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849Y1 - Container - Google Patents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8849Y1 KR200498849Y1 KR2020200000127U KR20200000127U KR200498849Y1 KR 200498849 Y1 KR200498849 Y1 KR 200498849Y1 KR 2020200000127 U KR2020200000127 U KR 2020200000127U KR 20200000127 U KR20200000127 U KR 20200000127U KR 200498849 Y1 KR200498849 Y1 KR 2004988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contents
- paragraph
- container
- contents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둘레를 따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단차와 맞물리는 돌출림을 구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s container comprises: a head portion having a movement path for contents and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in a container portion where contents are stored; and a nozzl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that are arranged to vertically penetrate through the movement path of the head portion and discharge contents, wherein the nozzle has a step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nd the head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rotrusion on an inner surface that engages the step.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와 노즐의 구조가 개선될 수 있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s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ents container in which the structure of a head portion and a nozzle can be improved.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는, 배출수단으로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펌프는 압력의 조절을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In general, a container that accommodates various types of contents may be provided with a pump as a discharge means. The pump is configured to suck in the contents by controlling the pressure and then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이러한 펌프는, 용기에서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린더 내에서 승강하는 피스톤을 통해 음압 또는 양압을 발생시켜서 내용물의 흡입 및 배출을 구현한다.Such pumps may be coupled to one open end of the container and generate negative or positive pressure through a piston that rises and falls within the cylinder to effect suction and discharge of the contents.
또한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실린더에는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흡입관이 마련될 수 있으며, 흡입관을 둠에 따라 용기에는 내용물의 잔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ylinder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tube exten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so as to be able to suck the contents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by positioning the suction tube, the residue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can be minimized.
근래에는 세정제 등에 대한 사용성의 편리를 위해, 사용자가 세정제를 직접 비벼 거품을 형성하지 않고 펌핑 작동으로 배출 시 거품이 형성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한 구조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detergents, etc., a structur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foam is formed when the detergent is discharged by pumping rather than by the user directly rubbing it to form foam. Structural improvements for convenience of use, etc. are continuously being made.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부와 노즐의 구조가 개선될 수 있고, 내용물이 배출 시 내용물의 형상이 심미감을 부여하는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upon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head and nozzle, and to discharge the contents in a form that provides an aesthetic feel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둘레를 따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단차와 맞물리는 돌출림을 구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s container comprises: a head portion having a movement path for contents and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in a container portion where contents are stored; and a nozzl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that are arranged to vertically penetrate through the movement path of the head portion and discharge contents, wherein the nozzle has a step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nd the head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rotrusion on an inner surface that engages the step.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상기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링부재가 끼움되도록 상기 돌출림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zzle includes a ring member that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nozzle so that the step is formed, and the joining member may have an insertion hole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ring member is inserted.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복수의 토출구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zzle may have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spaced radially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through which it penetrates chang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중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물방울 형상을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port can have a water droplet shape whose width increases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상에서 4개 내지 6개의 홀이 동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4 to 6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on the nozzle.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에 복수의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두께가 증가되어 내용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zzle may include a guide member having a flat upper surface and an increased thickness arou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on the lower surface to guide the contents.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통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part may further include the head part, and the head part may further include a passage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nozzle and in which the movement path is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노즐이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부 아래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재; 및 상기 노즐을 지지하도록 상기 누름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노즐과 대향되게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having a hollow structure formed by providing a central portion below the nozzle spaced from the top; and a bottom plate provided across the pressing member to face the nozzle so as to support the nozzle.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재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이 맞닿는 내주면이 상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ing member may be formed as a ring-shaped tubular structur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ozzle,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top toward the nozzle.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헤드부와 노즐의 구조가 개선되고, 더불어 내용물이 배출 시 내용물의 형상이 심미감을 부여하는 형태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등의 사용자에게 손 씻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head and nozzle, and furthermore,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n a shape that provides an aesthetic appeal when discharged, thereby providing interest to the user, and thus enabling the user, such as children, to form a hand washing habi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가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보기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로부터 토출된 거품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part of a head portion and a nozzle of a contents container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way.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and nozzle of a contents contain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view of Figure 3.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foam discharged from a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urpose,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s much as possible,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가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보기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로부터 토출된 거품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artially cut-off state in which a head portion and a nozzle of the contents container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nozzle of the contents contain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view of FIG. 3. In addi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foam discharged from the contents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는, 용기부(110), 헤드부(120), 노즐(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a contents contain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ainer portion (110), a head portion (120), and a nozzle (130).
