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67141A -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141A
KR20050067141A KR1020057003307A KR20057003307A KR20050067141A KR 20050067141 A KR20050067141 A KR 20050067141A KR 1020057003307 A KR1020057003307 A KR 1020057003307A KR 20057003307 A KR20057003307 A KR 20057003307A KR 20050067141 A KR20050067141 A KR 2005006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mammal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antig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시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뮤노프론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뮤노프론티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뮤노프론티어
Publication of KR2005006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14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growth factors; for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8IL-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61K38/217IFN-gam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3Ligases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Preparations to induce tolerance to non-self, e.g. prior to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8Antigen-pulsed cells, e.g. T-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3DNA (RNA) vacc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2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2039/55527Interleu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2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2039/55527Interleukins
    • A61K2039/55538IL-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ell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기 위한 조성물 및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CD4+CD25+제어성 T세포가 인식하는 항원 또는 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해서 포유동물의 면역응답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기면역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 이식에 있어서의 거절반응이나 이식편대숙주반응의 억제에 유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면역억제상태는 인터페론·감마의 투여, 혹은 인터류킨12와 인터류킨18의 병용투여에 의해 해제된다. 즉,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작용과 SEREX항원에 의한 감작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제어성 T세포를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자기면역 질환, 장기이식에 따른 반응, 알레르기 반응 및 종양면역의 제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METHOD AND COMPOSITION FOR REGULATING THE ACTIVITY OF REGULATORY T CELLS}
본 발명은 생체내에 있어서 면역능의 제어에 관한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특히 그 제어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외래의 이물을 배제하는 생체방어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자기에 대한 관용이 성립되어 있고, 이러한 면역응답의 야기나 제어는 B임파구, T임파구, 항체 및 항원제시세포(APC)의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행하여진다. 우선, 외래항원은 APC에 의한 프로세싱을 받고, 주요 조직 적합 복합체(MHC)클래스Ⅰ 및 클래스Ⅱ 분자에 결합되고, 헬퍼 T세포에 제시된다. 헬퍼 T세포에 의하여 MHC에 결합한 외래항원이 인식됨으로써, T세포의 활성화가 일어나고, 사이토카인이 분비되고, 항원으로 자극된 B세포가 항체산생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돕는 동시에, 킬러 T세포의 분화도 재촉한다. 분비된 항체 및 활성화된 킬러 T세포에 의해 항원을 제시하는 세포가 배제되고, 외래항원을 배제하는 세포성·체액성의 반응이 진행한다. 즉, T세포가 중심적인 역활을 하고, 표적이 되는 항원을 인식해 면역응답이 동원된다. 예를 들면, 항종양 면역응답에 있어서도, CD4+T세포 및 CD8+T세포가 극히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는 것이 옛부터 알려져 있다.(L. Gross, Cancer Res.3: 326-333(1943); L. Old et al., Ann. N.Y.Acad. Sci. 101: 80-106(1962); R.J.North, Adv. Immunol.35: 89-155(1984); P.D. Greenberg, Adv. Immunol.49: 281-355(1991); D.M.Pardoll and S.L. Topalian, Curr. Opin. Immunol. 10: 588-594(1998)).
CD8+CTL(cytotoxic T cell)은, 생체내에 있어서도 시험관내에 있어서도 직접적으로 종양세포를 파괴하는 능력을 가진 주요한 이펙터 세포이지만, MHC클래스Ⅰ에 제시된 항원 펩티드의 특이성에 관해서 엄격한 것에 비해, 내츄럴킬러 T(NKT)세포의 경우에는 항원특이성의 제약이 엄격하지 않고, 고유성의 면역응답을 보이는 이펙터세포로 여겨지고 있다(M.J. Smyth et al., J.Exp.Med. 191:661-668(2000);M.J. Smyth & D.I.Godfray, Nature Immunol. 1:459-460;M.J. Smyth et al., Curr, Opin Immunol. 14:165-171(2002);T.Kawano et al., Proc.natl.Acad. Sci. USA 95:5690-5693(1998)). 한편, CD4+T세포는 직접적으로는 종양세포를 파괴하지 않지만, 항종양 면역응답을 복수의 기구를 통해서 제어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고(K. Hung et al., J.Exp.Med. 188:2357-2368(1998);F.Ossendorp et al., J.Exp.Med. 187:693-702(1998);D.M.Pardoll & S.L.Toplian, Curr.Opin.Immunol. 10:588-594(1998);R.F.Wang Trends. Immunol. 5:269-276(2001)), MHC클래스Ⅱ분자에 제시된 종양항원 펩티드를 인식한 CD4+헬퍼 T세포는, 항원제시세포(APC)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CTL의 활성화와 증식을 증폭한다. 이에 비해, CD4+CD25+제어성 T세포(Treg)는 항종양 면역응답이나 여러가지의 자기면역병의 진전을 억제하는데에 유효한 것이 나와 있다(E.M. Schvach, Annu. Rev. Immunol. 18:423-449(2000);M.G.Roncarolo & M.K.Levings, Curr. Opin. Immunol, 12:676-683(2000);J. Shimizu et al, J.Immunol. 163:5211-5218(1999);S.Sakaguchi et al, Immunol. Rev. 182:18-32(2001)). 그러나, Treg가 인식하는 자기항원 펩티드는 어떤 것이며, 항원인식이나 기능에 있어서의 헬퍼 T세포와의 차이나 관계는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밝혀 있지 않다(S. Sakaguchi, Nature Immunol. 2:283-284(2001);K.J. Maloy & F. Powrie, Nature Immunol. 2:816-822(2001);E.M.Shevach, Nature Rev. Immunol. 6:389-400(2002)).
