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0218A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218A
KR20050090218A KR1020040015478A KR20040015478A KR20050090218A KR 20050090218 A KR20050090218 A KR 20050090218A KR 1020040015478 A KR1020040015478 A KR 1020040015478A KR 20040015478 A KR20040015478 A KR 20040015478A KR 20050090218 A KR20050090218 A KR 2005009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carbon
sio
containing compound
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870B1 (ko
Inventor
이상민
정구진
김성수
닛타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870B1/ko
Priority to CNB2005100640935A priority patent/CN100547830C/zh
Priority to US11/077,377 priority patent/US8709653B2/en
Priority to JP2005063655A priority patent/JP4401984B2/ja
Publication of KR2005009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870B1/ko
Priority to US14/261,059 priority patent/US9012082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4Arrangements to prevent high voltage or static electricity fail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x는 1.5 이하)에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가 도핑되어 있는 코어물질; 및 상기 코어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옥사이드-탄소 복합체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특성과 고율 충방전 특성을 우수하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NEGA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명 특성과 고율 충방전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최근 휴대전자 기기의 소량 경량화 및 고성능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고용량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활물질의 하나인 흑연은 372 mAh/g의 이론용량을 가지지만, 이것보다도 고용량인 음극 활물질을 얻고자 하기 위해서는 비정질 탄소재 또는 탄소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규재료의 개발을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흑연을 대체할 수 있는 신규재료로서는 종래부터 규소나 그 화합물이 검토되어 오고 있다. 규소나 그 화합물은 규소자체가 리튬과 합금을 형성하고, 흑연보다도 큰 전기용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재료로서, (1)흑연에 규소화합물의 분말을 단순히 혼합한 재료, (2)실란커플링제 등을 이용하여 흑연표면에 미분발의 규소화합물 등을 화학적으로 고정한 재료, (3)흑연계탄소물질과 Si 등의 금속물질을 비정질인 탄소물질로 결합 또는 피복한 재료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1)흑연에 규소화합물의 분말을 단순히 혼합한 재료는 흑연과 규소화합물이 반드시 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흑연이 팽창 또는 수축했을 때에 규소화합물이 흑연으로부터 유리되며, 이 규소화합물 자체가 전자 전도성이 낮기 때문에, 규소화합물이 음극 활물질로서 충분히 이용되지 않게 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사이클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2)실란커플링제 등을 이용하여 흑연표면에 미분발의 규소화합물 등을 화학적으로 고정한 재료는 충방전 사이클이 초기중에는 흑연에 규소화합물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규소화합물이 흑연과 같이 음극 활물질로서 기능하지만,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리튬과의 합금형성에 따라 규소화합물 자체가 팽창하여, 이에 따라 실란커플링제에 의한 결합을 파괴하여 규소화합물이 흑연으로부터 유리되어, 규소화합물이 음극 활물질로서 충분히 이용될 수 없어서, 리튬 이차 전지의 사이클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극 재료 제조시에 실란커플링 처리가 균질하게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안정된 품질의 음극 재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3)흑연계 탄소물질과 Si 등의 금속물질을 비정질인 탄소물질로 결합 또는 피복한 재료는 (2)실란커플링제 등을 이용하여 흑연표면에 미분발의 규소화합물 등을 화학적으로 고정한 재료의 상기 문제점과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즉,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되면, 리튬과의 합금형성에 따른 금속물질 자체의 팽창에 의해 비정질 탄소물질에 의한 결합이 파괴되어 금속물질이 흑연계 탄소물질로부터 유리되어, 금속물질이 음극 활물질로서 충분히 이용되지 않게 되어, 사이클특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명특성과 고율 충방전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x는 1.5 이하)에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가 도핑되어 있는 코어물질; 및 상기 코어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옥사이드-탄소 복합체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SiO2, Si 및 B-함유 화합물, P-함유 화합물, Li-함유 화합물, Ge-함유 화합물, Al-함유 화합물, V-함유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도핑된 실리콘 옥사이드(SiOx; x는 1.5 이하)의 코어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물질을 탄소물질로 코팅하여 실리콘 옥사이드-탄소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x는 1.5 이하)에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가 도핑되어 있는 코어물질과 상기 코어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 옥사이드-탄소 복합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리콘 옥사이드-탄소 복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실리콘 옥사이드-탄소 복합체는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가 도핑된 비정질의 실리콘 옥사이드(11) 내에 나노크기의 실리콘 결정질(Si nano-cryatalline)(12)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의 코어물질(10)의 표면에 탄소 물질(21)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어물질을 이루는 SiOx는 비가역 용량이 높고, 수명이 짧으며, 고율 충방전 효율이 좋지 않다. 이는 충방전시 구조적인 안정성이 낮고 Li 원자의 확산속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SiOx에 도핑함으로써 SiOx의 비정질화도를 높이고 Li 원자의 확산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의 비정질화도는 50 % 이상이며, GITT(Galvanic Intermitant time technique) 방법에 따라 Li의 확산속도를 측정할 경우 10-8 cm2/sec 이상,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0-6 cm 2/sec의 확산속도를 가진다. 상기 비정질화도는 하기 계산식 1과 같이 정의 된다.
