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04666A -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666A
KR20050104666A KR1020040030022A KR20040030022A KR20050104666A KR 20050104666 A KR20050104666 A KR 20050104666A KR 1020040030022 A KR1020040030022 A KR 1020040030022A KR 20040030022 A KR20040030022 A KR 20040030022A KR 20050104666 A KR20050104666 A KR 2005010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l
time
etherne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윤
권서원
송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4666A/ko
Priority to US11/005,203 priority patent/US20050243838A1/en
Priority to CNA2005100529425A priority patent/CN1694457A/zh
Priority to JP2005124545A priority patent/JP2005318591A/ja
Priority to EP20050009366 priority patent/EP1592180A3/en
Publication of KR2005010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기존의 이더넷 MAC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차별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기화 이더넷을 적용하기 위한 MAC 클라이언트와 기존의 MAC 계층 간의 중간 처리를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와 하위 이더넷 MAC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비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의 입력받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전송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이터 스케줄링부; 및 상기 데이터 스케줄링부의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동기화 이더넷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 데이터 전송 방법{Ethernet MAC Adaptation Apparatus for Real Time Service and Its Data Transmitting Method}
본 발명은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이더넷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더넷(Ethernet)은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된 근거리통신망 기술이다. 이제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있지만, 이더넷은 원래 제록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제록스와 DEC 그리고 인텔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더넷 랜은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 또는 특별한 등급이 매겨진 비차폐 연선을 사용한다.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된 이더넷 시스템은 10BASE-T 이라고 불리며, 10 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모든 장치들은 케이블에 접속되며, IEEE 802.3에서 규정된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쟁적으로 액세스한다. 고속 이더넷이나 100BASE-T 등은 전송속도가 최고 100 Mbps까지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10BASE-T 카드가 장착된 워크스테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망의 백본으로 많이 사용된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1,000 Mbps 정도로 보다 높은 수준의 백본 속도를 지원한다.
종래의 이더넷은 IEEE 802.3에서 규정된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쟁적으로 액세스하기 때문에, IFG(Inter Frame Gap)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프레임을 이더넷 프레임으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위 서비스 프레임의 종류에 상관없이 발생 순서대로 전송을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이더넷의 계층 구조와 각 계층간의 서비스 근원(Primitive)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더넷의 계층 구조는 이더넷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위 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클라이언트(100)와 MAC 클라이언트(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더넷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IEEE 802.3 MAC 서브 계층(2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MAC 클라이언트(100)와 IEEE 802.3 MAC 서브 계층(이하에서는 MAC 계층으로 함)(200)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MA_DATA.request"와 "MA_DATA.indication"라는 서비스 프리미티브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MA_DATA.request"는 프레임을 전송할때, "MA_DATA.indication"은 프레임을 수신할때 사용한다.
즉, 그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MAC 클라이언트(100)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MA_DATA.request"를 사용하여 MAC 계층(200)으로 알린다. 이때 MAC 계층(200)에서 전송가능한 상태가 되면 MA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상위 데이터를 MAC 프레임으로 인캡슐레이션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MAC 계층(200)에서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을 MAC 클라이언트(100)로 전달할 경우에는 "MA_DATA.indication"을 사용하여 수신한 이더넷 프레임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IEEE 802.3 에서 정의하는 이더넷은 상위 서비스를 구분없이 순서대로 전송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특히, 종래의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순서없이 경쟁적인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CSMA/CD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 는 종래의 이더넷에서의 CSMA/CD 방식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2a를 보면, 디바이스 A(13)가 먼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중(21)에 디바이스 B(14)와 디바이스 C(15)에서 패킷 전송을 하려는 경우(22, 23), 이미 네트워크를 디바이스 A(13)가 사용중이므로 해당 데이터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 후, IFG(Inter-Frame Gap)(24)만큼을 기다려서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 B(14)와 디바이스 C(15)가 동시에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충돌에 대한 처리 방법에 대해 도 2b를 보면, 충돌이 일어남을 디바이스 B(14)와 디바이스 C(15)가 감지하면, IFG(24)후에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랜덤 딜레이(25, 26)만큼을 기다린 후 패킷을 전송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충돌 발생시 전송 디바이스들(14, 15)은 장애를 감지하게 되며 "Jam"이라는 일련의 비트 시퀀스(bit sequence)를 네트워크 망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Jam"으로 인하여 다른 전송을 희망하는 디바이스도 충돌 발생을 인지하게 되며, 랜덤한 기간 경과 후에 각 디바이스들은 패킷을 다시 전송하고자 하며 초기의 진행상태가 된다.
이상의 과정에 따라 도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디바이스 B(14)의 랜덤딜레이(25)가 디바이스 C(15)의 랜덤딜레이(26)보다 짧으므로 먼저 디바이스 B(14)의 패킷(22)이 전송된다.
한편, 이더넷은 서로 다른 여러 단말 사이에 또는 여러 사용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익숙하게 접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다. 이러한 이더넷은 전송 시간지연에 민감한 동영상이나 음성전달에 적합하지 않은 기술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기존의 이더넷을 이용하여 영상/음성과 같은 동기화 데이터(Synchronous data)를 전송하고자 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논의 되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이더넷을 동기화 이더넷(Synchronous Ethernet)이라 한다.
도 3 은 일반적인 동기화 이더넷에서의 전송 사이클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논의되고 있는 통상의 동기화 이더넷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사이클을 125usec 단위의 1 사이클로 구성하며, 각각의 사이클에는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Sync 데이터부(31) 및 비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Async 프레임부(32)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동기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Sync 데이터부(31)는 전송 사이클에서 가장 우선권을 가진 데이터부로 현재 논의 중인 안에 따르면 각각 738 바이트로 구성된 서브 동기화 프레임이 디폴트(defalt)값으로 10개 포함된다(물론 논의 중이 안은 변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비동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Async 데이터부(32)는 Sync 데이터부(31)를 위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해당 영역에 가변적인 비동기 데이터들이 프레임 단위로 포함된다.
