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859A -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07859A KR20050007859A KR1020030047461A KR20030047461A KR20050007859A KR 20050007859 A KR20050007859 A KR 20050007859A KR 1020030047461 A KR1020030047461 A KR 1020030047461A KR 20030047461 A KR20030047461 A KR 20030047461A KR 20050007859 A KR20050007859 A KR 200500078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yin
- input
- chinese
- symbol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전자 장치는 중국어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표시하고, 원하는 문자의 첫 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창을 출력한다. 하나의 알파벳이 선택되면, 입력된 병음 기호가 단일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인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 다수의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이면, 하나의 선택된 알파벳의 첫 번째 병음 기호로 시작하는 문자들 중 두번째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원하는 문자가 입력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 1 및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 연이어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를 포함하는 제 3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세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병음 기호에 대응하는 중국어 문자를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 3 단계의 병음 입력 가이드를 위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소량의 키들을 이용함으로써, 중국어 입력을 위한 학습없이도 중국어 병음 기호를 이용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국어 병음 방식을 이용한 중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형의 디지털 전자 장치는 작은 크기 및 적은 수의 키패드들을 갖는 입력 장치를 구비함으로서 다양한 문자들을 키패드에 할당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를 할당함으로서 요구되는 키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예컨대, 휴대폰에 구비되는 키패드 상의 0 부터 9 까지의 숫자키들 각각에는 2 ~ 3 개의 영문 알파벳이 할당된다.
특히, 중국어는 영어나 한글 등과 같은 표음문자와 달리 표의문자로서, 문자의 개수가 수만 개에 달하기 때문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개인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소형의 디지털 전자 장치(또는 정보 처리 장치)의 키패드에 문자들을 일일이 할당하기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전자 장치에서의 중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방식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 발음을 영문으로 표현하여 입력하는 병음을 이용하는 입력 방법과, 한자를 자소 단위로 분리하고, 각 자소에 해당하는 자판을 조합하여 입력하는 방법, 필획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 그리고 성조를 이용한 입력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병음(pinyin)이란 영어에서의 발음 기호와 같이 중국어 발음을 영문자 표기로 바꾸어 중국어를 표현하기 위한 중국어 발음 기호이다. 예컨대, 병음은 총 21 개의 자음과 5 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자음 및 모음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여러 자음, 모음들과 결합하여 새로운 음을나타낸다.
중국은 1958년부터 '한어 병음 방안'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알파벳 자모를 차용하여 중국음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어 병음 방안은 자모표, 성모표, 운모표, 성조 부호, 격음 부호 등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떠한 한자음이라 하더라도 한어 병음 방안의 자모표에 제시된 26 개 부호로 표기할 수 있다.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한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었다.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한어 병음 방안에 따른 알파벳을 입력하는 것이다. 예컨대, 中의 병음은 zhong이고, 國의 병음은 guo이다.
한자 하나의 병음은 2 개 이상의 알파벳으로 구성되는데, 알파벳 입력 체계 또는 다양한 디지털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시간과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중국어 입력 방식들은 영문으로 발음을 표현하기 때문에 동일한 발음을 갖는 한자들이 너무 많아, 한 글자를 입력할 때마다 동일한 발음을 갖는 수많은 한자들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일일이 선택해 주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한자를 입력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다양한 입력 방법으로 인하여 입력 방법을 학습한 후에야 사용할 수 있으며, 한자 입력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터득하고 익숙히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자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그 구조가 복잡한 것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런 한자를 자소 단위로 분리하는 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하여 일반인들이 그규칙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자판당 여러 개의 자소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자판의 조합을 암기하고 적절하게 활용하기 또한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중국어를 원활히 입력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의 노력과 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소형의 전자 장치들을 이용하는 경우, 작은 크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하는 것은 더욱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전자 장치에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중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중국어 병음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어 병음을 이용하여 중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타입의 키패드 배열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입의 키패드 배열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키패드를 갖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국어 병음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병음 입력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입력 메뉴창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음 기호를 이용하여 중국어 입력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음 기호와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 입력을 보여주는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의 병음 입력 방법과 타사의 중국어 입력 방법 간의 빈도수와 평균타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병음 입력 방법과 타사의 중국어 입력 방법 간의 전체 타수 분포도를 나타내는 파형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병음 입력 방법과 타사의 중국어 입력 방법 간의 타수별 글자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폰 102 : 마이크로프로세서
