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27173B1 -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173B1
KR101527173B1 KR1020130091623A KR20130091623A KR101527173B1 KR 101527173 B1 KR101527173 B1 KR 101527173B1 KR 1020130091623 A KR1020130091623 A KR 1020130091623A KR 20130091623 A KR20130091623 A KR 20130091623A KR 101527173 B1 KR101527173 B1 KR 10152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unit
construction waste
waste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790A (ko
Inventor
김상문
이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문
주식회사 아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문, 주식회사 아이케이 filed Critical 김상문
Priority to KR102013009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1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1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처리부; 및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나 점차 노후화되고 있다. 그 결과, 노후 건축물 등의 해체,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후 구조물의 해체, 재건축 또는 재개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 매립지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환경에도 심각한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건설폐기물 처리대책이 강구되어 왔다.
종래의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건설현장에서 수거된 건설폐기물을 파쇄, 이물질 제거 등의 중간 처리를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가 있고, 중간 처리된 건설폐기물에서 골재를 생산하는 골재생산업체가 있었다. 즉,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공정과 골재생산 공정이 별도의 공간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공정 간 운송비 등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설폐기물에서 다양한 골재를 동시에 생산하지 못하고 어느 하나의 골재만을 생산하는 결과, 골재로 재활용될 수 있는 일부 건설폐기물이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의 대부분이 옥외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대기 및 소음공해를 유발하여 지역주민들의 민원제기 원인이 되고 건설폐기물 처리장의 입지 선정에도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6346호(2007.11.01,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설폐기물 처리와 골재생산이 하나의 설비 내에서 이루어지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처리부; 및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가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5mm 초과 27mm 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상기 세척모래는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는 옥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 및 상기 골재생산부와 분리된 옥내 공간으로서, 상기 폐기물처리부에 공급될 건설폐기물이 수용되는 폐기물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토분을 옥외로 배출하는 제1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하는 정 회전 동작 및 상기 골재원료를 상기 골재생산부로 공급하는 역 회전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제2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3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세척모래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4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호퍼; 상기 건설폐기물 호퍼로 투입된 건설폐기물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토분 스크린부;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3 입도 이하로 파쇄하는 건설폐기물 파쇄부; 및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를 선별하여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골재원료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골재원료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도는 100mm일 수 있다.
상기 제3 입도는 27mm일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선별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철편을 자력 선별하는 자력선별장치; 및 상기 자력선별장치를 통해 철편이 제거되고 남겨진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 섞여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걸러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제2 토분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2 토분 스크린부에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도는 20mm일 수 있다.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폐기물처리부에서 공급되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입도는 5mm일 수 있다.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골재원료를 외부에서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골재원료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선별 분리된 세척모래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1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세척모래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 및 탈수하고, 세척 및 탈수된 세척모래를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세척탈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는 골재원료 파쇄부;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2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고,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분리할 수 있는 임팩트 크러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세척탈수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섞인 세척모래를 회수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공급하는 폐수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기물처리와 골재생산이 하나의 설비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공정 간 골재원료를 운송하는데 소요되는 불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폐기물 처리와 골재생산이 옥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대기 및 소음공해가 감소되어 지역주민의 반발이 줄어드는 친환경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의 옥내화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폐기물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골재생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의 옥내화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10)는 폐기물저장부(100),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저장부(100)는 건설현장에서 수거된 건설폐기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폐기물저장부(100)에는 건설폐기물을 적재한 덤프트럭이 출입하면서 건설폐기물을 하역할 수 있다.
폐기물저장부(100)는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와 함께 옥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폐기물저장부(100),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는 건물(B)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폐기물저장부(100)는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와는 분리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폐기물저장부(100)에 동원될 수 있는 덤프트럭,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인해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의 각종 설비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에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폐기물저장부(100)는 공급 컨베이어(10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컨베이어(101)는 폐기물저장부(100)에 수용된 건설폐기물을 폐기물처리부(200)로 공급한다.
