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04247A -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247A
KR20050104247A KR1020040029624A KR20040029624A KR20050104247A KR 20050104247 A KR20050104247 A KR 20050104247A KR 1020040029624 A KR1020040029624 A KR 1020040029624A KR 20040029624 A KR20040029624 A KR 20040029624A KR 20050104247 A KR20050104247 A KR 2005010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shock absorber
manufacturing process
absorber manufacturin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497B1 (ko
Inventor
한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2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49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49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7Calendar blocks in which the calendar sheet or sheets are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 외부관의 어셈블리에 오일과 피스톤 로드 어셈블리가 조립된 쇽업소버(1)가 파레트(100) 상에 안착되어 로딩되는 베이스(200)와, 베이스(200)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양측 상에 설치되어 쇽업소버(1)를 센터링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300)와, 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30)의 전조부(31)를 척킹하여 승하강 이동되는 척킹장치(400)와, 프레임(210)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30)의 인장시 피스톤 로드(30)에 밀착되어 있는 오일씰(40)이 같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오일씰(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오일씰 누름장치(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쇽업소버의 제조 공정 중에서 자동화 시스템으로 피스톤 로드가 최장의 뽑힌 상태에서 코킹 또는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생산성과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PULLING SYSTEM OF PISTON ROD FOR A SHOCK ABSORBER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타입의 쇽업소버 제조 공정을 개선한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는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져 감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통상적으로 오일이 충진된 유압식 쇽 업소버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상에 스프링(2)이 상하로 각각 어퍼스프링시트(3)와 로어스프링시트(4)를 매개로 지지되어 장착되는 종래의 쇽 업소버(1)는 오일이 가득 채워진 내부관(20)과, 그 외측으로 오일이 절반정도 채워진 외부관(10), 그리고 일단은 내부관(20)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외부관(10)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30)와, 피스톤 로드(30)의 단부에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32)가 마련된다.
그리고 외부관(10)의 상단에는 오일 및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일씰(40)이 설치되며, 오일씰(40)의 하부에는 피스톤 로드(3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피스톤 로드(30)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로드 가이드(5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쇽업소버(1)를 제조하는 조립 공정은 외부관(10)과 내부관(20)의 튜브 어셈블리에 오일(oil)과 피스톤 로드(30)의 어셈블리를 조립한 후, 코킹 또는 용접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위의 조립 공정 중에서 코킹 또는 용접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피스톤 로드(30)가 최장 상태로 반드시 빠져 있어야 한다. 이는 피스톤 로드(30)의 최초 조립 상태보다 밑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오일이 주입되고 코킹 또는 용접으로 밀봉이 이루어지면, 이후 작업자가 피스톤 로드(30)를 임의로 뽑아도 다시 밀봉시 상태의 길이로 되돌아가게 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진 제품은 차량에 제대로 장착할 수 없게 되어 이러한 쇽업소버(1)는 불량품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조립 공정이 지연되거나 또는 종종 자중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30)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립 지연이 생기면 수작업으로 피스톤 로드(30)를 최장 상태로 뽑은 후, 코킹 또는 용접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쇽업소버의 제조 공정 중에서 자동화 시스템으로 피스톤 로드가 최장의 뽑힌 상태에서 코킹 또는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에 있어서, 내, 외부관의 어셈블리에 오일과 피스톤 로드 어셈블리가 조립된 쇽업소버가 파레트 상에 안착되어 로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측 상에 설치되어 쇽업소버를 센터링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의 전조부를 척킹하여 승하강 이동되는 척킹장치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 피스톤 로드에 밀착되어 있는 오일씰이 같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오일씰의 상면을 가압하는 오일씰 누름장치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부분 발췌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부분 발췌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씰 누름장치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씰 누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씰 누름장치의 지그 저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은, 쇽업소버(1)가 파레트(100) 상에 안착되어 로딩되는 베이스(200)와, 베이스(200)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210)과, 파레트(100) 상의 쇽업소버(1)를 센터링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300)와, 피스톤 로드(30)의 전조부(31)를 척킹하여 승하강 이동시키는 척킹장치(400)와, 오일씰(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오일씰 누름장치(50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사각의 베이스(200)에는 컨베이어(110)가 가로질러서 지나가게 설치되며, 컨베이어(110) 상에는 복수개의 파레트(100)가 설치되어 이송된다.
