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1694A - 전송 파워 제어를 사용하여 무선 lan 용량을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파워 제어를 사용하여 무선 lan 용량을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694A
KR20050091694A KR1020057002272A KR20057002272A KR20050091694A KR 20050091694 A KR20050091694 A KR 20050091694A KR 1020057002272 A KR1020057002272 A KR 1020057002272A KR 20057002272 A KR20057002272 A KR 20057002272A KR 20050091694 A KR20050091694 A KR 20050091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downlink signal
downlink
mobile st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307B1 (ko
Inventor
에란 시파크
Original Assignee
엑스트리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214,271 external-priority patent/US20030206532A1/en
Application filed by 엑스트리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엑스트리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9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에 의한 모바일 통신 방법은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제1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조절되는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24)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라면,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모바일 스테이션(29)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WLAN의 용량은 실질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파워 제어를 사용하여 무선 LAN 용량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ENHANCING WIRELESS LAN CAPACITY US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은 대중적인 것이 되고 있고, 신규의 무선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블루투쓰" 및 IEEE 802.11 등 원래의 WLAN 표준은 대략 2.4 GHz 대역에서 1-2 Mbps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더 최근에, IEEE 작업 그룹은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래의 표준에 대한 확장으로 802.11a, 802.11b 및 802.11g을 정의하였다. 802.11a 표준은, 예를 들어, 5 GHz 근방의 대역에서 단거리에 걸쳐 54 Mbps까지의 데이터 레이트를 계획하고 있고, 802.11b는 2.4 GHz 대역에서 22 Mbps까지의 데이터 레이트를 정의하고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802.11"이라는 용어는, 특별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원래의 IEEE 802.11 표준 및 그 모든 변형과 확장을 총괄적으로 일컫는 것으로 사용된다.
모바일 유저에게 막대한 통신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 WLAN 기술의 이론적 용량은 무선 통신의 실제적 한계에 의해 상당한 제한을 받는다. 무선 주파수(RF)는 실내에서 등방성으로 전파되지 않는데, 전파는 건물 배치 및 가구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물의 도처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가 세심하게 결정되었을 때라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다소의 "블랙홀", 즉, 전파가 거의 또는 전혀 수신되지 않는 영역이 잔존한다. 또한, 802.11 무선 링크는 높은 신호/잡음 비의 조건 하에서만 전속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신호 강도는 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모바일 스테이션까지의 거리에 대해 역으로 스케일링하고, 따라서 통신 속도도 그러하다. 거리 또는 전파 문제로 인하여 수신이 양호하지 못한 단일 모바일 스테이션은 그 기본 서비스 세트(BSS-동일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모바일 스테이션 그룹)내 모든 다른 유저의 WLAN 액세스를 둔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제적 어려움에 대한 자연스러운 대응으로서는 서비스될 영역내 더 많은 액세스 포인트를 분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수신기가 동일 주파수 채널상에서 유사한 강도의 2개의 소스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한다면, 일반적으로는 어느쪽의 신호도 해독할 수 없다. 802.11 표준은 CCA(clear channel assessment)라 알려진 충돌 회피 메카니즘을 제공하는데, 스테이션이 그 주파수 채널상에서 다른 전송들을 감지할 때 전송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이러한 메카니즘의 용도는 제한적이고, 동일 주파수 채널상에서 동작하는 다른 BSS에 막대한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 알려진 802.11 WLAN에 있어서, 상호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론적으로는, 802.11b 및 802.11g 표준은 2.4 GHz 대역에서 14개의 주파수 채널을 정의하고 있지만, 대역폭 및 통제적인 제한 때문에, 미국 및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이들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WLAN은 선택할 비중첩 주파수 채널을 3개만 갖고 있는 실정이다(스페인, 프랑스 및 일본 등의 다른 국가에서는 하나의 채널만이 이용가능하다). 결과로서, 복잡한 실내 환경에서는, 동일 주파수 채널에서 동작하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과의 실질적인 중첩없이 그 환경의 도처에 강한 신호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근접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분포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어떤 WLAN 표준은 ("전송 파워 제어" 또는 TPC라고도 알려진) 전송 파워 제어를 제공한다. TPC는 모바일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신호의 파워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된다. 그것은 액세스 포인트로의 전송시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WLAN에 있어서, TPC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된 파워를 가장 먼 모바일 스테이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마찬가지로, 그것은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파워를 제공중인 액세스 포인트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 TPC는 "Spectrum and Transmit Power Management Extensions in the 5 GHz Band in Europe"이라 명명된 참고문헌인 IEEE 드래프트 서플리먼트 802.11h(IEEE Standard Department, Piscataway, New Jersey의 2002년 7월 공표 P802.11h/D2.1)에 의해 5 GHz 대역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5 GHz 대역에서의 TPC는 레이더와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몇몇 유럽 국가에서 요구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및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 간섭 감소, 레인지 제어 및 파워 소비 감소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WLAN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선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모바일 스테이션과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플로차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WLAN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특허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된 PCT 특허 출원 "Collaboration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에는 서비스 영역내 분산된 다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WLAN 시스템이 설명되어 있다. 영역 도처에 강한 통신 신호로 서비스 영역의 완벽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는 근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최대 파워로 동작하고 있을 때에는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는 서로 실질적으로 중첩한다. 이러한 중첩을 처리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는 고속, 저-레이턴시 통신 매체를 통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들 사이에서 통신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이 소정 주파수 채널에서의 통신을 개시하려고 시도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때, 메시지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이 모바일 스테이션과 어느 액세스 포인트가 통신할 것인지를 정하기 위해서 매체를 통하여 그들 사이에서 조정한다. 따라서, 중첩 커버리지 및 충돌의 문제는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파워 제어(TPC)는 WLAN 시스템의 통신 용량을 훨씬 더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부가적인 용량은 이용가능한 트랜시버의 수의 증가 또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추가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도 현존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스테이션과 통신을 시작하도록 조정에 의해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된 후에, 액세스 포인트는, 적합한 TP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바일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파워 레벨을 감소시킨다. 