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1611A -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611A
KR20050091611A KR1020040024508A KR20040024508A KR20050091611A KR 20050091611 A KR20050091611 A KR 20050091611A KR 1020040024508 A KR1020040024508 A KR 1020040024508A KR 20040024508 A KR20040024508 A KR 20040024508A KR 20050091611 A KR20050091611 A KR 2005009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subnet
handover
mobile terminal
bound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홍
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078,69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201330A1/en
Publication of KR2005009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611A/ko
Priority to US11/790,273 priority patent/US20080192691A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 환경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노드에게 링크 계층 핸드오버만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링크 계층 핸드오버 및 IP 계층 핸드오버를 함께 수행할 것인 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불필요한 이동 노드와 액세스 라우터의 통신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handover}
본 발명은 무선 랜 환경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을 기반으로 한 무선 랜 환경에서의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통신(seamless communication)을 서비스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따라, IEEE 802.11 규격을 기반으로 한 무선 랜(wireless LAN) 환경에서의 고속 핸드오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랜 환경은 이동 노드(MN, Mobile Node)(1), 제 1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21), 제 2 액세스 포인트(22), 제 3 액세스 포인트(23), 제 4 액세스 포인트(24), 제 1 액세스 라우터(AR, Access Router)(31), 및 제 2 액세스 라우터(32)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드(1)가 제 1 액세스 포인트(21)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액세스 포인트(21)가 관리하는 셀, 제 2 액세스 포인트(22)가 관리하는 셀, 제 3 액세스 포인트(23)가 관리하는 셀, 및 제 4 액세스 포인트(24)가 관리하는 셀을 차례대로 통과한다고 가정하고, 이하 종래의 무선 랜 환경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액세스 포인트(21), 제 2 액세스 포인트(22), 제 3 액세스 포인트(23), 및 제 4 액세스 포인트(24)는 이동 중인 이동 노드(1)에게 어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21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1 액세스 포인트(21)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1)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제 1 액세스 포인트(21)가 관리하는 셀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동 노드(1)는 이전처럼 제 1 액세스 포인트(21)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22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1)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1)는 셀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21)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2 액세스 포인트(22)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 따르면, 링크 계층은 제 2 계층에 해당하기 때문에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제 2 계층에서의 핸드오버 또는 간단히 L2 핸드오버라고도 한다. 이동 노드(1)는 새롭게 연결된 제 2 액세스 포인트(22)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222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를 경유하여 제 1 액세스 라우터(31)로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액세스 라우터를 경유하지 않고 이 정보를 수신한 제 1 액세스 라우터(31)는 이동 노드(1)가 자신이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223 통신 과정에서 제 1 액세스 라우터(3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를 경유하여 이동 노드(1)로 서브넷이 변경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 노드(1)는 제 1 액세스 라우터(31)가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즉, 이동 노드(1)는 새로운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1)는 서브넷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다. OSI 참조 모델에 따르면, IP 계층은 제 3 계층에 해당하기 때문에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제 3 계층에서의 핸드오버 또는 간단히 L3 핸드오버라고도 한다.
224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1)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제 2 액세스 포인트(22)가 관리하는 셀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동 노드(1)는 이전처럼 제 2 액세스 포인트(22)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23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3 액세스 포인트(23)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1)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1)는 셀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21)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2 액세스 포인트(22)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이동 노드(1)는 새롭게 연결된 제 3 액세스 포인트(23)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232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3 액세스 포인트(23) 및 제 2 액세스 라우터(32)를 경유하여 제 1 액세스 라우터(31)로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액세스 라우터인 제 2 액세스 라우터(32)를 경유하여 이 정보를 수신한 제 1 액세스 라우터(31)는 이동 노드(1)가 자신이 관리하는 서브넷을 벗어났다는 것을 알게 된다.
233 통신 과정에서 제 1 액세스 라우터(31)는 제 2 액세스 라우터(32) 및 제 3 액세스 포인트(23)를 경유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 노드(1)는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1)는 서브넷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라우터(32)가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아래의 234 통신 과정을 수행한다.