그리고 파레트(100) 상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축 스카라 로봇에 의하여 내부관(20)과 외부관(10)의 어셈블리에 오일과 피스톤 로드(30) 어셈블리가 조립된 쇽업소버(1)가 로딩된다.
베이스(200)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 방향으로 프레임(210)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10)의 중단 양측으로는 쇽업소버(1)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장치(300)가 복수개 설치된다.
클램핑장치(300)는 에어실린더(304)의 작동으로 전, 후진 이동되며, 외부관(10)의 양측에서 센터링한 후,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장치(300)는, 프레임(210) 상에 고정되는 브라켓(302)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302)에 에어실린더(304)가 설치된다.
에어실린더(304)의 일단에는 외부관(10)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는 클랭핑블록(306)이 설치된다. 클램핑블록(306)은 직사각의 판 형상으로 그 끝단에는 "V"자의 홈(308)이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302)의 하면으로 직사각판의 하부플레이트(310)가 연결 설치되고, 하부플레이트(310)상에는 클램핑블록(306)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LM가이드(312)가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10)의 상부 일측에 척킹장치(400)가 설치된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킹장치(400)는, 프레임(210)상에 축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록(402)이 복수개 설치되고, 이 고정블록(402)의 전면측에 플레이트(404)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플레이트(404)의 상부로는 서보모터(406)가 설치되며, 서보모터(406)의 모터축에는 축이음으로 연결되는 볼스크류축(408)이 하측으로 이어진다.
볼스크류(408) 상에는 스크류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는 너트하우징(410)이 설치되고, 너트하우징(410)의 전면측에는 수직브라켓(411)과 수직브라켓(411)과 직교하는 수평브라켓(412)이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브라켓(411)의 후측으로는 플레이트(404)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레일블록(414)이 설치되고, 레일블록(414)을 따라서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LM레일(4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브라켓(412)의 하부로는 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30)를 척킹할 수 있는 척킹부재(418)가 설치된다.
척킹부재(418)의 하단에는 피스톤 로드(30)의 전조부(31)를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조우(4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한 쌍의 조우(420)는 실린더(422)의 전진시 조우(420)가 벌어지고, 실린더(422)의 후진으로 오므라져서 대상물을 척킹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조우(420)가 있는 척킹부재(418)의 중심 하단에 근접센서(424)가 돌출 설치된다. 이 근접센서(424)는 척킹부재(418)의 하강시 전조부(31)와 접촉되어 서보 영역 내에 설정되어 있는 제품인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서보 영역내에서 스프링쿠션이 있는 근접센서(424)가 감지되어야 다음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수평브라켓(412)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는 포스트(426)가 설치된다.
이 포스트(426)는 피스톤 로드(30)의 제품별 상승 위치가 변하여 서보모터(406)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4개 정도가 수평브라켓(412)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스프링(427)이 장착 설치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씰 누름장치(500)는, 프레임(210)상에 고정블록(502)이 설치되고, 이 고정블록(502)의 전면측에 플레이트(504)가 설치된다.
플레이트(504)의 일측 상부에 서보모터(506)가 설치되고, 서보모터(506)의 모터축에는 축이음으로 연결되는 볼스크류축(508)이 하측으로 이어진다.
볼스크류축(508) 상에 너트하우징(510)이 설치되고, 너트하우징(510)의 일측으로는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512)가 설치된다.
