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62200A -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200A
KR20050062200A KR1020030094202A KR20030094202A KR20050062200A KR 20050062200 A KR20050062200 A KR 20050062200A KR 1020030094202 A KR1020030094202 A KR 1020030094202A KR 20030094202 A KR20030094202 A KR 20030094202A KR 20050062200 A KR20050062200 A KR 20050062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tting information
channel setting
memory stick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원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2200A/ko
Publication of KR2005006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04N5/775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the recorder being connected to, or coupled with, the antenna of the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용자의 채널설정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스틱을 방송 수신기에 장착하고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방송 수신기의 내부 메로리에 복사하여 채널설정에 적용시킴으로서, 한 사용자의 채널설정정보를 다른 복수의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는 방송 수신기가 바뀌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재차 검색하지 않고 간단히 선호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시청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스틱이 연결됨에 따라 내부 메모리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의 버퍼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메인 영역의 채널설정정보를 복사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적용하고 채널을 선택하여 방송 수신기를 시청하고, 이후 적용중인 채널설정정보의 채널의 삭제 혹은 추가할지 판단하여 추가/삭제하고 또한, 채널설정정보를 저장할지 판단하여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 스틱에 채널설정정보를 저장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Channel Information Storing and Sharing Methode of Broadcasting Reciever}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채널 정보가 입력/저장된 메모리 스틱을 방송 수신기에 장착하여, 상기 메모리 스틱에 입력/저장된 채널 정보를 이용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수신하는 방송 채널은, 방송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그 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도 양과 질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전의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는 그 채널의 수가 수십개에 이르렀지만,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송 1채널의 주파수대에 4~8채널을 설정할 수 있어서 수백개의 채널을 가지며, 이러한 다수의 채널은 나이, 성별, 지역 등에 따라 다양한 취향을 가지는 계층의 시청자에게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다양한 컨텐츠를 가지는 수많은 채널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방송을 시청시마다 찾아내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설사,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에 맞추어 방송 채널들을 찾았다하더라도, 차후 시청시에 수많은 채널들중에서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했던 채널들만 골라내기는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방송 수신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사용자가 시청하기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차후 시청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로드(Load)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 다시 채널을 검색을 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채널 정보 저장 방법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의 정보를 저장한 방송 수신기가 아닌 다른 방송 수신기를 이용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에는, 다시 채널을 검색하여 원하는 방송을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 있는 방송 수신기에 수백개의 채널 중에서 3, 5, 33, 35, 69,79, 86, 90번의 채널을 메모리에 저장해 놓았다면, 차후에 자신의 방송 수신기를 이용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어서 다시 채널을 검색할 필요없이 원하는 채널을 간단히 검색하여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지만, 만약 사용자가 다른 방송 수신기를 사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에는 3, 5, 33, 35, 69,79, 86, 90번의 채널을 다시 검색해야만 자신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이러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수가 많을 경우에는 채널 검색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불편한다. 또한, 타 사용자의 채널설정정보를 자신의 방송 수신기에 적용시키고자 할때는 일일이 채널을 검색하여 저장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스틱에 저장하고, 그 메모리 스틱을 방송 수신기에 장착하여 채널을 검색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함으로서, 시청시마다 선호하는 채널을 검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사용자의 채널설정정보를 다른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에 저장하여 차후에 다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경우에는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로드하여 간단히 채널을 검색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사용하는 방송 수신기가 바뀌더라도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재차 검색할 필요없이 원하는 채널을 시청하고, 타 사용자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에 저장받아 공유할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은, 메모리 스틱 연결시, 메모리 스틱의 메인 영역에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존재하는 경우에 내부 메모리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의 버퍼 영역에 이동시키고, 메모리 스틱의 메인 영역의 채널설정정보는 내부 메모리로 복사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튜너/복조기(11), 상기 튜너/복조기(11)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부(12), 상기 디멀티플렉서부(12)에서 분리된 소정의 영상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부(13), 상기 영상처리부(13)에서 영상처리된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출력부(14), 상기 디멀티플렉서부(12)에서 분리된 소정의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 처리하는 음성처리부(15), 상기 음성처리부(15)에서 음성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6), 도 3의 메모리 스틱(300)의 버퍼 영역(310), 메인 영역(320) 및 내부 메모리부(18)에 채널설정정보를 저장하고, 키입력부(19)에서의 키입력에 따라서 소정의 채널을 채널설정정보에서 삭제 및 추가하는 제어부(17), 상기 채널설정정보 및 상기 디멀티플렉서부(12)에서 분리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부(18), 상기 전술한 제어부(17)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19) 및 소정의 채널설정정보를 버퍼 영역(310) 및 메인 영역(320)에 저장하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 영역(320)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다른 방송 수신기와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메모리 스틱(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방송 수신기는, 튜너/복조기(11)는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국한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부(12)는 상기 튜너/복조기(11)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부(12)에서 소정의 영상정보, 음성정보, 부가정보로 분리된 정보는 영상처리부(13), 음성처리부(15), 제어부(17)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영상처리부(13)는 디멀티플렉서부(12)에서 신호의 속성에 따라 분리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처리하여 영상출력부(14)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출력부(14)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따라서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5)는 분리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처리하여 음성출력부(16)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출력부(16)는 입력된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는 튜너/복조기(11), 디멀티플렉서부(12), 영상처리부(13), 음성처리부(15), 내부 메모리부(18) 및 메모리 스틱(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채널설정정보의 채널을 제거 및 추가하고, 메모리 스틱(20)내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내부 메모리부(18)에 저장하고, 내부 메모리부(18) 내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상기 메모리 스틱(20)에 저장하며, 디멀티플렉서부(12)에서 분리되어 처리된 부가정보를 내부 메모리부(18)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9)는 상기 전술된 제어부(17)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술된 기능들을 설정하게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메모리 스틱(20)이 연결되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21).