공급 컨베이어(101)는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폐기물저장부(100)에 수용된 건설폐기물을 폐기물처리부(200)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부(200)는 폐기물저장부(100)에서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한다. 본 명세서에서, 골재원료란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철편, 이물질 등이 제거된 상태로 일정한 입도, 예를 들어 27mm 이하로 파쇄되어 골재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폐기물처리부(200)는 스프레이 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 장치(201)는 폐기물처리부(2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폐기물처리부(2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레이 장치(201)는 폐기물처리부(200)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폐기물처리부(200)는 제1 배출 컨베이어(203) 및 제2 배출 컨베이어(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 컨베이어(203)는 건설폐기물에서 분리된 토분을 옥외로 배출한다.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정 회전 동작(A1) 및 역 회전 동작(A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정 회전 동작(A1)의 경우,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된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하고, 역 회전 동작(A2)의 경우,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된 골재원료를 골재생산부(300)로 공급한다. 그 결과,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원료까지 생산하는 경우, 정 회전 동작(A1)을 하고, 건설폐기물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까지 생산하는 경우, 역 회전 동작(A2)을 할 수 있다.
골재생산부(300)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한다.
골재원료는 폐기물처리부(200)에서 공급되거나, 골재원료 호퍼(320, 도 4 참조)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다.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는 입도에 따라 분리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5mm 초과 27mm 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세척모래는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골재생산부(300)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입도 분리된 고 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골재생산부(300)는 스프레이 장치(3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 장치(301)는 골재생산부(3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골재생산부(3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레이 장치(301)는 골재생산부(300)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골재생산부(300)는 제3 배출 컨베이어(303) 및 제4 배출 컨베이어(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출 컨베이어(303)는 골재원료에서 생산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옥외로 배출한다.
제4 배출 컨베이어(305)는 골재원료에서 생산된 세척모래를 옥외로 배출한다.
도 3은 폐기물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폐기물처리부(200)는 건설폐기물 호퍼(210), 제1 토분 스크린부(220), 건설폐기물 파쇄부(230), 골재원료 스크린부(240), 제1 송풍기(250), 자력선별장치(260), 제2 토분 스크린부(270), 제2 송풍기(280), 및 반송 컨베이어(29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폐기물 호퍼(210)에는 공급 컨베이어(101)를 거쳐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이 투입된다.
제1 토분 스크린부(220)는 건설폐기물 호퍼(210)로 투입된 건설폐기물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을 분리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203)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1 토분 스크린부(22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분리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은 제1 배출 컨베이어(203)로 배출되기에 앞서 자력선별장치(260) 및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거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입도는 100mm일 수 있다. 제1 입도를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편을 토분과 함께 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입도를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 골재원료가 될 수 있음에도 토분과 함께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배출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력선별장치(260)에서 철편을 제거한 후에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서 골재원료가 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을 회수할 수 있다. 자력선별장치(260) 및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입도가 100mm를 넘는 경우에, 철편 분리효율이 거의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바, 100mm는 임계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건설폐기물 파쇄부(230)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3 입도 이하로 파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입도는 27mm일 수 있다. 제3 입도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입도로 설정함으로써, 폐기물처리부(200)를 거친 골재원료는 골재생산부(300)를 거치지 않고서도, 입도 분리가 안된 저 품질의 골재로 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정 회전 동작(A1)을 함으로써,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된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한다. 한편,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이 건설폐기물 파쇄부(230)에 투입되기에 앞서, 인력을 동원하여 철근 등 대형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건설폐기물 파쇄부(230)는 제1 파쇄장치(231), 제1 철편분리장치(232), 제2 파쇄장치(233), 제2 철편분리장치(234), 제3 파쇄장치(235), 및 제3 철편분리장치(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쇄장치(231)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1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150mm ~ 200mm의 입도로 파쇄할 수 있다.
