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17087A - 휴대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087A
KR20050117087A KR1020040042276A KR20040042276A KR20050117087A KR 20050117087 A KR20050117087 A KR 20050117087A KR 1020040042276 A KR1020040042276 A KR 1020040042276A KR 20040042276 A KR20040042276 A KR 20040042276A KR 20050117087 A KR20050117087 A KR 2005011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longitudinal direction
camera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097B1 (ko
Inventor
김준
이창수
박인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097B1/ko
Priority to US11/122,136 priority patent/US7386282B2/en
Priority to CNA200510072329XA priority patent/CN1708066A/zh
Publication of KR2005011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 플래쉬, 아이알디에이(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모듈 등 부가기능모듈의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을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쌍의 링크 아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 모듈, 플래쉬, IrDA 모듈 등의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장치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렌즈 모듈, 플래쉬 ,아이알디에이(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모듈 등 부가기능모듈의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타입(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타입 (sliding-type) 및 팝업-타입(pop-up-type)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및 팝업-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과 같이, 상기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는 전면부(11)에 디스플레이장치(14)와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부(15) 그리고 상단에 스피커장치(13)를 가지는 구성을 나타내고, 도 2 와 같이,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부(12)에 고정형 카메라 렌즈 모듈(16)을 가지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 및 2와 같이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카메라 렌즈 모듈(16)이 고정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이 어렵게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부(11)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14)를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보면서 촬영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요즘의 휴대용 통신 장치들은 본래의 기능인 통신기능 이외에도 카메라 기능, 플래쉬 기능, IrDA 기능 등의 부가기능들이 점점 복합적으로 추가되는 상태에 있는데, 이러한 상기 부가기능을 위한 부가기능모듈들의 추가로 인해, 실장 공간 제약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모듈 근처에 실장된 안테나와 같은 전자부품 등에 노이즈로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 플래쉬, IrDA 모듈 등 부가기능모듈의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부가기능모듈을 기존 하우징과 별개의 또 다른 하우징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의 안테나와 같은 전자장치에 노이즈로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을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쌍의 링크 아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 모듈(310), 플래쉬(320), IrDA 모듈(330) 등 부가기능모듈이 설치 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살펴보면,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본체인 제 1 하우징(210)과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일단에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우징(220) 및 상기 제 2 하우징(220)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220)을 상기 제 1 하우징(210)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쌍의 링크 아암(260)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크 아암(260)의 링크 아암 종단(280)은 제 1 하우징(210)과 원활한 회전을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가진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 1 하우징(210)에는 데이터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장치(23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0)의 상부 이웃한 위치에는 스피커장치(24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0)의 하부 이웃한 위치에는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키 어레이부(250)의 하부 이웃한 위치에는 마이크장치(29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카메라 촬영, 음량조절 등을 할 수 있는 사이드키부(270)가 구비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제 1 하우징(21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놓여지는 제 2 방향(②)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상기 제 2 방향(②)으로 회전한 경우 휴대용 통신 장치는 통화모드 기능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형태가 된다.
도 5에서는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상기 제 1 하우징(210)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0)의 반대 방향인 제 1 방향(①)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하우징(220)이 상기 제 1 방향(①)으로 회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0)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에서는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상기 제 1 하우징(210)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이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30)가 배치된 방향인 제 3 방향(③)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0)을 통해 사용자 본인을 촬영함으로서 상기 사용자 셀프 촬영 및 화상통화 기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7 에서는 상기 제 2 하우징(220)의 평면도로 상기 제 2 하우징(220)에는 휴대용 통신 장치 본래의 통신기능 이외의 부가기능을 위한 카메라 렌즈 모듈(310), 플래쉬(320), IrDA 모듈(330)이 구비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미 도시되었지만, 기타 다른 부가기능모듈이 구비되어 질 수도 있다.
도 8 에서는 상기 제 1 하우징(210)과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연결되는 정면도로, 상기 제 1 하우징(210)과 제 2 하우징(22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성회로(410)와 상기 연성회로(410)가 통과할 수 있는 링크 아암 내부 공간(420) 그리고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링크 아암(260)에 형성된 힌지홀(430) 및 상기 제 1 하우징(210)에 형성된 힌지돌기(440)을 가지는 구성이 도시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 최상단면(450)과 제 2 하우징의 저면(46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대면하는 구성을 가진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 최상단면(450)은 제 1 하우징(210)의 외부로 향하는 곡률을 가지고, 제 2 하우징의 저면(460)은 제 2 하우징(220)의 내부로 향하는 곡률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성에 따라, 카메라 렌즈 모듈(310), 플래쉬(320), IrDA 모듈(330)이 구비된 상기 제 2 하우징(220)이 사용자의 방향조절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①)과 제 3 방향(③) 및 제 2 방향(②)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 1 방향(①) 또는 제 3 방향(③)으로 회전 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 연성회로의 일부분이 구부러지거나 뒤틀린 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방향(②)으로 회전 시는 구부러지거나 뒤틀린 부분이 다시 복원된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 9 에서는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도로,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뒷면 상단 내부에는 내장형 안테나(510)가 구비되고, 상기 내장형 안테나(510)의 하부 이웃한 위치에는 배터리 락커(530) 및 배터리팩(520)이 구비된다.
이와같이 상기 제 1 하우징과 별개의 또 다른 상기 제 2 하우징에 카메라 렌즈 모듈(310), 플래쉬(320), IrDA 모듈(330) 등 부가기능을 위한 부가기능모듈들이 설치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부가기능의 사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점점 복잡해지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실장구조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310), 플래쉬(320), IrDA 모듈(330) 등 부가기능을 위한 부가기능모듈이 제 1 하우징(210)의 내장형 안테나(510)와 같은 전자 부품에 노이즈로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 모듈, 플래쉬, IrDA 모듈 등의 회전 및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부가기능모듈들을 본체 하우징과 별개의 또 다른 하우징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의 안테나와 같은 전자장치에 노이즈로 영향을 미치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켜 휴대용 통신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바-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중 제 2 하우징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중 제 2 하우징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중 제 2 하우징을 제 3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중 제 2 하우징에 내장된 구성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중 제 1, 2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구성 중 내장형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