용기부(110)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 배출을 위해 상단이 개구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단에는 내용물 배출과 더불어 상단을 폐쇄하도록 펌프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The container (110) may have a hollow structure formed to accommodate the contents and may have an open top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In this case, a pump section (111) may be provided at the top to close the top while discharging the contents.
이러한 용기부(110)의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은 세제, 샴프, 치약, 화장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종류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The shape or material of the container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type of contents is also not limited, as the contents can be composed of detergent, shampoo, toothpaste, cosmetics, etc.
더불어 용기부(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펌프부(111)는, 펌핑 작동에 의하여 용기부(1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를 위해 펌프부(111)는 캡(111A), 샤프트(부호 도시하지 않음),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mp unit (111)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unit (110) discharges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ontainer unit (110) to the outside through a pumping operation. To this end, the pump unit (111)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a cap (111A), a shaft (not shown), a cylinder (not shown), and a piston (not shown).
예를 들어 캡(111A)은, 용기부(110)의 개방된 상단이 출구인 주둥이를 형성할 경우, 주둥이에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실린더 등의 결합을 위해 중앙이 관통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pen top of the container (110) forms a spout that is an outlet, the cap (111A) can be connected to the spout in various ways, such as by screw connection, and can have a shape with a hole in the center for connecting a cylinder or the like.
샤프트는 헤드부(120)의 하부에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샤프트의 하단에는 피스톤이 결합될 수 있어, 헤드부(120), 샤프트, 피스톤이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결합될 수 있다.The shaft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20), and a piston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so that the head portion (120), shaft, and piston may be sequential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실린더는, 캡(111A)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고, 용기부(110)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린더의 하측은 흡입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린더 내에 피스톤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And the cylinder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ap (111A) and may form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10).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may be connected to a suction pipe (not shown), and a pist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nd may be connected to a shaft.
이러한 펌프부(111)는, 볼, 스프링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이 토출 시 거품이 형성되도록 메쉬망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외에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작동 관계 및 거품 형성은 공지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This pump unit (111) may further include a ball, a spring, etc., and may also include a mesh net so that bubbles are formed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n addition, various known technologies may be applied,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and bubble formation are omitted in place of known technologies.
헤드부(120)는, 펌프부(111)의 샤프트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헤드부(120)는 샤프트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The head part (12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aft of the pump part (111), and at this time, the head part (120) can be firmly coupled so as not to be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shaft, and a known technology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헤드부(120)는, 펌프부(111)의 작동을 위해 용기부(110)에서 펌프부(111)의 샤프트와 일체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부(110) 내의 내용물이 흡입관을 통해 흡상되면, 헤드부(12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이동경로(122A)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part (12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shaft of the pump part (111) in the container part (110) for the operation of the pump part (111), and when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part (110) are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ipe by the pumping operation, a movement path (122A) of the contents may be formed so that they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ead part (120).
특히 본 실시예의 헤드부(120)는, 판 구조로 이루어지는 노즐(130)의 결합 및 내용물 배출이 개선되도록, 결합부재(121), 통로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ead part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121) and a passage member (122) to improve coupling of the nozzle (130) formed of a plate structure and discharge of contents.
먼저 헤드부(120)의 결합부재(121)는, 노즐(13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져 하강이 수행될 수 있고, 누름부재(121A)와 바닥판(121B)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joining member (121) of the head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be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user's palm or fingers as a configuration to which the nozzle (130) is joined, and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121A) and a bottom plate (121B).