234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라우터(32)가 관리하는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 3 액세스 포인트(23)를 경유하여 제 2 액세스 라우터(32)로 제 2 액세스 라우터(32)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요청한다. 이동 노드(1)는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액세스 라우터(32)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획득하고, 이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한다. 이동 노드(1)는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여 제 2 액세스 라우터(32)가 관리하는 서브넷에서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235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3 액세스 포인트(23)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1)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제 3 액세스 포인트(23)가 관리하는 셀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동 노드(1)는 이전처럼 제 3 액세스 포인트(23)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24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4 액세스 포인트(24)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1)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1)는 셀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1)는 제 4 액세스 포인트(24)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제 3 액세스 포인트(23)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4 액세스 포인트(24)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이동 노드(1)는 새롭게 연결된 제 4 액세스 포인트(24)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242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1)는 제 4 액세스 포인트(24)를 경유하여 제 2 액세스 라우터(32)로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액세스 라우터를 경유하지 않고 이 정보를 수신한 제 2 액세스 라우터(32)는 이동 노드(1)가 자신이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243 통신 과정에서 제 2 액세스 라우터(32)는 제 4 액세스 포인트(24)를 경유하여 이동 노드(1)로 서브넷이 변경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 노드(1)는 제 2 액세스 라우터(32)가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즉, 이동 노드(1)는 새로운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1)는 서브넷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노드는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되었는 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서브넷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액세스 라우터와 통신을 한다. 즉, 이동 노드는 링크 계층 핸드오버만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링크 계층 핸드오버 및 IP 계층 핸드오버를 함께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액세스 라우터와 통신을 한다. 이동 노드는 액세스 라우터로부터 IP 계층 핸드오버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동 노드가 위치한 셀이 변경될 때마다 이동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액세스 라우터와 통신을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통신 과정은 고속 핸드오버 구현에 커다란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노드에게 링크 계층 핸드오버만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링크 계층 핸드오버 및 IP 계층 핸드오버를 함께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불필요한 이동 노드와 액세스 라우터의 통신 과정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하는 경계 정보 확인부; 및 상기 경계 정보 확인부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이동 단말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이동 단말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랜 환경은 이동 노드(4), 제 1 액세스 포인트(51), 제 2 액세스 포인트(52), 제 3 액세스 포인트(53), 제 4 액세스 포인트(54), 제 1 액세스 라우터(61), 및 제 2 액세스 라우터(62)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드(4)가 제 1 액세스 포인트(51)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액세스 포인트(51)가 관리하는 셀,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및 제 4 액세스 포인트(54)가 관리하는 셀을 차례대로 통과한다고 가정하고,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액세스 포인트(51), 제 2 액세스 포인트(52), 제 3 액세스 포인트(53), 및 제 4 액세스 포인트(54)는 이동 중인 이동 노드(4)에게 어느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액세스 라우터(61)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한 제 2 액세스 포인트(2)와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한 제 3 액세스 포인트(3)는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신한다.
51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1 액세스 포인트(51)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4)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제 1 액세스 포인트(51)가 관리하는 셀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동 노드(4)는 이전처럼 제 1 액세스 포인트(51)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52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4)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4)는 셀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51)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2 액세스 포인트(52)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이동 노드(4)는 새롭게 연결된 제 2 액세스 포인트(52)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제 2 액세스 포인트(52)는 제 1 액세스 라우터(61)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
522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4)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동 노드(4)는 이전처럼 제 2 액세스 포인트(52)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제 2 액세스 포인트(52)는 제 1 액세스 라우터(61)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
53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4)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4)는 셀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제 2 액세스 포인트(52)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3 액세스 포인트(53)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이동 노드(4)는 새롭게 연결된 제 3 액세스 포인트(53)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제 3 액세스 포인트(53)는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 노드(4)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신호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 이와 같이, 이동 노드(4)가 서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 경우, 이동 노드(4)는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532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 3 액세스 포인트(53) 및 제 2 액세스 라우터(62)를 경유하여 제 1 액세스 라우터(61)로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액세스 라우터인 제 2 액세스 라우터(62)를 경유하여 이 정보를 수신한 제 1 액세스 라우터(61)는 이동 노드(4)가 자신이 관리하는 서브넷을 벗어났다는 것을 알게 된다.
