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4243A -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 Google Patents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243A
KR20050044243A KR1020040016770A KR20040016770A KR20050044243A KR 20050044243 A KR20050044243 A KR 20050044243A KR 1020040016770 A KR1020040016770 A KR 1020040016770A KR 20040016770 A KR20040016770 A KR 20040016770A KR 20050044243 A KR20050044243 A KR 2005004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needle
barrel
collection device
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Original Assignee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쳉 슈이, 밍 밍 후앙, 필립 쉬 filed Critical 밍 쳉 슈이
Publication of KR2005004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24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33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41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 A61B5/150656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semi-automatically triggered, i.e. in which the triggering of the protective sleeve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ex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13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9Hollow piercing elements, e.g. canulas, needle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94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 A61B5/150717Procedure for removing protection means at the time of piercing manually remov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32Needle holders, for instance for holding the needle by the hub, used for example with double-ended needle and pre-evacuate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61B5/150916Preventing re-use by blocking components, e.g. piston, driving device or fluid passage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vein or arterial en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가 제공된다. 이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는, 배럴(2)의 후방 대직경 벽 부분(229)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내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착대(3)와, 채집병(5)의 마개(51)를 찌르도록 캐뉼라 장착대(3) 안의 수용 챔버(31) 내로 연장되는 후방 바늘부(411) 및 바늘 허브(40)에 의해 캐뉼라 장착대(3)에 고정되는 전방 바늘부(413)를 구비하는 양두 바늘형 캐뉼라(41)를 포함한다. 캐뉼라 장착대(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바늘부(413)는 배럴(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사용 위치가 되고, 캐뉼라 장착대(3)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바늘부(413)는 배럴(2)의 내측 후방으로 후퇴하여 처리 위치가 된다. 대직경 벽 부분(229)에 형성된 유지용 구멍(231)과, 상기 구멍(231)에 결합 가능하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용 페그(33, 632)가 해제 가능 유지 부재에 포함된다. 캐뉼라 장착대(3)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페그(33, 632)를 구멍(231)으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34, 6)가 작동 가능하다.

Description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CANNULA RETRACTABLE MEDICAL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한 처리를 위해 배럴 내로 후퇴될 수 있는 캐뉼라를 가지며 혈액 샘플 채집용의 채집병(collection vial)과 함께 사용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미국 특허 제 5,810,775 호에 개시된 캡 조작형 후퇴식 의료 장치(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캡 조작형 후퇴식 의료 장치(1)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한 힌지 결합 캡(16)을 구비한 외측 본체(11)를 포함한다. 외측 본체(11) 내부에는 가동 부재(12) 전체가 장착되어 있다. 가동 부재(12)의 전방 단부(121)에는 후퇴체(13)가 전방 단부(121)와의 마찰 간섭을 통해, 외측 본체(11)에 형성된 꼭지(112)에 인접하여 전방 단부(121)가 외측 본체와 마찰 정합되도록 유지되어 있다. 후퇴체(13)에는 양두 바늘형 캐뉼라(14)(double-ended needle cannula)가 실장되어 있다. 후퇴체(13)와 꼭지(112) 사이에는 편향 스프링(15)이 압축되어 있다.
사용 시, 양두 바늘형 캐뉼라(14)의 전방 바늘 끝단(142)이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다. 종래의 고무 마개형 채집병(도시되지 않음)이 외측 본체(11)의 후방 개방부(111)를 통해 외측 본체(11) 내로 삽입된다. 고무 마개형 채집병 안에 혈액 샘플을 채집하기 위해, 양두 바늘형 캐뉼라(14)의 후방 바늘 끝단(141)이 채집병의 고무 마개에 구멍을 내면서 고무 덮개(17)를 관통하도록, 고무 마개형 채집병이 전방으로 가압된다. 이어서 채집병이 장치(1)로부터 제거되는데, 이 때 고무 덮개(17)가 혈액의 추가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그 후, 캡(16)이 가동 부재(12)의 후방 개방 단부(122)와 맞물리도록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가동 부재(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퇴체(13)와 양두 바늘형 캐뉼라(14)의 후퇴가 시작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 후 양두 바늘형 캐뉼라(14)의 후퇴가 가능하지만, 아래와 같은 문제점도 발생한다.
1. 채집병의 직경이 가동 부재(1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여 사용 중에 채집병이 흔들리기 쉬운데, 이로 인해 환자의 고통이 초래될 수 있다.
2. 운반 중, 혈액 채집 전 및 채집 중에서처럼 양두 바늘형 캐뉼라(14)가 후퇴하기 전에는, 양두 바늘형 캐뉼라(14)가 불시에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16)이 개방 위치에 유지되어야만 하는데, 이로 인해 장치(1)의 보관과 운반이 불편할 수 있다.
