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79985A -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985A
KR20050079985A KR1020050056065A KR20050056065A KR20050079985A KR 20050079985 A KR20050079985 A KR 20050079985A KR 1020050056065 A KR1020050056065 A KR 1020050056065A KR 20050056065 A KR20050056065 A KR 20050056065A KR 20050079985 A KR20050079985 A KR 2005007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aste
high temperature
aggregate
aggregates
was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614B1 (ko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영
Priority to KR2005005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6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6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로부터 청정 순환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다시 말하면 구조물의 설치 또는 해체에 따라 발생하는 건설폐기물 즉 폐 콘크리트, 폐 블록, 벽돌, 전신주, 기타 혼합 토사로부터 파쇄 분리 과정을 거처 순환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을 완전 분리함으로서 청정 순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건설 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여 자원 고갈과 환경 보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일정 크기의 폐 콘크리트 덩어리를 고열 가열로에 투입한 후 이를 고열(600℃ 전후)로 가열하여 일정시간을 유지함으로서, 골재를 결합하고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 부분 즉 경화제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수를 잃어버리도록 하여 결합력을 극도로 저하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온 처리된 건설폐기물에 약한 충격력을 주는 것과 동시에 서로 마찰하는 작용과 필요시 세척의 방법으로 골재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고 순도의 청정 순환 골재를 생산함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품질 및 친 환경적인 청정골재의 생산이 가능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 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quality aggregate form construction waste by heating}
. 본 발명은 건설 폐자재인 콘크리트 류 와 혼합성 건설 폐기물 및 건설 폐자재 류 등으로부터 순환 골재를 생산하는 과정 중에서 건설폐자재를 고열로 가열하는 과정과 마찰 분쇄 분리 과정에 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방법으로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할 시 쓰레기 및 토분 등의 이물질이 다량 함유 하고 있어 순환골재의 품질에 악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주요 원인으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원 즉 건축물 철거 시 다량의 쓰레기 류, 고철, 비철, 토분, 목재, 합성수지, 종이류,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처리장에 반입되어, 호파에 투입하고 죠-크라샤에 의해 파쇄 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덩어리와 콘크리트 덩어리를 혼합시킨 상태에서 파쇄 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출원인에 의한, 이물질을 수작업과 살수에 의해 먼저 제거한 후 분쇄하는 방법이 도입되었으나, 이 방법들에 의해서 생산되는 순환골재는 제조 후 골재에 부착되는 이물질로서 시멘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순환 골재를 레미콘 등 건설 자재로 사용하기에는 흡수율, 압축강도 등 품질에 악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흡수율을 결정하는 각 종류의 시멘트 성분의 부착으로 인하여 흡수율이 7.85% 이상으로 측정되고 있어 이는 신규 골재에 비해 수 십 배의 흡수율 차이를 보임과 동시에 강도의 보장이 어려움으로 재활용에서 배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재에 부착된 이물질인 시멘트 성분의 분리를 완전하게 제거하려는 목적으로 일정크기와 일정량의 건설 폐기물 덩어리를 투입하여 이를 고온처리를 함으로서, 콘크리트를 결합시키고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 내의 결합수를 고온에 의해 제거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결합력이 와해됨으로 적은 외력에도 이물질이 분해 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서 시멘트성분이 골재에서 분리 제거하는 힘이 급격히 줄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고온처리된 건설 폐기물을 연속적인 파쇄를 위해 크랏샤에 의하여 일정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가열로에 