제1 철편분리장치(232)는 제1 파쇄장치(231)를 거친 건설폐기물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1 철편분리장치(232)는 제1 파쇄장치(231)와 제2 파쇄장치(233)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쇄장치(233)는 제1 파쇄장치(231)에서 1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60mm ~ 70mm의 입도로 파쇄할 수 있다.
제2 철편분리장치(234)는 제2 파쇄장치(233)를 거친 건설폐기물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2 철편분리장치(234)는 제2 파쇄장치(233)와 제3 파쇄장치(235)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쇄장치(235)는 제2 파쇄장치(233)에서 2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3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27mm 이하로 파쇄할 수 있다.
제3 철편분리장치(236)는 제3 파쇄장치(235)를 거친 건설폐기물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3 철편분리장치(236)는 제3 파쇄장치(235)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쇄장치(231)와 제2 파쇄장치(233)는 조 크러셔(jaw crusher)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파쇄장치(235)는 콘 크러셔(cone crusher)를 포함할 수 있다. 조 크러셔(jaw crusher)는 공지의 장치로서, 고정치와 요동하는 가동치 사이에서 건설폐기물을 잘게 부수고, 구조가 단순하고 파쇄율이 높다. 콘 크러셔(cone crusher)는 공지의 장치로서, 콘 형상의 축의 편심 회전에 의하여 건설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잘게 부수고, 구조가 복잡한 반면 잔 골재를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하다.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는 건설폐기물 파쇄부(230)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를 선별하여 제2 배출 컨베이어(205)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선별 배출되는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로 배출되기에 앞서 제1 송풍기(250)를 거칠 수 있다.
제1 송풍기(250)는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거쳐 제2 배출 컨베이어(205)로 배출되는 골재원료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풍력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제1 송풍기(250)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자력선별장치(260)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분리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자력선별장치(260)는 제1 토분 스크린부(200)와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토분 스크린부(270)는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203)로 배출하고,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이 분리되고 남겨진 건설폐기물을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제2 토분 스크린부(27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입도는 토분 입도, 예를 들어 20mm일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제1 입도는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편은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해 토분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입도를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 골재원료가 될 수 있음에도 토분과 함께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배출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력선별장치(260)에서 철편을 제거한 후에,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서 골재원료가 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을 회수할 수 있다.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서 회수되는 건설폐기물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 공급되기에 앞서 제2 송풍기(280)를 거칠 수 있다.
제2 송풍기(280)는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거쳐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로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풍력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제2 송풍기(280)는 제2 토분 스크린부(270)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송 컨베이어(290)는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건설폐기물 파쇄부(230), 구체적으로는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한다.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된 건설폐기물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27mm 이하로 파쇄된다. 반송 컨베이어(290)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1 파쇄장치(231) 또는 제2 파쇄장치(233)가 아닌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하는 이유는, 제1 파쇄장치(231) 및 제2 파쇄장치(233)는 파쇄율이 높은 조 크러셔를 포함하는 반면, 제3 파쇄장치(235)는 잔 골재를 생산하기에 적합한 콘 크러셔를 포함하고,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의 거의 대부분은 이미 제1 파쇄장치(231) 및 제2 파쇄장치(233)에서 소정의 입도, 예를 들어 70mm 이하로 파쇄되었기 때문이다. 즉,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콘 크러셔를 포함하는 제3 파쇄장치에 투입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4는 골재생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골재생산부(30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 골재원료 호퍼(320), 제1 습식 분리기(330), 세척탈수장치(340), 골재원료 파쇄부(350), 제2 습식 분리기(360),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 폐수처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는 폐기물처리부(200)에서 공급되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골재원료에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골재원료 파쇄부(350)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입도는 세척모래 입도, 예를 들어 5mm일 수 있다. 한편,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 공급되는 골재원료는 폐기물처리부(200)로부터 바로 공급되거나, 골재원료 호퍼(32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골재원료 호퍼(320)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습식 분리기(33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선별 분리된 세척모래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습식 분리기(330)는 원통형 탱크를 포함하고, 물과 세척모래의 혼합물을 탱크 내에서 접선 방향으로 분사하면, 세척모래에 섞인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세척모래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 습식 분리기(330)에 필요한 물은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골재원료에 분사되었다가 세척모래와 함께 제1 습식 분리기(330)로 유입되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탈수장치(340)는 제1 습식 분리기(330)를 거친 세척모래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세척모래 입도보다 작은 입도, 예를 들어 0.7mm의 입도를 가지는 스크린을 통해 탈수할 수 있다. 세척탈수장치(340)를 통해 세척 및 탈수된 세척모래는 제4 배출 컨베이어(305)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골재원료 파쇄부(35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한다.