3. 양두 바늘형 캐뉼라(14) 내의 혈액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해 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정맥에 약물을 투여하거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뽑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가 사용된다. 도 3에 종래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9)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허브형 단부(911)를 구비한 관형 바늘 받침대(91), 허브형 단부(911)에 고정되어 있는 바늘형 캐뉼라(92), 바늘 받침대(91)에 끼워지는 카테터 허브(93) 및 카테터 허브(93)에 고정되는 가요성 관형 카테터(94)를 포함한다. 사용시, 건강 관리사가 카테터(94)의 외부로 돌출한 바늘형 캐뉼라(92)의 날카로운 첨단으로 환자의 정맥을 관통시킴으로써, 카테터(94)와 바늘형 캐뉼라(92)가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다. 건강 관리사는 그 후에 한 손으로 카테터(94)에서 바늘형 캐뉼라(92)를 뽑아내면서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는 환자의 피부에 압력을 가하여, 환자의 정맥에 카테터(94)를 남긴다. 이어서, 환자의 정맥 내로 약물을 투여하거나 혈액을 뽑기 위해 약물이 든 투약 부재(도시되지 않음) 또는 빈 배럴이 카테터 허브(93)에 연결된다. 이 때, 건강 관리사는 사용된 바늘형 캐뉼라(92)와 바늘 받침대(91)를 근처의 트레이(도시되지 않음)에 두어야만 하므로, 사용된 바늘형 캐뉼라(92)의 노출된 날카로운 첨단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카테터 허브(93)를 투약 부재나 빈 배럴에 연결시키는 중에 혈액이 오염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된 바늘형 캐뉼라를 한 손으로 후퇴시키는 조작이 용이한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맥 주사를 주사하기 위한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와 그 사이에 개재되어 양 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배럴 주위 벽을 구비하는 배럴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 주위 벽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에 각각 근접하는 전방 소직경 벽 부분과 후방 대직경 벽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 주위 벽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에 연통된 통로를 규정하는 배럴 내측 벽면과,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배럴 내측 벽과 대향하는 배럴 외측 벽면을 갖는다.
캐뉼라 장착대가 후방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통로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전방 소직경 벽 부분과 상기 후방 개방 단부에 각각 근접한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후방 대직경 벽 부분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상기 캐뉼라 장착대는, 상기 축을 둘러싸는 스커트 부분으로서 채집병의 전방 병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를 내부에 한정하는 스커트 부분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커트 부분에 대향하는 상호 결합 부분을 갖는 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상호 결합 부분은,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호 결합 부분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축 방향 통로를 규정한다.
바늘형 캐뉼라는, 전방 및 후방 바늘 테이퍼 단부를 각각 갖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바늘부와 후방 바늘부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바늘부는, 상기 후방 바늘 테이퍼 단부로 하여금 상기 채집병의 전방 병 단부 상의 천공 가능 마개를 찌를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축 방향 통로를 통해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된다.
상기 전방 바늘부가 상기 후방 바늘부와 유체 연통되도록, 그리고 상기 캐뉼라 장착대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전방 바늘부가 상기 전방 개방 단부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 준비 상태인 사용 위치에 있도록, 또 상기 캐뉼라 장착대가 상기 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전방 바늘부가 상기 전방 개방 단부의 내측 후방으로 후퇴하여 처리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전방 바늘부를 상기 상호 결합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바늘 허브가 배치된다.
상기 캐뉼라 장착대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럴에 대한 상기 캐뉼라 장착대의 축 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해제 가능 유지 부재가 배치되는데, 이 해제 가능 유지 부재는 유지용 구멍과 결합용 페그를 구비한다. 상기 유지용 구멍은 상기 대직경 벽 부분의 배럴 외측 벽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럴 내측 벽면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결합용 페그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캐뉼라 장착대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대직경 벽 부분과 상기 스커트 부분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지용 구멍 내에 결합 가능하다.
상기 캐뉼라 장착대의 후방 위치로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유지용 구멍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페그를 결합 해제시킬 수 있도록 외부 조작이 가능한 액츄에이터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데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는 배럴(2), 캐뉼라 장착대(3) 및 바늘 조립체(4)를 포함한다.
배럴(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연결시키는 배럴 주위 벽(22)을 갖는다. 배럴 주위 벽(2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에 각각 근접한 전방 소직경 벽 부분(225)과 후방 대직경 벽 부분(229)을 포함한다. 배럴 주위 벽(22)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는 배럴 내측 벽면(221)으로서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연통된 통로(21)를 규정하는 배럴 내측 벽면(221)과,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에 대향하는 배럴 외측 벽면(222)을 갖는다.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외측 벽면(222)에 형성되어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용 구멍(231)이 해제 가능 유지 부재에 포함된다. 대직경 벽 부분(229)은, 배럴 외측 벽면(222)으로부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확장되어 후방 유지 단부(232)에서 종결하는 길다란 미끄럼홈(23)을 갖는다. 이 길다란 미끄럼홈(23)은, 유지용 구멍(231)의 바로 뒤와 후방 유지 단부(232)의 바로 앞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갖는다.
캐뉼라 장착대(3)는 후방 개방 단부(223)로부터 통로(21) 내로 삽입되며, 소직경 벽 부분(225)과 후방 개방 단부(223)에 각각 근접한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축을 따라 후방 대직경 벽 부분(229)에 대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다. 캐뉼라 장착대(3)는, 스커트 부분(324) 및 길이 방향으로 스커트 부분(324)에 대향하는 상호 결합 부분(322)을 갖는 쉘 부재(32)를 포함한다. 스커트 부분(324)은 상기 축을 둘러싸며 후방 삽입 단부(321)와 함께 그 내부에 수용 챔버(31)를 한정하는데, 후방 삽입 단부(321)로부터 이 수용 챔버(31) 내로 채집병(5)의 전방 병 단부(52)가 삽입된다. 상호 결합 부분(322)은 그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 챔버(31)와 연통하는 축 방향 통로(325)를 규정한다.
해제 가능 유지 부재는, 스커트 부분(324) 상에 배치되어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용 페그(33)(engaging peg)로서 배럴 외측 벽면(22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전위 단부(shifted end)에서 종결하는 결합용 페그(33)를 더 포함한다. 캐뉼라 장착대(3)가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까지 미끄럼 운동할 때, 결합용 페그(33)는 길다란 미끄럼홈(23)을 따라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 후방 유지 단부(232)까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대직경 벽 부분(229)과 스커트 부분(324)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도록 결합용 페그(33)가 유지용 구멍(231) 또는 후방 유지 단부(232)에 결합 가능하다.