533 통신 과정에서 제 1 액세스 라우터(61)는 제 2 액세스 라우터(62) 및 제 3 액세스 포인트(53)를 경유하여 이동 노드(4)가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이동 노드(4)는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4)는 서브넷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고, 아래의 534 통신 과정을 수행한다. 이동 노드(4)는 종래와 달리 이미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 상태에서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서브넷 변경을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확인하게 되는 것에 그친다.
534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 3 액세스 포인트(53)를 경유하여 제 2 액세스 라우터(62)로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요청한다. 이동 노드(4)는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획득하고, 이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한다. 이동 노드(4)는 새로운 IP 주소를 사용하여 제 2 액세스 라우터(62)가 관리하는 서브넷에서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535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4)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내에 계속적으로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동 노드(4)는 이전처럼 제 3 액세스 포인트(53)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541 통신 과정에서 이동 노드(4)는 제 4 액세스 포인트(54)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노드(4)는 수신된 비컨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이 위치한 셀이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4)는 셀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 즉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제 4 액세스 포인트(54)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되고, 제 3 액세스 포인트(53)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4 액세스 포인트(54)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이동 노드(4)는 새롭게 연결된 제 4 액세스 포인트(54)를 경유하여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노드(4)는 자신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만 액세스 라우터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서 불필요한 액세스 라우터와의 통신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액세스 포인트(52)에서의 제 1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비컨 신호 생성부(521), 경계 정보 삽입부(522), 및 신호 송신부(523)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3 액세스 포인트(53)에서의 제 1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도 비컨 신호 생성부(531), 경계 정보 삽입부(532), 및 신호 송신부(533)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제 1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정보, 즉 경계 정보를 비컨 신호에 삽입함으로서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고 있다.
비컨 신호 생성부(52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비컨 신호 생성부(531)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이동 단말이 이 비컨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 비컨 신호는 IEEE 802.11 규격 상의 비컨 프레임이다.
경계 정보 삽입부(522)는 비컨 신호 생성부(521)에서 생성된 비컨 신호에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를 삽입한다. 경계 정보 삽입부(532)는 비컨 신호 생성부(531)에서 생성된 비컨 신호에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를 삽입한다.
네트워크 설계자는 네트워크를 설계할 때, 네트워크 전체를 몇 개의 서브넷들로 분할하고, 이러한 서브넷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존 시스템에 경계 정보 삽입부(522, 532)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서브넷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통신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이동 단말들, 즉 이 액세스 포인트들이 관리하는 셀 내에 있는 이동 단말들에게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서만 경계 정보 삽입부(522, 532)라는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액세스 포인트들의 구성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IEEE 802.11 규격 상의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은 프레임 제어 필드(frame control field)(401), 기간 필드(duration field)(402), 목적지 주소 필드(destination address field)(403), 발신지 주소 필드(source address field)(404), BSS 아이디 필드(Basic Service Set ID field)(405), 순서 제어 필드(sequence control field)(406), 프레임 바디 필드(frame body field)(407), 및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frame check sequence)(40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임 제어 필드(frame control field)(401)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protocol version field)(4011), 타입 필드(type field)(4012), 서브타입 필드(subtype field)(4013),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IEEE 802.11 규격에 따르면, 비컨 프레임은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000인 관리 프레임의 일종이다. 타입 필드의 값 0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낸다.