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12237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237A
KR20050112237A KR1020040037165A KR20040037165A KR20050112237A KR 20050112237 A KR20050112237 A KR 20050112237A KR 1020040037165 A KR1020040037165 A KR 1020040037165A KR 20040037165 A KR20040037165 A KR 20040037165A KR 20050112237 A KR20050112237 A KR 2005011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door unit
heat exchanger
disposed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2237A/ko
Priority to CNB2005100023589A priority patent/CN1333209C/zh
Priority to ES200500102A priority patent/ES2263366B1/es
Priority to IT000030A priority patent/ITTO20050030A1/it
Publication of KR2005011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anal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with special fibres being a mixture of fibres
    • A61F2013/510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with special fibres being a mixture of fibres with pulp and polymeric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 그리고 압축기와 서비스 밸브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냉매관들의 배관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외기는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부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송풍팬, 송풍팬의 전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하우징에서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들을 개폐하는 복수의 서비스 밸브를 구비한다. 서비스 밸브는 하우징의 상면판의 후방에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의 대략 중간높이에서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송풍팬과 열교환기, 그리고 압축기와 서비스 밸브의 배치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증발기와 응축기, 그리고 압축기가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일체형 타입과,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되고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는 분리형 타입으로 구분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관들에 의해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연결되는데, 최근에는 여러 실내공간을 냉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실내기에 하나의 실외기가 연결되는 멀티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이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다수개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하나의 실외기는 하나의 실내기에만 연결되어 사용되는 실외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압축용량과 응축용량이 요구되어 압축기와 응축기의 크기가 증대됨에 따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다수의 실내기가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멀티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용 실외기에서는 응축용량이 커진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응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송풍팬이 설치되게 되며, 이에 따라 송풍팬들과 압축기의 작동에 따른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의 내부에서 송풍팬들과 응축기, 그리고 압축기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게 됨은 물론, 압축기와 송풍팬들에서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하게 되어서 큰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어 주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송풍팬들과 압축기, 그리고 응축기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들을 개폐하는 서비스 밸브가 실외기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외기와 연결되는 냉매관들의 배치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배관 배치비용과 시간이 증대됨은 물론, 실외기의 수리 및 점검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열교환기, 그리고 압축기와 서비스 밸브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하우징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고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냉매관들의 배관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상부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전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들을 개폐하는 복수의 서비스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들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면판의 후방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대략 중간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들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판에는 상기 송풍팬에 대향하여 위치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흡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와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 압축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설치된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일측에 마련된 토출구, 상기 열교환기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토출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흡입구,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들을 개폐하는 복수의 서비스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면판의 후방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송풍팬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는 상기 상부공간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에 이르는 높이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외기의 외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선 IV-IV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이하에서는 '실외기'라 칭함)는 전면판(11)과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3), 그리고 상면판(14)과 바닥판(15)을 구비하여 대략 박스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0)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7)과 하부공간(18)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구획판(16)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부공간(17)에는 열교환기(20)와 한 쌍의 송풍팬(30)이 배치되고, 하부공간(18)에는 압축기(40)가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면판(14)의 후단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14a)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해 실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실내기(미도시)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1)를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관(51)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20)와 압축기(40)를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관(52)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한 복수의 서비스 밸브(50)가 설치된다.