캐뉼라 장착대(3)가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 배치될 때, 배럴(2)에 대한 캐뉼라 장착대(3)의 축 방향 이동은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의해 구속된다. 결합용 페그(33)가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하나를 통과하도록 강제되고 나면, 유지용 구멍(231)과 후방 유지 단부(232)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스냅 끼워맞춤을 통해 결합용 페그(33)의 이동이 구속되어, 캐뉼라 장착대(3)가 전방 및 후방 위치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정치된다. 대직경 벽 부분(229)은 후방 유지 단부(232)로부터 후방 개방 단부(223)까지 연장되는 분할부(27)(spli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길다란 미끄럼홈(23)에 반경 방향을 따라 향상된 가요성을 부여함으로써,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통과하는 결합용 페그(33)의 강제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또 분할부(27)를 통해 결합용 페그(33)의 길다란 미끄럼홈(23)내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확대형 액츄에이터(34)가 결합용 페그(33)의 전위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배럴 외측 벽면(222)에 대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그 외부에 배치된다. 이 확대형 액츄에이터(34)는 결합용 페그(33)가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 결합 해제 가능하도록 외부 조작될 수 있으며, 이로써 캐뉼라 장착대(3)가 길다란 미끄럼홈(23)을 따라 후방 위치까지 축 방향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늘 조립체(4)는 바늘 허브(40), 양두 바늘형 캐뉼라(41), 고무 외장(42) 및 첨단 보호구(45)를 포함한다.
바늘 허브(40)는 캐뉼라 장착대(3)와 일체로 형성되며 소직경 벽 부분(225) 내에 한정되는데, 상기 소직경 벽 부분(225)은, 전방 개방 단부(224)로부터 바늘 허브(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의료용 장치가 피부 및 피하 혈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럴 내측 벽면(221)이 대직경 벽 부분(229)으로부터 전방 개방 단부(224)를 향해 점진적으로 수렴하고 있다. 바늘 허브(40)는, 축을 따라 관통하여 연장되고 캐뉼라 장착대(3)의 상호 결합 부분(322) 내의 축 방향 통로(325)와 유체 연통된 캐뉼라 보유 통로(401)를 갖는다.
양두 바늘형 캐뉼라(41)는 상기 캐뉼라 보유 통로(401)를 관통하며, 전방 및 후방 바늘부(413, 411)를 포함한다. 이 전방 및 후방 바늘부(413, 411)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 전방 및 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4, 412)를 갖는다. 후방 바늘부(411)는 축을 따라 축 방향 통로(325)를 통해 수용 챔버(31)내로 연장된다. 고무 외장(42)은 상호 결합 부분(322)과 밀봉 결합하고 후방 바늘부(411)를 감싼다. 첨단 보호구(45)는 소직경 벽 부분(225)의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 끼워지며, 소직경 벽 부분(225) 상의 리브 부분(226)에 마찰 정합되어 전방 바늘부(413)의 보호를 보장한다.
사용시, 본 실시예의 채집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전방 바늘부(413)는 즉시 사용되도록 전방 개방 단부(224)의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 위치에 놓여지고, 결합용 페그(33)는 유지용 구멍(231) 내에 유지되어 캐뉼라 장착대(3)를 전방 위치에 구속시킨다. 첨단 보호구(45)가 제거된 후에, 고무 외장(42) 내로 혈액이 흘러 들어올 수 있도록 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4)가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서 채집병(5)이 수용 챔버(31) 내로 삽입되어, 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2)가 채집병(5)의 전방 병 단부(52)를 덮고 있는 천공 가능 마개(51)를 찌르고 고무 외장(42)을 관통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가압됨으로써, 혈액 샘플이 채집병(5)에 채집될 수 있다.
혈액 채집 종료 후에 혈액 채집병(5)이 채집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집 장치를 잡고 있는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결합용 페그(33)를 길다란 미끄럼홈(2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뉼라 장착대(3)가 후방 위치까지 옮겨지도록 액츄에이터(34)가 조작된다. 결과적으로, 안전한 처리를 위해 전방 바늘부(413)가 전방 개방 단부(224)의 내측 후방으로 후퇴하여 처리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대직경 벽 부분(229)에서 후방 개방 단부(223)에 인접한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는 단부 마개(28)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 마개(28)는, 축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281)와, 축을 따라 채집병(5)과의 마찰 결합에 의해 채집병(5)을 유지시키도록 서로 각변위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부(281) 내로 연장되는 다수의 변형 가능 돌기부(282)를 갖는다. 따라서, 바늘형 캐뉼라(41)가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기 전에 채집병(5)이 채집 장치 내로 삽입되어 변형 가능 돌기부(282)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채집병의 조작이 편리해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늘 허브(40)가 전방 및 후방 통로부(4013, 4011)와 확대형 상호 결합 부분(402)을 포함하는 캐뉼라 보유 통로(401)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구조 면에서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전방 및 후방 통로부(4013, 4011)는 2개의 독립된 부품으로 형성되어 바늘형 캐뉼라(41)의 전방 및 후방 바늘부(413, 411)를 각각 수용한다. 또한, 확대형 상호 결합 부분(402)은 전방 및 후방 통로부(4013, 4011)를 서로 연결시키며, 사용자로 하여금 바늘형 캐뉼라(41)가 환자의 정맥에 적절히 삽입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를 통과해 흐르는 혈액이 보이도록 투광성을 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와 구조 면에서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액츄에이터(6)가 레버 형태로 형성된 방아쇠 부재(63)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방아쇠 부재(63)는 배럴 외측 벽면(222)에 끼워진 C 형상 클립(62)을 통해 받침점(631)에서 피봇 가능하게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 장착된다. 방아쇠 부재(63)는 무게단(635)과 동력단(633)을 구비한다. 무게단(635)은 결합용 페그(6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동력단(633)은 받침점(631)에 대해 무게단(635)의 반대쪽에 배치되는데, 이것을 작동시키면 결합용 페그(632)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통로(2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므로 캐뉼라 장착대(3)가 해제된다.