CTL의 정량적 및 정성적인 증폭에 있어서, 헬퍼 T세포, CTL 및 APC간의 연속적인 세포간 상호작용에서는, 항종양 면역응답에 관계하는 헬퍼 T세포가 넓은 범위의 다양한 항원을 인식할 가능성이 시사되어 있었지만(J.P.Ridge et al,, Nature 393:474-478(1998);S.R.M.Bennett et al., Nature 393:478-480(1998);S. P.Schoenberger et al., Nature 393:480-483(1998);Z.Lu et al., J.Exp.Med. 191:541-550(2000)), 본 발명자들은, CTL인식 항원과 함께 SEREX(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antigen by recombinant cDNA expression cloning)항원을 투여함으로써, 극히 강력한 CTL활성의 증강, 그리고 강력한 종양거절능을 유도하는 것을 찾아내었다(H.Nishikaw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8: 14571-14576(2001); WO 03/000894 A1). 그 결과, CD4+헬퍼항원, 바람직하게는 SEREX법에 의해 발견된 분자, 및, CD8+CTL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 바람직하게는 종양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폴리뉴클레오티드 백신으로서 이용한다는, 종양특이면역을 발현시키기 위한 백신에 관한 발명에 이르렀다(WO 03/000894 A1).
CD4+CD25+제어성 세포는 기능적으로 성숙한 상태로 항상 정상흉선에 있어서 산생되고 있지만, 통상은 아네르기의 상태로 있고, T세포 리셉터(TCR)자극이 들어가면 다른 T세포의 활성화·증식을 강하게 억제하고, 그 때 구성적으로 발현하는 CTLA-4(cytotoxic T lymphocyte-associated antigen 4)분자나 GITR(glucocorticoid-induced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family)분자를 통한 자극 전달이 억제능 발현에 필요한 것이 밝혀져 왔다(T.Takahashi et al., J.Exp.Med. 192:303-310(2000);S.Read et al., J.Exp.Med. 192:295-302(2000);J.Shimizu et al., Nature Immunol. 3:135-142(2002)). Treg는 MHC클래스Ⅱ에 결합한 자기항원을 인식하는 많은 특이성을 가진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고 여겨지고 있지만, 아직 항원은 동정되어 있지 않고, 또 Treg의 억제능 증강의 기구에 대해서는 전혀 불분명하였다.
도 1은, SEREX항원 단독에 의한 면역화가 폐전이를 촉진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SEREX항원 단독 면역화에 의해 유도된 폐전이 촉진을 담당하는 세포는 CD4+ 또는 CD4+CD25+세포이며, CD8+세포가 아닌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SEREX항원 단독 면역화 마우스로부터의 CD4+CD25+T세포의 이식에 의해 폐전이가 촉진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SEREX항원의 단독 전처리는, mERK2항원에 특이적인 CD8+T세포의 수를 억제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 중, 9m-pulsed P1HTR은 mERK2 9m항원단백을, p63-71(T)-pulsed P1HTR은 대조의 항원단백을 의미한다.
도 5는, mERK2 또는 147HER2, 및 Dna J-like2를 이용한 면역화에 의한 폐전이에 대한 생체내의 예방·치료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실시예4에 있어서의 마우스 배부의 종양지름의 측정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BALB/c마우스에 대한 SEREX동정 자기항원 DnaJ-like 2면역에 의해 C57BL/6유래 멜라노마B16의 거절이 천연하고 일부의 마우스가 종양사한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BALB/c마우스에 대한 다른 SEREX동정 자기항원 면역의 경우도 DnaJ-like 2면역과 마찬가지로 C57BL/6유래 멜라노마B16의 거절이 천연하고 일부의 마우스가 종양사한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BALB/c마우스에 대한 DnaJ-like 2면역에 의해 C57BL/6유래 멜라노마B16의 거절의 천연은 항CD25항체투여에 의해 해제된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BALB/c마우스에 대한 DnaJ-like 2면역에 의해 C57BL/6유래 멜라노마B16의 거절의 천연은 항GITR항체투여에 의해 해제된 것을 도시한다.
