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487A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82487A KR20050082487A KR1020040010929A KR20040010929A KR20050082487A KR 20050082487 A KR20050082487 A KR 20050082487A KR 1020040010929 A KR1020040010929 A KR 1020040010929A KR 20040010929 A KR20040010929 A KR 20040010929A KR 20050082487 A KR20050082487 A KR 200500824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ource device
- light emitting
- light source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3 krypt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NNSSWSSYDEUBZ-UHFFFAOYSA-N krypton atom Chemical compound [Kr] DNNSSWSSYDEU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5 lea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38 liquid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05—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01J61/307—Flat vessels or containers with folded elongated discharge pa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면광원 장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기판, 기판의 제 1 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사행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사행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몸체, 발광몸체의 내부에서 내부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장치 및 외부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사행 통로의 사이에 형성된 외부광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발광몸체의 사이에는 외부광 반사부재가 배치되는 반사몸체를 포함하며, 외부광 반사부재는 반사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배치되며, 반사몸체는 반원 아치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면광원 장치에서 발생하는 광의 이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며, 면광원 장치에서 발생한 광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효율성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전계(electric field)의 영향 하에서 액정(liquid crystal)의 비틀림(twist), 분산(dispersion) 또는 굽힘(bend)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에 전계를 인가하여 액정을 제어하는 액정 제어 모듈(liquid crystal controlling module) 및 액정 제어 모듈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 모듈(light providing module)을 포함한다.
액정 제어 모듈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 기판의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전극(electrode)들 및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포함한다.
광 공급 모듈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light source) 및 광원에서 발생한 광의 광학 분포를 변경시키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은 광원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영향 받는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점광원(one-dimensional light)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또는 선광원(two-dimensional light)인 냉음극선관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 또는 냉음극선관 램프는 광의 휘도 균일성이 낮기 때문에 확산 시트(diffusion sheet),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등과 같은 광학 부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스크린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의 광원을 필요로 하게 되면서 예상하지 못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최근 개발된 면광원 장치(surface light source)에 의하여 극복되고 있다.
면광원 장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며, 면광원 장치의 내부에는 복수개로 구획된 방전공간(discharge space)이 형성되고, 각 방전공간에서는 방전(discharge)에 의하여 비가시광선(invisible ray)이 발생되고, 비가시광선은 면광원 장치의 내벽에 도포 된 형광체(fluorescent material)에 의하여 가시광선(visible ray)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은 면광원 장치는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각 방전공간에서의 휘도가 다소 불 균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각 방전공간에서의 휘도가 불균일 할 경우, 면광원 장치에서 발생한 광에 의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면광원 장치에서의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광 효율성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 면광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광원 장치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기판, 기판의 제 1 면에 상호 이격된 방전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 개가 나란히 배치된 발광몸체, 발광몸체의 내부에서 내부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 발생장치 및 외부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기판 중 방전공간의 사이에 형성된 외부광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발광영역을 따라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몸체, 비 발광영역에 배치되어 외부광을 반사하는 광 반사 몸체, 발광몸체로부터 내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및 외부광 및 내부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시키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을 발생하는 영역의 사이에 광을 반사하는 영역을 배치하여 광의 이용 효율 및 휘도 균일성을 증가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면광원 장치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1-A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500)는 기판(100), 발광몸체(200), 외부광 반사부재(300) 및 광 발생장치(400)를 포함한다.
기판(100)은 광이 투과되는 투명한 기판, 예를 들면, 유리기판이 사용된다. 기판(100)은 상호 마주보는 제 1 면(110), 제 2 면(120) 및 제 1 면(110)과 제 2 면(120)을 연결하는 측면(13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100)은 1 개의 제 1 면(110), 1 개의 제 2 면(120) 및 4 개의 측면(130)을 갖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발광몸체(200)는 기판(100)의 제 1 면(110)에 사행 형상(serpentine shape)으로 배치된다. 발광몸체(200)는 종단면이 반원 아치형상, 삼각형 형상, 사각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몸체(200)의 종단면은 반원 아치 형상을 가지며, 광이 투과되는 투명한 물질, 예를 들면, 유리로 제작된다.
발광몸체(200)에 의하여 기판(100)의 제 1 면(110)에는 사행 형상을 갖는 사행 통로(serpentine passageway;200a)가 형성되며, 제 1 면(110)에 형성된 사행 통로(200a)들은 상호 평행하며, 사행 통로(200a)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된다.
