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28770A -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770A
KR20050028770A KR1020030065296A KR20030065296A KR20050028770A KR 20050028770 A KR20050028770 A KR 20050028770A KR 1020030065296 A KR1020030065296 A KR 1020030065296A KR 20030065296 A KR20030065296 A KR 20030065296A KR 20050028770 A KR20050028770 A KR 2005002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tray
speaker
vertical portion
fixed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8770A/ko
Publication of KR2005002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77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4Rea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키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후방 좌석에 설치되는 패키지 트레이 및 여기에 장착되는 후방 스피커에 따른 후방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키지 트레이의 강성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실내 후방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51)의 스피커(S) 장착 부분에서 그 전면의 수직부(53)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부와 사각형상의 공간부(1)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스피커(S)의 브라켓(54)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53)에 연결된 제1보강 판넬(2)과, 상기한 제1보강 판넬(2)의 저면 후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53)에 고정된 제2보강 판넬(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Reinforcing structure of package tra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패키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후방 좌석에 설치되는 패키지 트레이 및 여기에 장착되는 후방 스피커에 따른 후방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는 계기판등이 장착되는 대시 보드, 프론트 및 리어 시트, 후방 스피커등이 장착되는 패키지 트레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패키지 트레이는 통상적으로 차량 실내와 트렁크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무거운 하중을 올려놓거나 하지 않는 공간이기 때문에, 비교적 얇은 금속판 및 외부에 코팅된 직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패키지 트레이에는 후방 스피커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후방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된 쿼터 인너 판넬(50)과, 상기한 양측의 쿼터 인너 판넬(5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자동차의 후면을 후방 시트 높이에서 차폐하도록 판상 패키지 트레이(51)가 형성되며 스피커(S)가 장착되도록 토출공(52)이 패키지 트레이(5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패키지 트레이(51)의 전면은 대략 수직선상이 되도록 꺽인 부분인 수직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스피커(S)는 소정 형상의 브라켓(54)에 의해 패키지 트레이(51)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한 토출공(52)으로 스피커 음이 방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패키지 트레이를 비교적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한 스피커의 동작 시 스피커의 진동에 의해 패키지 트레이가 같이 진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동차의 후방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키지 트레이가 쿼터 인너 판넬과 결합되는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한 패키지 트레이의 진동 시 또는 차량 회전에 의한 비틀림 시 공진하면서 더 큰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키지 트레이의 강성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실내 후방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의 스피커 장착 부분에서 그 전면의 수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부와 사각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스피커의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에 연결된 제1보강 판넬과, 상기한 제1보강 판넬의 저면 후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에 고정된 제2보강 판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와 패키지 트레이과 쿼터 인너 판넬의 연결 부분에 설치된 보강 부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패키지 트레이(51)의 스피커(S) 장착 부분에서 그 전면의 수직부(53)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부(53)와 사각형상의 공간부(1)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스피커(S)의 브라켓(54)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53)에 연결된 제1보강 판넬(2)과, 상기한 제1보강 판넬(2)의 저면 후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53)에 고정된 제2보강 판넬(3)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패키지 트레이(51)의 수직부(53)와 제1, 2보강 판넬(2, 3)이 소정의 사각형 공간부(1)를 형성하면서 패키지 트레이(51)의 스피커(S) 부근 강성을 증대시키게 됨으로써, 상기한 스피커(S)에 의해 패키지 트레이(51)가 진동할 때 진동을 대폭 감소시키고 이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제1, 2보강 판넬(2, 3)은 패키지 트레이(51)의 수직,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패키지 트레이(51)에 수직, 수평으로 비틀림 응력 및 진동이 인가될 때 이를 적절하게 차단/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쿼터 인너 판넬(50)과 패키지 트레이(51)의 사이에 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공간을 형성하면서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보강 부재(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보강 부재(4)는 패키지 트레이(51)에 일단이 연결되고 저면이 리어 플로워(RF)에 연결되며 쿼터 인너 판넬(50)을 일정 공간을 두고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패키지 트레이(51)의 저면에 제1, 2보강 판넬(2, 3)을 부착하고, 쿼터 인너 판넬(50)측에 보강 부재(4)를 부착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한 주행중의 진동 및 비틀림 응력이 패키지 트레이(51)에 전달된다.
패키지 트레이(51)에 응력이 전달되면 패키지 트레이(51)가 변형되려고 하지만, 상기한 응력은 제1, 2보강 판넬(2, 3)로 인해 패키지 트레이(51)의 수직부(53)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에서 흡수 및 감쇄된다.
즉, 상기한 제1, 2보강 판넬(2, 3)과 패키지 트레이(51)의 수직부(53)가 사각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공간부(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패키지 트레이(51)의 강성이 대폭 향상되고, 이로 인해 패키지 트레이(51)에 인가되는 비틀림 응력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스피커(S)가 작동하게 되면 패키지 트레이(51)가 같이 진동하게 되면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진동도 제1, 2보강 판넬(2, 3)에 의해 감쇄됨과 아울러 공간부(1)에서 흡수 소멸된다.
공간부(1)에서 진동이 흡수 소멸되면 결과적으로 패키지 트레이(51)를 진동시키는 진동원이 감소된 것으로서, 패키지 트레이(51)에서 스피커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보강 부재(4)가 쿼터 인너 판넬(50)과 패키지 트레이(51)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보강 부재(4)를 통해 실질적으로 패키지 트레이(51)에 인가되는 비틀림 응력 및 진동이 분산되는 바, 패키지 트레이(51)의 변형 및 진동이 대폭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패키지 트레이에서 스피커가 장착되는 부분의 전면에 수직부와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제1, 2 보강 판넬을 부착하여 스피커에서 발생된 진동을 공간부등에서 흡수/감쇄시킴으로써, 차량 후방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패키지 트레이와 쿼터 인너 판넬을 보강 부재로 연결함으로써, 패키지 트레이의 비틀림 응력 및 진동을 분산시킴으로써, 패키지 트레이의 강성 향상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트레이와 리어 플로워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패키지 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패키지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간부 2: 제1보강 판넬
3: 제2보강 판넬 4: 보강 부재
51: 패키지 트레이 53: 수직부
S: 스피커