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는 타임 스탬프 필드(time stamp field)(4071), 비컨 간격 필드(beacon interval field)(4072), 성능 정보 필드(c액세스 포인트ability information field)(4073), TIM 필드(Traffic Indication M액세스 포인트)(4074),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성능 정보 필드(4073)는 ESS 필드(Extended Service Set field)(40731), IBSS 필드(Independent BSS field)(40732), CF 폴 가능 필드(Contention Free pollable)(40733), CF 폴 요청 필드(Contention Free poll request)(40734), 프라이버시 필드(privacy field)(40735), 및 보류 필드(reserved field)(40736)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컨 프레임에 경계 정보를 삽입하기 위하여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의 보류 필드(40736)의 어느 한 비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이 비트를 B 플래그(Border flag)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B 플래그의 값을 1로 설정한다. 이때, 서브넷의 경계에 있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경계 정보 삽입부(522, 532) 추가 없이, 기존의 구성 요소들인 비컨 신호 생성부(521, 531) 및 신호 송신부(523, 533)만으로 구성될 것이므로 당연히 B 플래그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B 플래그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신호 송신부(523)는 경계 정보 삽입부(522)에 의해 경계 정보가 삽입된 비컨 신호를 이동 단말(4)로 송신한다. 신호 송신부(533)는 경계 정보 삽입부(532)에 의해 경계 정보가 삽입된 비컨 신호를 이동 단말(4)로 송신한다. 신호 송신부(523, 533)는 이동 중인 이동 단말에 자신이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부단하게 알리기 위하여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동 노드(4)에서의 제 1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신호 수신부(41), 비컨 신호 판별부(42), 셀 아이디 확인부(43), 셀 변경 결정부(44), 경계 정보 확인부(45), 카운터(46), 서브넷 변경 결정부(47), 및 핸드오버 수행부(4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핸드오버 수행부(48)는 링크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81) 및 IP(Internet Protocol)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82)로 구성된다.
신호 수신부(4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면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이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면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비컨 신호 판별부(42)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비컨 신호 판별부(42)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401)의 타입 필드(4012) 및 서브타입 필드(4013)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수신된 신호가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000이면, 수신된 신호는 비컨 신호이다.
셀 아이디 확인부(43)는 비컨 신호 판별부(42)에서 비컨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비컨 신호로 판별된 신호에 포함된 셀 아이디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프레임의 일종인 비컨 프레임은 BSS 아이디 필드(405)를 포함한다. BSS는 본 실시예에서의 셀을 의미하는 IEEE 802.11 규격 상의 용어이다. 이 BSS 아이디 필드(405)에는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BSS의 아이디, 즉 셀의 아이디가 기록되어 있다. 셀 아이디 확인부(43)는 비컨 프레임의 BSS 아이디 필드(405)를 참조하여 셀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
셀 변경 결정부(44)는 셀 아이디 확인부(43)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셀 아이디 확인부(43)에서 확인된 셀의 아이디가 이전에 확인된 셀의 아이디와 동일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핸드오버 수행부(48)는 비컨 신호 판별부(42)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핸드오버 수행부(48)에 포함된 링크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81)는 셀 변경 결정부(44)에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3 액세스 포인트(53)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경계 정보 확인부(46)는 비컨 신호 판별부(42)에서 비컨 신호로 판별된 신호, 즉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한다. 즉, 경계 정보 확인부(46)는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의 보류 필드(40736)를 참조하여 확인한다.
카운터(46)는 경계 정보 확인부(45)에 의해 경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즉, 카운터(46)는 경계 정보 확인부(45)에 의해 B 플래그에 기록된 값이 1인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서브넷 변경 결정부(47)는 카운터(46)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서브넷 변경 결정부(47)는 카운터(46)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왜냐하면, 카운트된 값이 1인 경우는 이동 단말(4)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한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만 비컨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4)은 이 비컨 신호로부터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뿐, 새로운 서브넷으로 진입하였는 지는 알 수 없다. 특히, 이동 단말(4)이 서브넷의 경계에까지 이동하였다가 다시 이 서브넷 내로 되돌아오는 경우도 카운터(46)에 의해 1로 카운트될 수 있기 때문에 카운트된 값이 1이라는 것은 서브넷 변경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없다.