104 : 램 106 : 롬
110 : 키패드 112 ~ 116 : 기능키
120 : LCD 패널 122 : 병음 입력 메뉴창
124 : 편집창 126 : 후보군 출력창
128 : 후보군 선택창 130 : 병음 기호 표시창
200 : PDA 210 : 소프트 키보드
300 : 휴대용 컴퓨터 310 : 병음 입력 장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는, 알파뱃이 할당된 다수의 키들과, 기능키들을 갖는 키패드와, 상기 할당된 알파벳들의 배열에 대응하여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계별 메뉴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병음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중국어 문자 및 단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전자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키패드로부터 병음 입력을 위한 상기 기능키들 중 모드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메뉴창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뉴창에 표시된 병음 기호에 대응하여 상기 키패드로부터 알파벳이 입력되면, 원하는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도록 상기 메뉴창들을 단계별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자 장치는 휴대폰, 개인 정보 단말기 및 휴대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및 단어를 포함하는 후보군들을 억세스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억세스된 문자 또는/및 단어를 포함하는 후보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는, 중국어 입력 상태에 따른 레지스터 정보와, 상기 입력 중인 문자 또는/및 단어를 임시로 저장하는 램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문자 및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롬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메뉴창은 중국어 병음 기호에 대응하여 최대 3 단계의 메뉴창으로 구비된다. 상기 단계별 메뉴창은, 중국어 병음 기호들 중 제 1 그룹의 병음 기호들을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과, 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 있는 병음 기호에 이어서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들을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및,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의 병음 기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다음 나올수 있는병음 기호들을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으로 구비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국어를 입력하는 편집창, 상기 입력된 글자 또는 단어에 대한 후보군들을 출력하는 후보군 출력창, 상기 후보군들에 대응되는 선택키들을 출력하는 후보선택 가이드창 및 병음 기호를 출력하는 병음/성조 표시창을 더욱 디스플레이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병음 기호 입력과 함께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 또는/및 단어를 입력하도록 더욱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은, 중국어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서 원하는 문자의 첫 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창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알파벳들 중 하나의 알파벳이 선택되면, 입력된 병음 기호가 단일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다수의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이면, 상기 하나의 선택된 알파벳의 첫 번째 병음 기호로 시작하는 문자들 중 두번째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두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원하는 문자가 입력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결과,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1 및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 연이어 나올수 있는병음 기호를 포함하는 제 3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세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병음 기호에 대응하는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문자들의 후보군을 나타내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가 포함되는 단어들의 후보군을 나타내고, 상기 후보군 단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문자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또는 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내지 상기 제 3 병음 입력 메뉴창에 의해서 중국어 병음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원하는 문자에 대응하여 최대 3 단계의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하는 중국어 문자를 메뉴창에 할당된 병음 기호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100)은 다수의 키들을 갖는 키패드(110a)와, 상기 키패드(110a)에 대응되는 병음 입력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패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110)는 영문 대소문자, 숫자, 중국어 간체자 및 중국어 병음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 선택키(116)와, 알파벳의 2 ~ 4 개가 그룹으로 할당된 0 ~ 9의 숫자키와, *, # 키 및 다수의 기능키(112 ~ 114) 및 방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LCD 패널(120)은 본 발명에 따라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병음 입력을 쉽게 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병음 입력 메뉴창(122)과, 중국어를 입력하는 편집창(124), 입력된 글자 또는 단어에 대한 후보군들을 출력하는 후보군 출력창(126), 후보군들에 대응되는 선택키들을 출력하는 후보선택 가이드창(128) 및 병음 기호를 출력하는 병음/성조 표시창(130)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100)의 키패드는 각각의 키들에 할당된 문자들의 배열에 따라 다양하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키패드(110a)는 2 부터 9 까지의 각각의 숫자키에 3 ~ 4 개의 알파벳들이 할당된다. 즉, 숫자키 2는 영문자 A, B 및 C, 숫자키 3은 D, E 및 F, 숫자키 4는 G, H 및 I, 숫자키 5는 J, K 및 L, 숫자키 6은 M, N 및 O, 숫자키 7은 P, Q, R 및 S, 숫자키 8은 T, U 및 V 그리고 숫자키 9에는 W, X, Y 및 Z가 할당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키패드(110b)는 1 부터 9 까지의 각각의 숫자키에는 2 개 내지 3 개의 알파벳들이 할당된다. 즉, 숫자키 1은 영문자 Q 및 Z, 숫자키 2는 A, B 및 C, 숫자키 3은 D, E 및 F, 숫자키 4는 G, H 및 I, 숫자키 5는 J, K 및 L, 숫자키 6은 M, N 및 O, 숫자키 7은 P, R 및 S, 숫자키 8은 T, U 및 V 그리고 숫자키 9는 W, X 및 Y가 할당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0a, 110b)는 영문자의 배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키패드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배열에 대응하여 병음 입력 메뉴(122)가 변형되는 것은 자명하다 하겠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단말기 및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 정보 단말기(200)는 중국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LCD 패널(220)에 디스플레이되는 신규한 소프트 키패드(210)를 갖는다.
