)가 멀티텝(30)의 콘센트(35)를 덮지 않아 멀티텝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는 상기 어댑터의 본체부에 대하여 플러그부의 절첩과 동시에 회전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어댑터의 구조를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멀티탭과 연결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본체부가 멀티탭의 콘센트를 덮게 되어 멀티탭의 활용도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 후에는 상기 플러그부를 본체부에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와 보관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전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에 플러그수용홈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플러그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지지부와;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회전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합되는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측면과 상기 본체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 힌지축이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에 힌지홈이 함몰 형성되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플러그지지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측면과 상기 본체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 상기 힌지축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상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절첩고정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다른 면에 상기 절첩고정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절첩고정홈을 함몰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회전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러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의 전면과 상기 플러그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 결합핀을 돌출 형성하고 다른 한 면에 결합핀공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대한 상기 플러그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러그지지부와 상기 플러그부의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 상기 결합핀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상에 단일개의 회전제한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다른 한 면에 회전제한홈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핀공에 삽입되어 플러그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의 결합핀몸체와,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플러그지지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핀몸체의 단부에 상기 결합핀공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결합핀머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회전제한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핀공의 하단부와 상기 결합핀머리의 상단부 사이에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지지부에 결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KR1020040056559A 2004-07-20 2004-07-20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KR10061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559A KR100619885B1 (ko) 2004-07-20 2004-07-20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CNB2005100029797A CN100392923C (zh) 2004-07-20 2005-01-27 一种具有旋转式插头的适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559A KR100619885B1 (ko) 2004-07-20 2004-07-20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099A true KR20060009099A (ko) 2006-01-31
KR100619885B1 KR100619885B1 (ko) 2006-09-19

Family

ID=3592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559A KR100619885B1 (ko) 2004-07-20 2004-07-20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885B1 (ko)
CN (1) CN10039292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052A (ko) * 2009-02-04 2012-01-03 메이드 인 마인드 리미티드 전기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69Y1 (ko) * 2008-09-03 2012-01-25 주식회사 주안 분리방지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플러그
CN104113094B (zh) * 2013-04-17 2016-08-10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便携终端充电装置及车辆中控台
CN104113093B (zh) * 2013-04-17 2016-09-07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便携终端充电装置及车辆中控台
CN104108355B (zh) * 2013-04-17 2016-10-12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便携终端充电装置及车辆中控台
CN105762882B (zh) * 2013-04-17 2019-06-18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载便携终端充电装置及车辆中控台
CN109818195B (zh) * 2019-03-18 2024-07-23 傲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旋转的电插头
CN110353490B (zh) * 2019-07-26 2021-11-0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207B1 (ko) * 2001-02-06 2003-09-03 김병준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US6488510B2 (en) * 2001-03-21 2002-12-03 Long-Beam Enterprise Co., Ltd. Rotary-plug wall lamp
CN2499999Y (zh) * 2001-10-08 2002-07-1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旋转式插头组件
JP2003187923A (ja) * 2001-12-17 2003-07-04 Kyocera Corp Acプラ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052A (ko) * 2009-02-04 2012-01-03 메이드 인 마인드 리미티드 전기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2923C (zh) 2008-06-04
KR100619885B1 (ko) 2006-09-19
CN1725580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0089B2 (ja) 巻き線式充電器
US6126460A (en) Safety dual plug structure
JP2008086189A (ja) 折り畳み式電気コネクターおよび同器を有する電力供給装置
US9721735B2 (en) Multi-function charger
KR100619885B1 (ko) 회전식 플러그가 구비된 어댑터
CN112089977B (zh) 颈部按摩仪
JP2002246103A (ja) 回転式プラグを有するアダプタ
AU2019100249A4 (en) Multifunctional conversion line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off
CN108769317B (zh) 一种转轴结构及移动终端
US5401178A (en) Integrated foldable electric plug connector
US20170047753A1 (en) Battery charg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0233393B (zh) 可折叠插头组件和包括可折叠插头组件的装置
US6840784B2 (en) Adapter with foldaway plug components
JP3902074B2 (ja) 可動プラグヘッド
CN208970867U (zh) 可转动的插排
KR200260860Y1 (ko)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KR20050058809A (ko) 어댑터용 플러그 구조
KR101288472B1 (ko) 멀티탭
KR200260858Y1 (ko)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KR200260859Y1 (ko)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CN216959381U (zh) 具第二接电角度的充电器
KR200230263Y1 (ko) 휴대폰용 어댑터식 충전기
CN218569278U (zh) 充电器的折叠脚结构及充电器
CN222366104U (zh) 一种旋转折叠充电器
KR102291149B1 (ko)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