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0223A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223A
KR20050000223A KR1020030040827A KR20030040827A KR20050000223A KR 20050000223 A KR20050000223 A KR 20050000223A KR 1020030040827 A KR1020030040827 A KR 1020030040827A KR 20030040827 A KR20030040827 A KR 20030040827A KR 20050000223 A KR20050000223 A KR 2005000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mber
blade
scissors
cover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선
Original Assignee
박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선 filed Critical 박한선
Priority to KR102003004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0223A/ko
Publication of KR2005000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2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4Guards or sheaths for scissors, e.g. combined with manicur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한조의 제1,2회동부가 작동시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절단부재의 날부가 서로 걸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절단부재가 끼워진 날덮개가 몸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절단부재와 몸체가 결합되도록 하여 손잡이에 대한 절단부재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사용중 손잡이의 파손이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의 일면에 절단부재가 끼워진 날덮개를 결합하여 제 1회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회동부와 대향 교차되는 제2회동부가 핀에 의해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일정두께의 판체를 절곡하여 고정부와 날부가 형성되어지데,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일정부분 절개하여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단부재가 끼워지는 날덮개는 선단에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둘레에는 끼움턱을 형성하여, 상기 날덮개의 지지돌기가 절단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날부의 선단에 안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한조의 제1,2회동부가 작동시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절단부재의 날부가 서로 걸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절단부재가 끼워진 날덮개가 몸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절단부재와 몸체가 결합되도록 하여 손잡이에 대한 절단부재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사용중 손잡이의 파손이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엇갈려 있는 한조의 절단날을 이용하여 피절단물을 절단할때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구로서, 그 형태나 크기도 다양하며 사용분야 또한 일상생활에서 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위는 통상 금속체로 되는 한조의 절곡날의 끝단에 손잡이가 형성된몸체를 결합하여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손잡이에 손가락을 끼워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동작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것인바, 상기 가위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손잡이 부분이 헐거워지거나 파손되어 더이상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평판상의 절단날로 하여금 사용시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게 할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와 결합된 절단날을 절곡하고, 상기 절단날의 외부에는 덮개를 설치한 한조의 제1,2회동부를 구성하여 보강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날부와 접하는 면을 최소화시켜 안정성을 증가 시킨 가위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위는 사용중에 상기 제1,2회동부의 결합력이 약해져 들뜨게 되어 제1,2회동부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일이 빈번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동하게 되면 절곡된 한조의 날부가 서로 걸려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을 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강한 힘으로 걸린부분을 밀어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에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한조의 제1,2회동부가 작동시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절단부재의 날부가 서로 걸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절단부재가 끼워진 날덮개가 몸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절단부재와 몸체가 결합되도록 하여 손잡이에 대한 절단부재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사용중 손잡이의 파손이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의 일면에 절단부재가 끼워진 날덮개를 결합하여 제 1회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회동부와 대향 교차되는 제2회동부가 핀에 의해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는 일정두께의 판체를 절곡하여 고정부와 날부가 형성되어지데,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일정부분 절개하여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단부재가 끼워지는 날덮개는 선단에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둘레에는 끼움턱을 형성하여, 상기 날덮개의 지지돌기가 절단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날부의 선단에 안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재의 고정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선단측에는 일정부분 상부로 돌출된 끼움편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절단부재의 관통공과 끼움편에 대응되도록 날덮개에는 각각 고정돌기와 끼움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열융착하는 것에 의해 절단부재가 날덮개에 고정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날덮개의 선단에 형성되는 지지돌기는 절단부재의 날부 길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가위의 결합 상태를 나나탠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위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도 1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위(A)는 한조의 제 1회동부(a)와 제 2회동부(a')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한 제1회동부(a)는 다시 몸체(10)와 절단부재(20) 및 날덮개(3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일측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통공(12)을 구비한 손잡이(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면 끝단에는 단턱부(13b)가 형성된 끼움공(13)이 형성되며 그 반대면 끝단 둘레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끼움홈(11a)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와 결합되는 날덮개(30)는 상기 몸체(10)의 일면 둘레에 형성된 끼움홈(11a)에 끼워지도록 다수의 끼움돌기(32a)가 구비된 끼움턱(32)을 둘레에 형성하고 중앙에는 상기 몸체의 끼움공(13)과 연통되도록 제1삽입공(34)이 구비되며 일면에는 후술될 절단부재(20)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되도록 다수의 고정돌기(3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덮개(30)의 선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33)와 연장되는 부분에는 일정부분 개방되어 끼움부(30b)를 형성하여 날덮개(30)를 이룬다.