실내기들과 실외기(1)를 연결하는 냉매관(51)들은 상기 서비스 밸브(50)들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40)와 열교환기(20)와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관(52)들과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밸브(50)들을 개방하게 되면 실내기들과 실외기(1)를 연결하는 냉매관(51)들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냉매관(52)들을 통해 냉매가 순환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서비스 밸브(50)들을 폐쇄하게 되면 냉매의 순환이 차단됨으로써 실외기(1)를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1)는 서비스 밸브(50)가 하우징(10)의 상면판(14)에 설치되어서 실내기와 연결되는 냉매관(51)들이 실외기(1)의 상부로부터 실외기(1)의 내부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냉매관(51)들이 짧은 길이로 하우징(10)에 배치된 냉매관(52)들과 연결될 수 있게 됨은 물론, 배관배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서비스 밸브(50)들이 하우징(10)의 상면판(14)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비스 밸브(50)들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면판(14)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20)는 하우징(10)의 전면판(11)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부분(21)과, 상기 제 1 부분(21)으로부터 벤딩되어 하우징(10)의 일 측면판(13)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 2 부분(22)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송풍팬(30)은 선단부에 토출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각 케이싱(32)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 송풍팬(30)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구동모터(31)의 양단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10)의 상부공간(17)에는 한 쌍의 송풍팬(30)이 케이싱(32)의 내부에서 그 사이에 배치된 구동모터(31)의 양단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게 되며, 케이싱(32)의 토출부(33)는 하우징(10)의 상부 전면판(11a)에 마련된 토출구(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하부 전면판(11b)과 구획판(16), 그리고 바닥판(15)과 양 측면판(13)에 의해 밀폐된 하부공간(18)에는 압축기(40)가 설치되어서 압축기(40)의 작동소음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서비스 밸브(50)들에 연결된 복수의 냉매관(52)들이 하향으로 연장되어 압축기(40)와 열교환기(20)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냉매관(52)들은 서비스 밸브(50)들을 통해 상향으로 연장하여 복수의 실내기로 연장되는 냉매관(51)들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들과 연결된 냉매관(51)들이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된 서비스 밸브(50)들에 의해 하우징(10)의 상부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냉매관(52)들과 연결되기 때문에 냉매관(51)들이 하우징(10)의 하부까지 연장하여 배치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냉매관(51)들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게 되며, 배관배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전면판(11)은 상부공간(17)에 대응하는 상부 전면판(11a)과 하부공간(18)에 대응하는 하부 전면판(11b)으로 분리 구성되어 이 상부 전면판(11a)과 하부 전면판(11b)을 분리하게 되면 각각 상부공간(17)과 하부공간(18)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전면판(11a)에는 상부공간(17)에 수직으로 배치된 송풍팬(30)들에 의해 외부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된 후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입구(2)와 토출구(3)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2)는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20)를 거치도록 하기 위해 열교환기(20)의 전방에 배치되고, 토출구(3)는 열교환기(20)를 거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각 송풍팬(30)을 둘러싸는 각 케이싱(32)의 토출부(33)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송풍팬(30)들이 상부공간(17)의 일측에 배치됨에 따라 송풍팬(30)들의 전방에 마련된 토출구(3)는 상부 전면판(11a)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된다. 또한, 케이싱(32)의 토출부(33)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열교환기(20)가 하우징(10)의 전면과 일측면을 따라 배치됨에 따라 흡입구(2)는 토출구(3)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부 전면판(11a)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층을 이루어 유동하여 열교환기(20)의 전 표면을 통과하게 되고, 계속해서 케이싱(32)의 토출부(33)들을 통해서 토출구(3)로 토출되게 되어서 열교환기(20)의 전체면적을 통한 균일한 유속분포를 갖게 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고 공기의 유동소음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상부공간(17)과 하부공간(18)은 흡입구(2)와 토출구(3)가 마련되어 상부공간(17)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부 전면판(11a)을 제외하고는 하부 전면판(11b)과 후면판(12)과 양 측면판(13), 그리고 상면판(14)과 바닥판(15)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은 흡입구(2)와 토출구(3)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판(11)만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건물의 외벽에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밀폐된 하부공간(18)에서 바닥판(15)에 고정되는 압축기(40)에서 발생하는 작동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 최대한으로 억제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발산되는 소음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송풍팬(30)이 그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구동모터(31)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부공간(17)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20)는 송풍팬(30)들의 전방에서 상부공간(17)의 전방과 측방을 따라 배치되어 하우징(10)의 양 측면판(13)의 길이, 즉 하우징(10)의 폭 또는 깊이가 매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실외기(1)는 바닥판(15)이 매우 작은 면적을 갖게 되어 하우징(10)의 설치면적이 크게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외기(1)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됨은 물론,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전면판(11)을 분리하게 되면 하우징(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서 열교환기(20)와 송풍팬(30), 그리고 압축기(40)의 점검과 수리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공간(17)에는 열교환기(20)의 제 1 부분(21)이 흡입구(2)를 따라 배치되고, 그 후방에는 케이싱(32)의 토출부(33)들이 토출구(3)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열교환기(20)의 제 2 부분(22)은 송풍팬(30)들의 반대쪽에서 열교환기(20)의 제 1 부분(21)에서 멀어질수록 하우징(10)의 측면판(13)에 인접하게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열교환기(20)의 제 2 부분(22)은 하우징(10)의 측면판(13)과의 거리가 하우징(10)의 선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하우징(10)의 측면판(13)에 대해 경사를 이루어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0)의 상부 전면판(11a)에 마련된 흡입구(2)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기(20)의 제 2 부분(22)의 전체면을 통해 균일하게 통과되어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1)는 하부공간(18)에 배치된 압축기(40)와 함께 상부공간(17)에 배치된 구동모터(31)를 작동시키게 되면 한 쌍의 송풍팬(3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부 전면판(11a)의 일측면에 마련된 흡입구(2)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기(20)의 제 1 부분(21)과 제 2 부분(22)을 거쳐서 열교환기(20)의 전체 열교환면을 균일하게 통과하게 된다.