또한,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면(221)은 소직경 벽 부분(225)에 인접하여 형성된 환형 쇼울더(227)를 갖는다. 캐뉼라 장착대(3)의 스커트 부분(324)은 환형 플랜지(323)를 갖는다. 이 환형 플랜지(323)는 스커트 부분(324)과의 사이에 스커트 부분(324) 외측으로 편향 부재 수납 공간을 규정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환형 쇼울더(227)와 대면하여 후방 삽입 단부(321)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61)과 같은 편향 부재가 편향 부재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데, 이것은 캐뉼라 장착대(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캐뉼라 장착대(3)에 의해 코일 스프링(61)이 압축되도록 쇼울더(227) 및 플랜지(323)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 단부(612, 611)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61)이 제공되기 때문에, 동력단(633)이 손가락에 눌려 결합용 페그(632)를 반경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캐뉼라 장착대(30)가 후방 위치까지 이동되어 바늘형 캐뉼라(41)를 처리 위치로 옮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변형적으로 해제 가능 유지 부재는, 2개의 결합용 페그(632)를 수용하기 위해 대직경 벽 부분(229)에 형성된 2개의 유지용 구멍(231)과, C 형상 클립(62)을 통해 외측 배럴 벽면(222)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형태의 2개의 방아쇠 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방아쇠 부재(63)의 동력단(633)은 동시에 상칭적으로 눌릴 수 있어 바늘형 캐뉼라(41)의 부드러운 후퇴를 실행함으로써 바늘형 캐뉼라(41)의 후퇴 중의 요동을 방지하여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킨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와 구조 면에서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용 구멍(231)은, 길이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길다란 미끄럼홈(23)으로부터 각각 가깝고 먼 연결용 근단부(241)(connecting proximate end)와 유지용 원단부(242)(retaining distal end)를 포함한다. 연결용 근단부(241)와 유지용 원단부(242) 사이에는 전방 수축 영역(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용 페그(33)는 유지용 원단부(242)에 결합되어 캐뉼라 장착대(3)를 전방 위치에 구속시킨다. 바늘형 캐뉼라(41)의 후퇴 시에는, 캐뉼라 장착대(3)가 미끄럼홈(2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용 페그(33)를 유지용 원단부(242)로부터 연결용 근단부(241)까지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34)가 조작된다. 또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 장착대(3)를 후방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코일 스프링(61)이 제공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와 구조 면에서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캐뉼라 장착대(3)의 스커트 부분(324)과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면(221)이 각각 환형 플랜지(36)와 환형 에지(220)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환형 플랜지(36)와 환형 에지(220)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 및 대면하여 양자 사이에 스커트 부분(324) 외측으로 편향 부재 수용 공간을 규정한다. 편향 부재 수용 공간에는 코일 스프링(7)이 수용되는데, 이 코일 스프링(7)은, 캐뉼라 장착대(3)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캐뉼라 장착대(3)에 의해 코일 스프링(7)이 인장되도록, 플랜지(36)와 에지(220)에 각각 고정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 단부(71, 72)를 갖는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이전의 실시예와 구조 면에서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및 제 7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4)는 카테터 허브(431)와 관형 카테터(432)를 구비하는 탈착 가능 카테터 장치(43)를 포함한다. 카테터 허브(431)는 내부에 덕트(433)를 규정하며, 소직경 벽 부분(225)의 전방 슬리브 영역(228)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 슬리브 부분(435)과, 축을 따라 상기 슬리브 부분(435)에 대향하는 첨단 부분(436)을 포함한다. 관형 카테터(432)는, 첨단 부분(436) 내에 배치되고 축을 따라 연장되어 덕트(433)와 유체 연통된 근위부(437)(proximate segment)와, 상기 근위부(437)로부터 축을 따라 연장되어 첨단 부분(436) 외부로 돌출하는 원위부(438)(distal segment)를 갖는다. 바늘형 캐뉼라(41)의 전방 바늘부(413)는 관형 카테터(432)의 원위부(438)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4)를 갖도록 관형 카테터(432)를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전술된 방식으로 혈액 채집이 종료된 후에 카테터 장치(43)로부터 바늘형 캐뉼라(41)가 제거되면서 전방 슬리브 영역(228)이 카테터 허브(431)로부터 분리될 때, 관형 카테터(432)의 원위부(438)는 환자의 정맥에 남게 되어 후속 정맥 주사 주입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서, 캐뉼라 보유 통로(401)는 도 10에 도시된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확대형 투광성 연결 부분(402)을 바늘 허브(40) 내에 가져 이를 통과해 흐르는 혈액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면, 이전의 실시예와 구조 면에서 유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및 제 9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차이점은, 바늘 허브(40)의 슬리브 부분(404)이 축을 따라 전방 개방 단부(224)를 통해 캐뉼라 장착대(3)의 상호 결합 부분(322)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게, 내경이 확대된 전방 개방 단부(224)를 갖도록 소직경 벽 부분(225)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슬리브 부분(404)은 이를 통과해 흐르는 혈액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띈다. 바늘 허브(40)는 보유 부분(405)을 더 포함한다. 이 보유 부분(405)은 축을 따라 슬리브 부분(404)에 대향하고, 바늘형 캐뉼라(41)의 전방 바늘부(413)를 보유하기 위한 전방 통로부(4013)를 갖는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바늘 허브(40)는 상이한 규격의 전방 바늘부(413)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서, 바늘 조립체(4)는 탈착 가능한 카테터 장치(43)를 더 포함한다. 이 카테터 장치(43)는, 구조 면에서 도 18의 바람직한 제 18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카테터 허브(431) 및 관형 카테터(432)를 구비한다. 카테터 허브(431)는 바늘 허브(40)의 보유 부분(405) 상에 끼워지는 슬리브 부분(435)을 갖는다. 따라서, 탈착 가능 카테터 장치(43)와, 하나의 기능 유닛으로서 전방 바늘부(413)와 고정된 탈착 가능 바늘 허브(40)를 조합하면, 다양한 임상 적용을 위해 상이한 카테터 규격을 갖는 탈착 가능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는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1. 작업 중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배럴(2)을 잡고 그 손의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터(34, 6)를 조작하여, 전방 바늘부(413)가 처리 위치로 옮겨지도록 캐뉼라 장착대(3)를 후방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수행이 편리하고 안전하다.