[계산식 1]
비정질화도(%) = ((급냉 처리후 주요 XRD 피크 강도)/(급냉 처리전 주요 XRD 피크 강도))*100
상기 SiOx의 x는 1.5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1.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x가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기화학적 반응 자리(site)인 Si의 상대적인 양이 적어 전체 에너지 밀도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도핑원소인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도핑양은 코어물질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도핑양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밀도 및 비가역 용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어물질을 코팅하는 탄소물질로는 결정질 탄소이나 비정질 탄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탄소로는 판상,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 등이 있다. 상기 탄소물질은 실리콘 옥사이드-탄소물질 복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로 코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로 코팅될 수 있다. 탄소물질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코어물질의 충방전시에 발생될 수 있는 활물질 부피 팽창에 대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전극수명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어 물질의 구성 비율 감소로 인한 활물질 자체의 방전용량이 감소되어 기존 흑연재 음극 활물질과 비교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를 추구할 수 없다.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이흑연화성 탄소(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난흑연화성 탄소(하드 카본(hard carbon))를 들 수 있다.
상기 소프트 카본은 석탄계 핏치, 석유계 핏치, 타르(tar), 저분자량의 중질유를 약 1000℃로 열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하드 카본은 페놀 수지, 나프탈렌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수지, 퓨란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을 약 1000℃로 열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석유계, 석탄계 탄소 원료 또는 수지계 탄소를 300 내지 600℃로 열처리한 메조페이스 피치, 원료 코크스(raw cokes) 및 탄소 원료를 불융화처리한 후 또는 불융화처리하지 않고 600 내지 1500℃로 열처리한 메조페이스 핏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의 비정질 탄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음극 물질인 실리콘 옥사이드-탄소물질 복합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코어물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SiO2와 Si의 혼합물에 B-함유 화합물, P-함유 화합물, Li-함유 화합물, Ge-함유 화합물, Al-함유 화합물, V-함유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함께 열처리한다. SiO2와 Si는 3:1 내지 1:1 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은 유리질 형성 전구체(Glass network form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B2O3, B2O 등이 있으며 P-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P2O5, P2O3, 등이 있고, Li-함유 화합물로는 Li2O, Li2CO3, LiOH 등이 있고, Ge-함유 화합물로는 GeO2, Al-함유 화합물로는 Al2O3, V-함유 화합물로는 V2O5 등이 있다. 상기 유리질 형성 전구체는 SiO2 및 Si의 혼합물과 함께 혼합되며,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6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내지 1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600℃ 미만이면 열확산 현상의 저하로 균일한 비정질 SiOx 형성이 어렵고, 상기 도핑원소가 도핑된 균일한 상태의 SiOx 형성이 어려워진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1000℃를 초과하면 Si 및 기타 다른 성분의 분해반응이 일어나, 원치 않는 제2상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 분위기는 불활성 분위기 또는 진공분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실리콘 옥사이드에 도핑되어 실리콘 옥사이드의 비정질화도와 Li의 확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공정 후에는 급냉 공정을 거친다. 상기 급냉 공정의 방식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수냉식, 또는 용융 방사(melt-spinning)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융 방사 방식이란, 용해(鎔解)된 용해물을 특정 압력의 가스에 의하여 미세한 노즐을 통하여 상온 이하의 표면온도를 갖고 고속 회전하는 Cu-roll위에 분사시켜 급속 응고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급냉시 냉각속도는 102 내지 107 K/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 공정 및 급냉 공정에 의하여 도핑원소를 포함하는 SiOx 코어물질을 제조한다. 상기 코어물질을 탄소물질로 코팅하여 본 발명의 실리콘 옥사이드-탄소 복합체 음극 물질을 제조한다.