Claims (2)

  1.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패키지 트레이의 스피커 장착 부분에서 그 전면의 수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수직부와 사각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단이 스피커의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에 연결된 제1보강 판넬과, 상기한 제1보강 판넬의 저면 후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부에 고정된 제2보강 판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쿼터 인너 판넬과 패키지 트레이의 사이에 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공간을 형성하면서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보강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KR1020030065296A 2003-09-19 2003-09-19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Ceased KR20050028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296A KR20050028770A (ko) 2003-09-19 2003-09-19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296A KR20050028770A (ko) 2003-09-19 2003-09-19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770A true KR20050028770A (ko) 2005-03-23

Family

ID=3738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296A Ceased KR20050028770A (ko) 2003-09-19 2003-09-19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8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67B1 (ko) * 2007-10-15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진동 저감 패키지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67B1 (ko) * 2007-10-15 2008-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진동 저감 패키지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469B1 (ko)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JP3726283B2 (ja)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4019421B2 (ja) 自動車のフロアパネル構造
KR20050028770A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보강 구조
KR101124975B1 (ko) 차량용 카울 언더커버
KR20050014281A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US20190040930A1 (en) Noise vibration energy damping structure in vehicle
JP4019422B2 (ja) 自動車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2007309386A (ja) 車体構造部材の制振構造
JP3721579B2 (ja)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4403581B2 (ja) 自動車のスピーカ付きアッパーバック構造
JP3843903B2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及びこのフロア構造を有する自動車
JP3723977B2 (ja)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7347115B2 (ja) 車両カウル部構造
KR102213306B1 (ko) 변속기용 서포트 브라켓
CN110816666A (zh) 副车架
JP5149773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569991B1 (ko) 자동차의 프론트스트러트 장착부 보강구조
JP2012030640A (ja) 車両前部構造
JP3723976B2 (ja)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2024129290A (ja) 車両後部補強構造
JP3721580B2 (ja)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2022139479A (ja) 車両前部構造
KR100373912B1 (ko) 인스트루먼트패널 어셈블리의 취부구조
KR101491302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