투입하여 일정온도와 시간을 유지한 뒤 이를 연속적으로 살수 및 충격과 마찰을 가함으로, 결합력을 상실한 건설폐기물로부터 시멘트성분이 분리 제거되어 고 순도의 모래와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설비로 구성하게 되는 청정골재 생산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일정 크기의 폐 콘크리트 덩어리를 고열 가열로에 투입한 후 이를 고열(600℃ 전후)로 가열하여 일정시간을 유지함으로서, 골재를 결합하고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 부분 즉 경화제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수를 잃어버려 결합력을 없게 한 후, 충격력을 주는 것과 동시에 서로 마찰하는 작용과 필요시 세척의 방법으로 골재에 붙어있는 시멘트 종류의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를 수행하고 이를 선별기로 통하게 함으로서 고 순도의 청정 순환 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기존 건설 폐기물 처리 흐름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폐기물 처리 흐름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핵심인 고온 가열로 및 분리 장치 구조도 이다.
이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을 국한시키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2에서 보인 건설폐기물이 처리 흐름 도에 따라 진행하는 과정 중 크라샤를 통과하여 선별기에서 선별작업을 하고, 일정크기(25mm 전후)의 필요한 량을 추출하고 이를 건조로 투입하기위한 과정으로 건조로 투입 컨베이어(3)에 의하여 이송되어 가열 컨베이어(2)로 투입되며, 가열 컨베이어는 400-800℃로 온도 조정이 가능한 고온 건조로(1)에 속에서 이동하여 하게 된다. 일정크기의 건설폐기물이 수분동안 건조로(1)에 속에 체류하면서 건설폐기물(6)을 고온처리 하게 된다. 이 고온 처리된 건설폐기물(6)은 출구에 위치하고 있는 도3에 보인 바와 같은 충격 마찰 파쇄 분리장치로 투입하고 이 충격 마찰 파쇄 분리장치의 구조는 고정되어서 구조물의 역할을 겸비하는 분리장치 외통(8)과 회전이 가능한 분리장치 내통(9)으로 구성되고 분리장치 내통(9)에는 투입된 건설 폐기물(6)을 충격과 마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 장치 날개가(10)가 부착되어 내통의 회전 속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충격 마찰 파쇄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건조로에서 고온으로 처리된 후 투입된 건설폐기물(6)이 분리 장치 날개(10) 위에 낙하 이동하고, 분리 장치 내통(9)은 연속적으로 일정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함과 동시에 분리장치날개(10)도 같은 회전 속도를 가짐으로서 건설폐기물(6)이 서로 부딪치고 마찰을 일으키면서 고온으로 처리되어 결정수를 잃어버린 건설폐기물(6)의 이물질 즉 시멘트 분을 분리하게 된다. 이 때에 상부에서는 분사용 물 공급 장치(4)에 의하여 가압되어진 물이 물 분사 장치(7)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실수가 이루어짐으로서 이물질의 분리 효율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용과 원리에 의하여 순환 골재인 자갈과 모래에서 시멘트 분이 분리되고 이물질인 페이스트와 시멘트가루가 혼성되어 있는 상태로 분리장치 외통(8)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혼합물을 다시 내통의 회전에 의하여 마찰을 하게함으로서 더욱더 완전하게 분리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고, 이의 일정량을 배출장치(11)를 통하여 선별기(12)로 이동을 하게 된다. 선별기(12)의 구조는 진동으로 이송이 가능하면서 스크린 분리 기능이 있으며, 상부에서는 분리장치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선별기 물 분사장치(13)를 통하여 물이 연속적으로 분사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부에서도 상부와 같은 장치에 의해 분사를 함으로서 막힘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선별기에서 골재를 크기 별로 분리하는 방법을 발명하여 이용함으로서 비중, 마모율, 입자모양, 체가름 통과 량 등에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천연 골재에 상응하는 품질수준을 만족하고 특히 흡수율을 1.2이하를 유지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을 준수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청정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순환골재는 흡수율, 비중, 마모율 등 주요 품질이 천연골재의 품질에 상응하는 제품 생산이 가능함으로서 경쟁력 있는 순환 골재를 소비자가 원하는 품질과 친환경적인 생산으로 1천만 톤 이상의 건설 폐기물의 소진을 위한 순환 골재의 활용 촉진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1 : 기존 건설 폐기물 처리 흐름도
도2 : 본 발명에 의한 건설 폐기물 처리 흐름도
도3 : 본 발명에 의한 고온 가열로 및 분리 장치 구조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건조로 2. 가열 컨베이어
3. 건조로 투입 컨베이어 4. 분사용 물 공급 장치
5. 지 지 로라 6. 건설 폐기물
7. 물 분사 장치 8. 분리 장치 외통
9. 분리장치 내통 10. 분리장치 날개
11. 배출장치 12. 선별기
13. 선별기 물 분사장치