상기 판단 결과(21), 메모리 스틱이 연결된 경우에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22).
상기 판단 결과(22),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수신기의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되고, 반면에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버퍼 영역(310)에 이동시켜 저장한다(23).
상기 단계에서,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버퍼 영역(310)에 이동시켜 저장한 후,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상기 방송 수신기의 내부 메모리(18)에 복사하여 저장한다(24).
이후, 사용자는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있는 채널설정정보로 키입력부(19)의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하게 되고(25), 만약 채널설정정보에 설정되지 않은 채널을 선택할 경우에는 키입력부(19)로 소정의 채널번호를 입력하여 선택한다(26). 상기 선택된 채널을 내부 메모리(18)의 채널설정정보에 추가할 경우에는 상기 키입력부(19)로 추가명령을 내려 상기 채널을 추가하고 또한, 채널설정정보에 설정된 채널중에서 원하지 않는 채널을 삭제할 경우에는 상기 키입력부(19)로 삭제명령을 입력하여 채널을 삭제한다(27).
상기 단계에서, 채널이 추가/삭제되어 채널설정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이러한 변경된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저장할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28).
상기 판단 결과(28), 채널설정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에, 복귀명령이 입력되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29).
한편, 상기 판단 결과(28), 채널설정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스틱(20)이 존재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30).
상기 복귀명령이 내려졌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제 29단계를 먼저 설명하면, 복귀명령이 내려지지 않았다면 내부 메모리(20)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로 방송 프로그램을 계속 시청하게 되고 한편, 복귀명령이 내려졌다면 메모리 스틱(20)이 존재하는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31).
상기 판단 결과(31), 메모리 스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OFF할지 그 여부를 결정하고(36) 한편, 상기 판단 결과(31), 메모리 스틱(2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스틱(20)의 버퍼 영역(31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내부 메모리(18)로 이동시킨 후 상기 내부 메모리(18)에 존재하는 채널설정정보에 덮어쓰기하여 저장한다(33).
상기 단계에서, 내부 메모리(18)에 채널설정정보를 저장하고난 후 전원을 OFF 할지 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36).
한편, 상기 제 30단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면, 메모리 스틱(3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OFF 할지 그 여부를 결정하고, 존재한다면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복사하여 저장한다(32).
이후, 메인 영역(320)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삭제할지 그 여부를 판단하여, 삭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방송 수신기의 전원을 OFF할지 그 여부를 결정하고(36), 삭제할 경우에는 메인 영역(320)의 채널설정정보를 삭제한(35) 후 전원을 OFF 할지 그 여부를 결정한다(36).
상기 판단 결과(36), 전원을 OFF할 경우에는 종료하고, OFF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21단계로 되돌린다.
이러한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선 메모리 스틱(20) 내에 채널설정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방송 수신기에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메모리 스틱(20)이 연결되면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가 방송 수신기에 적용된다. 이후, 상기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로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 상기 선택되는 채널설정정보에 설정된 채널로 제한되며 이러한 채널을 삭제할 경우에는 키입력부(19)로 삭제명령에 따라 삭제하고 또한, 채널설정정보에 채널을 추가할 경우에는 키입력부(19)의 채널키로 채널설정정보에 설정되지 않은 채널을 선택하고 추가할지 판단한 후 선택에 따라 추가한다.