발명의 개시
마우스나 사람 등의 정상개체에 있어서는, 외래의 이물에 대한 생체방어기구로서의 면역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고, 자기를 공격하는 경우는 없다. 이 자기에 대한 관용은, 자기반응성 면역세포의 배제, 자기반응성 면역세포의 불활성화 및 Treg에 의한 면역억제의 3개의 기구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자기에 대한 관용이 파탄되면 자기면역 질환을 발증하는 한편, 이 자기관용성이 암세포의 증식을 허용하고 있다. 또, 장기나 조직의 이식에 있어서는, 외래항원의 배제기구가 이식을 곤란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면역 시스템에 있어서 Treg가 면역제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밝혀진 현재에 있어서, 면역이상에 의한 질환, 특히 자기면역 질환이나 이식 거절반응, 이식편대숙주반응, 알레르기 질환 등에 대하여, Treg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약제의 개발이 강하게 바라진다.
본 발명자는 종양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와 SEREX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담암 마우스에 투여해서 그 항종양효과를 검토할 때에, SEREX항원을 코드 하는 발현 벡터만을 투여하면, 오히려 종양조직의 성장과 전이의 촉진이 관찰된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본 발명은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상기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응답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약리상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면역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는 상기 조성물을 자기면역 질환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는 것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약리상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 또는 상기 조성물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는 것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 약리상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있어서 거절반응 및/또는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또는 상기 조성물을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있어서 거절반응 및/또는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억제하는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는 것에 이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더 상세하게는, CD4+CD25+ T세포(제어성 T세포)를 SEREX(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antigen by recombinant cDNA expression cloning)법에 의해 발견된 분자(SEREX항원)로 감작해서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증강하고, 반대로 활성화된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인터페론·감마의 사용 혹은 인터류킨12과 인터류킨18과의 공용에 의해 감약시키는 것에 의한,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의 제어 방법이다. 특히,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증강하는 조성물로서, SEREX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들 수 있고, 폴리뉴클레오티드 단독으로, 혹은 담체입자 등의 상에 고정되어서 세포내에 투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성 T세포를 인위적으로 항원에 의해 감작하여 그 면역억제활성을 증강함으로써, 이식에 있어서의 거절반응 및 이식편대숙주반응의 억제, 자기면역 질환의 억제 및 알레르기 반응의 억제를 실현하는 것이며, 이들 질환 혹은 병태를 가지는 환자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면역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CD4+CD25+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투여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는 발견에 의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CD4+CD25+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 또는 그것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다. 더 상세하게는, CD4+CD25+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은 바람직하게는 SEREX법에 의해 발견된 분자이며, 또 항원은 헤테로 항원이라도 좋고 자기항원이라도 좋지만, 자기항원이 보다 바람직하다. SEREX법은, 최근 M.Pfreundschuh들 (Proc.Natl.Acad.Sci. USA 94;1914-1918(1997))에 의해 개발된 방법이며, 사람 혈청을 이용하여 사람 종양의 cDNA발현 라이브러리의 검색을 행하는 것이며, 인터넷에는, SEREX법에 의해 동정된 유전자가 SEREX데이터 베이스로서 1800종을 넘게 등록되어 있다(www.licr.org/SEREX html).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열쇼크 단백질인 DnaJ-like2(GenBank Accession No.:NM_005494, XM_028966, XM_17216l, XM_052862, XM_062754, XM_093388, NM_016306, NM_012328, NM_005880), 갈렉틴 [Galectin]8(GenBank Accession No.:AH008815, AF193806, AF193805), 폴리A결합단백질[PolyA binding protein](GenBank Accession No.:XM_067844), 리가아제[Ligase]1(GenBank Accession No.:NM_000234)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의 「SEREX동정분자」란, SEREX법에 의해 동정된 이들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원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숙주동물에 투여함으로써 원하는 면역응답을 생기게 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DNA 또는 RN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원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드되는 폴리펩티드가 원하는 면역응답을 숙주에 있어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 그 뉴클레오티드 배열이 배열부위 특이적 변이유발법 등의 공지의 수법에 의해(edit.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1987) John Wiley & Sons, Section 8.1-8.5참조) 인공적으로 1이상의 아미노산배열을 결실·치환·삽입·부가된 것이라도 좋다. 또, 원하는 면역응답을 숙주동물에 있어서 발생시킬 수 있는 한, 자연계에 존재하는 변이체는, 공지의 하이브리디제이션 기술(edit.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1987) John Wiley & Sons, section6.3-6.4참조) 및 유전자증폭기술(PCR)(edit.Aus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1987)John Wiley & Sons, section 6.1-6.4참조)을 이용해서 단리할 수도 있다.