상기 탄소물질은 결정질 탄소, 또는 비정질 탄소일 수 있으며, 결정질 탄소의 경우에는 상기 코어물질과 결정질 탄소를 고상 또는 액상으로 혼합한 후 코팅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결정질 탄소를 코어물질에 코팅할 수 있다.
고상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주로 기계적인 혼합 방법으로 코팅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데, 기계적 혼합 방법의 일 예로 니딩(kneading)하는 방법 및 혼합시 전단 응력(shear stress)이 걸릴 수 있도록 혼합기(mixer)의 날개 구조를 바꾼 미케니컬 혼합(mechanical mixing) 또는 기계적으로 입자간의 전단력을 가하여 입자 표면간의 융합을 유도하는 미케노케미칼(mechanochemical)법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액상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고상으로 혼합하는 경우와 같이 기계적으로 혼합하거나, 또는 분무 건조(spray drying)하거나, 분무 열분해(spray pyrolysis)하거나, 냉동 건조(freeze drying)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액상 혼합의 경우 첨가되는 용매로는 물, 유기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톨루엔, 벤젠, 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정질 탄소로 코팅하는 경우에는 비정질 탄소전구체로 코팅하여 열처리하여 탄소전구체를 탄화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방법은 건식 또는 습식 혼합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메탄, 에탄, 프로판 등과 같이 탄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이용한 화학증착(CVD)법과 같은 증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탄소 전구체로는 페놀 수지, 나프탈렌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퓨란 수지, 셀룰로즈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의 수지류, 석탄계 핏치, 석유계 핏치, 타르(tar) 또는 저분자량의 중질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상기 음극 활물질로 제조된 음극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제조된 음극 합제를 구리 등의 집전체에 도포하여 음극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전재를 첨가하여 음극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의 예로는, 니켈 분말, 산화 코발트, 산화 티탄, 카본 등이 있으며, 상기 도전재로 사용되는 카본의 예로는, 케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퍼니스 블랙, 흑연, 탄소 섬유, 플러렌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리튬 이차 전지(1)를 나타낸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1)는 음극(2), 전극(3), 상기 음극(2)과 양극(3)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4), 상기 음극(2), 양극(3) 및 세퍼레이터(4)에 함침된 전해액과, 전지 용기(5)와, 전지 용기(5)를 봉입하는 봉입부재(6)를 주된 부분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리튬 이차 전지의 형태는 원통형이나 이외에 원통형, 각형, 코인형, 또는 쉬트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양극 합제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 할 수 있는 화합물로 LiMn2O4, LiCoO2, LiNiO2, LiFeO2 , V2O5, TiS, MoS 등이 있다. 세퍼레이터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다공질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전해액으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벤조니트릴,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2-메틸 테트라히드로퓨란, γ-부티로락톤, 디옥솔란, 4-메틸디옥솔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토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설포란,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디메틸 카보네이트,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메틸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부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비프로톤성 용매, 또는 이들 용매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혼합 용매에,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CF3 SO3, Li(CF3SO2)2N, LiC4F9SO 3, LiSbF6, LiAlO4, LiAlCl4, LiN(CxF2x+1SO2)(CyF 2y+1SO2)(단, x, y는 자연수), LiCl, LiI 등의 리튬염으로 이루어진 전해질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시킨 것을 용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 대신에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는 리튬이온에 대한 이온도전성이 높은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이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것의 고분자에 상기 용매와 용질을 첨가하여 겔상으로 한 것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iO2와 Si를 1:1의 몰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B2O3 20 중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800 ℃ 에서 감압 열처리한 다음 103 K/sec.의 속도로 급냉하여 B가 6.2 중량% 도핑된 SiOx(x=1.48)를 제조하였다. 상기 도핑된 SiOx를 코어 물질로 하고, 그 표면 위에 화학증착(CVD)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비정질 탄소물질을 30 중량%로 코팅하여 탄소가 코팅된 SiOx 복합체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자 크기가 5 ㎛인 Si 분말의 표면 위에 화학증착(CVD)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비정질 탄소물질을 30 중량%로 코팅하여 탄소가 코팅된 Si복합체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SiO2와 Si를 1:1의 몰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800 ℃ 에서 감압 열처리한 다음 103 K/sec.의 속도로 급냉하여 SiOx(x=1)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SiOx를 코어 물질로 하여, 그 표면 위에 화학증착(CVD)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비정질 탄소재를 30 중량% 코팅한 후 탄소가 코팅된 SiOx 복합체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SiO2와 Si를 3 : 1의 몰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B2O3 20 중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800℃에서 감압 열처리한 다음, 103 K/sec.속도로 급냉하여 B가 5.2 중량% 도핑된 SiOx (x=1.95)를 제조하였다. 상기 도핑된 SiOx를 코어 물질로 하고, 그 표면 위에 화학증착(CVD) 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비정질 탄소물질을 30 중량%로 코팅하여 탄소가 코팅된 SiOx 복합체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