누름부재(121A)는, 사용자의 손이 직접 접촉되어 가압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누름부재(121A)에 맞닿은 손바닥/손가락의 접촉 시 누름부재(121A)의 가압면인 상단에 의한 압박으로 인한 불쾌감이 감소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21A) is configured to be press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hand, and can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so that discomfort caused by pressur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121A) can be reduced when the palm/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121A).
예를 들어 누름부재(121A)는, 원 기둥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때 원 기둥의 상단은 상부로 무게 중심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면서 비용이 증가되지 않도록, 1 ~ 2mm 내외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상단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가압면이 좁아 사용자의 손에 압박을 줄 우려가 있다.For example, the pressing member (121A) may be formed as a cylindrical structure, but in this case, the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may be formed as an upper structure with a thickness of about 1 to 2 mm so as not to increase the cost while preventing the center of gravity from being tilted upward,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is narrow and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put pressure on the user's hand.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누름부재(121A)의 상단이 확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로서, 링(도넛)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누름부재(121A)는, 노즐(130)이 설치되는 내주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어,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내주면과 외주면이 각각 연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refor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121A)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it is extended, and for example, it can have a hollow structure, such as a ring (donut) shape.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21A) can have an inner surface where the nozzle (130) is installed and an out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 structure can be formed in whic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each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이러한 누름부재(121A)는, 상단이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면서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마련되어 단순히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비하여 가압면이 확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바닥에 맞닿는 가압면이 확장되어 가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121A)의 상단은 평평한 면을 이룰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Since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121A) is arranged to connec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while separa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 pressing surface can be expanded compared to a structure simply formed as a cylinder, so that the pressing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palm can be expanded and the pressing force can be distributed, thereby reducing the user's discomfort.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121A) can form a flat surface, but as shown in FIGS. 2 and 3, it can also form a structure forming a curved surface.
또한, 누름부재(121A)는, 노즐(130)이 누름부재(121A)의 상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중심부 또는 중심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결합부재(121)의 내주면이 상부에서 노즐(13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어 노즐(130)로부터 상부를 향해 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121A)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nozzle (130) is spac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pressing member (121A) and is offset from the center or from the center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joining member (121)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top toward the nozzle (130), so that a structure may be formed in which the space gradually expands upward from the nozzle (130), thereby facilitating discharge of the contents.
게다가 결합부재(121)는, 노즐(130)이 착탈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때 노즐(130)의 결합을 위해 돌출림(121A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끼움홀(121AB)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121)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nozzle (130)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nd at this time, a protrusion (121AA) can be included for attachment of the nozzle (130), and an insertion hole (121AB) can be formed.
돌출림(121AA)은, 결합부재(121)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어 노즐(130)의 단차(131A)와 맞물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닥판(121B)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노즐(130)의 상단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단차(131A)를 따라 폐곡선 구조를 이룰 수 있어, 결합부재(121)가 통 구조의 링(도넛) 형태를 이루는 경우 결합부재(121) 내주면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어 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121AA)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21) and may engage with the step (131A) of the nozzle (130). For exampl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121B) and may protrude toward the top of the nozzle (130) and may form a closed curve structure along the step (131A). Thus, when the connecting member (121) has a ring (donut) shape of a cylindrical structure,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21).
이러한 돌출림(121AA)은, 노즐(130)의 단차(131A)와 맞물리게 이루어져 헤드부(120)로부터 노즐(130)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끼움홀(121AB)은 단차(131A)를 형성하는 링부재(131)가 끼움되도록 돌출림(121AA)의 일측면(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어, 돌출림(121AA)의 일측면이 끼움홀(121AB)의 상부 둘레면을 이룰 수 있다.This protrusion (121AA)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step (131A) of the nozzle (130) so as to prevent the nozzle (130) from being separated upwardly from the head portion (120). At this time, the fitting hole (121AB) can be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bottom side) of the protrusion (121AA) so that the ring member (131) forming the step (131A) can be fitted therein, so th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121AA) can form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hole (121AB).