발광몸체(200) 및 기판(100)은 유리를 포함한 접착물질 등에 의하여 상호 접착될 수 있다. 발광몸체(200) 및 기판(100)은 밀봉부재, 예를 들면, 납유리 등이 개재되고, 밀봉부재에 의하여 발광몸체(200) 및 기판(100)은 상호 어셈블리 된다.
광 발생장치(400)는 발광몸체(200)의 내부로부터 내부광(200b)을 발생시킨다. 내부광을 발생시키기 위해, 광 발생장치(400)는 제 1 전극(410), 제 2 전극(420), 작동가스(430) 및 형광층(4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발광몸체(20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기판(100) 상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며, 사행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몸체(200)들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발광몸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기판(100)의 제 2 면(12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 1 전극(410)에는 제 1 구동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전극(420)에는 제 2 구동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 1 구동전압 및 제 2 구동전압은 발광몸체(200)의 내부에서 방전(discharge)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전압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발광몸체(200)의 외측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액체 상태의 도전 물질을 발광몸체(200)에 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은 도전성 테이프 등을 사용하거나, 금속 물질을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작동가스(430)는 발광몸체(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작동가스(420)는 수은(mercury), 네온(Neon), 아르곤(Argon), 크세논(Xenon), 크립톤(Krypton) 등을 포함한다. 작동가스(430)는 발광몸체(200)의 내부에서 발생된 방전에 의하여 자외선과 같은 비가시광선(invisible ray)을 발생한다.
형광층(440)은 발광몸체(200)의 내벽 및 기판(100)의 제 1 면(110) 중 발광몸체(200)에 의하여 둘러싸인 곳에 두께가 얇은 박막 형태로 배치된다. 형광층(440)은 작동가스(430) 및 제 1 및 제 2 전극(410, 420)에 의하여 발생한 방전에 의하여 발생된 비가시광선을 가시광선(visible ray)으로 변경시킨다.
한편, 기판(100) 및 기판(100) 상에 형성된 형광층(420)의 사이에는 내부광 반사부재(450)가 배치된다. 내부광 반사부재(450)는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박막 형상을 갖는다. 내부광 반사부재(450)는 발광몸체(200)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중 기판(100)을 향하는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발광몸체(200)를 향해 반사시켜 발광몸체(200)에서 출사되는 가시광선의 광량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면광원 장치(500)는 발광몸체(200)들의 사이에서 휘도 균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500)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휘선(bright line)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면광원 장치(500)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사행 형상을 갖는 발광몸체(200)의 사이에 대응하는 기판(100)에는 외부광 반사부재(3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기판(100)의 제 1 면(110)에 얇은 두께로 형성된 박막을 포함한다. 외부광 반사부재(300)에서 반사되는 외부광(300a)은 발광몸체(200)를 향하는 방향을 갖는 광이다. 따라서, 외부광(300a)은 태양광, 조명 기구에서 발생한 광 또는 면광원 장치(500)의 내부에서 발생되어 출사된 후 면광원 장치(500)를 향해 반사된 광 등을 모두 포함한다.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발광몸체(200)를 향해 입사된 외부광(300a)을 반사하고, 그 결과 광의 이용 효율 및 휘도 균일성은 크게 향상된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의 발광몸체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몸체(250)는 복수개가 기판(100)의 제 1 면(110)에 배치된다. 이때, 각 발광몸체(250)는 직선 형상을 갖고, 각 발광몸체(250)는 제 1 면()에 나란하게 병렬 배치된다. 이때, 각 발광몸체(250)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 되며, 각 발광몸체(250)의 사이에는 외부광 반사부재(300)가 배치된다.
각 발광몸체(250)의 내부에는 균일한 압력으로 작동 가스(430)가 배치되며, 작동 가스(430)는 게터(getter) 등에 의하여 공급된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의 외부광 반사부재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광 반사부재(310)는 기판(100)의 제 1 면(110)과 마주보는 제 2 면(120)에 형성된다. 기판(100)의 제 2 면(120)에 외부광 반사부재(310)를 형성할 경우, 외부광 반사부재(310)는 기판(100)의 제 2 면(120) 중 발광몸체(200)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광 반사부재(310)는 평탄한 기판(100)의 제 2 면(120)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금속을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거나, 얇은 박막 형태의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광 반사부재(310)를 보다 쉽게 기판(100) 상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의 외부광 반사부재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광 반사부재(320)는 기판(100)의 제 1 면(110) 또는 제 2 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광 반사부재(320)는 제 1 면(110)에 형성된다. 또한, 외부광 반사부재(320)는 발광몸체(200)의 사이에 형성된다. 외부광 반사부재(320)는 박막 형태를 가지며, 반구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요철(322)을 포함한다.