2. 변형 가능 돌기부(282)가 제공되기 때문에, 채집병(5)이 배럴(2)에 대해 지탱될 수 있어, 바늘형 캐뉼라(41)가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기 전에 채집병(5)이 채집 장치 내로 삽입되어 변형 가능 돌기부(282)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채집병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3. 캐뉼라 장착대(3)는 다양한 규격의 바늘 조립체(4)에 연결되기에 적합하다.
4. 관형 카테터(432)가 혈액 채집 종료 직후의 정맥 주사를 위해 환자의 정맥에 남아 있게 되도록, 카테터 장치(43)는 배럴(2)의 소직경 벽 부분(225) 또는 바늘 허브(40)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바늘형 캐뉼라(41)는 배럴(2)과 바늘 조립체(4)가 카테터 장치(43)로부터 제거된 후에 잡고 있는 손을 사용하여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정맥에 관형 카테터(432)를 삽입하는 것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5. 바늘 허브(40)의 확대형 연결 부분(402)은 이를 통과해 흐르는 혈액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띄기 때문에, 바늘형 캐뉼라(41)가 환자의 정맥에 적절히 삽입되었는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하다 여겨지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가장 넓은 해석의 진의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조 및 이와 동등한 구조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한 손 조작이 가능하고 정맥 주사용 카테터와 함께 사용하기에 편리한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사용 준비 위치에 있는 종래의 의료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캡이 이동된 후의 종래의 의료용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정맥 주사용 카테터 삽입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사용 준비 상태에 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사용 중에 채집병이 배럴 내에 수납된 상태에 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바늘형 캐뉼라가 배럴 내로 후퇴된 상태에 있는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배럴에 단부 마개가 더 제공된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부 마개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후퇴 상태에 있는 바늘형 캐뉼라를 도시하는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추가적인 방아쇠 부재가 배럴에 제공된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후퇴 상태에 있는 바늘형 캐뉼라를 도시하는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후퇴 상태에 있는 바늘형 캐뉼라를 도시하는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따른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배럴 3 : 캐뉼라 장착대
5 : 채집병 23 : 길다란 미끄럼홈
33 : 결합용 페그 34 : 액추에이터
40 : 바늘 허브 41 : 양두 바늘형 캐뉼라(41)
413 : 전방 바늘부 411 : 후방 바늘부

Claims (17)

  1. 전방 병 단부(52)와, 전방 병 단부(52) 상에 배치되어 전방 병 단부(52)를 덮는 천공 가능 마개(51)를 갖는 혈액 샘플 채집용 채집병(5)과 함께 사용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연결시키는 배럴 주위 벽(22)을 구비하는 배럴(2)로서, 상기 배럴 주위 벽(2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에 각각 근접하는 전방 소직경 벽 부분(225)과 후방 대직경 벽 부분(229)을 가지고, 상기 배럴 주위 벽(22)은, 길이 방향 축을 둘러싸 상기 전방 및 후방 개방 단부(224, 223)와 연통된 통로(21)를 규정하는 배럴 내측 벽면(221)과, 상기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에 대향하는 배럴 외측 벽면(222)을 가지는, 배럴(2)과,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로부터 상기 통로(2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소직경 벽 부분(225)과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에 각각 근접한 전방 및 후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축을 따라 상기 후방 대직경 벽 부분(229)에 대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 캐뉼라 장착대(3)로서, 상기 캐뉼라 장착대(3)는, 상기 축을 둘러싸 채집병(5)의 전방 병 단부(5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챔버(31)를 내부에 한정하는 스커트 부분(324)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커트 부분(324)에 대향하는 상호 결합 부분(322)을 갖는 셀 부재(32)를 구비하며, 상기 상호 결합 부분(322)은, 상기 수용 챔버(31)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호 결합 부분(322)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축 방향 통로(325)를 규정하는, 캐뉼라 장착대(3)와,
    전방 및 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4, 412)를 각각 갖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방 바늘부(413)와 후방 바늘부(411)를 구비하는 양두 바늘형 캐뉼라(41)(double-ended needle cannula)로서, 상기 후방 바늘부(411)는, 상기 채집병(5)의 전방 병 단부(52)가 상기 수용 챔버(31) 내에 수용될 때 상기 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2)로 하여금 상기 천공 가능 마개(51)를 찌를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축 방향 통로(325)를 통해 상기 수용 챔버(31) 내로 연장되는, 양두 바늘형 캐뉼라(41)와,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전방 바늘부(413)가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 준비 상태인 사용 위치에 있도록, 또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후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전방 바늘부(413)가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의 내측 후방으로 후퇴하여 처리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전방 바늘부(413)를 상기 상호 결합 부분(322)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바늘 허브(40)와,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럴(2)에 대한 상기 캐뉼라 장착대(3)의 축 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배치되는 해제 가능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가능 유지 부재는,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외측 벽면(222)에 형성되고,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유지용 구멍(231)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결합용 페그(33, 632)로서, 상기 전방 위치에서 상기 캐뉼라 장착대(3)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과 상기 스커트 부분(324) 사이의 상호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지용 구멍(231) 내에 결합 가능한 결합용 페그(33, 632)와,