그러나, 카운트된 값이 2인 경우라면 이동 단말(4)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및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2개의 비컨 신호들을 수신한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4)은 이 비컨 신호들로부터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새로운 서브넷으로 진입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운터(46)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서브넷들의 경계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적어도 2개 이상의 비컨 신호들을 수신한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4)은 이 비컨 신호들로부터 새로운 서브넷으로 진입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동 단말(4)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 내에 머물면서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다수의 비컨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제 1 액세스 라우터(61)가 관리하는 서브넷 내에서 서브넷의 경계에까지 이동하였다가 다시 이 서브넷 내로 되돌아오는 경우를 수 차례 반복한다면, 서브넷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도 카운터(46)에서 카운트된 값이 2 이상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비컨 프레임의 BSS 아이디 필드(405)를 참조하여 셀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에 대해서는 카운트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핸드오버 수행부(48)는 경계 정보 확인부(45)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핸드오버 수행부(48)에 포함된 IP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82)는 서브넷 변경 결정부(47)에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새로운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획득하여 새로운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52, 53)에서 수행되며, 도 5에서 기술되지 않았으나,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도 적용된다.
501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502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501 단계에서 생성된 비컨 신호에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를 삽입한다.
503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502 단계에 의해 경계 정보가 삽입된 비컨 신호를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이동 노드(4)에서 수행되며, 도 5에서 기술되지 않았으나,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도 적용된다.
601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602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603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2 단계에서 비컨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비컨 신호로 판별된 신호에 포함된 셀 아이디를 확인한다.
604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3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605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2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605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4 단계에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606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2 단계에서 비컨 신호로 판별된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한다. 즉, 606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의 보류 필드(40736)를 참조하여 확인한다.
607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6 단계에 의해 경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즉, 607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6 단계에 의해 B 플래그에 기록된 값이 1인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608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7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608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7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609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6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609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8 단계에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610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607 단계에서 카운트된 카운터를 리셋한다. 이것은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항상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액세스 포인트(52)에서의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비컨 신호 생성부(524), 경계 신호 생성부(525), 및 신호 송신부(526)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3 액세스 포인트(53)에서의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도 비컨 신호 생성부(534), 경계 신호 생성부(535), 및 신호 송신부(536)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새로운 신호, 즉 경계 신호를 송신함으로서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하고 있다.
비컨 신호 생성부(52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비컨 신호 생성부(534)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이동 단말이 이 비컨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 비컨 신호는 IEEE 802.11 규격 상의 비컨 프레임이다.
경계 신호 생성부(525)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를 생성한다. 경계 신호 생성부(535)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설계자는 네트워크를 설계할 때, 네트워크 전체를 몇 개의 서브넷들로 분할하고, 이러한 서브넷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존 시스템에 경계 신호 생성부(525, 535)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서브넷들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통신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이동 단말들, 즉 이 액세스 포인트들이 관리하는 셀 내에 있는 이동 단말들에게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서만 경계 신호 생성부(525, 535)라는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액세스 포인트들의 구성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IEEE 802.11 규격 상의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은 프레임 제어 필드(801), 기간 필드(802), 목적지 주소 필드(803), 발신지 주소 필드(804), BSS 아이디 필드(805), 순서 제어 필드(806), 프레임 바디 필드(807), 및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80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임 제어 필드(801)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8011), 타입 필드(8012), 서브타입 필드(8013),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새로운 신호, 즉 새로운 프레임을 정의하기 위하여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타입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이 프레임을 경계 프레임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서브타입 필드의 값을 FFFF로 설정한다. 이 값은 아직 IEEE 802.11 규격에서 지정되지 않은 값들 중 하나를 예로 들은 것이며, 다른 값을 사용하여도 된다. 타입 필드의 값 0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때, 서브넷의 경계에 있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경계 정보 생성부(525, 535) 추가 없이, 기존의 구성 요소들인 비컨 신호 생성부(524, 534) 및 신호 송신부(526, 536)만으로 구성될 것이므로 당연히 경계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을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경계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신호 송신부(526)는 비컨 신호 생성부(524)에서 생성된 비컨 신호 및 경계 신호 생성부(525)에서 경계 신호를 이동 단말(4)로 송신한다. 신호 송신부(536)는 비컨 신호 생성부(534)에서 생성된 비컨 신호 및 경계 신호 생성부(535)에서 경계 신호를 이동 단말(4)로 송신한다. 신호 송신부(526, 536)는 이동 중인 이동 단말에 자신이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부단하게 알리기 위하여 비컨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음을 부단하게 알리기 위하여 경계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동 노드(4)에서의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신호 수신부(410), 비컨 신호 판별부(411), 셀 아이디 확인부(412), 셀 변경 결정부(413), 경계 신호 판별부(414), 카운터(415), 서브넷 변경 결정부(416), 및 핸드오버 수행부(41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핸드오버 수행부(414)는 링크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171) 및 IP(Internet Protocol)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172)로 구성된다.
