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31662A -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662A
KR20050031662A KR1020030067888A KR20030067888A KR20050031662A KR 20050031662 A KR20050031662 A KR 20050031662A KR 1020030067888 A KR1020030067888 A KR 1020030067888A KR 20030067888 A KR20030067888 A KR 20030067888A KR 20050031662 A KR20050031662 A KR 2005003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ing
communication device
type portable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496B1 (ko
Inventor
임중혁
이창수
박인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96B1/ko
Priority to US10/921,622 priority patent/US7450173B2/en
Publication of KR2005003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 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점점 멀어지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경사 하우징과, 상기 제1경사 하우징과 대면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경사 하우징으로 구성된 경사 하우징; 상기 경사 하우징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 아암; 및 상기 연결 아암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렌즈가 향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회전성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등을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나 피사체 촬영이 편리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에는 인체착용방식에서, 헤드폰 착용 방식이나 안경 착용 방식과 같은 유형으로 착용가능하게 변경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는 렌즈 하우징이 본체 하우징이나 슬라이딩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장착되어서 피사체 촬영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원하는 피사체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는 촬영 자세를 수시로 바꾸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카메라 렌즈 모듈이 외장형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구조도 있으나, 이는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의 분실 위험이 놓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하기에 편리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랑이딩 유무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자동으로 회전하며, 슬라이딩 업인 상태에서는 카메라 렌즈가 본체 하우징 후면 방향을 향하고, 슬라이딩 다운 상태에서는 카메라 렌즈가 본체 하우징 상면 방향으로 향하게 구성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 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점점 멀어지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경사 하우징과, 상기 제1경사 하우징과 대면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경사 하우징으로 구성된 경사 하우징;
상기 경사 하우징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 아암; 및
상기 연결 아암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렌즈가 향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회전성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본체 하우징(10)(body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면(10a)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는 슬라이딩 하우징(20)(sliding housing)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일측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 하우징(40,42)(angled housing)과, 상기 경사 하우징(40,42)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 아암(50,52)(connecting arm)과, 상기 연결 아암(50,52) 사이에 힌지 축(A)(hingw axis)을 중심으로 설치된 회전성 렌즈 하우징(30)(rotational lens hous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은 선형으로(linear)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 하우징의 경사 방향은 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경사 방향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하면(20b)에서 점점 멀어지는 경사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상면(10a)(top surface)과, 하면(10b)(bottom surface) 및 측면들(10c)(sides surface)을 구비한다. 상기 상면(10a)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이동하면 가시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이동하지 않으면 숨겨지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102)가 배치된다. 상기 하면(10b)에는 배터리(106)와, 배터리 충전 단자(108)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106)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착탈된다. 상기 측면들(10c)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110)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은 상면(20a)과, 하면(20b)을 구비한다. 상기 상면(20a)의 상단에는 소정 형상의 카메라 렌즈용 개구(201)(opening)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201)와 이웃하게 스피커 장치(202)가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 장치(202)와 이웃하게 표시 장치(203)(display unit)가 배치되고, 상기 표시 장치(203)와 이웃하게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 어레이(204)가 배치된다. 상기 표시 장치(203)는 엘씨디 모듈(LCD module)이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홀로그램 스크린(hologr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용 개구(201)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에 닫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30)이 완전히 보여지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경사 하우징(40,42)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일측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20b)과 점점 멀어지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경사 하우징(40)과, 상기 제1경사 하우징(40)과 대면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과 대면하는 제2경사 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아암(50,52)은 상기 제1,2경사 하우징(40,42) 각각의 모서리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 아암(50,52)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연결 아암(50,52)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연결 아암(50,52)은 각각 상기 제1,2경사 하우징(40,42)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50,52) 중, 하나의 연결 아암(50)에 안테나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 장치(104)는 상기 제2경사 하우징(40)의 경사 방향으로 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은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50,5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소정의 거리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하면(20b)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302)가 향하고, 이런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이동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10a)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302)가 향하고, 이런 상태가 도 1, 도 2에 도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은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의 동력 원은 반자동이나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 도시된 자동으로 구성되는 동력원은 공지의 모터와, 모터의 속력을 감속하는 감속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 도시된 반자동 동력원은 공지의 랙과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이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과 연동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이 올려진 경우,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은 본체 하우징(10)의 하면 방향으로 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이동 유무는 미 도시된 공지의 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미도시된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자동으로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미 도시된 센서는 공지의 마그네틱 센서, 홀 센서, 근접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슬라이딩 이동 유무에 따라서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의 회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의 회전 각도는 약 180도로 정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상기 렌즈 하우징(30)의 힌지 축(A)은 서로 수직이고, 상기 경사 하우징(40,42)의 경사 방향과 상기 렌즈 하우징(30)의 힌지 축(A)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향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 아암(50,52)과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20b)은 이격되고, 상기 회전성 렌즈 하우징(30)도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20b)과 이격된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302)와 대면하는 위치이기 때문에 상대방과 화상 통화 시에 편리하고, 도 3,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302)와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촬영이 편리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 하우징의 이동 유무에 따라서 회전성 렌즈 하우징의 카메라 렌즈가 피사체 찰영이 편리한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게 구성되어서 사용하게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후면도.
도 5는 도 3의 좌 측면도.
도 6은 도 3의 우 측면도.