이와 같은 동기화 이더넷은 Async 데이터와 Sync 데이터를 나누고,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프레임의 할당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 1 에서와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지는 기존의 CSMA/CD 방식의 경쟁적 액세스 방식으로는 수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상의 동기화 이더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은 계층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MAC 계층(200)의 동작을 모두 새롭게 정의해야 하고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던 이더넷 MAC 장비들을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이더넷 MAC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차별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기화 이더넷을 적용하기 위한 MAC 클라이언트와 기존의 MAC 계층 간의 중간 처리를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와 하위 이더넷 MAC(Media Access Control)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비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의 입력받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전송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이터 스케줄링부; 및 상기 데이터 스케줄링부의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와 하위 이더넷 MAC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의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실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이면 상기 상위 클라이어트 장비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고, 비실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이면 상기 상위 클라이어트 장비로부터 비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를 통해 전송을 위한 1사이클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계층 구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계층 구조는, 도 1 에서 도시한 종래의 상위 계층인 MAC 클라이언트(100)와 MAC 클라이언트(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더넷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3 MAC 서브 계층(200)외에 MAC 클라이언트(100)와 IEEE 802.3 MAC 서브 계층(200) 사이에 존재하며,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통해 동기화 이더넷 방식의 데이터 처리가 기존의 MAC 계층에서 수행이 되도록 지원하는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Ethernet Service Adaptation sublayer)(300)을 포함시킨다. 이때, MAC 클라이언트(100)는 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1)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비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2)로 나눌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통해 그 동작을 살펴보면,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Ethernet Service Adaptation sublayer)(300)은 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1)와 비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2)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 프리미티브 기능과,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를 차등화 하여 IEEE 802.3 MAC 서브 계층(200)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기능과, 송수신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전달된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IEEE 802.3 MAC 서브 계층(이하에서는 MAC 계층으로 함)(200)으로 스케줄링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은 MAC 계층(200)과의 사이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기존의 IEEE 802.3 MAC 표준을 사용한다.
즉,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과 MAC 계층(200)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MA_DATA.request"와 "MA_DATA.indication"라는 서비스 프리미티브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MA_DATA.request"는 프레임을 전송할때, "MA_DATA.indication"은 프레임을 수신할때 사용한다. 그 동작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한편,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과 MAC 클라이언트(100) 사이에는 새로운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정의한다. 즉,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MA_DATA_SYNC.request",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MA_DATA_ASYNC.request",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MA_DATA_SYNC.indication" 및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MA_DATA_ASYNC.indication"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 프리미티브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송신 과정은 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1)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MA_DATA_SYNC.request"를 이용하여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으로 요청한다. 또한, 비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2)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MA_DATA_ASYNC.request"를 사용하여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으로 요청한다.
그리고, 요청을 받은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은 MAC 계층(200)으로 통상의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MA_DATA.request"를 사용하여 요청을 한다.
이때, 도 3과 같은 형식의 프레임이 형성되도록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에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즉, MAC 계층(200)에서는 CSMA/CD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레임을 구성하지만,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에서 해당 프레임이 도 3에서와 같은 동기화 이더넷 프레임으로 구성이 되도록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케줄링에 대해서는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그 스케줄링이 틀려지고 그 방식도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언급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전송은 사이클 단위로 이루어진다. 한 사이클을 실시간 구간과 비실시간 구간을 나누어서 해당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선택해서 MAC 계층(2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 과정은 아래와 같다. "MA_DATA.indication"를 MAC 계층(200)으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프레임의 종류를 구분하여 프레임 종류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이면 "MA_DATA_SYNC.indication"를 이용하여 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1)로 수신을 알린다. 반면, 비실시간 데이터이면 "MA_DATA_ASYNC.indication"를 이용하여 비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2)로 수신을 알린다.
이상과 같은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은 각각의 이더넷 장비에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는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30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예컨대, 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1))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와,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예컨대, 비실시간 MAC 클라이언트(100-2))로부터의 비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와,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및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의 입력받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전송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이터 스케줄링부와, 데이터 스케줄링부의 스케줄링에 따라 하위 이더넷 MAC 장비(예컨대, MAC 계층(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또는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 전달하는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에서 하위 MAC 계층(200)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51).
그리고,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면,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위하여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시간인지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시간인지를 확인한다(52).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나누어 하나의 전송 사이클을 구성한 후 하위 MAC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확인 결과,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시간이면, 상위 계층(즉, MA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53). 이때, 데이터 전송 요청은 실시간 데이터이므로 "MA_DATA_SYNC.request"로 수신된다.
한편, 확인 결과,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 시간이면, 상위 계층(즉, MAC 클라이언트(100))로부터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54). 이때, 데이터 전송 요청은 비실시간 데이터이므로 "MA_DATA_ASYNC.request"로 수신된다.
그리고, 전송을 위한 1사이클의 데이터가 생성되면, 하위 MAC 계층(200)으로 "MA_DATA.request"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1사이클의 데이터를 전송한다(5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이더넷 MAC 계층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데이터 전용 이더넷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망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이더넷의 계층 구조와 각 계층간의 서비스 근원(Primitive)에 대한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b 는 종래의 이더넷에서의 CSMA/CD 방식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 예시도.
도 3 은 일반적인 동기화 이더넷에서의 전송 사이클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계층 구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화 이더넷 서비스 적응 서브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Claims (6)