신호 수신부(410)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이 제 2 액세스 포인트(5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면 제 2 액세스 포인트(5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이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면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비컨 신호 판별부(411)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비컨 신호 판별부(411)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401)의 타입 필드(4012) 및 서브타입 필드(4013)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수신된 신호가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000이면, 수신된 신호는 비컨 신호이다.
셀 아이디 확인부(412)는 비컨 신호 판별부(411)에서 비컨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비컨 신호로 판별된 신호에 포함된 셀 아이디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셀 아이디 확인부(43)는 비컨 프레임의 BSS 아이디 필드(405)를 참조하여 셀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
셀 변경 결정부(413)는 셀 아이디 확인부(412)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셀 아이디 확인부(412)에서 확인된 셀의 아이디가 이전에 확인된 셀의 아이디와 동일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핸드오버 수행부(417)는 비컨 신호 판별부(411)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핸드오버 수행부(417)에 포함된 링크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171)는 셀 변경 결정부(413)에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와의 링크 계층 연결을 제 3 액세스 포인트(53)와의 링크 계층 연결로 변경한다.
경계 신호 판별부(414)는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액세스 포인트(52) 또는 제 3 액세스 포인트(53)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경계 신호 판별부(414)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801)의 타입 필드(8012) 및 서브타입 필드(8013)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판별한다. 즉,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FFFF이면, 수신된 신호는 경계 신호이다.
카운터(415)는 경계 신호 판별부(414)에서 경계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즉, 카운터(415)는 경계 신호 판별부(414)에 의해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FFFF인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서브넷 변경 결정부(416)는 카운터(415)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서브넷 변경 결정부(416)는 카운터(415)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다만, 비컨 프레임의 BSS 아이디 필드(805)를 참조하여 셀 아이디가 동일한 경우는 카운트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핸드오버 수행부(417)는 경계 신호 판별부(414)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4)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핸드오버 수행부(417)에 포함된 IP 계층 핸드오버 수행부(4172)는 서브넷 변경 결정부(416)에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 노드(4)는 새로운 서브넷의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획득하여 새로운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IP 주소를 생성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52, 53)에서 수행되며, 도 9에서 기술되지 않았으나,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에도 적용된다.
901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를 생성한다.
902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901 단계에서 생성된 비컨 신호를 이동 노드로 송신한다.
903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901 단계에서 비컨 신호가 생성되면, 자신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경계 신호보다 먼저 비컨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경계 신호보다 먼저 비컨 신호가 이동 단말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서 링크 계층 핸드오버가 IP 계층 핸드오버보다 먼저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904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903 단계에서 생성된 경계 신호를 이동 노드로 송신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노드에서의 제 2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이동 노드에서의 제 2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이동 노드(4)에서 수행되며, 도 10에서 기술되지 않았으나,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도 적용된다.
101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102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103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2 단계에서 비컨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비컨 신호로 판별된 신호에 포함된 셀 아이디를 확인한다.
104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3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105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2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05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4 단계에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106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106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경계 신호 판별부(414)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801)의 타입 필드(8012) 및 서브타입 필드(8013)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판별한다.