    상기 캐뉼라 장착대(3)의 상기 후방 위치로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의 상기 결합용 페그(33, 632)의 결합 해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며 외부에서의 조작이 가능한 액츄에이터(34, 6)를 구비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은,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으로부터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을 관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 상기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으로 확장되어 상기 후방 유지 단부(232)에서 종결하는 길다란 미끄럼홈(23)을 가지고,
    상기 결합용 페그(33)는, 상기 스커트 부분(324) 상에 배치되어 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전위 단부(shifted end)에서 종결하고,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까지 미끄럼 운동할 때에 상기 길다란 미끄럼홈(23)을 따라 상기 유지용 구멍(231)으로부터 상기 후방 유지 단부(232)까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34)는,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전위 단부(shifted end)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에 대해 미끄럼 운동 가능한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용 구멍(231)의 바로 뒤와 상기 후방 유지 단부(232)의 바로 앞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을 상기 길다란 미끄럼홈(23)이 가짐으로써, 상기 결합용 페그(33)가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축 영역(24, 25) 중의 하나를 통과하도록 강제되고 나면 상기 유지용 구멍(231)과 상기 후방 유지 단부(232)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스냅 끼워맞춤을 통해 상기 결합용 페그(33)의 이동이 구속되어,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전방 및 후방 위치 중의 대응하는 하나에 정치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은 상기 길다란 미끄럼홈(23)의 후방 유지 단부(232)로부터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까지 연장된 분할부(27)(split)를 더 갖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상기 길다란 미끄럼홈(23)으로부터 각각 가깝고 먼 연결용 근단부(241)(connecting proximate end)와 유지용 원단부(242)(retaining distal end)를 유지용 구멍(231)이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용 페그(33)는 상기 유지용 원단부(242)에 결합되어 상기 캐뉼라 장착대(3)를 전방 위치에 구속시킬 수 있고, 상기 결합용 페그(33)를 상기 유지용 원단부(242)로부터 상기 연결용 근단부(241)까지 회전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34)가 조작되면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길다란 미끄럼홈(23)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부분(324)과 상기 배럴 내측 벽면(2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캐뉼라 장착대(3)를 상기 후방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되는 편향 부재(61, 7)를 더 포함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면(221)과 상기 스커트 부분(324)은 환형 쇼울더(227)와 플랜지(323)를 각각 가지며,
    상기 환형 쇼울더(227)와 플랜지(323)는 서로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대면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편향 부재 수용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편향 부재(61)는 코일 스프링(61)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61)은,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뉼라 장착대(3)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61)이 압축되도록, 상기 쇼울더(227)와 상기 플랜지(323)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 단부(612, 611)를 갖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부분(324)과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면(221)은 환형 플랜지(36)와 에지(220)를 각각 가지며,
    상기 환형 플랜지(36)와 에지(220)는 서로 대향하여 길이 방향으로 대면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편향 부재 수용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편향 부재(7)는 코일 스프링(7)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7)은,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상기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뉼라 장착대(3)에 의해 상기 코일 스프링(61)이 인장되도록, 상기 환형 플랜지(36)와 상기 에지(220)에 대해 각각 접촉하는 전방 및 후방 스프링 단부(71, 72)를 갖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6)는 받침점(631)에서 피봇 가능하게 상기 배럴 외측 벽면(222) 상에 장착된 방아쇠 부재(63)를 구비하고,
    상기 방아쇠 부재(63)는 무게단(635)과 동력단(633)을 가지며, 상기 무게단(635)은 상기 결합용 페그(6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동력단(633)은 상기 받침점(631)에 대해 상기 무게단(635)의 반대쪽에 배치되는데, 상기 동력단(633)을 작동시키면 상기 결합용 페그(632)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로(2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므로 상기 캐뉼라 장착대(3)가 해제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바늘부(413, 411)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40)는,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축 방향 통로(325)와 유체 연통된 캐뉼라 보유 통로(401)를 구비하며,
    상기 캐뉼라 보유 통로(401)는, 상기 전방 및 후방 바늘부(413, 411)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전방 및 후방 통로부(4013, 4011)와, 상기 전방 및 후방 통로부(4013, 4011)를 서로 연결시키고 이를 통과해 흐르는 혈액이 보이도록 투광성을 띄는 연결 부분(402)을 가지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개방 단부(223)에 근접하여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의 배럴 내측 벽면(221)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변형 가능 돌기부(282)로서, 상기 축을 따른 마찰 결합에 의해 상기 채집병(5)을 유지시키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변형 가능 돌기부(282)를 더 포함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덕트(433)를 규정하는 카테터 허브(431)로서, 상기 소직경 벽 부분(225)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 슬리브 부분(435)과,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슬리브 부분(435)에 대향하는 첨단 부분(436)을 구비하는 카테터 허브(431)와,