전형적으로 조정의 "승리자"는 소정의 모바일 스테이션에 가장 근접한 액세스 포인트이고 파워 측정은 실시간으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파워 속도 트레이드오프 없이, 전송된 파워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다.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간을 잔존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조건하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가 충분하게 약해서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호 간섭없이 동일 주파수 채널에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예를 들어, 약한 신호를 검출하고, (적용가능한 표준에 따라)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서명을 식별하고, 약한 신호가 존재할 때라도 충분한 신호/간섭 마진이 그 자신의 전송을 위해 존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제2 모바일 스테이션이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이러한 제2 모바일 스테이션에 대한 조정에서 승리할 때,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제1 액세스 포인트의 다운링크 전송과 동시에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과 간섭하지 않도록 TPC도 적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협력적 TPC 프로시저는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WLAN을 동적이고 비간섭적인 서브 네트워크로 분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서브 네트워크 구조는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주파수 채널이 공간적으로 재사용되어서 WLAN의 용량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모바일 통신 방법이 제공되는데, 적어도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제1 및 제2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스테이션과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1 업링크 신호를 제1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제1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최대 다운링크 파워 레벨 미만으로 조절되는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업링크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단계;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2 업링크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판정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업링크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WLAN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내 각각의 서비스 영역을 갖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 영역 중 적어도 몇몇이 실질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각각 서비스되는 비중첩 제1 및 제2 서브 영역을 정하기 위하여 WLAN에 의해 서비스되는 영역을 파티셔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최대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상이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운링크 신호는 실질적으로 IEEE 표준 802.11에 따라 전송된다.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모바일 스테이션 사이의 제1 연관을 이뤄내는 단계 및 제1 연관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정하는 단계는 제1 연관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연관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리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려는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발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시간 인터발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한 후에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발 동안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판정하는 단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서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동시에 전송하고 있는 것을 제1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려주기 위해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2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이도록, 제2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제2 다운링크 신호의 제2 다운링크 파워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업링크 파워 레벨에서의 변동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변동에 응답하여,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그만두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제1 및 제2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스테이션과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 배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가 제공되는데,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1 업링크 신호를 제1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최대 다운링크 파워 레벨 미만으로 조절되는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도록 되어있고,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2 업링크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리고, 판정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LAN(WLAN)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선도이다. 시스템(20)은 다수의 모바일 스테이션(24, 29, 31)과 데이터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를 포함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전형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톱, 포터블 또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등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및 모바일 스테이션은 IEEE 802.11 패밀리의 표준 중 하나에 따라 서로 통신하고 802.11 매체 액세스 제어(MAC) 레이어 컨벤션을 준수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802.11 MAC 레이어의 상세는 참고문헌인 ANSI/IEEE 표준 801.11(1999년판)에, 구체적으로, 파트 11의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802.11 표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HiperLAN, 블루투쓰 및 hiswan-기반 시스템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WLAN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액세스 포인트(22, 23, ...,)는 유선 LAN(28)에 의해 이더넷 허브(26)에 접속되어 있다. LAN은 액세스 포인트와 허브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분산 시스템(DS)으로 역할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모바일 스테이션(24)은 허브(26)에 접속된 액세스 라인(32)을 경유하여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30)로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3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전형적으로, LAN(28)은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이더넷 및 다른 통상적인 LAN에서 사용되는 충돌 회피 메카니즘에 주로 기인하여 LAN상에서의 메시지 레이턴시는 높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MAC 레벨 컬래버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가 저-레이턴시로 고속 메시지를 교환하게 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목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LAN(28)으로의 접속에 더하여, 공유 통신 매체(34)에 의해 MAC 컬래버레이션 허브(36)에 상호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체(34)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22)로 하여금 모든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그리고 모든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저-레이턴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매체(34) 및 허브(36)의 전형적인 구현은 상기 PCT 특허 출원 "Collaboration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에 설명되어 있다.