[충방전 시험용 테스트셀 작성]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음극 활물질과 폴리불화비닐리덴을 90:10의 비율로 N-메틸피롤리돈에서 혼합하여 각각의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 법으로 두께 10 ㎛의 구리 집전체에 도포하고, 진공 분위기 중에서 100℃, 1시간 건조하여 N-메틸피롤리돈을 휘발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두께 50 ㎛의 음극 활물질층을 구리 집전체에 적층한 다음 직경 16 ㎜의 원형으로 구멍을 뚫어 잘라 음극으로 하였다.
이 음극을 작용극으로 하고 같은 직경의 원형으로 잘라낸 금속 리튬박을 대극으로 하여, 작용극과 대극 사이에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를 삽입하고, 전해질로서 디에틸 카보네이트(DEC)와 에틸렌 카보네이트(EC)의 혼합 용매(DEC : EC = 1 : 1)에 LiPF6가 1(몰/L)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여 코인형 셀을 작성하였다.
그런 다음 충방전류 밀도를 0.2C으로 하고, 충전 종지 전압을 0V(Li/Li+), 방전 종지 전압을 2.0V(Li/Li+)로 하여 충방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음극활물질의 합금 조성 비정질화도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의 방전용량, 초기효율, 전극수명 측정 경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합금조성 카본코팅,B 도핑SiOx(x=1.48) 카본코팅,Si 카본코팅SiOx(x=1) 카본코팅,B 도핑SiOx(x=1.95)
방전용량(mAh/g) 700 1200 850 420
초기효율(%) 88 90 78 70
전극수명(% at 100th cycle) >90 <40 <70 ~75
비정질화도(%) 80 0 50 70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SiOx에 도핑함으로써 SiOx의 비정질화도를 높이고 Li 원자의 확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리튬 이차 전지의 수명특성과 고율 충방전 특성을 우수하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리콘 옥사이드-탄소 복합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리튬 이차 전지의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튬 이차 전지 2: 음극
3: 양극 4: 세퍼레이터
5: 전지 용기 6: 봉입부재

Claims (20)

  1. 실리콘 옥사이드(SiOx; x는 1.5 이하)에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가 도핑되어 있는 코어물질; 및
    상기 코어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물질
    을 포함하는 실리콘옥사이드-탄소 복합체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의 비정질화도는 50 % 이상이며, GITT(Galvanic Intermitant time technique) 방법에 따른 Li의 확산속도는 10-8 내지 10-6 cm2/sec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Ox의 x은 0.5 내지 1.5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도핑양은 전체 코어물질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도핑양은 전체 코어물질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물질은 결정질 탄소 또는 비정질 탄소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7. SiO2, Si 및 B-함유 화합물, P-함유 화합물, Li-함유 화합물, Ge-함유 화합물, Al-함유 화합물, V-함유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여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도핑된 실리콘 옥사이드(SiOx; x는 1.5이하)의 코어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한 코어물질을 급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어물질을 탄소물질로 코팅하여 실리콘 옥사이드-탄소의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iO2와 Si는 3: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은 유리질 형성 산화물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함유 화합물은 B2O3 및 B2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P-함유 화합물은 P2O5 및 P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Li-함유 화합물은 Li2O, Li2CO3, 및 LiOH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Ge-함유 화합물은 GeO2, Al-함유 화합물은 Al2O3, V-함유 화합물은 V2O5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은 SiO2, Si 및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은 SiO2, Si 및 도핑원소-함유 화합물이 혼합된 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600 내지 1000℃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온도는 800 내지 1000℃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의 비정질화도는 50 % 이상이며, GITT(Galvanic Intermitant time technique) 방법에 따른 Li의 확산속도는 10-8 내지 10-6 cm2/sec 이상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iOx의 x는 0.5 내지 1.5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도핑양은 전체 코어물질에 대하여 50 중량% 이하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 P, Li, Ge, Al, V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도핑양은 전체 코어물질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물질은 결정질 탄소 또는 비정질 탄소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2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040015478A 2004-03-08 2004-03-08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xpired - Lifetime KR10057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478A KR100578870B1 (ko) 2004-03-08 2004-03-08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B2005100640935A CN100547830C (zh) 2004-03-08 2005-03-08 可充电锂电池的负极活性物质及其制法以及包含它的可充电锂电池
