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40734A - 차량용 후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734A
KR20050040734A KR1020040085594A KR20040085594A KR20050040734A KR 20050040734 A KR20050040734 A KR 20050040734A KR 1020040085594 A KR1020040085594 A KR 1020040085594A KR 20040085594 A KR20040085594 A KR 20040085594A KR 20050040734 A KR20050040734 A KR 2005004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ehicle
flange
vehicle body
oute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948B1 (ko
Inventor
이토가츠요시
이케다고키
모리카와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4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후드(10)의 후드 아웃터 패널(12)에는, 단차부(16)가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의 아래쪽이 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후드 이너 패널(14)의 골조부(18)와 골조부(20)를 연결하는 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는,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에 따라 만곡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고,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 와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는, 접착제(32)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구조{HOOD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용 후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용 후드구조에 있어서는, 단차부에 의하여 구획된 볼록측 평면부와 오목측 평면부를 가지는 후드 아웃터 패널의 이면에 후드 이너 패널을 설치하고, 후드 아웃터 패널과 후드 이너 패널 사이에, 후드 이너 패널에 지지되고, 볼록측 평면부의 단차부 근방을 이면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후드의 이동거리가 소정의 크기가 되면 찌그러짐 변형을 일으켜 원하는 반력을 일으키는 충격흡수체를 설치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80873호 공보참조).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8-80873호 공보의 차량용 후드구조에서는 후드 아웃터 패널과 후드 이너 패널과의 사이에 충격흡수체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부품점수의 증가, 중량의 증가, 조립비용의 증가, 생산성의 악화를 피할 수 없다. 또 충돌시에 충격흡수체에 찌그러지고 남음이 생기고, 그 찌그러지고 남음부분은 에너지흡수 스트로크로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에너지흡수 스트로크가 작아지고, 후드의 아래쪽에 엔진 등의 내장물이 있어,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좋게 에너지를 흡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에너지흡수 효율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흡수체를 따로 설치하는 일 없이, 한정된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너지흡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후드의 차체 바깥쪽부를 구성하는 후드 아웃터 패널과 후드의 차체 안쪽부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후드구조로서, 상기 후드 아웃터 패널에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차부와, 상기 후드 이너 패널에 차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골조부와, 상기 단차부의 아래쪽이 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골조부의 인접하는 골조부를 연결하는 플랜지를 가진다.
따라서, 후드 아웃터 패널에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차부의 아래쪽이되는 부위에 있어서, 후드 이너 패널에 차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골조부의 인접하는 골조부를 플랜지에 의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단차부가 후드 아웃터 패널과 후드 이너 패널과의 상하 2중 구조가 된다. 이 결과, 후드의 비틀림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후드 아웃터 패널의 단차부 근방에 충돌체가 충돌하였을 때에 후드 아웃터 패널이 차체 아래쪽측으로 반전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충격흡수체를 따로 설치하는 일 없이, 충돌체에 작용하는 가속도의 1차 피크값을 올려, 충격흡수체가 없는 만큼 찌그러지고 남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이 좋은 에너지흡수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차체 전후방향에서 본 단면형상이 직선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 1 형태의 내용에 더하여, 플랜지는 차체 전후방향에서 본 단면형상이 직선이기 때문에, 충돌체가 충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플랜지에 있어서의 반전 변형의 잉여선 길이가 없다. 이 결과, 충돌후 즉시 플랜지에 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1차 피크값을 재빠르게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각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 면강성을 향상하는 보강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한 각 형태의 내용에 더하여 보강수단에 의해 플랜지의 면강성이 향상된다. 이 결과, 충돌체가 충돌하였을 때에 플랜지의 반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골조부에 응력이 전파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1차 피크값을 더욱 올릴 수 있음과 동시에 후드 자체의 강성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량용 후드구조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 UP은 차체 위쪽방향을 나타내고, 도면 중 화살표 FR은 차체 앞쪽방향을 나타내고, 도면 중 화살표 IN은 차폭 안쪽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후드(10)는 후드(10)의 차체 바깥쪽면을 구성하는 후드 아웃터 패널(12)과,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안쪽(이면측)에 설치되어 후드(10)의 차체 안쪽부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14)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차폭방향 양쪽 끝 근방에는 단차부(릴리프)(16)가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16)는 차체앞쪽 차폭방향 안쪽으로부터 차체 뒤쪽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이너 패널(14)에 있어서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로서의 전단 가장자리부(14A), 후단 가장자리부(14B), 좌우의 차폭방향 바깥쪽 선부(14C, 14D)를 제외하는 중앙영역(14E)에는 차폭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골조부(18)가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이너 패널(14)의 차폭방향 바깥쪽 선부(14C, 14D)의 차폭방향 안쪽부에도 각각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서 골조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인접하는 골조부(18)의 사이에는, 노치(21)가 형성되어 있고, 노치(21)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접착제 도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차폭방향 양쪽 끝부(12A)는 후드 이너 패널(14)의 차폭방향 양쪽 끝부(14F)에 헤밍결합되어 있다.