그리고 결합부재(121)에서 끼움홀(121AB)의 하부는, 돌출림(121AA)의 상부에서 결합부재(121)가 하향 경사지는 구조를 이루는 것과 달리, 노즐(130)이 맞닿는 결합부재(121)의 영역은 상하의 폭이 동일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노즐(13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unlike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itting hole (121AB) in the connecting member (121)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21AA), the area of the connecting member (121) that the nozzle (130) comes into contact with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widths are the same, so that the inner diameter can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nozzle (130).
다만 이러한 돌출림(121AA)의 림(rim)구조와 끼움홀(121AB)의 오목한 구조는 노즐(130)의 링부재(131)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외에 노즐(1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owever, the rim structure of the protrusion (121AA) and the concave structure of the fitting hole (121AB) are for fixing the ring member (131) of the nozzle (130),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 structure can stably fix the nozzle (130).
한편, 본 실시예는 결합부재(121)가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통 구조의 상단은 폐곡선 구조를 이루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절단 또는 홈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Meanwhile, this embodiment exemplifies that the connecting member (121) is a hollow tubular structure,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upper part of the tubular structure may not form a closed curve structure but may have cuts or groov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결합부재(121)의 바닥판(121B)은, 통로부재(122)로부터 이동된 내용물이 토출되어 머금어질 수 있으며, 노즐(130)이 결합되는 경우 노즐(130)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And the bottom plate (121B) of the connecting member (121) can discharge and retain the contents moved from the passage member (122), and when the nozzle (130) is connected,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130).
예를 들어 바닥판(121B)은, 중심부가 관통되는 누름부재(121A)의 중심을 가로질러 노즐(130)과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고, 누름부재(121A)에서 중심보다 아래 마련될 수 있어 하부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ottom plate (121B) may be provided across the center of the pressing member (121A) through which the center is penetrated, facing the nozzle (130), and may be provided below the center of the pressing member (121A), so as to be provided in a downward direction.
따라서 결합부재(121)는, 바닥판(121B)의 상부에 누름부재(121A)로 둘러진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어, 내용물이 토출된 후 결합부재(121) 상에 내용물이 머금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누름부재(121A)를 가압하더라도 손바닥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배출된 내용물의 형태가 결합부재(121)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바닥판(121B)과 누름부재(121A)는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joining member (121) can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space surrounded by a pressing member (121A)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121B), so that after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ey can be retained on the joining member (121), and ev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member (121A) with the palm of his/her hand, sufficien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palm, so that the shape of the discharged contents can be maintained within the joining member (121), and the bottom plate (121B) and the pressing member (121A) can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s one piece.
여기서 바닥판(121B)은, 통로부재(122)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직접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내용물의 토출을 위해 바닥판(121B)의 중심부가 관통되고 이러한 관통 구조가 통로부재(122)의 이동경로(122A)와 연통될 수 있으므로, 바닥판(121B)이 직접 노출되는 경우 이동경로(122A)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이물질, 물 튐으로 인한 이동경로(122A)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면서도, 내용물의 토출 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바닥판(121B)의 상부에 노즐(130)이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bottom plate (121B) may directly expose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passage member (122), but since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21B) is penetrated for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nd this penetration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path (122A) of the passage member (122), if the bottom plate (121B) is directly exposed, the movement path (122A) may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may cause contamination of the movement path (122A) due to foreign substances or water splashes. In order to prevent this, while also creating interest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a nozzle (1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1B).
이와 같은 바닥판(121B)은, 노즐(130)을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평평한 판의 구조로 이루어져 노즐(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중심이 관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통로부재(122)의 이동경로(122A)와 연통될 수 있고, 이때 관통된 중심의 직경은 이동경로(122A)의 내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동경로(122A)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A bottom plate (121B) like this can discharge contents through a nozzle (130), and can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nozzle (130) by being made of, for example, a flat plate structure, and as mentioned above, can be made of a structure with a center that is perfora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path (122A) of the passage member (122).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center can be made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movement path (122A),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being made larger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ovement path (122A).