107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6 단계에서 경계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즉, 107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6 단계에 의해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FFFF인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108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7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108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7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109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6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09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8 단계에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IP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110 단계에서 이동 노드는 107 단계에서 카운트된 카운터를 리셋한다. 이것은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항상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노드에게 링크 계층 핸드오버만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링크 계층 핸드오버 및 IP 계층 핸드오버를 함께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불필요한 이동 노드와 액세스 라우터의 통신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이동 노드가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만 이동 노드와 액세스 라우터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서 불필요한 이동 노드와 액세스 라우터의 통신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불필요한 이동 노드와 액세스 라우터의 통신 과정을 제거함으로서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해서만 본 발명에서 제안된 구성 요소를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액세스 포인트들의 구성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속 핸드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고속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20)

  1. 이동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c)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경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b)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는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이고, 상기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는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IEEE 802.11 규격 상의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의 성능 정보 필드의 보류 필드에 기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이동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하는 경계 정보 확인부; 및
    상기 경계 정보 확인부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정보 확인부에 의해 상기 경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카운터; 및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서브넷 변경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넷 변경 결정부는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비컨 신호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상기 비컨 신호 판별부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는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이고, 상기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는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IEEE 802.11 규격 상의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의 성능 정보 필드의 보류 필드에 기록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이동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c)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경계 신호로 판별되면,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카운트된 값이 적어도 2 이상이면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e)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비컨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는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이고, 상기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는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의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IEEE 802.11 규격 상의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타입 필드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이동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정보인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0. 이동 단말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경계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서브넷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24508A 2004-03-12 2004-04-09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eased KR20050091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78,696 US20050201330A1 (en) 2004-03-12 2005-03-14 Fast handover method, apparatus, and medium
US11/790,273 US20080192691A1 (en) 2004-03-12 2007-04-24 Fast handover method, apparatus, and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219704P 2004-03-12 2004-03-12
US60/552,197 2004-03-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916A Division KR20060132769A (ko) 2004-03-12 2006-11-27 이동 단말의 고속 핸드 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611A true KR20050091611A (ko) 2005-09-15

Family

ID=37273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508A Ceased KR20050091611A (ko) 2004-03-12 2004-04-09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60117916A Ceased KR20060132769A (ko) 2004-03-12 2006-11-27 이동 단말의 고속 핸드 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916A Ceased KR20060132769A (ko) 2004-03-12 2006-11-27 이동 단말의 고속 핸드 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201330A1 (ko)
KR (2) KR200500916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158B1 (ko) * 2006-01-20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Ap에서의 ra, rs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85851B1 (ko) * 2006-12-08 2007-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 환경에서의 ip 핸드 오프 방법
US8244253B2 (en) 2005-11-03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ast mobility IP with link identifier prefi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3450B2 (en) *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US7738871B2 (en) *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20060159047A1 (en) * 2005-01-18 2006-07-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transfer across heterogeneous networks
US20060217147A1 (en) * 2005-01-18 2006-09-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stem discovery and user selection
US7746825B2 (en) * 2005-05-16 2010-06-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s
US9007954B2 (en) * 2005-05-26 2015-04-14 Nokia Corporation Beacon transmission for wireless networks