대안으로, 저-레이턴시 메시징을 위한 전용 매체(34)를 사용하는 대신에, 액세스 포인트는 LAN(28) 자체를 통하여 저-레이턴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단도, 적용가능한 WLAN 표준 또는 다른 요구에 의해 주어진 속도 및 레이턴시 제약을 만족하는 한,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는 모두 동일 주파수 채널상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고, 마찬가지로, 모바일 스테이션(24, 29, 31)도 그 동일 주파수 채널에 튜닝된다고 가정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배경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WLAN 시스템(20)은 다른 주파수 채널상에서 동작하는 부가적인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만, 이들 부가적인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의 주파수 채널상에서의 통신과 간섭하지 않고, 따라서, 여기서의 관심사가 아니다. 오히려,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에 관하여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 컬래버레이션의 방법은 시스템(20)에서의 동작 주파수 채널의 각각의 채널상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 중 임의의 포인트에 의해 최대 파워로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는, 원칙적으로, 모바일 스테이션(24, 29, 31) 중 임의의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WLAN 시스템에서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22, 23)가 동일 주파수 채널상에서 동시에 전송하려 한다면, 예를 들어, 모바일 스테이션(24)은 양쪽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이러한 중첩은 액세스 포인트 중 임의의 포인트와 모바일 스테이션과의 통신 불능의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는, 상기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MAC 레벨 컬래버레이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매체(34) 또는 LAN(28)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MAC 레벨 컬래버레이션 프로토콜은 액세스 포인트가 시스템(20)의 서비스 영역의 부분을 도 1에 도시된 서브 네트워크(38) 등의 공간적 서브 네트워크로 동적으로 정할 수 있게 한다. 서브 네트워크가 정의되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된다. 요컨대, 예로서, 모바일 스테이션(24)이 (802.11 표준하에서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22)와 연관 메시지를 교환한 후에, 액세스 포인트(22)는 모바일 스테이션(24)으로의 다운링크 메시지에서 그 전송 파워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 파워 제어(TPC)를 사용한다. 파워는 모바일 스테이션이 가능한 최대 속도로 신뢰할만하게 다운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할 최소 레벨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22)의 이러한 전송 파워 레벨로, 근방의 액세스 포인트(23) 및 모바일 스테이션(29)도 액세스 포인트(22)로부터 다운링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지만, 액세스 포인트(25, 27) 및 모바일 스테이션(31)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모바일 스테이션(31)이 액세스 포인트(27)와 연관되게 된다면,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7)는, 액세스 포인트(22)에 의한 모바일 스테이션(24)으로의 다운링크 전송과 동시에, TPC에 의해 감소된 파워 레벨로 모바일 스테이션(31)으로 다운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20)은 2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동적으로 파티셔닝되는데, 각각은 그 자신의 서비스 서브 영역을 갖고 동시에 동작한다. 더 많은 동시적 서브 네트워크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들 서브 네트워크는 관여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근방의 모바일 스테이션에 저 파워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그러한 동시적 다운링크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23)가 모바일 스테이션(29)에 전송할 때 등)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가 더 먼 모바일 스테이션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여 더 높은 파워가 요구될 때 억제될 수 있다. 이후, 서브 네트워크 파티션은 액세스 포인트(22, 27)가 모바일 스테이션(24, 31)으로 그들 각각의 저-파워 전송을 재개할 때 복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WLAN 시스템(20)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컬래버레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는, 비컨 전송 단계(40)에서, 그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비컨 신호를 전송한다. 802.11 표준에 따라, 임의의 소정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된 비컨 신호는 타임 베이스를 제공하고, 그것으로 모바일 스테이션은 그 통신을 동기화하고 액세스 포인트의 BSS 식별자(BSSID)를 나타내야 한다. BSSID는 액세스 포인트의 MAC 어드레스로서 간주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802.11 WLAN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그 자신의 유일한 BSSID를 갖는다. 그러나, 시스템(20)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22, 23, 25, 27)는 동일한 BSSID를 공유함으로써, 그들은, 논리적으로는, 다른 위치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갖는 단일의 확장된 분산 액세스 포인트인 것처럼 모바일 스테이션에 보여진다. 액세스 포인트의 타임 베이스는 매체(34)를 사용하여 (또는 LAN(28)상에서 저-레이턴시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호 동기화되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된 비컨 신호는 그들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인터레이싱된다.
모바일 스테이션(24)이, 예를 들어, 충분한 강도의 비컨 신호를 수신할 때, 그것은, 제1 비컨 프로세싱 단계(42)에서, 신호로부터 BSSID 및 타임 베이스를 추출한다. (모바일 스테이션(24)은 도 2에서 "모바일 A"로 식별된다.) 시스템(20)에서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 취해지는 후속 단계뿐만 아니라 이 단계도 완벽하게 802.11 표준을 따른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레거시 모바일 스테이션에 대한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에 대해 트랜스페어런트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획득한 BSSID 및 타임 베이스를 사용하여, 모바일 스테이션(24)은, BSSID에 어드레싱되고 모바일 스테이션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연관 요청 메시지의 형태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어느 액세스 포인트가 연관 요청 메시지에 응답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는, 조정 단계(44)에서, 매체(34) 또는 LAN(28)을 통하여 저-레이턴시 메시징을 사용해서 조정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모바일 스테이션(24)으로부터 연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액세스 포인트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여, 그들이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통지한다. 메시징 및 조정 프로시저는 상기 특허 출원 "Collaboration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가 그 자신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한 시간과 이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수신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그 포인트가 메시지를 송신한 첫번째 포인트인지 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그것에 선행하였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소정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업링크 메시지에 응답하여 그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함에 있어서 첫번째일 수 있었던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그 모바일 스테이션에 가장 가까운 것이기 때문에 그 모바일 스테이션과의 통신을 계속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모든 액세스 포인트는 독립적으로 이러한 첫번째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모바일 스테이션(24)에 응답한다. 대안으로, 수신된 신호 파워 등의 다른 기준도, 그것이 모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균등하게 적용될 수 있는 한, "승리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시 적용될 수 있다. (2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동일한 순간에 그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때 등) 데드록이 발생하면, 소정의 포뮬러는 데드록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균등하게 적용된다.