외부광 반사부재(320) 상에 복수개의 요철(322)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100)의 제 1 면(110) 중 발광몸체(20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에 의하여 외부광 반사부재(320)의 상면에는 요철(322)들이 형성된다.
이때, 외부광 반사부재(320)는 외부광(300a)을 반사 및 외부광(300a)을 요철(322)에 의하여 산란시켜 면광원 장치(500)에서 발생한 광의 휘도 분포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의 외부광 반사부재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광 반사부재(330)는 기판(100)의 제 1 면(110) 또는 제 2 면(120) 상에 배치되며, 외부광 반사부재(330)는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 또는 산란시키기 위한 광 확산 패턴(332)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광 반사부재(330)에 형성된 광 확산 패턴(332)은 외부광 반사부재(330)와 접하는 기판(100)의 제 1 면(110) 또는 제 2 면(12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반사 도트이다. 기판(100)의 제 1 면(110) 또는 제 2 면(120)에 복수개가 형성된 외부광 반사부재(330)는 외부광(300a)을 반사 및 산란시켜 면광원 장치(500)의 광 효율을 증가 및 광의 휘도 분포를 크게 향상시킨다.
실시예 6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1-B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의 외부광 반사부재의 배치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500)는 반사몸체(600)를 더 포함한다.
반사몸체(600)는 기판(100)의 제 1 면(110) 상에 배치된다. 또한, 반사몸체(600)는 사행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몸체(200)들의 사이에 개재된다. 반사몸체(600)는 발광몸체(20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유리 등으로 제작된다.
반사몸체(600)의 종단면은 반원 아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반사몸체(600) 및 기판(100)의 제 1 면(110)이 이루는 제 2 높이 H2는 발광몸체(200) 및 기판(100)의 제 1 면(110)이 이루는 제 1 높이 H1 이하로 형성된다.
반사몸체(600)에는 외부광 반사부재(300)가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바람직하게 반사몸체(600)의 외측면에 배치되거나, 반사몸체(60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액체 상태의 반사물질을 반사몸체(60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도포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반사몸체(6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반사몸체(600)의 외측면에 배치된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외부광을 반사시켜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7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6의 반사몸체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6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500)는 반사몸체(610)를 더 포함한다.
반사몸체(610)는 사행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몸체(200)의 사이에 개재된다. 반사몸체(610)는 발광몸체(20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유리 등으로 제작되며, 반사몸체(610)의 종단면은 삼각형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몸체(610)의 종단면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때, 반사몸체(610) 및 기판(100)의 제 1 면(110)이 이루는 제 2 높이 H2는 발광몸체(610) 및 기판(100)의 제 1 면(110)이 이루는 제 1 높이 H1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반사몸체(610)에는 외부광 반사부재(300)가 배치된다.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바람직하게 반사몸체(610)의 외측면에 배치되거나, 반사몸체(61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반사몸체(610)와 마주보는 기판(100)의 제 1 면(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바람직하게 반사몸체(61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외부광 반사부재(300)는 액체 상태의 반사물질을 반사몸체(61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도포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의 외부광 반사부재의 상면에 지지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광 반사부재(300)의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지지부재(36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60)는 원뿔 형상을 갖고, 지지부재(360)의 표면에는 외부광 반사부재(300)를 이루는 반사 물질과 동일한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60)는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하여 외부광 반사부재(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지지부재(360)는 면광원 장치(500)의 상면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optical member), 예를 들면, 확산판 및 표시패널(display panel)의 처짐을 방지한다.
표시장치
실시예 9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면광원 장치는 실시예 1에 설명된 면광원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장치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000)는 수납용기(700), 면광원장치(500), 액정표시패널(800) 및 새시(90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700)는 바닥면(710) 및 바닥면(710)의 에지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 복수개의 측벽(720), 방전전압 인가모듈(732) 및 인버터(740)로 이루어진다. 수납용기(700)는 면광원 장치(500) 및 액정표시패널(800)이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바닥면(710)은 면광원 장치(500)가 안착되기에 충분한 바닥 면적 및 면광원 장치(50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710)은 면광원 장치(50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측벽(720)은 면광원 장치(50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바닥면(710)으로부터 연장 또는 배치된다.