이 이동플레이트(512)의 전면측으로는 플레이트(504)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레일블록(514)이 설치되고, 레일블록(514)을 따라서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LM레일(5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플레이트(512)에 실린더(518)가 설치되고, 실린더(518)에는 가이드레일(520)이 설치되어 실린더(518)의 작동에 따라서 전, 후진 이동되는 누름바(522)가 설치되며, 누름바(522)의 일단에는 지그(524)가 설치된다.
지그(52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외부관(10)의 내경보다는 적게 형성되어 외부관(10) 내부의 오일씰(40)을 상측에서 가압하게 된다.
한편, 척킹장치(400)와 오일씰 누름장치(500)의 각 서보모터(406)(506)는 제품별 쇽업소버(1)의 전장 길이를 감안하여 서보 구간이 이미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조립 공정의 쇽업소버(1)가 각 파레트(100)에 안착되어서 켄베이어(110)를 따라 피스톤 로드(30)의 인장시스템의 베이스(200)에 위치하게 된다.
베이스(200)의 위치에서 정지된 파레트(100) 상의 쇽업소버(1)는, 클램핑장치(300)에서 에어실린더(304)의 작동으로 전, 후진 이동되는 클램핑블록(306)이 쇽업소버(1)를 센터링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클램핑블록(306)의 "V"자 홈(308)에 의하여 클램핑(clamping)이 확실히 이루어진다.
더욱이 클램핑블록(306)의 전후진 이동이 하부플레이트(310)의 LM가이드(312)로 하여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쇽업소버(1)가 고정된 상태에서 코킹 또는 용접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척킹장치(400)로 피스톤 로드(30)를 최장으로 인장시켜야 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30)의 전조부(31)를 척킹하기 위한 서보모터(406)가 작동한다. 서보모터(406)의 작동으로 축이음된 볼스크류축(408)이 회전하고, 볼스크류축(408)의 회전으로 너트하우징(410)과 너트하우징(410)에 연결된 수직브라켓(411) 및 수평브라켓(412), 척킹부재(418)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서보모터(406)에는 미리 제품별 서보 설정 구간이 결정되어진 영역이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이에 척킹부재(418)가 볼스크류축(408)을 따라서 하강을 하다보면 근접센서(424)에 센싱이 이루어진다. 만약 서보 영역밖에서 센싱이 되었을 때에는 다른 제품이라 판단하여 다음 동작을 하지 않고 설비 에러로 판단한다. 이는 충돌을 방지하고 설비를 보호한다는데 있고, 차종별로 다양한 길이 또는 삽입 위치를 서보시스템으로 수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센싱이 되었을 때, 서보모터(424)는 구동을 멈추고, 실린더(422)의 후진으로 조우(420)가 피스톤 로드(30)의 전조부(31)를 척킹하게 된다.
그리고 전조부(31)의 척킹 상태에서 서보모터(406)가 역회전 구동을 함으로서, 척킹부재(418)가 상승 이동된다. 상승 이동은 서보모터(406)에 기입력된 값 즉, 제품별 피스톤 로드(30)의 최장 거리까지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브라켓(411)의 승하강 이동이 레일블록(414)과 LM레일(416)로 하여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스프링(427)을 장착한 각 포스트(426)는 피스톤 로드(30)의 상승치수 또는 피스톤 로드(30)의 척킹 위치가 약간 변하게 되었을 때, 서보모터(406)에 받을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 로드(30)가 척킹되어 상승되는 과정에서 피스톤 로드(30)와 밀착을 이루고 있는 오일씰(40)이 같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저지하는 오일씰 누름장치(500)가 척킹장치(400)와 같이 동시에 사용된다.
오일씰 누름장치(500)의 실린더(518) 작동으로 가이드레일(520)을 따라 누름바(522)가 전진 이동되어 이미 상승된 피스톤 로드(30)의 외주면을 일측이 개방된 지그(524)가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보모터(506)의 구동으로 볼스크류축(508)의 너트하우징(510)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너트하우징(510)의 이동으로 이동플레이트(512), 실린더(518) 및 지그(524)도 같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동플레이트(512)는 레일블록(514)과 LM레일(516)로 하여 가이드 되면서 승하강 이동된다.