상기 날덮개(30)에 설치되는 절단부재(20)는 상기 날덮개(30)의 끼움턱(32) 내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금속 판체를 절곡하여 고정부(21)와 날부(22)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21)에는 상기 날덮개(30)의 제1삽입공(34)과 고정돌기(30a)의 대응위치에 각각 제2삽입공(23)과 관통공(21a)을 형성하고 선단에는 상기 날덮개(30)의지지돌기(33)가 삽입되어 날부(22)에 안착되도록 삽입부(24)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24)와 연장되는 고정부(21)에는 상부로 상기 날덮개(30)의 끼움부(30b)에 끼워지도록 끼움편(21b)을 연장 형성하여 절단부재(20)를 이루며, 상기한 절단부재(20)가 결합된 날덮개(30)에 몸체(10)를 설치하여 제1회동부(a)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회동부(a)와 대향 교차되도록 제 2회동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2회동부는 상기 제1회동부와 동일 형상으로 구성은 갖으나, 상기 제 1회동부의 끼움공에 형성 되어있는 단턱부에 끼워지도록, 제2회동부의 끼움공에는 돌출턱을 형성하여 상기 제1회동부의 단턱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제2회동부를 이루게 되며, 상기 제1회동부(a)와 제2회동부(a')의 제1삽입공(34)(34')과 제2삽입공(23)(23')으로 삽입되는 핀(40)에 의해 상기 제1,2회동부(a)(a')를 결합하며, 상기 제1,2회동부(a)(a')의 덮개(30)(30')에 형성된 제1삽입공(34)(34')에는 캡(50(50')을 설치하여 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위(A)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날덮개(30)의 둘레에 형성된 끼움턱(32) 내에 절단부재(20)를 끼워넣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부재(20)를 끼워넣게 되면 날덮개(3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30a)가 절단부재(20)의 고정부(21)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1a)에 관통되어 돌출되며,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33)는 절단부재(20)의 날부(22)상에, 상기 지지돌기(33)와 연장된 끼움부(30b)에는 절단부재(20)의 끼움편(21a)이 각각 안착되는 상태로 되어 상기와 같이 가고정된상태에서 돌출된 고정돌기(30a)에 열을 가하여 융착하는 것에 의해 날덮개(30)와 절단부재(20)가 1차적으로 긴결함을 유지시키면서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된 날덮개(30)와 절단부재(20)는 다시 몸체(10)와 결합하게 된다. 이는 날덮개(30)의 끼움턱(3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끼움돌기(32a)가 몸체(10)의 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11a)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10)와 날덮개(30)가 고정을 이루게 되는 것인바, 상기와 같이 절단부재(20)를 날덮개(30)에 1차적으로 고정을 하고, 다시 상기 날덮개(30)에 몸체(1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11)에 대한 절단부재(20)의 결합력을 탁월하게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고정을 이루게 되어 제1회동부(a)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제1회동부(a)와 같은 방법으로 제2회동부(a')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회동부(a')를 제1회동부(a)의 대향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2회동부(a)(a')의 결합은 제1회동부의 끼움공(13)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3a)에 제2회동부(a')의 끼움공(13')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13a')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공(13)(13')과 연통되어 있는 제1삽입공(34)(34')과 제2삽입공(23)(23')을 관통하는 핀(40)의해 설치되는 것인바, 상기 끼움공(13)(13')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3a)와 돌출턱(13a')에 의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조의 제1,2회동부(a)(a')를 결합하게 되면 제1,2회동부(a)(a')의 선단에는 각각 지지돌기(33)(33')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33)(33')의 폭은 절단부재(20)(20')의 날부(22)(22')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돌기(33)의 폭이 날부(22)폭과 동일한 경우에는서로 역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서로 면접촉하면서 미끄러지게 되어 날부(22)(22')가 서로 걸리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지지돌기(33)(33')의 폭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H거리만큼 