    상기 첨단 부분(436) 내에 배치되고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덕트(433)와 유체 연통된 근위부(437)(proximate segment)와, 상기 근위부(437)로부터 축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첨단부(436) 외부로 돌출하는 원위부(438)(distal segment)를 구비하는 관형 카테터(432)로서, 상기 바늘형 캐뉼라(41)의 전방 바늘부(413)는 상기 관형 카테터(432)의 원위부(438)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4)를 갖도록 상기 관형 카테터(432)를 통해 연장되는, 관형 카테터(432)를 더 포함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40)는 슬리브 부분(404)과 보유 부분(405)을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 부분(404)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배럴(2)의 전방 개방 단부(224)로부터 상기 상호 결합 부분(322)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고, 또 이를 통과해 흐르는 혈액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띄며,
    상기 보유 부분(405)은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슬리브 부분(404)에 대향하고, 상기 바늘형 캐뉼라(41)의 전방 바늘부(413)를 보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내부에 덕트(433)를 규정하는 카테터 허브(431)로서, 상기 바늘 허브(40)의 보유 부분(405) 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진 슬리브 부분(435)과,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슬리브 부분(435)에 대향하는 첨단 부분(436)을 구비하는 카테터 허브(431)와,
    상기 첨단 부분(436) 내에 배치되고 상기 축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덕트(433)와 유체 연통된 근위부(437)(proximate segment)와, 상기 근위부(437)로부터 축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첨단부(436) 외부로 돌출하는 원위부(438)(distal segment)를 구비하는 관형 카테터(432)로서, 상기 바늘형 캐뉼라(41)의 전방 바늘부(413)는 상기 관형 카테터(432)의 원위부(438)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방 바늘 테이퍼 단부(414)를 갖도록 상기 관형 카테터(432)를 통해 연장되는, 관형 카테터(432)를 더 포함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장착대(3)는 상기 바늘 허브(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 벽 부분(225)의 배럴 내측 벽면(221)은 상기 대직경 벽 부분(229)으로부터 상기 전방 개방 단부(224)를 향해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KR1020040016770A 2003-11-07 2004-03-12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Abandoned KR200500442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131220A TWI238070B (en) 2003-11-07 2003-11-07 Medical appliances
TW000 2003-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243A true KR20050044243A (ko) 2005-05-12

Family

ID=3454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770A Abandoned KR20050044243A (ko) 2003-11-07 2004-03-12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204813B2 (ko)
JP (1) JP2005137888A (ko)
KR (1) KR20050044243A (ko)
AU (2) AU2004202203B2 (ko)
CA (2) CA2468213C (ko)
TW (1) TWI2380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5053A1 (en) * 2003-07-16 2005-01-20 Baktech Corp. Safety catheter
FR2867081B1 (fr) * 2004-03-02 2006-05-26 Vygon Dispositif a organe de securite coulissant pour la mise en place d'une canule dans une veine
AU2006264300B2 (en) 2005-07-06 2012-03-08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ATE489989T1 (de) 2007-05-07 2010-12-15 Vascular Pathways Inc Einführung eines intravenösen katheters und blutentnahmevorrichtung und anwendungsverfahren
US8323251B2 (en) 2008-01-14 2012-12-04 Fenwal, Inc. Phlebotomy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US20090187153A1 (en) * 2008-01-14 2009-07-23 West Richard L Winged needle assembly and frangible cover
MY163591A (en) 2009-11-12 2017-09-29 Braun Melsungen Ag Iv-catheter insertion device
KR20120101170A (ko) * 2010-01-07 2012-09-12 토마스 제이. 쇼 인입식 니들을 가지는 혈액 채취 장치
US10384039B2 (en) 2010-05-14 2019-08-20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top-mounted advancement components
US9950139B2 (en) 2010-05-14 2018-04-24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including guidewire and catheter control elements
US9872971B2 (en) 2010-05-14 2018-01-23 C. R. Bard, Inc. Guidewire extension system for a catheter placement device
US8932258B2 (en) 2010-05-14 2015-01-13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and method
US11925779B2 (en) 2010-05-14 2024-03-12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top-mounted advancement components
US8690833B2 (en) 2011-01-31 2014-04-08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and insertion device with reduced blood spatter
ES2835652T3 (es) 2011-02-25 2021-06-22 Bard Inc C R Dispositivo de inserción de componente médico que incluye una aguja retraíble
USD903101S1 (en) 2011-05-13 2020-11-24 C. R. Bard, Inc. Catheter
EP2586480A1 (en) * 2011-10-31 2013-05-01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hub and disposal device for single-use needle assemblies
MX2011013382A (es) * 2011-12-12 2013-06-20 Equipos Medicos Vizcarra S A Cateter de seguridad intravenoso periferico con sistema de puncion rapida e indolora.