CN101204043A (zh) * 2005-05-26 2008-06-18 诺基亚公司 用于无线网络的业务优先级化技术
KR101238993B1 (ko) * 2005-08-25 2013-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US9419981B2 (en) * 2005-10-31 2016-08-1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securing communications between a first node and a second node
WO2007062004A2 (en) 2005-11-22 2007-05-3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media, and devices for moving a connection from one point of access to another point of access
US7948953B2 (en) * 2005-12-19 2011-05-24 Arub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the same service set identifier for different basic service sets
US7890745B2 (en) * 2006-01-11 2011-02-1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management frames
US20070254667A1 (en) * 2006-04-28 2007-11-01 Joanna Jokinen Inter-MME handover in evolved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144579A1 (en) * 2006-12-19 2008-06-19 Kapil Sood Fast transitioning advertisement
US7769380B2 (en) * 2006-12-20 2010-08-03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Method for reducing the rate of registration in CDMA-based mobile networks
US8626844B2 (en) * 2007-03-26 2014-01-07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media for exchanging data between nodes of disconnected networks
US20090005047A1 (en) * 2007-06-29 2009-01-01 Vivek Gupta Media independent vertical handovers
CN101902794B (zh) * 2010-08-02 2012-10-17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V2i通信中基于运动预测的二层快速切换方法
US9936441B2 (en) 2011-08-01 2018-04-03 Aruba Networks, Inc. Infrastructure-assisted client management using synthesized beacon reports
US10848979B2 (en) 2011-08-01 2020-11-2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 devices within a wireless network
US9326313B2 (en) 2011-08-01 2016-04-26 Aruba Network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lient devices within a wireless network
CN107835175B (zh) * 2017-11-09 2020-09-22 深圳市云盾科技有限公司 采用平衡二叉树算法的网络连接跟踪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18A (ko) * 2001-12-29 2002-03-29 박재홍 무선랜 기반에서 비콘 메시지를 사용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JP2003092597A (ja) * 2001-07-13 2003-03-28 Hitachi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5004018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53141A (ko) * 2003-12-02 2005-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기반 인터넷망 시스템 및 상기 인터넷망시스템에서 이동노드의 이동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5754B2 (en) * 2001-11-02 2009-06-09 Ntt Docomo, Inc. Geographically adjacent access router discovery and caching for mobile nodes
DE60222227T2 (de) * 2001-12-26 2008-01-10 Kabushiki Kaisha Toshiba Kommunikationssystem, drahtlose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Kommunikationsverfahren
JP2003224874A (ja) * 2002-01-29 2003-08-08 Fujitsu Ltd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ルータおよび移動通信端末
US7751818B2 (en) * 2002-11-15 2010-07-06 Nokia Corporation Smart inter-technology handover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597A (ja) * 2001-07-13 2003-03-28 Hitachi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20023918A (ko) * 2001-12-29 2002-03-29 박재홍 무선랜 기반에서 비콘 메시지를 사용한 고속 핸드오프 방법
KR20050040180A (ko) * 2003-10-27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53141A (ko) * 2003-12-02 2005-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기반 인터넷망 시스템 및 상기 인터넷망시스템에서 이동노드의 이동 감지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4253B2 (en) 2005-11-03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ast mobility IP with link identifier prefi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50158B1 (ko) * 2006-01-20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Ap에서의 ra, rs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85851B1 (ko) * 2006-12-08 2007-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에이전트 플랫폼 환경에서의 ip 핸드 오프 방법
US8243685B2 (en) 2006-12-08 2012-08-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P handoff method in mobile agent platform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769A (ko) 2006-12-22
US20050201330A1 (en)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769A (ko) 이동 단말의 고속 핸드 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205008B (zh) 测距的方法、通信节点、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9842906B (zh) 一种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US7505434B1 (en) VLAN tagging in WLANs
TWI383701B (zh) 鄰近細胞之發現
CN115379420A (zh) 用于执行感知任务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
US20080192691A1 (en) Fast handover method, apparatus, and medium
US20050030922A1 (en) Method for selecting access point based on state information about access point
US20060121914A1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heterogeneous system network
EP1890518A2 (e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601673B1 (ko) 다중 인터페이스들이 탑재된 이동 스테이션에서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2008536340A (ja) 送信レンジ変化を用いた安定無線ユーザ局在化方式
KR20150008465A (ko) 도메인 네임 시스템 질의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6330723B (zh) 网络邻居设备的发现方法及装置
CN102711193B (zh) 执行快速切换的装置和方法
CN111901132A (zh) 群组管理方法、装置及系统
JPWO2007083541A1 (ja) 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KR100891110B1 (ko)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US8774053B2 (en) Method, network element device, and network system for associating a terminal device with a network
CN112584375B (zh) 用于无线通信系统的威胁检测装置及其威胁检测方法
KR20050104191A (ko) 액세스 포인트간의 핸드오버를 지원 또는 수행하는 방법및 장치
TWI410161B (zh) 路徑連結
CN116368751A (zh) 消息传输方法及装置
CN105992208A (zh) 一种无线连接的认证方法及装置
EP4529238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4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1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211

Appeal identifier: 2008101011495

Request date: 200810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30

Effective date: 2010021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0021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81030

Decision date: 20100211

Appeal identifier: 2008101011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