US11/077,377 US8709653B2 (en) 2004-03-08 2005-03-08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05063655A JP4401984B2 (ja) 2004-03-08 2005-03-08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14/261,059 US9012082B2 (en) 2004-03-08 2014-04-24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478A KR100578870B1 (ko) 2004-03-08 2004-03-08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18A true KR20050090218A (ko) 2005-09-13
KR100578870B1 KR100578870B1 (ko) 2006-05-11

Family

ID=3727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478A Expired - Lifetime KR100578870B1 (ko) 2004-03-08 2004-03-08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870B1 (ko)

Cited B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4315A1 (en) * 2005-10-13 2007-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using an electrochemical cell
KR100759556B1 (ko) * 2005-10-17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KR20130033734A (ko) * 2011-09-27 2013-04-04 주식회사 예일전자 탄소복합체로 코팅된 실리콘 산화물 및 그 제조방법
US8772174B2 (en) 2010-04-09 2014-07-08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KR101429763B1 (ko) * 2007-08-28 2014-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432509B1 (ko) * 2007-07-17 2014-08-25 넥세온 엘티디 실리콘 또는 실리콘-기재 물질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재충전용 배터리에서의 그의 용도
KR101452027B1 (ko) * 2011-06-17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204141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US8932759B2 (en) 2008-10-10 2015-01-13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US8945774B2 (en) 2010-06-07 2015-02-03 Nexeon Ltd. Additive for lithium ion rechageable battery cells
US8962183B2 (en) 2009-05-07 2015-02-24 Nexeon Limited Method of making silicon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cells
US8980474B2 (en) 2011-08-31 2015-03-17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502897B1 (ko) * 2007-12-28 2015-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용 복합물,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전지
WO2015102199A1 (ko) * 2013-12-30 2015-07-0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재, 그 제조방법, 이를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184438B2 (en) 2008-10-10 2015-11-10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EP3035418A4 (en) * 2013-08-14 2017-01-18 Tosoh Corporation Composit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583762B2 (en) 2006-01-23 2017-02-28 Nexeon Limited Method of fabricating fibr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US9590238B2 (en) 2012-11-30 2017-03-07 Lg Chem, Ltd. Composite for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9608272B2 (en) 2009-05-11 2017-03-28 Nexeon Limited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US9647263B2 (en) 2010-09-03 2017-05-09 Nexeon Limited Electroactive material
US9806335B2 (en) 2012-11-30 2017-10-31 Lg Chem, Ltd. Composite including conductive material and binder on surface of (semi) metal oxide and method of preparing anode slurry including the same
KR20170136855A (ko)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US9853292B2 (en) 2009-05-11 2017-12-26 Nexeon Limited Electrode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US9871249B2 (en) 2007-05-11 2018-01-16 Nexeon Limited Silicon anode for a rechargeable battery
US9871248B2 (en) 2010-09-03 2018-01-16 Nexeon Limited Porous electroactive material
US9966594B2 (en) 2011-06-30 2018-05-08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negative active material
KR20190055733A (ko) * 2017-11-15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전지 전해질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해액 및 리튬전지
KR20190060697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8313A (ko) 2018-01-18 2019-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US10497934B2 (en) 2015-10-23 2019-12-03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WO2020040586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콘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0040613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11293284A (zh) * 2018-12-07 2020-06-16 贝特瑞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00073350A (ko) * 2018-12-13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US11133524B2 (en) 2016-06-02 2021-09-28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4122369A (zh) * 2020-08-28 2022-03-0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复合电极材料及其制造方法