골재원료 파쇄부(350)는 임팩트 크러셔(impact crusher)를 포함할 수 있다. 임팩트 크러셔(impact crusher)는 공지의 장치로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골재원료 파쇄부(350)는 제4 철편분리장치(351), 제1 임팩트 크러셔(352),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 및 제2 임팩트 크러셔(3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철편분리장치(351)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를 거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4 철편분리장치(351)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와 제1 임팩트 크러셔(352)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임팩트 크러셔(352)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1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상술한 것처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는 제1 임팩트 크러셔(352)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나머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제2 임팩트 크러셔(354)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임팩트 크러셔(354)는 제1 임팩트 크러셔(352)에서 1차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2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상술한 것처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2 습식 분리기(360)는 골재원료 파쇄부(350)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습식 분리기(360)는 원통형 탱크를 포함하고, 물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혼합물을 탱크 내에서 접선 방향으로 분사하면,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섞인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골재원료 파쇄부(350)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제2 습식 분리기(360)에 투입되기에 앞서 물과 혼합될 수 있다.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는 제2 습식 분리기(360)를 거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나머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제3 배출 컨베이어(303)를 통해 옥외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골재생산부(30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가 골재원료 파쇄부(350), 특히 제1 임팩트 크러셔(352),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 및 제2 임팩트 크러셔(354)와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를 거치게 함으로써,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폐수처리부(380)는 세척탈수장치(340)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한다. 또한, 폐수처리부(380)는 세척탈수장치(340)뿐만 아니라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10)에서 배출되는 폐수 전체를 처리할 수도 있다.
폐수처리부(380)는 집수정(381), 미세모래회수장치(382), 침전조(383), 및 슬러지탈수장치(384)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정(381)은 세척탈수장치(340)에 배출되는 폐수를 임시 수용한다.
미세모래회수장치(382)는 집수정(381)에서 폐수를 공급받아 폐수와 함께 배출된 세척모래를 회수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반송한다. 이를 위해, 미세모래회수장치(382)는 사이클론 장치(cyclone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장치(cyclone equipment)는 공지의 장치로서, 폐수의 선회류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폐수에 섞여 있는 세척모래를 분리할 수 있다.
침전조(383)는 미세모래회수장치(382)에서 세척모래가 제거된 폐수를 침전시켜, 청수와 슬러지(sludge)로 분리한다. 침전조(383)에서 분리된 청수는 세척수로 재 활용될 수 있고, 슬러지는 슬러지탈수장치(384)로 공급된다.
슬러지탈수장치(384)는 슬러지를 탈수하여 슬러지 케이크(sludge cake)로 배출한다. 슬러지탈수장치(384)는 슬러지를 압착하여 탈수하는 압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러지탈수장치(384)에서 배출된 슬러지 케이크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로 처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1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노후 구조물의 해체, 재건축 또는 재개발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에서 수거된 건설폐기물은 덤프트럭에 의해 폐기물저장부(100)로 이송되어 하역된다. 폐기물저장부(100)는 옥내에 설치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하역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건물(B)은 폐기물저장부(100)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폐기물저장부(100)에 수용된 건설폐기물은 공급 컨베이어(101)를 통해 폐기물처리부(200)로 공급된다.