승리한 액세스 포인트는, 적용가능한 WLAN 표준에 의해 요구되는데로, 제1 응답 단계(46)에서, 모바일 스테이션(24)에 승인(ACK)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에서 "액세스 포인트 A"라 식별된) 액세스 포인트(22)가 승리자라고 가정한다. ACK를 송신한 후에, 액세스 포인트(22)는 전형적으로 연관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스테이션(24)에 송신하고, 그후 적절하게 모바일 스테이션에 다운링크 전송을 계속한다. 모바일 스테이션(24)에 다운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파워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22)는 그것이 이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메시지의 신호 파워를 측정한다. 업링크 신호 파워가 소정의 최소 임계값보다 상당히 더 강하다면, 액세스 포인트는 그것이 이 모바일 스테이션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해야하는 파워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TPC 프로시저를 적용한다.
상기 802.11h 드래프트 스탠다드에 정의된 TPC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TPC 알고리즘이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모바일 스테이션에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파워는 그것이 그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파워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2)는 그것이 모바일 스테이션(24)에 전송하는 것보다 더 높은 파워(어쩌면 최대 파워까지)로 모바일 스테이션(29)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최적의 다운링크 파워 레벨은 각각의 다른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트라이얼-앤-에러 전송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운링크 파워에 대하여 임의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주어진 제한이 없다면, (통신 로버스트니스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22)가 그 최대 레벨로 때때로 전송하는 것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다면, 액세스 포인트(22)는 그 전송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서 야기시킬 간섭을 추정하여, 그 자신의 다운링크 전송 레벨을 설정함에 있어서 그러한 간섭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22)가 모바일 스테이션(24)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도 2에서 "액세스 포인트 B"로 식별된) 액세스 포인트(27) 등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간섭 트래킹 단계(48)에서, 다운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려고 시도한다. 전형적으로, WLAN 시스템에서 신호의 프리 스페이스 간섭 레이지는 실제 수신 레인지의 대략 다섯배이고, 실내 환경에 있어서, 간섭 레인지 대 수신 레인지의 비는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가 (통상적인 WLAN의 경우에서와 같이) 그 최대 파워 레벨로 전송하고 있는 한, 액세스 포인트(22)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는 허용가능한 간섭 임계값보다 더 높은 파워 레벨로 액세스 포인트(27)에 의해 수신될 것이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22)가 TPC를 사용하여 그 다운링크 신호 레벨을 감소시킬 때에는, 액세스 포인트(27)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수월하게 간섭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7)는 약한 신호를 검출하고, (예를 들어, 802.11b 표준에 따라) 전송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서명을 식별하고, 그후, 신호 레벨을 분석하여, 약한 신호가 존재할 때라도 그 자신의 전송을 위한 충분한 신호/간섭 마진이 존재하는지를 검증한다. 액세스 포인트(27)가 액세스 포인트(22)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액세스 포인트(22)가 ("드웰 기간"이라 불리는) 특정 인터발 동안 전송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포인트(22)는 매체(34) 또는 LAN(28)을 통하여 적합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그 다운링크 전송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려주기 때문이다. (필수적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포인트(22)는 그 다운링크 신호의 공칭 전송 레벨 등, 그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전송 파워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27) 등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그들이 액세스 포인트(22)와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하다면, 얼마의 파워 레벨로 전송할 수 있는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파워 정보를 사용한다.
그렇게, 액세스 포인트(27)는 액세스 포인트(22)에 의해 모바일 스테이션(24)에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가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27)는, 파티셔닝 단계(50)에서, 서브 네트워크로의 시스템(20) 파티션을 개시할 수 있다. 파티션은 액세스 포인트(22)가 모바일 스테이션(24)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특정 시간 인터발에 적용한다. 그것은, 신호가 합의된 임계값 이하로 유지되고 있는 한, 양쪽의 액세스 포인트(22, 27)뿐만 아니라 아마도 다른 액세스 포인트도 이들 시간 인터발 동안 동시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임계값은 액세스 포인트(22)로부터 모바일 스테이션(24)에 의해 수신된 추정 다운링크 신호 강도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각의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다운링크 전송에 의해 모바일 스테이션(24)에서 야기된 간섭과의 사이에 합리적인 마진을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옵션으로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가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계값은 임계값 이하의 파워 레벨로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상호 간섭하지 않을 높은 가능성(확실성은 아니지만)이 존재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 상호 피드백 메카니즘은 전송된 다운링크 파워의 트라이얼-앤-에러 어댑테이션을 위재 제공될 수도 있다. 그로써, 동일한 시간 인터발 동안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과도한 간섭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한 전송을 서로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단계(50)와 동시에 또는 그에 후속하여, 다른 모바일 스테이션, 가령 (도 2에서 "모바일 B"로 식별된 모바일 스테이션(31)은, 제2 비컨 프로세싱 단계(52)에서, 비컨 신호를 수신하고 업링크 연관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44)에서, 연관 요청을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그 자신들 사이를 조정하여 어느 것이 응답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모바일 스테이션(31)에 가장 가까운 액세스 포인트(27)가 조정에서 승리하여, 제2 응답 단계(54)에서, 다운링크 ACK 및 연관 응답을 모바일 스테이션(31)에 송신한다고 가정한다.