또, 후드 이너 패널(14)의 골조부(20)는, 차체 아래쪽으로 팽창되어 있고, 골조부(20)에 있어서의 바닥부(20A)의 상면측에는 후드 힌지의 리인포스먼트(2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후드 이너 패널(14)의 중앙영역(14E)에 형성된 골조부(18)는, 차체 아래쪽으로 팽창되어 있고,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의 아래쪽이 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골조부(18)와 골조부(20)를 연결하는 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다.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는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에 따라 만곡되어 연장 설치되어 있고,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와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는, 후드 이너 패널(14)의 접착제 도포부(22)에 도포된 접착제(32)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또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의 아래쪽에는 엔진 등의 엔진룸 내장물(3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하였으나, 후드 이너 패널(14)의 차폭방향 바깥쪽 선부(14C)에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후드 이너 패널(14)의 차폭방향 바깥쪽 선부(14D)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의 아래쪽이 되는 부위에 있어서는, 골조부(18)와 골조부(20)를 연결하는 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고, 후드 아웃터 패널(12)과 후드 이너 패널(14)과의 상하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결과, 후드(10)의 비틀림강성이 향상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에 충돌체(K)가 충돌한 경우에는,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가 차체 아래쪽측으로 반전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돌체(K)의 스트로크(S)에 대한 가속도(G)의 변화[가속도 특성(G)]는,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플랜지(30)를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의 가속도 특성(G1)에 비하여 1차 피크값(P1)을 올릴 수 있어 충돌체(K)의 속도가 빠른 단계에서의 에너지흡수가 가능하게 되어 2차 피크값(P2)을 내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후드구조에서는 충격흡수체를 따로 설치하는 일 없이, 일정한 공간 내에서 효율이 좋은 에너지흡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후드 아웃터 패널(12)과 후드 이너 패널(14)과의 사이에 충격흡수체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증가, 중량의 증가, 조립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돌시에 충격흡수체의 찌그러지고 남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한정된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때문에, 효율좋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 후드 아웃터 패널(12)과 후드 이너 패널(14)과의 사이에 충격흡수체를 따로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후드(10)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 결과, 후드 이너 패널(14)과 후드 아래쪽의 엔진 등의 내장물(36)과의 거리(L)가 커져 내장물(36)과의 2차 충돌을 피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와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가 접착제(32)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10)의 장력 강성도 향상된다.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다른 여러가지의 실시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분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를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에 따라 만곡하여 연장 설치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를 차체 전후방향 에서 본 단면형상이 직선이 되도록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에 충돌체(K)가 충돌하였을 때에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에 발생하는 반전변형의 잉여의 선 길이가 없다. 이 결과, 충돌후 즉시 플랜지(30)에 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가속도 특성(G)에 비하여, 가속도의 1차 피크값(P1)을 재빠르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한정된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때문에, 효율좋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에 골조부(18)와 골조부(20)를 연결하는 면강성을 향상하는 보강수단으로서의 비드(50)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비드(50)에 의하여 플랜지(30)의 면강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충돌체(K)가 충돌하였을 때에 플랜지(30)의 반전이 더욱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골조부(18)와 골조부(20)에 응력이 전파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가속도 특성(G)에 비하여 가속도의 1차 피크값(P1)을 더욱 올릴 수 있음과 동시에 후드(10) 자체의 강성도 향상할 수 있다. 이 결과, 한정된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때문에, 효율좋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단차부(16)를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차폭방향 양쪽 끝 근방에 차체 앞쪽 차폭방향 안쪽으로부터 차체 뒤쪽 차폭방향 바깥쪽을 따라 형성하였으나, 단차부(16)를 후드 아웃터 패널(12)의 다른 부위에 형성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차량용 후드구조는 적용 가능하다.