폐기물처리부(200)에서, 건설폐기물은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과하면서 건설폐기물과 토분으로 분리된다.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건설폐기물 파쇄부(230)를 통과하면서 골재원료로 쓰일 수 있는 입도로 파쇄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제1 파쇄장치(231), 제1 철편분리장치(232), 제2 파쇄장치(233), 제2 철편분리장치(234), 제3 파쇄장치(235), 및 제3 철편분리장치(236)를 차례로 거쳐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입도로 파쇄될 수 있다.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입도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통해 골재원료로 입도 선별된 후, 제2 배출 컨베이어(205)를 통해 옥외 또는 골재생산부(300)로 배출된다. 한편,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통과한 골재원료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를 통해 옥외 또는 골재생산부(300)로 배출되기에 앞서, 제1 송풍기(25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반송 컨베이어(290)를 통해 건설폐기물 파쇄부(230), 구체적으로는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될 수 있다.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과한 토분은 자력선별장치(260)를 통과하면서 철편이 제거된 후, 제1 배출 컨베이어(203)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토분은 제1 배출 컨베이어(203)를 통해 옥외로 배출되기에 앞서,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거쳐 토분에 섞인 건설폐기물이 회수된다. 토분에서 회수된 건설폐기물은 제2 송풍기(28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로 공급된다.
골재생산부(300)에서, 골재원료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로 분리된다.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해 세척하면서, 골재원료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로 분리한다. 골재원료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 또는 골재원료 호퍼(320)를 통해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로 투입될 수 있다.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를 통과한 세척모래는 제1 습식 분리기(3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세척탈수장치(340)에서 세척 및 탈수되고, 제4 배출 컨베이어(305)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골재원료 파쇄부(350), 구체적으로는 제4 철편분리장치(351), 제1 임팩트 크러셔(352),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 및 제2 임팩트 크러셔(354)를 차례로 거쳐 파쇄 및 마쇄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포함된 모래 성분이 분리된다. 골재원료 파쇄부(350)를 거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제2 습식 분리기(36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로 투입된다.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는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섞여있는 세척모래를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나머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제3 배출 컨베이어(303)를 통해 옥외로 배출한다. 한편, 세척탈수장치(340)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폐수처리조(380)에서 처리된다. 폐수처리조(380)에서, 폐수는 집수정(381)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미세모래 회수장치(382)로 투입된다. 미세모래 회수장치(382)는 폐수에 섞인 미세모래를 회수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공급한다. 미세모래 회수장치(382)에서 배출된 폐수는 침전조(383)로 투입된다. 침전조(383)에서 폐수는 재활용 청수와 슬러지로 분리된다. 재활용 청수는 침전조(383)에서 배출되고, 슬러지는 슬러지 탈수장치(384)로 공급되어 슬러지 케이크로 압착되어 배출된다.