응답을 송신하기 전에, 액세스 포인트(27)는 모바일 스테이션(31)으로부터의 업링크 신호의 파워 레벨을 체크하고, TPC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그것이 사용해야 하는 적절한 다운링크 신호 파워를 결정한다. 요구되는 다운링크 파워가 단계(50)에서 합의된 임계값 미만이면, 액세스 포인트(27)는 액세스 포인트(22)가 액세스 포인트(24)에 전송하는 동일한 시간 인터발 동안 모바일 스테이션(31)에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교적 멀리 떨어진 액세스 포인트(22, 27)가 각각의 근방의 모바일 스테이션(24, 31)과 통신하고 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양쪽의 액세스 포인트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강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서로의 다운링크 신호는 약하게만 수신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양호한 신호/간섭 마진을 유지하면서 저 전송 파워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모바일 스테이션(31)으로부터의 신호가 더 약하고, 요구되는 다운링크 파워가 임계값보다 더 높다고 액세스 포인트(27)가 판정하면, 액세스 포인트(27)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되지 않는 시간 인터발이 존재할 때까지 전송을 대기한다.
액세스 포인트(22, 27)의 각각은, 새로운 업링크 단계(56)에서, 모바일 스테이션이 다른 업링크 메시지를 송신할 때까지, 각각의 모바일 스테이션에 서비스를 계속한다. 상기 조정 프로토콜이 반복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특히 모바일 스테이션이 그 사이 이동하였다면, 다음 라운드에서 모바일 스테이션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이 이동하였더라도, 연관 프로토콜을 반복할 필요는 없다.) 승리한 액세스 포인트는 새로운 업링크 메시지의 파워 레벨을 체크한다. 업링크 파워 레벨이 변동되지 않았다면, 그때 액세스 포인트는, 계속 단계(58)에서, 동일한 다운링크 파워 임계값 및 이전에 합의된 서브 네트워크 파티션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업링크 파워가 상당하게 변동되었다면, 액세스 포인트는, 개정 단계(60)에서, 파티셔닝 스킴을 개정해야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업링크 파워가 상당하게 감소되었다면, TPC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모바일 스테이션에 송신하는 다운링크 파워를 증가시키도록 요구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50)에서 원래 결정된 파티션의 바운더리 또는 파워 임계값을 변경하는데 합의할 수도 있고, 또는, 그것들은 파티션을 완전히 포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정 타입의 유무선 LAN 및 특정 통신 표준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다른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다른 타입의 LAN 및 WLAN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들 원리는 울트라 와이드 밴드(UWB) PANs를 포함하는, IEEE 표준 802.15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무선 퍼스널 에어리어 네트웍스(PANs)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로서 든 것일 뿐 여기서 특정하게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 그보다는, 본 발명의 범위는 종래기술에서 개시되지 않고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가할 수 있는 수정 및 변형뿐만 아니라, 상기 다양한 특징의 조합들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8)

  1.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모바일 통신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제1 및 제2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스테이션과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1 업링크 신호를 제1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제1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최대 다운링크 파워 레벨 미만으로 조절되는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업링크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는 단계;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2 업링크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판정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업링크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WLAN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역내 각각의 서비스 영역을 갖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 영역의 적어도 몇몇이 실질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각각 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중첩 제1 및 제2 서브 영역을 정하기 위하여 WLAN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역을 파티셔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최대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는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운링크 신호는 실질적으로 IEEE 표준 802.11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액세스 포인트 사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사이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모바일 스테이션과의 사이의 제1 연관을 이뤄내는 단계 및 제1 연관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정하는 단계는 제1 연관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연관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주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려는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발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시간 인터발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한 후에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발 동안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정하는 단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서명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동시에 전송하고 있음을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주기 위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액세스 포인트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2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이도록, 제2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제2 다운링크 신호의 제2 다운링크 파워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업링크 파워 레벨에서의 변동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변동에 응답하여,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그만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방법.