그리고 헤드부(120)의 통로부재(122)는, 펌프부(111)의 샤프트와 연통되면서 내용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경로(122A)가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노즐(130)과 연통될 수 있다. And, the passage member (122) of the head part (120) can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pump part (111) to form a movement path (122A) so that the contents can be move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nozzle (130) to discharge the contents.
본 실시예의 통로부재(1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구조를 이루어 샤프트와 결합할 수 있으며, 헤드부(120)가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리면 통로부재(122)와 결합된 샤프트가 작동되어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20)의 하강에 의해 내용물은 최종적으로 노즐(130)의 토출구(130A)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The passage member (122)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a shaft by forming a tube structur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head part (120) is pressed downward by the user, the shaft combined with the passage member (122) is operated to perform pumping. In addition, by lowering the head part (120), the contents can be final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0A) of the nozzle (130).
여기서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결합은, 헤드부(120)와 샤프트가 일체로 승강할 수 있도록 통로부재(122)와 샤프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일정 영역이 서로 겹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are firmly connected so that the head part (120) and the shaft can be raised and lowered as one unit. For example, this may be implemented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a certain area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overlap each other.
이때 통로부재(122)의 내부에 샤프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는 경우, 통로부재(122)의 내경과 샤프트의 외경이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로부재(122)의 내주면과 샤프트의 외주면이 링돌기(도시하지 않음)와 링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구조로 맞물려 강제로 끼워지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assage member (122), the inner diameter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can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can be forcibly fitted together by interlocking with the structure of a ring protrusion (not shown) and a ring groove (not shown), there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더불어 통로부재(122)와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외부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외면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are combined, the outer surfaces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may be formed continuously so that no ste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그리고 통로부재(122)와 샤프트는 외부에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통로부재(122)의 외측에는 2겹의 관(123)이 더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관(123)은, 통로부재(122)의 외면에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으며, 결합부재(121)의 하부를 보강할 수도 있다.And since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e shaft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exposed from the outside, a two-layer pipe (123) can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this pipe (123) can block water or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ssage member (122) and can also reinforce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21).
노즐(130)은, 헤드부(120)의 통로부재(122)를 경로한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토출구(130A)가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이 배출된 후 머무를 수 있는 받침 기능을 이루도록 상단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zzle (130) may have a discharge port (130A) formed so that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passage member (122) of the head portion (120) are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may have a plate structure with a predetermined area at the top so that the contents can remain there after being discharged.
일례로 노즐(130)은,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하면은 내용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좌우 둘레면에는 링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zzle (130) may have a flat upper surface and a structur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contents on the lower surface, and a ring member (131)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peripheral surfaces.
여기서 노즐(130)은, 토출구(130A)가 상하로 관통되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어, 헤드부(120)의 이동경로(122A)와 연통된 토출구(130A)를 통해 내용물 토출할 수 있는데, 펌핑 과정에서 거품으로 형성되는 내용물이 꽃잎, 캐릭터 등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nozzle (130)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30A) that penetrate vertically,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s (130A) that are connected to the movement path (122A) of the head part (120). The contents formed into bubbles during the pumping process can be provided in a shape reminiscent of flower petals, characters, etc.
예를 들어 복수의 토출구(130A)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노즐 상에서 4개 내지 6개의 홀이 동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30A)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중심점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마련되면서 중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물방울 형상을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30A) may be arranged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ur to six holes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on the nozzle.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s (130A)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penetra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changes, and may be arranged to deviate from the center point, and may form a water droplet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따라서 내용물이 노즐(130)의 상면으로 토출되면, 기포로 인해 내용물의 부피가 확장되면서 거품을 발생시킬 경우, 복수의 토출구(130A)의 형상을 따라 상부로 토출된 내용물이 확장되면서 서로 이격된 공간을 채우게 되어 입체적인 꽃잎 형태를 이룰 수 있다(도 5 참조).Accordingly,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130), the volume of the contents expands due to the air bubbles and generates bubbles, and the contents discharged upwards expand along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30A) to fill the spac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petal shape (see FIG. 5).