크게 하면, 상기 H거리만큼의 돌출된 지지돌기(33)(33')가 서로 대응되는 날부(22)(22')를 지지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날부(22)(22')의 걸림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단부재(20)(20')가 날덮개(30)에 고정된 후, 상기 날덮개(30)(30')와 몸체(10)에 결합되기 때문에 2차적인 결합을 통하여 손잡이(11)(11')에 대한 절단부재(20)(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위에 의하면 선단에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한 한조의 제1,2회동부가 작동시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절단부재가 끼워진 날덮개가 몸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절단부재와 몸체가 결합되도록 하여 손잡이에 대한 절단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사용중 손잡이의 파손이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손잡이(11)가 형성된 몸체(10)의 일면에 절단부재(20)가 끼워진 날덮개(30)를 결합하여 제 1회동부(a)를 형성하고, 상기 제1회동부(a)와 대향 교차되는 제2회동부(a')가 핀(40)에 의해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가위(A)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20)는 일정두께의 판체를 절곡하여 고정부(21)와 날부(22)가 형성되어지데, 상기 고정부(21)의 선단에는 일정부분 절개하여 삽입부(24)를 형성하며, 상기 절단부재(20)가 끼워지는 날덮개(30)는 선단에 지지돌기(33)를 돌출 형성하고 둘레에는 끼움턱(32)을 형성하여, 상기 날덮개(30)의 지지돌기(33)가 절단부재(20)의 삽입부(24)에 삽입되어 날부(22)의 선단에 안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재(20)의 고정부(21)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21a)을 형성하고 선단측에는 일정부분 상부로 돌출된 끼움편(21b)을 연장 형성하며, 상기 절단부재(20)의 관통공(21a)과 끼움편(21b)에 대응되도록 날덮개(30)에는 각각 고정돌기(30a)와 끼움부(30b)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30a)가 관통공(21a)을 관통하여 열융착하는 것에 의해 절단부재(20)가 날덮개(30)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덮개(30)의 선단에 형성되는 지지돌기(33)는 절단부재(20)의 날부(22)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덮개(30)의 선단에 형성되는 지지돌기(33)는 절단부재(20)의 날부(22)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030040827A 2003-06-23 2003-06-23 가위 Ceased KR20050000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27A KR20050000223A (ko) 2003-06-23 2003-06-23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827A KR20050000223A (ko) 2003-06-23 2003-06-23 가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799U Division KR200326490Y1 (ko) 2003-06-23 2003-06-23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223A true KR20050000223A (ko) 2005-01-03

Family

ID=3721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827A Ceased KR20050000223A (ko) 2003-06-23 2003-06-23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02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616B2 (en) Tool box with a pivotable part
US8061042B2 (en) Mowing head with peripheral members for engagement of the cutting line
JP5109158B2 (ja) カッターナイフ
KR200326490Y1 (ko) 가위
KR20050000223A (ko) 가위
EP1007254B2 (en) Wrench for insert holders of the blade type
JPS6133600B2 (ko)
KR200294067Y1 (ko) 손톱깎이
JPH0234647Y2 (ko)
KR200270840Y1 (ko) 손톱깍기
JP2004089731A (ja) 鼻毛カッター
JP3548861B2 (ja) 節度感を持たせた手動利器
JPS5814209Y2 (ja) 蓋体ロック部材
KR200148879Y1 (ko) 가위
KR20020060142A (ko) 손톱깍이
KR20000050725A (ko) 손톱깍기
KR200362393Y1 (ko) 환기창
JP4698954B2 (ja) 替刃式剃刀における刃体取付部
JPS5847743Y2 (ja) 把手装置
KR200236155Y1 (ko) 금속제집게용머리핀
JPH0531772U (ja) グリツプスプリング
JP3181999B2 (ja) ハンディモップの柄
JP4083319B2 (ja) 爪切りにおける押圧操作てこの支持構造
KR200257867Y1 (ko) 가위
KR200153579Y1 (ko) 리모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