또, 후드 이너 패널(14)의 플랜지(30)에 경량화를 위한 구멍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충격 흡수체를 따로 설치하는 일 없이, 한정된 공간밖에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너지흡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도 3의 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후드구조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후드구조를 나타내는 차체 아래 쪽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후드구조의 후드 아웃터 패널을 나타내는 차체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차량용 후드구조에 있어서의 충돌체의 스트로크와 가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후드구조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후드구조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후드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차체 경사 바깥쪽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Claims (7)

  1. 후드(10)의 차체 바깥쪽부를 구성하는 후드 아웃터 패널(12)과, 후드(10)의 차체 안쪽부를 구성하는 후드 이너 패널(14)을 구비한 차량용 후드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 아웃터 패널(12)에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차부(16)와,
    상기 후드 이너 패널(14)에 차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골조부(18, 20)와,
    상기 단차부(16)의 아래쪽이 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골조부의 인접하는 골조부(18, 20)를 연결하는 플랜지(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0)는 차체 전후방향에서 본 단면형상이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0)에 면강성을 향상하는 보강수단(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수단(50)은,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16)는, 차체 앞쪽 차폭방향 안쪽으로부터 차체 뒤쪽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골조부(18, 20)의 사이에는, 노치(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0)는, 상기 단차부(16)를 따라 만곡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구조.
KR1020040085594A 2003-10-27 2004-10-26 차량용 후드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7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5731A JP4059187B2 (ja) 2003-10-27 2003-10-27 車両用フード構造
JPJP-P-2003-00365731 2003-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734A true KR20050040734A (ko) 2005-05-03
KR100676948B1 KR100676948B1 (ko) 2007-01-31

Family

ID=3442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5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76948B1 (ko) 2003-10-27 2004-10-26 차량용 후드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40673B2 (ko)
EP (1) EP1527984B1 (ko)
JP (1) JP4059187B2 (ko)
KR (1) KR100676948B1 (ko)
CN (2) CN1315684C (ko)
AU (1) AU2004222857B2 (ko)
DE (1) DE6020040117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176A (ja) * 2003-09-01 2005-03-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4059187B2 (ja) * 2003-10-27 2008-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4470607B2 (ja) * 2004-06-21 2010-06-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WO2007033145A2 (en) * 2005-09-12 2007-03-22 Durakon Industries, Inc. Tonneau cover
USD574763S1 (en) 2005-09-13 2008-08-12 Durakon Industries, Inc. Tonneau cover
FR2891236A1 (fr) * 2005-09-29 2007-03-30 Plastic Omnium Cie Capot de vehicule automobile destine a fermer un compartiment moteur contenant des pieces rigides
JP4961764B2 (ja) * 2006-02-10 2012-06-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エンジンフード構造
JP4719039B2 (ja) * 2006-03-15 2011-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用フード
JP4664874B2 (ja) * 2006-07-07 2011-04-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用フード
FR2907078B1 (fr) 2006-10-17 2009-01-16 Plastic Omnium Cie Capot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e corps creux
JP4200506B2 (ja) * 2006-10-27 2008-12-2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載部品の取付構造
FR2911842B1 (fr) * 2007-01-31 2009-08-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capot avant de vehicule
US8052198B2 (en) 2007-03-07 2011-11-08 Alcoa Inc. Pedestrian safe automotive hood having reinforcing foam
US7735908B2 (en) * 2007-07-24 2010-06-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hood with sandwich inner structure
US20090026807A1 (en) * 2007-07-24 2009-0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ergy-Absorbing Vehicle Hood Assembly with Cushion Inner Structure
US7635157B2 (en) * 2007-09-11 2009-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 INC Vehicle hood assembly with rippled cushion support
DE102007053171B4 (de) * 2007-11-08 2024-10-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torhaube für ein Kraftfahrzeug
FR2937609B1 (fr) * 2008-10-27 2012-12-21 Plastic Omnium Cie Doublure de capot de vehicule
DE202009017786U1 (de) * 2009-09-17 2010-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WO2011109718A2 (en) * 2010-03-05 2011-09-09 Shape Corp. Hood pedestrian energy absorber
FR2964923A1 (fr) * 2010-09-16 2012-03-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ncu pour minimiser un choc pieton
JP2012106653A (ja) * 2010-11-18 2012-06-07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ロントフード構造
JP5711942B2 (ja) * 2010-11-19 2015-05-0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5589794B2 (ja) * 2010-11-19 2014-09-1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フロントフード
US8424629B2 (en) 2011-03-09 2013-04-23 Shape Corp. Vehicle energy absorber for pedestrian's upper leg
US9248866B2 (en) 2014-06-13 2016-02-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ood assembly
US9381879B2 (en) * 2014-11-12 2016-07-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cal energy absorber
US9593517B2 (en) 2014-12-31 2017-03-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s having load-transferring hood hinge members