Claims (14)

  1.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단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을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쌍의 링크 아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인 제 1 방향 및 제 3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놓여지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제 1 방향과 제 2, 3 방향과의 사이의 회전하는 각도는 0 ~ 90도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 플래쉬 또는 아이알디에이(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모듈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항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이웃한 위치에는 스피커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이웃한 위치에는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키 어레이부의 하부 이웃한 위치에는 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진 사이드키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 아암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성회로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는 바 타입(bar-type) 및 플립 타입(flip-type)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아암의 종단은 소정의 곡률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최상단면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저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3.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카메라 렌즈 모듈을 장착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힌지축을 제공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단을 감싸지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을 상기 제 1 하우징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한쌍의 링크 아암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는 외부의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휴대용 통신 장치의 통화모드 기능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제 3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는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을 통해 사용자 본인의 촬영이 용이함으로써 화상통화 기능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40042276A 2004-06-09 2004-06-09 휴대용 통신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276A KR100630097B1 (ko) 2004-06-09 2004-06-09 휴대용 통신 장치
US11/122,136 US7386282B2 (en) 2004-06-09 2005-05-04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CNA200510072329XA CN1708066A (zh) 2004-06-09 2005-05-30 便携式通信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276A KR100630097B1 (ko) 2004-06-09 2004-06-09 휴대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087A true KR20050117087A (ko) 2005-12-14
KR100630097B1 KR100630097B1 (ko) 2006-09-27

Family

ID=3546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2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097B1 (ko) 2004-06-09 2004-06-09 휴대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86282B2 (ko)
KR (1) KR100630097B1 (ko)
CN (1) CN17080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30B1 (ko) * 2005-03-1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WO2015163567A1 (ko) * 2014-04-22 2015-10-29 (주)닛시테크 모바일 단말기
US10704730B2 (en) 2015-12-09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ll-sized camera gimb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8608S (en) * 2004-05-10 2006-10-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Handheld computer/control unit
AU302019S (en) * 2004-06-11 2005-06-09 Nokia Corp A handset
USD523836S1 (en) * 2004-10-13 2006-06-27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523837S1 (en) * 2004-10-28 2006-06-27 Lg Electronics Inc. Phone-combin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D528094S1 (en) * 2004-11-04 2006-09-12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523835S1 (en) * 2004-11-04 2006-06-27 Fih Co., Ltd. Mobile phone
USD536684S1 (en) * 2004-12-08 200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D525228S1 (en) * 2005-01-19 2006-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D536325S1 (en) * 2005-01-26 2007-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26636S1 (en) * 2005-01-27 2006-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ular phone
USD560629S1 (en) * 2005-03-23 2008-01-29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33533S1 (en) * 2005-04-06 2006-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39254S1 (en) * 2005-06-02 2007-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USD554091S1 (en) * 2005-10-07 2007-10-30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60631S1 (en) * 2005-11-30 2008-01-29 Nokia Corporation Handset
US20070207782A1 (en) * 2006-03-06 2007-09-06 Tran Bao Q Multimedia telephone
USD566075S1 (en) * 2006-03-29 2008-04-08 Motorola, Inc. Handheld radio control head
JP2009217804A (ja) * 2007-09-21 2009-09-24 Sony Corp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D634866S1 (en) * 2008-05-16 2011-03-2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Nightlight for an electrical device
CN102487589A (zh) * 2010-12-01 2012-06-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其盖体组件
US8767392B2 (en) * 2011-11-22 2014-07-01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587061B (zh) * 2014-11-19 2017-06-11 曦威科技股份有限公司 外掛閃光燈模組以及使用其之拍照系統
CN105024718B (zh) * 2015-07-03 2016-10-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600449B (zh) * 2018-04-23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504525B (zh) * 2019-09-18 2024-09-20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1457B1 (en) * 1998-05-26 2004-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US6188917B1 (en) * 1998-09-16 2001-02-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rtable telecommunications assembly having user hand-hold, and associated method
KR100678082B1 (ko) * 1998-12-30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US6704417B2 (en) * 2000-03-14 2004-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KR100350504B1 (ko) * 2000-10-3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파워 제어 장치
US7106357B2 (en) * 2001-08-27 2006-09-12 Olympus Optical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feature
JP2003162355A (ja) * 2001-11-26 2003-06-06 Sony Corp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EP1420567A3 (en) * 2002-11-12 2005-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tereo sound
JP4187608B2 (ja) * 2003-08-14 2008-11-2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式無線通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30B1 (ko) * 2005-03-1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WO2015163567A1 (ko) * 2014-04-22 2015-10-29 (주)닛시테크 모바일 단말기
US10704730B2 (en) 2015-12-09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ll-sized camera gimb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8066A (zh) 2005-12-14
US7386282B2 (en) 2008-06-10
US20050277388A1 (en) 2005-12-15
KR100630097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09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454965B1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44397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using capable of both sliding and swinging
KR100842530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WO2005064898A1 (en) Mobile phone configuration
KR20050031662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7414656B2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US744078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8947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575935B1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70502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200339127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72578Y1 (ko)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03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200364949Y1 (ko) 폴더형 휴대 장치
KR20040102483A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46784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플립형 휴대전화기
KR20040069567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20050010577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40078725A (ko) 회전하는 보조기능모듈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