누름바(522)의 지그(524)는 피스톤 로드(30)를 따라 하강하여 외부관(10) 내의 오일씰(40) 상면을 누름으로서 피스톤 로드(30)의 상승시 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피스톤 로드(30)의 상승이 완료되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킹 또는 용접 등이 별도의 장비로 하여 공정이 이루어진다.
척킹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30)의 해제는, 오일씰 누름장치(500)의 서보모터(506)의 역회전 구동으로 이동플레이트(512)와 실린더(518)를 상승시켜 지그(524)가 외부관(10)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518)의 후진 작동으로 누름바(522)가 원위치되어 다음 제품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척킹장치(400)의 서보모터(406)의 정회전 구동으로 피스톤 로드(30)를 정위치로 하강시키고, 실린더(422)가 전진 작동으로 조우(420)가 벌어지고, 피스톤 로드(30)의 척킹이 해제된다.
또한, 쇽업소버(1)를 고정하고 있던 클램핑장치(300)도 에어실린더(304)의 작동으로 클램핑블록(306)이 해제되며, 컨베이어(110)의 이동으로 다음 파레트(100)가 위치되어 위와 같은 작업이 반복 작동된다.
이처럼 종래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스톤 로드(30)의 최장 상태로 뽑아서 다음 공정을 수행했던 것에 비하여 피스톤 로드(30)를 최장 길이로 뽑기 위하여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불량 요인을 제거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은, 쇽업소버의 제조 공정 중에서 자동화 시스템으로 피스톤 로드가 최장의 뽑힌 상태에서 코킹 또는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생산성과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쇽 업소버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부분 발췌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부분 발췌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씰 누름장치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씰 누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씰 누름장치의 지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쇽업소버 100 : 파레트
200 : 베이스 210 : 프레임
300 : 클램핑장치 302 : 브라켓
304 : 에어실린더 306 : 클램핑블록
308 : 홈 310: 하부플레이트
312 : LM가이드 400 : 척킹장치
402, 502 : 고정블록 404, 504 : 플레이트
406, 506 : 서보모터 408, 508 : 볼스크류축
410, 510 : 너트하우징 411 : 수직브라켓
412 : 수평브라켓 414, 514 : 레일블록
416, 516 : LM레일 418 : 척킹부재
420 : 조우 422, 518 : 실린더
424 : 근접센서 426 : 포스트
427 : 스프링 500 : 오일씰 누름장치
512 : 이동플레이트 520 : 가이드레일
522 : 누름바 524 : 지그

Claims (11)

  1.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에 있어서,
    내, 외부관의 어셈블리에 오일과 피스톤 로드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기 쇽업소버가 파레트 상에 안착되어 로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에 설치되어, 상기 쇽업소버를 센터링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전조부를 척킹하여 승하강 이동되는 척킹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 상기 피스톤 로드에 밀착되어 있는 오일씰이 같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상기 오일씰의 상면을 가압하는 오일씰 누름장치,
    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관의 상단을 고정하는 클랭핑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블록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는 LM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블록의 끝단에는 "V"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블록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와 축이음으로 연결 설치되는 볼스크류축과,
    상기 볼스크류축에 설치되는 너트하우징과,
    상기 너트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수직 및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브라켓에 연결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척킹부재와,
    상기 척킹부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전조부를 실린더 구동으로 척킹하는 조우(ja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직교 방향으로 레일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블록을 따라서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LM레일이 상기 수직브라켓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재의 중심에 하단 돌출 설치되어, 상기 척킹부재의 하강시 상기 전조부와 접촉되어 서보 영역 내에 설정되어 있는 제품인가를 판단하는 근접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재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제품별 상승 위치가 변하여 상기 서보모터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브라켓에 스프링이 장착되는 복수의 포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씰 누름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블록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와 축이음으로 연결 설치되는 볼스크류축과,