KR20220030036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음극소재용 SiOx 분말의 리튬 프리도핑 방법
KR20220059872A (ko) * 2020-11-03 2022-05-10 (주)뉴테크엘아이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097832A1 (ko) * 2020-11-03 2022-05-12 (주)뉴테크엘아이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4497470A (zh) * 2020-11-13 2022-05-13 湖南中科星城石墨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613252A (zh) * 2023-11-28 2024-02-27 云南坤天新能源有限公司 一种高比能量密度锂离子电池所用硅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3215B1 (en) * 2012-11-30 2018-09-26 LG Chem, Ltd. Composite for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260425B1 (ko) 2018-05-24 2021-08-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4315A1 (en) * 2005-10-13 2007-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using an electrochemical cell
TWI416779B (zh) * 2005-10-13 2013-1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使用電化電池之方法
KR100759556B1 (ko) * 2005-10-17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US8628884B2 (en) 2005-10-17 2014-01-14 Samsung Sdi Co., Ltd. An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node and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material
US9583762B2 (en) 2006-01-23 2017-02-28 Nexeon Limited Method of fabricating fibr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US9871249B2 (en) 2007-05-11 2018-01-16 Nexeon Limited Silicon anode for a rechargeable battery
US8870975B2 (en) 2007-07-17 2014-10-28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KR101432509B1 (ko) * 2007-07-17 2014-08-25 넥세온 엘티디 실리콘 또는 실리콘-기재 물질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재충전용 배터리에서의 그의 용도
US9871244B2 (en) 2007-07-17 2018-01-16 Nexeon Limite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US8940437B2 (en) 2007-07-17 2015-01-27 Nexeon Limite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KR101429763B1 (ko) * 2007-08-28 2014-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502897B1 (ko) * 2007-12-28 2015-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용 복합물,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전지
US9184438B2 (en) 2008-10-10 2015-11-10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US8932759B2 (en) 2008-10-10 2015-01-13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US8962183B2 (en) 2009-05-07 2015-02-24 Nexeon Limited Method of making silicon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cells
US9553304B2 (en) 2009-05-07 2017-01-24 Nexeon Limited Method of making silicon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cells
US10050275B2 (en) 2009-05-11 2018-08-14 Nexeon Limited Binder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US9608272B2 (en) 2009-05-11 2017-03-28 Nexeon Limited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US9853292B2 (en) 2009-05-11 2017-12-26 Nexeon Limited Electrode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US8772174B2 (en) 2010-04-09 2014-07-08 Nexeon Ltd.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US8945774B2 (en) 2010-06-07 2015-02-03 Nexeon Ltd. Additive for lithium ion rechageable battery cells
US9368836B2 (en) 2010-06-07 2016-06-14 Nexeon Ltd. Additive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US9947920B2 (en) 2010-09-03 2018-04-17 Nexeon Limited Electroactive material
US9871248B2 (en) 2010-09-03 2018-01-16 Nexeon Limited Porous electroactive material
US9647263B2 (en) 2010-09-03 2017-05-09 Nexeon Limited Electroactive material
KR101452027B1 (ko) * 2011-06-17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9966594B2 (en) 2011-06-30 2018-05-08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negative active material
US8980474B2 (en) 2011-08-31 2015-03-17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30033734A (ko) * 2011-09-27 2013-04-04 주식회사 예일전자 탄소복합체로 코팅된 실리콘 산화물 및 그 제조방법
US10290860B2 (en) 2012-11-30 2019-05-14 Lg Chem, Ltd. Composite for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9806335B2 (en) 2012-11-30 2017-10-31 Lg Chem, Ltd. Composite including conductive material and binder on surface of (semi) metal oxide and method of preparing anode slurry including the same
US9590238B2 (en) 2012-11-30 2017-03-07 Lg Chem, Ltd. Composite for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9276260B2 (en) 2013-06-19 2016-03-01 Lg Chem, Ltd.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14204141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EP3035418A4 (en) * 2013-08-14 2017-01-18 Tosoh Corporation Composit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749178B2 (en) 2013-08-14 2020-08-18 Tosoh Corporation Composit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979007B2 (en) 2013-12-30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for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s negative electrode