상기 소프트 키패드(210) 및 상기 LCD 패널(220)은 각각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휴대폰(100)의 키패드(110a 또는 110b)와 LCD 패널(120)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중국어 병음을 입력하거나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컴퓨터(300)는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하며, 더불어 신규한 중국어 병음 입력 장치(310)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300)는 중국어 병음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창들(미도시됨) 즉, 중국어 병음 입력 메뉴창, 편집창, 후보군 출력창, 후보군 선택키 표시창 및 중국어 병음 기호 표시창들을 LCD 패널(304)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중국어 병음 입력 장치(310)는 키보드 장치(302)와는 별도로, 중국어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의 키패드(314)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300)의 인터페이스 장치(예컨대, USB, 시리얼 또는 PS2 인터페이스 장치 등)(312)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300)으로 중국어 병음을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중국어 병음 입력장치(310)는 휴대용 컴퓨터(100)가 제조사별, 모델별 종류에 따라 다양한 키보드의 키 배열을 가지므로, 중국어 병음 입력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전자 장치들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구비한다. 여기서는 이들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2)와, 메모리들(104, 140)과, 키패드(110)와, LCD 패널(120)을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1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키패드(110a 또는 110b)들로서, 다수의 기능키들과,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각각의 숫자키들에 2 ~ 4 개의 알파벳들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상기 휴대폰(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상기 모드 선택키(116)에 의해서 중국어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LCD 패널(120)로 중국어 병음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메뉴창들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상기 메모리들(104, 140)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의 제어를 받아서 데이터를 기입 및/또는 독출하는 램(104)과 롬(140)을 포함한다. 상기 램(104)은 편집중인 중국어 문자들, 입력 상태에 따른 레지스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롬(14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국어 병음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인 병음 입력 제어 프로그램(142) 및 후보군 문자 및 단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어 DB(1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상기 롬(140)에 저장된 병음 입력 제어 프로그램(142)의 처리 수순으로 중국어 병음을 입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이어서 입력하고자 하는 중국어 문자를 메뉴창에 할당된 병음 기호를 이용하여 입력하면, 입력된 병음 기호와 동일한 후보군의 문자 또는 단어들을 표시하고 원하는 문자 또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의 동작은 도 7의 흐름도 및 도 8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메뉴창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뉴창(122)은 본 발명에 따른 3 단계의 병음 기호를 나타내는 메뉴창들(122a ~ 122c)로 구성된다.
제 1 단계의 메뉴창(122a)은 병음 기호들 중 제 1 그룹의 병음 기호들을 포함하며, 이들 병음 기호들은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된다.
제 2 단계의 메뉴창(122b)은 제 1 단계의 메뉴창(122a)에 있는 병음 기호에 이어서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들을 포함하며, 이들 병음 기호들도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된다.
이어서 제 3 단계의 메뉴창(122c)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병음 기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다음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들을 포함하며, 이들 또한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자 장치에서의 중국어 병음 입력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가 수행하는 프로그램(142)으로, 이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단계 S400에서 상기 입력 모드 선택키(116)에 의해서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단계 S402에서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a)을 표시한다. 단계 S404에서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a)에서 원하는 문자의 첫 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창이 출력되고, 여기서 선택된 알파벳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된다. 이어서 단계 S406에서 입력된 병음 기호가 단일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인지를 판별한다. 즉, 입력된 병음 기호가 단일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이면 이 수순은 단계 S418으로 진행한다.