또, 항원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가 알려져 있을 경우에, 그 단백질의 아미노산배열상의 소수성/친수성영역을 해석하고(Kyte and Doolittle, J.Mol.Biol. 157:105-122(1982)), 2차 구조를 해석하고(Chou and Fasman, Ann.Rev.Biochem 47:251-276(1978)) 아미노산배열 중의 항원성 영역을 추정하는 것(예를 들면, Anal/Biochem 151:540-546(1985)참조), 그리고, 추정된 아미노산배열의 펩티드를 합성해 그 항원성을 PEPSCAN법(Nature 314(1985);일본국 특표소60-500684호 공보)등에 의해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거해 결정된 에피토프 부분을 포함하는 펩티드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화학합성 등의 수법에 의해 제조해서 본 발명의 항원의 발현벡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 있어서 이용되는 발현 벡터는,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유전자를 도입한 재조합 벡터이며, 항원유전자를 삽입하는 벡터로서는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당 분야에 있어서 종래 이용되고 있는 그 밖의 벡터를 예시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예를 들면, edit,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1989)N.Y.), 및, edit,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1987) John Wiley & Sons등에 기재된 기술에 의해, 여러가지 플라스미드 및 벡터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이용하는 프로모터, 터미네이터 등의 숙주내에 있어서의 발현제어를 행하는 인자는, 당업자라면 숙주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공지의 제어 배열로부터 적당하게 선택하고, 항원유전자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항원유래의 제어 배열을 이용해도 좋고, 이종의 제어 배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필요하면, 항생 물질 내성 마커 등의 마커를 본 발명의 발현벡터의 안에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수의 시판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적이지 않은 폴리뉴클레오티드 배열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네이키드(naked)플라스미드로서 사용할 수 있고, 리포솜내에 팩키징하든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시니아바이러스 벡터, 폭스바이러스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관련 벡터 및 HVJ벡터 등의 각종 바이러스 벡터로서 형성하든지(예를 들면, K. Adolph "바이러스 게놈법" CRC Press, Florida(1996)참조), 또는, 콜로이드 금입자 등의 비즈(담체)에 피복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유전자총 등에 의해 생체내에 도입되는 금입자 등의 담체입자상에,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을 발현시키는 벡터를 부착시킨 형태의 것이다. 폴리뉴클레오티드로 담체입자를 코트하는 기술은 공지이다(예를 들면, W093/17706참조). 최종적으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생체로의 투여에 알맞는 생리적 식염수 등의 용액중에 조정할 수 있다. 기타, 플라스미드의 세포내 도입의 도움이 되는 칼슘 이온 등의 약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 필요에 따라 트랜스펙션을 용이하게 하는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약제를 맞춰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어떠한 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적당한 비경구경로, 예를 들면, 정맥내, 복강내, 피하, 피내, 지방조직내, 유선조직내, 흡입 또는 근육내의 경로를 통해 주사, 주입, 또는 가스 유도성 입자충격법(전자총등에 의한다), 점비약 등의 형태에서의 점막경로를 통한 방법 등에 의해 투여된다. 이들의 투여방법 중, 가속 입자에 의한 유전자형질 전환기술은, 미국 특허 제4,945,050호, 제5,240,842호 등에도 기재되고 있고, 그 개량법에 의거하는 장치도 시판되고 있다(Biorad Laboratories).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숙주동물의 종류도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마우스, 래트, 토끼, 개, 고양이, 돼지, 양, 소, 말, 및, 원숭이 및 사람 등의 영장류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사람이 보다 바람직한 숙주동물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항원 혹은 발현 벡터의 투여량은, 질환의 종류, 정도, 성별, 연령, 체중, 투여경로 등에 의해 다르고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회당 0.001㎍∼1g, 바람직하게는 0.01㎍∼10㎎, 더 바람직하게는 0.1㎍∼100㎍을 투여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실시된 결과로서 실현되는 면역억제상태는 인터페론·감마의 투여, 혹은 인터류킨12와 인터류킨18의 병용 투여에 의해 해제된다. 즉,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작용과 SEREX항원에 의한 감작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제어성 T세포를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자기면역 질환, 장기 이식에 따르는 반응, 알레르기 반응 및 종양면역의 제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면역억제상태의 해제는, 항CD4항체, 항CD25항체에 의한 처리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SEREX항원이 제어성 T세포의 면역억제활성을 촉진하는 것이 명백하게 된 것으로부터,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이 처음으로 나와 있다.