    상기 볼스크류축 상에 설치되는 너트하우징과,
    상기 너트하우징에 연결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 후진 이동되는 누름바와,
    상기 누름바의 일단에 설치되는 지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일단에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11.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는, 각 쇽업소버의 전장 길이를 감안하여 제품별 서보 구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KR1020040029624A 2004-04-28 2004-04-28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24A KR100832497B1 (ko) 2004-04-28 2004-04-28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624A KR100832497B1 (ko) 2004-04-28 2004-04-28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247A true KR20050104247A (ko) 2005-11-02
KR100832497B1 KR100832497B1 (ko) 2008-05-26

Family

ID=3728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6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497B1 (ko) 2004-04-28 2004-04-28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3242A (zh) * 2018-12-29 2019-04-16 珠海市业成轨道交通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动车用环结构油压减振器活塞杆组焊夹具
CN115338133A (zh) * 2022-09-13 2022-11-15 上海雍川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拉手转子的检测分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0080B2 (ja) * 1994-04-20 2003-04-28 株式会社ファインシンター 緩衝器用樹脂被膜ピストンの製造装置
KR0156405B1 (ko) * 1996-09-18 1999-01-15 양재신 쇽 업소버의 카트리지 조립장치
KR100412280B1 (ko) * 1998-10-17 2004-05-10 주식회사 만도 다품종소량생산용오실레이터
KR100478925B1 (ko) * 2001-06-07 2005-03-28 주식회사 만도 가스 쇽 업소버의 가스 충진장치 및 가스 충진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3242A (zh) * 2018-12-29 2019-04-16 珠海市业成轨道交通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动车用环结构油压减振器活塞杆组焊夹具
CN109623242B (zh) * 2018-12-29 2024-03-29 珠海市业成轨道交通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动车用环结构油压减振器活塞杆组焊夹具
CN115338133A (zh) * 2022-09-13 2022-11-15 上海雍川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拉手转子的检测分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497B1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925B1 (ko) 가스 쇽 업소버의 가스 충진장치 및 가스 충진방법
US5289634A (en) Valve assembling method and assembled valve checking method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KR101984303B1 (ko) 타이어 휠의 너트홀 또는 볼트홀 센터링장치
CN114055126B (zh) 空簧自动装配装置及方法
WO200203840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obilizing a framing structure in its free state to establish a net datum position thereof
KR100832497B1 (ko) 쇽업소버 제조 공정용 피스톤 로드의 인장시스템
CN114526305B (zh) 一种汽车减振器自动充气预封口设备及方法
CN115582664A (zh) 一种电池框架多工位焊接工装组
KR20070076225A (ko) 스트러트 로드의 리바운드 스토퍼 조립시스템
JPH0655372A (ja) 軸受圧入方法および装置
KR0162000B1 (ko)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KR100832498B1 (ko) 쇽업소버의 로드어셈블리 자동 삽입시스템
CN220029297U (zh) 制动器用花键轴装配装置
KR100748329B1 (ko) 쇽업소버의 범퍼러버 삽입기
CN112975342B (zh) 废气再循环阀总成衬套压装装置
CN213796108U (zh) 胎压传感器料壳定位治具
KR100726589B1 (ko) 쇽업소버의 가스 충진장치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JP3719063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JP2947997B2 (ja) 嵌合部品の組付装置
CN214489535U (zh) 废气再循环阀总成衬套与阀片间隙量检测装置
KR100720677B1 (ko) 충격감쇄장치를 위한 가스주입장치와 가스주입방법 및 그의제조물
JP3356030B2 (ja) ストラットのアッパシート組付装置
JPH1110457A (ja) スナップリングの組付方法および組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5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52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