상기 판별 결과, 다수의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이면, 이 수순은 단계 S408으로 진행하여 하나의 선택된 알파벳의 첫 번째 병음 기호로 시작하는 문자들 중 두번째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b)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410에서 두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원하는 문자가 입력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입력이 완료되면, 이 수순은 단계 S418으로 진행하고,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이 수순은 단계 S414로 진행하여 제 3 단계의 병음 입력 메뉴창(122c)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416에서 세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단계 S418에서 입력된 병음 기호에 대응하는 문자들의 후보군을 나타내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문자가 포함되는 단어들의 후보군을 나타낸다. 이어서 단계 S420에서 후보군 단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편집창에 선택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병음 기호를 통하여 원하는 문자 또는 단어를 입력하게 된다. 단계 S422에서 계속해서 다른 문자 또는 단어를 입력하는지를 판별하고, 다른 병음 기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이 수순은 단계 S402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단계의 병음 입력 메뉴창(122a)을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은 최대 3 단계의 병음 기호 입력 메뉴창(122a ~ 122c)을 이용하여 병음 기호를 입력하도록 처리한다.
도 8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병음 입력 수순을 살펴본다. 도 8은 병음 기호 입력을 이용하여 '(nihao)'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9는 병음 기호 입력과 성조를 이용하여 '愛(ai)'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입력 모드 선택키로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LCD 패널 상에는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a)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숫자키 6을 선택하면 후보군 출력창(126)에 숫자키 6에 할당된 알파벳 'm', 'n', 'o'들 중 'n'이 선택된 상태(150)로 표시되고, 알파벳들에 대응되는 단축키를 나타내는 후보선택 가이드창(128)이 표시된다. 만약, 입력하고자 하는 병음 기호가 'n'이 아니고 다른 병음 기호이면, 후보선택 가이드창(128)에서 해당 병음 기호에 대응되는키를 선택하면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n'이 입력된 후,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b)이 디스플레이되고 이어서 'n' 다음에 오는 병음 기호 'i'를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키 4를 입력하면, '(ni)'를 포함하는 동일한 병기 기호의 문자들의 후보군과 이들에 대응되는 단축키들이 출력된다. 이 때, 확인키(152)를 입력하면 '(ni)'가 입력된다.
이와 동시에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ni)'가 포함된 단어들의 후보군과, 이들에 대응되는 단축키가 포함된 후보군 출력창(154)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결과,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nihao)'(156)를 선택하여 입력 완료한다. 이 경우에는 2 단계의 병음 입력 메뉴창을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였다. 물론 문자 또는 단어에 따라 1 단계, 2 단계 또는 3 단계로 병음 입력을 가이드하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9a를 참조하면, '愛(ai)'를 입력하기 위하여 먼저,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미도시됨)에서 숫자키 2를 입력하고, 숫자키 2에 할당된 알파벳 'a', 'b', 'c' 들 중 'a'에 대응되는 단축키 즉, 방향키 '<-'를 선택하여 병음 기호 'a'를 입력한다. 이 때,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b)이 디스플레이되고, 병음 기호 'a'와 동일하게 발음되는 문자가 후보군 출력창(126)에 나타난다.
도 9b를 참조하면, 병음 기호 'a'가 입력된 상태에서 성조 기능키(114)를 입력하면, LCD 패널(120)의 하단부에 성조 선택창(158)이 디스플레이되어 성조 선택모드로 변환된다.
또한,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122b)에서 병음 기호 'a'에 이어서 입력될 병음 기호 'i'를 입력하여도 '愛(ai)'가 입력된다. 즉, '愛(ai)'는 병음 기호를 두 단계 입력함으로써, 문자 입력이 완료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성조 선택 모드에서 숫자키 4를 입력하여 4 성을 선택하면, 후보군 출력창(126)에 병음 기호 'a'로 시작되고 4 성과 관련된 문자들의 후보군이 나타난다. 이 때,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愛(ai)'에 대응되는 단축키 즉, 방향키 '<-'를 입력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愛(ai)'가 입력된다. 이 때, 병음 입력 메뉴창(122)에는 제 1 단계의 병음 입력 메뉴창(122a)이 디스플레이되어 다음에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병음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愛(ai)'를 포함하는 단어들의 후보군이 LCD 패널(120) 하단부에 디스플레이되며, 이들 후보군에서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병음 기호와 성조를 함께 이용하는 것은 입력된 병음 기호와 동일한 발음의 후보군이 많을 경우에 후보군을 축소할 때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병음 입력 방법은 최대 3 단계의 병음 입력 메뉴창을 이용하여 병음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병음 기호 입력과 성조 선택 모드를 동시에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 및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병음 입력 방법과 다른 방식을 적용한 A, B 사에 대하여 중국어 문자 사용 빈도수 및 평균 타수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균 타수는 타사의 그것보다 약 30 % ~ 60 % 정도 줄어듬을 알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B 사의 전체 타수 분포도와, 글자 분포도를 비교하여도 본 발명에 의한 병음 입력 방법이 현저히 타수를 줄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 예들 및 그 유사한 구성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능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 입력 방법에 의하면, 최대 3 단계의 병음 입력 가이드를 위한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소량의 키들을 이용함으로써, 중국어 입력을 위한 학습없이도 중국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에 의하면, 숫자키에 할당된 알파벳에 대한 다양한 배열에 대응하여 입력 가능하며, 보다 적을 타수를 이용하여 중국어 병음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어 병음 입력시, 입력 속도를 증대시키며, 병음과 더불어 성조를 이용하여 입력 기능하다.