종래, 자기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의 치료 및 이식 거절이나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억제하는 치료는 여러가지 수법이나 약제가 개발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유효성에 한계가 있고, 이들을 초과하는 유효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최근생체내에 있어서의 중요성이 점점 밝혀지고 있는 CD4+CD25+제어성 T세포의 작용을 제어하는 극히 유효한 방법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자기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장기·조직 이식에 따른 요법에 큰 진보를 가져다주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어떠한 의미에서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참고예 SEREX 항원과 종양항원과의 동시 감작에 의한 폐전이의 저지
BALB/c기원의 3-메틸콜란트렌 유도 육종 CMS5m세포는, 생체내주사 후, 폐전이를 일으키고, 동물을 5∼6주일이내에 죽음에 이르게 한다. 그래서, 총량 0.1㎖의 1×106CMS5m 종양세포를 측미정맥으로 BALB/c마우스에 투여하고, 폐전이에 관한 모델로 하였다. 종양항원으로서 변이 키나아제인 mERK2, SEREX항원으로서 DnaJ-like2을 이용하였다. 1)mERK2를 코드하는 플라스미드, 2)mERK2플라스미드 및 컨트롤 벡터를 코드하는 플라스미드의 혼합물, 3)mERK2플라스 및 DnaJ-like2플라스미드의 혼합물에 의해 종양투여의 14일전, 7일전, 종양투여날(동일), 또는, 종양투여로부터 5일후에 격주 면역화를 개시하였다(H.Nishikawa et al., Proc.Natl.Acad.Sci.USA 98:14571-14576(200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한다). 종양투여로부터 28일 후에 마우스를 죽이고, 폐 소혹수를 해부현미경으로 세었다. 각 그룹에 대해서 5마리 동물을 이용하고, 결과는 그 평균 ±SEM으로 나타내었다.
종양투여를 시작하는 14일전에 마우스를 mERK2를 코드하는 플라스미드로 면역화함으로써 폐전이를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었다. 이 예방적인 효과는, 종양투여의 7일전에 행하였을 경우, 또는 종양투여 후에 행하였을 경우에는 볼 수 없었다(도 5 참조). 그에 비해, mERK2플라스미드 및 DnaJ-like2플라스미드를 조합한 면역화에서는, 종양투여로부터 5일 후까지의 면역화라도 전이가 완전하게 예방되었다(도 5 참조). 전이의 유무는 조직 병리학적 시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도면 중, 수치는 각 그룹에 대해서 5마리 마우스의 평균±SEM으로서 나타낸다.
실시예1 SEREX 항원 단독감작에 의한 폐전이의 촉진
참고예와 동일한 폐전이 모델에 있어서, 종양투여의 5일 후에 SEREX항원을 코드하는 플라스미드 또는 컨트롤 벡터로 면역한 마우스를 종양투여 후 28일째에 죽이고, 폐 소혹수를 세었다. SEREX항원으로서 열쇼크 단백질 DnaJ-like2, DNA리가아제1, 갈렉틴8 및 폴리A결합 단백질 사이토 플라스 믹의 4종류(어느 것이나 마우스의 단백질) 각각의 플라스미드로 면역한 경우는 소혹수는 130-170이며, 이러한 면역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혹수는 30-50이었다. 이에 대해, SEREX분석을 되풀이해도 검출되지 않은 마우스 분자 3종, 글루코스 제어 단백질, 분비넥신 및 TCP-1제타1 서브유닛(Cctz-1)함유 샤페론을 코드하는 플라스미드로 면역했을 경우에는, 전이의 촉진은 관찰되지 않았다(도 1a, 1b). 또, 사람 SEREX항원 3종류(Homo sapiens HMBA유도 단백질, 히트레티노인산 응답 단백질 및 H.sapiens간염 델타 항원반응 단백질A)나 오브알부민 등 이종의 단백질을 코드하는 플라스미드로 면역해도 전이의 촉진은 관찰되지 않았다(도 1a). 즉, 자기항원으로서의 SEREX항원에 의한 단독감작이 전이를 촉진하고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그래서, 이 전이 촉진에 관여하고 있는 세포표현형을 해석하였다. 마우스를 항CD4 모노크롬 항체나 항CD25 모노크롬 항체로 전처리해 두면, DnaJ-like2감작에 의한 전이 촉진은 완전히 없어졌다(도 2a, 2b). 항CD25 모노크롬 항체에 의한 전처리만의 경우에는, 전처리도 없는 경우와 비교해서 전이 소혹은 상당히 감소하였다(도 2b). 또, 항CD8 모노크롬 항체로 전처리하고 DnaJ-like2로 감작한 경우에는 전이의 촉진이 항체 전처리가 없는 경우와 같은 정도로 관찰되었다(도 2c). 이 결과로부터, 전이의 촉진은 CD4+ 또는 CD4+CD25+T세포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2 SEREX 항원으로 감작된 CD4 + CD25 + T세포는 폐전이를 촉진한다
실시예1에서 얻어진 결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SEREX항원으로 감작된 CD4+CD25+T세포를 종양접종 마우스에 이식해서 전이의 촉진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즉, DnaJ-like2항원으로 면역한 마우스로부터 종양 마우스에 CD4+CD25+T세포를 이식했을 경우에는 폐전이를 현저하게 촉진했지만, CD4+CD25-T세포를 이식했을 경우에는 폐전이의 촉진은 대부분 관찰되지 않았다. 또, 감작되어 있지 않은 CD4+CD25+T세포를 이식한 경우는, 이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유의한 전이 촉진이 관찰되었지만, 그것은 감작된 CD4+CD25+T세포를 이식했을 경우에 비해서 훨씬 작은 것이었다(도 3).