  1.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와 하위 이더넷 MAC(Media Access Control)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비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의 입력받은 데이터의 특성에 따른 전송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데이터 스케줄링부; 및
    상기 데이터 스케줄링부의 스케줄링에 따라,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는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MA_DATA_SYNC.request"와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MA_DATA_SYNC.indication"의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비실시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MA_DATA_ASYNC.request"와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MA_DATA_ASYNC.indication"의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와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
  5.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한 실시간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와 하위 이더넷 MAC 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의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인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실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이면 상기 상위 클라이어트 장비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고, 비실시간 데이터 전송 시간이면 상기 상위 클라이어트 장비로부터 비실시간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를 통해 전송을 위한 1사이클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하위 이더넷 MAC 장비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상위 클라이언트 장비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상기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MA_DATA_SYNC.request"와 상기 비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의 요청을 위한 "MA_DATA_ASYNC.request"의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40030022A 2004-04-29 2004-04-29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KR20050104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22A KR20050104666A (ko) 2004-04-29 2004-04-29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US11/005,203 US20050243838A1 (en) 2004-04-29 2004-12-06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 adaptation apparatus for real-time service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CNA2005100529425A CN1694457A (zh) 2004-04-29 2005-03-02 用于实时服务的以太网mac适应装置及使用其的数据传输方法
JP2005124545A JP2005318591A (ja) 2004-04-29 2005-04-22 実時間サービスのためのイーサネットmac適応装置及びそのデータ伝送方法
EP20050009366 EP1592180A3 (en) 2004-04-29 2005-04-28 Ethernet MAC adaptation for real-time ser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22A KR20050104666A (ko) 2004-04-29 2004-04-29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666A true KR20050104666A (ko) 2005-11-03