열교환기(20)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는 계속해서 구동모터(31)와 각 송풍팬(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케이싱(32)의 내부로 흡입되어 케이싱(32)의 토출부(33)로 안내된 후에 흡입구(2)의 반대측에서 상부 전면판(11a)에 마련된 토출구(3)를 통해 하우징(10)을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외기(1)를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 서비스 밸브(50)가 폐쇄되도록 하면 실내기들과 연결된 냉매관(51)들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냉매관(52)들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서비스 밸브(50)들이 하우징(10)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 대신에 서비스 밸브(50a)들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대략 중간지점에 배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밸브(50a)들은 하우징(10)의 내부를 상부공간(17)과 하부공간(18)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6)의 상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기들과 연결되는 냉매관(51)들과, 열교환기(20)와 압축기(40)와 연결되는 냉매관(52)들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대략 중간지점에 배치된 서비스 밸브(50a)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렇게 서비스 밸브(50a)들이 하우징(10)의 중간지점에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작업자가 서비스 밸브(50a)에 접근하기가 용이하여 실외기(1)의 점검과 수리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냉매관(51)(52)들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하우징이 구획판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되고, 한 쌍의 송풍팬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하우징이 작은 폭을 가진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우징의 설치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실외기를 건물의 외벽에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하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구와 토출구가 하우징의 전면판에서 좌우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각각 흡입구와 토출구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여 열교환기의 전체 열교환면을 통과하게 되어서 유동소음이 크게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가 설치되는 하부공간이 외부와 밀폐되는 구조를 가져서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이 하우징의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의 작동에 따른 불쾌감의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내기들과 연결되는 냉매관들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냉매관들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서비스 밸브가 하우징의 상부 또는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실외기의 수리 및 점검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냉매관들의 배치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배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외면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IV-IV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흡입구 3: 토출구
10: 하우징 11a: 상부 전면판
11b: 하부 전면판 17: 상부공간
18: 하부공간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31: 구동모터
32: 케이싱 40: 압축기
50,50a: 서비스 밸브 51,52: 냉매관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하부공간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상부공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전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들을 개폐하는 복수의 서비스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들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판의 후방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대략 중간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들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판에는 상기 송풍팬에 대향하여 위치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흡입구가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와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하우징, 압축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전방에 설치된 열교환기, 상기 송풍팬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일측에 마련된 토출구, 상기 열교환기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토출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흡입구,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관들을 개폐하는 복수의 서비스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들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판의 후방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대략 중간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관들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압축기와 열교환기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시키는 구획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밸브는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송풍팬은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는 상기 상부공간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에 이르는 높이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40037165A 2004-05-25 2004-05-25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112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65A KR20050112237A (ko) 2004-05-25 2004-05-25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B2005100023589A CN1333209C (zh) 2004-05-25 2005-01-19 空调的室外单元
ES200500102A ES2263366B1 (es) 2004-05-25 2005-01-19 Unidad exterior de un acondicionador de aire.
IT000030A ITTO20050030A1 (it) 2004-05-25 2005-01-21 Unita' esterna di condizionatore d'aria del tipo divis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65A KR20050112237A (ko) 2004-05-25 2004-05-25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37A true KR20050112237A (ko) 2005-11-30

Family

ID=3563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65A KR20050112237A (ko) 2004-05-25 2004-05-25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50112237A (ko)
CN (1) CN1333209C (ko)
ES (1) ES2263366B1 (ko)
IT (1) ITTO20050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1237B (zh) * 2018-07-30 2023-11-03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室外机壳体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3722B2 (ja) * 1994-09-16 2001-10-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3723856B2 (ja) * 1995-09-14 2005-1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で熱交換能力が高い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460672B2 (ja) * 2000-04-28 2003-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2130743A (ja) * 2000-10-30 2002-05-09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外熱交換器ユニット構造、室外機ユニット及び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2003106568A (ja) * 2001-09-28 2003-04-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3209C (zh) 2007-08-22
CN1702387A (zh) 2005-11-30
ES2263366A1 (es) 2006-12-01
ITTO20050030A1 (it) 2005-11-26
ES2263366B1 (es)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7901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CN108119963B (zh) 室外机及具有其的空调器
EP2985542A1 (en) Decorative panel and air-conditioner in-room unit provided with same
KR101156295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실외기 설치 시스템
KR20030036302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JP5123018B2 (ja) 空調装置
KR980010170A (ko) 공기조화기
KR20080019357A (ko) 공기조화기
KR20050012223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7023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KR20050112237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08589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5507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7306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및 분리형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10057259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4045029A (ja) 換気システム
CN213119324U (zh) 一种空调室外机前面板
KR100615786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대용량 실외기
KR1006240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11223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08129B1 (ko) 공기조화기
JP2002267208A (ja) 室外ユニット
KR2016007782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982857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20060124391A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