이와 달리, 토출구(130A)가 복수 개의 원, 또는 원과 타원형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토출구(130A)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곰, 토끼 등의 형상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Alternativel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when the discharge port (130A)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ircles, or a combination of circles and ovals, so that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30A) can take on a shape reminiscent of a bear, a rabbit, or the like.
그리고 노즐(130)의 토출구(130A)를 통해 내용물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노즐(130)의 하면은 복수의 토출구(130A) 주변에서 두께가 증가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통로부재(122)의 상부에 대향하는 노즐(130)의 중심으로부터 토출구(130A)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내용물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토출구(130A)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132)가 노즐(1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An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guid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0A) of the nozzle (130),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130) can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arou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30A). In ord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s (130A) are located from the center of the nozzle (130)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assage member (122), a guide member (132) extending to both sides of each discharge port (130A) can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130).
이때 가이드부재(132)는, 토출구(130A)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헤드부(120)의 결합부재(121)와 맞닿게 마련됨으로써, 통로부재(122)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토출구(130A)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132)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joining member (121) of the head portion (120) while forming a space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ort (130A), thereby allowing the contents discharged through the passage member (122) to move toward the discharge port (130A).
따라서 가이드부재(132)는, 서로 이웃한 토출구(130A)와의 사이에 공간이 분리되도록, 즉 내용물이 노즐(130)의 하면 전체에서 퍼지지 않고 토출구(130A)를 향해 이동되도록, 헤드부(120)의 결합부재(121)의 상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guide member (132) can be formed at a heigh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21) of the head portion (120) so that a space is separated between the adjacent discharge ports (130A), that is, so that the contents do not spread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130) but move toward the discharge port (130A).
이러한 노즐(130)의 가이드부재(132)는, 예를 들어 두께가 3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노즐(130)의 하면은 중심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홈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guide member (132) of the nozzle (13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3T or mor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130)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groove structure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그리고 노즐(130)의 링부재(131)는, 노즐(130)의 좌우 둘레면에서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부 둘레면을 따라 단차(131A)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nd the ring member (131) of the nozzle (130) can be formed so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on the left and right peripheral surfaces of the nozzle (130) and a step (131A) is provided along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이러한 노즐(130)은, 링부재(131)가 결합부재(121)의 끼움홀(121AB)에 끼움되어 결합 시, 링부재(131)가 돌출림(121AA)의 하면에 맞닿게 되고, 노즐(130)의 상면은 돌출림(121AA)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어 돌출림(121AA)과 노즐(130)의 외면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nozzle (130)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121AB) of the joining member (121), the ring member (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A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130) forms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1AA), so that the protrusion (121A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nozzle (130) can be formed continuously.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헤드부(120)와 노즐(130)의 구조가 개선되고, 더불어 내용물이 배출 시 내용물의 형상이 심미감을 부여하는 형태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등의 사용자에게 손 씻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head part (120) and the nozzle (130) are improved, and the shape of the contents is discharged in a way that provides an aesthetic sense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which can provide interest to the user, and thus can help users such as children form a habit of washing their hands.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intended to specifica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ttached utility model claims.
100: 내용물 용기 110: 용기부
111: 펌프부 111A: 캡
120: 헤드부 122A: 이동경로
121: 결합부재 121A: 누름부재
121AA: 돌출림 121AB: 끼움홀
121B: 바닥판 122: 통로부재
130: 노즐 130A: 토출구
131: 링부재 131A: 단차
132: 가이드부재100: Contents container 110: Container part
111:
120:
121: Joining
121AA: Protrusion 121AB: Insertion hole
121B: Floor plate 122: Passage member
130:
131: Ring member 131A: Step
132: Absence of guide
Claims (9)
상기 헤드부의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둘레를 따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단차와 맞물리는 돌출림을 구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A head section is formed so that a path for moving the contents is formed and the container section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moves up and down; and
Including a nozzle tha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that are vertically penetrated to discharge contents in communication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head part,
The above nozzle,
A step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sides,
The above head part,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rotrusion that interlocks with the above-mentioned step on the inner surface,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zzle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downward direction.