상기 단계후에,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저장할지 판단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채널설정정보를 메인 영역(320)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복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채널설정정보가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 및 내부 메모리(18)에 동시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내부 메모리(18)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에 저장하여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스틱(20) 내에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방송 수신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우선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버퍼 영역(310)에 이동시켜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시켜 저장하기 때문에 내부 메모리(18)에는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후,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내부 메모리(18)에 복사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복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메인 영역(320)과 내부 메모리(18)에 동일한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이후, 채널을 선택하고 채널설정정보를 선택에 따라 삭제/추가하게 된다.(이하 전술한 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계에서, 삭제/추가되어 변경된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에 저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메모리 스틱(20)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내부 메모리(18)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복사/덮어쓰기하여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메모리(18)와 메인 영역(320)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가 동일하게 된다. 이후 상기 메인 영역(320)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선택에 따라 삭제한다.
만약, 내부 메모리(18)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에 저장하지 않고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스틱(2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후, 존재할 경우에 메모리 스틱(20)의 버퍼 영역(31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설정정보를 내부 메모리(18)에 이동시킨후 덮어쓰기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버퍼 영역(310)에는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게 되며, 메모리 스틱(20)의 메인 영역(320)의 채널설정정보도 변경되지 않기때문에, 메모리 스틱(20)이 연결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내부 메모리(18)에 존재하는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20)에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 스틱(20)에 존재하는 채널설정정보를 내부 메모리(18)에 저장할 수도 있고 또한, 메모리 스틱(20)에 저장된 채널설정정보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 이후에 초기 상태로 설정을 되돌릴 수도 있다. 이후, 메모리 스틱(20)을 방송 수신기에서 분리시켜 휴대하고 다니면서, 타 방송 수신기에 장착하여 자신이 원하는 채널설정정보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하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은, 시청하기 원하는 채널만을 선택하여 메모리 스틱에 저장하여 적용함으로서 채널을 재차 검색할 필요없이 선호하는 채널의 시청을 용이하게 하고, 탈/부착 및 휴대가 간편한 메모리 스틱을 이용함으로서 사용하는 방송 수신기가 바뀌더라도 선호하는 채널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사용자들간에 채널 정보의 공유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방송 수신기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메모리 스틱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확대 상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테나 11 : 튜너/복조기
12 : 디멀티플렉서부 13 : 영상처리부
14 : 영상출력부 15 : 음성처리부
16 : 음성출력부 17 : 제어부
18 : 내부 메모리부 19 : 키입력부
20 : 메모리 스틱

Claims (2)

  1. 메모리 스틱 연결시, 메모리 스틱의 메인 영역에 채널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존재하는 경우에 내부 메모리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의 버퍼 영역에 이동시키고, 메모리 스틱의 메인 영역의 채널설정정보는 내부 메모리로 복사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내부 메모리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의 메인 영역에 저장하라는 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내부 메모리의 채널설정정보를 메모리 스틱의 메인 영역에 복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복귀명령이 있다면 버퍼 영역의 채널설정정보를 내부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KR1020030094202A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KR20050062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02A KR20050062200A (ko)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02A KR20050062200A (ko)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00A true KR20050062200A (ko) 2005-06-23

Family

ID=3725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02A KR20050062200A (ko) 2003-12-20 2003-12-20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22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05B1 (ko) * 2005-10-24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KR100860173B1 (ko) * 2005-11-28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설정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05B1 (ko) * 2005-10-24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KR100860173B1 (ko) * 2005-11-28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설정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221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 정보 제공방법
JPS6260384A (ja) 受信機
KR20010068621A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505149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再生方法
JP4498093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880988B1 (ja) 番組表表示装置及び方法
JP200321929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50070353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채널전환방법
KR20050062200A (ko)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저장 및 공유 방법
KR100696779B1 (ko) 방송 수신기의 예약 녹화 정보 관리 방법
KR20000044771A (ko) 디지털 티브이의 이피지 정보 갱신 방법
JP2010193491A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90002453A (ko) 선호 채널 선국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JP351080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4007881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스케줄 알람 구현 방법
JP200830141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0736611B1 (ko) 디지털 방송의 채널 튜닝 장치와, 그 제어방법, 그리고 그시스템
KR20050056429A (ko) 디지털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국 정보 저장 방법
KR1011015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123272A (ko)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KR2005010443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22034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자동 채널 서치시 채널 저장 방법
KR100323982B1 (ko) 다채널 프로그램 정보 필터링 방법
KR20020064431A (ko) 시청자 선호 프로그램 관리 방법
KR101430438B1 (ko)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데이터 정보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