Claims (3)

  1. 건설폐기물을 파쇄 분리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세척 방법에 있어서 쇄석기에 의한 파쇄 공정과, 고열의 가열로(1)를 통과하여 일정시간 체류하는 과정과, 이를 마찰 파쇄 분리하는 과정과 자갈 모래 및 이물질의 혼합물을 스크린에 의하여 미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과정 이상이 복합된 것이 특징인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 방법
  2. 건설폐기물을 파쇄 분리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물질의 효과적인 분리를 위한 방법으로 고온의 가열로(1) 내에서 일정시간과 일정온도로 체류하여 건설폐기물을 고온 처리하여 시멘트의 잔유 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특징인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 방법
  3. 건설폐기물을 파쇄 분리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물질이 부착된 자갈과 모래를 마찰과 충격으로 이물질 분해를 하는 충격 마찰 파쇄 분리장치가 공정 중에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 방법
KR20050056065A 2005-06-25 2005-06-25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Active KR10069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6065A KR100696614B1 (ko) 2005-06-25 2005-06-25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6065A KR100696614B1 (ko) 2005-06-25 2005-06-25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85A true KR20050079985A (ko) 2005-08-11
KR100696614B1 KR100696614B1 (ko) 2007-03-19

Family

ID=3726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6065A Active KR100696614B1 (ko) 2005-06-25 2005-06-25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6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72B1 (ko) * 2006-05-10 2007-05-04 주식회사 그린환경 원심력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미립분 제거, 이물질 제거 및 입도 분급을 하는 중심 배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721970B1 (ko) * 2005-11-17 2007-05-25 한상철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아스콘 배합용 골재 생산방법
CN110665617A (zh) * 2019-11-07 2020-01-1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微波辅助粗骨料回收生产线设备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729B1 (ko) 2007-10-29 2008-05-09 주식회사 세진로드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101226909B1 (ko) 2012-10-24 2013-02-07 (주)한동알앤씨 열매체에 의한 간접가열방식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2094862B1 (ko) 2019-06-28 2020-03-30 씨앤이산업 주식회사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KR102781853B1 (ko) 2024-07-05 2025-03-17 태화정보통신 (주) 원료 재생이 가능한 폐 전신주의 재활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470B2 (ja) * 1994-10-20 2001-07-11 株式会社大林組 再生骨材の製造プラント
JP3140665B2 (ja) * 1994-11-24 2001-03-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塊からの再生骨材の製造方法
KR20040087062A (ko) * 2003-04-04 2004-10-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멘트·콘크리트 덩어리로부터 재생골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771204B1 (ko) * 2006-06-03 2007-10-30 이상청 재생골재 제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70B1 (ko) * 2005-11-17 2007-05-25 한상철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아스콘 배합용 골재 생산방법
KR100714772B1 (ko) * 2006-05-10 2007-05-04 주식회사 그린환경 원심력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미립분 제거, 이물질 제거 및 입도 분급을 하는 중심 배출방법 및 그 장치
CN110665617A (zh) * 2019-11-07 2020-01-10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微波辅助粗骨料回收生产线设备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614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4903653B2 (ja) 材料回収システム
CN1898034B (zh) 石膏板用原纸的回收方法及石膏板用原纸的回收装置
JP2013086091A (ja) 湿式洗浄破砕選別技術を応用した建設廃棄物の高度なリサイクル処理システム
CN107930828A (zh) 一种建筑垃圾去除轻质杂物的清洗处理技术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CN105753310A (zh) 玄武岩岩棉固废循环利用生产线及工艺
KR100696614B1 (ko)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CN106431041B (zh) 一种建筑垃圾再生利用分离工艺
KR100810161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40104058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1527173B1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100393650B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6107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골재 생산 장치
CN104191542A (zh) 用于从垃圾中分离出的塑料制品的处理装置和方法
CN203764369U (zh) 冶炼废渣砂的回收加工设备
KR100468443B1 (ko) 고품질의 재생골재 생산을 위한 가공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101085795B1 (ko) 폐 원석을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KR20030064185A (ko)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60085438A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8729B1 (ko) 샌드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방법
KR20160057124A (ko) 폐아스콘 재생골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226

Appeal identifier: 2007101000750

Request date: 2007012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22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