Family

ID=3493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22A KR20050104666A (ko) 2004-04-29 2004-04-29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43838A1 (ko)
EP (1) EP1592180A3 (ko)
JP (1) JP2005318591A (ko)
KR (1) KR20050104666A (ko)
CN (1) CN16944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21B1 (ko) * 2008-03-26 2011-08-10 주식회사 코아로직 차등적 데이터 전송 장치와 재생 장치 및 그 방법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291B1 (ko) 2006-06-29 200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채널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과 그 장치
CN103533043B (zh) * 2013-10-11 2016-04-06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rest的云存储服务的计费方法
CN108259275A (zh) * 2016-12-28 2018-07-06 威海北洋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以太网数据传输装置
US11464054B2 (en) * 2019-07-24 2022-10-04 Sony Group Corporation RTA contention collision avoid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702A (ja) * 2000-11-22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分割方法、それを実行する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ルータ装置
KR20030037650A (ko) * 2001-11-07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tm교환기의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79454A (ko) * 2002-04-04 2003-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3846B1 (en) * 1998-07-10 2002-11-19 Honeywell Inc. Middleware-based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
US6909717B1 (en) * 1998-10-21 2005-06-21 Peter Higgins Real time ethernet protocol
US7047319B2 (en) * 2001-02-15 2006-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collision-free protocol over ethernet
US7411966B2 (en) * 2001-03-16 2008-08-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coupling data networks
EP1381198B1 (en) * 2002-07-08 2007-05-23 Sony Deutschland GmbH Convergence layers for network device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raffic
DE10249851A1 (de) * 2002-10-25 2004-05-13 Elektro Beckhoff Gmbh Unternehmensbereich Industrie Elektronik Verfahren, Schnittstelleneinheit und Knoten zur parallelen Nutzung eines Kommunikationsnetzwerkes für Echtzeitanwendungen und Nicht-Echtzeitanwendung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702A (ja) * 2000-11-22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分割方法、それを実行する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ルータ装置
KR20030037650A (ko) * 2001-11-07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tm교환기의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79454A (ko) * 2002-04-04 2003-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21B1 (ko) * 2008-03-26 2011-08-10 주식회사 코아로직 차등적 데이터 전송 장치와 재생 장치 및 그 방법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2180A3 (en) 2006-02-01
US20050243838A1 (en) 2005-11-03
EP1592180A2 (en) 2005-11-02
JP2005318591A (ja) 2005-11-10
CN1694457A (zh)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2847B2 (ja) イーサネットに対する全二重フロー制御
US964145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transmission delay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086981B1 (ko) 통신시스템의 마스터 스테이션과 액세스 제어 방법
JP4040762B2 (ja) 媒体アクセスコントローラからのパケット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564665B2 (ja) 一般的なシリアルバスプロトコルの範囲を拡張する方法並びに装置
US8406250B2 (en)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0802886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s in audio/video bridging enabled networks
US20110310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control plane in a distributed network
US5940401A (en) Carrier extension for gigabit/second ethernet networks operable up to at least 200 m distances
US20060104302A1 (en) Method of configuring system layers for synchronous Ethernet
US20150229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Rate of Data Transmission in Ethernet
KR20050104666A (ko)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이더넷 mac 적응 장치와 그데이터 전송 방법
US20110305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hysical Layer Device Interface Capability for Backward Support of Fast Retrain
US20020178291A1 (en) Minimal latency serial media independent interface to media independent interface converter
Zhang et al. Home entertainment network: Combination of IEEE 1394 and ultra wideband solutions
JP2006262474A (ja) レジデンシャル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システムにおける等時性データと非同期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スーパーフレームの構成方法
US20060230147A1 (en) Asynchronous frame transmission method for strictly ensuring beginning of super frame in residential ethernet
JP4134127B2 (ja) 同期化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ミングマスター選定方法
KR101356905B1 (ko) 이더넷 l2 스위치 장치 및 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800880B1 (ko) 동기화 이더넷을 위한 계층화 처리 장치 및 방법
MXPA04012696A (es) Dispositivo de capa de vinculo de datos con dos modos de transmision para una barra colectiva de comunicacion en serie.
JP2004112060A (ja) スイッチ装置
Moorthy Gigabit ethernet
Tam Evaluation of local area network technology
Tusch Measurements on real-time performance of a token ring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830

Appeal identifier: 2006101008864

Request date: 200610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002

Effective date: 200708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8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1002

Decision date: 20070830

Appeal identifier: 2006101008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