KR101227062B1 (ko) * 2012-06-26 2013-02-06 (주)엠큐어 피부 시술장치용 카테터
CN103143080B (zh) * 2013-01-11 2016-05-11 英属维尔京群岛圣采科技投资有限公司 安全静脉留置针
WO2014120741A1 (en) 2013-01-30 2014-08-07 Vascular Pathway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nipuncture and catheter placement
US9586027B2 (en) 2013-05-07 2017-03-07 Medline Industries, Inc. Retractable needle catheter insertion device
EP3185772B1 (en) * 2014-08-26 2019-10-09 Velano Vascular, Inc. Apparatu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US10232146B2 (en) 2014-09-05 2019-03-19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including retractable needle
USD903100S1 (en) 2015-05-01 2020-11-24 C. R. Bard, Inc. Catheter placement device
CN113350614A (zh) 2015-05-15 2021-09-07 C·R·巴德股份有限公司 包括可延伸的针安全部件的导管放置装置
CN109715093B (zh) 2016-09-12 2020-11-06 C·R·巴德股份有限公司 导管插入装置的血液控制
EP3585471B1 (en) 2017-03-01 2025-01-01 C. R. Bard,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EP4364779A3 (en) 2018-03-07 2024-07-31 Bard Access Systems, Inc. Guidewire advancement and blood flashback systems for a medical device insertion system
US20210236737A1 (en) * 2018-04-26 2021-08-05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ressure sensitive needle positioning devices,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USD921884S1 (en) 2018-07-27 2021-06-08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CN112386778B (zh) 2019-08-19 2025-02-28 贝克顿·迪金森公司 中线导管放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5477C2 (de) * 1985-10-04 1996-05-02 Stihl Maschf Andreas Motorkettensäge oder ähnliche handgeführte Antriebsmaschine
DK587687A (da) 1987-11-10 1989-05-11 Stig Eric Weibel Blodudtagnings- og injektionsaggregat
US4892107A (en) * 1988-01-05 1990-01-09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 Single use, safety blood collection device
US4846808A (en) 1988-02-16 1989-07-1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Safety syringe having a needle to be retracted and canted within a protective sleeve
US4947863A (en) * 1988-08-30 1990-08-14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Energy-dissipating, safety blood collection tube holder
DK515688D0 (da) 1988-09-16 1988-09-16 Tina Moeller Noergaard Blodproeveudstyr
US5030209A (en) * 1988-11-09 1991-07-09 Medical Safety Products, Inc. Holder for double ended blood collection retractable needle
US5120311A (en) * 1989-11-01 1992-06-09 Medical Safety Products, Inc. Blood collection tube holder
US5070885A (en) * 1990-06-11 1991-12-10 Care Medical Devices, Inc.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DK91991D0 (da) 1991-05-15 1991-05-15 Stig Eric Weibel Blodproevetagningsredskab
US5321359A (en) * 1993-03-29 1994-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Selective imaging among three or more chemical species
KR960015616B1 (ko) * 1993-05-27 1996-11-18 송경진 가역성 1회용 혈관 수지침
US5709669A (en) 1994-03-29 1998-01-20 Haining; Michael L. Blood drawing device
JPH08257018A (ja) * 1995-03-22 1996-10-08 Nissho Corp 採血用アダプタ
US5562103A (en) * 1995-04-04 1996-10-08 Sak; Robert F. Phlebotomy system having retractable needle cannula
WO1997005912A2 (en) 1995-08-03 1997-02-20 Fh Faulding & Co. Limited Retractable venipuncture catheter needle and receptacle
GB9605206D0 (en) * 1996-03-12 1996-05-15 Boc Group Plc Medical devices
US6077244A (en) * 1998-04-30 2000-06-20 Mdc Investment Holdings, Inc. Catheter insertion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6547762B1 (en) * 1999-05-13 2003-04-15 Mdc Investment Holdings, Inc. Retractable needle medical device
US5997507A (en) * 1998-08-07 1999-12-07 Dysarz; Edward D. Biased spring hard needle retractable IV catheter
US6325781B1 (en) * 1998-10-20 2001-12-04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Puncturing device
JP2001245981A (ja) * 2000-03-08 2001-09-11 Mitsubishi Pencil Co Ltd 安全留置針
IL139802A0 (en) 2000-11-21 2002-02-10 Serpomed Ltd Catheter insertion apparatus
AU2002247239A1 (en) * 2001-02-28 2002-09-12 Futura Medical Technologies, Inc. Safety-sheathed phlebotomy needle holder
US6663592B2 (en) * 2001-09-06 2003-12-16 Medex, Inc. Catheter introducer assembly having safety shielded nee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8070B (en) 2005-08-21
US7204813B2 (en) 2007-04-17
AU2004202203A1 (en) 2005-05-26
AU2004203878B2 (en) 2006-06-01
JP2005137888A (ja) 2005-06-02
AU2004203878A1 (en) 2005-05-26
US20050101914A1 (en) 2005-05-12
US7044935B2 (en) 2006-05-16
CA2478131C (en) 2009-02-10
TW200515929A (en) 2005-05-16
CA2468213C (en) 2008-08-05
US20050101881A1 (en) 2005-05-12
CA2478131A1 (en) 2005-05-07
CA2468213A1 (en) 2005-05-07
AU2004202203B2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4243A (ko) 캐뉼라 후퇴식 의료용 채집 장치
JP6571852B2 (ja) 受動的安全静脈内血液採取カテーテル
US11103170B2 (en) Flash activated passive shielding needle assembly
US8308685B2 (en) Fluid collection device with captured retractable needle
US9320459B2 (en) Gravity-drop safety holder
US6761704B2 (en) Safety blood collection needle assembly
US6626868B1 (en) Needle apparatus
JP5686897B2 (ja) 皮膚センサを備えた受動遮蔽針アセンブリ
US20050215951A1 (en) Retracting needle safety device
US20030125677A1 (en) Medical needle assemblies
JP2003534878A (ja) 傾いた状態で収納される針を有する液体採取装置
US6755804B2 (en) Needle holder for use with safety needle assembly
US20110009873A1 (en) Iv infusion system device having retractable need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6096229B2 (ja) 針アセンブリの作動方法
CN100369641C (zh) 医疗用具
EP1570784A1 (en) Cannula retractable medical collection device
EP2039385A1 (en) Disposable syringe guarded in a preuse position (I)
AU6320299A (en) A need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