실시예3 SEREX 항원에 의한 전처리는 CD8 + T세포가 아니라, CD4 +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종양접종 마우스에 각각 종양항원 및 SEREX항원을 코드하는 플라스미드를 투여하면 강력한 항종양 면역 응답을 야기할 수 있는 것, 그 때 CD4+T세포의 헬퍼 기능이 현저하게 증강되고, CD8+T세포응답 증폭은 CD4+T세포에 의존하는 것을 보고하였다(H.Nishikawa et al., Proc.Natl.Acad.Sci.USA 98:14571-14576(2001);WO 03/000894 A1).
그래서, 실시예2에서 확인한 항종양 면역 응답의 억제에 있어서, CD8+T세포와 CD4+T세포의 면역응답성이 변화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였다. 종양항원으로서 변이 키나아제인 ERK2의 9머의 펩티드 mERK2 9m을 이용하였다. 마우스를 DnaJ-like2로 전면역하고, 거기에 mERK2 9m을 코드하는 플라스미드 단독, 또는 이것과 DnaJ-like2를 코드하는 플라스미드와 병용으로 면역하고, ELISPOT 어세이에 의해 mERK2 9m 특이적 CD8+T세포를 분석하였다. mERK2 9m 단독의 경우는, DnaJ-like2 전처리가 CD8+T세포를 변화시키지 않았지만(도4a), 병용 면역의 경우는, DnaJ-like2 전처리가 없을 때에 관찰된 헬퍼 활성의 증강이 DnaJ-like2 전처리에 의해 완전 소멸해버렸다(도 4b). 이 결과로부터, SEREX항원으로 면역하면, CD8+T세포가 아니라, CD4+T세포의 헬퍼 활성이 억제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α-GalCer-CD1d테트라머에 의한 해석에 의해, 국소의 내츄럴킬러T(NKT)세포의 세포수 감소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의해, 마우스 종양 전이 모델에 있어서의 항종양 면역응답을 예로서, SEREX항원을 코드하는 플라스미드 단독에 의한 처리가 CD4+CD25+제어성 T세포를 활성화하는 결과로서 CD4+헬퍼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고, 면역응답 전체를 억제하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실시예4 제어성 T세포활성제어에 의한 동종면역응답의 제어
본 발명자는, 담암 마우스 혈청을 이용하여 SEREX법에 의해 담암개체의 면역계가 인식하는 변이가 없는 야생형 자기항원(SEREX동정 자기항원)을 동정해 왔다.
SEREX동정 자기항원은 IgG로 인식됨으로써 CD4세포로 인식된다고 여겨진다. 이들 SEREX동정 자기항원과 세포상해성 T세포(CTL) 인식암거절항원을 헬리오스 유전자총(Helios사 Gene Gun®)을 이용하여 공면역했을 경우, 강한 헬퍼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SEREX동정 자기항원 단독 면역에서는 마우스 육종 폐전이 모델에서는 종양의 증가 악화를 확인하여, 면역을 억제적으로 제어한다고 여겨진다.
이 기구는 SEREX동정 자기항원 단독 면역에서는 제어성 CD4+CD25+T세포를 활성화하여 NKT를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EREX동정 자기항원 단독의 면역에 의한 면역 억제효과가 이식 등의 동종면역응답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SEREX동정 자기항원 단독의 면역을 행한 마우스에 대하여, 타 계통의 마우스 유래의 종양을 접종하고 그 증식에 끼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재료 및 방법
마우스:BALB/c(H-2d) 및 C57BL/6(H-2b)마우스를 이용하였다.