  15. 적어도 제1 및 제2 모바일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스테이션과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 배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1 업링크 신호를 제1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최대 다운링크 파워 레벨 미만으로 조절되는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고,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제2 업링크 신호를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리고, 판정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1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의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공통 주파수 채널상에서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WLAN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역내 각각의 서비스 영역을 갖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 영역의 적어도 몇몇이 실질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각각 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중첩 제1 및 제2 서브 영역을 정하기 위하여 WLAN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역을 파티셔닝하기 위해 서로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최대 파워 레벨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할 때,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는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상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운링크 신호는 실질적으로 IEEE 표준 802.11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조정 프로시저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를 상호접속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하고,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매체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1 모바일 스테이션과의 사이의 제1 연관을 이뤄내고 제1 연관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주도록 되어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연관에 응답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려는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발을 제2 액세스 포인트에 통지하도록 되어 있고,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시간 인터발 중 적어도 하나 동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인 것을 판정한 후에 하나 이상의 시간 인터발 동안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5.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다운링크 신호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서명을 식별함으로써 판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6.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동시에 전송하고 있음을 제1 액세스 포인트에 알려주기 위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7.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업링크 파워 레벨로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시에,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신된 제2 다운링크 신호가 소정의 간섭 임계값 이하이도록, 제2 업링크 파워 레벨에 응답하여 제2 다운링크 신호의 제2 다운링크 파워 레벨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제2 업링크 파워 레벨에서의 변동을 검출하고, 변동에 응답하여, 제1 다운링크 신호의 전송과 동시에 제2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그만두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
KR1020057002272A 2002-08-07 2003-07-24 전송 파워 제어를 사용하여 무선 lan 용량을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80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14,271 US20030206532A1 (en) 2002-05-06 2002-08-07 Collaboration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
US10/214,271 2002-08-07
US10/285,869 2002-11-01
US10/285,869 US6907229B2 (en) 2002-05-06 2002-11-01 Enhancing wireless LAN capacity us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694A true KR20050091694A (ko) 2005-09-15
KR100980307B1 KR100980307B1 (ko) 2010-09-06

Family

ID=3172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0307B1 (ko) 2002-08-07 2003-07-24 전송 파워 제어를 사용하여 무선 lan 용량을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07229B2 (ko)
EP (1) EP1529353A4 (ko)
JP (1) JP2005535253A (ko)
KR (1) KR100980307B1 (ko)
AU (1) AU2003282884A1 (ko)
WO (1) WO2004015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41B1 (ko) * 2010-06-14 2012-05-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의 기회적 동시전송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5994B2 (en) * 2002-05-06 2008-04-08 Extricom Ltd. CDMA messaging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
US20030206532A1 (en) 2002-05-06 2003-11-06 Extricom Ltd. Collaboration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
US7319688B2 (en) 2002-05-06 2008-01-15 Extricom Ltd. LAN with message interleaving
US7171161B2 (en) * 2002-07-30 2007-01-30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signals using timing templates, power templates and other techniques
US7697549B2 (en) * 2002-08-07 2010-04-13 Extricom Ltd. Wireless LAN control over a wired network
US20050195786A1 (en) * 2002-08-07 2005-09-08 Extricom Ltd. Spatial reuse of frequency channels in a WLAN
US20060209771A1 (en) * 2005-03-03 2006-09-21 Extricom Ltd. Wireless LAN with contention avoidance
US7606573B1 (en) * 2002-09-27 2009-10-20 Autocell Laboratories, Inc. Wireless switched network
US7212499B2 (en) * 2002-09-30 2007-05-01 Ipr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steering for WLAN
US7869822B2 (en) * 2003-02-24 2011-01-11 Autocell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system field of the invention
US7155169B2 (en) * 2003-02-24 2006-12-26 Autocell Laboratories, Inc. Program for ascertaining a dynamic attribute of a system
JP3632025B2 (ja) * 2003-02-26 2005-03-23 Tdk株式会社 薄膜磁気ヘッド、ヘッドジンバルアセンブリ、及び、ハードディスク装置
FI20030960A0 (fi) * 2003-06-27 2003-06-27 Nokia Corp Menetelmä monitoroida akun ominaisuuksia ja radiopäätelaite
FR2860361A1 (fr) * 2003-09-25 2005-04-01 France Telecom Procede de regulation de la puissance de transmission au sei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sans fil
DE102004007975B3 (de) * 2004-02-18 2005-07-07 Siemens Ag Verfahren, Funkzugangspunkt und netzseitige Einrichtung zur Kommunikatio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7366169B1 (en) 2004-02-18 2008-04-29 Autocell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scanning radio frequency channels
US7155176B2 (en) * 2004-04-08 2006-12-26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 for synchronizing a portable transceiver to a network
US8682279B2 (en) 2004-05-07 2014-03-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pporting emergency calls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145182B2 (en) * 2004-05-07 2012-03-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upporting emergency calls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1122359B1 (ko) 2004-05-07 2012-03-2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긴급 호 지원