한편, 폐기물처리부(200)와 골재생산부(300)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장치(201, 301)가 형성됨으로써, 폐기물처리부(200)와 골재생산부(3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00: 폐기물저장부
101: 공급 컨베이어
200: 폐기물처리부
201: 스프레이 장치
203: 제1 배출 컨베이어
205: 제2 배출 컨베이어
210: 건설폐기물 호퍼
220: 제1 토분 스크린부
230: 건설폐기물 파쇄부
231: 제1 파쇄장치
232: 제1 철편분리장치
233: 제2 파쇄장치
234: 제2 철편분리장치
235: 제3 파쇄장치
236: 제3 철편분리장치
240: 골재원료 스크린부
250: 제1 송풍기
260: 자력선별장치
270: 제2 토분 스크린부
280: 제2 송풍기
290: 반송 컨베이어
300: 골재생산부
301: 스프레이 장치
303: 제3 배출 컨베이어
305: 제4 배출 컨베이어
310: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
320: 골재원료 호퍼
330: 제1 습식 분리기
340: 세척탈수장치
350: 골재원료 파쇄부
351: 제4 철편분리장치
352: 제1 임팩트 크러셔
353: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
354: 제2 임팩트 크러셔
360: 제2 습식 분리기
370: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
380: 폐수처리부
381: 집수정
382: 미세모래회수장치
383: 침전조
384: 슬러지탈수장치

Claims (22)

  1.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처리부;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 및
    상기 폐기물처리부에 공급될 상기 건설폐기물이 수용되는 폐기물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는 제1 옥내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저장부는 상기 제1 옥내 공간과 분리된 제2 옥내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저장부는,
    상기 건설폐기물을 상기 폐기물처리부로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토분을 옥외로 배출하는 제1 배출 컨베이어; 및
    정 회전 동작시 상기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하고, 역 회전 동작시 상기 골재원료를 상기 골재생산부로 공급하는 제2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3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세척모래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4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옥내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5mm 초과 27mm 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상기 세척모래는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호퍼;
    상기 건설폐기물 호퍼로 투입된 건설폐기물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토분 스크린부;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3 입도 이하로 파쇄하는 건설폐기물 파쇄부; 및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를 선별하여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골재원료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골재원료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도는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도는 2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선별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철편을 자력 선별하는 자력선별장치; 및
    상기 자력선별장치를 통해 철편이 제거되고 남겨진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 섞여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걸러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제2 토분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2 토분 스크린부에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도는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폐기물처리부에서 공급되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입도는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골재원료를 외부에서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골재원료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선별 분리된 세척모래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1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세척모래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 및 탈수하고, 세척 및 탈수된 세척모래를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세척탈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는 골재원료 파쇄부;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2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고,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분리할 수 있는 임팩트 크러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세척탈수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섞인 세척모래를 회수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공급하는 폐수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1020130091623A 2013-08-01 2013-08-01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Active KR101527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623A KR101527173B1 (ko) 2013-08-01 2013-08-01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623A KR101527173B1 (ko) 2013-08-01 2013-08-01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790A KR20150015790A (ko) 2015-02-11
KR101527173B1 true KR101527173B1 (ko) 2015-06-16

Family

ID=5257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623A Active KR101527173B1 (ko) 2013-08-01 2013-08-01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1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41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광산기공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동시 생산방법
KR20170004244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광산기공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26615A (ko) * 2019-04-30 2020-11-09 장동혁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365A (ko) * 2000-05-02 2000-10-05 박종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34799B1 (ko) * 2004-02-05 2004-06-09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20060019408A (ko) * 2004-08-27 2006-03-03 안성국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및 토분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365A (ko) * 2000-05-02 2000-10-05 박종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34799B1 (ko) * 2004-02-05 2004-06-09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20060019408A (ko) * 2004-08-27 2006-03-03 안성국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및 토분 생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41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광산기공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동시 생산방법
KR20170004244A (ko)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광산기공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이물질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26615A (ko) * 2019-04-30 2020-11-09 장동혁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102197340B1 (ko) 2019-04-30 2020-12-31 장동혁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790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497318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CN110813483A (zh) 一种建筑垃圾的破碎分选处理系统
JP2008080329A (ja) 材料回収システム及び材料回収方法
CN110248742B (zh) 循环骨料的生产装置及生产方法
JP3052126U (ja) 建設廃棄物処理装置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CN109250938A (zh) 一种由建筑垃圾制备的再生活性粉及其方法和装置
CN204294609U (zh) 一种固定式建筑垃圾处理生产线
KR20170004241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 및 순환모래 동시 생산방법
KR101527173B1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JP5617164B2 (ja) 石灰石の洗浄方法及び洗浄システム
KR100810161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물로부터 몰타르 및 페이스트를제거하기 위한 분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057467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63376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11094Y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10046107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골재 생산 장치
JPH04114780A (ja) コンクリート廃棄物の再処理方法と装置
KR200275796Y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
JP3103269B2 (ja) 再生骨材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