플라스미드:SEREX동정 자기항원 유전자(DnaJ-like2, Mus DNA Ligase 1(Ligase 1), Mus poly(A) binding protein, cytoplasmic 1(Poly A))를 pBK-CMV플라스미드에 넣고 금입자로 코팅하였다.
유전자도입(면역):SEREX동정 자기항원을 단독으로 헬리오스형 유전자총에 의해 마우스 복부 피내에 2주 간격으로 면역하였다.
종양접종:SEREX동정 자기항원 단독 2회째 면역의 1주일 후, BALB/c마우스에는 C57BL/6유래 멜라노마 세포주 B16을, C57BL/6마우스에는 BALB/c유래 섬유육종세포주 CMS5a를 각각 1x106개를 배부 피하에 접종하였다.
종양접종 후, 경시적으로 마우스 배부의 종양지름을 측정하였다.(도 6∼9참조)
항체:항CD25항체는 하이브리도마 PC61로 황산암모늄 분획에 의해 농축해 0.25mg 투여하였다.
항 GITR(Glucocorticoid-induced TNF receptor superfamily 18)항체는 하이브리도마 DTA-1(쿄토 대학·사카구치 시몬교수 공여) 복수를 8배 희석해서 200㎕(25㎕)투여하였다. 항 CD4항체는 하이브리도마 GK1.5 복수를 8배 희석해서 200㎕(25㎕)투여하였다. 항체투여는 어느 항체도 종양접종 직접전에 1회만 행하였다.
(2)결과와 고찰
BALB/c마우스에서는 SEREX동정 자기항원에 의한 면역에 의해 C57BL/6마우스 유래의 종양거절이 천연하고, 일부의 마우스는 종양사하였다.
이 현상은 항CD25항체의 투여, 항GITR항체의 투여에 의해 캔슬됨으로써 CD4+CD25+T세포가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SEREX동정 자기항원의 면역에 의해 면역응답이 억제적으로 제어된 결과, 동종 면역응답도 저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Claims (19)

  1.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이 SEREX법에 의해 동정되는 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을 코드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CD4+CD25+제어성 T세포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이 SEREX법에 의해 동정되는 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SEREX법에 의해 동정되는 분자가 자기항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2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EREX법에 의해 동정되는 분자가, DnaJ-like2(GenBank Accession No.:NM_005494, XM_028966, XM_172161, XM_052862, XM_062754, XM_093388, NM_016306, NM_012328, NM_005880), 갈렉틴[Galectin]8(GenBank Accession No.:AH008815, AF193806, AF193805), 폴리A결합 단백질[PolyA binding protein](GenBank Accession No.:XM_067844), 리가아제[Ligase]1(GenBank Accession No.:NM_000234)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전자총을 이용하여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기면역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있어서, 거절반응 및/또는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응답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해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응답을 억제하고, 또한 인터페론·감마를 투여해 이 포유동물의 면역응답을 회복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면역제어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해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면역응답을 억제하고, 또한 인터류킨12 및 인터류킨18을 투여해서 이 포유동물의 면역응답을 회복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면역제어 방법.
  14. 약리상 유효한 양의 제 1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면역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자기면역 질환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는 것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6. 약리상 유효한 양의 제 1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는 것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8. 약리상 유효한 양의 제 1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있어서 거절반응 및/또는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있어서 거절반응 및/또는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억제하는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조하는 것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KR1020057003307A 2002-08-30 2003-08-29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 Withdrawn KR20050067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4967 2002-08-30
JP2002254967 2002-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141A true KR20050067141A (ko) 2005-06-30

Family

ID=3198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307A Withdrawn KR20050067141A (ko) 2002-08-30 2003-08-29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60121029A1 (ko)
EP (1) EP1557172A4 (ko)
JP (2) JPWO2004024174A1 (ko)
KR (1) KR20050067141A (ko)
CN (1) CN1678338A (ko)
AU (1) AU2003261843A1 (ko)
CA (1) CA2494274A1 (ko)
WO (1) WO2004024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1029A1 (en) * 2002-08-30 2006-06-08 Hiroshi Shiku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gulating the activity of regulatory t cells
WO2006081620A1 (en) * 2005-02-02 2006-08-10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Cd4+ cd25+ t-cells activated to a specific antigen
EP2052076A4 (en) 2006-08-02 2010-07-14 Newsouth Innovations Pty Ltd METHOD FOR IDENTIFYING ANY ANTIGEN-ACTIVATED, CD8-EXPRESSING CD4 + CD25 + T-CELLS
ITRM20060583A1 (it) * 2006-10-27 2008-04-28 Francesco Bistoni Uso della timosina alfa 1 per la preparazione di un medicamento per la prevenzione e la cura delle allergie
WO2008150868A1 (en) * 2007-05-29 2008-12-1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ethods for inducing therapeutic t cells for immune diseases
JP5572796B2 (ja) * 2008-02-13 2014-08-20 国立大学法人 千葉大学 ゲラニルゲラニル化阻害による制御性t細胞の分化誘導およびその治療応用
DE102008023820A1 (de) * 2008-05-08 2009-11-12 Aicuris Gmbh & Co. Kg Mittel zur Behandlung und/oder Prophylaxe einer Autoimmunerkrankung und zur Bildung von Regulatorischen T-Zellen
WO2009137095A2 (en) * 2008-05-08 2009-11-1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an immune response
AU2009273749B2 (en) * 2008-07-25 2016-04-21 QIAGEN Australia Holding Pty. Ltd. A diagnostic method
KR101669827B1 (ko) 2008-08-05 2016-10-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면역 유도제
MX337991B (es) 2008-08-05 2016-03-30 Toray Industries Metodo para detectar cancer.