JP4489498B2 (ja) * 2004-05-24 2010-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基地局
US20060045018A1 (en) * 2004-08-25 2006-03-02 Ahmad Masri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scanning time on a channel
EP2421296B1 (en) * 2005-02-14 2020-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requency sharing method
US7596388B2 (en) * 2005-02-28 2009-09-29 Symbol Technologies Inc Sectoriz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under 802.11 specifications
AU2011202551B2 (en) * 2005-02-28 2014-03-20 Extreme Networks, Inc. Sectoriz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under 802.11 specifications
US7359730B2 (en) * 2005-04-29 2008-04-15 Tele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associat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JP4741975B2 (ja) * 2005-05-18 2011-08-10 三星電子株式会社 中継ポータルを使用して有線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に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
KR100736034B1 (ko) * 2005-05-18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 포탈을 사용하여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KR100663509B1 (ko) * 2005-05-3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채널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시스템 및 방법
US7519013B2 (en) * 2005-06-30 2009-04-14 Nokia Corporation Spatial re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813738B2 (en) * 2005-08-11 2010-10-12 Extricom Ltd. WLAN operating on multiple adjacent bands
US7456596B2 (en) * 2005-08-19 2008-11-25 Cisco Technology, Inc. Automatic radio site survey using a robot
US7653357B2 (en) * 2005-08-22 2010-01-2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ccess point interference control and selection methods
KR20070027053A (ko) * 2005-08-29 2007-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Ieee 802.11 망에서 릴레이 멀티캐스트의 성능을향상시키기 위한 멀티채널 할당 방법
JP4836529B2 (ja) * 2005-09-13 2011-12-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通信システム
US8300594B1 (en) * 2005-10-20 2012-10-30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out of band signaling for WLAN using network name
US8411616B2 (en) 2005-11-03 2013-04-02 Piccata Fund Limited Liability Company Pre-scan for wireless channel selection
US20070109983A1 (en) * 2005-11-11 2007-05-17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a Wireless Network
US9215745B1 (en) * 2005-12-09 2015-12-15 Meru Networks Network-based control of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85618B1 (en) 2005-12-05 2015-11-10 Meru Networks Seamless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US9142873B1 (en) 2005-12-05 2015-09-22 Meru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e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in an access point
US9730125B2 (en) 2005-12-05 2017-08-08 Fortinet, Inc. Aggregated beacons for per station control of multiple stations across multiple access po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025581B2 (en) 2005-12-05 2015-05-05 Meru Networks Hybrid virtual cell and virtual port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US9794801B1 (en) 2005-12-05 2017-10-17 Fortinet, Inc. Multicast and unicast messages in a virtual cell communication system
US8472359B2 (en) 2009-12-09 2013-06-25 Meru Networks Seamless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US8160664B1 (en) 2005-12-05 2012-04-17 Meru Networks Omni-directional antenna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ultiple radios with narrow frequency separation
US8064601B1 (en) 2006-03-31 2011-11-22 Meru Networks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15754B2 (en) 2007-03-07 2015-12-15 Menu Networks Wi-Fi virtual port uplink medium access control
US7715353B2 (en) * 2006-04-21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LAN cell breathing
GB0608898D0 (en) * 2006-05-05 2006-06-14 Roke Manor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7756055B2 (en) * 2006-05-05 2010-07-13 Roke Manor Research Limited Method of transmission
US7835319B2 (en) * 2006-05-09 2010-11-1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wireless devices using pulse fingerprinting and sequence analysis
US8085719B2 (en) * 2006-06-23 2011-12-27 Arunesh Mishra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enhanced usage of spectrum through efficient use of overlapping channels
JP2008017325A (ja) * 2006-07-07 2008-01-24 Nec Corp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80019334A1 (en) * 2006-07-24 2008-01-24 Stewart Lane Adams Minimization of In-Band Noise in a WLAN Network
US20080112373A1 (en) * 2006-11-14 2008-05-15 Extricom Ltd. Dynamic BSS allocation
US7944868B2 (en) * 2006-12-04 2011-05-17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power managemen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830848B2 (en) * 2007-04-25 2010-11-09 Intel Corporation Network-wide clear channel assessment threshold
US8488478B1 (en) 2007-08-17 2013-07-16 Steven P. Leytus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RF interference in Wi-Fi communication by measuring time delays in RF transmission
US7894436B1 (en) 2007-09-07 2011-02-22 Meru Networks Flow inspection
JP5101704B2 (ja) * 2007-10-09 2012-12-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Ulレート違反検知
US8743887B2 (en) * 2007-10-09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and IP multimedia subsystem (IMS) registration in a multimode network environment
US8780857B2 (en) * 2007-10-09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support between network domains
US8340116B2 (en) * 2008-06-05 2012-12-25 Motorola Mobility Llc Node scheduling and address assignment within an ad-hoc communication system
US8812040B2 (en) * 2008-12-22 2014-08-19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base station, transmit power deciding method, and program
US8033149B2 (en) * 2009-03-24 2011-10-1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location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10263410A (ja) * 2009-05-07 2010-11-18 Renesas Electronics Corp 車両通信装置
MX2011012966A (es) * 2009-06-30 2012-10-03 Telekom Uk Ltd Deutsche Metodo para el manejo de la comunicacion entre un equipo de usuario y un controlador de red de radio y programa para el control de un controlador de red de radio.