상기 노즐은,
상기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링부재가 끼움되도록 상기 돌출림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ozzle,
Including a ring member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nozzle so that the above step is formed,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member is,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hole is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ring member can be inserted.
복수의 토출구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nozzle,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spaced radially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through which the outlets penet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nges.
중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물방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discharge port,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by having a water droplet shape whose width increases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center toward the outer edge.
상기 노즐 상에서 4개 내지 6개의 홀이 동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discharge port,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ur to six holes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on the nozzle.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의 하면에 복수의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두께가 증가되어 내용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nozzle,
The upper surface is made flat,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uide member whose thickness increases around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ozzle to guide the contents.
상기 용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통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including the above container,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further includes a passage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nozzle and in which the movement path is formed.
상기 노즐이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부 아래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재; 및
상기 노즐을 지지하도록 상기 누름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노즐과 대향되게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connecting member is,
A pressing member having a hollow structure formed by the nozzle being spaced from the top and provided below the center; and
A contents contain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ottom plate provided across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face the nozzle to support the nozzle.
상기 누름부재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이 맞닿는 내주면이 상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In Article 8,
The above pressing member is,
A contents container having a ring-shaped tubula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that the nozzle contacts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top toward the nozz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127U KR200498849Y1 (en) | 2020-01-09 | 2020-01-09 |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127U KR200498849Y1 (en) | 2020-01-09 | 2020-01-09 |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663U KR20210001663U (en) | 2021-07-19 |
KR200498849Y1 true KR200498849Y1 (en) | 2025-02-24 |
Family
ID=7712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0127U Active KR200498849Y1 (en) | 2020-01-09 | 2020-01-09 |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8849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944Y1 (en) * | 2013-08-06 | 2015-01-19 | 주식회사 비투와이 | Discharging Structure of Liquid cosmetics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2647B1 (en) * | 2013-06-20 | 2019-11-27 | 주식회사 케이알 | Cosmetinc container |
KR101689433B1 (en) * | 2014-02-14 | 2016-12-2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JP6582027B2 (en) * | 2016-09-29 | 2019-09-25 | 花王株式会社 | Foam discharge container |
-
2020
- 2020-01-09 KR KR2020200000127U patent/KR200498849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5944Y1 (en) * | 2013-08-06 | 2015-01-19 | 주식회사 비투와이 | Discharging Structure of Liquid cosmetics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663U (en) | 2021-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14224B2 (en) | Container with pump | |
JP5214418B2 (en) | Former dispenser | |
KR102403988B1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KR200498849Y1 (en) | Container | |
KR200428943Y1 (en) | dispenser | |
JP6736294B2 (en) | Chemical supply device | |
JP6315556B2 (en) | Foam dispenser | |
JP5126815B2 (en) | Foam container | |
JP7196191B2 (en) | cosmetic container | |
JP5253267B2 (en) | Thin container with pump | |
CN210883372U (en) | Push type foam pump | |
CN116096644A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JP6983081B2 (en) | Pump container | |
KR101923389B1 (en) | Fluid dispenser | |
JP6267998B2 (en) | Foam dispenser | |
KR102643135B1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JP3109593U (en) | Liquid bottle structure | |
JP5506217B2 (en) | Chemical supply device | |
JPH10181761A (en) | Ejecting device of liquid | |
US20040116035A1 (en) | Soap dispenser with reservoir for bubble wand | |
JP5424605B2 (en) | Chemical supply device | |
JP2009057768A (en) | Chemical solution feeder | |
JP4916675B2 (en) | Container with pump | |
KR102043466B1 (en) | Apparatus for washing toilet | |
JP7101475B2 (en) | Foam ej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0109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4062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50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502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