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7637A - 이동식 사이드 스텝 - Google Patents

이동식 사이드 스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637A
KR20050047637A KR1020030081384A KR20030081384A KR20050047637A KR 20050047637 A KR20050047637 A KR 20050047637A KR 1020030081384 A KR1020030081384 A KR 1020030081384A KR 20030081384 A KR20030081384 A KR 20030081384A KR 20050047637 A KR20050047637 A KR 2005004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tion
lower frame
rotation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7637A/ko
Publication of KR2005004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6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어 승객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정역회전하며, 회전축 단부에 회전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감지부로부터 도어의 개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수단에 회전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전달수단과 맞물려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운동변환수단과 결합되어 운동변환수단의 직선운동에 따라 도어 하부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발판을 구비하는 발판부재; 그리고 상기 발판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 하부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어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차체의 하부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되도록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사이드 스텝{Movable side step}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에 장착되어 차량 탑승시 승객이 밟고 탑승하는 사이드 스텝(side step)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사이드 스텝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 스텝은 승객이 차량 탑승시 밟고 타도록 하여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 하부 프레임(1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사이드 스텝(20)은 승객이 밟는 부분인 발판(21)과 상기 발판을 도어의 하부 프레임(10)과 고정연결하는 연결부재(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사이드 스텝(20)은 상기 발판(21)이 항상 도어의 하부 프레임(1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가 차량의 측면을 이동할 때 상기 발판(21)과 부딪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사이드 스텝(20)은 도어의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발판(21)과의 간격(D)이 좁기 때문에 승객이 탑승할 경우 승객의 발이 도어의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발판(21) 사이 공간에 걸리기 쉬우며 따라서 하부 프레임(10)에 도색된 페인트 등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가 개방될 경우에는 도어의 하부 프레임 외측으로 자동적으로 돌출되며, 도어가 닫혀질 경우에는 도어의 하부 프레임의 하부로 수납되어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며, 도어 하부 프레임과 사이드 스텝과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어 승객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정역회전하며, 회전축 단부에 회전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감지부로부터 도어의 개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수단에 회전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전달수단과 맞물려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운동변환수단과 결합되어 운동변환수단의 직선운동에 따라 도어 하부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발판을 구비하는 발판부재; 그리고 상기 발판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 하부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며, 발판부재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차체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발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안내수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양 단부는 상기 안내슬롯에 걸쳐지게 되어 상기 발판부재가 안내슬롯을 따라 용이하게 차체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은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30), 구동수단(40), 상기 감지부(30)로부터 도어의 개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수단(40)으로 회전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50),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에 의해서 도어 하부 프레임(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발판부재(60), 그리고 도어 하부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되는 안내수단(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지부(30)는 도어가 열리면 룸램프(미도시)를 점등시키고 도어가 닫히면 룸램프를 소등시키는 도어스위치로서, 도어(미도시)와 도어 프레임(미도시)이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감지부(30)는 종래의 도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도어의 개폐 정보를 상기 제어부(50)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정역회전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40)의 회전축(41) 단부에는 외주면에 치형(43)이 형성된 회전전달수단(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전달수단(42)의 치형은 후술하는 발판부재(60)와 치합결합되어 구동수단(40)의 회전운동을 발판부재(6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자동차를 제어하는 ECU등의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30)에서 입력된 도어 개폐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구동수단(40)에 대해서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도어가 개방되어 감지부(30)로부터 개방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발판부재(60)가 차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신호를 구동수단(40)으로 출력하게 되며, 도어가 닫혀진 경우에는 발판부재(60)를 상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신호를 구동수단(40)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발판부재(60)는 상부에 상기 구동수단(40)의 회전전달수단(42)의 치형(43)과 맞물리는 치형(62)이 형성된 평판형의 운동변환수단(6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운동변환수단(61)은 상기 구동수단(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상기 발판부재(60)는 또한 하부에 평판형의 발판(6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판(63)은 상기 운동변환수단(61)과 외측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고정결합된 지지부재(64)에 의해서 상기 운동변환수단(61)과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운동변환수단(61)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이와 지지부재(64)를 매개로 고정결합된 발판(63)이 차체 하부 프레임(10)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차체 하부 프레임 내측으로 수납된다.
상기 안내수단(70)은, 상부는 차체의 하부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으며 발판부재(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양측에 안내슬롯(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슬롯(71)에는 상기 발판부재(60) 중 운동변환수단(61)의 양단(65)이 삽입되어 걸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운동변환수단(61)은 상기 안내슬롯(71)을 따라 측면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있지만 상하방향으로는 안내슬롯(71)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수단(70)은 상기 발판부재(60)의 직선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발판부재(60)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안내슬롯(71)에서, 상기 운동변환수단(61)의 양단(65)이 맞닿아 이동하는 부분에 볼, 롤러와 같은 구름수단(미도시)을 내재시켜 상기 발판부재(60)의 직선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있다.
상기 살펴본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은, 도어의 개폐 작동과 연동하여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또는 수납되는 작용을 가진다. 먼저,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감지부(30)가 이를 감지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50)는 발판부재(60)가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신호를 구동수단(40)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40)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수단(40)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전달수단(42)과 맞물려 있는 발판부재(60)의 운동변환수단(61)이 회전전달수단(4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운동변환수단(61)과 이에 고정결합된 발판(63)이 차체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객이 발판(63)을 용이하게 밟고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내수단(70)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슬롯(71)은 상기 운동변환수단(61)의 직선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도어가 닫혀질 경우에는 제어부(50)에서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구동수단(4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발판(63)이 차체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또한, 상기 발판(63)은 구동수단(4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판(63)과 도어 하부 프레임(10)과의 거리(D)를 가능한 멀리할 수 있어 승객이 발판(63)을 밟을 경우 도어 하부 프레임(1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에는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도어가 닫혀진 경우에는 차체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가 지나가면서 부딪칠 염려가 없다. 또한, 차체와 발판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 탑승시 차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스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의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하부 프레임 30 : 감지부
40 : 구동수단 42 : 회전전달수단
50 : 제어부 60 : 발판부재
61 : 운동변환수단 63 : 발판
64 : 지지부재 70 : 안내부재