US9499209B1 (en) * 2015-07-15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olar-activated structure for revealing a hidden indicia within a body panel of a vehicle
US10092055B2 (en) 2016-01-06 2018-10-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cal energy absorber
US10246044B2 (en) 2016-02-12 2019-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assembly with deployable pedestrian protection
US10144457B2 (en) * 2016-03-31 2018-12-04 Kobe Steel, Ltd. Vehicle hood
JP6718726B2 (ja) * 2016-03-31 2020-07-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車両用フード
CN109501869A (zh) * 2018-10-23 2019-03-22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乘用车铝合金发动机罩
FR3128437A1 (fr) * 2021-10-25 2023-04-28 Psa Automobiles Sa Capot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doublure en forme d’arch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575A (ja) * 1983-12-08 1985-07-03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エンジンフ−ド構造
US5124191A (en) * 1991-03-11 1992-06-23 Aluminum Company Of America Structural panel
JPH05155355A (ja) * 1991-12-03 1993-06-22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フード構造
US5706908A (en) * 1994-04-18 1998-01-13 Nissan Motor Co., Ltd. Front upp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JP3329086B2 (ja) 1994-09-14 2002-09-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
JP3871744B2 (ja) * 1996-10-25 2007-0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合成樹脂製パネル
JP3531789B2 (ja) * 1998-05-13 2004-05-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ボンネット
DE19846192A1 (de) * 1998-10-07 2000-04-13 Volkswagen Ag Karosseriehaube, insbesondere Motorraumhaube eines Kraftfahrzeugs
DE59901135D1 (de) * 1999-10-21 2002-05-08 Ford Global Tech Inc Motorhaube für Kraftfahrzeuge zum Schutz von Fussgängern
JP2001122049A (ja) * 1999-10-26 2001-05-08 Kobe Steel Ltd 1kHz以下の周波数帯域の防音性に優れた輸送機用パネル構造体
KR100955550B1 (ko) * 2000-12-13 2010-04-3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차체 후드용 패널 구조체
JP3823834B2 (ja) * 2002-01-23 2006-09-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内部構造
ITMI20021042A1 (it) * 2002-05-16 2003-11-17 Adlev Srl Struttura di cofano per autovetture a caratteristiche migliorate di sicurezza
JP2004122973A (ja) * 2002-10-03 2004-04-22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フロントフード
JP4192602B2 (ja) * 2003-01-14 2008-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ード構造
JP2005053265A (ja) * 2003-08-06 2005-03-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4289072B2 (ja) * 2003-08-11 2009-07-0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フード構造
JP2005075163A (ja) * 2003-09-01 2005-03-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4053482B2 (ja) * 2003-09-01 2008-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05075176A (ja) * 2003-09-01 2005-03-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4422454B2 (ja) * 2003-09-22 2010-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4076487B2 (ja) * 2003-09-25 2008-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4053485B2 (ja) * 2003-09-25 2008-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05104274A (ja) * 2003-09-30 2005-04-2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4059187B2 (ja) * 2003-10-27 2008-03-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05145224A (ja) * 2003-11-14 2005-06-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4200907B2 (ja) * 2004-01-27 2008-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05239092A (ja) * 2004-02-27 2005-09-08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フード構造
JP4214929B2 (ja) * 2004-03-08 2009-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4470607B2 (ja) * 2004-06-21 2010-06-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1722T2 (de) 2009-01-29
EP1527984A2 (en) 2005-05-04
CN1315684C (zh) 2007-05-16
AU2004222857A1 (en) 2005-05-12
CN2744580Y (zh) 2005-12-07
EP1527984B1 (en) 2008-02-13
DE602004011722D1 (de) 2008-03-27
JP2005125989A (ja) 2005-05-19
US7140673B2 (en) 2006-11-28
AU2004222857B2 (en) 2007-02-22
CN1611407A (zh) 2005-05-04
KR100676948B1 (ko) 2007-01-31
EP1527984A3 (en) 2005-06-15
US20050088016A1 (en) 2005-04-28
JP4059187B2 (ja)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948B1 (ko) 차량용 후드구조
KR101097018B1 (ko) 측면 충돌 성능을 강화시킨 자동차용 도어
CN105882763B (zh) 车辆用前围板部结构
JP4872541B2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JP4407755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US7591501B2 (en) Hatchback door structure for vehicles
JP4076487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WO2018016173A1 (ja) 車体前部構造
JP2008254471A (ja)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JP2005145224A (ja) 車両用フード構造
US11242091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2012111268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CN108349547B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JP6164184B2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構造
JP4431161B2 (ja)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JP3632654B2 (ja) 車体前部構造
WO2019198751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113353019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JP3915434B2 (ja) 自動車用バンパー
WO2020149308A1 (ja) 自動車の側部構造及び自動車
CN113173139A (zh) 车辆的车身结构
WO2019198752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4003221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1836515B1 (ko) 차량의 카울 어셈블리
EP2428432B1 (en) Front side vehicle bod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