Claims (7)

  1.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 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점점 멀어지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경사 하우징과, 상기 제1경사 하우징과 대면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대면하는 제2경사 하우징으로 구성된 경사 하우징;
    상기 경사 하우징의 양 모서리에서 상기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 아암; 및
    상기 연결 아암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렌즈가 향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회전성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도 선형이고, 상기 경사 하우징의 경사 방향도 선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형성된 렌즈 하우징용 개구;
    상기 개구와 이웃하는 스피커 장치;
    상기 스피커 장치와 이웃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와 이웃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3키 어레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과 상기 렌즈 하우징의 힌지 축은 서로 수직으로 향하고, 상기 경사 하우징의 경사 방향과 상기 렌즈 하우징의 힌지 축은 수직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하우징의 경사 방향으로 안테나 장치가 향하게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 아암의 단부도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20030067888A 2003-09-30 2003-09-30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888A KR100703496B1 (ko) 2003-09-30 2003-09-30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US10/921,622 US7450173B2 (en) 2003-09-30 2004-08-19 Slid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888A KR100703496B1 (ko) 2003-09-30 2003-09-30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662A true KR20050031662A (ko) 2005-04-06
KR100703496B1 KR100703496B1 (ko) 2007-04-03

Family

ID=3437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8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496B1 (ko) 2003-09-30 2003-09-30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50173B2 (ko)
KR (1) KR100703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3983B (en) * 2005-12-29 2007-07-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USD562791S1 (en) * 2006-01-23 2008-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57237S1 (en) * 2006-02-10 2007-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47296S1 (en) * 2006-04-18 2007-07-24 Quanta Computer Inc. Mobile phone
KR100845862B1 (ko) * 2006-04-25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555132S1 (en) * 2006-05-15 2007-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63936S1 (en) * 2006-12-14 2008-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USD562300S1 (en) * 2007-03-09 2008-02-19 Firefly Mobile, Inc. Cellular telephone
JP5009099B2 (ja) * 2007-08-30 2012-08-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USD589022S1 (en) * 2008-02-04 2009-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89019S1 (en) * 2008-02-04 2009-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99763S1 (en) * 2008-02-11 2009-09-08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97515S1 (en) * 2008-03-04 2009-08-04 Pantech&Curitel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D590803S1 (en) * 2008-04-23 2009-04-21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91709S1 (en) * 2008-04-23 2009-05-05 Nokia Corporation Handset
CN101621552B (zh) * 2008-07-04 2013-10-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D602925S1 (en) * 2008-07-14 2009-10-27 Nokia Corporation Set of keys for a handset having an illuminating region
USD600667S1 (en) * 2008-08-05 2009-09-22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USD603820S1 (en) * 2008-08-05 2009-11-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USD611020S1 (en) * 2008-10-06 2010-03-02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USD600230S1 (en) * 2008-10-31 2009-09-15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599770S1 (en) * 2008-10-31 2009-09-08 Nokia Corporation Handset
KR101891149B1 (ko) * 2012-01-11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682550A (zh) * 2017-09-29 2018-02-09 联想(北京)有限公司 切换摄像头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481292B1 (ko) *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06296B1 (ko) * 2018-11-29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115861A (ko) 2019-03-28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84574B (zh) * 2019-11-04 2021-02-02 深圳纳百鑫光学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的旋转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106A (ko) * 2002-03-08 2004-10-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통신장치와, 이동체 통신장치의 표시제어방법
JP4051978B2 (ja) * 2002-03-27 2008-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100605862B1 (ko) * 2002-07-0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JP2004056383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KR20040031166A (ko) * 2002-10-04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회전 개폐형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506223B1 (ko) * 2003-04-24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0551426B1 (ko) * 2003-08-27 2006-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연동장치를 갖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099533A1 (en) * 2003-11-10 2005-05-12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TWM249388U (en) * 2004-01-30 2004-11-01 High Tech Comp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0344A1 (en) 2005-03-31
US7450173B2 (en) 2008-11-11
KR100703496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96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2005003898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13433B1 (ko)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663504B1 (ko)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0349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557079B1 (ko)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501B1 (ko)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KR10046985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469703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50023896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53227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1058654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364949Y1 (ko) 폴더형 휴대 장치
KR100678137B1 (ko) 게임 겸용 슬림형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