뿐만 아니라, 문자 또는 단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중국어 병음 입력시, 사용 빈도수가 높은 문자 또는 단어의 중국어 입력이 용이하다.
Claims (13)
-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에 있어서:알파뱃이 할당된 다수의 키들과, 기능키들을 갖는 키패드와;상기 할당된 알파벳들의 배열에 대응하여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계별 메뉴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병음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과, 중국어 문자 및 단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 및;상기 디지털 전자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키패드로부터 병음 입력을 위한 상기 기능키들 중 모드 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메뉴창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뉴창에 표시된 병음 기호에 대응하여 상기 키패드로부터 알파벳이 입력되면, 원하는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도록 상기 메뉴창들을 단계별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디지털 전자 장치는 휴대폰, 개인 정보 단말기 및 휴대용 컴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메모리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된 문자 또는/및 단어를 포함하는 후보군들을 억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억세스된 문자 또는/및 단어를 포함하는 후보군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상기 메모리 장치는;중국어 입력 상태에 따른 레지스터 정보와, 상기 입력 중인 문자 또는/및 단어를 임시로 저장하는 램과,상기 제어 프로그램과, 상기 문자 및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별 메뉴창은 중국어 병음 기호에 대응하여 최대 3 단계의 메뉴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별 메뉴창은,중국어 병음 기호들 중 제 1 그룹의 병음 기호들을 각각 숫자키 0 ~ 9 와,*, # 키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과,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 있는 병음 기호에 이어서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들을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및,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의 병음 기호가 연속적으로 입력된 다음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들을 각각 숫자키 0 ~ 9 와, *, # 키에 할당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국어를 입력하는 편집창, 상기 입력된 글자 또는 단어에 대한 후보군들을 출력하는 후보군 출력창, 상기 후보군들에 대응되는 선택키들을 출력하는 후보선택 가이드창 및 병음 기호를 출력하는 병음/성조 표시창을 더욱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병음 기호 입력과 함께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 또는/및 단어를 입력하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
-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에 있어서:중국어 병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표시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서 원하는 문자의 첫 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선택하기 위한 표시창을 출력하는 단계와;상기 알파벳들 중 하나의 알파벳이 선택되면, 입력된 병음 기호가 단일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상기 판별 결과, 다수의 병음 기호에 의한 문자이면, 상기 하나의 선택된 알파벳의 첫 번째 병음 기호로 시작하는 문자들 중 두번째 병음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상기 두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원하는 문자가 입력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상기 판별 결과,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1 및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에 연이어 나올수 있는 병음 기호를 포함하는 제 3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상기 세번째 병음 기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병음 기호에 대응하는 중국어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된 문자들의 후보군을 나타내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선택된 문자가 포함되는 단어들의 후보군을 나타내고, 상기 후보군 단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원하는 문자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2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또는 상기 제 1 단계 병음 입력 메뉴창 내지 상기 제 3 병음 입력 메뉴창에 의해서 중국어 병음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전자 장치의 중국어 병음 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7461A KR20050007859A (ko) | 2003-07-11 | 2003-07-11 |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
TW093119968A TW200517876A (en) | 2003-07-11 | 2004-07-02 | Digital electronic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Pinyin and Chinese Pinyi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
CN2004100623973A CN1607492B (zh) | 2003-07-11 | 2004-07-09 | 数字式电子设备及使用该设备的汉语拼音输入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47461A KR20050007859A (ko) | 2003-07-11 | 2003-07-11 |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07859A true KR20050007859A (ko) | 2005-01-21 |
Family
ID=3479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7461A KR20050007859A (ko) | 2003-07-11 | 2003-07-11 |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07859A (ko) |