US9197482B1 (en) 2009-12-29 2015-11-24 Meru Networks Optimizing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US20110305148A1 (en) * 2010-06-14 2011-12-15 Snu R&Db Foundation Opportunistic concurrent transmission method of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8588844B2 (en) 2010-11-04 2013-11-19 Extricom Ltd. MIMO search over multiple access points
CN102196542B (zh) * 2011-05-27 2014-06-2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设备和系统
US9007973B2 (en) * 2011-08-15 2015-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witching, uplink power control and synchroniz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3068021B (zh) * 2013-01-28 2015-04-08 哈尔滨工业大学 绿色wlan中基于节能和干扰规避的ap发射功率优化方法
US20140226740A1 (en) 2013-02-13 2014-08-14 Magnolia Broadband Inc. Multi-beam co-channel wi-fi access point
CN104144473B (zh) * 2013-05-09 2019-12-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选择可用接入网络的方法及用户设备
CN104144516B (zh) 2013-05-10 2018-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接入点调度方法、控制器、接入点及系统
ES2458621B1 (es) * 2013-10-15 2015-02-10 Aoife Solutions, S.L. Sistema de control descentralizado de redes inalámbricas
US9491628B2 (en) 2013-12-26 2016-11-08 Spectrum Bridge, In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hen initializing links between cognitive radios
WO2015137920A1 (en) * 2014-03-11 2015-09-17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imultaneous wireless transmissions
DE102014012673A1 (de) * 2014-08-22 2016-02-25 Wabco Gmbh Fahrzeug-Netzwerk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Fahrzeug-Netzwerks
US9560674B2 (en) * 2014-09-22 2017-01-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Virtual busy-tone for full-duplex wireless networks
US11457417B2 (en) * 2015-06-11 2022-09-27 Teleste Oyj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US20170019863A1 (en) * 2015-07-14 2017-01-19 Intel IP Corporation Uplink power control for user devices at varying distances from an access point
US9967900B2 (en) * 2015-07-31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US20180077654A1 (en) * 2016-09-15 2018-03-15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network
US10616838B2 (en) 2016-10-12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of transmit power related information
CN112672439A (zh) * 2016-10-25 2021-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关联无线局域网的方法、配置方法和中心接入点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6903A (en) * 1993-05-11 1997-12-09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icrolink, data rate switching, frequency hopping and vehicular local area networking
US5960344A (en) * 1993-12-20 1999-09-28 Norand Corporation Local area network having multiple channel wireless access
US6697415B1 (en) * 1996-06-03 2004-02-24 Broadcom Corporation Spread spectrum transceiver module utilizing multiple mode transmission
US6192026B1 (en) 1998-02-06 2001-02-20 Cisco Systems, In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OFDM wireless networks
US6259898B1 (en) 1998-05-05 2001-07-10 Telxon Corporation Multi-communication access point
US6590884B1 (en) 1999-01-07 2003-07-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spatial diversity within an indoor network
US6580704B1 (en) 1999-08-26 2003-06-17 Nokia Corporation Direct mod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mobile terminals in access point controlled wireless LAN systems
US7146636B2 (en) 2000-07-24 2006-12-05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entralized control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6560448B1 (en) 2000-10-02 2003-05-06 Intersil Americas Inc. DC compensation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in a zero intermediate frequency architecture
US6888805B2 (en) * 2001-03-23 2005-05-03 Qualcomm Incorporated Time multiplexed transmission scheme for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6978151B2 (en) * 2001-05-10 2005-12-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pdating path loss estimation for power control and link adaptation in IEEE 802.11h WLAN
US20020197984A1 (en) * 2001-06-22 2002-12-26 Tadlys Ltd. Flexible wireless local networks
US7672274B2 (en) * 2002-01-11 2010-03-02 Broadcom Corporation Mobility support via routing
US6882833B2 (en) 2002-02-22 2005-04-19 Blue7 Communications Transferr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41B1 (ko) * 2010-06-14 2012-05-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의 기회적 동시전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07229B2 (en) 2005-06-14
EP1529353A1 (en) 2005-05-11
AU2003282884A1 (en) 2004-02-25
JP2005535253A (ja) 2005-11-17
EP1529353A4 (en) 2007-10-03
US20030207699A1 (en) 2003-11-06
WO2004015886A1 (en) 2004-02-19
KR100980307B1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307B1 (ko) 전송 파워 제어를 사용하여 무선 lan 용량을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980308B1 (ko)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간 컬래버레이션 방법 및 장치
US7177661B2 (en)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access points over LAN cabling
KR100582727B1 (ko) 무선랜의 송신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07657B2 (ja) 小波長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ビーコニング(beaconing)
US7889701B2 (en) Access point in a wireless network medium access control system
US20130039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frequency selec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20120257609A1 (en) Multi-mode wlan/pan mac
US20140328257A1 (en) Interference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0702756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priority of slave frames in multiwire coexistence
US20190082387A1 (en) Method for reducing bss color-based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050101070A (ko) 송신 전력 제어 기반 무선랜 시스템 및 그 송신 전력 제어방법
US7355994B2 (en) CDMA messaging between wireless LAN access points
JP7045003B2 (ja) 指向性ビーコン送受信活動指標
CN113016223B (zh) 具有定向传输知识的分布式调度协议
KR20210025121A (ko) 밀리미터파 wlan 네트워크들에서의 할당 및 방향성 정보 분배
US20240373242A1 (en) Coexistence management for wi-fi networks
Wu et al. Distributed MAC protocol for multichannel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based on power control
US7768971B2 (en) Central frequency modification without communication disruption
US10912093B2 (en) Spatial loading announcement in MMW WLAN networks
KR20060081017A (ko) Wlan 시스템의 간섭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Wu et al. Neighbor-aware distance estimated MAC protocol for multichannel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