AU2009278386B2 (en) 2008-08-05 2015-05-21 Toray Industr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s
EP2490707B1 (en) * 2009-10-21 2016-07-27 ETH Zurich Medical utility of glycan-binding proteins and glycans
AU2011211698B2 (en) 2010-02-04 2015-07-16 Toray Industr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ncer
JP5923985B2 (ja) 2010-02-04 2016-05-25 東レ株式会社 癌の治療及び/又は予防用医薬組成物
RU2603742C2 (ru) 2010-02-04 2016-11-27 Торэй Индастриз, Инк.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рака
BR112012018947B8 (pt) 2010-02-04 2020-06-02 Toray Industries anticorpo anti-caprin-1 monoclonal,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binação farmacêutica e usos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de um anticorpo e de uma combinação farmacêutica
CN102844048A (zh) 2010-02-04 2012-12-26 东丽株式会社 用于癌的治疗和/或预防的药物
BR112012019098B8 (pt) 2010-02-04 2021-08-17 Toray Industries anticorpo,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binação farmacêutica e usos de um anticorpo,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de uma combinação farmacêutica
EP2701737B8 (en) * 2011-04-29 2024-05-01 Cartesian Therapeutics, Inc. Tolerogenic synthetic nanocarriers for allergy therapy
HUE044611T2 (hu) 2012-02-21 2019-11-28 Toray Industries Gyógyászati készítmény rák kezelésé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1029A1 (en) * 2002-08-30 2006-06-08 Hiroshi Shiku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gulating the activity of regulatory t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94274A1 (en) 2004-03-25
EP1557172A1 (en) 2005-07-27
US20060121029A1 (en) 2006-06-08
US20050244412A1 (en) 2005-11-03
JP2005247709A (ja) 2005-09-15
EP1557172A4 (en) 2007-05-30
AU2003261843A1 (en) 2004-04-30
WO2004024174A1 (ja) 2004-03-25
CN1678338A (zh) 2005-10-05
JPWO2004024174A1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7141A (ko) 제어성 t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조성물
ES2373055T3 (es) Péptido antígeno de rechazo de cáncer derivado de glipican-3 (gpc3) para uso en pacientes positivos a la hla-a2 y producto farmacéutico que comprende el antígeno.
EP3263585B1 (en) Foxm1 peptide and medicinal agent comprising the same
US9884098B2 (en) Multivalent breast cancer vaccine
CA2700618A1 (en) Inhibition of dendritic cell-driven regulatory t cell activation and potentiation of tumor antigen-specific t cell responses by interleukin-15 and map kinase inhibitor
JPH11508762A (ja) エフェクタ細胞調節用遺伝子療法
US9186418B2 (en) Method of identifying tumor associated antigens
WO2018094569A1 (zh) 多肽及其应用
Kumar et al. IFN-γ and IL-12 plasmid DNAs as vaccine adjuvant in a murine model of grass allergy
JP2007523093A (ja) 非CpG核酸を使用した全身性免疫活性化法
AU6042894A (en) Soluble T-cell receptor alpha chain and derivatives used as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agents for autoimmune diseases
US11820836B2 (en) Polypeptide and use thereof
KR102421307B1 (ko) 암 발생 및 성장 억제를 위한 신규 항암 백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백신화 방법
CN109963862B (zh) 多肽及其应用
JP5227028B2 (ja) インターロイキン−2の中和能を有する免疫治療用製剤
JP2001508764A (ja) 免疫原性tlp組成物
WO2018103101A1 (zh) 多肽及其应用
WO2018098636A1 (zh) 多肽及其应用
US20040116344A1 (en)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bip
WO2025065472A1 (zh) 一种改造后的t细胞及其应用
KR20230120543A (ko) c-Met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암 백신 및 이의 용도
JPWO2004058299A1 (ja) ポリヌクレオチドからなるワクチ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