CN (1) | CN1607492B (ko) |
TW (1) | TW200517876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0185B1 (ko) * | 2006-12-27 | 2009-12-07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사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및 문자입력방법 |
KR100942218B1 (ko) * | 2007-08-31 | 2010-02-11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
WO2014014329A1 (ko) * | 2012-07-20 | 2014-01-23 | 주식회사 참글 | 후보 단어 또는 후보 한자가 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
KR20190001895A (ko) | 2017-06-28 | 2019-01-07 |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KR102102876B1 (ko) * | 2018-10-26 | 2020-04-21 | 이경종 |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08558A (zh) * | 2011-11-25 | 2012-06-20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输入系统、终端和输入法 |
CN109189242A (zh) * | 2018-09-30 | 2019-01-11 | 天津市英贝特航天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ps2协议的键盘装置及工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94340A (zh) * | 1999-10-20 | 2001-05-09 | 英业达集团(西安)电子技术有限公司 | 中文词汇输入方法 |
CN1215397C (zh) * | 1999-11-12 | 2005-08-1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小键盘拼音汉字输入方法 |
CN1373434A (zh) * | 2001-03-05 | 2002-10-09 | 杨东宁 | 一种去多义性的文本输入系统 |
-
2003
- 2003-07-11 KR KR1020030047461A patent/KR200500078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
- 2004-07-02 TW TW093119968A patent/TW200517876A/zh unknown
- 2004-07-09 CN CN2004100623973A patent/CN160749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0185B1 (ko) * | 2006-12-27 | 2009-12-07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사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및 문자입력방법 |
US8199112B2 (en) | 2006-12-27 | 2012-06-12 | Casio Computer Co., Ltd. | Character input device |
KR100942218B1 (ko) * | 2007-08-31 | 2010-02-11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텍스트 명확화 환경에서 텍스트의 표음식 입력을 가능하게하고 개선된 검색창을 출력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및 관련방법 |
WO2014014329A1 (ko) * | 2012-07-20 | 2014-01-23 | 주식회사 참글 | 후보 단어 또는 후보 한자가 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
KR101400073B1 (ko) * | 2012-07-20 | 2014-05-28 | 주식회사 제이엠산업 | 후보 단어 또는 후보 한자가 제시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
KR20190001895A (ko) | 2017-06-28 | 2019-01-07 |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KR102102876B1 (ko) * | 2018-10-26 | 2020-04-21 | 이경종 |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07492B (zh) | 2010-05-26 |
TW200517876A (en) | 2005-06-01 |
CN1607492A (zh) | 2005-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5752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 |
US6231252B1 (en) | Character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keyboard | |
US7164367B2 (en) | Component-based, adaptive stroke-order system | |
JP2005078211A (ja) | 中国語入力プログラム | |
JPS6120004B2 (ko) | ||
JP2004523034A (ja) | 文字生成システム | |
KR20050007859A (ko) |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 |
WO200004386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 |
KR100469433B1 (ko) |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0702483B1 (ko) |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WO1990002992A1 (en) | Symbol definition apparatus | |
KR20020021182A (ko) | 성조 표현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2002297577A (ja) | 中国語入力変換処理装置、中国語入力変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CN1091896C (zh) | 二键式中文注音输入法 | |
KR100577675B1 (ko) | 한글 키패드 | |
US12061747B1 (en) | Keyboard with key position layout and input method thereof applied to electronic device | |
KR100450586B1 (ko) | 발음을 이용한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 |
JP4761234B2 (ja) | 携帯入力端末の入力方式 | |
KR20030089190A (ko) |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 |
GB2165677A (en) | Input/output method for computerized Chinese characters | |
CN118092683A (zh) |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形码全拼输入法 | |
CN118068966A (zh) | 基于88键大键盘的形码全拼输入法 | |
CN118259762A (zh) | 基于30键键盘的形码全拼输入法 | |
CN118226971A (zh) | 基于30键键盘的汉语拼音简拼或形码简拼输入法 | |
CN118068968A (zh) |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双拼输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