방전전압 인가모듈(732)들은 면광원 장치(500)의 제 1 및 제 2 전극(410, 420)들에 제 1 구동 전압 및 제 2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인버터(740)는 방전전압 인가모듈(732)들로 제 1 및 제 2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인버터(740) 및 방전전압 인가모듈(732)은 전원 인가선(742)에 의하여 연결된다.
액정표시패널(800)은 면광원 장치(500)에서 발생한 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컨버팅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액정표시패널(800)은 TFT 기판(810), 액정(820), 컬러필터 기판(830) 및 구동모듈(840)을 포함한다.
TFT 기판(81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 전극, 각 화소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830)은 TFT 기판(810)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컬러필터, 컬러필터의 상면에 형성된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액정(820)은 TFT 기판(810)과 컬러필터 기판(830)의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액정표시패널(800)의 컬러필터 기판(830)의 에지부는 새시(900)에 의하여 감싸여지고, 새시(900)의 일부는 수납용기(700)의 측벽(720)에 형성된 후크에 와 결합된다. 새시(90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취성이 약한 액정표시패널(800)의 깨짐을 방지 및 액정표시패널(800)이 수납용기(7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설명 참조부호 850은 면광원 장치(500)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부재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면광원 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면광원 장치에서 발생하는 광의 이용 효율 및 면광원 장치에서 발생한 광의 휘도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면광원 장치를 이용한 표시장치에서 발생한 영상의 표시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1-A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1-B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22)
-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기판;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상호 이격된 방전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 개가 나란히 배치된 발광몸체;상기 발광몸체의 내부에서 내부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 발생장치; 및외부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기판 중 상기 방전공간의 사이에 형성된 외부광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몸체는 상기 방전공간이 사행 형상(serpentine shape)을 갖도록 상기 제 1 면에 사행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몸체는 상기 방전공간이 직선 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 1 면에 복수개가 나란하게 병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몸체의 종단면 형상은 반원형 아치 형상, 사다리꼴 형상 및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 반사부재는 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형성된 광 반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 반사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에 형성된 광 반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 반사부재는 상기 기판에 복수개가 도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기판의 제 1 면은 내부광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발광몸체의 사이에 형성된 광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광 확산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생장치는상기 발광몸체 내부에서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 상기 발광몸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전극들;상기 방전에 의하여 비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작동 가스; 및상기 발광몸체 및 상기 발광몸체와 대응하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비가시광선을 가시광선으로 변경시키는 형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들은 상기 발광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발광몸체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외부광 반사부재가 배치되는 반사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몸체의 종단면 형상은 아치 형상, 삼각형, 사다리꼴 형상 및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 반사부재는 상기 반사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 반사부재는 상기 반사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반사몸체가 이루는 제 1 높이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발광몸체가 이루는 제 2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발광몸체의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이 교대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상기 발광영역을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몸체, 상기 비 발광영역에 배치되어 외부광을 반사하는 광 반사 몸체, 상기 발광몸체로부터 내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및상기 외부광 및 내부광을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시키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몸체 및 상기 광 반사 몸체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몸체는 상기 발광영역을 따라 사행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외부광 및 내부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0929A KR20050082487A (ko) | 2004-02-19 | 2004-02-19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TW094100981A TW200528874A (en) | 2004-02-19 | 2005-01-13 |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11/038,896 US20050184951A1 (en) | 2004-02-19 | 2005-01-19 |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CN2005100516181A CN1658042A (zh) | 2004-02-19 | 2005-02-08 | 发光装置以及具有该装置的显示设备 |
JP2005042893A JP2005235773A (ja) | 2004-02-19 | 2005-02-18 |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0929A KR20050082487A (ko) | 2004-02-19 | 2004-02-19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487A true KR20050082487A (ko) | 2005-08-24 |
Family
ID=3485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0929A KR20050082487A (ko) | 2004-02-19 | 2004-02-19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84951A1 (ko) |
JP (1) | JP2005235773A (ko) |
KR (1) | KR20050082487A (ko) |
CN (1) | CN1658042A (ko) |
TW (1) | TW20052887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513B1 (ko) * | 2006-01-27 | 2007-03-21 | 금호전기주식회사 | 평판형 형광램프 |