WO2015102199A1 (ko) * 2013-12-30 2015-07-0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재, 그 제조방법, 이를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0497934B2 (en) 2015-10-23 2019-12-03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US11757126B2 (en) 2016-06-02 2023-09-12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658658B2 (en) 2016-06-02 2020-05-19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133524B2 (en) 2016-06-02 2021-09-28 Lg Chem,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70136855A (ko)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90055733A (ko) * 2017-11-15 2019-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전지 전해질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해액 및 리튬전지
CN111357137B (zh) * 2017-11-24 2022-06-03 株式会社Lg新能源 锂二次电池用负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60697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US12009515B2 (en) 2017-11-24 2024-06-11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1357137A (zh) * 2017-11-24 2020-06-30 株式会社Lg化学 锂二次电池用负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88313A (ko) 2018-01-18 2019-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US12113209B2 (en) 2018-08-23 2024-10-08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ith metal dopant, and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20040613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0040586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콘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11293284A (zh) * 2018-12-07 2020-06-16 贝特瑞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00073350A (ko) * 2018-12-13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CN114122369A (zh) * 2020-08-28 2022-03-0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复合电极材料及其制造方法
KR20220030036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음극소재용 SiOx 분말의 리튬 프리도핑 방법
WO2022097832A1 (ko) * 2020-11-03 2022-05-12 (주)뉴테크엘아이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20059872A (ko) * 2020-11-03 2022-05-10 (주)뉴테크엘아이비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4497470A (zh) * 2020-11-13 2022-05-13 湖南中科星城石墨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497470B (zh) * 2020-11-13 2024-03-29 湖南中科星城石墨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613252A (zh) * 2023-11-28 2024-02-27 云南坤天新能源有限公司 一种高比能量密度锂离子电池所用硅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613252B (zh) * 2023-11-28 2024-05-03 云南坤天新能源有限公司 一种高比能量密度锂离子电池所用硅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870B1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87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477522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負極活物質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9012082B2 (en)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7192499B2 (ja)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材、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系二次電池
US10693135B2 (en)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an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KR101361567B1 (ko) 복합 흑연 입자 및 그 용도
KR10058930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21502B1 (ko)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전지
KR20190093177A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057061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5007707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20070764A (ko) 탄소질 재료,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탄소질재료의 제조 방법
CN101350407A (zh) 锂离子二次电池的负极材料和锂离子二次电池
CN114514638A (zh) 球化后的碳质负极活性材料、其制造方法以及包含其的负极和锂二次电池
KR10057887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7065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7334735B2 (ja)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材、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系二次電池
KR2005009969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4354723B2 (ja) 黒鉛質粒子の製造方法
JPH092734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318378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1326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386351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60001719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0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