Claims (2)

  1. 도어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어 승객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정역회전하며, 회전축 단부에 회전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감지부로부터 도어의 개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수단에 회전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회전전달수단과 맞물려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운동변환수단과 결합되어 운동변환수단의 직선운동에 따라 도어 하부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발판을 구비하는 발판부재; 그리고
    상기 발판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 하부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발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안내수단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양 단부는 상기 안내슬롯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사이드 스텝.
KR1020030081384A 2003-11-18 2003-11-18 이동식 사이드 스텝 Ceased KR20050047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84A KR20050047637A (ko) 2003-11-18 2003-11-18 이동식 사이드 스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384A KR20050047637A (ko) 2003-11-18 2003-11-18 이동식 사이드 스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637A true KR20050047637A (ko) 2005-05-23

Family

ID=3724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384A Ceased KR20050047637A (ko) 2003-11-18 2003-11-18 이동식 사이드 스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76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1476A (zh) * 2011-11-14 2013-05-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图形光投影的乘客保护装置及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01476A (zh) * 2011-11-14 2013-05-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图形光投影的乘客保护装置及其方法
KR101354231B1 (ko) * 2011-11-14 201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관 조명을 이용한 탑승자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US9308860B2 (en) 2011-11-14 2016-04-12 Hyundai Motor Company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using graphic light projection and method thereof
CN103101476B (zh) * 2011-11-14 2017-03-0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使用图形光投影的乘客保护装置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94075A (ja) 門駆動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門駆動装置
CN103303112B (zh) 车辆天窗装置
JP2007321365A (ja) 自動車用ドアの開動作規制装置
US20080202031A1 (en) Force Transmission Element, Window Lifter and Motor Vehicle Door with a Window Lifter
EP1412276B1 (en) Rail system for a stairlift with movable end section
KR20050047637A (ko) 이동식 사이드 스텝
JP2001003638A (ja) 車両用電動スライドドア装置
ITTO20001094A0 (it) Meccanismo di apertura per la porta laterale scorrevole di un autoveicolo.
KR101709440B1 (ko) 이동체 구동 장치
JP200527161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194154B2 (ja) モータバイクなどの風防の調節装置
GB0009792D0 (en) Vehicle door drive system
JP2013087511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KR100413507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07204982A (ja) ドア駆動装置
JP3846713B2 (ja) ドア開閉制御装置および方法
CA1217218A (en) Lifter apparatus for pivotal-sliding roof panel assembly
EP1276950B1 (en) Coreless motor door closure system
KR200342758Y1 (ko)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0391117Y1 (ko) 개폐와이어와 모터를 이용한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개폐구동 장치
JP2002166727A (ja) サンルーフ装置
DE10342972A1 (de) 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2003253958A (ja) 開戸の自動開閉装置
KR20140042173A (ko)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JP200527161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