KR100736778B1 (ko) * | 2005-09-05 | 2007-07-09 | 미래산업 주식회사 | 면발광 램프의 전극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1179B1 (ko) * | 2005-06-01 | 2007-03-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측면 발광형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
WO2008079076A1 (en) | 2006-12-22 | 2008-07-03 | Qunano Ab | Led with upstanding nanowire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
US8809875B2 (en) * | 2011-11-18 | 2014-08-19 |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 Micro light emitting diode |
US8573469B2 (en) | 2011-11-18 | 2013-11-05 |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of forming a micro LED structure and array of micro LED structures with an electrically insulating layer |
US9620478B2 (en) | 2011-11-18 | 2017-04-11 | Apple Inc. | Method of fabricating a micro device transfer head |
US8349116B1 (en) | 2011-11-18 | 2013-01-08 |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 Micro device transfer head heater assembly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micro device |
US9903540B2 (en) * | 2014-02-06 | 2018-02-27 | Appalachian Lighting Systems, Inc. | LED light emitting apparatus having both reflected and diffused subassemblies |
CN104021732B (zh) * | 2014-05-22 | 2017-01-1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显示装置 |
CN113093433A (zh) * | 2021-04-25 | 2021-07-09 |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 光源组件及其制备方法、背光模组和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0249A (en) * | 1990-10-08 | 1993-06-15 | Nec Corporation | Flat typ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of lighting |
US5479069A (en) * | 1994-02-18 | 1995-12-26 | Winsor Corporation | Planar fluorescent lamp with metal body and serpentine channel |
US6655810B2 (en) * | 2000-06-21 | 2003-12-02 |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 Lighting unit |
JP3850241B2 (ja) * | 2001-07-19 | 2006-11-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
JP3620840B2 (ja) * | 2002-07-17 | 2005-02-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液晶表示装置 |
TWI252348B (en) * | 2002-10-21 | 2006-04-01 |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 Back light module |
TW584772B (en) * | 2002-12-17 | 2004-04-21 | Ind Tech Res Inst | Straight-down backlight module |
US6913378B2 (en) * | 2002-12-27 | 2005-07-05 | Quanta Display Incorporation | Direct-lighting type back light unit |
US7052152B2 (en) * | 2003-10-03 | 2006-05-30 |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 LCD backlight using two-dimensional array LEDs |
KR100565743B1 (ko) * | 2003-10-21 | 2006-03-29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백 라이트 유닛 |
TWI280445B (en) * | 2003-12-12 | 2007-05-01 | Ind Tech Res Inst | Light guide apparatus for enhancing light source utilization efficiency |
-
2004
- 2004-02-19 KR KR1020040010929A patent/KR200500824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5
- 2005-01-13 TW TW094100981A patent/TW200528874A/zh unknown
- 2005-01-19 US US11/038,896 patent/US2005018495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2-08 CN CN2005100516181A patent/CN1658042A/zh active Pending
- 2005-02-18 JP JP2005042893A patent/JP2005235773A/ja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6778B1 (ko) * | 2005-09-05 | 2007-07-09 | 미래산업 주식회사 | 면발광 램프의 전극 구조 |
KR100698513B1 (ko) * | 2006-01-27 | 2007-03-21 | 금호전기주식회사 | 평판형 형광램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5235773A (ja) | 2005-09-02 |
TW200528874A (en) | 2005-09-01 |
CN1658042A (zh) | 2005-08-24 |
US20050184951A1 (en) | 2005-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3070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
US20120014136A1 (en) |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 |
KR100931675B1 (ko) | 확산 반사필름을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
KR20060095391A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
US7280172B2 (en) | Light guide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50082487A (ko)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
US7307676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 |
KR20050123345A (ko) | 광학기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 |
US7764336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with scattering material coating on upper surface portion of lamp | |
US765995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electrode pairs in partitioned light emitting spaces, respectively | |
KR101341778B1 (ko) |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 |
KR20050032178A (ko)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
KR20050017709A (ko)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
KR100610615B1 (ko) |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 |
KR100610614B1 (ko) |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 |
KR20050044980A (ko)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
KR20040029231A (ko) | 형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
KR20050023858A (ko) | 면광원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
KR20060059103A (ko) |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 |
KR20050041547A (ko) |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 | |
JP3044317B2 (ja) | 液晶表示装置 | |
KR100610613B1 (ko) | 광학 시이트 및 그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 | |
KR20070048222A (ko) | 표시 장치 조명을 위한 조명 시스템 및 이러한 조명시스템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101232142B1 (ko) | 백라이트 유닛 | |
KR101037088B1 (ko) | 백 라이트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